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1911B1 -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 Google Patents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1911B1
KR101601911B1 KR1020140158220A KR20140158220A KR101601911B1 KR 101601911 B1 KR101601911 B1 KR 101601911B1 KR 1020140158220 A KR1020140158220 A KR 1020140158220A KR 20140158220 A KR20140158220 A KR 20140158220A KR 101601911 B1 KR101601911 B1 KR 101601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connection port
hook
retaining ring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2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병철
Original Assignee
김병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철 filed Critical 김병철
Priority to KR1020140158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191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1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191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applying or removing wound clamps, e.g. containing only one clamp or staple; Wound clamp magaz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단에 접속구를 갖는 일정길이의 와이어가 내부공에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삽입관을 갖추어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되는 삽입부 ;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길이중앙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구비하는 클립과, 상기 클립의 길이중앙에 걸림배치되도록 삽입되는 고정링과, 상기 클립과 연결되는 제1연결구를 일단에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와 연결되는 제2연결구를 타단에 구비하여 상기 클립과 접속구사이를 연결하는 클립연결체 및 상기 클립과 연결된 클립연결체가 삽입배치되고 상기 클립연결체와 접속구가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구가 안내진입되는 내부공을 갖는 클립스토퍼를 포함하는 클립부 ; 상기 클립이 배치되는 제1수용부를 갖추고, 상기 제1수용부와 연통되어 상기 클립연결체가 삽입된 클립스토퍼가 배치되는 제2수용부를 갖추며, 상기 제2수용부에 배치된 클립스토퍼와 일단이 탄력적으로 접하여 가고정하는 제1후크와 이에 인접하는 제2후크를 상기 제2수용부에 구비하여 상기 클립부를 내부수용하는 카트리지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을 통해 진입되어 상기 클립연결체와 접속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구의 후진에 의한 카트리지로부터 클립부 분리시 상기 제2후크와 접하는 고정링에 의해서 서로 마주하는 집게편의 선단이 접하도록 오므려지는 클립의 오므림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링이 상기 한쌍의 집게편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밀림이동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oscope comprising: an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a channel of an endoscope, the insertion tube having a length of wire having a connection port at a distal end thereof, A clip having a pair of clamp pieces bent at their tips facing each other and having their lengths crossing each other, a retaining ring insert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lip at the center of the length thereof, and a first connector connected to the clip at one end And a second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to connect the clip and the connection port, and a clip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clip is inserted and the connection port is connected to the clip connection member, A clip portion including a clip stopper having an inner hole guided therein;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clip is disposed and a clip stopper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in which the clip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is disposed, and a clip stopper dispos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nd a cartridge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to receive the clip portion, wherein the cartridge is inserted through the inner hole, and the clip connecting body and the connection po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retaining ring contacting the second hook at the time of detaching the clip from the cartridge due to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connection port, So as to be located forward of the intersection where the pieces of the forceps are intersected with each other.

Description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본 발명은 내시경 시술에 사용되는 처치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미세한 힘으로서 신체조직의 정확한 협지가 가능하며, 클립을 원터치로 장착할 수 있어 시술시간을 줄일 수 있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atment instrument for use in endoscopic surgery,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dical instrument which can simplify and simplify the overall structure to reduce the manufacturing cost, enable precise nipping of the body tissue as a minute force, And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the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최근에는 내시경을 이용한 치료내시경 분야는 소화기계 진료영역에서 중요한 분야로 인정되어 있으며,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치료내시경, 즉 내시경 치료술은 초소형 고체촬상소자의 출현으로부터 전자 소자의 소형화, 영상기술의 발전, 워킹채널을 통한 다양한 진단, 치료기술의 발전 및 진료의사의 수기의 숙련에 힘입어 발전하고 있다.Recently, endoscopic treatment endoscopy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field in the field of digestive medicine. Therapeutic endoscopy using endoscopes, that is, endoscopic treatment using an electron microscope,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It is evolving with various diagnoses through channel, development of treatment technology and skill of doctor's skill.

예를 들면, 과거에는 위암 또는 대장암과 같은 경우 외과적 수술 방법에 의존하였으나, 최근에는 내시경의 등장과 더불어 내시경에 구비되는 워킹채널로 삽입되는 처치구를 통하여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ESD :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을 수행함으로써 임상적으로는 진단과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여 조기위암 또는 조기 대장암 등의 내시경적 치료율이 높아지고 있다.For example, in the past, gastric cancer or colorectal cancer was relied on surgical procedures. However, in recent years,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ESD) has been performed through a treatment instrument inserted into a working channel provided with an endoscope, ), The endoscopic treatment rate of early gastric cancer or early colorectal cancer is increasing clinically by performing diagnosis and treatment at the same time.

이러한 내시경 점막하 박리술 또는 내시경 점막절제술(EMR :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시술 시 내시경의 워킹채널을 통하여 삽입되는 처치구에 사용되는 처치용 툴은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Various kinds of treatment tools are used for the treatment tools inserted through the working channel of the endoscope during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or endoscopic mucosal resection (EMR).

즉 처치구를 구성하는 처치바디와 연결되고 내시경에 구비되는 워킹채널에 삽입되는 튜브를 통하여 처치구를 신체 내부로 진입시켜 사용하게 되는 데, 통상적으로 조직의 점막절제에 사용하는 나이프(Knife)와, 점막절제 등의 과정에서 출혈시 지혈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코어귤레이터(Coagulator)와, 절제의 용이성을 제공하도록 조직을 부풀리기 위한 수단으로 식염수 등을 주입하는 데 필요한 약물 주입을 위한 니들(Needle) 및 출혈 등으로 인한 시야 확보의 용이성을 위한 워셔액의 주입 등 다양한 종류의 처치구를 사용하게 된다.In other words, the treatment tool is connected to the treatment body constituting the treatment tool and inserted into the working channel provided in the endoscope, and the treatment tool is used to enter the body. Usually, the knife used for the mucosal resection of the tissue , A core regulator (coagulator) used for hemostasis in the course of mucosal resection and the like, and a needle for injecting the drug necessary for injecting saline or the like as a means for inflating the tissue to provide ease of ablation. And injection of a washer fluid for ease of securing a visual field due to bleeding and the like.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40661호(2013.12.11)에는 접속구를 갖는 와이어가 내부공에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는 삽입관을 갖추어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되는 삽입부와, 선단에 절곡된 집게편이 서로 마주하도록 만곡된 길이중앙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클립과, 접속구와 연결되는 결합구를 형성하도록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클립의 후단에 삽입되는 클립홀더 및 클립홀더의 외부면으로 부터 외측으로 자유단이 벌어진 탄성편과 대응하도록 클립홀더에 조립되는 안내관을 구비하는 클립부 및 상기 한쌍의 클립이 배치되는 클립수용부를 갖추고, 클립수용부와 연통되어 안내관과 수축된 한쌍의 클립이 안내이동되는 안내로를 갖추며, 안내로의 출구에 배치되는 클립스토퍼를 갖추어 클립부를 수용하는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안내로의 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안내관을 클립스토퍼까지 이동시키는 삽입관의 내부면과 접하는 클립홀더의 탄성편을 통해 클립에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서 와이어의 접속구와 결합구간의 결합력이 부여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40661 (Feb. 13, 2013) discloses an insertion tube in which a wire having a connection port is disposed in the inner hole so as to be longitudinally displace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inserted into the channel of the endoscope, A clip holder which is inserted into a rear end of a pair of clips which are crossed with each other to form a coupling hole to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and a clip holder which is fre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lip holder, A clip portion having a guide tube assembled to the clip hold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opened elastic piece, and a clip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pair of the clips are disposed, the pair of shrinkable clips communicating with the clip accommodating portion are guided And a cartridge having a clip stopper disposed at an exit of the guide path to receive the clip portion, Discloses an endoscopic instrument for a treatment tool to which a connection force of a connection port and a coupling section of a wire is given by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to a clip through an elastic piece of a clip holder in contact with an inner surface of an insertion tube to be inserted into a clip stopper have.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구비되는 클립부, 카트리지 는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고, 구성 부품수가 많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절감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However, the clips and cartridges provided in such a conventional endoscopic instrument for treatment instrument have a complicated overall structure and a large number of constituent parts, which has a limitation in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특히, 상기 카트리지 내부에는 안내로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크기를 갖추어 안내로에 배치되어 한쌍의 클립으로부터 분리된 안내관이 삽입되는 일정길이의 봉부재를 구비해야만 하기 때문에 전체적이 구성이 복잡해지고, 오므려진 클립을 카트지로부터 분리이탈하는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미숙련자가 클립을 분리하는 작업을 수행하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Particularly, since the inside of the cartridge must have a rod member having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guide path, and having a ro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which the guide pipe separated from the pair of clips is inserted in the guide path,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eparate and remove the clip from the cart, and it is difficult for the unskilled person to separate the clip.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체적인 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사용 및 취급이 간편하며, 미세한 힘으로도 신체조직의 정확한 협지가 가능하며, 클립을 원터치로 장착할 수 있어 시술시간을 줄일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한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an simplify and simplify the overall structure to reduce manufacturing cost, And a clips can be attached by one-touch, thereby shortening the procedure time and providing an easy-to-use endoscope treatment instrument.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선단에 접속구를 갖는 일정길이의 와이어가 내부공에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삽입관을 갖추어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되는 삽입부 ;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길이중앙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구비하는 클립과, 상기 클립의 길이중앙에 걸림배치되도록 삽입되는 고정링과, 상기 클립과 연결되는 제1연결구를 일단에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와 연결되는 제2연결구를 타단에 구비하여 상기 클립과 접속구사이를 연결하는 클립연결체 및 상기 클립과 연결된 클립연결체가 삽입배치되고 상기 클립연결체와 접속구가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구가 안내진입되는 내부공을 갖는 클립스토퍼를 포함하는 클립부 ; 상기 클립이 배치되는 제1수용부를 갖추고, 상기 제1수용부와 연통되어 상기 클립연결체가 삽입된 클립스토퍼가 배치되는 제2수용부를 갖추며, 상기 제2수용부에 배치된 클립스토퍼와 일단이 탄력적으로 접하여 가고정하는 제1후크와 이에 인접하는 제2후크를 상기 제2수용부에 구비하여 상기 클립부를 내부수용하는 카트리지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을 통해 진입되어 상기 클립연결체와 접속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구의 후진에 의한 카트리지로부터 클립부 분리시 상기 제2후크와 접하는 고정링에 의해서 서로 마주하는 집게편의 선단이 접하도록 오므려지는 클립의 오므림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링이 상기 한쌍의 집게편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밀림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ndoscopic instrument comprising: an insertion part inserted into a channel of an endoscope, the insertion tube having a length of wire having a connection port at a distal end thereof arranged in the inner cavity so as to be longitudinally movable back and forth; A clip having a pair of clamp pieces bent at their tips facing each other and having their lengths crossing each other, a retaining ring insert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lip at the center of the length thereof, and a first connector connected to the clip at one end And a second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to connect the clip and the connection port, and a clip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clip is inserted and the connection port is connected to the clip connection member, A clip portion including a clip stopper having an inner hole guided therein;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clip is disposed and a clip stopper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in which the clip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is disposed, and a clip stopper dispos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nd a cartridge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to receive the clip portion, wherein the cartridge is inserted through the inner hole, and the clip connecting body and the connection por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retaining ring contacting the second hook at the time of detaching the clip from the cartridge due to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connection port, Is moved forward so as to be located forward of the intersection point where the clamp pieces of the end effector cross each other. The.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링은 상기 제1후크와 접하여 상기 클립의 오므림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링이 상기 한쌍의 집게편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밀림이동된다. Preferably, the retaining ring is pushed in such a way that the retaining ring abuts the first hook and remains in the pinched state so that the retaining ring is positioned forward of the intersection where the pair of clamp pieces cross each other.

바람직하게, 상기 한쌍의 집게편은 일단이 절곡된 일정길이의 집게판과, 상기 집게판의 타단으로부터 일정각도 경사지게 일정길이 연장되는 교차판과,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교차판의 일단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휨변형된 연결판을 포함한다. Preferably, each of the pair of clamping pieces includes a clamping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bent at one end thereof, a crossing plat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ther end of the clamping plate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pair of crossing plates, And a connecting plate bent and deformed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while being connected.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집게판과 교차판사이에는 상기 집게판측으로 상기 고정링의 밀림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고정링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폭을 갖추어 상기 고정링이 간섭되어 걸리는 제1걸림턱을 구비한다. Preferably, the clamping plate and the crossing plate have a width that is relatively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clamping ring so as to restrict the jarring movement of the clamping ring toward the clamping plate, Respectively.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교차판과 연결판사이에는 상기 연결판측으로 상기 고정링의 분리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링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폭을 갖추어 상기 고정링이 간섭되어 걸리는 제2걸림턱을 구비한다.Further, preferably, the cross plate and the connecting plate are provided with a width tha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tationary ring to prevent the stationary ring from separating away from the connection plate, Respectively.

바람직하게, 상기 제1연결구는 상기 집게편의 후단에 구비된 연결판의 삽입시 탄력적으로 벌어지는 제1슬릿 및 상기 연결판이 걸림배치되는 제1걸림공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first slit that is elastically opened when the connection plate is inserted at a rear end of the clamp, and a first latch hole that is engaged with the connection plate.

바람직하게,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접속구의 진입시 탄력적으로 벌어지는 제2슬릿 및 상기 접속구가 걸림배치되는 제2걸림공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second connector includes a second slit that elastically flares up when the connection port enters, and a second engagement hol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 is engaged.

바람직하게,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제1분할덮개와 제2분할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후크는 상기 제1,2분할덮개의 외면에 개구형성된 절개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탄성편과, 상기 제1탄성편의 자유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클립스토퍼의 외부면에 탄력적으로 접하거나 클립과 더불어 후진이동되는 고정링과 간섭되는 제1돌출턱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cartridge includes a first partitioning lid and a second partitioning lid to form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first hook has a cut-away surfac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ing lids, And a first protruding protrusion protruded from the free end of the first resilient piece and interfering with the retaining ring that elastically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clip stopper or moves backward together with the clip do.

바람직하게,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제1분할덮개와 제2분할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2후크는 상기 제1,2분할덮개의 외면에 개구형성된 다른 절개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탄성편과, 상기 제2탄성편의 자유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클립과 더불어 후진이동되는 고정링과 간섭되는 제2돌출턱을 포함한다. Preferably, the cartridge includes a first partitioning lid and a second partitioning lid to form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second hook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ing lids, And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free end of the second resilient piece and interfering with the retaining ring moving backward together with the clip.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부는 상기 클립연결체와 접속구간의 결합시 상기 클립스토퍼의 내부공에 압입되어 배치되는 압입체를 상기 와이어에 구비한다.Preferably, the inserting portion is provided with a pressing body that is press-fitted into the inner hole of the clip stopper when the clip connecting body is engaged with the connection section.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부는 상기 압입체의 후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외부면에 배치되는 파지부재를 구비하여 상기클립스토퍼의 내부공 내부로의 압입체의 삽입시 사용자의 파지가 이루어진다.
More preferably, the inserting portion includes a gripping member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pressing body and is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wire, so that the user grips the pressing stopper when the pressing body is inserted into the inner hole of the clip stopper.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1) 클립과 연결된 클립연결체와 더불어 클립스토퍼를 카트리지의 제2수용부에 배치하고, 와이어의 선단에 구비된 접속구를 클립스토퍼의 내부공을 통해 진입시킴으로써, 카트리지의 제1후크에 의해서 위치고정된 클립스토퍼를 통해 진입되는 접속구와 클립연결체를 자연스럽게 연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카트리지의 제1수용부에 배치된 클립을 오므림상태로 전환시키고, 오므림상태를 고정링에 의해서 유지한 채 카트리지로부터 외부로 분리인출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1) The clip stopper is disposed 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of the cartridge together with the clip connector connected to the clip, and the connection port provided at the tip of the wire is inserted through the inner hole of the clip stopper, It is possible to naturally connect the clip connecting body to the connection port that enters through the fixed clip stopper. Therefore, the clip dispos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cartridge is switched to the pinch state and the pinch state is maintained by the retaining ring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peration of separating and withdrawing the cartridge from the cartridge to the outside easily and quickly.

(2) 클립과 연결된 클립연결체를 접속구와 연결된 와이어의 당김력에 의해 카트리지의 제2수용부를 통해 후진이동시키는 과정에서 클립의 교차판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점에 위치하는 고정링과 카트리지의 제1,2후크에 순차적으로 접해짐으로써, 제2수용부내로 진입되면서 오므려진 클립의 오므림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링이 클립의 선단측으로 밀림이동되기 때문에, 클립부를 카트리지 내부로부터 외부로 분리하는 작업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2) a fixing ring located at an intersection where the cross plates of the clips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a first and a second pair of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mbers, respectively, in the process of moving the clip connecting body connected to the clip through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of the cartridge by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port, 2 hooks are sequentially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retaining ring is pushed toward the distal end side of the clip so as to keep the clipped state of the clipped clip as it enters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Therefore, And can be performed quickly.

(3) 클립부와 카트리지의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하고 구성부품수를 줄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3) The overall construction of the clip portion and the cartridge can be simplified, and the number of components can be reduced,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4) 시술시 내시경 채널내로 삽입부와 더불어 삽입되는 클립부는 인체조직을 클립의 집게편으로 보다 섬세하게 협지할 수 있어 내시경 시술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4) Since the clip portion inserted with the insertion portion into the endoscope channel during the procedure can more finely sandwich the human body with the clips of the clip, the endoscopic procedure can be performed accurately and stably.

도 1a 와 도 1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카트리지와 결합된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를 도시한 외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채용되는 클립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d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채용되는 결합구와 결합된 클립부를 카트리지로부터 분리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도 5a 내지 도 5e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에 채용되는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된 클립부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FIGS. 1A and 1B are external views showing an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combined with a cartridg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doscopic instrument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ip unit employed in an endoscopic instrument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to 4D are operational state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ip unit coupled with a coupling member used in an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ed from a cartridge.
5A to 5E are operation state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clip portion separated from the cartridge used in the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also include other element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100)는 삽입부(110), 클립부(120) 및 카트리지(130)를 포함한다. An endoscope treatment instrument device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sertion portion 110, a clip portion 120, and a cartridge 130.

상기 삽입부(110)는 중공관인 일정길이의 삽입관(111)과, 상기 삽입관의 내부공을 통해 외력에 의해서 전후진 왕복이동가능하게 삽입배치되는 조작용 와이어인 일정길이의 와이어(112)로 이루어져 시술시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되는 것이다.The inserting unit 110 includes an insertion tube 11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s a hollow tube, a wire 11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which is an operation wire inserted and retracted back and forth by an external force through an inner hole of the insertion tube, And is inserted into the channel of the endoscope during the procedure.

상기 삽입관(111)은 내시경의 삽입부에 형성되는 만곡부위를 따라 자연스럽게 만곡되도록 전체적으로 가요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립부(120)와 대응하는 삽입관(111)의 단부까지 전진되어 노출되는 와이어(112)의 선단에는 단부가 뾰족한 원추단면상의 접속구(113)를 일체로 구비하며, 상기 접속구와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된 와이어(112)에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후술하는 클립스토퍼(127)의 내부로 압입되어 끼워지는 압입체(114)를 구비할 수 있다. The insertion tube 111 is made of a generally flexible material so as to naturally curve along a curved portion formed in the insertion portion of the endoscope and is advanced to an end portion of the insertion tube 111 corresponding to the clip portion 120 A wire 112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po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s integrally formed with a clip stopper 127 (to be described later) which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n abutting member 114 which is press-fitted into the inside of the pressing member 114.

여기서, 상기 삽입관(111)은 내시경의 처치구 삽입 통과 채널을 삽입 통과 가능한 길이보다도 충분히 길게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압입체(114)는 상기 클립스토퍼(127)의 내부공 후단을 통한 내부진입이 용이하도록 선단 일부에 외경이 작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sertion tube 111 is preferably longer than a length through which the treatment instrument insertion channel of the endoscope can be inserted. The compression body 114 is inserted into the clip stopper 127 through the inner end of the clip stopper 127 It is preferable to form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small outer diameter at a tip portion thereof so as to facilitate entry.

또한, 상기 삽입부(110)는 상기 압입체를 클립스토퍼(127)의 내부공으로의 압입을 위한 사용자의 와이어 취급시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면서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압입체(114)의 후단에 선단이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외부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파지부재(112a)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inserting portion 110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body 114 so as to prevent the user from grasping while easily grasping the user's hand in handling the wire for pushing the pressing body into the inner hole of the clip stopper 127 And at least one gripping member (112a) integrally connected at its distal end and dispos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wire.

이러한 파지부재(112a)는 상기 삽입관(111)의 내경보다는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외경을 갖는 코일형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와이어의 선단 외부면에 구비되고, 상기 파지부재(112a)의 선단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와이어와의 직접적인 용접시 발생할 수 있는 와이어의 단선이나 휨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크기를 갖는 압입체의 후단에 용접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ripping member 112a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istal end of the wire, and the distal end of the gripping member 112a is made of metal It is preferable that the wire is welded to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body having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wire so as to prevent wire breakage or bending deformation which may occur in direct welding with the wire made of the material.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압입체(114)의 후단에 선단이 일체로 연결된 파지부재(112a)를 손가락으로 안전하고 확고히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접속구(113)와 더불어 압입체(114)를 클립스토퍼(127)의 내부공 내부로 진입하는 초기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state, the user pushes the pressing member 114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port 113 to the clip stopper (not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grasps and securely holds the holding member 112a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member 114 with a finger 127 can be performed more easily and quickly.

상기 클립부(120)는 클립(121), 고정링(123), 클립연결체(125) 및 클립스토퍼(127)를 포함하여 상기 카트리지(130)에 내부수용되고, 상기 결합구(113)와 연결된 상태에서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된 다음, 시술부위를 파지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내시경 채널 내로 삽입되는 것이다. The clip portion 120 is received in the cartridge 130 including the clip 121, the fixing ring 123, the clip connector 125 and the clip stopper 127, Is detached from the cartridge in the connected state, and then inserted into the endoscope channel so as to grasp and remove the procedure site.

상기 클립(121)은 선단이 절곡되어 서로 마주하고, 대략 길이중앙이 서로 엇갈려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은 일단에 절곡된 톱니면(122e)을 갖는 일정길이의 집게판(122a)과, 상기 집게판(122a)의 타단으로부터 일정각도 경사지게 일정길이 연장되는 교차판(122b)과,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교차판(122b)의 일단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면서 탄성력을 갖도록 휨변형된 연결판(122c)을 포함한다. The clip 121 includes a pair of clamping pieces 121a and 121b whose front ends are bent and which a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are crossed with each other. The pair of clamping pieces 121a and 121b are bent A pair of intersecting plates 122b intersecting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length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catching plate 122a by a predetermined angle an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ving a toothed surface 122e; And a connecting plate 122c which is bent and deformed so as to have an elastic force while integrally connecting one end of the connecting plate 122c.

상기 클립(121)은 외측으로 벌어져 있던 집게편(121a,121b)간의 근접에 따른 오므림작동시 서로 맞물려 내시경을 통한 시술시 인체조직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한 파지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집게판의 각 단부에 서로 마주하는 톱니부(122e)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lips 121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t the time of the closing operation according to the proximity between the clips 121a and 121b which have been spread outwardly so as to generate gripping force for removing a part of the human body tissue through the endoscope, It is preferable to form serrations 122e facing each other at each end of the plate.

상기 집게판(122a)과 교차판(122b)사이 경계영역에는 카트리지의 내부에서 와이어 당김조작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있던 클립의 오므림전환시 오므려진 집게판(122a)측으로 밀림이동되는 고정링(123)의 움직임을 억제할 수 있도록 상기 고정링(123)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폭을 갖추어 상기 고정링(123)이 간섭되어 걸리는 제1걸림턱(122e)을 외측으로 돌출형성하여 구비한다.A fixing ring 123 (not shown) is provided at a boundary area between the catch plate 122a and the cross plate 122b, which is pivoted toward the catch plate 122a, which is opened when the clip of the clip, which has fanned outward by wire pulling operation,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122e having a width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etaining ring 123 and interfering with the retaining ring 123 is protruded outwardly .

상기 집게판(122a)은 대략 원형공 단면상으로 이루어진 내시경 채널 내부로의 진입시 마찰저항에 의한 채널 내부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대략 호형 단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catching plate 122a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arcuate shape so as to prevent damage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hannel due to frictional resistance upon entry into the endoscope channel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hole cross section.

또한, 상기 교차판(122b)과 연결판(122c)사이의 경계영역에는 상기 교차판(122b)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부위에 위치하는 고정링(123)이 상기 연결판측으로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링(123)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폭을 갖추어 상기 고정링(123)이 간섭되어 걸리는 제2걸림턱(122f)을 외측으로 돌출형성하여 구비한다. In addition,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intersecting plate 122b and the connecting plate 122c, the fixing ring 123 located at the intersection where the intersecting plates 122b intersect with each other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and separated toward the connecting plate And a second locking protrusion 122f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fixing ring 123, the width of which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fixing ring 123 and is interfered with by the fixing ring 123.

여기서, 상기 교차판(122b)의 폭은 서로 마주하여 중첩되는 집게판의 폭크기를 최소화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의 탄성적인 벌림 및 오므림 작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집게판(122a)의 대략 1/2의 크기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width of the cross plate 122b is set such that the pair of the clamp pieces 121a and 121b can be elastically opened and closed in a state in which the width of the clamp plate facing each other is minimiz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provided with a size that is approximately one-half of the size of the catching plate 122a.

상기 고정링(123)은 상기 한쌍의 집게편(121a,121a)으로 이루어진 클립(121)의 오므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클립선단측으로 밀림이동되거나 상기 클립의 길이중앙에 걸림배치되는 대략 원형의 링부재로 구비된다. The fixing ring 123 is pivotally moved toward the tip of the clip so as to maintain the clip 121 of the pair of the clamp pieces 121a and 121a or is held in the center of the clip, Respectively.

이러한 고정링(123)은 서로 교차되는 교차판의 교차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구의 후진시 오므려지는 클립의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한쌍의 집게편의 오므림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The fixing ring 123 i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the intersecting plates intersecting with each other, and is moved forward of the clip which is closed when the connection port is retracted, thereby fixing the pair of clamps.

상기 클립연결체(125)는 상기 클립(121)의 후단이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분리이탈이 곤란하도록 연결되는 제1연결구(125a)를 일단에 형성하고, 상기 접속구(113)가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연결된 상태에서 일정세기의 외력에 의해 분리이탈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제2연결구(125b)를 갖추어 상기 클립(121)과 접속구(113)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이다. The clip connector 125 has a first connector 125a formed at one end thereof so that the rear end of the clip 121 is resiliently inserted to be difficult to separate and separate from the clip connector 125. The connector 113 is elastically inserted And a second connection port 125b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 125b so as to be separated and released by an external force of a predetermined intensity.

상기 제1연결구(125a)는 상기 집게편(121a,121b)의 후단에 구비된 연결판(122c)의 삽입시 탄력적으로 벌어지는 제1슬릿(124a)과, 이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판(122c)이 걸림배치되는 제1걸림공(124b)을 포함하며, 상기 제1슬릿(124a)은 상기 연결판(122c)이 제1걸림공(124b)에 배치될 때 오므림 복원되어 상기 연결판의 분리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클립과 클립연결체간의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 first connector 125a includes a first slit 124a which is elastically opened when the connecting plate 122c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lamping pieces 121a and 121b is inserted and the connecting plate 122c The first slit 124a is pivoted when the connecting plate 122c is disposed in the first latching hole 124b so that the first slit 124a is separated from the first latching hole 124b, So that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lip and the clip connecting body is maintained.

상기 제2연결구(125b)는 원추단면으로 이루어진 접속구(113)의 강제 진입시 탄력적으로 벌어지는 제2슬릿(124c)을 구비하고, 강제진입된 접속구(113)가 걸림배치되는 제2걸림공(124d)을 포함하며, 상기 제2슬릿(124c)은 상기 접속구가 제2걸림공(124d)에 배치될 때 탄성복원되어 결합된 접속구의 분리이탈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접속구(113)와 클립연결체(125)간의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e second connection port 125b has a second slit 124c which is opened when the connection port 113 having a conical section is forcibly opened. The second connection hole 124d, into which the connection port 113 forcibly entered, And the second slit 124c is elastically restored when the connection port is disposed in the second locking hole 124d to prevent separation and release of the connection port, Thereby maintaining the connection state.

여기서, 상기 제2걸림공(124d)은 이에 걸림배치된 접속구(113)의 단면상과 대략 동일한 단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접속구의 외부면 일부를 외부노출시켜 그 걸림배치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클립연결체의 외부면에 개구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second latching hole 124d is formed in substantially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e cross-section of the connection port 113 which is engaged with the second latching hole 124d, and a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ort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상기 클립스토퍼(127)는 상기 클립(120)과 연결된 클립연결체(125)가 와이어의 후진시 선단에 삽입배치되도록 내부공(127a)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제2수용부(132)에 배치되는 일정길이의 중공관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clip stopper 127 penetrates the inner hole 127a so that the clip connector 125 connected to the clip 120 is inserted into the tip of the wire when the wire is retracted, And a hollow tube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이러한 클립스토퍼(127)의 내부공(127a)에는 상기 와이어의 파지부재를 파지한 작업자에 의해서 와이어의 전진시 상기 클립연결체(125)의 후단과 접속구(113)가 서로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구(113)가 일방향으로 안내진입되어 통과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체가 압입배치되는 한편, 상기 와이어의 후진시 상기 접속구와 연결된 클립연결체가 역방향으로 안내진입되어 배치된다. An operator holding the gripping member of the wire is provided at the inner hole 127a of the clip stopper 127 so that the rear end of the clip connector 125 and the connection port 1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lip connector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is guided in a reverse direction when the wire is retracted.

여기서, 상기 내부공(127a)에는 상기 클립연결체(125)의 역방향 안내진입시 그 외부면에 돌출형성된 스토퍼(125c)가 간섭되어 걸리는 내부단턱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inner hole 127a may form an inner step to interfere with the stopper 125c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lip connector 125 when the clip connector 125 is guided in the reverse direction.

한편, 상기 카트리지(130)는 상기 클립(121)과 연결된 클립연결체(125)와, 상기 클립연결체(125)의 후단이 삽입된 클립스토퍼(127)를 포함하는 클립부(120)를 내부수용하는 수용체이다The cartridge 130 includes a clip unit 120 including a clip unit 125 connected to the clip 121 and a clip stopper 127 having a rear end inserted into the clip unit 125, Receptive receptors

이러한 카트리지(130)는 상기 한쌍의 집게편(121a,121b)으로 이루어진 클립(121)이 외측으로 벌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제1수용부(131)를 갖추고, 상기 제1수용부(131)와 연통되고, 상기 클립연결체(125)와 클립스토퍼(127)가 일직선 형태로 연속 배치되어 이들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132)를 포함한다. The cartridge 130 is provided with a first receiving portion 131 in which the clip 121 composed of the pair of the clamp pieces 121a and 121b is disposed in a state of being opened outward,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132 in which the clip connecting body 125 and the clip stopper 127 are continuously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nd accommodated therein.

상기 제1수용부(131)는 상기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을 구성하는 집게판(122a)이 벌림상태로 접하도록 경사진 접촉안내면(131a)을 갖는 대략 마름모형상의 수용공간으로 이루어진다.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31 is formed of a substantially rhombic receiving space having a contact guide surface 131a inclined so that the catching plate 122a constituting the pair of catching pieces 121a and 121b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an open state .

상기 제1수용부(131)에 형성되는 접촉안내면(131a)은 상기 제2수용부(132)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서서히 작아지는 경사면으로 구비됨에 따라, 이에 배치되는 클립부의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은 상기 클립연결체와 연결된 접속구(113)의 당김시 상기 제2수용부(132)로 진입이동되어 상기 접촉안내면에 접하여 이동하면서 벌림상태에서 오므림상태로 자연스럽게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The contact guide surface 131a formed in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31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in which the passage is gradually reduced towar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32. Accordingly, the pair of clamp pieces 121a, 121b can be smoothly switched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by moving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32 and moving in contact with the contact guide surface when the connection port 113 connected to the clip connector is pulled.

이때, 상기 접촉안내면(131a)에는 벌림상태에서 오므림상태로 전환되는 한쌍의 집게편과의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호형 단면상의 돌출턱(131b)을 형성할 수있다. At this time, the contact guide surface 131a may be formed with a protruding protrusion 131b having an arc-shaped cross section so as to reduce frictional resistance between the pair of clamp pieces which are switched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상기 제2수용부(132)는 오므림상태로 전환된 클립(121)과 연결된 클립연결체(125)와 더불어 클립스토퍼(127)의 내부배치 및 와이어의 당김력에 의한 이들 부재의 간편한 외부인출을 위하여 대략 일정길이를 갖는 원형공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32 is provided with a clip connecting body 125 connected to the clip 121 which has been turned into the rimmed state and the inner disposition of the clip stopper 127 and the easy withdrawal of these members due to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It is preferable to provide a circular hol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이러한 카트리지(130)는 상기 제2수용부(132)에 배치된 클립스토퍼(127)의 외부면과 일단이 탄력적으로 접하여 상기 클립스토퍼(127)를 가고정하는 제1후크(133)를 구비하고, 상기 제1후크(133)와 이에 인접하는 제2후크(134)를 상기 제2수용부(132)와 대응하는 외부면에 구비한다. The cartridge 130 has a first hook 133 for temporarily fixing the clip stopper 127 by elastic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clip stopper 127 disposed at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32, The first hook 133 and the second hook 134 adjacent to the first hook 133 ar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32.

이에 따라, 상기 클립스토퍼(127)의 내부공을 통해 진입된 접속구(113)가 상기 제2수용부(132)에 배치된 클립연결체(125)와 접속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121)을 갖는 클립부(120) 전체를 카트리지(130)의 내부로부터 분리인출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손잡이에 연결된 와이어의 당김력에 의해 접속구가 도면상 우측으로 후진하게 되면, 상기 클립의 교차판(122b)이 서로 교차되는 부위에 위치하고 있던 고정링(123)이 상기 카트리지의 제2후크(134)에 간섭되어 걸리게 된다. The connection port 113 that is inserted through the inner hole of the clip stopper 127 is connected to the clip connection member 125 dispos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132, When the connection port is moved back to the right side in the drawing by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connected to the operation handle so that the entire clip portion 120 is pulled out from the inside of the cartridge 130, the cross plate 122b of the clip The stationary ring 123, which is located at the intersection with each other, is interfered with the second hook 134 of the cartridge.

연속하여, 상기 접속구와 더불어 후진이동되는 클립(121)에 대하여 상기 제2후크(134)에 간섭된 고정링(123)의 위치변화가 없기 때문에 상기 고정링은 상기 한쌍의 집게편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상대적으로 밀림이동되는 것이다.Since there is no change in the position of the fixing ring 123 interfering with the second hook 134 with respect to the clip 121 which is moved backward with the connection port, the fixing ring is positioned at the intersection point where the pair of clamp pieces cross each other So that they are relatively moved forward.

이로 인하여, 상기 제2후크(134)와 접하여 클립측으로 상대이동된 고정링(123)에 의해서 서로 마주하는 집게편(121a,121b)의 선단이 접하도록 오므려지는 클립의 오므림상태를 상기 제2수용부(132)내에서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클립을 클립스토퍼와 더불어 카트리지로부터 분리이탈하는 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As a result, the state of the clip, in which the tips of the clamping pieces 121a and 121b facing each other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fixing ring 123 mov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hook 134 relative to the clip, 2 accommodating portion 132, it is possible to smoothly carry out the operation of separating and releasing the clip from the cartridge together with the clip stopper.

한편, 상기 카트리지(130)는 상기 제1수용부(131)와 제2수용부(132)를 서로 마주하는 내측면에 함몰형성하여 상하합형되는 제1,2분할덮개(130a,130b)로 이루어지고, 서로 마주하는 제1,2분할덮개의 내측면에는 합형시 대응조립되어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조립핀(139)을 돌출형성하거나 조립홈(138)을 함몰형성한다.The cartridge 130 includes first and second partition covers 130a and 130b that are vertically and integrally formed by recessing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3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32 on the inner side facing each other A plurality of assembly pins 139 are formed to protrude or sink into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ing lids facing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제1후크(133)와 제2후크(134)는 상기 제1,2분할덮개(130a,130b)의 외부면에 서로 인접하도록 각각 구비되는바, 상기 제1후크(133)는 상기 제1,2분할덮개의 외면에 개구형성된 절개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탄성편(133a)과, 상기 제1탄성편(133a)의 자유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클립스토퍼의 외부면에 함몰형성된 걸림홈(127b)에 탄력적으로 접하거나 후진이동되는 클립과 더불어 고정링(123)과 간섭되는 제1돌출턱(133b)을 포함한다. The first hook 133 and the second hook 134 are disposed adjacent to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covers 130a and 130b, A first elastic piece 133a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cut surfac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plit covers and a second elastic piece 133b protruding from the free end of the first elastic piece 133a, And a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33b interfering with the retaining ring 123, as well as a clip elastically contacting or moving backwardly with the formed locking protrusion 127b.

상기 제2후크(134)는 상기 제1,2분할덮개의 외면에 개구형성된 다른 절개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탄성편(134a)과, 상기 제2탄성편(134a)의 자유단으로부터 제2수용부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클립과 더불어 후진이동되는 고정링(123)과 간섭되는 제2돌출턱(134b)을 포함한다. The second hook 134 includes a second elastic piece 134a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nother cut surfac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plit covers and a second elastic piece 134b extending from the free end of the second elastic piece 134a And a second protruding protrusion 134b protruding from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side and interfering with the fixing ring 123 moved backward together with the clip.

상기 제1후크(133)의 제1돌출턱(133b)과 제2후크(134)의 제2돌출턱(134b)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2탄성편의 각 자유단에 구비되어 상기 클립부와 더불어 후진이동되는 고정링과 순차적으로 간섭되는 것이다.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s 133b of the first hook 133 and the second protruding protrusions 134b of the second hook 134 are formed on the free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pieces, And is sequentially interfered with the stationary ring moved backward together with the clip portion.

상기 제1후크(133)와 제2후크(134)는 클립과 더불어 제2수용부의 내부를 후진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고정링과의 순차적인 간섭시 걸림력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제1,2분할덮개(130a,130b)로 이루어지는 카트리지의 제2수용부를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며, 상기 제1후크(133)는 상기 카트리지의 제2수용부에 배치된 클립스토퍼(127)의 외부면에 함몰형성된 걸림홈에 제1돌출턱(133b)이 접하여 고정대기한다. The first hook 133 and the second hook 134 are engaged with the first and second hooks 134 and 134 so as to generate a hooking force during sequential interference with the retaining ring during backward movement of the clip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first hook 133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lip stopper 127 disposed 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of the cartridge, The first protruding protrusion 133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ormed latching groove and stands by for fixing.

상기한 구성을 갖는 내시경 처치구(100)를 이용하여 내시경 수술을 위해서 상기 카트리지(130)의 내부에서 클립(121)을 포함하는 클립부를 와이어(112)의 선단에 구비된 접속구와 접속연결하는 작업은 먼저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을 갖는 클립(121)이 벌림상태로 카트리지의 제1수용부(131)에 배치되고, 제2수용부(132)에는 클립과 연결된 클립연결체(125)와 더불어 클립스토퍼(127)를 배치한 카트리지(130)를 준비한다. A clip portion including a clip 121 is connected and connected to a connection port provided at the tip of the wire 112 inside the cartridge 130 for endoscopic surgery using the endoscope treatment tool 100 having the above- As shown in Fig. 4A, a clip 121 having a pair of clamping pieces 121a and 121b is disposed in a first receiving portion 131 of the cartridge in a state of being opened,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132 The cartridge 130 in which the clip stopper 127 is disposed together with the clip connector 125 connected to the clip is prepared.

그리고, 상기 와이어(112)가 전후진 왕복이동가능하게 조립된 삽입관(111)은 상기 와이어(112)의 선단에 구비된 접속구(113)가 클립스토퍼(127)를 통해 진입되도록 상기 카트리지(130)에 구비된 제2수용부의 입구에 대기한다. The insertion tube 111 in which the wire 112 is assembled so as to reciprocate forward and backward is connected to the cartridge 130 so that the connection port 113 provided at the tip of the wire 112 enters through the clip stopper 127 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이러한 상태에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관의 후단에 와이어의 전후진 작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조작손잡이를 이용하여 상기 접속구(113)가 클립스토퍼(127)의 내부공을 통해 진입되어 상기 클립연결체(125)의 후단에 형성된 제2연결구(125b)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면, 상기 제2연결구에 구비되는 제2슬릿(124c)과 제2걸림공(123d)에 의해서 상기 접속구는 제2연결구의 제2걸림공에 걸림배치되어 상기 클립연결체과 접속연결됨과 동시에 이를 매개로 하여 클립과 연결되는 것이다.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4B, the connection port 113 is inserted through the inner hole of the clip stopper 127 by using the operation handl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tube so that the wire can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The second connecting hole 125b formed in the rear end of the clip connecting body 125 is elastically inserted into the second connecting hole 125b by the second slit 124c and the second connecting hole 123d, And the clip is connected to the clip and is connected to the clip through the clip.

이러한 접속구와 클립연결체간의 접속연결작업은 상기 클립스토퍼(127)가 상기 제2수용부(132)와 대응하는 카트리지의 외부면에 구비된 제1후크(133)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접하여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클립스토퍼(127)의 내부공에는 접속구가 클립연결체와 접속연결되도록 통과됨과 동시에 그 후단에 구비된 압입체(114)가 압입되어 배치된다. The connection and connection operation between the connection port and the clip connection body is performed such that the clip stopper 127 elastically contacts and is fixed by the first hook 133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artridg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ccommodation portion 132 And the connection port is passed through the inner hole of the clip stopper 127 so as to be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the clip connection body, and at the same time, the pressing body 114 provided at the rear end thereof is press-fitted.

연속하여, 상기 클립연결체(125)와 접속연결된 접속구(113)가 도 4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손잡이와 연결된 와이어의 당김력에 의해서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후진되면, 상기 제1수용부(131)내에 배치된 한쌍의 집게편(121a,122a)으로 이루어진 클립(121)은 제1수용부와 연통되는 제2수용부내로 진입되면서 벌림상태에서 오므림상태로 자연스럽게 전환하게 된다. When the connection port 113 connected to the clip connector 125 is retracted to the right in the drawing by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connected to the operation handle as shown in FIG. 4C, The clip 121 formed of a pair of the clamp pieces 121a and 122a dispos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31 enters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smoothly switches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즉, 상기 제1수용부(131)의 접촉안내면(131a)은 상기 제2수용부(132)측으로 갈수록 통로가 서서히 작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접촉안내면에 접하여 외측으로 벌어져 있던 집게편(121a,121b)은 접촉안내면을 따라 이동되면서 대략 원형공 형태로 이루어진 제2수용부(132)내로 진입되어 자연스럽게 오므려지게 된다. That is, since the contact guide surface 131a of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31 is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gradually becoming smaller toward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32 side, the clamping piece 131a,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guide surface, 121a, and 121b are moved along the contact guide surface and enter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32 having a substantially circular hole shape, and are naturally closed.

이때, 상기 클립(121)의 서로 교차하는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의 길이중간에 위치하고 있던 고정링(123)은 상기 제2수용부(132)와 대응하는 카트리지의 외부면에 형성된 제2후크(134)의 제2돌출턱(134b)에 먼저 걸리게 되어 후진이동되는 클립에 대하여 정지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the fixing ring 123 positioned at the middle of the length of the pair of clamping pieces 121a, 121b of the clip 121 intersects with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32, 2 hook 134 and is stopped relative to the clip which is moved backward.

즉, 상기 고정링(123)이 상기 제2후크의 단부와 접하여 걸린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122)의 당김력에 기인하는 접속구의 후진이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계속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클립연결체(125)를 매개로 접속구와 연결된 클립(121)은 서로 마주하는 집게편의 단부가 서로 접해진 오므림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수용부를 통해 클립스토퍼와 더불어 후진이동되는 반면에 상기 고정링은 제2후크에 의해서 정지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retraction of the connection port due to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122 is continued in the right direction in the figure while the fixing ring 123 is in contact with the end portion of the second hook, 125 are moved backwardly with the clip stopper through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while the end portions of the clamping members facing each other are hel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hook is maintained in the stopped state.

이러한 경우, 상기 제2후크(134)의 제2돌출턱과의 접촉에 의해 위치고정된 고정링(123)에 대하여 상기 클립의 상대적인 후진이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고정링은 상기 클립의 집게판과 교차판사이의 경계영역에 형성되는 제1걸림턱에 의해서 걸릴 때까지 상기 한쌍의 집게편이 서로 교차되는 교차점보다 클립 선단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수용부(132)내에서 오므려진 클립의 오므림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In this case, if the relative retraction of the clip relative to the stationary ring 123 is achieved by contact with the second projection 134 of the second hook 134, The pair of clamp pieces are moved to the clip front side more than the intersection where the pair of clamp pieces cross each other until the first pair of clamp pieces are caught by the first latching jaws formed in the boundary region of the cross yarn yarns, .

연속하여, 상기 클립(121)의 오므림상태를 유지하도록 한쌍의 집게편측으로 고정링(123)이 밀림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부(120)는 상기 제2후크(134)와 고정링(123)간에 발생하는 걸림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와이어의 당김력에 의해서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좀더 후진되면서 상기 제2수용부를 통과하여 카트리지의 내부로부터 완전 분리되는 것이다. The clip portion 120 is mov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hook 134 and the retaining ring 123 are moved in a state in which the retaining ring 123 is moved to the pair of clamping pieces so as to maintain the clip state of the clip 121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cartridge by being pulled backward by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relatively larger than the holding force generated betwee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이때, 상기 클립부(120)가 카트리지의 내부로부터 완전분리되기 전, 상기 고정링(123)은 도 4d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후크부의 제1돌출턱과 접하여 통과하면서 2차로 클립측으로 밀림이동되면서 상기 클립(121)의 오므림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외력을 가일층 부여하게 된다. At this time, before the clip portion 12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inside of the cartridge, the fixing ring 123 passes through the first protruding jaw of the first hook portion, as shown in FIG. 4D, An external force for holding the clip 121 of the clip 121 is increased.

한편,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된 클립부(120)를 내시경 채널을 통해 삽입한 다음, 시술부위를 제거하기 위한 클립핑 작동은 도 5a 와 도 5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립(121)은 고정링(123)에 의해서 오므림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클립스토퍼(127)의 내부공에 압입체(114)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를 도면상 우측으로 당기면 상기 클립스토퍼의 후단과 상기 삽입관의 선단이 서로 접해지게 된다. 5A and 5B, the clipping operation for removing the procedure site after inserting the clip unit 120 separated from the cartridge through the endoscope channel is performed by moving the clip 121 When the wire is pulled to the right in the figure with the pressing body 114 disposed in the inner hole of the clip stopper 127, the rear end of the clip stopper and the tip of the insertion tube Respectively.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112)를 통해 클립연결체(125)를 매개로 연결된 클립(121)에 대한 당김력이 추가로 인가되면, 상기 클립연결체와 더불어 이에 연결된 클립의 후단이 클립스토퍼(127)의 내부공 선단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클립의 교차판과 연결판사이의 경계영역과 상기 클립스토퍼의 선단 내주면이 접해지게 된다. In this state, when a pulling force is further applied to the clip 121 connected via the clip 112 through the wire 112, the rear end of the clip, which is connected to the clip 112, 127,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cross plate of the clip and the connecting plate yarn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ading end of the clip stopper.

이때, 상기 경계영역과 클립스토퍼간의 접촉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한쌍의 집게편은 외측으로 강제로 벌어지게 되어 벌림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상기 고정링(123)은 서로 교차하는 교차판의 교차부위로 위치이동되어 클립의 오르림상태를 유지하는 고정력을 상실하게 된다. At this time, due to the external force generated due to the contact between the boundary region and the clip stopper, the pair of clamp pieces are forcibly opened outward, and are switched to the open state, It is moved to the intersection position and the fixation force for maintaining the clip state is lost.

또한, 인체조직을 파지하여 제거하는 내시경 시술은 도 5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클립(121)의 한쌍의 집게편이 양측으로 벌어지고, 상기 클립연결체가 클립스토퍼의 내부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시술자가 상기 삽입관(111)의 후단에 구비되는 조작손잡이를 이용하여 와이어(112)를 삽입관내에서 섬세하게 전후진시키는 조작에 의해서 수행된다. As shown in FIG. 5C, in the endoscopic procedure for gripping and removing the human tissue, in a state in which a pair of clamp pieces of the clip 121 are spread to both sides and the clip connector is inserted into the inner hole of the clip stopper, The operation is performed by an operator using a manipulating knob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insertion tube 111 to finely advance and retract the wire 112 in the insertion tube.

즉, 상기 와이어의 당김력에 의해서 접속구를 후진(도면상 우측)시키면, 상기 클립스토퍼의 내부공내로 연결판이 진입되면서 상기 집게편이 오므려지고, 오므려지는 한쌍의 클립 선단의 집게편에 의해서 생체조직을 클램핑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when the connection port is moved backward (right side in the drawing) by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the connecting plate enters the inner hole of the clip stopper, the gripper piece is pinched and the gripper of the pair of clip ends You can clamp the tissue.

그리고, 상기 클립과 더불어 클립연결체(125)는 도 5d 에 도시한 바와 같이,클립스토퍼의 내부공 내부로 진입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링이 클립스토퍼의 선단에 접하여 전방으로 밀림이동되기 때문에 벌어져 있던 한쌍의 집게편(121a,121b)은 도면상 좌측으로 밀림이동되는 고정링에 의해서 오므림상태를 유지하면서 생체조직을 클램핑하여 간편하게 취출할 수 있는 것이다. 5D, the clip connecting body 125, together with the clip, enters the inner hole of the clip stopper, and at the same time, since the holding ring is pushed forward in contact with the tip of the clip stopper, 121b can be easily taken out by clamping the living tissue while keeping the clamped state by the retaining ring which is moved to the left in the drawing.

최종적으로, 내시경 채널로부터 인출된 클립부(120)를 클립연결체와 더불어 와이어의 접속구(113)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은 도 5e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삽입관 내의 와이어를 다시 한번 더 후진(도면상 우측)시키면, 상기 클립연결체의 제2연결구에 접속구가 걸림배치된 걸림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당김력에 의해서 상기 접속구(113)가 강제분리 이탈됨으로써 인체조직을 클립핑한 클립부(120)를 내시경 채널의 외부에서 간편하게 분리제거하여 생체조직을 수거할 수 있는 것이다. Finally,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clip portion 120 pulled out from the endoscope channel from the connection port 113 of the wire together with the clip connector is performed as follows. As shown in FIG. 5E, The connection port 113 is forcibly separated and separated by a pulling force relatively larger than a hooking force at which the connection port is hooked to the second connection port of the clip connection member,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moved from the outside of the endoscope channel, thereby collecting the living tissu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10 : 삽입부
111 : 삽입관
112 : 와이어
113 : 접속구
114 : 압입체
120 : 클립부
121 : 클립
121a,121b : 집게편
122a : 집게판
122b : 교차판
122c : 연결판
123 : 고정링
124a,124c : 제1,2슬릿
124b,124d : 제1,2걸림공
125 : 슬릿연결체
125a,125b : 제1,2연결구
127 : 클립스토퍼
130 : 카트리지
130a,130b : 제1,2분할덮개
131 : 제1수용부
132 : 제2수용부
133 : 제1후크
134 : 제2후크
110:
111: Insertion tube
112: wire
113:
114:
120: Clip section
121: Clip
121a and 121b:
122a:
122b: cross plate
122c: connection plate
123: Retaining ring
124a, 124c: first and second slits
124b, 124d: first and second fastening holes
125: Slit connector
125a and 125b:
127: clip stopper
130: Cartridge
130a, 130b:
131: First accommodating portion
132: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133: first hook
134: second hook

Claims (11)

선단에 접속구를 갖는 일정길이의 와이어가 내부공에 길이방향으로 전후진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삽입관을 갖추어 내시경의 채널로 삽입되는 삽입부 ;
선단이 서로 마주하도록 절곡되고, 길이중앙이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집게편을 구비하는 클립과, 상기 클립의 길이중앙에 걸림배치되도록 삽입되는 고정링과, 상기 클립과 연결되는 제1연결구를 일단에 구비하고, 상기 접속구와 연결되는 제2연결구를 타단에 구비하여 상기 클립과 접속구사이를 연결하는 클립연결체 및 상기 클립과 연결된 클립연결체가 삽입배치되고 상기 클립연결체와 접속구가 연결되도록 상기 접속구가 안내진입되는 내부공을 갖는 클립스토퍼를 포함하는 클립부 ;
상기 클립이 배치되는 제1수용부를 갖추고, 상기 제1수용부와 연통되어 상기 클립연결체가 삽입된 클립스토퍼가 배치되는 제2수용부를 갖추며, 상기 제2수용부에 배치된 클립스토퍼와 일단이 탄력적으로 접하여 가고정하는 제1후크와 이에 인접하는 제2후크를 상기 제2수용부에 구비하여 상기 클립부를 내부수용하는 카트리지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공을 통해 진입되어 상기 클립연결체와 접속구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접속구의 후진에 의한 카트리지로부터 클립부 분리시 상기 제1후크와 제2후크와 순차적으로 접하는 고정링에 의해서 서로 마주하는 집게편의 선단이 접하도록 오므려지는 클립의 오므림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링이 상기 한쌍의 집게편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밀림이동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제1수용부와 제2수용부를 형성하도록 제1분할덮개와 제2분할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제1후크는 상기 제1,2분할덮개의 외면에 개구형성된 절개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탄성편과, 상기 제1탄성편의 자유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클립스토퍼의 외부면에 탄력적으로 접하거나 클립과 더불어 후진이동되는 고정링과 간섭되는 제1돌출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2후크는 상기 제1,2분할덮개의 외면에 개구형성된 다른 절개면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탄성편과, 상기 제2탄성편의 자유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클립과 더불어 후진이동되는 고정링과 간섭되는 제2돌출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An insertion portion inserted into a channel of the endoscope, the insertion portion having a wire having a connection port at its distal end, the insertion tube being arranged to be longitudinal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hole;
A clip having a pair of clamp pieces bent at their tips facing each other and having their lengths crossing each other, a retaining ring inserted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lip at the center of the length thereof, and a first connector connected to the clip at one end And a second connection por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ort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to connect the clip and the connection port, and a clip connection member connected to the clip is inserted and the connection port is connected to the clip connection member, A clip portion including a clip stopper having an inner hole guided therein;
And a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having a first accommodating portion in which the clip is disposed and a clip stopper in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and in which the clip connecting member is inserted is disposed, and a clip stopper disposed in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And a cartridge having a first hook and a second hook adjacent to the first hook 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to receive the clip portion therein,
Wherein the first hook and the second hook are engaged with each other by a fixing ring which sequentially contacts the first hook and the second hook when the clip is detached from the cartridge due to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connection port in a state where the clip connecting body and the connection port are connected, The retaining ring is pivoted so as to be located forward of the intersection point where the pair of clamp pieces cross each other so as to maintain the clip state of the clip held in contact with the tip,
Wherein the cartridge includes a first partitioning lid and a second partitioning lid to form the first contain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taining portion,
The first hook includes a first elastic piec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cut surfac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plit covers and a second elastic piece protruding from the free end of the first elastic piece, And a first protruding jaw interfering with a retaining ring which is abutted or moved back with the clip,
The second hook includes a second elastic piece extending a certain length from another cut surface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split covers and a second elastic piece protruding from the free end of the second elastic piece, And a second protruding jaw interfering with the second protruding jaw.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은 상기 제1후크와 접하여 상기 클립의 오므림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고정링이 상기 한쌍의 집게편이 서로 교차하는 교차점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밀림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taining ring is moved in such a manner that the retaining ring is positioned forward of an intersection point where the pair of clamp pieces cross each other so as to maintain the clip in contact with the first hoo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집게편은 일단이 절곡된 일정길이의 집게판과, 상기 집게판의 타단으로부터 일정각도 경사지게 일정길이 연장되는 교차판과, 서로 교차되는 한쌍의 교차판의 일단을 서로 일체로 연결하면서 탄성력을 발생시키도록 휨변형된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clamping pieces may include a clamping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bent at one end thereof, a crossing plate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other end of the clamping plate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pair of crossing plates crossing each other, And a connecting plate bent and deformed so as to generate the elastic for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집게판과 교차판사이에는 상기 집게판측으로 상기 고정링의 밀림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고정링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폭을 갖추어 상기 고정링이 간섭되어 걸리는 제1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lamping plate and the crossing plate have a first latching jaw which has a width tha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etaining ring so as to limit the jarring movement of the retaining ring to the jaw plate side, Wherein the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is an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교차판과 연결판사이에는 상기 연결판측으로 상기 고정링의 분리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링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폭을 갖추어 상기 고정링이 간섭되어 걸리는 제2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the second engaging jaw is provided with a width tha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retaining ring to prevent the retaining ring from separating away from the coupling plate, Wherein the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is an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구는 상기 집게편의 후단에 구비된 연결판의 삽입시 탄력적으로 벌어지는 제1슬릿 및 상기 연결판이 걸림배치되는 제1걸림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onnector includes a first slit which is elastically opened when the connection plate is inserted into the rear end of the clamp, and a first latch hole which is engaged with the connection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구는 상기 접속구의 진입시 탄력적으로 벌어지는 제2슬릿 및 상기 접속구가 걸림배치되는 제2걸림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 includes a second slit that elastically opens when the connection port enters, and a second engagement hole in which the connection port is engag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클립연결체와 접속구간의 결합시 상기 클립스토퍼의 내부공에 압입되어 배치되는 압입체를 상기 와이어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er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wire with a pressing body which is press-fitted into the inner hole of the clip stopper when the clip connecting body and the connection section are engag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압입체의 후단에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외부면에 배치되는 파지부재를 구비하여 상기클립스토퍼의 내부공 내부로의 압입체의 삽입시 사용자의 파지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처치구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inserting portion includes a gripping member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pressing body and is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wire so that the user is gripped when the pressing body is inserted into the inner hole of the clip stopper. Equipment for treatment.
KR1020140158220A 2014-11-13 2014-11-13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KR10160191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220A KR101601911B1 (en) 2014-11-13 2014-11-13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220A KR101601911B1 (en) 2014-11-13 2014-11-13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1911B1 true KR101601911B1 (en) 2016-03-09

Family

ID=55537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220A KR101601911B1 (en) 2014-11-13 2014-11-13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1911B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631B1 (en) * 2016-12-23 2017-11-03 (주) 태웅메디칼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KR101999525B1 (en) * 2019-02-01 2019-07-12 (주) 태웅메디칼 Connecting device and endoscope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WO2020159273A1 (en) * 2019-02-01 2020-08-06 (주)태웅메디칼 Cartridge, and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comprising same
KR20210004645A (en) * 2019-07-05 2021-01-13 (주) 태웅메디칼 Cartridge and endoscope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CN113365565A (en) * 2019-01-30 2021-09-07 奥林巴斯株式会社 Clip box, medical apparatus, and method of mounting medical apparatu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485B2 (en) * 1986-12-12 1993-07-09 Hitachi Ltd
KR100832957B1 (en) * 2004-12-07 2008-05-27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system, and cartridge containing the treatment instrument
JP4591433B2 (en) * 2006-10-11 2010-12-0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Clip device
JP5045485B2 (en) 2008-02-18 2012-10-1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Endoscope clip attachment
KR101340661B1 (en) * 2013-06-27 2013-12-11 김병철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485B2 (en) * 1986-12-12 1993-07-09 Hitachi Ltd
KR100832957B1 (en) * 2004-12-07 2008-05-27 올림푸스 가부시키가이샤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system, and cartridge containing the treatment instrument
JP4591433B2 (en) * 2006-10-11 2010-12-01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Clip device
JP5045485B2 (en) 2008-02-18 2012-10-10 日本ゼオン株式会社 Endoscope clip attachment
KR101340661B1 (en) * 2013-06-27 2013-12-11 김병철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3631B1 (en) * 2016-12-23 2017-11-03 (주) 태웅메디칼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WO2018117737A1 (en) * 2016-12-23 2018-06-28 (주)태웅메디칼 Endoscope treatment tool device
CN113365565A (en) * 2019-01-30 2021-09-07 奥林巴斯株式会社 Clip box, medical apparatus, and method of mounting medical apparatus
CN113365565B (en) * 2019-01-30 2024-06-11 奥林巴斯株式会社 Clamp box, medical equipment and medical equipment mounting method
KR101999525B1 (en) * 2019-02-01 2019-07-12 (주) 태웅메디칼 Connecting device and endoscope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WO2020159273A1 (en) * 2019-02-01 2020-08-06 (주)태웅메디칼 Cartridge, and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comprising same
KR20210004645A (en) * 2019-07-05 2021-01-13 (주) 태웅메디칼 Cartridge and endoscope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KR102218943B1 (en) 2019-07-05 2021-02-23 (주) 태웅메디칼 Cartridge and endoscope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6262B2 (en) Devices for approximating tissue and related methods of use
CN109953800B (en) Chute type multi-arm clamp
JP4526521B2 (en) Biological tissue treatment device cartridge
JP4624485B2 (en) Suture device and suture system
JP4980887B2 (en) Suture device
KR101601911B1 (en)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US20020065526A1 (en) Suturing instrument and method
US20190231353A1 (en) Hemostasis clip
JP602306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a suture
JP2003038495A (en) Endoscopic suturing tool
US9693769B2 (en) Suture device
KR101340661B1 (en)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US10390818B2 (en) Ferrule for use with a minimally invasive surgical suturing device
KR101703453B1 (en)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KR101793631B1 (en)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WO2019066084A1 (en) Pull clip for endoscope
KR101667744B1 (en) Disposable Integral Clip Treatment Device for Endoscope
JP2015008858A (en) Endoscope clip
WO2010068739A1 (en) Clip for handling an endoscopic device
KR101511086B1 (en) Closed loop clip Hemostic apparatus with built-in inner forceps
EP3420924B1 (en) Needle holder for endoscope, suture set, and suture system
KR102218943B1 (en) Cartridge and endoscope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KR101999525B1 (en) Connecting device and endoscope treatment device having the same
JP2018061672A (en) Indwelling clip
KR102545614B1 (en) clip extra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