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644B1 - Safety cage for the core - Google Patents

Safety cage for the co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644B1
KR101554644B1 KR1020140055978A KR20140055978A KR101554644B1 KR 101554644 B1 KR101554644 B1 KR 101554644B1 KR 1020140055978 A KR1020140055978 A KR 1020140055978A KR 20140055978 A KR20140055978 A KR 20140055978A KR 101554644 B1 KR101554644 B1 KR 101554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ge
core
frame
assembl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9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권종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근하기공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권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근하기공, 주식회사 에스지이엔지, 권종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근하기공
Priority to KR1020140055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64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6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0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walls, e.g. curved end panels for wall shutterings; filler elements for wall shutterings; shutterings for vertical ducts
    • E04G11/20Movable forms; Movable forms for moulding cylindrical, conical or hyperbolical structures; Templates serving as forms for positioning blocks or the like
    • E04G11/22Sliding forms raised continuously or step-by-step and being in contact with the poured concrete during raising and which are not anchored in the hardened concrete; Arrangements of lifting means therefor
    • E04G11/24Construction of lifting jacks or climbing rods for sliding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cage for a core wherein a prefabricated form to form a wall of a passage type core such as a staircase, a pipe duct, and an elevator is fixated;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afety cage for a core to allow usage of a prefabricated form in the formation of a passage type core, to facilitate a level adjustment of each side, and to carry out prevention for falling for safety.

Description

코아용 안전 케이지{Safety cage for the core}[0001] Safety cage for the core [

본 발명은 코아용 안전 케이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단실, 파이프 덕트, 엘리베이터 통로 등과 같은 통로형 코아의 벽체 형성을 위한 조립폼이 고정되는 코아용 안전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cage for a co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cage for a core in which an assembly foam for forming a wall of a passive core such as a staircase, a pipe duct and an elevator passage is fixed.

주지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도 계단실, 파이프 덕트, 엘리베이터 통로 등과 같은 통로형 코아의 벽체 형성을 위하여 거푸집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46015호(고안의 명칭:건축용 박스구조물 성형 폼; 이하 '인용발명'이라 함)가 있다.Conventionally, a mold is used to form a wall of a pass-through type core such as a staircase, a pipe duct, an elevator passage, etc. As a representative example thereof, Korean Utility Model No. 246015 entitled " (Hereinafter referred to as "cited invention").

상기 인용발명은 도 1과 도 2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박스구조물(B)의 내부 시공면을 감안한 크기와 형상으로 된 각 4방면의 성형판(11)을 갖되, 성형판(11)의 내부 둘레에 수직버팀대(12) 및 수평띠장(13)이 설치된 박스폼부(10)와; 상기 박스폼부(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성형판(11)을 신축가능하게 지지시키기 위한 신축조절수단(20)과; 하부에 작업발판(40)이 구비된 박스구조물 성형 폼에 있어서, 상기 신축조절수단(20)은 상기 박스폼부(10)의 내측 중앙에 유압실린더(30)가 설치되고, 유압실린더(30)의 본체(31) 상부 및 유압실린더(30)의 작동봉 동작에 의한 승하강부(32)에 연결지지대(21)가 열십자(+)형태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그 타단은 상기 박스폼부(10)의 각 내측에 연결 설치되어 구성된 것이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cited invention has a four-sided molding plate 11 of a size and shap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nner construction surface of the box structure B, A box form part 10 provided with a vertical bracing 12 and a horizontal wale 13 at its periphery; Expansion and contraction adjustment means (20) installed inside the box form part (10) for supporting the molding plate (11) in a stretchable manner;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adjustment means 20 is provided with a hydraulic cylinder 30 at an inner center of the box form part 10 and a hydraulic cylinder 30 at the center of the box foam part 10, The connecting support 21 is hingedly coupled to the lifting and lowering portion 32 by the operation rod operation of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31 and the hydraulic cylinder 30 so as to be rotatable in a positive (+) form, 10, respectively.

이러한 인용발명은 박스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한 각 4면의 성형판(11) 내측에 연결 설치된 연결지지대(21)를 간단히 유압실린더(30)의 승하강 동작으로 폼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에 비하여 연결지지대(21)의 수를 줄여 폼 내부의 작업공간을 넓게 확보하여 보다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박스구조물(B)의 내부 시공면을 성형하기 위한 설치작업 시 낱장의 거푸집패널을 일일이 연결시킴이 없이, 설치 및 탈형작업을 일련의 동작으로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서 박스구조물(B)을 보다 능률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This cited invention allows the connection support 21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each of the four forming plates 11 for forming the box structure to form a foam by simply raising and lowering the hydraulic cylinder 30, It is possible to securely secure the work space inside the foam by reducing the number of the connection supports 21 and to perform the work more safely. In the installation work for forming the internal construction surface of the box structure B,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installation and demolding operations simply as a series of operations without connecting the box structure B, thereby enabling the box structure B to be more efficiently installed.

그러나 이와 같은 박스폼부(10)는 각 4방면의 성형판(11)이 서로 연결 고정되어 있어서 한쪽 방향의 높이 레벨을 맞추기 위해 승하강 시키면 다른 방향의 성형판(11)에도 영향을 주어 이동되므로 벽체 형성을 위한 높이 레벨 조절이 어려우며, 외벽과 인접된 통로형 코아를 형성하기 위하여 외벽 형성을 위한 대형 갱폼과 짝을 이루어야 할 때 대형 갱폼과 성형판(11)을 서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갱폼 고정 핀을 대형 갱폼과 성형판(11)에 동시에 통과시켜야 하는데 대형 갱폼과 박스폼부(10) 모두가 이동시키는 것이 자유롭지 못 하여 갱폼 고정 핀이 통과하는 대형 갱폼과 성형판(11)의 고정홀이 일치되지 않으면 고정도 어렵고, 고정홀을 일치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ince the four foam plates 10 are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the box form part 10 is moved by influencing the forming plate 11 in the other direction by moving up and down to adjust the height level in one direction,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height level for forming the gantry fixing pin. In order to form the passive core adjacent to the outer wall, when the large gantry for forming the outer wall should be paired with the large gantry, It is not possible to move both the large gang foam and the box foam part 10 because the large gang foam through which the gang foam fixing pin passes is not fixed to the fixing hole of the forming plate 11, And the fixing holes can not be made coincident with each other.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46015호Registered Utility Model No. 246015 of Korea Register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로형 코아 형성 시 조립폼 사용이 가능하고, 각 면마다 레벨 조절이 용이하며, 낙하 방지로 안전한 코아용 안전 케이지를 제공함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cage for a core which can use an assembly foam when forming a passive core, easily adjust the level of each surface, and prevent falling.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통로형 코아의 내부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을 지지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과 연결되어 코아 내부의 층간에 케이지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이 구비된 코아용 안전 케이지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tical frame for forming a cage between layers in a cor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rame, In the provided safety cage for a core,

상기 케이지의 상부에 코아의 벽체 형성을 위한 조립폼이 고정되는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를 케이지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연결부가 구비된 코아용 안전 케이지를 제공한다.An assembly part for fixing an assembly foam for forming a wall of the core to the upper part of the cage and a connection part for moving the assembly part to the inside of the cag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코아용 안전 케이지를 이용하여 조립부가 코아 벽체에 매립된 앙카와 고정볼트로 연결되어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조립부의 코아 벽체 고정 단계와,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afety cage, comprising the steps of fixing a core part of an assembly part connected to an anchor embedded in a core wall using a safety cage for the core and a fixing bolt,

상기 조립부가 코아 벽체에 고정된 후 케이지의 인양수단 연결이 해체되며, 상기 조립부에 조립폼이 설치되어 다음 코아 벽체가 형성되는 코아 형성 단계와,A core forming step in which the assembly part is fixed to the core wall and then the lifting means connection of the cage is disassembled and an assembly foam is installed on the assembly part to form a next core wall;

상기 코아 형성 단계 완료 후 조립폼이 해체되고, 케이지의 수직프레임에 구비된 인양고리에 인양수단이 연결되어 당겨질 때 케이지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수직프레임의 상단과 함께 상기 조립부가 이동되어 자동으로 조립부가 벽체와 분리, 이격되는 인양 준비 단계와,The assembling part is disassembled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re forming step and the assembling part is moved with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which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cage when the lift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lifting ring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of the cage, A salvage preparation step for separating and separating from the wall,

상기 케이지가 상기 연결된 인양수단에 의해 다음층 코아 벽체 형성을 위하여 인양될 때 케이지 하부에 돌출되어 코아 벽체의 개구부에 지지되던 추락방지 브라켓이 층간을 지나면서 접히고 다시 다음 개구부에서 돌출되어 케이지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 단계가 구비된 코아용 안전 케이지에 의한 코아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When the cage is lifted for forming the next layer core wall by the connected lifting means, the fall prevention bracket, which is protru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age and supported by the opening of the core wall, is folded over between the layers, The safety cage for a core is provided with a fall preventive step for preventing a fall of the core.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은 조립부가 케이지의 상단에 구비되어 코아의 벽체 형성 시 코아 외벽의 대형폼과 함께 틀을 이루는 조각으로 된 조립폼을 설치할 수 있어서 코아 형성을 위한 거푸집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개별적인 조립폼으로 코아 내부에 폼 작업을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각각의 내부면 별로 레벨 조절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에 구비된 인양고리에 인양수단이 연결되어 케이지의 상층으로의 인양 시 인양수단의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수직프레임이 케이지의 내부로 이동됨에 따라 연결부에 의해 수직프레임에 연결된 조립부가 함께 이동되므로 케이지의 인양 시 조립부가 코아의 내벽에 충돌되는 것이 자동으로 방지되면서 인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어서 코아의 벽체 형성의 작업성을 높이고, 충돌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하며, 케이지의 인양작업이 단순화되어 인건비와 시간을 절약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In this way, since the assembly part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age, when the wall of the core is formed, it is possible to install an assembled foam formed into a piece with the large foam of the outer wall of the core, Sinc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oam operation inside the core with the individual assembling foam, the level can be easily adjusted for each inner surface. In particular, lift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lifting ring provided in the vertical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vertical frame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cage due to the pulling force of the lifting means during lifting, the assembling portion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is moved together by the connecting portion. Therefore, when the cage is lifted, the assembling portion is automatically prevented from colliding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core. So that the workability of forming the wall of the core can be enhanced, And the lifting operation of the cage is simplified, thereby saving labor costs and time.

도1은 인용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인용발명의 시공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3,4는 본 발명에 의한 코아용 안전 케이지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코아용 안전 케이지의 연결부 구조 및 작동을 예시하는 작동도.
도6,7은 본 발명에 의한 코아용 안전 케이지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평면에서 작동을 도시한 평면도.
도8,9는 본 발명에 의한 코아용 안전 케이지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정면에서 작동을 도시한 정면도.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코아용 안전 케이지의 추락방지 브라켓 구조를 예시한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cited invention.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construction state of the cited invention.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concrete embodiment of the safety cage for a 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afety cage for a 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and 7 are plan views illustrating operation in a plane of a specific embodiment of a safety cage for a 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8 and 9 are front views showing operation in a front view of a concrete embodiment of a safety cage for a 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nti-fall bracket structure of a safety cage for a 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코아용 안전 케이지(200)의 구체적인 실시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 3과 도 4로 도시하였다.3 and 4 show the overall construction of a concrete embodiment of the safety cage 200 for a c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로형 코아의 내부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발판(210)과, 상기 발판(210)을 지지하는 크로스형 수평프레임(230)과, 상기 수평프레임(230)과 연결되어 코아 내부의 층간에 케이지(200)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220)이 구비된 코아용 안전 케이지(200)에 있어서,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foot plate 210 for forming a working space in a pass-through core, a cross type horizontal frame 230 for supporting the foot plate 210, And a vertical frame 220 connected to the inner frame and forming a cage 200 between the inner layers of the core,

상기 케이지(200)의 상부에 코아의 벽체 형성을 위한 조립폼(130)이 고정되는 조립부(240)와, 상기 조립부(240)를 케이지(20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연결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An assembly part 240 to which an assembly foam 130 for forming a wall of a core is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ge 200 and a connection part 250 for moving the assembly part 240 to the inside of the cage 200 .

이를 각 구성요소별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조립부(240)는 도 3과 도 4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조각으로 되어 있는 조립품이 연결되는 조립틀(241)과, 상기 조립틀(241)을 보강하며 코아 벽체(100)의 앙카(120)와 결합하는 고정볼트(121)를 지지하는 고정대(242)가 구비될 수 있고,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assembly unit 240 includes an assembly frame 241 to which assemblies each composed of individual pieces are connected, 241 supporting the anchor 120 of the core wall body 100 and supporting the fixing bolts 121 engaged with the anchor 120 of the core wall body 100,

상기 연결부(250)는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조립부(240)에 고정되고, 수평프레임(230)의 일단이 삽입되어 관통된 상태로 수평프레임(230) 상에서 상기 조립부(240)와 함께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간(251)과, 상기 이동간(251)과 수직프레임(220)을 연결하는 연결대(252)가 구성될 수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코아용 안전 케이지(200)의 인양 시 수직프레임(220)의 인양고리(221)에 인양수단이 연결되어 당겨짐에 따라 케이지(200)의 내측 방향으로 작용하는 벡터힘에 의해 상기 수직프레임(220)이 케이지(200)의 내측으로 이동될 때 연결대(252)로 이어진 이동간(251)과 함께 상기 조립부(240)가 자동으로 케이지(200)의 내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인양고리(221)가 없는 수직프레임(220)에 연결된 연결부(250)는 이동간(251)과 수직프레임(220) 사이의 연결대(252)를 제거하고 수동으로 삽입된 수평프레임(230)을 따라 이동간(251)과 조립부(240)를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4 and 5, the connection unit 250 is fixed to the assembly unit 240, and the assembly unit 250 is mounted on the horizontal frame 230 in a state where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230 is inserted, And the connecting frame 252 connecting the moving part 251 and the vertical frame 220 can be constituted so that the lifting of the safety cag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 frame 22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cage 200 by the vector force acting in the inner direction of the cage 200 as the lift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lifting hook 221 of the vertical frame 220, The assembly part 240 can be automatically moved to the inside of the cage 200 together with the moving part 251 leading to the connecting part 252 and the connection part 252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220 without the lifting hook 221 (250) removes the linkage (252) between the moving part (251) and the vertical frame (220) That can move yidonggan 251 and assembly 240 is, of course, along the horizontal frame 230 is inserted into the copper.

이러한 연결부(250)에 의하여 상기 케이지(200)의 인양 시 별도의 작업공정 없이도 코아 벽체에 밀착되어 있던 조립부(240)가 케이지(200)의 내부로 이동되므로 조립부(240)가 코아 내부 벽체와 충돌되거나 손상을 가하면서 승강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며, 케이지(200) 및 조립부(240) 자체에도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어 케이지(200)의 유지보수에도 효과적인 것이다.Since the assembly part 240 which was in close contact with the core wall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cage 200 without lifting the cage 200 by the connection part 250, So that the cage 200 and the assembly unit 240 itself ar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which is effective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cage 200.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코아용 안전 케이지(200)는 종래의 공지된 케이지(200)들과 달리 수직프레임(220)에 인양을 위한 인양고리(221)가 구비되며, 수평프레임(230)이 관통하는 관통공(222)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222)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양고리(221)에 인양수단의 후크가 걸려 상방으로 당겨질 때 수직프레임(220)의 상단이 수평프레임(230)을 따라 케이지(200)의 내부 방향으로 휘어지듯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To this end, the safety cag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lifting ring 221 for lifting the vertical frame 220, unlike the known cages 200, And the through hole 222 is formed as a long hole having a long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when the hook of the lifting means is hooked on the lifting hook 221 and pulled upward, So that the upper end thereof can be moved along the horizontal frame 230 such that it is bent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cage 200.

또한 상기 발판(210)은 케이지(200)의 내부 방향으로 휘어지듯 이동될 수 있는 상기 수직프레임(220)의 이동 공간이 마련되도록 수직프레임(220)이 돌출되는 부분에 요홈(211)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수직프레임(220)을 관통하는 수평프레임(230)의 끝단에는 이동되는 상기 조립부(240)와 수직프레임(220)이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수평프레임(23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정지구(23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foot plate 210 is formed with a recess 211 at a portion where the vertical frame 220 protrudes so that a moving space of the vertical frame 220 can be moved as it is bent inward of the cage 200 The assembly frame 240 and the vertical frame 220 are prevented from being move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or more to be separated from the horizontal frame 230, A protruding portion 231 is formed.

아울러 상기 조립부(240)가 코아 벽체(100)에 매립된 앙카(120)와 고정볼트(121)로 고정된 상태가 해체되더라도 케이지(200)의 추락을 방지하고, 혹시라도 케이지(200)의 인양 중 케이지(200)와 인양수단의 연결이 끊어지더라도 케이지(200)가 추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코아용 안전 케이지(200)는 도 8 내지 도 1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지(200)의 하부에 코아의 개구부(110)에 지지되어 케이지(200)의 낙하를 방지하는 추락방지 브라켓(260)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assembly unit 240 is disassembled by the anchor 120 and the fixing bolts 121 embedded in the core wall 100, the cage 200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down, In order to prevent the cage 200 from falling even when the cage 200 is lifted and the lifting means is disconnected during the lifting, the safety cag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as shown in Figs. 8 to 10 In addition, a fall prevention bracket 260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ge 200 to prevent falling of the cage 200 by being supported by the opening 110 of the core.

이러한 추락방지 브라켓(260)은 추락방지 브라켓(260) 상부의 회전축(261)을 중심으로 진자 운동과 같이 회동 가능하도록 케이지(200)에 연결되되, 이러한 추락방지 브라켓(260)이 회전축(261)을 중심으로 후방으로만 회동되고, 추락방지 브라켓(260)이 코아 벽체(100)의 개방된 개구부(110)에 지지되고 있을 때에는 추락방지 브라켓(260)이 상방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진자스토퍼(263)가 추락방지 브라켓(260)의 후방 끝단에 형성되며, 케이지(200) 밖으로 돌출된 추락방지 브라켓(260)의 상부에 경사면(262)이 형성되어 케이지(200)의 인양 시 상층 코아 벽체(100)에 의해 자연히 추락방지 브라켓(260)이 후방으로 회동되고, 다시 상층 코아 벽체(100)의 개구부(110)와 만나면 추락방지 브라켓(260)과 진자스토퍼(263)의 무게에 의해 자동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된 것일 수 있다. 여기에서의 후방은 케이지(200) 내측 방향을 의미한다.The fall prevention bracket 260 is connected to the cage 200 so as to be pivotally movable about the rotation axis 261 on the fall prevention bracket 260. The fall prevention bracket 260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261, And a pendulum stopper (not shown) which is fixed so as not to rotate upward when the fall preventing bracket 260 is supported by the opened portion 110 of the core wall 100 263 ar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fall prevention bracket 260 and an inclined surface 262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all prevention bracket 260 protruding out of the cage 200 so that the upper layer core wall The fall preventive bracket 260 is naturally rotated backward by the weight of the fall preventing bracket 260 and the pendulum stopper 263 when the fall preventive bracket 260 meets the opening 110 of the upper core wall body 100, It may be configured to All. Herein, the rear side means the inside direction of the cage 200.

또한 상기 조립부(240)는 도 4와 도 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코아의 모서리에서 조립부(240)와 조립부(240)를 연결하는 모서리 연결틀(243)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모서리 연결틀(243)을 케이지(200)와 연결하여 모서리 연결틀(243)이 사용되지 않을 때에서 케이지(200) 밖으로 낙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로프, 케이블, 타이 등과 같은 틀연결구(244)가 구비될 수 있고, 케이지(200)의 하부에도 상단과 같이, 상단과 같은 구조로 하단도 코아 벽체(100)에 앙카(120)로 케이지(200)의 하부를 고정시키는 하부고정부(270)(270)가 구비될 수 있다.4 and 6, the assembly unit 240 may include a corner connection frame 243 that connects the assembly unit 240 and the assembly unit 240 at corners of the core. Such as a rope, a cable, a tie, or the like, which prevents the corner connecting frame 243 from falling out of the cage 200 when the corner connecting frame 243 is not in use, And a lower fixing portion 270 (270) for fixing the lower portion of the cage 200 to the lower core mounting portion 100 with the anchor 120 May be provid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코아용 안전 케이지(200)를 이용하여 코아를 시공하는 방법은 도 6 내지 도 9로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부(240)가 코아 벽체에 매립된 앙카(120)와 고정볼트(121)로 연결되어 상기 벽체에 고정되는 조립부(240)의 코아 벽체 고정 단계와,6 to 9, a method of constructing a core using the safety cag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When the assembly unit 240 is fixed to the anchor 120 embedded in the core wall, A core wall fixing step of the assembly part 240 connected to the bolt 121 and fixed to the wall,

상기 조립부(240)가 코아 벽체에 고정된 후 케이지(200)의 인양수단 연결이 해체되며, 상기 조립부(240)에 조립폼(130)이 설치되어 다음 코아 벽체가 형성되는 코아 형성 단계와,A core forming step in which the assembly part 240 is fixed to the core wall and then the lifting means connection of the cage 200 is disassembled and the assembly foam 130 is installed on the assembly part 240 to form the next core wall ,

상기 코아 형성 단계 완료 후 조립폼(130)이 해체되고, 케이지(200)의 수직프레임(220)에 구비된 인양고리(221)에 인양수단이 연결되어 당겨질 때 케이지(200)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수직프레임(220)의 상단과 함께 상기 조립부(240)가 이동되어 자동으로 조립부(240)가 벽체와 분리, 이격되는 인양 준비 단계와,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re formation step, the assembly foam 130 is disassembled and moved to the inside of the cage 200 when the lift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lifting ring 221 provided on the vertical frame 220 of the cage 200 and pulled A lifting step in which the assembly part 240 is moved together with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220 to automatically separate the assembly part 240 from the wall,

상기 케이지(200)가 상기 연결된 인양수단에 의해 다음층 코아 벽체 형성을 위하여 인양될 때 케이지(200) 하부에 돌출되어 코아 벽체의 개구부(110)에 지지되던 추락방지 브라켓이 층간을 지나면서 접히고 다시 다음 개구부(110)에서 돌출되어 케이지(200)의 추락을 방지하는 추락 방지 단계가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cage 200 is lifted for forming the next layer core wall by the connected lifting means, the fall prevention bracket that protrudes below the cage 200 and is supported by the opening 110 of the core wall is folded over between the layers A fall prevention step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next opening 110 again to prevent the fall of the cage 200.

이러한 본 발명은 조립부(240)가 케이지(200)의 상단에 구비되어 코아의 벽체 형성 시 코아 외벽의 대형폼과 함께 틀을 이루는 조각으로 된 조립폼(130)을 설치할 수 있어서 코아 형성을 위한 거푸집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되고, 개별적인 조립폼(130)으로 코아 내부에 폼 작업을 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각각의 내부면 별로 레벨 조절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며, 특히 본 발명의 수직프레임(220)에 구비된 인양고리(221)에 인양수단이 연결되어 케이지(200)의 상층으로의 인양 시 인양수단의 끌어당기는 힘에 의해 수직프레임(220)이 케이지(200)의 내부로 이동됨에 따라 연결부(250)에 의해 수직프레임(220)에 연결된 조립부(240)가 함께 이동되므로 케이지(200)의 인양 시 조립부(240)가 코아의 내벽에 충돌되는 것이 자동으로 방지되면서 인양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어서 코아의 벽체 형성의 작업성을 높이고, 충돌 사고를 방지하여 안전하며, 케이지(200)의 인양작업이 단순화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part 24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cage 200, and when the wall of the core is formed, the assembly foam 130 can be installed as a piece with the large foam of the outer wall of the core, It is possible to easily perform leveling work for each inner surface since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form work inside the core with the separate assembly foam 130. In particular, The lift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lifting hook 221 and the vertical frame 220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cage 200 by the pulling force of the lifting means at lifting of the cage 200 to the upper layer, Since the assembly part 240 connected to the vertical frame 220 is moved together with the vertical frame 220, the assembly part 240 is automatically prevented from colliding against the inner wall of the core during lifting of the cage 200, Of increasing the workability of the wall form, it is safe to avoid collision, there is a lifting operation of the cage 200 can be simplifi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의도하는 요지 및 개념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시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can be variously changed within the spirit and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코아 벽체 110:개구부 120:앙카
121:고정볼트 130:조립폼 200:케이지
210:발판 211:요홈 220:수직프레임
221:인양고리 222:관통공 230:수평프레임
231:정지구 240:조립부 241:조립틀
242:고정대 243:모서리연결틀 244:틀연결구
250:연결부 251:이동간 252:연결대
253:장공 260:추락방지브라켓 261:회전축
262:경사면 263:진자스토퍼 270:하부고정부
100: Core wall body 110: Opening part 120: Anchor
121: Fixing bolt 130: Assembly foam 200: Cage
210: stool 211: groove 220: vertical frame
221: lifting ring 222: through hole 230: horizontal frame
231: Fixed area 240: Assembly part 241: Assembly frame
242: Fixture 243: Corner connection frame 244: Frame connection
250: connecting part 251: moving part 252: connecting part
253: elongated hole 260: fall prevention bracket 261:
262: an inclined surface 263: a pendulum stopper 270:

Claims (8)

통로형 코아의 내부에 작업공간을 형성하는 발판과, 상기 발판을 지지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과 연결되어 코아 내부의 층간에 케이지를 형성하는 수직프레임이 구비된 코아용 안전 케이지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상부에 코아의 벽체 형성을 위한 조립폼이 고정되는 조립부와, 상기 조립부를 케이지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연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조립부는 조립품이 연결되는 조립틀과, 상기 조립틀을 보강하며 코아 벽체의 앙카와 결합하는 고정볼트를 지지하는 고정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용 안전 케이지.
A safety cage for a core provided with a foot plate for forming a working space in a passageway core, a horizontal frame for supporting the foot plate, and a vertical fram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frame to form a cage between layers in the core,
An assembling part for fixing an assembly foam for forming a wall of the core to the upper part of the cage and a connecting part for moving the assembly part to the inside of the cage,
Wherein the assembly unit includes a frame assembly to which the assembly is connected, and a fixing base for supporting the fixing bolt for reinforcing the assembly frame and engaging with the anchor of the core wall.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조립부에 고정되고,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단이 관통된 상태로 수평프레임 상에서 상기 조립부와 함께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간과, 상기 이동간과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대가 구성되어
케이지의 인양 시 수직프레임의 인양고리에 인양수단이 연결되어 당겨짐에 따라 상기 수직프레임이 케이지의 내측으로 이동될 때 상기 조립부를 함께 케이지의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용 안전 케이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necting part is fixed to the assembling part and is configured to move between a moving frame and a vertical frame so that one end of the horizontal frame is moved together with the assembling part on a horizontal frame while being passed through the connecting frame.
Wherein when the vertical frame is moved to the inside of the cage as the lifting means is connected to the lifting hook of the vertical frame when lifting the cage, the assembly is moved together with the inner side of the c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레임은 수평프레임이 관통하는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은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임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용 안전 케이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rtical frame has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orizontal frame passes, and the through hole has a long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코아의 개구부에 지지되어 케이지의 낙하를 방지하는 추락방지 브라켓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용 안전 케이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all preventing bracket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cage to prevent falling of the cage by being supported by an opening of the c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는 코아의 모서리에서 조립부와 조립부를 연결하는 모서리 연결틀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용 안전 케이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ssembling section is provided with a corner connecting frame for connecting the assembling section and the assembling section at corners of the c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의 하부를 코아 벽체에 앙카로 고정시키는 하부고정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코아용 안전 케이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ower fixing part for fixing the lower part of the cage to the core wall with an anchor.
삭제delete
KR1020140055978A 2014-05-09 2014-05-09 Safety cage for the core KR1015546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978A KR101554644B1 (en) 2014-05-09 2014-05-09 Safety cage for the co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978A KR101554644B1 (en) 2014-05-09 2014-05-09 Safety cage for the co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644B1 true KR101554644B1 (en) 2015-09-21

Family

ID=54248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978A KR101554644B1 (en) 2014-05-09 2014-05-09 Safety cage for the co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644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367Y1 (en) * 2019-04-01 2019-06-07 미래테크(주) Elevator elevator path construction workbench
KR20200027804A (en) * 2018-09-05 2020-03-13 (주)광산이엔지 Lifting device for construction of elevator passage
CN111042567A (en) * 2019-12-27 2020-04-21 赵玉玲 Prefabricated concrete stair surface repairing treatment method for fabricated building
KR102168154B1 (en) 2020-08-06 2020-10-20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Construction cage for elevator hoistway
KR20210121980A (en) 2020-03-31 2021-10-08 주식회사 근하기공 Safety cag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core
KR102458212B1 (en) 2022-04-26 2022-10-25 미진정공(주) Construction cage for elevator hoistwa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858Y1 (en) * 1999-12-24 2000-05-15 이현성 Moving work deck for constructing a core section of building
KR101264411B1 (en) * 2012-02-13 2013-05-14 (주)에이원알폼 Form assembly for cor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2858Y1 (en) * 1999-12-24 2000-05-15 이현성 Moving work deck for constructing a core section of building
KR101264411B1 (en) * 2012-02-13 2013-05-14 (주)에이원알폼 Form assembly for corner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7804A (en) * 2018-09-05 2020-03-13 (주)광산이엔지 Lifting device for construction of elevator passage
KR102129286B1 (en) * 2018-09-05 2020-07-02 (주)광산이엔지 Lifting device for construction of elevator passage
KR200489367Y1 (en) * 2019-04-01 2019-06-07 미래테크(주) Elevator elevator path construction workbench
CN111042567A (en) * 2019-12-27 2020-04-21 赵玉玲 Prefabricated concrete stair surface repairing treatment method for fabricated building
KR20210121980A (en) 2020-03-31 2021-10-08 주식회사 근하기공 Safety cag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core
KR102376067B1 (en) * 2020-03-31 2022-03-18 주식회사 근하기공 Safety cag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core
KR102168154B1 (en) 2020-08-06 2020-10-20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Construction cage for elevator hoistway
KR102458212B1 (en) 2022-04-26 2022-10-25 미진정공(주) Construction cage for elevator hoistw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4644B1 (en) Safety cage for the core
KR102248431B1 (en) Self-lifting systems, self-lifting units and methods for moving such self-lifting units on concrete building structures
KR100918970B1 (en) Anchor assembly and gang form for preventing falling having the anchor assembly
AU2016203815B2 (en) Hoisting Apparatus and System
CN209482679U (en) Tub brace type integral steel platform suitable for sloping core construction
KR101223614B1 (en) gang form rail Device for construction
BRPI1008509B1 (en) MULTI-FLOOR BUILDING BUILDING SYSTEM TO PROGRESSLY BUILD FLOOR BUILDINGS
CN109457931A (en) Tub brace type integral steel platfor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suitable for sloping core construction
KR101723947B1 (en) Lifting safety cage for the core of building materials
EP3037605A1 (en) High-rise building and maintenance method therefor
KR200425807Y1 (en) Lift type gangform
KR100731315B1 (en) Gang form climbing guide and system using the same
KR101559988B1 (en) An early stripping slab form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lab using the same
KR101519197B1 (en) Net device for preventing falling-down through elevator hole
KR101050493B1 (en) Embedded cone apparatus for supporting vertical concrete form, installation structure of form supporting assembly, and constructing method of vertical concrete
JP6204153B2 (en) Lined lining concrete construction method and shaft platform
KR101213276B1 (en) System form combined with exterior insulation installation,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8590170A (en) A kind of rectangle chimney twin-well frame displacement type template integral lifting apparatus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208563968U (en) A kind of rectangle chimney twin-well frame displacement type template integral lifting apparatus
KR102376067B1 (en) Safety cag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core
KR20160070652A (en) Gang form integrated deck operating system
KR101991906B1 (en) Gang form safety apparatus with upper and lower cover
KR101586975B1 (en) Support unit of concrete slab formwork
KR200480362Y1 (en) Folding safety net assembly of gang form
KR20180013643A (en) Gangform climb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