KR101556533B1 -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 - Google Patents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533B1
KR101556533B1 KR1020150069565A KR20150069565A KR101556533B1 KR 101556533 B1 KR101556533 B1 KR 101556533B1 KR 1020150069565 A KR1020150069565 A KR 1020150069565A KR 20150069565 A KR20150069565 A KR 20150069565A KR 101556533 B1 KR101556533 B1 KR 101556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terminal
state
outlet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성
Original Assignee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069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53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025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콘센트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멀티미터 테스터를 사용하지 않고, 콘센트에 접속되는 일반적인 전원 플러그 형태로 시험기 본체를 제작하여 단순히 콘센트에 꽂기만 하면 해당 콘센트의 전원상태를 일거에 시험할 수 있도록 하는 시험방법 및 시험기. 본 발명의 콘센트 시험기에 따르면,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단에 돌출되어 콘센트의 접속구에 접속되는 단자부,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장되어 교류 전원을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본체 하우징의 타단에 외부로 노출되어 콘센트에 공급되고 있는 전원의 상태를 분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로서, 상기 단자부는 콘센트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원의 상선(Hot Line)에 연결되는 상단자와 중성선(Neutral Line)에 연결되는 중성단자, 그리고 접지선(Earth Line)에 연결되는 접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정류부에 연결되어 콘센트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이한 색상의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 및 시험방법{An electric power receptacle tester and a test method}
본 발명은 휴대용의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용 교류 전기를 공급하는 콘센트의 전원상태(통전여부, 접지상태, 상방향상태)를 손쉽게 일시에 시험할 수 있는 휴대용 플러그형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 및 시험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공사 현장에서 콘센트를 설치한 후 전원이 올바르게 공급되고 있는지 전원상태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콘센트의 전원상태를 시험하여야만 설치공사를 마칠 수 있다. 기존의 교류전원용 콘센트의 전원공급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멀티미터 테스터(회로시험기)로 전압을 측정하든지 교류용 램프를 연결하여 전원의 공급 여부를 시험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주로 전압을 측정할 수 있는 멀티미터 테스터(회로시험기)(50)를 사용하는데 이 경우에는 테스터에 구비된 한 쌍의 프로브(51)를 통하여 전압(교류 및 직류) 측정, 저항 측정 등을 할 수 있다. 측정하는 방법으로 멀티미터 테스터(50)의 한 쌍의 프로브(51)를 콘센트(40)의 접속구(41)에 각각 삽입하여 전압값을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측정시 테스터의 프로브(51)와 콘센트의 접속구(41) 간에 접촉이 잘 될 수 있도록 움직이면서 완전한 접속이 이루어진 후 측정해야 하므로 일반인이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측정시간이 지연되는 문제점 등이 있다. 또한 프로브(51)를 직접 손으로 쥐고 삽입해야 하므로 항상 감전이나 합선 등의 위험이 잠재되어 있고, 테스터(50)의 게이지의 바늘의 움직임을 눈으로 비교적 긴 시간 동안 주시해야 하는 등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약 500 가구의 아파트의 경우에 각 가구당 20개의 콘센트가 있다고 가정해도, 총 10,000개나 되는 콘센트의 전원 상태를 일일이 멀티미터 테스터로 시험한다는 것은 매우 시간 소비적이며 인력 소모가 크다.
또한 다른 방식으로, 교류 램프를 연결하여 전원의 공급여부를 시험하는 방법은 플러그에 램프를 연결하여 플러그를 콘센트에 접속하여 통전 여부를 확인하는 수준에 머무는 방법으로서 사용상 편리성은 있으나 전원공급 상태만을 램프의 점등 여부로써 확인할 수 있을 뿐, 해당 콘센트 전원의 접지상태, 상방향상태를 확인할 수는 없는 큰 문제가 있다.
한편 아래의 두 선행기술문헌에서는 콘센트 자체에 전원 검사를 위한 구조를 적용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은 각각, 위의 교류 램프 이용 방법과 같이 전원의 통전 또는 단전을 검사하기 위한 회로적 구조와 기구적 구조를 이용할 뿐, 전원의 접지 상태와 상방향 상태에 대해서는 검사가 불가능하며, 매립형 콘센트 자체에 부가 기능으로서 추가된 것일 뿐이다.
실용신안등록 20-324415 (2003. 8. 25. 공고) 실용신안등록 20-313691 (2003. 5. 22. 공고)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콘센트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멀티미터 테스터를 사용하지 않고, 콘센트에 접속되는 일반적인 전원 플러그 형태로 시험기 본체를 제작하여 단순히 콘센트에 꽂기만 하면 해당 콘센트의 전원상태를 일거에 시험할 수 있도록 하는 시험방법 및 그 장치를 고안하였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른 콘센트 시험기에 따르면, 멀티미터 테스터(회로시험기)를 사용하지 않고,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콘센트에 일반적인 플러그 형태로 제작된 시험기를 단순히 꽂기만 하고 시험기 본체에 장착된 수 개의 표시등의 점등상태를 확인하여서 전원의 통전여부, 접지상태, 상방향상태를 한 번에 용이하게 시험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단에 돌출되어 콘센트의 접속구에 접속되는 단자부,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장되어 교류 전원을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부, 상기 본체 하우징의 타단에 외부로 노출되어 콘센트에 공급되고 있는 전원의 상태를 분별하여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로서, 상기 단자부는 콘센트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원의 상선(Hot Line)에 연결되는 상단자와 중성선(Neutral Line)에 연결되는 중성단자, 그리고 접지선(Earth Line)에 연결되는 접지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정류부에 연결되어 콘센트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이한 색상의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콘센트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는 1) 콘센트에서 전원만 공급되고 접지는 되어 있지 않는 무접지 상태, 2) 접지되어 있고 상단자에 상선이 연결되는 정방향 상태, 3) 상단자에 중성선이 연결되는 역방향 상태의 세 가지 상태이다.
상기 표시부는 세 개의 발광다이오드(LD1, LD2, LD3)를 포함하되, 무접지 상태에서는 하나의 발광다이오드(LD2)가 점등되고, 정방향 상태에서는 두 개의 발광다이오드(LD1 및 LD2)가 점등되고, 역방향 상태에서는 두 개의 발광다이오드(LD2 및 LD3)가 점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류부는, 상기 무접지 상태의 경우에, 상단자를 통해 들어온 상전원으로 하여금 제2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중성단자로 흘러 폐회로를 구성하는 수단과, 상기 정방향 상태의 경우에, 상단자를 통해 들어온 상전원으로 하여금 제1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접지단자로 흘러 폐회로를 구성함과 동시에, 제2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중성단자로 흘러 폐회로를 구성하는 수단과, 상기 역방향 상태의 경우에, 중성단자를 통해 들어온 상전원으로 하여금 제3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접지단자로 흘러 폐회로를 구성함과 동시에, 제2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상단자로 흐르는 폐회로를 구성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단자를 통해 들어온 상전원을 정류하는 수단 또는 상기 중성단자를 통해 들어온 상전원을 정류하는 수단(예컨대 정류다이오드)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류부의 구체적인 구성은 차후에 도면을 통해서 부가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른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방법에 따르면, 우선, 콘센트의 접속구에 접속되는 통상의 전원 플러그 형태로 제작된 본체 하우징을 마련한다. 이 본체 하우징에는, 콘센트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원의 상선(Hot Line)에 연결되는 상단자와 중성선(Neutral Line)에 연결되는 중성단자, 그리고 접지선(Earth Line)에 연결되는 접지단자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 하우징에는 콘센트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상기 세 가지 상태)를 표시하는 상이한 색상의 다수의 발광다이오드가 구비된다.
상기 상이한 색상의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는 세 개의 발광다이오드(LD1, LD2, LD3)로 구현할 수 있는데, 한 실시예에서, 무접지 상태에서는 하나의 발광다이오드(LD2)가 점등되고, 정방향 상태에서는 두 개의 발광다이오드(LD1 및 LD2)가 점등되고, 역방향 상태에서는 두 개의 발광다이오드(LD2 및 LD3)가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접지 상태의 경우에는, 상단자를 통해 들어온 상전원으로 하여금 제2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중성단자로 흘러 폐회로를 구성하고, 상기 정방향 상태의 경우에는, 상단자를 통해 들어온 상전원으로 하여금 제1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접지단자로 흘러 폐회로를 구성함과 동시에, 제2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중성단자로 흘러 폐회로를 구성하고, 상기 역방향 상태의 경우에는, 중성단자를 통해 들어온 상전원으로 하여금 제3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접지단자로 흘러 폐회로를 구성함과 동시에, 제2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상단자로 흐르는 폐회로를 구성하도록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콘센트에서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를 시험하는 데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전원상태 시험기의 일측에 돌출된 단자를 콘센트의 접속구에 삽입하는 것만으로 전원의 통전상태, 접지상태, 상방향상태를 표시등의 점등 상태로 확인함으로써 콘센트의 전원상태 3가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전원상태의 통전유무를 표시하는 표시등 중 하나를 백색의 고휘도 LED로 사용하게 되면 야간시간에 본 시험기를 콘센트에 삽입한 채로 꽂아둠으로써 매우 적은 전력 소모로써 취침등 또는 안내등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전원상태 시험기는 플러그형으로 콘센트에 삽입, 접속 하기가 용이하고, 소형으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휴대하기 간편하며, 한 눈에 점등상태를 판독하기가 쉬워 일반인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콘센트에 멀티미터 테스터를 접속하여 시험하고 있는 모습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상태 시험기를 일반 콘센트에 체결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의 실체 구성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의 표시등의 점등상태를 나타내는 표시도의 일례이다.
도 2a의 외관도를 참조할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 시험기는 대략 통 형상의 본체 하우징(1)의 일단에 단자부(10)가 돌출되어 있고, 타단에 전원상태 표시부(30)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본체 하우징(1) 내부에 교류 전원을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부(20)가 내장되어 있다. 본체 하우징(1)의 외관은 일반적인 플러그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자부는 상단자(11), 중성단자(12), 접지단자(13)로 이루어져 있으며, 표시부(30)는 각기 다른 색상의 3개의 발광다이오드(31, 32, 33)로 이루어져 있다. 정류부(20)는 정류다이오드(21, 24)와 저항(22, 23)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도 4a와 4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단자부(10)는 콘센트의 접속구에 접속되는 부분이며, 정류부(20)는 교류전원을 직류로 정류하는 부분이고, 표시부(30)는 콘센트에 공급되고 있는 전원의 상태를 분별하여 표시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의 실체 구성도(도 4a)와 회로도(도 4b)를 보면, 단자부(10)는 콘센트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원의 상선(Hot Line)에 연결되는 상단자(11)와 중성선(Neutral Line)에 연결되는 중성단자(12), 그리고 접지선(Earth Line)에 연결되는 접지단자(13)로 구성된다. 정류부(20)는 상단자 H(11)와 그 이후의 소자인 정류다이오드 D1(21) 간의 연결부인 제1회로(11a), 중성단자 N(12)과 그 이후의 소자인 저항 R2(23)와 정류다이오드 D2(24) 간의 연결부인 제2회로(12a), 접지단자 E(13)와 그 이후의 소자인 저항 R1(22) 간의 연결부인 제3회로(13a)를 포함한다. 표시부(30)는 발광다이오드 LD1(31: 녹색), 발광다이오드 LD2(32: 백색), 발광다이오드 LD3(33: 적색)을 포함한다.
단자부(10), 정류부(20), 표시부(30)의 연결 관계를 설명한다. 상단자(11)는 제1회로(11a) 및 정류다이오드 D1(21)을 거쳐 발광다이오드 LD1(31: 녹색)을 통해 저항 R1(22)을 거쳐서 제3회로(13a)를 통해 접지단자(13)와 폐회로를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폐회로를 정방향부라 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단자(11)는 제1회로(11a) 및 정류다이오드 D1(21)를 거쳐 발광다이오드 LD2(32: 백색)를 통해 저항 R2(23)를 거쳐서 제2회로(12a)를 통해 중성단자(12)와 폐회로를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폐회로를 전원부라 명하기로 한다. 또한, 중성단자(12)는 제2회로(12a) 및 정류다이오드 D2(24)를 거쳐 발광다이오드 LD3(33: 적색)을 통해 저항 R1(22)을 거쳐서 제3회로(13a)를 통해 접지단자(13)와 폐회로를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폐회로를 역방향부라 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첫째, 콘센트에 전원만 들어올 경우(즉, 접지가 되어 있지 않은 무접지 상태), 상단자(11)를 통해 들어온 상전원은 제1회로(11a) 일측의 정류다이오드 D1을 거쳐 정류되어 순방향 연결된 발광다이오드 LD2(백색)를 점등하고 저항 R2(23)를 거쳐 제2회로(12a)의 중성단자(12)로 흘러 폐회로를 구성한다. 접지단자(13)가 접지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발광다이오드 LD1(녹색)은 비록 순방향 연결되어 있더라도 점등되지 않는다.
둘째, 접지가 되어 있고 상단자(11)에 상선이 연결되는 경우(정방향 상태), 상단자(11)를 통해 들어온 상전원은 제1회로(11a) 일측의 정류다이오드 D1을 거쳐 정류되고 순방향 연결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 LD1(녹색)을 점등하고 저항 R1을 거쳐 제3회로(13a)를 통해 접지단자(13)로 흘러 폐회로를 구성함과 동시에, 정류다이오드 D1(21)의 캐소드에 분기 연결된 순방향의 발광다이오드 LD2(백색)를 점등하고 저항 R2를 거쳐 제2회로(12a)를 통해 중성단자(12)로 가는 폐회로를 구성한다.
셋째, 접지가 되어 있고 상단자(11)에 중성선이 연결된 경우(역방향 상태), 중성단자(12)를 통해 들어온 상전원은 제2회로(12a) 일측의 정류다이오드 D2를 거쳐 정류되어 순방향 연결된 발광다이오드 LD3(적색)을 점등하고 저항 R1을 거쳐 제3회로(13a)를 통해 접지단자(13)로 흘러 폐회로를 구성하고, 동시에 중성단자(12)의 제2회로(12a) 일측의 저항 R2를 거친 교류는 발광다이오드 LD2(백색)의 방향에 관계없이 이 발광다이오드 LD2를 점등함과 동시에 이 LD2의 정류 작용에 의해 음전위 정류되어 역방향 연결된 정류다이오드 D1을 거쳐 제1회로(11a)의 상단자(11)로 흐르는 폐회로를 구성한다.
이상의 작용에 따른 발광다이오드 LD1, LD2, LD3의 점등 표시 상태를 정리하면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다. 즉, 첫째, 콘센트에 전원만 들어올 경우(접지가 되어 있지 않는 무접지 상태)에는 발광다이오드 LD2(백색)만 점등되고, 둘째, 접지가 되어있고 상단자(11)에 상선이 연결된 경우(정방향 상태)에는 발광다이오드 LD1(녹색)과 LD2(백색)가 점등되고, 셋째, 접지가 되어있고 상단자(11)에 중성선이 연결된 경우(역방향 상태)에는 LD2(백색)와 LD3(적색)이 점등된다.
이와 같이 플러그 형태의 시험기 본체를 콘센트에 단순히 꽂기만 하면 하우징의 외관에서 간단히 육안으로 점등상태를 확인하여 전원의 상태(통전상태/접지상태/상방향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의 한 가지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본 발명의 사상이 이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하우징 본체 10: 단자부 11: 상단자(H) 11a: 제1회로 12: 중성단자(N) 12a: 제2회로 13: 접지단자(E) 13a: 제3회로 20: 정류부 21, 24: 정류다이오드 22, 23: 저항 30: 표시부 31: 발광다이오드(녹색) 32: 발광다이오드(백색) 33: 발광다이오드(적색) 40: 콘센트 41: 콘센트 접속구 50: 멀티미터 테스터 51: 멀티미터 테스터 프로브

Claims (9)

  1. 콘센트에 공급되고 있는 전원의 상태를 분별하여, 1) 콘센트에서 전원만 공급되되 접지되어 있지 않는 무접지 상태, 2) 접지되어 있고 상단자에 상선이 연결되는 정방향 상태, 3) 상단자에 중성선이 연결되는 역방향 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표시하는 상이한 색상의 제1, 제2, 제3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로서,
    본체 하우징,
    상기 본체 하우징의 일단에 돌출되며, 콘센트의 접속구에 접속되어 콘센트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원의 상선(Hot Line)에 연결되는 상단자와, 중성선(Neutral Line)에 연결되는 중성단자, 그리고 접지선(Earth Line)에 연결되는 접지단자를 포함하는 단자부,
    상기 본체 하우징에 내장되며, 1) 상기 무접지 상태의 경우에, 상단자를 통해 들어온 상전원을 정류하고 이 정류된 전류로 하여금 제2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중성단자로 흘러 폐회로를 구성하는 수단과, 2) 상기 정방향 상태의 경우에, 상단자를 통해 들어온 상전원을 정류하고 이 정류된 전류로 하여금 제1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접지단자로 흘러 폐회로를 구성함과 동시에 제2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중성단자로 흘러 폐회로를 구성하는 수단과, 3) 상기 역방향 상태의 경우에, 중성단자를 통해 들어온 상전원을 정류하고 이 정류된 전류로 하여금 제3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접지단자로 흘러 폐회로를 구성함과 동시에, 제2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상단자로 흐르는 폐회로를 구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정류부를 포함하는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부는 상단자(11)와 그 이후의 소자인 정류다이오드 D1(21) 간의 연결부인 제1회로(11a), 중성단자(12)와 그 이후의 소자인 저항 R2(23)와 정류다이오드 D2(24) 간의 연결부인 제2회로(12a), 접지단자(13)와 그 이후의 소자인 저항 R1(22) 간의 연결부인 제3회로(13a)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의 상단자(11)는 제1회로(11a) 및 정류다이오드 D1(21)을 거쳐 제1 발광다이오드 LD1(31)을 통해 저항 R1(22)을 거쳐서 제3회로(13a)를 통해 접지단자(13)와 폐회로를 구성함과 동시에, 상단자(11)는 제1회로(11a) 및 정류다이오드 D1(21)을 거쳐 제2 발광다이오드 LD2(32)를 통해 저항 R2(23)를 거쳐서 제2회로(12a)를 통해 중성단자(12)와 폐회로를 구성하며,
    상기 단자부의 중성단자(12)는 제2회로(12a) 및 정류다이오드 D2(24)를 거쳐 제3 발광다이오드 LD3(33)을 통해 저항 R1(22)을 거쳐서 제3회로(13a)를 통해 접지단자(13)와 폐회로를 구성하는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
  7. 콘센트에 공급되고 있는 전원의 상태를 시험하기 위하여 콘센트의 접속구에 접속되는 플러그 형태로 제작된 본체 하우징을 마련하고,
    본체 하우징에, 콘센트로부터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원의 상선(Hot Line)에 연결되는 상단자와 중성선(Neutral Line)에 연결되는 중성단자, 그리고 접지선(Earth Line)에 연결되는 접지단자를 마련하고,
    콘센트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상태, 즉, 1) 콘센트에서 전원만 공급되고 접지는 되어 있지 않는 무접지 상태, 2) 접지가 되어 있고 상단자에 상선이 연결되는 정방향 상태, 3) 상단자에 중성선이 연결되는 역방향 상태의 세 가지 상태를 표시하는 상이한 색상의 다수의 발광다이오드를 마련하는 것을 포함하되, 1) 상기 무접지 상태의 경우에는, 상단자를 통해 들어온 상전원을 정류하고 이 정류된 전류로 하여금 제2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중성단자로 흘러 폐회로가 구성되고, 2) 상기 정방향 상태의 경우에는, 상단자를 통해 들어온 상전원을 정류하고 이 정류된 전류로 하여금 제1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접지단자로 흘러 폐회로가 구성됨과 동시에 제2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중성단자로 흘러 폐회로가 구성되고, 3) 상기 역방향 상태의 경우에는, 중성단자를 통해 들어온 상전원을 정류하고 이 정류된 전류로 하여금 제3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접지단자로 흘러 폐회로가 구성됨과 동시에, 제2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하고 상단자로 흐르는 폐회로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


  8. 삭제
  9. 삭제
KR1020150069565A 2015-05-19 2015-05-19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 Active KR101556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565A KR101556533B1 (ko) 2015-05-19 2015-05-19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565A KR101556533B1 (ko) 2015-05-19 2015-05-19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6533B1 true KR101556533B1 (ko) 2015-10-02

Family

ID=54341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565A Active KR101556533B1 (ko) 2015-05-19 2015-05-19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5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638B1 (ko) * 2021-07-27 2022-11-21 김규락 접지 감지 플러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053Y1 (ko) * 2005-06-09 2005-09-16 김영순 휴대용 전기 테스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6053Y1 (ko) * 2005-06-09 2005-09-16 김영순 휴대용 전기 테스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8638B1 (ko) * 2021-07-27 2022-11-21 김규락 접지 감지 플러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317222A1 (en) Electrical power extension cord having continuous electrical current and ground monitor
CN102207528A (zh) 漏电预警装置及插排
CN105807154B (zh) 用于测量需给品表中的接触力的系统
CN102707185A (zh) 2m线缆测试仪
US4827498A (en) Telephone line and instrument tester
CN211293217U (zh) 带有提示功能的插座测试仪
KR101556533B1 (ko) 콘센트 전원상태 시험기
CN205752826U (zh) 一种检测电源插座状态的电源插头
US20060028194A1 (en) Electronic voltage polarity test probe
CN206432517U (zh) 一种测量电源插座相序的插头
CN205643583U (zh) 一种测试线材检测仪器
CN204177856U (zh) 汽车维修检测用试灯
CN205507029U (zh) 一种电路安全检测装置
CN203643586U (zh) 一种服务器电源功能检验装置
CN102435824A (zh) 电容型低压声光测电器
TWI445987B (zh) 漏電預警裝置及插排
CN215493918U (zh) 电缆检测仪
CN210572687U (zh) 一种新型网线测试仪
CN206098996U (zh) 一种检测转接工具
CN204694756U (zh) 具有音响报警的单相插座检测器
CN201749181U (zh) 简易极性测试器
CN212433373U (zh) 一种测电仪
CN211505843U (zh) 一种多功能插座测试仪
CN217639264U (zh) 一种交直流电压多功能测试的测电笔
CN201535790U (zh) 汽车电路检测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509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