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8566A - DIY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capable Desk with furniture and IT - Google Patents

DIY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capable Desk with furniture and 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8566A
KR20180058566A KR1020160157705A KR20160157705A KR20180058566A KR 20180058566 A KR20180058566 A KR 20180058566A KR 1020160157705 A KR1020160157705 A KR 1020160157705A KR 20160157705 A KR20160157705 A KR 20160157705A KR 20180058566 A KR20180058566 A KR 201800585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ion terminal
image
desk
content
f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7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성민
조한상
Original Assignee
(주)크래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래들코리아 filed Critical (주)크래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157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8566A/en
Publication of KR20180058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856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3/00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 A47B23/04Bed-tables; Trays; Reading-racks; Book-rests, i.e. items used in combination with something else supported from table, floor or wall
    • A47B23/042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 A47B23/043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 A47B23/044Book-rests or note-book holders resting on tables adjustable, foldable only fold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combined with furniture and IT capable of producing DIY-type educational con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providing entertaining content that children can voluntarily seek, create, and play to be educated, children or users are led to voluntarily self-produce the content, such that children are induced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education. In addition, users or other people store a variety of information including educational information with audio for an image (photo) photographed by the users, and can reproduce information stored in the photo through a smartphone or a reproducing terminal so as to receive a variety of information such as educational information, information that the user remembers, information that other people desire to leave behind, and the like. In addition, a device for recollection can be self-manufactured on a desk of a user so as to educate children and cultivate creativity of the children about IT.

Description

DIY형 교육 컨텐츠 제작이 가능한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DIY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capable Desk with furniture and IT}DIY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capable Desk with furniture and IT Combining furniture and IT capable of producing educational contents

본 발명은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본인이 촬영한 이미지에 대하여 본인이나 타인이 교육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오디오를 포함하여 저장하고, 스마트폰이나 재생 단말기를 통해 해당 사진에 저장된 정보를 재생시키기 용이하도록 한 DIY형 교육 컨텐츠 제작이 가능한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which stores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education information of an image taken by a user himself or herself, including audi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sk that combines furniture and IT capable of producing DIY-type educational contents that facilitates reproduction of information stored in a corresponding photograph.

핵가족화와 저출산으로 인하여 각 가정당 1~2명의 자녀만 양육함에 따라 자녀에 대한 보호와 교육의 관심이 점차로 높아지고 있다.Due to the nuclear family and low fertility, only one or two children per family are cared for, and the protection of children and the interest of education are gradually increasing.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어린이, 특히 언어를 배우기 시작하는 유아기의 어린들이 주로 사용하는 완구에는 단순한 유희적인 목적의 완구에서부터, 각종 사물에 대한 인지능력이나 언어를 교육시키기 위한 교육용 완구에 이르기까지 그 종류와 목적이 다양한 완구들이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다. In general, toys used mainly by children at home, especially children in infancy who begin to learn the language, range from simple amusing toys to cognitive abilities for various objects and educational toys for teaching language Various toys have been developed and released.

유아기의 어린이들이 언어 습득 능력을 비롯한 학습 능력이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으며, 이로 인하여 가정에서 유아기의 어린이들에게도 사물 인식에 대한 일반적인 언어 교육뿐만 아니라, 특히 조기 교육의 일환으로 외국어까지 포함하는 언어 학습 교육이 유행하고 있다.It is known that children in early childhood have excellent learning abilities including language acquisition ability. Therefore, not only the general language education about child perception at home, but also the language learning education including foreign language as part of early education It is in fashion.

종래의 교육용 완구로는 사람이나 동물, 사물 등의 특징이 묘사되어 있는 그림이나 글자 카드가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교육용 완구를 이용하여 교육시키는 경우, 통상적으로 부모나 선생님이 직접 어린이를 앉혀 두고, 그림 카드를 들어 어린이에게 보여준 다음, 카드에 묘사된 그림에 대한 명칭을 말하고 그 기능이나 의미 등을 설명한다.[0004] Conventional educational toys include pictures and character cards depicting characteristics of people, animals, objects, etc. When teaching using educational toys, parents or teachers usually sit the children directly, Listen to a picture card and show it to the child, then name the picture on the card and explain its function and meaning.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교육용 완구를 이용하여 어린이를 교육 시키는 경우, 부모는 어린이와 함께 교육을 할 수 있는 분위기를 별도로 조성하여야 하며, 어린이는 부모가 선택한 그림 카드에 나타난 그림에 대해서만 수동적으로 학습하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educating a child using a conventional educational toy such as the one described above, the parent should separately create an atmosphere in which the child can be educated together with the child, and the child must passively learn .

어린이에 대한 학습교육은 사물에 대한 호기심이 많은 유아기 어린이의 특성상 자발적으로 이루어져야 학습의 효율이 높아진다. 하지만, 전술한 교육용 완구를 이용한 수동적인 교육 방식에 있어서는 부모가 어린이에 대하여 교육을 강요하게 되어, 이러한 수동적인 교육 방식에 의해 어린이는 쉽게 싫증을 내게 되어 학습에 대한 의욕을 상실하게 되고, 교육의 효과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Learning education for children is more voluntary in the nature of children who are curious about things, so learning efficiency increases. However, in the passive education method using the above-mentioned educational toys, the parents are forced to educate the children, and by this passive education method, children are easily bored and lose their desire for learnin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ffect is deteriorated.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교육용 완구를 통해 학습의욕을 고취시키고자 완구에서 가정내의 일반적인 사물인 냉장고나 텔레비젼 등의 대상체에 대한 명칭이나 의미 등의 정보를 음성으로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유아기의 어린이에 대하여 거부감 없이 효율적으로 사물을 인식하고 언어를 학습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information such as the names and meanings of objects such as the refrigerator or the television, which are common objects in the home, in the toy in order to stimulate learning motivation through the educational toys, Techniques are being developed to efficiently recognize objects and learn languages without any sense of resistance.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 역시 한 번 완구를 구입하면 해당 완구 내에 구성된 기능 이외에는 특별한 기능없이 미리 설정된 기능만 수행한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uch a method also has a problem in that, once a toy is purchased, only a preset function is performed without special functions other than the functions configured in the toy.

또한 어린이는 물론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지 않아 창작능력을 키우는데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there is a limit to the ability of children to create, because the environment that can be produced by the child as well as the user is not provided.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66487호(2007년01월11일 공고) - RFID 태그 인식 기능을 이용한 교육용 완구Korean Patent No. 10-0666487 (published on Jan. 11, 2007) - Educational toy using RFID tag recognition func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 본인이 촬영한 이미지에 대하여 본인이나 타인이 교육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오디오를 포함하여 저장하고, 스마트폰이나 재생 단말기를 통해 해당 사진에 저장된 정보를 재생시키기 용이하도록 한 DIY형 교육 컨텐츠 제작이 가능한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education inform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providing a desk that combines furniture and IT capable of producing DIY-type educational contents that facilitates reproducing information stored in a corresponding photograph through the Interne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은 이미지를 촬영한 후 위치와 시간 및 제품 일련번호에 기반한 고유의 RFID코드를 발생하고, 촬영한 이미지파일과 함께 음성파일과 텍스트파일을 생성한 후 통합 압축파일 형태로 저장 컨텐츠를 제작하는 컨텐츠 제작 단말기 ; 상기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출력물이 근접하면 출력물에 부착된 RFID태그를 읽어 해당 통합 파일을 검색한 후 파일을 분해하여 음성을 재생하고 이미지와 문자를 표시하는 컨텐츠 재생 단말기;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이미지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통합 파일의 검색을 요청하고, 요청된 검색결과에 따른 파일을 분해하여 음성을 재생하고 이미지와 문자를 표시하는 스마트 단말기; 상기 이미지가 출력된 출력물로써 이미지에 대한 교육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및 문자 데이터가 부착된 RFID태그를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물; 상기 촬영된 이미지파일과 함께 음성파일과 텍스트파일을 생성한 후 통합 압축파일 형태로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하며, 상기 이미지에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람의 추가 데이터 생성 요청 시 상기 추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에 대한 위치와 시간 및 제품 일련번호에 기반한 고유의 RFID코드 발생 요청 시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모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로 요청하는 교육 컨텐츠 제작 서버; 및 이미지를 촬영한 후 위치와 시간 및 제품 일련번호에 기반한 고유의 RFID코드를 발생하고, 촬영한 이미지파일과 함께 음성파일과 텍스트파일을 생성한 후 통합 압축파일 형태로 저장 컨텐츠를 제작하는 컨텐츠 제작 단말기를 포함하는 컨텐츠제작 단말기 장착형 책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desk combining IT furniture and furni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unique RFID code based on the location, time, and product serial number after taking an image, and records a voice file and a text file A contents producing terminal for creating stored contents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ompressed file after creation; A content playback terminal for reading an RFID tag attached to an output and searching for a corresponding integrated file, decomposing the file to reproduce a voice, and displaying an image and a character, when the output of the data for the image is close; A smart module that drives a pre-installed application, recognizes the image, requests a search of an integrated file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image data, disassembles the file according to the requested search result, terminal; An image output unit including an RFID tag to which voice and character data are attached, the image output including the education information on the image as the output of the image output; Storing the image data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ompressed file, and storing and managing the additional data when requesting generation of additional data by a person other than the user set in advance in the image, And requesting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to provide all the data included in the image when requesting generation of a unique RFID code based on the image and the location and time of the image and the product serial number; And generates an original RFID code based on the position, time and serial number after shooting the image, generates a voice file and a text file together with the captured image file, and then creates a content to be stored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ompressed file And a content creation terminal-mounted desk including a terminal.

여기서, 상기 책상은 상기 책상의 상판의 일측면에서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아랫면에는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를 수납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홈과,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를 90°각도로 세운 후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책상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밀어서 책상의 후면을 뒤집으면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가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desk is formed with a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on one side of the top plate of the desk, and a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groove for receiving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and a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guide rail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ver And the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is exposed when the rear surface of the desk is turned up by pushing the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 to the rear side of the desk along the cover guide rails of the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after the cover of the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is set at an angle of 90 ° .

그리고 책상은 상기 책상의 상판의 일측면에서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를 윗면으로 90°각도로 후면으로 세우면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가 노출되되, 상기 책상의 후면에는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삽입 홀이 형성되어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를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삽입 홀 아래도 밀어 넣어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plate of the desk, and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is exposed when the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 is placed at the rear side at an angle of 90 degrees to the top side. A cover insertion hole is formed and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is pushed under the cover insertion hole of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또한, 책상은 상기 책상 상판의 일측면에서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가 형성되되 윗면과 아랫면의 제1, 제2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로 구성되고, 아랫면의 상기 제2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를 일측으로 수평이동시키는 것에 따라 상기 제2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가 노출되고, 노출된 상기 제2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의 상측에 구성된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를 통해 컨텐츠가 제작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desk is composed of a first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on the upper surface and a second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on a side of the desk top plate, and the second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on the lower surface is horizontally moved to one side The second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is exposed and the content is manufactured through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formed on the exposed second cover of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한편, 책상은 상기 책상의 상측면에서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가 제1, 제2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제2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를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양측으로 열면 그 하부에 컨텐츠 제작 단말기를 수납할 수 있는 컨텐츠 제작 단말기 수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desk comprises the first and second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s on the upper side of the desk, and the first and second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s are opened to both sides along the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 guide rails And a content producing terminal receiving groove capable of receiving the content producing terminal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아이들이 스스로 찾고, 만들고 놀면서 교육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성격의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아이들이나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그리고 자체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이들이 자발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도록 할 수 있는 가구와 IT를 포함한 책상을 제공할 수 있다.First, it is possible to induce children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education by allowing children or users to produce them voluntarily and in-house, in providing entertainment-like content that children can find, make, play, and educate themselves And a desk that includes IT.

둘째, 사용자 본인이 촬영한 이미지(사진)에 대하여 본인이나 타인이 교육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정보를 오디오를 포함하여 저장하고, 스마트폰이나 재생 단말기를 통해 해당 사진에 저장된 정보를 재생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은 물론 본인이 추억하는 정보, 주변인들이 남기고자 하는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추억할 수 있는 장치를 자신의 책상에서 직접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육은 물론 IT에 대하여 아이들의 창작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Second, by storing the various information including the educational information of the user (himself or herself) including the audio (image) captured by the user himself or herself and reproducing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corresponding photograph through the smart phone or the reproducing terminal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he information that the person remembers and the information to be left by the surrounding people, and it is possible to directly produce the memorable device from the own desk, thereby cultivating the children's creative ability about IT can do.

도 1은 자기주도형 학습 습관의 장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스마트 큐레이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전자태그 기반 사용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DIY형 교육 컨텐츠 제작이 가능한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을 이용한 DIY형 교육 컨텐츠 제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나타낸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나타낸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나타낸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을 이용한 DIY형 교육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컨텐츠 제작 단말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4에 나타낸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을 이용한 DIY형 교육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컨텐츠 재생 단말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dvantages of a self-directed learning habit.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mart curation concept.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tag-based usage environment.
FIG. 4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DIY-type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system using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capable of producing DIY-type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shown in FIG.
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shown in FIG.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shown in FIG.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shown in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content production terminal of a DIY type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system using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shown in FIG.
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content reproduction terminal of a DIY type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system using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shown in FIG.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In addition, although the ter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selected as a general term that is widely used at present, there are some terms selected arbitrarily by the applicant in a specific case. In this case, since the meaning is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releva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as a meaning of a term that is not a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which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and which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for the sake of clar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omitting the unnecessary explanation.

도 1은 자기주도형 학습 습관의 장점을 나타낸 도면이다.Figure 1 shows the advantages of self-directed learning habits.

도 1에서는 자기주도형 학습 습관의 장점을 나타내고 있는데, 방학중 스스로 공부하는 시간을 비교해 보았을 때 자기주도학습 습관이 상위 0.1% 학생들의 가장 중요한 경쟁력인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다시 말하면 어릴적 습관형성이 중요하고, 유아교육의 투자 가치의 중요성을 나타내고 있다.Figure 1 shows the advantages of self-directed learning habits. Self-directed learning habits are the most important competitiveness of the top 0.1% students when comparing self-study time during vacation. In other words, childhood habits are important, indicating the importance of investment valu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참고로 현재 유아교육 시장의 중요한 트렌드는 놀이를 통한 자연스러운 교육인데, 이러한 놀이를 통해서 자발적 교육, 즉 자기주도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고, 놀이교육은 창의력 개발과 자기주도학습을 위한 가장 효율적 교육 방안으로 알려져 있다.For the reference, the important trend of the current education market is natural education through play. Voluntary education, self-directed learning can be achieved through such play, and play education is known as the most efficient education method for creativity development and self-directed learning have.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스마트기기를 멀리하고, 자기주도학습 습관을 만들기 위한 창의교육 솔루션 필요하고, 놀이와 같이 쉽고, 흥미롭고, 재미가 있는 제품 디자인 필요하며, 아이와 부모가 함께 직접 만들과 활용할 수 있는 솔루션 필요하고, 감성적인 디자인, 도서, 음악 등을 통한 놀이교육을 전자태그(RFID)의 쉬운 인터페이스 이용하여 개발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a creative education solution is needed to create a self-directed learning habit away from a smart device, a product design that is easy, interesting, and fun is required as well as a play, and a solution And develop play education through emotional design, books, music, etc. using an easy interface of RFID.

도 2는 스마트 큐레이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smart curation concept.

스마트 큐레이션 개념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스마트 큐레이션 시스템(Smart Curation System)은 영유아 성향 및 학습 성과에 따른 맞춤형 교육 제안하기 위해서는 아이들의 성향과 학습방향 분석을 통한 맞춤형 교육 방안이 필요한데, 이에 대한 방안을 찾고자 하였으나, 분석되어진 데이터가 이전까지는 전무한 상태로 새로운 방법으로 아이들의 교육 및 학습, 성향 등에 대한 데이터가 절실히 필요하였다.The concept of smart curation is as shown in FIG. 2. In order to suggest customized education according to the tendency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learning achievement, a smart education system is required by analyzing the tendency of the children and the learning direction. However, data on the education, learning and propensity of the children were needed in a new way with no analyzed data until now.

도 3은 전자태그 기반 사용 환경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onic tag-based usage environment.

전자태그 기반 사용 환경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의기능요소와, 흥미 요소 및 인터페이스 요소로 크게 나눌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electronic tag-based use environment can be roughly divided into convenience function elements, interest elements, and interface elements.

여기서 편의기능 요소는 영유아 사용자가 기기장치를 조작하지 않도록 전자태그(RFID Tag)를 적용한 사진 출력물을 통해 인터페이스 요소를 도출하도록 했다.Herein, the convenience function element is configured to derive an interface element through a photographic print using an RFID tag so that a user of the infant does not operate the device.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을 이용한 DIY형 교육 컨텐츠 제작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IY-type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system using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을 이용한 DIY형 교육 컨텐츠 제작 시스템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제작 단말기 장착형 책상(10), 스마트 단말기(20), 이미지 출력물(30), 교육 컨텐츠 제작 서버(40) 및 컨텐츠 재생 단말기(5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4, the DIY type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system using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ent production terminal-mounted desk 10, a smart terminal 20, an image output 30, A server 40 and a content reproduction terminal 50.

컨텐츠제작 단말기 장착형 책상(10)은 이미지를 촬영한 후 위치와 시간 및 제품 일련번호에 기반한 고유의 RFID코드를 발생하고, 촬영한 이미지파일과 함께 음성파일과 텍스트파일을 생성한 후 통합 압축파일 형태로 저장 컨텐츠를 제작하는 컨텐츠 제작 단말기(100)를 포함한다. 컨텐츠 제작 단말기(100)를 포함하는 컨텐츠제작 단말기 장착형 책상(10)은 아이들이 스스로 찾고, 만들고 놀면서 교육할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 성격의 컨텐츠를 제공함에 있어서 아이들이나 사용자가 자신의 책상에서 자발적으로 그리고 자체적으로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아이들이 자발적으로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도록 할 수 있다. Content production terminal The portable type installation desk 10 captures an image, generates a unique RFID code based on the location, time, and product serial number, generates a voice file and a text file together with the captured image file, And a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0 for producing stored content.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0 including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children's or a user's own voluntary and self-service activities in providing entertainment-like contents that children can learn while making, So that children can participate in education voluntarily.

컨텐츠 재생 단말기(50)는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출력물이 근접하면 출력물에 부착된 RFID태그를 읽어 해당 통합 파일을 검색한 후 파일을 분해하여 음성을 재생하고 이미지와 문자를 표시한다.The content reproduction terminal 50 reads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output item when the output data stored in the image is close to retrieve the integrated file, decomposes the file to reproduce the voice, and displays the image and the character.

스마트 단말기(20)는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이미지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통합 파일의 검색을 요청하고, 요청된 검색결과에 따른 파일을 분해하여 음성을 재생하고 이미지와 문자를 표시한다.The smart terminal 20 drives a pre-installed application, recognizes the image, requests a search for an integrated file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image data, decomposes the file according to the requested search result, And characters.

이미지 출력물(30)은 이미지가 출력된 출력물로써 이미지에 대한 교육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및 문자 데이터가 부착된 RFID태그를 포함한다.The image output 30 includes an RFID tag to which voice and character data are attached, which includes education information on an image as an output to which an image is output.

교육 컨텐츠 제작 서버(40)는 촬영된 이미지파일과 함께 음성파일과 텍스트파일을 생성한 후 통합 압축파일 형태로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하며, 이미지에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람의 추가 데이터 생성 요청 시 추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이미지와 이미지에 대한 위치와 시간 및 제품 일련번호에 기반한 고유의 RFID코드 발생 요청 시 이미지에 포함된 모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컨텐츠 제작 단말기로 요청한다. 이러한 교육 컨텐츠 제작 서버(40)는 일종의 클라우드 서버 역할을 한다.The training content production server 40 generates a voice file and a text file together with the photographed image file, and then stores the voice file and the text file as image data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ompressed file. When an additional data generation request Stores and manages the data, and requests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to provide all the data included in the image upon request of the unique RFID code generation based on the location, time and serial number of the image and the image and the product serial number. The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server 40 serves as a kind of cloud server.

이를 위하여 교육 컨텐츠 제작 서버(40)는 회원을 가입받는 회원가입부(41)와, 회원을 인증하는 회원인증부(42)와,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미지 데이터 저장부(43)와, 스마트 단말기에 상기 교육 컨텐츠 제작 서버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시키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저장부(44)와, 이미지에 대한 좌표를 인식하는 좌표인식부(45)와, 스마트 단말기(20)에서 전송된 이미지를 비교하는 이미지 비교부(46)와, 이미지의 좌표를 비교하는 이미지 좌표 비교부(47)와, 요청된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이미지 정보 송신부(48)와, 컨텐츠 제작 단말기로 상기 RFID태그를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물의 출력을 요청하는 출력요청부(4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educational content production server 40 includes a membership subscription unit 41 for subscribing to a member, a member authentication unit 42 for authenticating a member, an image data storage unit 43 for storing image data, An application storage unit 44 for downloading an application provided by the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server, a coordinate recognition unit 45 for recognizing coordinates for the image, and an image for comparing images transmitted from the smart terminal 20 An image information comparison unit 47 for comparing the coordinates of the image, an image information transmission unit 48 f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requested image data, And an output request unit 49 for requesting output of the image output.

도 5는 도 4에 나타낸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shown in FIG.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의 제1실시예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우선 도 5(A)에서와 같이 책상(10)의 상판의 일측면에서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11)가 형성되고, 도 5(B)에서와 같이 커버의 아랫면에는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11)를 수납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홈(12)과,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가이드 레일(13)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5(C)에서와 같이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11)를 90°각도로 세운 후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가이드 레일(13)을 따라 책상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밀어서 책상의 후면을 뒤집으면 도 5(D)에서와 같이 컨텐츠 제작 단말기(100)가 노출되고, 해당 컨텐츠 제작 단말기(100)를 통해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A first embodiment of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is as shown in Fig. 5. First, as shown in Fig. 5 (A), a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plate of the desk 10, 5 (B), a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groove 12 for receiving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11 and a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guide rail 13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ver, 5 (D), when the back of the desk is turned up by pushing the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 11 up to an angle of 90 ° and then sliding along the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 guide rail 13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desk,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0 is exposed and the content can be produced through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0.

도 6은 도 4에 나타낸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shown in FIG.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의 제2실시예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도 6(A)에서와 같이 책상(10)의 상판의 일측면에서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11)가 형성되고, 도 6(B)에서와 같이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11)를 윗면으로 90°각도로후면으로 세우면 컨텐츠 제작 단말기(100)가 노출된다. 이때, 책상(10)의 후면에는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삽입 홀(14)이 형성되어 있으며, 도 6(C)에서와 같이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11)를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삽입 홀(14) 아래도 밀어 넣어 사용하게 된다. 이때, 노출된 제2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11b)의 상측에 구성된 해당 컨텐츠 제작 단말기(100)를 통해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6,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1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plate of the desk 10, and the front side 6 (B),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0 is exposed when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11 is placed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At this time,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insertion hole 14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esk 10, and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11 is placed under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insertion hole 14 as shown in FIG. 6 (C) It will be used by pushing. At this time, the contents can be produced through the corresponding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100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exposed second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 11b.

도 7은 도 4에 나타낸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shown in FIG.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의 제2실시예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7(A)와 같이 책상(10) 상판의 일측면에서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11)가 형성되되 윗면과 아랫면의 제1, 제2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11a)(11b)로 구성되고, 아랫면의 제2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11b)를 일측으로 수평이동시키는 것에 따라 도 7(B)에서와 같이 제2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11b)가 노출되고, 노출된 제2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11b)의 상측에 구성된 해당 컨텐츠 제작 단말기(100)를 통해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7, a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11 is formed on one side of an upper plate of the desk 10 as shown in FIG. 7, and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The first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1b and the second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11b and the second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11b on the lower side are horizontally moved to one side, The cover 11b is exposed and the content can be produced through the corresponding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0 formed on the exposed second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11b.

도 8은 도 4에 나타낸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shown in FIG.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의 제2실시예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데, 책상(10)의 상측면에서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11)가 제1, 제2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11a)(11b)로 구성되고, 제1, 제2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11a)(11b)를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가이드 레일(13)을 따라 양측으로 열면 그 하부에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제작 단말기 수납 홈(100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컨텐츠 제작 단말기 수납 홈(100a)에 해당 컨텐츠 제작 단말기를 수납하여 컨텐츠 제작시 이용하게 된다.A second embodiment of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is as shown in Fig. 8, wherein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11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desk 10 with the first and second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s 11a and 11b,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s 11a and 11b are opened to both sides along the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 guide rail 13, A groove 100a is formed.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is housed in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storage home 100a and used for content production.

도 9는 도 4에 나타낸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을 이용한 DIY형 교육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컨텐츠 제작 단말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content production terminal of a DIY type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system using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을 이용한 DIY형 교육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컨텐츠 제작 단말기의 실시예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이크(102), 마이크(102)로부터 입력된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음성신호처리부(104), 디지털로 변환된 음성신호를 소정 규격(예컨대, MP3 등)에 따라 압축하여 음성파일을 생성하는 음성파일 생성부(106),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신호를 출력하는 카메라(112), 카메라(112)의 이미지 신호를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는 이미지신호처리부(114), 이미지 데이터를 소정 규격(예컨대, JPEG)으로 압축하여 이미지파일을 생성하는 이미지파일 생성부(116), 촬영된 이미지를 출력하는 사진출력부(118), 카메라 촬영시 위치와 시간 및 제품 일련번호에 기반한 고유의 RFID 코드를 생성하는 RFID코드 생성부(120), 빈 RFID태그에 생성된 RFID코드를 라이트하는 RFID라이터(122), 텍스트파일을 생성하는 텍스트파일 생성부(124),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파일과 이미지파일과 텍스트파일을 하나의 통합파일로 생성하고 생성된 통합파일을 생성된 RFID코드로 검색할 수 있도록 통합파일과 RFID코드를 매칭시키는 저장 컨텐츠 파일 생성부(108), 저장 컨텐츠 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10),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저장 컨텐츠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내부 소프트웨어를 자동으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한 통신부(128), 입력부(130), 리얼타임클럭(RTC;132), GPS 수신부(134), LCD(136) 및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26)로 구성된다.An embodiment of a content production terminal of a DIY type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system using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nalog voice signal inputted from a microphone 102 and a microphone 102 is converted into digital An audio file processing unit 104 for converting the audio signal into a voice signal, an audio file generation unit 106 for generating an audio file by compressing the audio signal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tandard (for example, MP3) An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114 for converting the image signal of the camera 112 into image data, an image signal generation unit 114 for generating an image file by compressing the image data to a predetermined standard (for example, JPEG) An RFID code generation unit 120 for generating a unique RFID code based on the position and time at the time of camera shooting and the product serial number, An RFID writer 122 for writing the RFID code generated in the empty RFID tag, a text file generating unit 124 for generating a text file, and a voice file, an image file, and a text file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A storage content file generation unit 108 for matching the integrated file with the RFID code so that the integrated file can be searched by the generated RFID code, a memory 110 for storing the storage content file, An input unit 130, a real time clock (RTC) 132, a GPS receiver 134, an LCD 136, and a controller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entire operation 126).

카메라(112)는 광학메커니즘과 CCD 혹은 CMOS 촬상소자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어부(126)의 제어신호에 따라 피사체를 촬영하여 이미지신호를 출력한다. 이미지신호처리부(114)는 촬상소자의 로우 데이터를 처리하여 잡음을 제거하고, 이미지파일 생성부(116)는 소정 규격(JPEG 등)의 압축된 이미지파일을 생성한다.The camera 112 is composed of an optical mechanism and a CCD or a CMOS imaging device. The camera 112 photographs a subject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126 and outputs an image signal. The image signal processing unit 114 processes the row data of the image pickup device to remove noise, and the image file generating unit 116 generates a compressed image file of a predetermined standard (JPEG, etc.).

사진출력부(118)는 프린터 등으로 구현되어 카메라(112)로 촬영된 이미지의 출력물(30)을 바로 출력하고, RFID코드 생성부(120)는 제어부(126)의 제어에 따라 카메라 촬영시 위치와 시간 및 제품 일련번호에 기반한 고유의 RFID 코드를 생성하고, RFID 라이터(122)는 RFID 코드생성부(120)에 의해 생성된 코드를 빈 RFID 태그에 라이트한다.The image output unit 118 is implemented by a printer or the like and outputs the output image 30 of th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112. The RFID code generating unit 120 generates the RFID code And the RFID reader / writer 122 writes the code generated by the RFID code generating unit 120 into the empty RFID tag.

마이크(102)는 음압을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음성신호처리부(104)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ADPCM 부호화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며, 음성파일 생성부(106)는 음성 데이터를 소정 규격(MP3 등)에 따라 압축하여 음성파일을 생성한다.The microphone 102 converts the sound pressure into an analog voice signal and the voice signal processing unit 104 ADPCM-codes the analog voice signal into digital data. The voice file generation unit 106 converts the voice data into a predetermined standard ) To generate a voice file.

텍스트파일 생성부(124)는 제어부(126)의 제어에 따라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를 모아 텍스트파일을 생성하고, 저장 컨텐츠 파일 생성부(108)는 제어부(126)의 제어에 따라 음성파일과 이미지파일과 텍스트파일을 압축하여 하나의 통합파일로 생성하고, 생성된 통합파일을 생성된 RFID코드로 검색할 수 있도록 통합파일과 RFID코드를 매칭시킨 후 메모리(110)에 저장한다. 통합파일과 RFID코드를 매칭시키는 방식은 인덱스 테이블을 이용하거나 파일명을 RFID코드와 연관시키는 방식 등으로 구현할 수 있다.The text file generation unit 124 generates a text file by collecting the text inputted by the user through the input unit 1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26. The stored content file generation unit 108 controls the control unit 126 The integrated file is matched with the RFID code so that the integrated file can be searched by the generated RFID code and then stored in the memory 110 do. The method of matching the integrated file with the RFID code can be implemented by using an index table or associating the file name with the RFID code.

제어부(126)는 GPS수신부(134)로부터 위치데이터를 입력받고, RTC(132)로부터 시간정보를 입력받으며, 입력부(130)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 카메라(112)를 제어함과 아울러 동작 상태를 LCD(136)에 표시하고, RFID 코드생성부(120)에 위치 및 시간정보를 제공하며, 텍스트파일 생성부(124)에 입력된 텍스트 코드를 전달하고 저장 컨텐츠 파일 생성부(106)가 통합파일을 생성하게 하며, 통신부(128)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통합파일을 외부로 전송한다.The controller 126 receives the position data from the GPS receiver 134 and receives the time information from the RTC 132. The controller 126 receives the user's operation through the input unit 130 and controls the camera 112, Displays the status on the LCD 136 and provides position and time information to the RFID code generation unit 120 and transmits the text code input to the text file generation unit 124, And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via the communication unit 128 to transmit the integrated file to the outsid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제작 단말기(100)는 통합파일을 생성하는 방식에 따라 현장에서 바로 생성하는 방식과, 현장을 벗어나 작업실에서 편집모드로 생성하는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현장 생성 방식은 이미지 촬영시 현장에서 음성과 텍스트를 입력받아 바로 통합파일을 생성하는 방식이고, 편집 생성 방식은 이미지 촬영 후 편집모드에서 저장된 이미지를 보면서 원하는 이미지에 음성을 녹음하거나 텍스트를 입력하여 통합파일을 생성하는 방식이다.Meanwhile,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vided into a method of generating the integrated file directly in the field according to the method of generating the integrated file and a method of generating the editing file in the editing room outside the field, The method of generating an integrated file by inputting voice and text on the scene at the time of shooting, and the method of creating an edit is a method of generating an integrated file by recording voice in a desired image while viewing an image stored in the edit mode after image shooting, to be.

도 10은 도 4에 나타낸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을 이용한 DIY형 교육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컨텐츠 재생 단말기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a content reproduction terminal of a DIY type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system using a desk combining furniture and IT shown in FIG.

본 발명에 따른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을 이용한 DIY형 교육 컨텐츠 제작 시스템의 컨텐츠 재생 단말기의 실시예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컨텐츠 제작 단말기(100)나 서버 등 외부디바이스와 유선/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한 통신부(502), 출력물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504), RFID태그를 읽기 위한 RFID 태그 리더(506), 조작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508), 저장 컨텐츠를 보관하기 위한 메모리(512), 통합파일을 음성파일과 이미지파일, 텍스트파일로 분해하는 통합파일 분해부(514), 통합파일 분해부(514)에서 분해된 음성파일을 재생하여 스피커(518)로 출력하는 음성재생부(516), 통합파일 분해부(514)에서 분해된 이미지파일을 재생하고 온스크린디스플레이(OSD)하여 이미지와 텍스트를 LCD에 표시하는 이미지재생부(520), 텍스트파일을 처리하여 온스크린 디스플레이방식으로 표시하는 OSD처리부(522),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510)로 구성된다.10, the embodiment of the content reproduction terminal of the DIY type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system using the desk combined with the furniture and 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such as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0 or a server by wire / A camera 504 for capturing an output, an RFID tag reader 506 for reading an RFID tag, an operation unit 508 for inputting an operation, a memory 512 for storing the stored contents, An integrated file decomposition unit 514 for decomposing the integrated file into a voice file, an image file, and a text file; a voice reproduction unit 516 for reproducing the voice file decomposed in the integrated file decomposition unit 514 and outputting the voice file to the speaker 518; An image playback unit 520 for playing back the disassembled image file on the integrated file disassembler 514 and performing on-screen display (OSD) for displaying the image and text on the LCD, It consists of the control unit 510 to control the OSD processing unit 522, the entire operation for the formula.

통신부(502)는 제어부(510)의 제어에 따라 유/무선으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여 저장 컨텐츠를 다운로드받아 메모리(512)에 저장한다. 카메라(504)는 출력물(30)을 이미지 검색하기 위한 것이고, RFID리더(506)는 출력물(30)에 부착된 RFID태그를 읽어 태그정보를 제어부(510)에 전달한다. 통합파일 분해부(514)는 제어부(510)의 제어에 따라 출력물(30)에 부착된 태그와 매칭되는 통합파일을 검색하여 해당 파일을 통합 이전의 파일로 분해하고, 음성재생부(516)나 이미지재생부(520), OSD처리부(522)는 해당 파일을 재생하여 스피커(518)나 LCD(524)로 출력한다. 제어부(510)는 조작부(508)를 통해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아 전체 동작을 제어하고, RFID 태그가 검출되면 메모리(512)에서 RFID 코드와 매칭되는 통합파일을 검색하여 해당 통합파일을 통합파일 분해부(514)로 전달한다.The communication unit 502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via wire or wireless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10 to download the stored content and store the downloaded content in the memory 512. The camera 504 is for image retrieval of the output 30 and the RFID reader 506 reads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output 30 and transmits the tag information to the controller 51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510, the integrated file decomposition unit 514 searches for an integrated file matched with the tag attached to the output 30, decomposes the integrated file into files before integration, The image reproducing unit 520 and the OSD processing unit 522 reproduce the corresponding file and output it to the speaker 518 and the LCD 524. [ When the RFID tag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510 retrieves the integrated file matching with the RFID code in the memory 512 and extracts the integrated file from the integrated file decomposition (514).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재생 단말기(50)는 컨텐츠를 재생함에 있어서 RFID 태그의 검출 횟수에 관계없이 동일한 컨텐츠를 출력하는 방식과 RFID 태그 검출회수를 카운트하여 검출횟수에 따라 서로 다른 컨텐츠를 출력해주는 방식이 있다.Meanwhile, the content reproduction terminal 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produce the same content regardless of the detection frequency of the RFID tag, and can also be configured to count the number of RFID tags detected and output different contents according to the detection count .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bviously,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fall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by alteration, substitution, substitution, Range. In addition, it should be clarified that some configurations of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explain the configuration more clearly and are provided in an exaggerated or reduced size than the actual configuration.

10: 컨텐츠 제작 단말기 장착형 책상
11, 11a, 11b :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12 :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홈
13 :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가이드 레일
14 :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삽입 홈
20 : 스마트 단말기
30 : 이미지 출력물 40 : 교육 컨텐츠 제작 서버
41 : 회원가입부 42 : 회원인증부
43 : 이미지 데이터 저장부 44 : 애플리케이션 저장부
45 : 이미지 좌표인식부 46 : 이미지 비교부
47 : 이미지 좌표비교부 48 : 이미지 정보 송신부
49 : 출력요청부 50 : 컨텐츠 재생 단말기
100 : 컨텐츠 제작 단말기 100a : 컨텐츠 제작 단말기 수납 홈
10: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mounted desk
11, 11a, 11b: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
12: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 home
13: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 guide rail
14: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 insertion groove
20: Smart terminal
30: image output 40: training content production server
41: Member Subscription Section 42: Member Authentication Section
43: Image data storage unit 44: Application storage unit
45: image coordinate recognition unit 46: image comparison unit
47: Image coordinate comparing unit 48: Image information transmitting unit
49: output request unit 50: content reproduction terminal
100: Content production terminal 100a: Content production terminal storage home

Claims (5)

이미지를 촬영한 후 위치와 시간 및 제품 일련번호에 기반한 고유의 RFID코드를 발생하고, 촬영한 이미지파일과 함께 음성파일과 텍스트파일을 생성한 후 통합 압축파일 형태로 저장 컨텐츠를 제작하는 컨텐츠 제작 단말기 ;
상기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가 저장된 출력물이 근접하면 출력물에 부착된 RFID태그를 읽어 해당 통합 파일을 검색한 후 파일을 분해하여 음성을 재생하고 이미지와 문자를 표시하는 컨텐츠 재생 단말기;
미리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 상기 이미지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이미지에 대한 데이터에 해당하는 통합 파일의 검색을 요청하고, 요청된 검색결과에 따른 파일을 분해하여 음성을 재생하고 이미지와 문자를 표시하는 스마트 단말기;
상기 이미지가 출력된 출력물로써 이미지에 대한 교육정보를 포함하는 음성 및 문자 데이터가 부착된 RFID태그를 포함하는 이미지 출력물;
상기 촬영된 이미지파일과 함께 음성파일과 텍스트파일을 생성한 후 통합 압축파일 형태로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하며, 상기 이미지에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람의 추가 데이터 생성 요청 시 상기 추가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고, 상기 이미지와 상기 이미지에 대한 위치와 시간 및 제품 일련번호에 기반한 고유의 RFID코드 발생 요청 시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모든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로 요청하는 교육 컨텐츠 제작 서버; 및
이미지를 촬영한 후 위치와 시간 및 제품 일련번호에 기반한 고유의 RFID코드를 발생하고, 촬영한 이미지파일과 함께 음성파일과 텍스트파일을 생성한 후 통합 압축파일 형태로 저장 컨텐츠를 제작하는 컨텐츠 제작 단말기를 포함하는 컨텐츠제작 단말기 장착형 책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DIY형 교육 컨텐츠 제작이 가능한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
Generating a unique RFID code based on the position, time, and serial number after shooting the image, generating a voice file and a text file together with the captured image file, and creating a storage content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ompressed file ;
A content playback terminal for reading an RFID tag attached to an output and searching for a corresponding integrated file, decomposing the file to reproduce a voice, and displaying an image and a character, when the output of the data for the image is close;
A smart module that drives a pre-installed application, recognizes the image, requests a search of an integrated file corresponding to the recognized image data, disassembles the file according to the requested search result, terminal;
An image output unit including an RFID tag to which voice and character data are attached, the image output including the education information on the image as the output of the image output;
Storing the image data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ompressed file, and storing and managing the additional data when requesting generation of additional data by a person other than the user set in advance in the image, And requesting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to provide all the data included in the image when requesting generation of a unique RFID code based on the image and the location and time of the image and the product serial number; And
Generating a unique RFID code based on the position, time, and serial number after shooting the image, generating a voice file and a text file together with the captured image file, and creating a storage content in the form of an integrated compressed file And a content-producing terminal mounted on the desk, the DIY-type educational contents including furniture and 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은 상기 책상의 상판의 일측면에서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아랫면에는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를 수납하기 위한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홈과,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가이드 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를 90°각도로 세운 후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기 책상의 전면에서 후면으로 밀어서 책상의 후면을 뒤집으면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가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형 교육 컨텐츠 제작이 가능한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sk is formed with a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on one side of the top plate of the desk, and a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groove for storing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and a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guide rail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ver And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is exposed when the back of the desk is turned up by pushing the cover of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from the front of the desk along the cover guide rail of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A desk that combines furniture and IT capable of producing educational content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은 상기 책상의 상판의 일측면에서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가 형성되고,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를 윗면으로 90°각도로 후면으로 세우면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가 노출되되, 상기 책상의 후면에는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삽입 홀이 형성되어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를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삽입 홀 아래도 밀어 넣어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형 교육 컨텐츠 제작이 가능한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top plate of the desk, and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is exposed when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is placed at the rear side at an angle of 90 ° to the top side. And a cover insertion hole is formed in the cover, and the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 is pushed under the cover insertion hole of the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and is us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은 상기 책상 상판의 일측면에서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가 형성되되 윗면과 아랫면의 제1, 제2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로 구성되고, 아랫면의 상기 제2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를 일측으로 수평이동시키는 것에 따라 상기 제2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가 노출되고, 노출된 상기 제2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의 상측에 구성된 상기 컨텐츠 제작 단말기를 통해 컨텐츠가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DIY형 교육 컨텐츠 제작이 가능한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sk is composed of a first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on the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and a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on one side of the desk top plate and horizontally moving the second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on the lower surface The second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is exposed and the content is produced through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formed on the exposed second cover of the content production terminal. des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은 상기 책상의 상측면에서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가 제1, 제2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로 구성되고, 상기 제1, 제2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를 컨텐츠 제작 단말기 커버 가이드 레일을 따라 양측으로 열면 그 하부에 컨텐츠 제작 단말기를 수납할 수 있는 컨텐츠 제작 단말기 수납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IY형 교육 컨텐츠 제작이 가능한 가구와 IT를 결합한 책상.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sk comprises a first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and a second content production terminal cover on the upper side of the desk,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s are opened to both sides along the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cover guide rail, And a content production terminal storing groove capable of storing a contents production terminal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esk.
KR1020160157705A 2016-11-24 2016-11-24 DIY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capable Desk with furniture and IT KR2018005856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705A KR20180058566A (en) 2016-11-24 2016-11-24 DIY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capable Desk with furniture and 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705A KR20180058566A (en) 2016-11-24 2016-11-24 DIY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capable Desk with furniture and 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8566A true KR20180058566A (en) 2018-06-01

Family

ID=6263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705A KR20180058566A (en) 2016-11-24 2016-11-24 DIY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capable Desk with furniture and 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58566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343B1 (en) * 2021-09-23 2022-09-01 여태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multiple ppl product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edia being played while proving the uniqueness of the original ppl product in a communication system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487B1 (en) 2006-02-17 2007-01-11 (주) 이니투스 Educational toy using rfid tag recogn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6487B1 (en) 2006-02-17 2007-01-11 (주) 이니투스 Educational toy using rfid tag recogni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343B1 (en) * 2021-09-23 2022-09-01 여태환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multiple ppl product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edia being played while proving the uniqueness of the original ppl product in a communication system
WO2023048461A1 (en) * 2021-09-23 2023-03-30 여태환 Method and apparatus by which communication system verifies uniqueness of original ppl product and provides same in synchronization with media reproducing information on plurality of ppl produc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eddall-Hill et al. Social mobile devices as tools for qualitative research in education: iPhones and iPads in ethnography, interviewing, and design-based research
Kucirkova et al. Sharing personalised stories on iPads: A close look at one parent–child interaction
CN105590486A (en) Machine vision-based pedestal-type finger reader, related system device and related method
TW201104644A (en) Interactive information system, interactive information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thereof
Brown Like It Was: A Complete Guide to Writing Oral History.
Farmer Using technology for storytelling: Tools for children
Parry et al. Literacy, media, technology: past, present and future
Teichert et al. ‘I don't even know what blogging is’: the role of digital media in a five-year-old girl's life
KR20170047441A (en) Book with electronic tags that personalized coaching through the curation rental systems, customized training content system using electronic tags, using the same statistical system solutions, educational content delivery method using the same
KR20180058566A (en) DIY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capable Desk with furniture and IT
KR101730906B1 (en) Customized training content system using electronic tags, using the same statistical system solutions, educational content delivery method using the same
Zhang et al. Reading aloud as performance and its representation on television programmes for children
KR101408722B1 (en) smart device with Play App for play of Textbook Information using Code recognition pen possible Bluetooth communication.
KR20180055282A (en) DIY educational contents production system combining image and audio
Powell Montessori Practices: Options for a Digital Age.
Gowlland Imaging/imagining craftwork
KR102096229B1 (en) Server for managing of electronic book contents produced by user using virtual contents
KR101110043B1 (en) Contents providing system using rfid tag
KR20140049102A (en) The sound book providing system using smartifact and the sound book
Amicucci Four things social media can teach you about college writing—and one thing it can’t
CN206619293U (en) A kind of paper cartoon audio device
KR2016005203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laying fairy tale added user's voice or moving image
KR101870507B1 (en) Data utilization system that provides the incorrect Notes
Labacher The evolution of the cellphone as film and video camera
Singh “I know the world by how I speak the world”: TikTok ABCs, Disaster Language and Andre Salkey’s Hurrica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