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3220B1 - Door Sill Structure of Elevator - Google Patents

Door Sill Structure of Elev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3220B1
KR101553220B1 KR1020140038472A KR20140038472A KR101553220B1 KR 101553220 B1 KR101553220 B1 KR 101553220B1 KR 1020140038472 A KR1020140038472 A KR 1020140038472A KR 20140038472 A KR20140038472 A KR 20140038472A KR 101553220 B1 KR101553220 B1 KR 101553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plate
engaging
cover
door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84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동주
Original Assignee
(주)조은엔터프라이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조은엔터프라이즈 filed Critical (주)조은엔터프라이즈
Priority to KR1020140038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322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3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322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Landscapes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or sill structure of an elevator. An objec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door sill sturdily and easily and finish an appearance of the door sill beautifully.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door sill structure of an elevator comprises: a door frame (50) having a guide recess (54) into which a guide shoe (52) of a lower portion of an elevator door (D) is inserted; a mounting member (60) comprising a frame mounting unit (61) assembled on a lower portion of the door frame (50), a lower plate mounting unit (62) whose one end is inserted into a side surface of the door frame (50), and a vertical mounting unit (63) extended downwards from the other end of the lower plate mounting unit (62); a height adjustment bracket (90) assembled on the vertical mounting unit (63); a lower plate (70)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member (60); and a cover (80) inser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70). The cover (80) is mounted on the lower plate (70) after door sill installation work is complete.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도어 씰 구조{Door Sill Structure of Elevato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oor seal structur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씰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엘리베이터 도어 씰을 간편하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고, 도어 씰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도어 씰을 설치한 후 별도의 커버부재로 덮어 조립함으로써 엘리베이터 도어 씰의 장식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도어 씰 구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door seal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vator door seal structure capable of easily and firmly constructing an elevator door seal, easily adjusting a height of a door seal, To an elevator door seal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 beauty of the elevator door seal.

고층의 주거용 아파트나 업무용 고층 건물에는 승객 및 화물의 이송을 위해 엘리베이터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High-rise residential apartments and commercial high-rise buildings are equipped with elevators to transport passengers and cargo.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건물 내부에 구비된 수직 통로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탑승객을 이송시키는 엘리베이터 카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를 승강시키기 위한 권상장치와, 상기 권상장치에 동력을 공급하는 동력공급부와, 상기 엘리베이터 카의 반대측에 구비되는 카운터웨이트(Counterweight)와, 버튼의 조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levator apparatus includes an elevator car for transporting a passenger while vertically moving along a vertical path provided in a building, a hoisting device for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or car,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hoisting device, A counterweight provid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ar,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or car by operation of the button.

또한, 상기 엘리베이터 카에는 한 쌍의 도어가 구비되며, 각 층의 승강장에는 상기 엘리베이터 카 도어와 연동되어 개폐되는 승강장 도어가 구비되어 있다.Further, the elevator car is provided with a pair of doors, and the platform of each floor is provided with a platform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interlocking with the elevator car door.

또한, 상기 승강장 도어의 바닥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씰(Sill)이 설치되어 있다. Also, a door seal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anding door as shown in FIG.

도 2은 이러한 엘리베이터 도어 씰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Fig. 2 shows an example of such an elevator door seal.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씰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의 하단에 구비된 가이드 슈(Guide Shoe)(25)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27)을 구비한 도어 프레임(20)과, 일단에 결합부(100)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20)과 제1 볼트(21)에 의해 연결되는 재료분리대(10)와, 상기 도어 프레임(20)의 하부에서 제2 볼트(23)에 의해 조립되는 지지브라켓(29)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ventional elevator door seal includes a door frame 20 having a guide groove 27 into which a guide shoe 25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door is inserted, A material separator 10 having a coupling part 100 and connected to the door frame 20 by a first bolt 21 and a second bolt 23 at the bottom of the door frame 20, And a support bracket (29).

또한 상기 재료분리대(10)의 타단부에는 방파판(30)이 조립되기 위한 방파판 걸림턱(20)이 형성되고, 그 하부에는 승강장 바닥면과 접하는 볼트지지부(300)가 구비된다.A diaphragm holding jaw 20 for assembling the damper plate 3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material separating bar 10 and a bolt supporting portion 300 is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diaphragm holding jaw 20 in contact with the floor bottom.

상기한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씰 구조에 의하면, 도어 프레임 후방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져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가이드 슈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elevator door seal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ar portion of the door frame from being lifted upward and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guide shoe.

그러나 도 2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도어 씰은, 승강장 쪽에 설치되는 재료분리대(10)의 타단 하부가 볼트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이므로, 재료분리대(10)의 설치구조가 견고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levator door seal as shown in FIG. 2, since the lower end of the material separator 10 installed on the platform side is supported by bol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material separator 10 is not robust.

또한, 승강장쪽에 설치되는 재료분리대(10) 타단의 높이를 조절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재료분리대(10)의 상면이 도어 씰 설치작업 중에 손상되어 미관을 해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not easy to adjust the height of the other end of the material separator 10 installed on the platform s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terial separator 10 is damaged during installation work of the door seal, thereby deteriorating the appearance.

한편, 한국 공개특허 제10-2001-27075호에는 외형을 이루는 제1프레임(12) 및 제2프레임(14)을 체결수단으로 체결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의장 씰(16)을 감싸는 엘리베이터 도어 씰이 개시되어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1-27075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frame 12 and a second frame 14, which form an outer shape, are integrally formed by fastening by fastening means, An elevator door seal is disclosed.

그러나 이러한 도어 씰에 의하면, 상기 의장 씰(16)이 도어 씰의 설치작업 중에 손상되어 미관을 저해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such a door seal,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esign seal 16 is damaged during installation work of the door seal, thereby deteriorating aesthetic appearance.

: 한국 등록특허 제10-0923619호(2009. 10. 23. 공고):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0923619 (issued on October 23, 2009) : 한국 공개특허 제10-2001-27075호(2001. 4. 6. 공고):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1-27075 (April 6, 200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도어 씰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도어 씰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oor seal which can be firmly installed and can easily adjust the height of a door seal.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 씰 설치작업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safely and easily perform the door seal installation work.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도어 씰의 외관이 설치작업 중에 손상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데 있다. 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appearance of the door seal from being damaged during installa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도어 하부의 가이드 슈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한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도어 씰 구조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부에 조립되는 프레임 결합부와, 상기 도어 프레임의 측면에 끼워지는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의 타단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수직 결합부를 포함하는 결합부재와; 상기 수직 결합부에 조립되는 높이조절 브라켓과; 상기 결합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는 도어 씰 설치작업이 모두 완료된 후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evator door seal structure including a door frame having a guide groove into which a guide shoe at a lower portion of an elevator door is inserted, A coupling member having a lower plate coupling portion fit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frame and a vertical coupling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ther end of the lower plate coupling portion; A height adjusting bracket assembled to the vertical coupling portion; A lower plat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And a cover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wherein the cover is coupled to the lower plate after the door seal installation work is completed.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직부재와, 상기 각 수직부재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의 끼움부에 끼워지는 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wer plate may include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extending downward, and protrusions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ends of the vertical members and fitted in the fitting portions of the lower plate coupling portions.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커버와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결합돌기 및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and recesses for engaging with the cover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또한, 상기 커버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결합돌기 및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상부에는 장식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and projections for coupling to the lower plate ar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and a decorative plate is further provided on the cover.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는 삼각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커버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도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plate may have a triangular cross sect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cover may have a corresponding shape.

또한, 상기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에 하부 플레이트의 돌기부가 끼워지기 위한 다수의 상부 끼움부 및 하부 끼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plat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fitting portions for fitting the protrusions of the lower plate.

또한, 도어 씰의 설치작업시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돌기부가 상기 상부 끼움부에 끼워진 후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안전발판으로 사용되고, 도어 씰의 설치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돌기부가 상기 하부 끼움부에 결합된 후 스크류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at the time of installation work of the door seal, the projecting portion of the lower plate is fitted to the upper fitting portion and then supported by the supporting member to be used as a safety footrest. After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door seal is completed, And is fixed to the lower fitting part by a screw.

상기 결합부재의 수직 결합부에는 높이조절 브라켓이 조립되고, 상기 높이조절 브라켓에는 슬롯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height adjustment bracket is assembled to the vertical coupling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and a slot is formed in the height adjustment bracket.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씰을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고, 도어 씰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oor seal can be firmly installed, and the height of the door seal can be easily adjusted.

또한, 도어 씰의 설치작업시 하부 플레이트를 안전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안전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ower plate can be used as a safety foot plate during installation work of the door seal, safety and work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도어 씰 하부 플레이트의 외관에 흠집이 발생하더라도 커버에 의해 덮여지므로, 엘리베이터 도어 씰 설치작업시 하부 플레이트의 흠집 발생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Even if a scratch is genera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door seal lower plate, the door is covered with the cover, so that there is no need to worry about occurrence of scratches on the lower plate during installation of the elevator door seal.

또한, 도어 씰의 커버에 흠집이 발생되는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도어 씰의 외관을 미려하게 마무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scratche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at the cover of the door seal, the appearance of the door seal can be finely finished.

도 1은 일반적인 엘리베이터 도어 씰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씰의 일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씰에서 커버가 덮여지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씰에서 커버가 덮인 후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씰에서 하부 플레이트 및 커버를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ypical elevator door seal;
2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levator door seal according to the prior art;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cover is covered in the elevator door se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cover is covered in the elevator door se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a lower plate and a cover in an elevator door se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씰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 3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elevator door se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5. Fig.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도어 씰 구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도어(D) 하부의 가이드 슈(52)를 지지하는 도어 프레임(50)을 구비한다. 상기 도어 프레임(50)에는 상기 가이드 슈(52)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54)이 형성되어 있다. The elevator door se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oor frame 50 for supporting a guide shoe 52 under the elevator door D as shown in Figs. A guide groove 54 for guiding the guide shoe 52 is formed in the door frame 50.

상기 도어 프레임(50)의 하부는 결합볼트(67)에 의해 결합부재(60)와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도어 프레임(50)의 하부에는 상기 결합볼트(67)를 수용하기 위한 결합볼트 수용홈이 형성되어 있다.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frame 5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member 60 by the engaging bolts 67. To this end, a coupling bolt receiving groove for receiving the coupling bolt 67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frame 50.

상기 결합부재(60)는, 상기 도어 프레임(50)의 하부에 조립되는 프레임 결합부(61)와, 일단이 상기 도어 프레임(50)의 측면에 끼워지는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62)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62)의 단부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수직 결합부(63)로 이루어진다.The coupling member 60 includes a frame coupling portion 61 assemb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frame 50, a lower plate coupling portion 62 having one end to be fitt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frame 50, And a vertical engaging portion 6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lower plate engaging portion 62.

즉, 상기 결합부재(60)의 프레임 결합부(61)는 상기 도어 프레임(50)의 하부에 결합볼트(67)에 의해 결합되고,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62)의 일단은 상기 도어 프레임(50)에 구비된 홈에 끼움 결합되며, 수직 결합부(63)의 자유단은 결합볼트(92)에 의해 높이조절 브라켓(90)에 결합된다That is, the frame engaging portion 61 of the engaging member 60 is 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door frame 50 by the engaging bolt 67, and one end of the lower plate engaging portion 62 is engaged with the door frame 50 And the free end of the vertical coupling portion 63 is coupled to the height adjustment bracket 90 by the coupling bolt 92

상기한 구조에 의해 결합부재(60)는 안정되고 견고하게 설치될 수 있다..With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coupling member 60 can be stably and firmly installed.

또한 상기 결합부재(60)의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62)의 상부에는 하부 플레이트(70)가 결합되고, 그 상부에 커버(80)가 끼움 결합된다. A lower plate 70 is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engaging portion 62 of the engaging member 60, and a cover 80 is fitted to the upper portion.

상기 높이조절 브라켓(90)에는 슬롯(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A slot (not shown) is formed in the height adjustment bracket 90 to easily adjust the height.

또한 상기 결합부재(60)의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62)에는 다수의 상부 끼움부(64)와 하부 끼움부(65)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도어 씰의 설치작업이 완료된 후 하부 플레이트(70)의 돌기부(78)의 끼움 위치를 변경하기 위한 것이다. The lower plate engaging portion 62 of the engaging member 6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upper engaging portions 64 and a lower engaging portion 65. This is because when the door seal is installed, In order to change the fitting position of the protrusion 78 of the first embodiment.

즉,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씰의 설치작업 중에는 하부 플레이트(70)의 돌기부(78)를 상부 끼움부(64)에 끼워 하부 플레이트(70)의 상면이 도어 프레임(50)의 수평으로 일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플레이트(70)를 작업 발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3 and 4, during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door seal, the projection 78 of the lower plate 70 is fitted into the upper fitting portion 64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70 is fitted to the door frame 5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ccordingly, the lower plate 70 can be used as a work footing.

또한, 도어 씰의 설치작업이 완료된 이후에는 하부 플레이트(70)의 돌기부(78)를 하부 끼움부(65)에 끼움으로써, 상기 하부 플레이트(70)의 상부에 조립되는 커버(80)의 상면이 도어 프레임(50)의 상면과 수평으로 일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커버(80)의 상면과 도어 프레임(50)의 상면 사이에 턱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door seal is completed,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80 assemb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70 is fitted into the lower fitting portion 65 by fitting the protrusion 78 of the lower plate 70 into the lower fitting portion 65 So as to be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frame 50. The jaws are not generat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8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frame 50.

이를 위해 상기 상부 끼움부(64)와 하부 끼움부(65) 사이의 간격은 커버(80)의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한다.For this,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fitting portion 64 and the lower fitting portion 65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height of the cover 80.

도 3 및 도 4에는 상부 끼움부(64)가 2개로 형성되고 하부 끼움부(65)가 3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간에 구비된 하부 끼움부(65)는 생략될 수도 있다. 3 and 4, two upper fitting portions 64 are formed and three lower fitting portions 65 are show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lower fitting portion 65 provided in the middle may be omitted.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중간에 상부 끼움부(64)를 생략한 것은, 중간부분의 수직부재(76)와 우측 수직부재(76)에 수평 프레임을 연결하여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3 and 4, the upper fitting portion 64 is omitted in order to improve the strength by connecting the horizontal frame to the vertical member 76 and the right vertical member 76 in the middle portion.

상기 하부 플레이트(70)는,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직부재(76)와, 상기 각 수직부재(76)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63)의 끼움부에 끼워지는 돌기부(78)를 포함한다. The lower plate 70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76 extending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76 which are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ends of the respective vertical members 76 and fitted in the fittings of the lower plate engaging portions 63 And includes a protrusion 78.

즉, 상기 하부 플레이트(70)의 수직부재(76) 단부에 구비된 돌기부(78) 각각은, 결합부재(60)의 상부 끼움부(64) 또는 하부 끼움부(65)에 끼워져 조립된다. That is, each of the protrusions 78 provided at the end of the vertical member 76 of the lower plate 70 is assembled by being fitted into the upper fitting portion 64 or the lower fitting portion 65 of the fitting member 60.

상기 돌기부(78)는, 도어 씰의 설치작업 중에는 상부 끼움부(64)에 임시로 끼워 조립되고, 도어 씰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하부 끼움부(65)에 끼워져 결합된 다. 또한 상기 돌기부(78)가 하부 끼움부(65)에 조립된 후에는 외측의 수직부재(76)가 스크류((68)에 의해 고정된다.The projecting portion 78 is assembled by being temporarily fitted into the upper fitting portion 64 during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door seal and is engaged with the lower fitting portion 65 when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door seal is completed. Further, after the projecting portion 78 is assembled to the lower fitting portion 65, the vertical member 76 on the outer side is fixed by the screw (68).

상기 하부 플레이트(70)의 상부에는 커버(80)가 조립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70)의 상부에는, 커버(80)와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결합돌기(72)와 오목부(74)가 형성된다.A cover 80 is assemb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70.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72 and recesses 74 for engaging with the cover 80 are formed on the lower plate 70, .

또한 상기 커버(80)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70)에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결합돌기(82) 및 돌출부(86)가 형성된다.A plurality of engaging protrusions 82 and protrusions 86 for engaging with the lower plate 70 ar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80.

상기 하부 플레이트(70)의 결합돌기(72)와 커버(80)의 결합돌기(82)는 삼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 상기 결합돌기들은 사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coupling protrusions 72 of the lower plate 70 and the coupling protrusions 82 of the cover 80 preferably have a triangular cross section, but are not limited thereto. In some cases, the engaging projections may have a rectangular cross section.

상기 하부 플레이트(70)는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The lower plate 70 is preferably made of aluminum but is not limited thereto.

또한, 상기 커버(80)의 상부에는 장식판(84)이 더 구비된다. 상기 장식판(84)은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장식판의 상면에는 층 표시 또는 기타의 문양을 넣어 장식미를 향상시킬 수 있다.  A decorative plate 84 is further provided on the cover 80. The decorative plate 84 is preferably made of stainless steel, and the decorating plate may be provided with a layer mark or other pattern to improve the decoration.

이하 본 발명의 조립 과정 및 작용 효과를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assembling process and operation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FIG.

먼저 도어 프레임(50)과 결합부재(60)를 조립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50)과 프레임 결합부(61)는 결합볼트(67)로 조립하며,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62) 일단은 도어 프레임(50)의 일측에 끼워 조립한다.First, the door frame 50 and the engaging member 60 are assembled. 3, the door frame 50 and the frame engaging portion 61 are assembled with the engaging bolts 67 and one end of the lower plate engaging portion 62 is fitted to one side of the door frame 50 do.

이어서 결합부재(60)의 수직 결합부(63)와 높이조절 브라켓(90)을 결합볼트(92)로 조립한다. Then, the vertical coupling portion 63 of the coupling member 60 and the height adjustment bracket 90 are assembled with the coupling bolts 92.

상기한 높이조절 브라켓(90)이 결합부재(60)의 일단을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결합부재(60)는 견고하게 고정되고, 상기 높이조절 브라켓(90)에 슬롯(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결합부재(60)의 수평도와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Since the height adjusting bracket 90 supports one end of the engaging member 60 so that the engaging member 60 is firmly fixed and a slot (not shown) is formed in the height adjusting bracket 90, The height and the height of the member 60 can be easily adjusted.

결합부재(60)의 조립이 완료되면,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62)의 상부에 하부 플레이트(70)를 결합한다. When the assembling of the engaging member 60 is completed, the lower plate 70 is engag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engaging portion 62.

이때, 도 5의 상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플레이트(70)에 구비된 돌기부(78)를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62)의 상부 끼움부(64)에 끼워 조립한 후, 일단에 지지부재(66)를 끼워 넣는다.5, the protrusion 78 provided on the lower plate 70 is fitted into the upper fitting portion 64 of the lower plate coupling portion 62, and then the support member 66).

그러면 상기 하부 플레이트(70)는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62)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며, 그 상면은 도어 프레임(50)의 상면은 수평으로 일치된 상태가 된다.Then, the lower plate 70 is stably coupled to the lower plate engaging portion 6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frame 50 is horizontally aligned.

이에 따라 상기 하부 플레이트(70)가 도어 씰 설치작업시 안전발판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도어 씰 설치작업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Accordingly, since the lower plate 70 serves as a safety foot plate during the door seal installation work, the door seal installation work can be performed easily and safely.

도어 프레임(50)과 가이드 슈(52)의 조정작업 및 도어 씰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지지부재(66)를 빼내고 하부 플레이트(70)의 돌기부(78)를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62)의 하부 끼움부(65)에 끼운다.When the operation of adjusting the door frame 50 and the guide shoe 52 and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door seal are completed, the support member 66 is pulled out and the projecting portion 78 of the lower plate 70 is engaged with the lower plate engaging portion 62 Fit into the lower fitting portion 65.

그러면 상기 하부 플레이트(70)의 상면은 도어 프레임(50)보다 약간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추후 하부 플레이트(70)에 조립되는 커버(80)의 상면이 도어 프레임(50)과 수평으로 일치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70 is positioned slightly below the door frame 50. This is for ensuring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80 to be assembled to the lower plate 70 is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door frame 50.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68)를 사용하여 하부 플레이트(70)의 수직부재(76)와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62)를 고정시키고, 하부 플레이트(70)의 상면까지 몰탈을 시공한다. 4, the vertical member 76 and the lower plate engaging portion 62 of the lower plate 70 are fixed using the screw 68 and the mortar is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70 do.

몰탈의 시공이 완료되면 하부 플레이트(70) 상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커버(80)를 부착한다.When the mortar is completed, the foreign substanc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70 is removed and the cover 80 is attached.

그러면 상기 커버(80)의 상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50)의 상면과 수평으로 일치하게 되고, 엘리베이터 도어 씰의 모든 설치작업이 완료된다.Th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80 is horizontally aligned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frame 50 as shown in FIG. 4, and all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elevator door seal is completed.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도어 씰을 견고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고, 도어 씰 설치작업시 하부 플레이트(70)가 안전발판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가이드 슈(52)와 도어 프레임(50)의 조정작업 등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levator door seal can be firmly and easily installed and the lower plate 70 serves as a safety foot plate when the door seal is installed, the adjustment work of the guide shoe 52 and the door frame 50 Etc. can be safely and easily performed.

또한, 도어 씰 설치작업시 하부 플레이트(70)의 상면에 흠집이 발생하여도 그 상부를 커버(80)가 덮는 구조이므로 도어 씰의 외관을 미려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scratches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70 during the door seal installation operation, the cover 80 covers the upper portion of the door,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door seal can be finely finish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taken by way of limitation, Changes will be possible.

50: 도어 프레임(Door Frame) 52: 가이드 슈(Guide Shoe)
54: 가이드 홈 60: 결합부재
61: 프레임 결합부 62: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
63; 수직 결합부 64: 상부 끼움부
65: 하부 끼움부 66: 지지부재
67: 결합볼트 68: 스크류
70: 하부 플레이트(Plate) 72: 결합돌기
74: 오목부 76: 수직부재
78: 돌기부 80: 커버
82: 결합돌기 84: 장식판
86: 돌출부 90: 높이조절 브라켓(Bracket)
92: 결합볼트
50: door frame (door frame) 52: guide shoe
54: guide groove 60: engaging member
61: frame engaging portion 62: lower plate engaging portion
63; Vertical coupling portion 64: Upper fitting portion
65: lower fitting portion 66: supporting member
67: coupling bolt 68: screw
70: lower plate (Plate) 72: engaging projection
74: recess 76: vertical member
78: protrusion 80: cover
82: engaging projection 84:
86: protrusion 90: height adjustment bracket (Bracket)
92: coupling bolt

Claims (8)

엘리베이터 도어(D) 하부의 가이드 슈(52)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54)을 구비한 도어 프레임(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엘리베이터 도어 씰(Sill) 구조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50)의 하부에 조립되는 프레임 결합부(61)와, 일단이 상기 도어 프레임(50)의 측면에 끼워지는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62)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62)의 타단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수직 결합부(63)를 포함하는 결합부재(60)와;
상기 수직 결합부(63)에 조립되는 높이조절 브라켓(90)과;
상기 결합부재(60)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부 플레이트(7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70)의 상부에 끼움 결합되는 커버(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버(80)는 도어 씰 설치작업이 모두 완료된 후 상기 하부 플레이트(7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씰 구조.
And a door frame (50) having a guide groove (54) into which a guide shoe (52) under the elevator door (D) is inserted, the elevator door sill structure
A lower plate engaging portion 62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a side surface of the door frame 50 and a lower plate engaging portion 62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lower plate engaging portion 62, An engaging member (60) including a vertical engaging portion (63)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ther end;
A height adjusting bracket 90 assembled to the vertical coupling portion 63;
A lower plate 70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engaging member 60;
And a cover (80)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70)
Wherein the cover (80) is coupled to the lower plate (70) after the door seal installation operation is comple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70)는,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수직부재(76)와,
상기 각 수직부재(76)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62)의 상부 끼움부(64) 또는 하부 끼움부(65)에 끼워지는 복수의 돌기부(7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씰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wer plate (70)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76 extending downward,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78 be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ends of the vertical members 76 and fitted in the upper fitting portion 64 or the lower fitting portion 65 of the lower plate fitting portion 62 Features elevator door seal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70)의 상부에는, 커버(80)와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결합돌기(72) 및 오목부(7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씰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engaging projections (72) and recesses (74) for engaging the cover (80) ar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7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80)의 하부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70)에 결합되기 위한 다수의 결합돌기(82) 및 돌출부(86)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80)의 상부에는 장식판(84)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씰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lurality of engaging protrusions 82 and protrusions 86 for engaging with the lower plate 70 are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80,
And an ornamental plate (84) is further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8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7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72)는 삼각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커버(80)에 형성되는 결합돌기(82)도 이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씰 구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upling protrusion (72) formed on the lower plate (70) is formed in a triangular section and the coupling protrusion (82) formed on the cover (80) is formed in a corresponding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 결합부(62)에, 하부 플레이트(70)의 돌기부(78)가 끼워지기 위한 다수의 상부 끼움부(64) 및 하부 끼움부(65)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씰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upper fitting portions 64 and a lower fitting portion 65 for fitting the protrusions 78 of the lower plate 70 are provided on the lower plate coupling portion 62. [ .
제 6 항에 있어서,
도어 씰의 설치작업시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70)의 돌기부(78)가 상기 상부 끼움부(64)에 끼워진 후 지지부재(66)에 의해 지지되어 안전발판으로 사용되고,
도어 씰의 설치작업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70)의 돌기부(78)가 상기 하부 끼움부(65)에 결합된 후 스크류(68)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씰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rojecting portion 78 of the lower plate 70 is inserted into the upper fitting portion 64 and then supported by the support member 66 to be used as a safety foot plate,
Wherein the projecting portion (78) of the lower plate (70) is engaged with the lower fitting portion (65) and fixed by screws (68) after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door seal is comple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재(60)의 수직 결합부(63)에 결합되는 높이조절 브라켓(90)에 높이조절을 위한 슬롯(Slot)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씰 구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height adjustment bracket (90) coupled to the vertical coupling portion (63) of the coupling member (60) is formed with a slot for height adjustment.
KR1020140038472A 2014-04-01 2014-04-01 Door Sill Structure of Elevator KR1015532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472A KR101553220B1 (en) 2014-04-01 2014-04-01 Door Sill Structure of Elev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8472A KR101553220B1 (en) 2014-04-01 2014-04-01 Door Sill Structure of Elev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3220B1 true KR101553220B1 (en) 2015-09-16

Family

ID=54248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8472A KR101553220B1 (en) 2014-04-01 2014-04-01 Door Sill Structure of Elev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3220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337B1 (en) 2017-08-16 2018-01-25 주식회사 나래테크 Elevator floor cover having variable connection member
KR20210006171A (en) 2019-07-08 2021-01-18 강환흥 Closing around gap of elevator car and hall and air clean system
WO2021075053A1 (en) * 2019-10-18 2021-04-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landing sill device and elevator device equipped with same
KR200494741Y1 (en) * 2021-04-08 2021-12-14 조경호 Elevator door seal finishing cov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914Y1 (en) 2008-04-21 2010-03-03 장귀경 Separation object for elevator door frame reinforc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914Y1 (en) 2008-04-21 2010-03-03 장귀경 Separation object for elevator door frame reinforcemen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337B1 (en) 2017-08-16 2018-01-25 주식회사 나래테크 Elevator floor cover having variable connection member
KR20210006171A (en) 2019-07-08 2021-01-18 강환흥 Closing around gap of elevator car and hall and air clean system
WO2021075053A1 (en) * 2019-10-18 2021-04-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landing sill device and elevator device equipped with same
JPWO2021075053A1 (en) * 2019-10-18 2021-04-22
JP7279181B2 (en) 2019-10-18 2023-05-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Elevator landing threshold device and elevator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US11866297B2 (en) 2019-10-18 2024-01-09 Hitachi, Ltd. Elevator landing sill device and elevator device equipped with same
KR200494741Y1 (en) * 2021-04-08 2021-12-14 조경호 Elevator door seal finishing cov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220B1 (en) Door Sill Structure of Elevator
KR101618471B1 (en) Assembled finishing material of an elevator door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KR200447914Y1 (en) Separation object for elevator door frame reinforcement
JP2008273644A (en) Replacing method of elevator device, and elevator device
US9975736B2 (en) Door sill unit and method for an elevator landing door unit
KR200473964Y1 (en) Stiffener for elevator door sill
US9624072B2 (en) Elevator having a light curtain fixing arrangement
KR20090084163A (en) Gang form climbing guide and system using the same
JP2007168964A (en) Temporary suspension member of landing door device, and landing door device and landing door installing method using temporary suspension member
JP3170559B2 (en) Elevator car fixing device
JPH0737308B2 (en) Elevator control panel
JP2008230786A (en) Elevator landing device
WO2020008099A1 (en) Elevator car with an openable roof
KR20160094852A (en) Lockdown device holding tool and method for adjusting position of compensation device
KR101763836B1 (en) Construc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interior board
KR101307214B1 (en) Guard device for entrance and exit of working lift
JP2015000769A (en) Car for elevator, and car installation method of elevator
KR20100006592U (en) Safety Device For Hatch Door Of Elevator
JP7188496B1 (en) Mounting aid
JP5334018B2 (en) Elevator hall door header case
JP2614326B2 (en) Elevator hall equipment
JP4385877B2 (en) Elevator equipment
JP4539339B2 (en) Sliding door upper guide structure
JP2015003826A (en) Door adjusting device of elevator and door adjusting method
JP5752758B2 (en) How to renew your ca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