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4005B1 -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 - Google Patents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4005B1
KR101554005B1 KR1020150072703A KR20150072703A KR101554005B1 KR 101554005 B1 KR101554005 B1 KR 101554005B1 KR 1020150072703 A KR1020150072703 A KR 1020150072703A KR 20150072703 A KR20150072703 A KR 20150072703A KR 101554005 B1 KR101554005 B1 KR 101554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antenna
feeder
tilting
ais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호
김도준
오경훈
김광호
오용석
Original Assignee
(주)링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링크텍 filed Critical (주)링크텍
Priority to KR1020150072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40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4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4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0Systems for transmission between fixed stations via two-conductor transmission l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orientation by switching energy from one active radiating element to another, e.g. for beam swi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20Reducing echo effects or singing; Opening or closing transmitting path; Conditioning for transmission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 H04B3/21Reducing echo effects or singing; Opening or closing transmitting path; Conditioning for transmission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using a set of band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5Selecting relay station antenna mode, e.g. selecting omnidirectional -, directional beams, selecting polariz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다중대역 기지국 시스템에서 하나의 급전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기지국과 각 안테나를 연결하여 각 대역의 데이터를 전송함과 아울러, 각 안테나의 틸팅을 제어하기 위한 안테나 제어신호도 함께 전송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중대역 이동통신데이터를 처리하는 각 대역별 기지국(BTS); 각 대역별 기지국과 급전선으로 연결된 각 대역의 안테나; 대역별 안테나의 각 이동통신데이터를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하여 해당 대역의 기지국 통신하며, 각 대역별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를 해당 대역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안테나를 제어하는 제1급전선공유부; 및 대역별 기지국의 각 이동통신데이터를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하여 제1급전선공유부를 통해 해당 안테나와 통신하며, 각 대역별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를 결합하여 제1급전선공유부를 통해 해당 안테나의 틸팅을 제어하는 제2급전선공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 {Feeder Cable Sharing Apparatus for Multiband Combine and Antena Tilting at Multiband BTS System}
본 발명은 다중대역 기지국 시스템에서 다중대역결합과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급전선(feeder cable)을 이용하여 다수의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과 각 안테나를 연결하여 각 대역의 데이터를 전송함과 아울러, 각 안테나의 틸팅(Tilting)을 제어하기 위한 안테나 제어신호도 함께 전송하도록 하는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지국과 중계기를 이용한 이동통신망 시스템은 자신이 관할하는 영역에서 이동통신단말기와의 음성 또는 데이터 송수신이 원활하도록 각 지역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기지국시스템은 다양한 대역의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해야 함에 따라, 기지국시스템은 하나의 구조물(철탑)에 다중 대역 기지국장비들과 각 대역에 해당하는 다수의 안테나가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기지국 중계시스템은 멀티서비스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LTE(Long Term Evolution), WiFi, WiBro, WiMax 등의 서비스 지원하며, 다중대역으로 800MHz, 1.8GHz, 2.1GHz, 2.6GHz 등을 처리하도록 중계시스템과 원격안테나장치를 운용하고 있다.
즉, 각 대역의 기지국장비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안테나까지 전달하거나, 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를 기지국 장비로 전달하기 위하여 기지국 장비와 안테나 간에 급전선이 포설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지국 안테나와 해당 기지국간의 개략적인 연결구성도로서, 하나의 구조물에 이동통신기기 또는 다른 기지국과의 무선통신을 위한 각 대역별로 구비된 다수개의 안테나(11~14)와, 상기 각 안테나(11~14)를 통해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중계하는 각 기지국(41~44)로 구성되며, 상기 각 안테나(11~14)와 각 기지국(41~44)은 각각 급전선(51~54)으로 연결되어 통신을 수행한다.
한편, 현재 이동통신시스템은 2세대, 3세대, 4세대 등 다세대 통신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LTE 대용량 서비스를 위해 기존 2세대, 3세대 사용주파수 대역을 LTE 서비스로 변경하고 있어, 이에 따른 신규 기지국의 설치가 필요하며, 또한 기존 통신 서비스의 품질향상 및 음영지역 해소를 위한 기지국의 추가 설치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각각의 기지국 및 각각의 안테나 마다 급전선을 포설하게 되면, 신규 지지국 설치시 급전선 포설 비용 부담이 크고, 현재 건물 옥상 또는 철탑에는 여러 통신 사업자에 의해 여러 기지국들이 공용으로 설치되고 있어 급전선의 설치 공간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건물의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컴바이너 및 이러한 컴바이너를 이용한 다중 대역 기지국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이는 국내 특허공개 제10-2013-0070144호(공개일 2013.06.27.일자)에 개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시스템(20)은, 기본적으로 서로 다른 통신 규격의 복수의 기지국(예컨대 2G BTS, 3G BTS)(21, 22)과 각 기지국(21, 22)에 대응하는 복수의 안테나(예컨대 2G 안테나, 3G안테나)(26, 27)를 구비하고, 또한 기지국 공유화를 위해 복수의 안테나(26, 27)의 하단과 복수의 기지국(21, 22)의 상단에 광대역 컴바이너(Multi-band Combiner)(23, 24)가 구비되며 그 광대역 컴바이너(23,24)사이에는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동축 피더 케이블(Coaxial Feeder Cable)(25)이 구축된다. 동축 피더케이블은 광대역 컴바이너(23, 24)와 기지국(21, 22) 사이에 그리고 광대역 컴바이너(23, 24)와 안테나(26, 27) 사이에도 연결된다.
기지국 공유화 기술의 핵심은 상기 광대역 컴바이너(23, 24)로서, 광 대역 컴바이너(23, 24)는 내부에 L,C공진 Cavity를 주파수 특성에 맞게 다단으로 구성하여 특정 대역의 신호를 분리하는 기능 또는 여러 신호를 병합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주로 사용되는 공진 Cavity 필터 타입은 대역 통과 여파기로서 특정한 2G, 3G 또는 4G 시스템 신호를 분리하고 병합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광대역 컴바이너(23, 24)는 여러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주파수 신호를 동시 지원 가능하며 이를 통해 동축 피더 케이블(250)을 하나로 공유 가능하게 한다.
이는 사용되는 동축 피더 케이블(25)의 길이를 감소할 수 있고, 또한 타워에 상기 동축 피더 케이블(25)의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기술은 안테나 틸팅을 위한 AISG 디지털 제어 신호를 Daisy Chain 방식으로 AISG 케이블을 연결하는데, 이는 여러 개의 안테나들 끼리 연결하는 구조로써 직렬 연결 방식이다. 직렬 연결 방식의 경우 앞에 있는 장비의 장애 발생시 뒤에 있는 장비도 연결이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공개 10-2013-0070144 (공개일 : 2013.06.27.)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중대역 기지국 시스템에서 신호분배부를 사용하므로, 물리적으로 하나의 급전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기지국과 각 안테나를 연결하여 각 대역의 데이터 전송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 안테나의 틸팅을 제어하기 위한 안테나 제어신호도 함께 전송하도록 하는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는 다중대역 이동통신데이터를 처리하는 각 대역별 기지국(BTS)과, 상기 각 대역별 기지국과 급전선(feeder)으로 연결된 각 대역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이동통신데이터 전송 및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다중대역 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역별 안테나의 각 이동통신데이터를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하여 해당 대역의 기지국 통신하며, 각 대역별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를 상기 해당 대역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안테나를 제어하는 제1급전선공유부; 및 상기 대역별 기지국장치의 각 이동통신데이터를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하여 상기 제1급전선공유부를 통해 해당 안테나와 통신하며, 상기 각 대역별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제1급전선공유부를 통해 해당 안테나의 틸팅을 제어하는 제2급전선공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급전선공유부 및 제2급전선공유부는 하나의 급전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급전선공유부는 다중대역의 각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업링크신호를 급전선 공유를 위해 하나의 신호로 결합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급전선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해당 대역의 안테나로 송출하는 제1대역결합부; 상기 급전선을 통해 수신되는 이동통신데이터는 상기 제1대역결합부로 전송하고, RF신호 및 DC성분은 상기 안테나 틸팅을 위한 신호로 분리하는 제1바이어스티(Bias-T); 상기 제1바이어스티를 통해 수신된 안테나 틸팅을 위한 AISG RF제어신호를 AISG 디지털 제어신호로 복조하고, 상기 각 대역의 안테나 상태신호는 AISG RF신호로 복조하여 상기 제1바이어스티를 통해 상기 급전선으로 전송하는 제1AISG모뎀; 및 상기 제1AISG모뎀으로부터의 AISG 디지털제어신호는 각 안테나로 분배하며, 상기 각 안테나로부터의 안테나 상태를 AISG RF신호로 상기 제1AISG모뎀으로 전송하는 제1AISG분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급전선공유부는 다중대역의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신호를 급전선 공유를 위해 하나의 신호로 결합하고, 상기 급전선을 통해 수신된 업링크신호를 해당 대역의 기지국으로 분리 출력하는 제2대역결합부; 상기 다중대역의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 및 DC공급전원을 해당 안테나 측으로 제공하며, 안테나 틸팅 상태신호는 해당 대역의 기지국으로 분배 출력하는 제2AISG분배부; 상기 제2AISG분배부를 통해 입력된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는 AISG RF 제어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급전선을 통해 전송된 안테나 틸팅 상태 RF신호는 AISG 디지털상태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해당 대역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2AISG모뎀; 및 상기 급전선을 통해 송수신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신호는 상기 제2대역결합부로 송수신하고, 상기 제2AISG모뎀으로부터의 AISG RF 제어신호 및 상기 제2AISG분배부로부터의 DC성분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급전선을 통해 해당 대역의 안테나로 전송하는 제2바이어스티(Bias-T);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는 다중대역 기지국 시스템에서 하나의 급전선을 이용하여 다수의 기지국과 각 안테나를 연결하여 각 대역의 데이터를 전송함과 아울러, 각 안테나의 틸팅을 제어하기 위한 안테나 제어신호도 함께 전송하므로, 급전선 설치로 인한 추가 작업이 필요 없으며, 그에 따른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 하고자 AISG 신호 분배 부를 사용하므로 써 물리적으로 각각의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고, 장애시도 독립적으로 처리가 가능하여 장애시 문제를 최소화 하고, 장애 해결시 비용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기지국 안테나와 해당 기지국간의 개략적인 연결구성도 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컴바이너 및 이러한 컴바이너를 이용한 다중 대역 기지국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결합 및 안테나틸팅을 위한 급전선공유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안테나측의 제1급전선공유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기지국측의 제2급전선공유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결합 및 안테나틸팅을 위한 급전선공유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공유장치의 구성도로서, 다중대역 이동통신데이터를 처리하는 각 대역별 기지국(BTS)(41~44)과, 상기 각 대역별 기지국(41~44)과 급전선(feeder cable)으로 연결되어 이동통신단말기와 통신하는 각 대역의 안테나(11~14)와, 상기 대역별 안테나(11~14)의 각 이동통신데이터를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하여 해당 대역의 기지국(41~44)과 통신하며, 각 대역별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를 상기 해당 대역의 기지국(41~44)으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안테나(11~14)를 제어하는 제1급전선공유부(200)와 상기 대역별 기지국(41~44)의 각 이동통신데이터를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하여 상기 제1급전선공유부(100)를 통해 해당 안테나(11~14)와 통신하며, 상기 각 대역별 기지국(41~44)으로부터의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제1급전선공유부(100)를 통해 해당 안테나의 틸팅을 제어하는 제2급전선공유부(200)와, 상기 제1급전선공유부(100) 및 제2급전선공유부(200)를 연결하여 이동통신신호, DC전원공급 및 안테나틸팅 RF제어신호를 전송하는 하나의 급전선(3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다중대역은 세대별(2G,3G,4G 등) 이동통신 대역으로 800MHz, 1.8GHz, 2.1GHz, 2.6GHz 등을 포함한다.
상기 안테나(11~14) 및 기지국(41~44)은 철탑 등의 하나의 구조물에 각 대역별로 설치되며, 상기 안테나(11~14) 및 기지국(41~44)은 하나의 급전선(300)으로 연결된다.
도 4는 도 3에서 제1급전선공유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로서, 상기 제1급전선공유부(100)는 다중대역의 각 안테나(11~14)를 통해 수신된 업링크신호를 급전선(300) 공유를 위해 하나의 신호로 결합하고, 상기 기지국(41~44)으로부터 상기 급전선(300)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해당 대역의 안테나(11~41)로 송출하는 제1대역결합부(100)와, 상기 급전선(300)을 통해 수신되는 이동통신신호는 상기 제1대역결합부(100)로 전송하고, RF신호 및 DC성분은 상기 안테나 틸팅을 위한 신호로 분리하는 제1바이어스티(Bias-T)(130)와, 상기 제1바이어스티(130)를 통해 수신된 안테나 틸팅을 위한 AISG RF제어신호를 AISG 디지털 제어신호로 복조하고, 상기 각 대역의 안테나 상태신호는 AISG RF신호로 변화하여 상기 제1바이어스티(130)를 통해 상기 급전선(300)으로 전송하는 제1AISG모뎀(140)과, 상기 제1AISG모뎀(140)으로부터의 AISG 디지털 제어신호는 각 안테나(11~14)로 분배하며, 상기 각 안테나(11~14)로부터의 안테나 상태를 AISG RF신호로 상기 제1AISG모뎀(140)으로 전송하는 제1AISG분배부(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대역결합부(210)는 상기 각 대역별 안테나(11~14)와 연결되어 해당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각각의 필터(1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바이어스티(130)는 상기 급전선(300)과 상기 제1대역결합부(110)간의 통신을 위하여 DC성분은 제거하고 이통통신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커플링콘덴서(C)와, 과전압 보호를 위한 과전압보호부(131)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급전선공유부의 상세 블록 구성도로서, 상기 제2급전선공유부(200)는 다중대역의 각 기지국(41~44)으로부터의 다운링크신호를 급전선(300) 공유를 위해 하나의 신호로 결합하고, 상기 급전선(300)을 통해 수신된 업링크신호를 해당 대역의 기지국으로 분리 출력하는 제2대역결합부(210)와, 상기 다중대역의 각 기지국(41~44)으로부터의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 및 DC공급전원을 해당 안테나(11~14) 측으로 제공하며, 안테나 틸팅 상태신호는 해당 대역의 기지국(41~44)으로 분배 출력하는 제2AISG분배부(220)와, 상기 제2AISG분배부(220)를 통해 입력된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는 AISG RF 제어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급전선(300)을 통해 전송된 안테나 틸팅 상태 RF신호는 AISG 디지털 상태신호로 복조하여 상기 해당 대역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2AISG모뎀(240)와, 상기 급전선(300)을 통해 송수신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신호는 상기 제2대역결합부(210)로 송수신하고, 상기 제2AISG모뎀(240)으로부터의 AISG RF 제어신호 및 상기 제2AISG분배부(220)로부터의 DC성분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급전선(300)을 통해 해당 대역의 안테나(11~14)로 전송하는 제2바이어스티(23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대역결합부(210)는 상기 각 대역별 안테나(11~14)와 연결되어 해당 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각각의 필터(21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바이어스티(230)는 상기 급전선(300)과 상기 제2대역결합부(210)간의 통신을 위하여 DC성분은 제거하고 이통통신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커플링콘덴서(C)와, 과전압 보호를 위한 과전압보호부(131)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대중대역결합 및 안테나틸팅 급전선공유장치를 첨부된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 결합 및 안테나 틸팅 급전선 공유장치의 구성도로서, 먼저 이동통신단말기들과 통신하는 각 대역별 안테나(11~14)는 하나의 급전선(300)을 통해 각 대역별 해당 기지국(41~44)과 업링크/다운링크 신호를 송수신 한다.
즉, 상기 각 대역별 안테나(11~14)와 상기 급전선(300) 사이에 구성된 안테나측의 제1급전선공유부(100)는 상기 기지국(41~44)으로부터의 이동통신신호, DC공급전원 및 안테나틸팅 RF제어신호는 각각 분리되어, 상기 이동통신신호는 해당 안테나로 다운링크 경로를 따라 입력되며, DC공급전원은 상기 안테나(11~14)의 틸팅을 위한 구동전원으로 공급되며, 안테나틸팅 RF제어신호는 해당 안테나로 전송되어 틸팅을 제어하게 된다.
반대로 업링크 신호의 경우 상기 각 대역별 안테나(11~14)를 통해 수신된 이동통신단말기들의 이동통신신호 및 각 대역별 안테나(11~14)의 틸팅 상태신호는 결합되어 상기 급전선(300)을 통해 해당 기지국 측으로 전송된다.
상기 각 대역별 기지국(41~44)과 상기 급전선(300) 사이에 구성된 기지국측의 제2급전선공유부(200)는 업링크신호의 경우 상기 급전선(300)을 통해 입력된 상기 각 대역별 안테나(11~14)의 이동통신신호 및 각 안테나(11~14)의 틸팅상태신호를 입력받아 해당 대역의 기지국(41~44)으로 분리하여 전송한다.
반대로 다운링크 신호의 경우 상기 제2급전선공유부(200)는 상기 각 대역별 기지국(41~44)으로부터 출력된 다운링크 신호, DC공급전원 및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급전선(300)을 통해 해당 대역의 안테나(11~14)로 전송한다.
상기 제1, 제2급전선공유부(100)(2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4,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3에서 제1급전선공유부(100)의 상세 블록 구성도로서, 상기 제1대역결합부(110)는 다중대역 기지국 및 안테나를 하나의 급전선(300)으로 전송이 가능하도록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대역결합부(110)는 설정된 대역의 각 주파수만 통과시키는 각 대역별 필터(111~114)로 필터링하므로, 하나의 급전선(300)을 통해 전송된 각 대역별 다운링크되는 이동통신신호를 해당 안테나(11~14)로 각각 송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대역결합부(110)는 상기 안테나(11~14)의 각 필터(111~114)를 통해 수신된 업링크되는 각 이동통신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결합하여 상기 급전선(300)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 제1바이어스티(130)는 상기 각 안테나(11~14)의 안테나틸팅부(도면에 미도시) 구동전원(DC)을 제공하고, 상기 급전선(300)을 통해 전송된 안테나 틸팅 RF제어신호를 분리하여 상기 제1ASIG모뎀(140)으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1바이어스티(130)는 상기 급전선(300)과 제1급전선공유부(100) 사이에 커플링콘덴서(C)를 연결하여 DC전원성분을 제외한 이동통신신호만을 통과하도록 하며, 과전압보호부(131)를 구성하여 상기 급전선(300)의 과전압으로부터 회로를 보호하도록 한다.
상기 제1AISG모뎀(140)은 상기 제1바이어스티(130)를 통해 입력된 안테나 틸팅 RF제어신호를 안테나 틸팅 디지털 제어신호로 복조하여 상기 제1AISG분배부(120)를 통해 해당 안테나(11~14)로 전송하며, 상기 제1AISG분배부(120)를 통해 입력된 안테나 틸팅 상태신호를 RF 상태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제1바이어스티(130) 및 급전선(300)을 통해 해당 대역의 기지국(41~44)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1AISG신호분배부(120)는 상기 제1AISG모뎀(140)에서 변환된 AISG 디지털 제어신호를 각 대역별 안테나(11~14)와 접속하는 각 AISG 포트로 병렬로 연결하므로, 물리적으로 각각 독립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AISG모뎀(140)에서 각 대역별 안테나(11~14)로의 틸팅 제어신호 전송 및 각 대역별 안테나(11~14)에서 상기 제1AISG모뎀(140)로의 안테나 틸팅상태신호는 RS-485 통신방식으로 연결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급전선공유부(100)는 상기 급전선(300)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상기 기지국측에 제2급전선공유부(200)가 구성된다.
도 5는 도 3에서 제2급전선공유부(200)의 상세블록 구성도로서, 상기 제1바이어스티(130)로부터 상기 급전선(300)을 통해 기지국측의 제2바이어스티(230)와 접속되며, 상기 제2바이어스티(230)은 상기 급전선(300)을 통해 전송되는 각 대역별 안테나(11~14)의 업링크신호 및 각 대역별 안테나(11~14)의 상태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2대역결합부(210)를 통해 결합된 각 대역별 기지국(41~44)으로부터의 다운링크신호를 상기 급전선(300)을 통해 상기 제1급전선공유부(100)로 전송한다.
상기 제2바이어스티(230)는 커플링콘덴서(C)를 연결하여 상기 제2대역결합부(210)로 DC전원 성분이 입력되지 않도록 하며, 과전압보호부(231)를 연결하여, 상기 제2AISG모뎀(240)으로 과전압이 흐르지 않도록 한다.
상기 제2대역결합부(210)는 다중대역 기지국(41~44) 및 안테나(11~14)를 하나의 급전선(300)으로 전송이 가능하도록 전송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제2대역결합부(210)는 설정된 대역의 각 주파수만 통과시키는 각 설정 대역의 주파수만 통과시키는 필터(211~214)로 필터링하므로, 하나의 급전선(300)을 통해 전송된 각 대역별로 업링크되는 이동통신신호를 해당 기지국(41~44)으로 각각 전송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대역결합부(210)는 상기 기지국(41~44)의 필터(211~214)를 통해 입력된 업링크 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결합하고, 상기 제2바이어스티(230)을 통해 급전선(300)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2AISG모뎀(240)은 상기 제2바이어스티(230)를 통해 입력된 안테나 틸팅상태 RF신호를 안테나 틸팅상태 신호로 복조하고, 상기 복조된 안테나 틸팅상태 신호는 상기 제2AISG분배부(220)를 통해 해당 대역의 기지국(41~44)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2AISG모뎀(240)은 상기 다중대역의 각 기지국(41~44)으로부터 제2AISG분배부(220)를 통해 입력된 안테나 틸팅제어신호를 안테나 틸팅제어 RF신호로 변조하여 상기 제2바이어스티(230)를 통해 상기 급전선(300)으로 전송한다.
상기 제2AISG신호분배부(220)는 상기 제2AISG모뎀(140)에서 복조된 안테나 틸팅상태신호를 각 대역별 기지국(41~44)으로 입력하며, 상기 각 기지국(41~44)으로부터 입력된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를 상기 제2AISG모뎀(240)으로 입력한다.
또한, 각 다중대역 기지국(41~44)은 각 대역의 안테나(11~14)의 틸팅을 제어하기 위한 틸팅 제어신호뿐만 아니라, 안테나틸팅부(도면에 미도시)의 구동전원을 위하여 DC전원을 공급하며, 상기 DC공급전원은 상기 제2바이어스티(230) 및 급전선(300)을 통해 안테나 측으로 전송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 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공유장치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1~14 : 안테나 41~44 : 기지국
100,200 : 제1,제2급전선공유부 110,210 : 제1,제2대역결합부
111~114, 211~214 : 필터 120,220 : 제1,제2 AISG신호분배부
130,230 : 제1,제2바이어스티 131,231 : 과전압보호부
140,240 : 제1,제2 AISG모뎀 300 : 급전선

Claims (10)

  1. 다중대역 이동통신데이터를 처리하는 각 대역별 기지국(BTS)과, 상기 각 대역별 기지국과 급전선(feeder)으로 연결된 각 대역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이동통신데이터 전송 및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 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역별 안테나의 각 이동통신데이터를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하여 해당 대역의 기지국 통신하며, 각 대역별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를 상기 해당 대역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안테나를 제어하는 제1급전선공유부; 및
    상기 대역별 기지국장치의 각 이동통신데이터를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하여 상기 제1급전선공유부를 통해 해당 안테나와 통신하며, 상기 각 대역별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제1급전선공유부를 통해 해당 안테나의 틸팅을 제어하는 제2급전선공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급전선공유부 및 제2급전선공유부는 하나의 급전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1급전선공유부는 다중대역의 각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업링크신호를 급전선 공유를 위해 하나의 신호로 결합하고,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급전선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해당 대역의 안테나로 송출하는 제1대역결합부;
    상기 급전선을 통해 수신되는 이동통신데이터는 상기 제1대역결합부로 전송하고, RF신호 및 DC성분은 상기 안테나 틸팅을 위한 신호로 분리하도록, 상기 급전선과 상기 제1대역결합부간의 통신을 위하여 DC성분은 제거하고 이통통신신호만을 통과시키는 커플링콘덴서를 포함하는 제1바이어스티(Bias-T);
    상기 제1바이어스티를 통해 수신된 안테나 틸팅을 위한 AISG RF제어신호를 AISG 디지털 제어신호로 복조하고, 상기 각 대역의 안테나 상태신호는 AISG RF신호로 변화하여 상기 제1바이어스티를 통해 상기 급전선으로 전송하는 제1AISG모뎀; 및
    상기 제1AISG모뎀으로부터의 AISG 디지털제어신호는 각 안테나로 분배하며, 상기 각 안테나로부터의 안테나 상태를 AISG RF신호로 상기 제1AISG모뎀으로 전송하는 제1AISG분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 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대역결합부는 상기 각 대역별 안테나와 연결되어 해당 설정대역의 주파수만을 통과시키는 각각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 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선을 통해 입력된 안테나 틸팅을 위한 RF제어신호는 상기 AISG모뎀으로 출력하고, 상기 급전선을 통한 입력된 DC성분은 상기 안테나 틸팅을 위한 안테나의 공급전원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 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ISG모뎀 및 AISG신호분배부를 통해 상기 각 대역의 안테나 간의 안테나 틸팅을 위한 ASIG 디지털 제어신호 또는 상기 각 안테나의 상태신호는 RS-485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 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
  7. 다중대역 이동통신데이터를 처리하는 각 대역별 기지국(BTS)과, 상기 각 대역별 기지국과 급전선(feeder)으로 연결된 각 대역의 안테나로 구성되어, 이동통신데이터 전송 및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 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에 있어서,
    상기 대역별 안테나의 각 이동통신데이터를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하여 해당 대역의 기지국 통신하며, 각 대역별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를 상기 해당 대역의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하여 해당 안테나를 제어하는 제1급전선공유부; 및
    상기 대역별 기지국장치의 각 이동통신데이터를 업링크 또는 다운링크에 따라 분리 또는 결합하여 상기 제1급전선공유부를 통해 해당 안테나와 통신하며, 상기 각 대역별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제1급전선공유부를 통해 해당 안테나의 틸팅을 제어하는 제2급전선공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급전선공유부 및 제2급전선공유부는 하나의 급전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2급전선공유부는 다중대역의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신호를 급전선 공유를 위해 하나의 신호로 결합하고, 상기 급전선을 통해 수신된 업링크신호를 해당 대역의 기지국으로 분리 출력하는 제2대역결합부;
    상기 다중대역의 각 기지국으로부터의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 및 DC공급전원을 해당 안테나 측으로 제공하며, 안테나 틸팅 상태신호는 해당 대역의 기지국으로 분배 출력하는 제2AISG분배부;
    상기 제2AISG분배부를 통해 입력된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는 AISG RF 제어신호로 변조하고, 상기 급전선을 통해 전송된 안테나 틸팅 상태 RF신호는 AISG 디지털상태신호로 복조하여 상기 해당 대역의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제2AISG모뎀; 및
    상기 급전선을 통해 송수신되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신호는 상기 제2대역결합부로 송수신하고, 상기 제2AISG모뎀으로부터의 AISG RF 제어신호 및 상기 제2AISG분배부로부터의 DC성분신호를 결합하여 상기 급전선을 통해 해당 대역의 안테나로 전송하는 제2바이어스티(Bias-T);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 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대역결합부는 상기 각 대역별 기지국과 연결되어 상기 바이어스티를 통해를 통해 전송된 이동통신신호 중 해당 대역의 설정된 주파수만을 통과시켜 상기 해당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각각의 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 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ISG분배부는 상기 각 대역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안테나 틸팅 제어신호는 상기 AISG모뎀을 통해 상기 급전선측으로 전송되며, 상기 각 대역의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DC성분은 상기 바이어스티를 통해 상기 급전선측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 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AISG모뎀 및 AISG신호분배부를 통해 상기 각 대역의 기지국 간의 안테나 틸팅을 위한 ASIG 디지털 제어신호 또는 상기 각 안테나의 상태신호는 RS-485 통신방식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 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
KR1020150072703A 2015-05-26 2015-05-26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 KR1015540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703A KR101554005B1 (ko) 2015-05-26 2015-05-26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703A KR101554005B1 (ko) 2015-05-26 2015-05-26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4005B1 true KR101554005B1 (ko) 2015-09-18

Family

ID=54248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703A KR101554005B1 (ko) 2015-05-26 2015-05-26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400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2444A1 (ko) * 2012-09-14 2014-03-2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42444A1 (ko) * 2012-09-14 2014-03-20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이동통신 기지국의 안테나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57700B2 (en) GPS mast module and mobile radio installation
US9627774B2 (en) Antenna device and system having active and passive modules
US11258179B2 (en) Base station
US7346323B2 (en) Diversity reception for co-siting base stations
EP2086244B1 (en) Signal combin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having different system, same band and antenna sharing
US9800301B2 (en) Antenna sharing device for wireless access node system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210218152A1 (en) Antenna apparatus
US20220271908A1 (en) Tdd (time division duplex) radio configuration for reduction in transmit and receive path resources
CN103988367A (zh) 多频带有源-无源基站天线
KR101554005B1 (ko) 다중대역 기지국시스템에서 다중대역결합 및 안테나 틸팅을 위한 급전선 공유장치
US8099133B2 (e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irecting a received signal in an antenna system
EP1995879B1 (en) Base station and transmission method
GB2501363A (en) Tower Mounted Amplifier for simultaneous use in multiple frequency bands, with bandstop filter in transmit/receive path
KR200304926Y1 (ko) 이동통신용 안테나 급전선 공용장치
US20220271907A1 (en) Multiband fdd (frequency division duplex) radio configuration for reduction in transmit and receive path resources
KR20010060268A (ko) 전자기 신호용 송신/수신 장치, 송신/수신 셀, 송신/수신국 및 주파수 호핑 방법
KR101979259B1 (ko) 수동 혼변조 왜곡 회피를 위한 인빌딩 분산망 시스템
EP2777092B1 (en) Combining apparatus for use in signal transmitting and/ or receiving apparatus
CN110800160A (zh) 天线系统、基站以及通信系统
KR20000066634A (ko) 이동통신 공용 기지국 시스템
EP3403334B1 (en) Tower mounted amplifier and method of use thereof
EP2560289A2 (en) Combining apparatus
KR102058060B1 (ko) 무선통신 네트워크에서 무선 접속 노드 시스템의 안테나 공용화 장치
KR20160087171A (ko) 무선설비 공용화를 위한 무선 통합 시스템
GB2481291A (en) A combiner filter to allow multiple BTSs operating in a common frequency band to share a common anten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