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010B1 -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6010B1
KR101556010B1 KR1020120086964A KR20120086964A KR101556010B1 KR 101556010 B1 KR101556010 B1 KR 101556010B1 KR 1020120086964 A KR1020120086964 A KR 1020120086964A KR 20120086964 A KR20120086964 A KR 20120086964A KR 101556010 B1 KR101556010 B1 KR 101556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code
personal information
questionnaire
test
individ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6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162A (ko
Inventor
김택진
Original Assignee
오엠알스캔(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엠알스캔(주) filed Critical 오엠알스캔(주)
Priority to KR1020120086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601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0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6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설문 또는 시험에 응하는 개인별로 해당 개인 정보에 매칭되는 임의의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설문 또는 시험 응답지의 인쇄시에 개인식별란에 개인정보유출 대상이 되는 구체적인 식별항목 표시를 하지 않고 임의로 부여된 식별코드를 기재하기 위하여 식별코드 표기칸만 표시하여 설문 또는 시험 응답지 작성시에 상기 식별코드를 표기하도록 함으로써 판독 기관으로는 식별코드 외에 다른 개인정보가 전달되지 않아 개인정보 유출을 사전에 차단하는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PREVENTING METHOD OF PERSONAL INFORMATIONIN LEAKS IN SURVEY AND TEST}
본 발명은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판독 기관에 의한 설문 또는 시험결과 판독 및 가공시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설문은 조사를 하거나 어떤 통계를 내기 위해서 어떤 주제에 대해서 문제를 내어 묻는 것으로, 최근에는 각종 학교나 공공기관, 업체 등 다수의 집단에서 특정한 사안에 대해 해당 구성원들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한 용도 등 여러 가지 목적을 위해 광범위하게 수행되고 있다.
그 예로써, 마케팅, 사회문제, 정치문제, 광고 효과 측정,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 조사, 신제품 개발 조사, 구성원의 심리상태 파악, 학생의 가정환경 조사, 적성검사 등을 위하여 설문조사가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설문조사는 임의의 집단에 대해서 수행되므로 해당 설문조사에 대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을 판독하고 통계처리하여야 하므로, 최근에는 판독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OMR카드, OCR카드를 포함한 전자 판독 가능한 응답지를 시용하여 설문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상기 전자 판독 가능한 응답지를 전문적으로 처리하는 외부 판독기관에 넘겨서 결과를 전달받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외부 판독 기관의 처리 과정에서 판독기관과 설문 집단의 관리 기관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 혹은 판독기관의 데이터 처리과정에서 해커에 의하여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판독기관 직원에 의하여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일이 발생하게 되어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어서, 이러한 외부 판독기관을 통한 판독시 개인정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근본적인 대응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최근 각종 학교, 공공기관 등의 평가시에 채점 혹은 채점 결과를 이용한 2차 데이터 가공을 외부기관에 의뢰하는 경우가 많이 있으나, 이 경우에도 상기한 설문과 동일하게 개인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개인정보 유출을 근복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대응방법 역시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개인정보 유출 방지에 대한 대책요구에 의하여 발명된 것으로, 설문 또는 시험에 응하는 개인별로 해당 개인 정보에 매칭되는 임의의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설문 또는 시험 응답지의 인쇄시에 개인식별란에 개인정보유출 대상이 되는 구체적인 식별항목 표시를 하지 않고 임의로 부여된 식별코드를 기재하기 위하여 식별코드 표기칸만 표시하여 설문 또는 시험 응답지 작성시에 상기 식별코드를 표기하도록 함으로써 판독 기관으로는 식별코드 외에 다른 개인정보가 전달되지 않아 개인정보 유출을 사전에 차단하는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개인정보가 기재된 응답지를 이용하여 설문 또는 시험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를 설문 또는 시험 집단 관리자가 통계를 내는 등의 2차 가공을 희망하는 경우 상기 결과의 개인정보를 상기 식별코드로 변환하여 자료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으로 전송함으로써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설문 또는 시험 응답지의 인쇄시에 개인식별란에 개인정보유출 대상이 되는 식별항목 색인을 표시하지 않고 임의로 부여된 식별코드 표기칸만 표시되도록 인쇄하는 응답지 인쇄과정, 설문 또는 시험에 응하는 개인 정보와 식별코드를 1:1로 매칭시키는 식별코드 부여과정, 개인식별란에 식별코드가 표시된 설문 또는 시험 응답지를 판독기관에서 판독하여 식별코드와 판독결과를 기록하는 판독과정, 상기 판독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개인정보와 매칭시켜 개인별 판독결과를 확인하는 판독결과 확인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에 있다.
상기에서 상기 식별코드 부여과정의 일 예로, 설문 또는 시험 응답 집단 관리자가 임의로 부여할 수 있으며, 임의 부여 후 설문 또는 시험 집단 관리용 단말기(이하 관리단말기라 함)의 입력수단을 통하여 식별코드와 개인정보를 매칭시켜 입력하여 기록하거나 입력된 식별코드와 개인정보를 관리 단말기에 연결된 인쇄장치를 통해서 인쇄해서 보관할 수 있다. 그리고 식별코드 부여과정의 다른 예로는 상기 관리단말기에서 입력되는 개인정보별로 식별코드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매칭시켜 기록 혹은 인쇄할 수도 있는데, 상기 식별코드 프로그램의 예로는 난수발생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난수발생프로그램을 이용한 난수 발생 과정에서 설문 또는 시험 응답 집단별로 일정 숫자 또는 문자를 넣어서 난수가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설문 또는 시험 응답지는 관리 단말기를 통해서 데이터화되어 판독기관의 판독장치로 온라인 전송되거나, 오프라인을 통해서 해당 판독기관으로 전송되어 판독장치에서 데이터화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 데이터화란 광학마크(문자)판독이나 이미지 스캔 등을 말한다.
또한, 판독결과 데이터 역시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하여 설문 또는 시험 응답 집단 관리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판독결과 확인 과정에서 식별코드와 개인정보 매칭은 상기 관리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식별코드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개인정보를 매칭시킬 수도 있고, 관리자가 수작업으로 매칭시킨 후 이를 관리단말기에 기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개인정보가 기재된 설문 또는 시험의 평가 결과데이터에서 개인정보를 식별코드로 변환하는 과정과, 상기 식별코드가 기재된 설문 또는 시험의 평가 결과 데이터를 외부 기관에서 가공 후 설문 또는 시험 집단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식별코드가 기재된 결과 데이터의 식별코드를 개인정보와 매칭시켜 개인별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집단의 설문 또는 시험 과정에서 개인정보가 설문 또는 시험 응답의 판독을 위한 판독기관으로는 어떠한 방식으로는 전달되지 않으므로, 개인정보 유출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응답지의 개인식별란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 응답지의 개인식별란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 정보 유출 방지용 집단 설문 방법의 일 실시예는 크게, 응답지의 인쇄시에 개인식별란에 개인정보 유출 대상이 되는 식별항목 색인을 표시하지 않고 식별코드 표기칸만 표시되도록 인쇄하는 응답지 인쇄과정, 설문에 응하는 개인 정보와 식별코드를 1:1로 매칭시키는 식별코드 부여과정, 개인식별란에 식별코드가 표시된 설문 응답지를 판독기관에서 판독하여 식별코드와 판독결과를 기록하는 판독과정, 상기 판독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개인정보와 매칭시켜 개인별 판독결과를 확인하는 판독결과 확인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에 있다.
상기에서 응답지는 전자 판독 가능한 것을 사용하고, 그 예로는 OMR, OCR 등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응답지 인쇄과정에서 개인식별란은 통상,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학생의 경우 이름, 학교, 반, 번과 같은 식별항목 색인과 그 아래 혹은 옆에 해당 식별항목을 표기할 수 있는 표기칸이 인쇄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러한 개인정보유출 대상이 되는 식별항목색인을 표기하지 않고 식별코드 표기칸만 표시하여, 개인별로 부여되는 식별코드를 기재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판독 이후 결과 확인을 위한 식별코드 표기칸 상부에 '식별코드'라는 색인을 기재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코드 부여과정은 설문 응답이 누구의 것이었는지 설문 응답 집단 관리자가 정확하게 구분하고 확인하기 위하여 부여하는 것으로, 임의의 숫자조합을 사용하거나, 문자조합을 사용하거나, 숫자나 문자의 조합을 사용하는 등 형식에 제한은 없다.
이러한 식별코드 부여방법의 예로는 설문 응답 집단 관리자가 임의로 부여할 수 있는데, 그 예로 1학년 1반 1번은 '12345', 1학년 1반 2번은 '23567'와 같이 부여할 수도 있고, 다른 난수를 부여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부여된 식별코드는 응답 판독 이후 관리자가 해당 식별코드와 해당 개인을 매칭시킬수만 있으면 되므로, 별도의 용지에 수기로 식별코드와 개인정보를 매칭시켜 기재하거나, 응답 집단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단말기에 식별코드와 개인정보를 매칭시켜 기록해두거나, 매칭시켜 관리 단말기에 입력 후 서면으로 출력하여 보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관리자가 임의로 부여하는 경우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기록하는 등 과정이 번거롭고 작업 중 실수로 오류가 발생될 수도 있으므로, 관리단말기에 임의의 식별코드 발생을 위한 프로그램(예를 들면 난수발생프로그램 등)을 설치하여, 개인정보 입력 후 해당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개인 인적사항과 식별코드가 1:1로 부여되어 화면 또는 종이로 출력되도록 하고, 해당 매칭결과를 프로그램 설정에 따라 관리단말기에 기록하여 보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난수발생프로그램을 이용한 난수 발생 과정에서 설문 응답 집단별로 일정 숫자 또는 문자를 넣어서 난수가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는 난수발생프로그램을 통해서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경우 서로 다른 설문 응답 집단에서 동일한 난수가 발생될 수 있고, 설문 응답 결과가 해당 집단에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고 다른 집단에 잘못 전달될 수도 있으므로, 이러한 오류를 피하기 위하여 사전에 해당 설문 응답 집단 관리자가 해당 집단을 구분할 수 있는 임의의 숫자 또는 문자가 난수에 포함되도록 난수발생 프로그램을 설정해둘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개인별로 부여된 식별코드는 해당 개인에게 통보되어 설문 응답지 작성시에 식별코드란에 개인별로 부여된 식별코드를 표기하여 설문 응답하도록 하는데, 이러한 개인별 식별코드 통보는 인쇄물을 통해서 각 개인에게 통보해줄 수도 있고, 관리단말기에서 개인별 휴대단말기로 문자메세지를 이용하여 통보해줄 수도 있다.
그리고, 설문 응답이 완료되면 해당 응답지를 수거하고, 수거된 응답지는 판독기관으로 전달되어 응답결과를 판독하게 되는데, 이때 판독기관으로 응답지를 전달하는 예를 살펴보면, 설문 응답 집단 관리자가 오프라인을 통하여 판독기관에 송달하거나, 응답지를 스캔한 후 해당 데이터를 온라인을 통해서 판독기관에 송달하는 방법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판독기관으로 전달된 응답지는 판독기관에서 판독되는데, 이때 전자화되지 않고 오프라인으로 전달된 응답지의 경우 해당 판독기관에서 전자화하여 판독하게 되고, 판독결과는 식별코드별로 기록된다.
이와 같이 판독된 결과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하여 설문 응답 집단 관리자에게 전송되고, 전송된 판독 결과의 식별코드별로 역으로 개인정보를 매칭시켜 해당 개인별 판독결과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식별코드와 개인정보 매칭은 상기 관리자 수작업으로 진행할 수도 있고, 관리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식별코드 데이터를 기준으로 자동으로 매칭된 개인정보를 찾을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개인별 판독결과는 인쇄물로 출력되거나 관리단말기에 저장되어 보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개인정보가 기재된 응답지를 이용하여 설문 또는 시험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를 설문 또는 시험 집단 관리자가 통계를 내는 등의 2차 가공을 희망하는 경우를 예로서 살펴본다.
우선, 개인 식별항목 색인이 인쇄된 응답지를 이용하여 시험 또는 설문을 실시하고, 해당 응답지를 수거하여 평가 후 그 결과를 해당 설문 또는 시험집단 관리자에게 전송하는데, 이 과정은 일반적인 과정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후, 상기 개인정보가 기재된 설문 또는 시험의 평가 결과데이터에서 개인정보를 식별코드로 변환하고, 이와 같이 개인정보 대신 식별코드가 기재된 설문 또는 시험의 평가 결과 데이터를 외부 기관으로 온/오프라인을 통해서 전송 후 외부기관에서 요구에 따라 2차 가공 후 설문 또는 시험 집단 관리자에게 식별코드별 가공결과를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전송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식별코드가 기재된 결과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상기 식별코드를 개인정보와 매칭시켜 개인별 결과를 확인하도록 하여 개인정보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하는데, 상기에서 개인정보를 식별코드로 변환하고, 식별코드를 개인정보로 변환하는 구체적인 실시예와, 데이터의 전송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상기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고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개인정보로 변환시키는 과정에서 다수회의 설문 또는 시험이 있을 경우 매 회수별 식별코드는 동일하게 부여할 수도 있고, 다르게 부여할 수도 있으며, 매번 다르게 부여된 식별코드의 경우에도 개인정보는 변화가 없으므로, 평가결과 데이터는 개인정보별로 매회의 식별코드정보와 함께 기록되어 이후 통계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진행하기 위하여 상기 판독기관의 판독장치는, 응답지를 스캔하고 데이터화하기 위한 응답지 입력수단, 응답지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에서 표기마크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수단, 상기 판독수단에 의하여 판독된 데이터를 가공하고 기록하며 전송하는 등 제어를 담당하는 제어수단, 각종 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수단, 각종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 각종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관리단말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응답지 입력수단은 응답지가 온라인으로 데이터화되어 전달되는 경우에는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단말기는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등의 입력수단과, 각종 데이터가 표시되는 표시수단, 데이터 혹은 프로그램(난수발생프로그래 포함)이 기록되는 데이터베이스,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Claims (8)

  1. 설문 또는 시험 응답지의 인쇄시에 개인식별란에 개인정보유출 대상이 되는 식별항목 색인을 표시하지 않고 임의로 부여된 식별코드 표기칸만 표시되도록 인쇄하는 응답지 인쇄과정,
    설문 또는 시험 응답 집단 관리자가 설문 또는 시험에 응하는 개인 정보별로 임의로 식별코드를 부여하거나, 상기 설문 또는 시험 응답 집단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단말기에서 입력되는 개인정보별로 식별코드 발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것 중에서 하나를 택일하여 부여된 식별코드를 개인정보와 1:1로 매칭시키는 식별코드 부여과정,
    개인식별란에 식별코드가 표시된 설문 또는 시험 응답지는 판독기관으로 전달되어 판독기관에서 판독하여 식별코드와 판독결과를 기록하는 판독과정,
    상기 설문 또는 시험 응답 집단 관리자가 판독기관으로부터 전달받은 판독 결과 데이터에 포함된 식별코드를 개인정보와 매칭시켜 개인별 판독결과를 확인하는 판독결과 확인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판독 기관으로는 식별코드 외에 다른 개인정보가 전달되지 않아 개인정보 유출을 사전에 차단하는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
  2. 개인정보가 기재된 설문 또는 시험의 평가 결과데이터에서 개인정보를 식별코드로 변환하여 1:1로 매칭시키되, 상기 식별코드는 설문 또는 시험 응답 집단 관리자가 개인 정보별로 임의로 부여하거나, 상기 설문 또는 시험 응답 집단 관리자가 사용하는 관리단말기에서 입력되는 개인정보별로 식별코드 발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것 중에서 하나를 택일하는 식별코드 부여과정,
    상기 식별코드가 기재된 설문 또는 시험의 평가 결과 데이터는 외부 기관으로 전달되어 외부 기관에서 가공 후 설문 또는 시험 집단 관리자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설문 또는 시험 응답 집단 관리자가 외부기관으로부터 전달받은 식별코드가 기재된 결과 데이터의 식별코드를 개인정보와 매칭시켜 개인별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외부 기관으로는 식별코드 외에 다른 개인정보가 전달되지 않아 개인정보 유출을 사전에 차단하는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코드 발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과정에서 설문 또는 시험 응답 집단별로 일정 숫자 또는 문자를 넣어서 식별코드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판독결과 확인 과정 또는 개인별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식별코드와 개인정보 매칭은 상기 관리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식별코드에 따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색하여 자동으로 개인정보와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식별코드 부여 과정을 수행 후, 각 개인에게 식별코드를 통보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설문 또는 시험 응답이 식별코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식별코드 통보는 인쇄물로 통보되거나, 각 개인 보유의 휴대단말기로 문자메세지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
  8.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식별코드를 부여하고 이를 개인정보로 변환시키는 과정에서 다수회의 설문 또는 시험이 있을 경우,
    매 회수별 식별코드는 동일하게 부여할 수도 있고, 다르게 부여할 수도 있으며,
    평가결과 데이터는 개인정보별로 매회의 식별코드정보와 함께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
KR1020120086964A 2012-08-08 2012-08-08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 KR101556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964A KR101556010B1 (ko) 2012-08-08 2012-08-08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6964A KR101556010B1 (ko) 2012-08-08 2012-08-08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162A KR20140020162A (ko) 2014-02-18
KR101556010B1 true KR101556010B1 (ko) 2015-10-30

Family

ID=50267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6964A KR101556010B1 (ko) 2012-08-08 2012-08-08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60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549B1 (ko) * 2018-08-09 2019-07-30 주식회사 센스톤 가상코드 기반의 금융거래제공시스템, 가상코드생성장치, 가상코드검증장치, 가상코드 기반의 금융거래제공방법 및 가상코드 기반의 금융거래제공프로그램
KR102058960B1 (ko) * 2019-02-01 2019-12-24 주식회사 닥터퀀트 사용자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811Y1 (ko) 2003-04-04 2003-06-25 김세종 알림 메세지 서비스 기능을 갖는 omr 카드
JP2010152480A (ja) * 2008-12-24 2010-07-08 Int:Kk デジタル採点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7811Y1 (ko) 2003-04-04 2003-06-25 김세종 알림 메세지 서비스 기능을 갖는 omr 카드
JP2010152480A (ja) * 2008-12-24 2010-07-08 Int:Kk デジタル採点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162A (ko) 2014-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O’leary et al. The interaction of learning styles and teaching methodologies in accounting ethical instruction
Susono et al. Using mobile phones and QR codes for formative class assessment
Hoyle ISO 9000: 2000: an AZ guide
Ruel 100 questions (and answers) about survey research
Malesky Jr et al. Academic dishonesty: Assessing the threat of cheating companies to online education
Wheeler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lassroom observation protocol for engineering design (COPED)
Schmidt-Crawford et al. Understanding teachers' TPACK through observation
Braz et al. Software security during modern code review: The developer’s perspective
Acemyan et al. Users’ mental models for three end-to-end voting systems: Helios, Prêt à Voter, and Scantegrity II
Dias et al. An approach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and usability of existing web system
Beutelspacher Assessing information literacy: Creating generic indicators and target group-specific questionnaires
List et al. Examining perceptions, selections, and products in undergraduates’ learning from multiple resources
KR101556010B1 (ko) 집단 설문 또는 시험에서 개인정보 유출 방지 방법
Toral et al. An electronic engineering curriculum design based on concept-mapping techniques
Burr et al. Key points to facilitate the adoption of computer-based assessments
Bahja et al. A user-centric design and pedagogical-based approach for mobile learning
Scott et al. The alignment of software testing skills of IS students with industry practices–a South African perspective
Graydon Towards efficacy hypotheses for safety cases
Jacobs et al. Measuring the effectiveness of us government security awareness programs: A mixed-methods study
Tagacay et al. Development of HAAQ: Hands-Free Attendance Archive using QR Code
Wang et al. An extension of QSL for e-testing and its application in an offline e-testing environment
Martin Phishing in dark waters: A quasi-experimental approach with evaluating cyber-security training for end-users
KR20150074608A (ko)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Medeiros The gap between forensic accounting education and required skills for a practitioner
Gregg et al. Certified Information Systems Auditor (CISA) Cert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