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916B1 - Playing ramp - Google Patents

Playing ram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916B1
KR101555916B1 KR1020140135904A KR20140135904A KR101555916B1 KR 101555916 B1 KR101555916 B1 KR 101555916B1 KR 1020140135904 A KR1020140135904 A KR 1020140135904A KR 20140135904 A KR20140135904 A KR 20140135904A KR 101555916 B1 KR101555916 B1 KR 101555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ard
unit
content
rotation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9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구자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제이테크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135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9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9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2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movable lens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ocusing at close di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9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having zoom fun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Abstra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aying lamp comprises: a light source; a power unit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a content card generating an image as light irradiated by the light source is transmitted; a rotation unit where the content card is attached to rotate the content card; a recognition unit discriminating the types of content card;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a rotational speed of the rotation unit, and controlling the content card discriminated in the recognition unit to output a sound matched for each type. The content card has an identification tag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ent card, and provides content card type information to the recognition unit.

Description

놀이램프{PLAYING RAMP}Play lamp {PLAYING RAMP}

본 발명은 놀이램프에 관한 발명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 또는 아동이 취침시에 사용하는 놀이램프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y lamp, and more particularly to a play lamp used by a child or a child at bedtime.

잠을 자거나 어두운 환경에서 유아나 아동의 시각과 청각을 이용한 놀이기구는 다양하게 존재한다. 특히 벽면에 유아나 아동이 관심을 가질만한 콘텐츠를 투영하거나 음악을 틀어서 주의를 집중시키거나 심적 안정을 유도하는 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 There are various kinds of play equipment that use visual and auditory sense of infants and children in sleeping or dark environment. In particular, there are emerging devices that focus attention on the wall by projecting content that might be of interest to children or children, playing music, or inducing mental stability.

안정적인 수면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아이들의 성장과 발육에 유익하다는 연구결과는 익히 알려진 바와 같다. 더불어 학습도구로서 이와 같은 놀이기구를 활용하는 것은 아이들로 하여금 어두운 환경에서 투영되는 영상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어, 아이들의 집중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It is well known that the establishment of a stable sleeping environment is beneficial for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In addition, using such a playground as a learning tool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children to concentrate only on projected images in a dark environment, thereby improving the concentration of children.

공용주택의 보편화와 사회 인프라의 집중에 따른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소음문제와 아이들의 집중력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기에 적합한 놀이기구의 등장은 학습도구, 수면유도도구로써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기에 이른다.The emergence of playground equipment suitable for solving the problem of noise and the concentration problem of children, which is becoming a problem due to the generalization of public housing and social infrastructure, leads to the important function as learning tool and sleep induction tool .

최근 개발되고 있는 유아용 놀이기구는 뽀로로와 같이 유아들이 좋아하는 캐릭터를 광원을 이용하여 벽면에 주사하고, 노래도 함께 들려주면서 아이들의 관심을 유발시키고, 수면을 유도하거나 집중력 향상시킨다. Recently developed infant play equipment, like Pororo, injects the characters that the infant likes to the wall using light source and plays songs together to induce children's attention, induce sleep and improve concentration.

그러나 대부분의 광원을 통해 콘텐츠를 벽면에 투영하고, 음악을 출력하는 유아용 놀이기구는 콘텐츠의 다양성이 결여되어 있어 아이들로 하여금 지속적인 흥미유발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콘텐츠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장치를 구매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콘텐츠가 정해져 있어 활용가능한 연령대가 매우 짧고, 아이들은 쉽게 흥미를 잃게 된다.However, infant play equipment that projects contents on the wall through most light sources and outputs music lacks diversity of contents,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children to induce constant interest and difficulty in purchasing new devices to replace contents . Also, because the content is fixed, the available age range is very short, and children easily lose interest.

결국 아이들을 위한 새로운 콘텐츠 개발과 동시에 새로운 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Ultimately,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that can utilize new contents while developing new contents for children.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나 아동들에게 다양한 콘텐츠 영상을 투영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으며, 콘텐츠 영상과 서로 매칭되는 음악을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음악을 유아나 아동들에게 들려줄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vice for projecting various contents images to infants and children, and to provide a device that allows various music to be played to infants and children by providing music that matches the content imag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램프는 광원 및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놀이램프로서, 광원에 의해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콘텐츠 카드, 콘텐츠 카드가 부착되어 콘텐츠 카드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콘텐츠 카드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인식부 및 회전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인식부로부터 판별된 콘텐츠 카드의 종류별로 매칭된 소리를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콘텐츠 카드는 콘텐츠 카드의 일측에 형성되고, 인식부에 콘텐츠 카드 종류 정보를 제공하는 식별태그를 포함한다.A play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lay lamp including a light source and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The play lamp includes a content card for transmitting light irradiated by the light source to generate an imag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unit and outputting the matched sound for each type of content card discriminated from the recognition unit, And an identification tag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ent card and providing content card type information to the recognition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램프는 콘텐츠 카드를 투과한 빛을 통과시키는 렌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lay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ens unit for passing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content card.

여기서, 렌즈부는 콘텐츠 카드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크기조절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ens unit may include a size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image generated by the content card.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놀이램프는 콘텐츠 카드의 종류별로 매칭된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재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lay l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ound reproducing unit for outputting a matched sound for each type of content card.

여기서, 제어부는 회전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회전제어모듈 및 콘텐츠 카드의 종류별로 매칭된 소리를 추출하는 소리매칭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rotation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unit, and a sound matching module for extracting a matched sound for each kind of the content card.

또한 제어부는 콘텐츠 카드별 회전속도정보와 매칭된 소리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memory for storing the rotation speed information and the sound information matched by the content car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램프는 다양한 콘텐츠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콘텐츠의 교체가 용이하여 사용하는 연령대의 범위가 넓어지고, 새로운 콘텐츠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 별도의 장치를 필요치 않게 되어 소비자의 경제적 부담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콘텐츠 영상과 매칭되는 음악을 들려줌으로써 유아나 아동의 집중력이나 콘텐츠 영상에 대한 몰입도가 향상될 수 있다. The play l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variety of content images, the content can be easily replaced, the age range to be used is widened, a separate device is not required to implement a new content image, The economic burden is reduced. Also, by listening to the music that matches the content image, the concentration of the infant or the child or the immersion of the content image can be improved.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램프의 블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램프의 입출력정보흐름을 표현한 블록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램프의 예시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play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 output information flow of a play lam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view of a play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pecific structural or functional description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herei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ve concept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can take various forms, so that the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erein.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는 제1 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may be nam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elem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right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The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between" or "neighboring to" and "directly adjacent to" should be interpreted as well.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ar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herei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of the context in the relevant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herein, are to be interpreted as ideal or overly formal Do not.

이하,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tached hereto.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램프의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play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램프는 광원(10) 및 광원(1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하는 놀이램프로서, 광원(10)에 의해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콘텐츠 카드(100), 콘텐츠 카드(100)가 부착되어 콘텐츠 카드(1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200), 콘텐츠 카드(100)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인식부(300) 및 회전부(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인식부(300)로부터 판별된 콘텐츠 카드(100)의 종류별로 매칭된 소리를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며, 콘텐츠 카드(100)는 콘텐츠 카드(100)의 일측에 형성되고, 인식부에 콘텐츠 카드 종류 정보를 제공하는 식별태그(1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a play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source 10 and a power source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10, A rotation unit 200 to which the content card 100 is attached and rotates the content card 100, a recogni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content card 100 And a control unit 400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unit 200 and the control unit 400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unit 200 and outputting a matched sound for each type of the content card 100 determined by the recognition unit 300, 1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ent card 100 and includes an identification tag 120 for providing content card type information to the recognition section.

콘텐츠 카드(100)는 광원(10)을 통해서 나오는 빛을 통과시키거나 차단시킬 수 있도록 콘텐츠 모양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홈에는 콘텐츠의 고유색을 표현할 수 있도록 빛이 투과가능한 플라스틱 쉬트(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만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과 초승달 형상의 콘텐츠 영상을 벽에 투영시키기 위해서 광원(10)이 비추는 쪽에 별과 초승달 형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는 콘텐츠 카드(100)를 설치하고 광원(10)을 콘텐츠 카드(100) 방향으로 집광시켜 벽에 투영시킨다. 콘텐츠 카드(10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램프에 탈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콘텐츠 카드(100)에는 식별태그(120)가 부착된다. 식별태그(120)는 바코드, QR코드와 같은 광판독 식별태그 일 수 있으며, IC칩 또는 전자태그(RFID)일 수 있다.The content card 100 may be formed with a groove having a content shape so as to pass or block light emitted through the light source 10. A light-permeable plastic sheet (not shown) may be attached to the groove so as to express the unique color of the contents. 1, in order to project star and crescent-shaped content images onto a wall, a content card 100 in which stars and crescent-shaped grooves are formed on the side illuminated by the light source 10 is install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tent card 100 and projects it onto the wall. The content card 10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a play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an identification tag 120 is attached to the content card 100. [ The identification tag 120 may be an optical read identification tag such as a barcode or a QR code, and may be an IC chip or an electronic tag (RFID).

콘텐츠 카드(100)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태그(120)는 콘텐츠 카드(100)의 종류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콘텐츠 카드(100)를 놀이램프에 장착함과 동시에 콘텐츠의 종류를 놀이램프에 포함되어 있는 인식부(300)에서 인식하도록 한다.The identification tag 120 attached to the content card 100 enables the type of the content card 100 to be recognized. More specifically, the content card 100 is loaded on the play lamp and the type of the content is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300 included in the play lamp.

콘텐츠 카드(100)는 다각형이거나 원형일 수 있으며 콘텐츠 카드(100)의 형상에는 제한은 없으나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tent card 100 may be polygonal or circular, and the shape of the content card 100 is not limited, but is preferably circular.

본 발명이 실시예에 따른 놀이램프는 콘텐츠 카드(100)가 장착되어 회전시키는 회전부(200)를 포함한다.A play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otation unit 200 to which a content card 100 is mounted and rotated.

회전부(200)는 외부전원에 의해서 회전하는 모터를 포함하고, 콘텐츠 카드(100)의 중심이 체결되어 콘텐츠 카드(100)를 회전시킨다. The rotation unit 200 includes a motor that is rotated by an external power source, and the center of the content card 100 is engaged to rotate the content card 100. [

인식부(300)는 콘텐츠 카드(100)의 종류를 판별한다. 앞서 설명한 콘텐츠 카드(100)에 부착되는 식별태그(120)를 인식하여 콘텐츠 카드(100)의 종류를 판별한다. 인식부(300)는 식별태그(1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콘텐츠 카드(100)의 종류와 관련된 정보를 아래 설명할 제어부(400)로 전송한다. The recognition unit 300 determines the type of the content card 100. [ The type of the content card 100 is identified b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tag 120 attached to the content card 100 described above. The recognition unit 300 receives the signal input from the identification tag 120 and transmits information related to the type of the content card 100 to the controller 400 to be described below.

제어부(400)는 회전부(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인식부(300)로부터 판별된 콘텐츠 카드(100)의 종류와 매칭된 소리를 출력시킨다. The control unit 400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unit 200 and outputs a sound matched with the type of the content card 100 determined by the recognition unit 300.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블록도이다.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회전부(2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회전제어모듈(410), 콘텐츠 카드(100)의 종류별로 매칭된 소리를 추출하는 소리매칭모듈(430), 콘텐츠 카드(100)별 회전속도정보와 매칭된 소리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450)를 포함한다.2, the control unit 400 includes a rotation control module 410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unit 200, a sound matching module 430 for extracting matched sounds for each type of the content card 100, And a memory 450 for storing the rotation speed information and the sound information matched by the content card 100. [

인식부(300)에서 인식된 콘텐츠 카드(100)의 종류에 따라서 콘텐츠 카드(10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회전제어모듈(410)은 회전부(200)와 연결되어 회전부(200)의 모터속도를 가속시키거나 감속시킨다. 각 콘텐츠 카드(100)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태그(120)를 통해 입력되는 콘텐츠 종류정보를 수신한 인식부(300)는 제어부(400)로 콘텐츠 종류 정보를 전달하고 제어부(400)의 회전제어모듈(410)은 회전부(200)의 회전속도를 기 저장된 정보에 의해 제어한다.The rotation control module 410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content card 10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tent card 100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unit 200 to control the motor speed of the rotation unit 200 Accelerate or decelerate. The recognition unit 300 receives the content type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identification tag 120 attached to each content card 100 and transmits the content typ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400, The control unit 410 controls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unit 200 based on the stored information.

소리매칭모듈(430)은 콘텐츠 카드(100)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태그(120)를 통해 입력되는 콘텐츠 종류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 인식부(300)는 앞서와 같이 제어부(400)로 콘텐츠 종류 정보를 전달하고 기 저장된 소리정보를 출력시킨다. 소리매칭모듈(430)은 소리재생부(500)와 연결되어 있다. The sound matching module 430 receives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content type input through the identification tag 120 attached to the content card 100. The recognition module 300 receives the content type information And outputs the stored sound information. The sound matching module 430 is connected to the sound reproducing unit 500.

메모리(450)는 회전제어모듈(410)과 소리매칭모듈(430)과 연결되어 있으며, 콘텐츠 종류 정보에 따라서 회전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속도정보와 소리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명한 캐릭터인 뽀로로와 관련된 콘텐츠 카드(100)가 부착된 경우 콘텐츠 카드(100)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태그(120)는 뽀로로와 관련된 콘텐츠 임을 인식부(300)로 전달하고 인식부(300)는 위 콘텐츠 정보를 제어부(400)로 전달하여 회전제어모듈(410)을 동작시키고 회전제어모듈(410)은 메모리(450)에서 콘텐츠 정보와 매칭되는 회전속도정보를 회전제어모듈(410)로 송신하고, 회전제어모듈(410)은 수신된 회전속도정보를 통해 회전부(200)를 제어한다.The memory 450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control module 410 and the sound matching module 430 and stores rotation speed information and sound information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unit 200 according to the content type information.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card 100 related to the famous character Pororo is attached, the identification tag 120 attached to the content card 100 transmits the content related to Pororo to the recognition unit 300, Transmits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400 to operate the rotation control module 410 and the rotation control module 410 transmits the rotation speed information matching the content information to the rotation control module 410 And the rotation control module 410 controls the rotation unit 200 through the received rotation speed information.

마찬가지로 소리매칭모듈(430)은 메모리(450)에서 송신되는 소리정보를 입력받아 소리재생부(500)를 통해 소리를 출력시킨다. 앞선 예와 같이 뽀로로 콘텐츠 카드인 경우에 뽀로로와 관련된 경쾌한 음악이 재생될 수 있다. Similarly, the sound matching module 430 receives the sound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memory 450 and outputs sound through the sound reproducing unit 500. In the case of the Pororo content card as in the previous example, the light music associated with Pororo can be reproduced.

이에 반해 수면을 유도하기 위한 달과 별 콘텐츠 카드가 부착될 경우에는 회전속도는 뽀로로 콘텐츠 카드 보다는 더 느려지게 될 것이고, 잔잔하게 수면을 유도할 수 있는 음악이 재생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f a moon and a star content card are attached to induce sleep, the rotation speed will be slower than the Pororo content card, and music capable of inducing the sleeping can be reproduced smoothly.

소리재생부(500)는 소리매칭모듈(430)로부터 소리를 출력시킨다. 소리재생부(500)는 스피커 일 수 있으며, 내장형 스피커이거나 연결단자를 통해서 출력되는 신호를 재생하는 외장형 스피커 일 수도 있다.The sound reproducing unit 500 outputs sound from the sound matching module 430. The sound reproducing unit 500 may be a speaker, an internal speaker, or an external speaker that reproduces a signal output through a 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램프는 콘텐츠 카드(100)를 투과한 빛을 통과시키는 렌즈부(600)를 더 포함한다. 렌즈부(600)는 콘텐츠 카드(100)를 통과하여 재생되는 콘텐츠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초점을 맞추는 기능을 한다. 렌즈부(600)는 소정의 초점거리를 갖는 오목렌즈와 볼록렌즈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콘텐츠 카드(100)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는 크기조절유닛(620)을 포함한다. The play lamp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lens unit 600 for passing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content card 100. The lens unit 600 functions to enlarge or focus the size of content that is reproduced through the content card 100. The lens unit 600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a concave lens and a convex lens having a predetermined focal length, and includes a size adjusting unit 620 that adjusts the size of an image generated by the content card 100.

크기조절유닛(620)은 렌즈부(600)에 연결되어 렌즈간의 이격거리를 조절하는 조절레버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adjustment unit 620 may be an adjustment lever connected to the lens unit 600 to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lens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3은 본 발명이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램프의 입출력정보흐름을 표현한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input / output information flow of a play lamp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램프의 예시도면이다.4 is an exemplary view of a play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10)에서 나온 빛은 반사판 등을 통해 콘텐츠 카드(100) 방향으로 집광되고 집광된 빛은 콘텐츠 카드(100)에 콘텐츠의 형상을 갖는 홈을 통과한다. 콘텐츠 형상을 통과한 빛은 렌즈부(600)에 투과되면서 콘텐츠의 이미지를 벽에 출력한다. 이 과정에서 콘텐츠 카드(100)에 부착되어 있는 식별태그(120)를 인식부(300)에서 식별하여 부착된 콘텐츠 카드(100)의 종류를 식별하고, 식별된 콘텐츠 카드 정보를 제어부(400)로 전달한다. 제어부(400)의 회전제어모듈(410)은 메모리(450)에서 회전속도정보를 입력받아 회전부(200)를 제어하고, 소리매칭모듈(430)은 메모리(450)에서 소리정보를 입력받아 소리재생부(500)에 매칭된 소리정보를 출력한다. 3 and 4, the light from the light source 10 is condensed in the direction of the content card 100 through a reflection plate or the like, and the condensed light passes through the groove having the shape of the content in the content card 100 . Light passing through the content shape is transmitted through the lens unit 600 and outputs an image of the content to the wall. The recognition unit 300 identifies the identification tag 120 attached to the content card 100 and identifies the type of the attached content card 100 and transmits the identified content card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400 . The rotation control module 410 of the control unit 400 receives the rotation speed information from the memory 450 and controls the rotation unit 200. The sound matching module 430 receives sound information from the memory 450, And outputs the sound information matched to the unit 500.

더불어 렌즈부(600)는 자동으로 또는 수동으로 초점을 조절할 수 있으며, 크기조절유닛(620)을 이용하여 콘텐츠 크기를 조절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lens unit 600 can adjust the focus automatically or manually, and the size of the content can be adjusted using the size adjustment unit 620. [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놀이램프는 콘텐츠 카드를 탈부착시킬 수 있으며, 콘텐츠 카드의 종류별로 회전속도를 자동으로 제어하고, 출력되는 소리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콘텐츠와 매칭되는 회전속도와 소리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lay lam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ach and attach the content car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for each type of content card,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sound to be output, And a sound output device.

10 광원 100 콘텐츠 카드
120 식별태그 200 회전부
300 인식부 400 제어부
410 회전제어모듈 430 소리매칭모듈
450 메모리 500 소리재생부
600 렌즈부 620 크기조절유닛
10 light source 100 content card
120 identification tag 200 rotation part
300 recognition unit 400 control unit
410 rotation control module 430 sound matching module
450 memory 500 sound reproduction unit
600 lens unit 620 size adjustment unit

Claims (6)

광원 및 상기 광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놀이램프로서,
상기 광원에 의해 조사되는 빛이 투과되어 이미지를 생성하는 콘텐츠 카드;
상기 콘텐츠 카드가 부착되어 상기 콘텐츠 카드를 회전시키는 회전부;
상기 콘텐츠 카드의 종류를 판별하기 위한 인식부; 및
상기 회전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고, 상기 인식부로부터 판별된 상기 콘텐츠 카드의 종류별로 매칭된 소리를 출력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콘텐츠 카드는 상기 콘텐츠 카드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식부에 콘텐츠 카드 종류 정보를 제공하는 식별태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회전제어모듈; 및
상기 콘텐츠 카드의 종류별로 매칭된 소리를 추출하는 소리매칭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인식부에서 인식된 콘텐츠 카드의 종류에 따라서 콘텐츠 카드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상기 회전제어모듈은 상기 회전부와 연결되어 회전부의 모터속도를 가속시키거나 감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램프.
A play lamp comprising a light source and a power source for supplying power to the light source,
A content card for transmitting light irradiated by the light source to generate an image;
A rotation unit to which the content card is attached to rotate the content card;
A recognition unit for determining the type of the content card;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ry unit and outputting a matched sound for each type of the content card discriminated from the recognition unit,
Wherein the content card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ntent card and includes an identification tag for providing the content card type information to the recognition unit,
The control unit may include a rotation control module for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rotation unit; And
And a sound matching module for extracting a sound matched to each type of the content card,
Wherein the rotation control module controlling the rotation speed of the content card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tent card recognized by the recogni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unit to accelerate or decelerate the motor speed of the rotation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카드를 투과한 빛을 통과시키는 렌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lens unit for passing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content car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콘텐츠 카드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크기조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램프.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lens unit comprises a size adjustment unit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image generated by the content car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카드의 종류별로 매칭된 소리를 출력하는 소리재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ound reproducing unit for outputting a matched sound for each type of the content car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카드별 회전속도정보와 매칭된 소리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놀이램프.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memory for storing sound information matched with the rotation speed information for each content card.
KR1020140135904A 2014-10-08 2014-10-08 Playing ramp KR1015559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904A KR101555916B1 (en) 2014-10-08 2014-10-08 Playing ram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904A KR101555916B1 (en) 2014-10-08 2014-10-08 Playing ram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916B1 true KR101555916B1 (en) 2015-09-25

Family

ID=54249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904A KR101555916B1 (en) 2014-10-08 2014-10-08 Playing ram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916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812B2 (en) * 1992-10-12 2001-03-07 賢藏 益子 Latent fingerprint detection method
KR200344430Y1 (en) * 2003-12-24 2004-03-10 서민정 Image card playing apparatus using of shadow for a little child
JP2006106430A (en) * 2004-10-06 2006-04-20 Bandai Co Ltd Rotating display tool and rotating display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812B2 (en) * 1992-10-12 2001-03-07 賢藏 益子 Latent fingerprint detection method
KR200344430Y1 (en) * 2003-12-24 2004-03-10 서민정 Image card playing apparatus using of shadow for a little child
JP2006106430A (en) * 2004-10-06 2006-04-20 Bandai Co Ltd Rotating display tool and rotating display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315756A9 (en) Reading device
EP25914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book reading enhancement
US201303236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human learning through multi-sensory stimulus
US2019010877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lingual interactive self-learning
ES2244315B1 (en) INTERPRETATION APPARATUS FOR AUDIO BOOK AND VOICE CARD, AND CONTROL METHOD OF THE SAME.
US6413137B1 (en) Entertaining attachment for an infant's nursing bottle
KR101555916B1 (en) Playing ramp
CN107610683A (en) A kind of programmable music playing system based on Raspberry Pi
Massaro Acquiring literacy naturally
US7975928B2 (en) Systems and apparatus for expressing multimedia presentations corresponding to print media
US20150070264A1 (en) Animated document using an integrated projector
KR20160004364U (en) Children's birthday for book Sound, including a wind sensor recognition
KR20180130422A (en) Entertaining device for Reading and the driving method thereof
US20070272757A1 (en) Multimedia book
ES2796050T3 (en) Network communication architecture and method for playing multimedia content elements
AU2018100784A4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nteractive entertainment media device
WO2012056459A1 (en) An apparatus for education and entertainment
KR20180062622A (en) Sound output device linked color and method thereof
KR101743530B1 (en) Shadow picture maker linked with smart phone and system of narration of the fairy tale using the same
ES2355246B1 (en) VOICE DEVICE FOR AN AUTOMATIC SALES MACHINE.
US20240119961A1 (en) Wearable for suppressing sound other than a wearer's voice
CN2935268Y (en) Multipurpose sounding device
KR20180058566A (en) DIY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capable Desk with furniture and IT
CN205247663U (en) Astronavigation person's teaching aid of teaching usefulness
Harvey Developments in electronic low vision aids: Assistive technology 4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