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577B1 - Carpal ligament cutting device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 Google Patents

Carpal ligament cutting device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577B1
KR101554577B1 KR1020140085006A KR20140085006A KR101554577B1 KR 101554577 B1 KR101554577 B1 KR 101554577B1 KR 1020140085006 A KR1020140085006 A KR 1020140085006A KR 20140085006 A KR20140085006 A KR 20140085006A KR 101554577 B1 KR101554577 B1 KR 101554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wire
groove
pusher
carp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50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맹성호
김창용
Original Assignee
(주)세원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원메디텍 filed Critical (주)세원메디텍
Priority to KR10201400850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57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57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3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adapted for use within the carpal tunn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6Surgical cutting instruments with a cutting strip, band or chain, e.g. like a chainsa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pal ligament cutting device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The carpal ligament cutting device comprises: a holder equipped with a housing unit having a holding space and a pin accommodating unit having a guide channel connected to the holding space; a pin pusher equipped with a body unit installed in the holding space, a handling unit fixed to the rear of the body unit, and a pushing load unit located in front of the body unit and extended to the inside of the guide channel, and having a second wire channel; a front pin and a rear pin located in front of a front end of the pushing load unit and pushed out to the outside of the pin accommodating unit in order by being pushed by the pushing load unit; and a wire connecting the front pin and the rear pin and extended to the rear of the pin pushe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ire channels. The carpal ligament cutting device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easy to use, and specifically, is excellent in accuracy of a movement, thereby enabling a quick and effective operation. Moreover, the front pin and the rear pin are fixated on both ends of the wire to efficiently pull a cutting wire and can be pulled out using a pin fixing handle, thereby moving the wire in a desired pattern using the pin fixing handle so easily cutting the carpal ligament.

Description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Carpal ligament cutting device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pal ligament cutting device for treating a carpal tunnel syndrome,

본 발명은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pal ligament cutting apparatus for treating a wrist tunnel syndrome.

수근관 증후군이라고도 불리는 손목터널 증후군은, 손목을 통과하는 정중신경이 여러 원인에 의해 수근인대에 눌려 발생하는 신경압박성 질환이다. 이는 경증인 경우에는 간단한 주사나 약물요법 또는 손목에 부목을 고정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호전되기도 하나, 정도가 심할 때에는 수술적 방법이 동원된다. The wrist tunnel syndrome, also called carpal tunnel syndrome, is a nerve compression disorder in which the median nerve passing through the wrist is squeezed into the carpal ligament due to various causes. In mild cases, it may be improved by simple injection, drug therapy, or splinting on the wrist. However, when the severity is severe, surgical methods are used.

수술적 방법은 손목에서 정중신경을 압박하는 수근인대를 잘라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종전에는 수근인대를 자르기 위하여, 손바닥에서 손목위까지 광범위한 부분을 절개하여 벌리고 수근인대를 노출시켜 수근인대를 잘라주는 것이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The surgical method aims to cut the carpal ligament that compresses the median nerve from the wrist. Previously, in order to cut the carpal ligament, it was common practice to cut the carpal ligament by exposing the carpal ligament by opening a wide section from the palm to the wrist.

그러나 이 방법은 확실하게 신경이 눌리지 않게 하는 장점이 있긴 하지만 절개부위가 넓고 회복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어, 최근에는 내시경을 이용한 내시경 수술방법이 시행되기도 한다. 그런데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방법은 수술자국이 작다는 장점은 있지만 시술 중 시야확보가 불량하여 신경이나 혈관 등의 손상 위험을 가지고 이렇다할 메리트가 없으며 번거롭기도 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is method has the advantages of relieving nerve compression, but it has disadvantages such as wide incision site and long recovery period. Recently, endoscopic endoscopic surgery is performed.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operation method using the endoscope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urgical margin is small, but the visual acuity is poor during the procedure and there is a risk of damage to nerves and blood vessels.

한편, 손목터널증후군의 치료를 위한 이른바 수근관 증후군 치료용 키트(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36333호)도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치료용키트는 절삭와이어를 손목 내부로 통과시키되 그 중앙부가 수근인대에 걸리게 한 상태로 양단부를 손목 외부로 빼내어 절삭와이어의 양단을 당겨 수근인대를 절단하는 구조를 갖는다.Meanwhile, a kit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for treating wrist tunnel syndrom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3-0136333) has also been proposed. The treatment k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cutting wire is passed through the inside of the wrist, a center portion of the cutting wire is hooked to the carpel ligament, both ends are pulled out to the outside of the wrist, and both ends of the cutting wire are pulled to cut the carpel ligament.

그러나, 상기한 치료용키트는, 굴곡형캐뉼러니들, 직선형캐뉼러니들, 스트레이트니들, 절삭와이어, 펀칭니들, 지지부재, 내측니들부, 스타일렛부, 등과 같은 여러 가지의 많은 독립된 구성품이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어 매우 복잡하고 사용하는 것도 번거롭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treatment kit can be applied to a variety of discrete components such as bending cannulas, straight cannulas, straight needles, cutting wires, punching needles, support members, inner needle parts, stylet parts, It is very complex and cumbersome to use.

상기한 많은 구성품들은 각각 개별적 특징을 가지며 각자의 역할을 담당하므로, 시술자는 순서에 맞추어 하나 하나 빠짐없이 사용하여야 한다. 그만큼 치료용키트를 이용하는 시술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롭다는 의미이다. 구성품의 종류가 많으므로 사용에 여간 숙달되지 않고는 상기 치료용키트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는 힘든 것이다. 경우에 따라 상기 구성품의 사용순서에 신경을 쓰느라 정작 수술에 집중하지 못할 수 도 있다.Since many of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hav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assume their respective roles, the practitioner must use them one by one in order. This means that the procedure using the treatment kit is complicated and troublesome. Since there are many kinds of components,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use the therapeutic kit without being skilled in use. In some cases, the user may not be able to concentrate on the operation because he or she is concerned with the order of use of the components.

아울러, 상기 수근인대에 걸쳐진 상태로 손목 외부로 연장된 절삭와이어를 잡아서 힘있게 당기거나 빠른 속도록 직선운동시키기도 불편하였다. 상기 절삭와이어의 양단부는 단지 단순히 절단된 형태이므로 미끄러지기 쉽기 때문이다. 따라서 시술시 와이어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는 절삭와이어를 예컨대 손가락으로 감던지 해야 하였다. In addition, it was also inconvenient to grasp the cutting wir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wrist while being stretched over the carpal ligament, pulling it forcefully, or linearly moving it quickly. Since both ends of the cutting wire are merely cut and thus slippery.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wire from being missed during the procedure, it is necessary to wind the cutting wire with, for example, a finger.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사용방법이 간단하며 특히 동작정밀성이 뛰어나 신속하고 효과적인 수술을 가능케 하는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pal ligament cutting apparatus for treating a wrist tunnel syndrome which is not complicated in structure, simple in use, particularly excellent in operation precision, and capable of performing a quick and effective operation.

또한, 절단용 와이어를 효율적으로 당길 수 있도록 와이어의 양단에 전방핀 및 후방핀이 고정되어 있고, 특히 핀고정손잡이를 이용해 전후방핀을 잡아 당길 수 있으므로, 시술시 핀고정손잡이를 이용해 와이어를 원하는 패턴으로 움직일 수 있어 수근인대를 쉽게 절단할 수 있는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Further, since the front and rear fins are fixed at both ends of the wire so as to efficiently pull the cutting wire, and in particular, the front and rear pins can be pulled by using the pin fixing knob,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pal ligament cutting apparatus for treating a wrist tunnel syndrome which can easily cut a carpal ligamen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튜브의 형태를 취하며 내부에 홀딩공간을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선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홀딩공간과 연통하는 가이드통로를 구비한 핀수용부로 이루어진 홀더와; 상기 홀딩공간내에 설치된 상태로 하우징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직선이동 및 축회전이 가능하고 그 후단부는 하우징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중심축부에 제 1와이어통로를 갖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후방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바디부로 전하는 조작부와, 상기 바디부의 전방에 일체를 이루고 상기 핀수용부의 가이드통로 내부로 연장되며 중심축부에 상기 제 1와이어통로와 연통하는 제 2와이어통로를 갖는 푸싱로드부를 구비한 핀푸셔와; 상기 핀수용부의 내부에 대기하는 것으로서, 상기 푸싱로드부의 선단부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핀푸셔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푸싱로드부에 의해 밀려 핀수용부의 외부로 차례로 밀려나오는 전방핀 및 후방핀과; 상기 전방핀과 후방핀을 연결며 상기 제 1,2와이어통로를 통과해 핀푸셔의 후방으로 연장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rpal ligament cutting apparatus for treating a wrist tunnel syndrome, comprising: a housing part having a holding space in a longitudinally extending tube shape; A holder including a pin receiving portion having a guide path communicating with the holding space; A body portion having a rear end portion extending rearwardly of the housing portion and having a first wire passage at a central shaft portion, the body portion being capable of being linearly moved and rot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portion while being installed in the holding space, A push rod portion integrally formed in front of the body portion and extending into the guide passage of the pin accommodating portion and having a second wire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wire passage at the central shaft portion, A pin pusher; A front pin and a rear pin positioned in front of a distal end portion of the pushing rod portion and pushed by a pushing rod portion and sequentially pushed out of a pin receiving portion when the pin pusher moves forward; And a wire connected to the front pin and the rear pin and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pin pushe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ire passages.

또한, 상기 하우징부의 후단부와 조작부의 사이에는, 홀더에 대한 핀푸셔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클립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fixing clip for fix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pin pusher to the holder is detachably mount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housing part and the operating part.

또한,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하우징부의 후방으로 노출된 바디부를 탄력적으로 감싸죄며, 외력에 의해 바디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부분 원통형 스토퍼부와, 상기 스토퍼부에 고정되며 스토퍼부를 바디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당겨지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clip may further include: A cylindrical cylindrical stopper part which elastically surrounds the body part expos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part and is detachable from the body part by an external force and an annular part fixed to the stopper part and pulled to separate the stopper part from the body part .

아울러, 상기 핀푸셔와 홀더의 사이에는, 홀더에 대한 핀푸셔의 진입을 2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전방핀을 1단계로 배출시키고 후방핀을 2단계로 배출시키는 단계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between the pin pusher and the holder, there is further provided a step adjusting means for dividing the entry of the pin pusher into the holder in two stages, discharging the front pin in one stage and discharging the rear pin in two stages .

또한,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는, 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1장홈과, 상기 제 1장홈과 연결되며 바디부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연결홈과, 상기 연결홈에 연결되고 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2장홈으로 이루어진 절곡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계조절수단은; 상기 절곡홈에 끼워지며 절곡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래치부재와, 상기 래치부재를 절곡홈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래치부재측으로 가압하는 래치지지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may include a first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 connection groove connected to the first groove and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Wherein the step adjusting means comprises: a first groove formed in the first groove; A latch member fitted in the bent groove and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nt groove,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atch member toward the bent groove side, and a latch supporting bolt for pressing the spring toward the latch member side .

또한, 상기 전방핀과 후방핀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환봉형부재로서,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 결합한 상태로 상기 핀수용부의 내부에 앞 뒤로 직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ront pin and the rear pin are round-bar-shaped members having the same size, and are arranged in series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inside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in a state of being engaged with the end portion of the wire.

아울러, 상기 핀수용부의 외부로 배출된 전방핀과 후방핀을 그 내부에 각각 받아들여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핀 또는 후방핀을 수용하는 핀안착홈과, 상기 핀안착홈을 측부로 개방하며 핀안착홈에 끼워진 전방핀과 후방핀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틈을 제공하는 와이어통과홈을 갖는 한 쌍의 핀고정손잡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in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front pin or the rear pin and receiving the front pin and the rear pin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And a pair of pinching knobs having a front end pin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and a wire passage groove providing a gap through which the wire connected to the rear pin can pass.

또한, 상기 핀고정손잡이는,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와이어를 그 외주면에 감을 수 있도록 원통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in fixing handle has a size that the practitioner can grasp by hand, and takes the form of a cylinder so that the wire can be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r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사용방법이 간단하며 특히 동작정밀성이 뛰어나 신속하고 효과적인 수술을 가능케 하며, 또한, 절단용 와이어를 효율적으로 당길 수 있도록 와이어의 양단에 전방핀 및 후방핀이 고정되어 있고 핀고정손잡이를 이용해 전후방핀을 잡아 당길 수 있으므로, 시술시 핀고정손잡이를 이용해 와이어를 원하는 패턴으로 움직일 수 있어 수근인대를 쉽게 절단할 수 있다.The carotid ligament cutting apparatus for treating wrist tunnel syndro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not complicated in structure, simple in use, particularly excellent in operation precision, enables a quick and effective operation and efficiently pulls a cutting wire The front and rear pins are fixed at both ends of the wire, and the pins can be pulled by using the pin fixing knob, so that the wire can be moved in a desired pattern by using the pin fixing knob during the procedure, hav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절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전방핀 및 후방핀을 와이어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1의 래치지지볼트의 결합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수근인대 절단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3에 도시한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인장시 사용되는 핀고정손잡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도 6의 Ⅶ-Ⅶ선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를 이용한 치료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pal ligament cutting apparatus for treating a wrist tunnel syndr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ut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view showing the front pin and the rear fin shown in Fig. 2 together with the wi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upling method of the latch supporting bolts of FIG.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arpal ligament cutt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6 is a view showing the wire shown in FIG. 3 and the pin fixing handle used in tensioning the wire.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8A to 8F are views sequentially showing a treatment method using a carpal ligament cutting apparatus for treating wrist tunnel syndr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1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절단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5는 상기 수근인대 절단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pal ligament cutting apparatus 11 for treating wrist tunnel syndr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utting apparatus shown in 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arpal ligament cutting apparatus.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수근인대 절단장치(11)는, 도 8에 도시한 과정을 통해, 절단용 와이어(33)를 수근인대(53)의 하부와 상부로 유도하여 배치하고, 그 후 와이어(33)를 당겨 와이어(33)가 감고 있는 수근인대(53)를 절단하는데 사용하는 도구이다. Basically, the carpal ligament cutting apparatus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guides the cutting wire 33 to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carpel ligament 53 through the process shown in Fig. 8, (33) is pulled to cut the carpal ligament (53) wound with the wire (33).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11)는, 내부공간(13d)을 제공하는 케이스(13)와, 상기 케이스(13)에 일부가 수납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홀더(21)와, 상기 홀더(21)의 핀수용부(21a) 내부에 끼워져 대기하고 와이어(3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전후방핀(29,31)와, 상기 홀더(21)에 끼워지며 시술시 상기 전후방핀(29,31)을 핀수용부(21a)로부터 전방으로 배출하는 핀푸셔(19)와, 상기 전후방핀(29,31)을 각각 수용 고정하며 와이어(33)를 인장하는 한 쌍의 핀고정손잡이(도 6의 41)를 구비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arpal tunnel syndrome apparatus 11 for treating wrist tunnel syndrom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ase 13 for providing an internal space 13d, Front and rear fins 29 and 31 which are inserted into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of the holder 21 and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s 33 and the holder 21, A pin pusher 19 for fitting the front and rear fins 29 and 31 to the front and rear fins 29 and 31 and for ejecting the front and rear fins 29 and 31 forward from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And a pair of pin fixing knobs (41 in Fig. 6) for tensioning.

먼저, 상기 케이스(13)는, 상호 결합하는 두 개의 케이스편(13a,13b)으로 이루어지며 시술자에 의해 파지된다. 상기 케이스편(13a,13b)은 서로에 대해 결합한 상태로 그 내부에 홀더(21)의 하우징부(21b)을 수용한다.First, the case 13 is composed of two case pieces 13a and 13b that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held by a practitioner. The case pieces 13a and 13b accommodate the housing portion 21b of the holder 21 in a state where they are engaged with each other.

아울러 일측 케이스편(13b)에는 사이드구멍(1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구멍(13c)은 래치부재(25)와 스프링(27)과 래치지지볼트(15)를 수용하는 구멍으로서 그 내주면에 암나사산(도 4의 13e)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a side hole 13c is formed in one case piece 13b. The side hole 13c is a hole for receiving the latch member 25, the spring 27, and the latch support bolt 15, and has a female thread (13e in Fig. 4)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잠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구멍(13c)의 내부에 걸림턱(13f)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걸림턱(13f)은 래치부재(25)의 헤드부(25a)를 걸어 래치부재(25)가 사이드구멍(13c)의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4, it can be seen that a locking protrusion 13f is formed inside the side hole 13c. The latching jaw 13f is engaged with the head portion 25a of the latch member 25 to prevent the latch member 25 from falling out of the side hole 13c.

또한 상기 래치지지볼트(15)는 래치부재(25)와의 사이에 스프링(27)을 개재시킨 상태로 암나사산(13e)에 결합함으로써 래치부재(25)를 화살표 a 방향으로 탄력 지지한다. 상기 래치부재(25)는 합성수지로 제작된 부속으로서, 스프링(27)과 래치지지볼트(15)의 작용에 의해 관통구멍(도 2의 21c)을 통해 절곡홈(19k)의 내부에 삽입되어 핀푸셔(19)의 길이방향 이동을 제한한다.The latch support bolt 15 is engaged with the female thread 13e with the spring 27 interposed therebetween so as to elastically support the latch member 25 in the direction of arrow a. The latch member 25 is made of synthetic resin and is inserted into the bending groove 19k through the through hole (21c in FIG. 2) by the action of the spring 27 and the latch support bolt 15, Thereby restricting the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pusher 19.

한편, 상기 홀더(2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우징부(21b)와 핀수용부(21a)로 이루어진다.2, the holder 21 includes a housing portion 21b and a pin receiving portion 21a.

상기 하우징부(21b)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튜브의 형태를 취하며 그 양단부가 케이스(13)에 물려 견고히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21b)의 내부에는 일정내경을 갖는 홀딩공간(21d)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딩공간(21d)은, 후술할 스프링(20)과 바디부(19b)를 수용하는 공간부이다. 상기 바디부(19b)는 홀딩공간(21d)의 내부에셔 화살표 b 방향 직선운동 및 축회전 가능하다.The housing portion 21b takes the form of a tub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s of the tube are engaged with the case 13 and fixed firmly. A holding space 21d having a predetermined inner diameter is formed in the housing part 21b. The holding space 21d is a space portion that accommodates the spring 20 and the body portion 19b to be described later. The body portion 19b is linearly movable in the direction of an arrow b and axially rotatable in the holding space 21d.

도면부호 21c는 관통구멍이다. 상기 관통구멍(21c)은 사이드구멍(13c)에 끼워진 래치부재(25)를 통과시켜 래치부재(25)가 절곡홈(19k)에 끼워질 수 있게 한다.Reference numeral 21c denotes a through hole. The through hole 21c passes through the latch member 25 fitted in the side hole 13c so that the latch member 25 can be inserted into the bending groove 19k.

또한 상기 핀수용부(21a)는 하우징부(21b)의 중심축부에 일체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그 내부에 가이드통로(21e)를 갖는다. 상기 가이드통로(21e)도 일정 내경을 가지며 그 중심축은 홀딩공간(21d)의 중심축과 일치한다.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is a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tegral with the central shaft portion of the housing portion 21b, and has a guide passage 21e therein. The guide passage 21e also has a certain inner diameter and its central axis coincides with the central axis of the holding space 21d.

상기 핀수용부(21a)는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1절개부(55)를 통해 손의 피하 내부로 진입하여 수근인대(53)의 아래 위로 이동하는 동작을 하는 만큼 시술시 외력에 의해 휘어지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핀수용부(21a)는 스테인레스스틸로 제작됨이 좋다.As shown in FIG. 8, the pin accommodating portion 21a moves into the subcutaneous space of the hand through the first incision 55 and moves below the carpal ligament 53, It should not be warped. For this purpose,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may be made of stainless steel.

상기 핀푸셔(19)는, 상기 하우징부(21b)의 내부에 수용되며 화살표 b 방향의 직선운동과 축회전이 가능한 바디부(19b)와, 상기 바디부(19b)의 선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핀수용부(21a)의 가이드통로(21e)에 삽입된 푸싱로드부(19c)와, 바디부(19b)의 후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조작부(19a)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디부(19b)는 홀딩공간(21d)의 내주면에 면접한 상태로 슬라이딩운동 한다. The pin pusher 19 includes a body portion 19b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ortion 21b and capable of linear movement and axial rotation in the direction of arrow b and a body portion 19b integrally formed with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9b, A pushing rod portion 19c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and inserted into the guide passage 21e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and an operating portion 19a integrally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body portion 19b. The body portion 19b is slidingly moved in a state of being interview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ding space 21d.

아울러, 상기 푸싱로드부(19c)의 내부에는 제 2와이어통로(19m)가, 바디부(19b)의 중심축부에는 제 1와이어통로(19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2와이어통로(19d,19m)는 동일한 내경을 가지며 동축상에 위치하는 통로로서, 접혀진 상태의 와이어(33)를 통과시킨다.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와이어(33)는 수술에 사용되기 전, 접혀진 상태로 제 1,2와이어통로(19d,19m)에 수용되어 대기한다.A second wire passage 19m is formed in the pushing rod portion 19c and a first wire passage 19d is formed in the center axis portion of the body portion 19b. The first and second wire passages 19d and 19m are coaxial passages having the same inner diameter and allow the wire 33 to pass through in a folded state. As shown in Fig. 5, the wire 33 is received in the first and second wire passages 19d and 19m in a folded state before being used for surgery.

상기 바디부(19b)는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서 그 외주면에 절곡홈(19k)을 갖는다. 상기 절곡홈(19k)은 일정폭 및 깊이를 갖는 홈으로서, 제 1장홈(19e)과, 연결홈(19g)과, 제 2장홈(19f)으로 구성된다.The body portion 19b is a cylindrical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and has a bending groove 19k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The bent groove 19k is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depth and is constituted by a first long groove 19e, a connecting groove 19g and a second long groove 19f.

상기 제 1장홈(19e)은 바디부(19b)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된 홈이며, 연결홈(19g)은 제 1장홈(19e)에 직교하는 방향 즉, 바디부(19b)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이다. 또한 제 2장홈(19f)은 연결홈(19g)의 연장단부에 연결되며 제 1장홈(19e)과 평행한 홈이다.The first grooves 19e are grooves extending linear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9b and the connecting grooves 19g extend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grooves 19e, Direction. The second groove 19f is a groove connected to the extending end of the connecting groove 19g and parallel to the first groove 19e.

특히 상기 제 1장홈(19e)의 길이는 전방핀(29)의 길이와 같고, 제 2장홈(19f)의 길이는 후방핀(31)의 길이와 동일하다.The length of the first groove 19e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front pin 29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groove 19f is equal to the length of the rear pin 31. [

아울러, 위에 언급한 바와같이, 상기 절곡홈(19k)의 내부에는 래치부재(25)가 끼워지므로, 래치부재(25)의 작용에 의해 핀푸셔(19)의 길이방향 직선운동은 두 단계로 제한된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latch member 25 is fitted into the bent groove 19k, the linear motion of the pin pusher 19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limited to two steps by the action of the latch member 25 do.

상기 래치부재(25)는, 본 실시예의 절단장치(11)를 사용하기 전에 제 1장홈(19e)에 대기하며, 특히 이 때 스프링(20)의 작용에 의해, 푸싱로드부 방향 선단부측으로 몰려 있다. The latch member 25 is positioned in the first groove 19e before the cutting apparatus 11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used and particularly at this time by the action of the spring 20 toward the distal end side in the direction of the pushing rod portion .

상기 조작부(19a)는 바디부(19b)의 후단부에 일체를 이루는 부분으로서, 시술시 외부로부터 인가된 힘을 받아 바디부(19b)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시술자는 상기 조작부(19a)를 잡아 밀거나 돌리며, 홀더(21)에 끼워져 있는 핀푸셔(19)를 홀더(21)의 내측방향으로 두 단계(1단계 및 2단계)에 걸쳐 진입시킬 수 있다.The manipulation part 19a is a part integrally formed with the rear end of the body part 19b and serves to transmit a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body part 19b during the procedure. The operator can push or push the manipulation part 19a and move the pin pusher 19 fitted in the holder 21 in two directions in the inward direction of the holder 21 (step 1 and step 2).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조작부(19a)를 하우징부(21b) 방향으로 가압하면, 핀푸셔(19)는 연결홈(19g)에 래치부재(25)가 도달 할 때 까지 전방으로 직선운동한다.(1단계진입). 그 후, 조작부(19a)를 화살표 z 방향으로 축회전시켜 래치부재(25)가 제 2장홈(19f)에 진입한 후, 조작부(19a)를 다시한 번 밀어 넣으면 핀푸셔(19)는 제 2장홈(19f)의 길이만큼 더 직선운동한다.(2단계진입) More specifically, when the operating portion 19a is pressed toward the housing portion 21b, the pin pusher 19 linearly moves forward until the latch member 25 reaches the connecting groove 19g. Step one). Thereafter, when the operating portion 19a is pivo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z to cause the latch member 25 to enter the second long groove 19f and then push the operating portion 19a once again, And moves more linearly by the length of the groove 19f. (Step 2 Entry)

결국, 핀푸셔(19)의 화살표 c 방향 직선운동은 위에 설명한 1단계진입과정 및 2단계진입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조작부(19a)를 화살표 z 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는 한 1,2단계 진입은 동시에 일어날 염려가 없다.As a result, the linear movement of the pin pusher 19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c is the one-stage entry process and the two-stage entry proces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possibility of simultaneous entry into the first and second stages unless the operating portion 19a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z.

한편, 상기 푸싱로드부(19c)의 선단부에는 전방핀(29)과 후방핀(31)이 위치한다. 상기 전방핀(29) 및 후방핀(31)은 스테인레스스틸로 제작된 환봉형 부재로서 상호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며 와이어(33)로 연결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front pin 29 and the rear pin 31 are located at the tip of the pushing rod portion 19c. The front pin 29 and the rear pin 31 are round bar members made of stainless steel and have the same size and are connected by wires 33.

상기 후방핀(31)은 푸싱로드부(19c)의 바로 앞에 대기하며, 전방핀(29)은 후방핀(31)의 앞에 위치한다. 상기 전방핀(29) 및 후방핀(31)은 핀수용부(21a)의 선단부 내부에서 앞뒤로 직렬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 전방핀(29)과 후방핀(31)의 외주면은 핀수용부(21a)의 내주면에 면접한다. The rear pin 31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pushing rod portion 19c and the front pin 29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rear pin 31. [ The front pin 29 and the rear pin 31 are arranged in serie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withi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front fin 29 and the rear fin 31 are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후술하겠거니와, 상기 전방핀(29)은 핀푸셔(19)의 1단계진입시 푸싱로드부(19c)에 밀려 핀수용부(21a) 외부로 배출되며, 후방핀(31)은 핀푸셔(19)의 2단계진입시 핀수용부(21a)로부터 배출된다.The front pin 29 is pushed by the pushing rod portion 19c to the outside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at the first step of the pin pusher 19 and the rear pin 31 is pushed by the pin pusher 19,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is opened.

상기 전방핀(29)과 후방핀(31)을 도 3에 보다 자세히 도시하였다.The front pin 29 and the rear pin 31 are shown in more detail in Fig.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전방핀(29)과 후방핀(31)은 일정직경 및 길이를 갖는 환봉형 부재이다. 특히 상기 후방핀(31)의 외주면에는 와이어수용슬릿(31a)이 형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ront pin 29 and the rear pin 31 are bar-shaped members having a constant diameter and length. In particular, a wire receiving slit 31a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fin 31. [

상기 와이어수용슬릿(31a)은 전방핀(29)에 고정된 상태로 핀푸셔(19)의 후방을 향하는 와이어(33)를 수용하는 홈이다. 이와같이 와이어수용슬릿(31a)을 형성하여 후방핀(31)의 옆을 지나는 와이어(33)를 통과시킴으로서 후방핀(31)의 외주면이 핀수용부(21a)의 내주면으로부터 벌어지지 않는다.The wire receiving slit 31a is a groove which receives the wire 33 directed to the rear of the pin pusher 19 while being fixed to the front pin 29. [ The wire receiving slit 31a is formed and the wire 33 passing the side of the rear pin 31 passes through the wire receiving slit 31a so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pin 31 does not spread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상기 와이어(33)는 스테인레스스틸로 제작된 금속사를 엮어 만든 와이어로프로서 마치 재봉용 실과 같은 물성을 가진다. 상기 와이어(33)는 도 8f에 도시한 바와같이, 수근인대(53)를 감은 상태로 인장되어 수근인대(53)를 절단한다. The wire 33 is a wire rope formed by weaving a metal yarn made of stainless steel and has the same physical properties as a sewing thread. As shown in FIG. 8F, the wire 33 is pulled with the carpal ligament 53 wound thereon to cut the carpal ligament 53.

또한 상기 하우징부(21b)와 조작부(19a)의 사이에는 고정클립(17)이 끼워진다. 상기 고정클립(17)은 절단장치(11)를 사용하기 직전에 제거되는 부속으로서, 평상시에는 바디부(19b)를 감싼 상태로 핀푸셔(19)의 이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핀푸셔(19)가 홀더(21)의 내부로 진입하여 전후방핀(29,31)이 빠지는 것을 막는 것이다.A fixing clip 17 is fitted between the housing portion 21b and the operating portion 19a. The fixing clip 17 is a part which is removed immediately before using the cutting device 11 and normally serves to block the movement of the pin pusher 19 while wrapping the body 19b. That is, the pin pusher 19 enters the inside of the holder 21 to prevent the front and rear fins 29 and 31 from coming off.

상기 고정클립(17)은, 부분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바디부(19b)를 감싸는 스토퍼부(17b)와, 상기 스토퍼부(17b)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리부(17a)로 이루어진다.The fixing clip 17 includes a stopper portion 17b which takes the form of a partial cylinder and encloses the body portion 19b and an annular portion 17a which is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topper portion 17b.

상기 스토퍼부(17b)는, 상기 하우징부(21b)의 후방으로 노출된 바디부(19b)를 탄력적으로 감싼 상태로 죈다. 특히 상기 스토퍼부(17b)는 탄성력을 가져, 외력을 가해 바디부(19b)로부터 분리할 때 벌어지고 완전히 분리된 순간 처음 상태로 다시 오므라진다. The stopper portion 17b elastically surrounds the body portion 19b exposed rearward of the housing portion 21b. Particularly, the stopper portion 17b has an elastic force, and when it separates from the body portion 19b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the stopper portion 17b is opened and completely disengaged at the moment when it is completely separated.

또한 상기 고리부(17a)는 스토퍼부(17b)를 바디부(19b)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당겨지는 부분이다. 즉 손가락을 넣어 당길 수 있도록 마련한 걸고리이다.The ring portion 17a is a portion pulled to separate the stopper portion 17b from the body portion 19b. In other words, it is a hook that is designed to pull the finger.

한편, 상기 전후방핀(29,31)와 와이어(33)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한 쌍의 핀고정손잡이(41)가 적용된다. 상기 핀고정손잡이(41)는 절단장치(11)의 일부 구성요소로서 상기 전후방핀(29,31)을 매개로 하여 와이어(33)를 효율적으로 인장하기 위한 도구이다.Meanwhile, a pair of pin fixing knobs 41 are applied for efficient use of the front and rear fins 29 and 31 and the wire 33. The pin fixing knob 41 is a part of the cutting apparatus 11 and is a tool for efficiently tensioning the wire 33 via the front and rear pins 29 and 31. [

도 6은 상기 핀고정손잡이(41)를 와이어(33)와 함께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상기 도 6의 Ⅶ-Ⅶ선 단면도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pin fixing knob 41 together with the wire 33,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VII-VII of FIG.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핀고정손잡이(41)는 손바닥에 올려 쉽게 감아 쥘 수 있도록 대략적인 막대의 형태를 취하며 그 중앙부에 핀안착홈(41a)을 갖는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in fixing knob 41 is formed in a rough rod shape so as to be easily rolled up on the palm of the hand and has a pin receiving groove 41a at the center thereof.

상기 핀안착홈(41a)은, 전방핀(29)이나 후방핀(31)이 끼워지는 홈으로서 특히 와이어통과홈(41b)을 통해 측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통과홈(41b)은 와이어(33)를 통과시킬 수 있는 정도의 간극을 갖는 틈새로서 틈새간격은 당연히 핀안착홈(41a)의 내경보다 작다.The pin seating groove 41a is laterally opened through the wire passage groove 41b as a groove into which the front pin 29 and the rear fin 31 are fitted. The wire passage groove 41b is a clearance having a clearance enough to allow the wire 33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clearance is naturally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pin receiving groove 41a.

이와같이 와이어통과홈(41b)을 적용함으로써, 가령 핀고정손잡이(41)를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시켜 와이어(33)를 감을 때, 와이어가 불규칙하게 감겨지지 않고 상기 와이어통과홈(41b)의 내부로 감겨져 인장시 미끄러지지 않는다.  By applying the wire passage groove 41b in this manner, the wire is prevented from being irregularly wound around the inside of the wire passage groove 41b when the wire 33 is wound by rotating the pin fixing knob 41 in the direction of arrow e, for example. It is wound and does not slip when tensioned.

예컨대, 와이어(33)가 와이어통과홈(41b)의 좌우로 불규칙하게 감길 경우, 와이어(33)의 인장시 와이어가 감긴 방향을 기준으로 좌우로 밀리거나 당겨지므로 정확한 길이의 인장이 불가능해진다. For example, when the wire 33 is wound irregularly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wire passage groove 41b, pulling of the wire 33 is pushed or pulled right and left with respect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ire is wound.

도 8a 내지 도 8f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11)를 이용한, 손목터널증후군의 치료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8A to 8F ar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treating wrist tunnel syndrome using a carpal ligament cutting apparatus 11 for treating wrist tunnel syndro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8a에 도시한 바와같이, 환자의 손목(51) 부분에 제 1절개부(55)를 형성한다. 상기 제 1절개부(55)는 수술용 메스로 형성되며 1cm이하의 길이를 갖는다. 상기 과정을 통해 손목(51)에 제 1절개부(55)가 확보되었다면 내시경 등을 넣어 수근인대(53)의 실제 위치를 육안으로 확인한다.First, as shown in Fig. 8A, a first incision 55 is formed in the wrist 51 of the patient. The first incision part 55 is formed of a surgical scalpel and has a length of 1 cm or less. If the first incision part 55 is secured in the wrist 51 through the above procedure, an endoscope or the like is inserted to visually confirm the actual position of the carpal ligament 53.

상기 수근인대(53)의 위치가 확인되었다면 제 1절개부(55)를 통해 핀수용부(21a)를 손목 내부로 삽입한다. 특히 상기 제 1절개부(55)로 삽입된 핀수용부(21a)를 손목의 내부로 삽입하되 상기 수근인대(53)의 하부를 통과시킨다. If the position of the carpal ligament 53 is confirmed,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is inserted into the wrist through the first incision portion 55. Particularly,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inserted into the first incision portion 55 is inserted into the wrist,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arpal ligament 53 is passed through.

아울러 상기 수근인대(53)의 하부를 통과한 핀수용부(21a)의 선단부가 도달한 부분에 제 2절개부(57)를 형성하고 핀수용부(21a)의 선단부를 상기 제 2절개부(57)를 통해 체외로 노출되도록 한다.(도 8b)A second incision portion 57 is formed at a portion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that has pass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carpal ligament 53 and reaches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57) (Fig. 8B)

도 8b에 도시한 바와같이, 핀수용부(21a)가 수근인대(53)의 하부를 통과하였다면, 상기 고정클립(17)을 제거한 후 조작부(19a)를 도 8c의 화살표 p1방향으로 1단계 진입시킨다. 8B, if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has pass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carpel ligament 53, after removing the fixing clip 17, the manipulating portion 19a is moved to the first step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p1 in FIG. 8C .

이에 따라 상기 조작부(19a)는 제 1장홈(19e)의 길이만큼 밀려 들어가며 전방핀(29)을 핀수용부(21a)의 선단부로 배출한다. 시술자는 핀수용부(21a)로부터 밀려나온 전방핀(29)을 화살표 k 방향으로 당긴다. 이 때의 당김 길이는 일단 10cm 정도면 충분하다. The operating portion 19a is pushed by the length of the first groove 19e and the front pin 29 is discharged to the tip end portion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The operator pulls the front pin 29 pushed out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k. At this time, the pulling length of about 10 cm is enough.

상기 과정을 통해 전방핀(29)이 확보되었다면, 핀수용부(21a)를 후퇴시킨 후 수근인대(53)의 상부로 올리고 그 상태로 다시 전진시켜 핀수용부(21a)의 선단부를 상기 제 2절개부(57)를 통해 손목 외부로 다시 내보낸다. 상기 핀수용부(21a)의 선단부가 두 번째로 제 2절개부(57) 외부로 노출된 것이다. When the front pin 29 is secur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is retracted and then rai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arpel ligament 53 and then advanced again to return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to the second And then sent out through the cutout 57 to the outside of the wrist. And the tip end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cutout 57 secondly.

상기 과정을 마쳤다면, 도 8e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조작부(19a)를 p2방향으로 다시 한 번 가압하여 핀푸셔(19)의 2단계 진입을 수행한다. 상기 핀푸셔(19)가 2단계로 진입함에 따라 상기 후방핀(31)이 핀수용부(21a)의 선단부로부터 배출된다. 시술자는 핀수용부(21a)로부터 배출된 후방핀(31)을 잡아 전방핀(29)과 함께 당긴다.(도 8e)When the above process is completed, as shown in FIG. 8E, the operation unit 19a is pressed once again in the direction p2 to perform the two-step entry of the pin pusher 19. As the pin pusher 19 enters the second step, the rear fin 31 is discharged from the front end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The practitioner grips the rear pin 31 discharged from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and pulls it together with the front pin 29 (Figure 8E)

상기 전방핀(29)과 후방핀(31)을 완전히 당기면, 와이어(33)는 핀수용부(21a)의 내부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온다. 상기 와이어(33)가 완전히 빠졌다면 핀수용부(21a)를 손목으로부터 빼내 제거한다. 손목의 내부에 와이어(33)만 남게된 것이다.When the front pin 29 and the rear pin 31 are fully pulled, the wire 33 completely comes out from the inside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If the wire 33 has completely disappeared, the pin receiving portion 21a is taken out from the wrist and removed. Only the wire 33 is left inside the wrist.

이 상태에서 상기 전방핀(29) 및 후방핀(31)에 핀고정손잡이(41)를 연결한 후, 핀고정손잡이(41)를 당겨 와이어(33)를 인장한다.(도 8f) 상기 와이어(33)는 핀고정손잡이(41)에 의해 인장되며 수근인대(53)를 절단하게 된다. In this state, after the pin fixing knob 41 is connected to the front pin 29 and the rear pin 31, the pin fixing knob 41 is pulled to pull the wire 33 (FIG. 33 are pulled by the pin fixing knob 41 and cut the carpal ligament 53.

상기 과정을 통해 수근인대(53)의 절단이 완료되었다면, 와이어(33)의 임의의 부위를 절단한 후 손목 외부로 빼내고, 상기 제1,2절개부(55,57)를 봉합하여 시술을 마무리한다.When the digestion of the carpal ligament 53 is comple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arbitrary portion of the wire 33 is cut and taken out to the outside of the wrist, the first and second incisions 55 and 57 are closed, do.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절단장치 13:케이스 13a,13b:케이스편
13c:사이드구멍 13d:내부공간 13e:암나사산
13f:걸림턱 15:래치지지볼트 17:고정클립
17a:고리부 17b:스토퍼부 19:핀푸셔
19a:조작부 19b:바디부 19c:푸싱로드부
19d:제 1와이어통로 19e:제 1장홈 19f:제 2장홈
19g:연결홈 19k:절곡홈 19m:제 2와이어통로
20:스프링 21:홀더 21a:핀수용부
21b:하우징부 21c:관통구멍 21d:홀딩공간
21e:가이드통로 25:래치부재 25a:헤드부
27:스프링 29:전방핀 31:후방핀
31a:와이어수용슬릿 33:와이어 41:핀고정손잡이
41a:핀안착홈 41b:와이어통과홈 51:손목
53:수근인대 55:제 1절개부 57:제 2절개부
11: cutting device 13: case 13a, 13b: case piece
13c: Side hole 13d: Inner space 13e: Female thread
13f: latching jaw 15: latching bolt 17: retaining clip
17a: Ring portion 17b: Stopper portion 19: Pin pusher
19a: Operation part 19b: Body part 19c: Pushing rod part
19d: first wire passage 19e: first groove 19f: second groove
19g: connection groove 19k: bending groove 19m: second wire passage
20: spring 21: holder 21a: pin receiving portion
21b: housing part 21c: through hole 21d: holding space
21e: guide passage 25: latch member 25a: head portion
27: spring 29: front pin 31: rear pin
31a: wire receiving slit 33: wire 41: pin holding knob
41a: pin seating groove 41b: wire passage groove 51: wrist
53: carpel ligament 55: first incision 57: second incision

Claims (8)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튜브의 형태를 취하며 내부에 홀딩공간을 갖는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길이방향 선단부에 위치하며 상기 홀딩공간과 연통하는 가이드통로를 구비한 핀수용부로 이루어진 홀더와;
상기 홀딩공간내에 설치된 상태로 하우징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직선이동 및 축회전이 가능하고 그 후단부는 하우징부의 후방으로 연장되며 중심축부에 제 1와이어통로를 갖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후방에 고정되고 외부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바디부로 전하는 조작부와, 상기 바디부의 전방에 일체를 이루고 상기 핀수용부의 가이드통로 내부로 연장되며 중심축부에 상기 제 1와이어통로와 연통하는 제 2와이어통로를 갖는 푸싱로드부를 구비한 핀푸셔와;
상기 핀수용부의 내부에 대기하는 것으로서, 상기 푸싱로드부의 선단부 전방에 위치하며, 상기 핀푸셔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푸싱로드부에 의해 밀려 핀수용부의 외부로 차례로 밀려나오는 전방핀 및 후방핀과;
상기 전방핀과 후방핀을 연결며 상기 제 1,2와이어통로를 통과해 핀푸셔의 후방으로 연장된 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
A holder having a housing part having a holding space in the form of a tub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in receiving part having a guide path communicating with the holding space, the holder being located at a longitudinal end of the housing part;
A body portion having a rear end portion extending rearwardly of the housing portion and having a first wire passage at a central shaft portion, the body portion being capable of being linearly moved and rot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portion while being installed in the holding space, A push rod portion integrally formed in front of the body portion and extending into the guide passage of the pin accommodating portion and having a second wire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wire passage at the central shaft portion, A pin pusher;
A front pin and a rear pin positioned in front of a distal end portion of the pushing rod portion and pushed by a pushing rod portion and sequentially pushed out of a pin receiving portion when the pin pusher moves forward;
And a wire connected to the front pin and the rear pin and extending to the rear of the pin pusher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wire passages.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의 후단부와 조작부의 사이에는, 홀더에 대한 핀푸셔의 상대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클립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xing clip for fix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pin pusher to the holder is detachably mounted between the rear end of the housing part and the operating part.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은;
상기 하우징부의 후방으로 노출된 바디부를 탄력적으로 감싸죄며, 외력에 의해 바디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부분 원통형 스토퍼부와,
상기 스토퍼부에 고정되며 스토퍼부를 바디부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당겨지는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xing clip includes:
A partially cylindrical stopper part elastically covering the body part exposed to the rear of the housing part and detachable from the body part by an external force,
And an annular portion fixed to the stopper portion and pulled to separate the stopper portion from the body portion.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푸셔와 홀더의 사이에는, 홀더에 대한 핀푸셔의 진입을 두 단계로 구분하여, 상기 전방핀을 1단계로 배출시키고 후방핀을 2단계로 배출시키는 단계조절수단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tep regulating means for dividing the entry of the pin pusher into the holder in two stages and discharging the front pin in one stage and discharging the rear pin in two stages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pin pusher and the holder Carpal ligament cutting device for treating wrist tunnel syndrome.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의 외주면에는, 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1장홈과, 상기 제 1장홈과 연결되며 바디부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연결홈과, 상기 연결홈에 연결되고 바디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제 2장홈으로 이루어진 절곡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계조절수단은;
상기 절곡홈에 끼워지며 절곡홈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래치부재와, 상기 래치부재를 절곡홈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을 래치부재측으로 가압하는 래치지지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 first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 connection groove extending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nd connected to the first groove, and a connection portion connected to the connection groove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A bending groove formed by two grooves is formed,
Said step adjusting means comprising:
A latch member fitted in the bending groove and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nding groove;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latch member toward the bending groove side; and a latch supporting bolt for pressing the spring toward the latch member side Carpal ligament cutting device for treating wrist tunnel syndrom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핀과 후방핀은 동일한 사이즈를 갖는 환봉형부재로서, 상기 와이어의 단부와 결합한 상태로 상기 핀수용부의 내부에 앞 뒤로 직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ont pin and the rear pin are a bar-like member having the same size, and are arranged in series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inside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end portion of the wir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핀수용부의 외부로 배출된 전방핀과 후방핀을 그 내부에 각각 받아들여 고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전방핀 또는 후방핀을 수용하는 핀안착홈과, 상기 핀안착홈을 측부로 개방하며 핀안착홈에 끼워진 전방핀과 후방핀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가 통과할 수 있는 틈을 제공하는 와이어통과홈을 갖는 한 쌍의 핀고정손잡이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front pin and a rear pin, which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in receiving portion,
A pin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front pin or the rear pin; a front pin which is opened to the side of the pin receiving groove and is inserted into the pin receiving groove; and a wire passage groove for providing a gap through which the wire,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pinching knobs having a plurality of pinching knobs.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핀고정손잡이는, 시술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와이어를 그 외주면에 감을 수 있도록 원통의 형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목터널증후군 치료용 수근인대 절단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pin fixing knob has a size that the practitioner can grip by hand and takes the form of a cylinder so that the wire can be woun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re.
KR1020140085006A 2014-07-08 2014-07-08 Carpal ligament cutting device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KR10155457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006A KR101554577B1 (en) 2014-07-08 2014-07-08 Carpal ligament cutting device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5006A KR101554577B1 (en) 2014-07-08 2014-07-08 Carpal ligament cutting device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577B1 true KR101554577B1 (en) 2015-09-21

Family

ID=54248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5006A KR101554577B1 (en) 2014-07-08 2014-07-08 Carpal ligament cutting device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57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5900A1 (en) 2012-04-30 2013-11-07 Joseph Guo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ad transection of a ligament
KR101326763B1 (en) 2012-09-24 2013-11-08 김영재 An apparatus for inserting a medical thread and a surgical procedure kit for inserting a medical thread compri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65900A1 (en) 2012-04-30 2013-11-07 Joseph Guo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ad transection of a ligament
KR101326763B1 (en) 2012-09-24 2013-11-08 김영재 An apparatus for inserting a medical thread and a surgical procedure kit for inserting a medical thread compri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21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 suture thread
US10028736B2 (en) Needle driver
CN110087525B (en) Endoscopic stitching system with external instrument channel
JP2007075613A (en) Treatment appliance cartridge for biological tissue
JP7184548B2 (en) Suture magazine for surgical suture threader
EP3500185B1 (en) Ferrule for use with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uturing device
EP2967546B1 (en) Needle driver
KR101601911B1 (en)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KR101703453B1 (en)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KR101554577B1 (en) Carpal ligament cutting device for treating carpal tunnel syndrome
JP2015192724A (en) Hold releasing device of body tissue holding member
KR20200010846A (en) Double tube for improving operation precision of endoscopic treatment and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JP6294016B2 (en) Endoscope clip
US10398486B2 (en) Articulating wire pas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