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997B1 -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2997B1 KR101552997B1 KR1020150052620A KR20150052620A KR101552997B1 KR 101552997 B1 KR101552997 B1 KR 101552997B1 KR 1020150052620 A KR1020150052620 A KR 1020150052620A KR 20150052620 A KR20150052620 A KR 20150052620A KR 101552997 B1 KR101552997 B1 KR 1015529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boiler
- pipe
- heating
- return
- Prior art dat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45 co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0—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 F24D3/1058—Feed-line arrangements, e.g. providing for heat-accumulator tanks, expansion tanks ; Hydraulic components of a central heating system disposition of pipes and pipe connec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002—Means for connecting central heating radiators to circulation pipes
- F24D19/0017—Connections between supply and inlet or outlet of central heating radi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메인으로 에너지를 연소하는 제1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온수가 송수관을 통해 각 방 배관 등을 거쳐 둘 이상의 서브 보일러들을 순환하면서 열교환을 한 뒤 제1 보일러의 송수관으로 유입되도록 하되, 일대 다수 간의 보일러들을 운용함에 있어 제1 보일러가 오프 되더라도 서브 보일러가 가동되어 실내 난방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보일러를 가동하면서 서브 보일러들의 가동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메인으로 에너지를 연소하는 제1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온수가 송수관을 통해 각 방 배관 등을 거쳐 둘 이상의 서브 보일러들을 순환하면서 열교환을 한 뒤 제1 보일러의 송수관으로 유입되도록 하되, 일대 다수 간의 보일러들을 운용함에 있어 제1 보일러가 오프 되더라도 서브 보일러가 가동되어 실내 난방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보일러를 가동하면서 서브 보일러들의 가동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Boiler)는, 석유나 석탄 및 가스 등을 연료로 사용하여 이를 연소시키거나 히터에 전기를 공급시켜 발생되는 연소열 및 전열을 이용하여 물을 가열하여 각종 난방시설 등에 더운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물을 끓이는 시설을 말하며, 주택용 보일러의 경우에는 실내의 바닥 등에 설치된 배관에 더운물을 공급하여 난방을 하거나, 급수관을 통해 온수의 공급 등에 사용되어 지고 있다.
병렬 보일러는 가정용의 소형 보일러를 다 수개 병렬로 연결하여 대형 보일러의 용량을 갖도록 한 것으로, 가정용 보일러를 기반으로 구성한 것인데, 이와 같은 병렬 보일러는 대형 보일러와 달리 별도의 보일러 관리 인력이 필요하지 않고 누구나 관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가정용 소형 보일러를 사용함으로써 협소한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고 유지보수 및 관리가 간편함은 물론 적은 열량부터 일부의 보일러가 가동되면서 필요한 열량만큼 보일러가 가동됨으로써 대형 보일러보다 유지비가 적게 드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병렬 보일러들은 통상 온수는 공동으로 연결되고, 난방배관은 각방별 난방배관에 대해 보일러들이 1:1 방식으로 연결된 경우와, 모든 난방과 수개의 보일러들이 공동으로 연결되어 난방에 필요한 열량에 따라 보일러의 작동 개수를 달리하는 경우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병렬 보일러 중 각방별 난방배관에 대해 보일러들이 공동으로 연결된 병렬 보일러에서는 사용자의 난방운전요청이 있을 시, 난방부하량에 따른 필요열량을 산출한 후 그 열량에 부응하여 보일러들을 정해진 순서에 맞춰 순차적으로 난방 작동시키는 제어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이, 난방배관에 대해 상호 공동 연결된 수개의 병렬 보일러들을 정해진 순서에 맞춰 순차적인 난방운전 시키는 방법은, 일부 보일러에만 잦은 난방이 일어나게 되어 해당 보일러의 부하에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최적의 난방운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또한 상호 병렬 연결된 전체 보일러들이 각각 균등 난방운전이 되지 않으므로 일부 보일러는 수명이 매우 짧아지게 됨은 물론 전체 보일러의 수명을 균등하게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각방에 대해 최적상태의 난방을 실시할 수 있고, 또 상호 병렬 연결된 전체 보일러에 대한 총 운전시간을 고려한 우선순위에 따라 난방운전이 균등하게 이루어지므로 각 보일러의 수명을 대폭 연장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 보일러의 수명을 균등하게 관리할 수 있는 병렬 보일러의 난방운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경우 1대 다수가 아닌, 복수의 보일러 중 우선순위가 최고 높은 보일러 1대를 온수운전 대기시키고, 그 외 보일러 중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보일러를 먼저 가동시켜 난방운전을 실시하되, 해당 보일러만으로 난방에 필요한 열량이 부족할 경우 휴지중인 나머지 보일러들 중 우선순위가 높은 것부터 차례로 난방 구동시키고, 또 수대의 보일러를 이용하여 난방을 실시하던 중 필요 열량이 보일러들의 최대 공급열량보다 작으면 난방운전 시간이 가장 오래된 보일러부터 난방운전이 정지되도록 제어하는 방식을 통해 최적의 난방운전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각 보일러들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각각 소모해야 되므로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이 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각의 보일러들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차가운 물을 데우는데 걸리는 시간이 오래 소요되며, 이로 인해 에너지 소모가 많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각 보일러 간을 연결하는 배관사이에는 밸브들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일러 미가동시 내부에 난방수에 의해 배관이 부식되거나, 산화되어 발생되는 이물질들에 의하여 배관이 막히기 때문에 잦은 고장 또는 유지보수에 드는 비용이 비교적 많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 2에는 기름보일러의 기존시설 교체 없이 기존의 기름보일러에 연탄보일러를 간단하게 연결 설치하여 연탄보일러 및 기름보일러의 각 개별성을 유지하면서, 연탄보일러에 의한 온수의 자연순환 및 강제순환을 이용하여 효율적인 난방 및 급탕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연탄보일러 사용으로 인한 과열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연탄 및 기름 겸용 보일러에 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2의 경우 연탄보일러 각 배관들 사이에 밸브들이 개재되어 있어 원활한 난방수의 순환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히, 각 보일러(기름 및 연탄보일러) 간을 이동하는 난방수에는 공기가 함유되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 상기한 밸브들에 의해 공기는 순환되지 못하고 배관 내에 계속 모이게 되어 순환펌프들이 공회전되며, 이로 인해 난방수가 원활한 순환이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메인으로 에너지를 연소하는 제1 보일러에서 발생되는 온수가 송수관을 통해 각 방 배관 등을 거쳐 둘 이상의 서브 보일러들을 순환하면서 열교환을 한 뒤 제1 보일러의 송수관으로 유입되도록 하되, 일대 다수 간의 보일러들을 운용함에 있어 제1 보일러가 오프 되더라도 서브 보일러가 가동되어 실내 난방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보일러를 가동하면서 서브 보일러들의 가동을 최소화하여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구성되는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열된 물이 각 방의 난방배관 및 욕실, 싱크대의 온수배관으로 분배하도록 송수분배기와 제1 송수관으로 연결된 제1 보일러; 상기 각 방의 난방배관을 거쳐 난방을 마친 환수가 공급되도록 환수분배기와 제2 환수관이 차례로 연결된 제2 보일러; 상기 제2 보일러의 제2 송수구와 제1 보일러의 제1 환수구 사이를 연결한 제1 환수관; 상기 제1 보일러가 고장 또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작동을 멈출 경우 제2 보일러에서 예열된 난방수가 설정온도까지 가열되어 송수분배기로 유입되도록 연결된 제2 송수관; 및 상기 제1 보일러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제2 송수관을 개폐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일러는, 제2 송수구와 제2 환수관의 환수 유입구는 서로 대각선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일러에는, 상기 제1 송수관, 각 방의 난방배관 및 제1 환수관을 거쳐 제1 보일러로 유입되는 환수의 양이 최초 송수되는 양보다 적을 경우 제1 보일러로 보충수가 유입되는 보충수관; 및 상기 보충수관과 연결되되, 외부의 수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직수관이 구비되는 보충수 탱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일러에는, 상기 제1 송수관, 각 방의 난방배관 및 제1 환수관을 거쳐 제1 보일러로 유입되는 환수에 증기가 포함될 경우 이를 토출시키는 오버플로 관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 관은, 보충수 관과 연결되되, 오버플로 되는 물은 보충수 탱크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에 의하면, 첫째, 기존의 병렬로 보일러를 연결하는 구조와 같이 각 보일러를 연결하는 배관에 밸브 등이 개재되지 않기 때문에 배관에 물이 고이지 않아 원활한 난방수의 순환이 이루어지고, 이로 인해 배관의 내부가 부식되거나 막히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보일러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메인으로 에너지를 연소하는 제1 보일러의 난방수가 서브 보일러인 제2 내지 제n 보일러로 유입되면서 예열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1 보일러의 작동이 멈추더라도 서브 보일러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에너지의 소모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셋째, 비교적 면적이 넓은 주택 또는 복층의 주택에서 복수의 보일러를 사용할 경우 제2 보일러와 연결된 난방 배관으로 난방수를 보낼 시 이미 가열된 난방수가 제2 보일러로 유입되기 때문에 제2 보일러의 가동시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는, 제1 보일러(100)에서 가열된 물이 각 방의 난방배관(111) 및 욕실, 싱크대의 온수배관으로 분배하기 위한 송수분배기(130)와 연결되는 제1 송수관(11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각 방의 난방배관(111)을 거쳐 난방을 마친 환수가 제2 보일러(200)의 환수분배기(230)로 연결되는 제2 환수관(22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 보일러(200)의 제2 송수구(210)와 제1 보일러(100)의 제1 환수구(121)와 연결되는 제1 환수관(120)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2 보일러(200)는, 제2 송수구(210)와 제2 환수관(220)의 환수 유입구(221)는 서로 대각선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제2 송수구(210) 및 환수 유입구(221)가 동일선상 또는 동일선상에 근접하게 위치되면, 제2 보일러(200)의 상부 또는 하부 일측에 공압이 발생하게 되어 환수유입구(221)에서 유입되는 물이 제2 송수구(210)로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은 뿐만 아니라, 제2 보일러(200)의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어 제2 환수관(220)에 구비되는 환수펌프(240)가 공회전 되므로 난방수의 순환의 원활하지 않기 때문에 제2 송수구(210)와 제2 환수관(220)의 환수 유입구(221)는 서로 대각선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이상적으로는 제2 송수구(210)가 환수유입구(221)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환수 분배기(230)와 환수 유입구(221) 사이에는 환수펌프(240)가 더 개재될 수 있다. 이는 각 방의 난방배관(111)을 거친 물을 제2 보일러(200)로 원활하게 유입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보일러(100)에는, 상기 제1 송수관(110), 각 방의 난방배관(111) 및 제1 환수관(120)을 거쳐 제1 보일러(100)로 유입되는 환수의 양이 최초 송수되는 양보다 적을 경우 제1 보일러(100)로 보충수가 유입되는 보충수관(301)과, 상기 보충수관(301)과 연결되되, 외부의 수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직수관(302)이 구비되는 보충수 탱크(300)가 구비된다.
이는 제1 보일러(100)에서 가열된 물이 각 방의 난방배관(111) 및 제2 보일러(200)를 거쳐 제1 환수관(120)으로 유입되었을 시 최초 송수된 물보다 그 양이 적을 경우 물을 보충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된 물이 각 방의 난방배관(111)을 순환한 뒤 제2 보일러(200) 및 제1 환수관(120)으로 유입되면서 일부가 증발 또는 소실된다. 따라서 이러한 물을 보충하기 위해 상기 보충수 탱크(300)를 구비하여 보일러 운용 시 소실되는 물을 보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보일러(100)에는, 상기 제1 송수관(110), 각 방의 난방배관(111) 및 제1 환수관(120)을 거쳐 제1 보일러(100)로 유입되는 환수에 증기가 포함될 경우 이를 토출시키는 오버플로 관(303)이 구비된다. 이는 가열된 물이 각 방의 난방배관(111)을 순환한 뒤 제2 보일러(200) 및 제1 환수관(120)으로 유입되면서 환수에 증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이를 토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는, 상기 환수펌프(240)의 이상으로 원활한 환수의 유입이 되지 않을 경우에도 환수는 원활하게 유입되지 않으면서 다량의 증기만 제1 환수관(120)으로 유입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유입되는 증기 또한 토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일러를 가동할 시에는 고열이 발생되며, 이로 인해 송수 및 환수에는 다량의 증기가 포함된다. 이러한 증기를 제때에 제거하지 않게 되면 보일러 배관에는 증기압이 증가하여 폭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증기를 보충수 탱크(300) 또는 외기로 오버플로 시켜 항상 정량의 물이 제1 및 제2 보일러(100, 200)에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보일러(100, 200)를 연결하는 배관들의 중간에는 밸브가 없기 때문에 무압력에 의해 온수가 순환되므로 자연스런 열평형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제1 보일러(100)에는 제1 송수관(11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의 양 및 제1 환수관(12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항상 정량의 물만이 순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보일러(100, 200)를 순환하면서 제2 보일러(200)는 가동되지 않은 상태로 항상 예열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다 제1 보일러(100)가 작동을 멈추게 되면 제2 보일러(200)가 가동하여 제1 보일러(100)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제2 보일러(200)에서 예열된 난방수는 제2 송수관(250)을 통하여 송수분배기(130)로 유입되며, 상기 제2 송수관(250)에는 개폐 밸브(251)가 개재되어 제1 보일러(100)의 작동 유무에 따라 개폐 밸브(251)가 개방 또는 폐쇄된다. 상기 개폐 밸브(251)는 컨트롤러(140)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다.
상기한 컨트롤러(140)는 제1 보일러(100) 및 제2 보일러(200)와 연계되어 하나로 구성될 수도 있고, 각각의 보일러에 별도로 구성되어 각각의 컨트롤러들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컨트롤러에 대한 구성은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최초 제1 보일러(100)를 가동하게 되면, 제1 보일러(100)의 내부를 물이 순환하면서 난방수 또는 온수가 가열된다. 이렇게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가열된 물은 제1 송수관(110)을 거쳐 송수분배기(130)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난방수는 각 방의 난방배관(111)을 지나면서 방을 난방하게 된다.
이후 난방배관(111)을 거친 물은 환수분배기(230)를 거쳐 제2 보일러(200)로 유입되어 제2 보일러(200) 내부의 배관을 채우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보일러(100)의 제1 송수관(110)을 통하여 배출된 난방수는 각 방 배관(111)을 거쳐 제2 보일러(200)의 유입되면서 앞전에 제2 보일러(200)에 있던 배관의 난방수와 열교환을 하면서 앞전에 제2 보일러(200)의 배관에 유입된 물은 제1 보일러(100)의 제1 환수관(120)과 유입되면서 각각의 보일러의 온수는 서로 평형을 이루게 된다.
따라서 제1 보일러(100)를 가동하는 동안에는 제2 보일러(200)는 가동되지 않고 제1 보일러(100)를 통하여 배출된 난방수가 제2 보일러(200)로 유입되면서 예열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는, 비교적 면적이 넓은 주택 또는 복층의 주택인 경우 복수의 보일러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 때 제2 보일러(200)로 유입된 난방수는 제1 보일러(100)와 멀리 떨어진 곳 또는 2층 이상의 각 방으로 난방을 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예열된 난방수가 유입된 제2 보일러(200)의 경우 이미 제2 보일러(200)에는 난방수가 유입되어 있기 때문에 약간의 연료만을 소모하면 설정온도에 쉽게 도달할 수 있게 때문에 효과적인 난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1 보일러(100)의 고장 또는 유지보수로 인하여 작동이 멈추게 되면, 상기 컨트롤러(140)는 이를 감지하여 제2 보일러(200)의 물을 설정온도에까지 도달하도록 가열한 뒤, 제2 송수관(250)을 개방하여 송수분배기(130)로 난방수를 유입시키게 된다.
따라서 메인으로 에너지를 연소하는 제1 보일러(100)의 난방수가 서브 보일러인 제2 내지 제n 보일러로 유입되면서 예열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제1 보일러(100)의 작동이 멈추더라도 서브 보일러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에너지의 소모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어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제1 보일러(100)는 예를 들어 연탄보일러, 제2 보일러(200)는 기름보일러, 가스보일러 등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보일러의 경우 연료비가 제1 보일러에 비해 비싼 보일러를 설계하는 것이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 가장 경제적인 복수의 보일러 설치방법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제1 보일러 110 : 제1 송수관
111 : 각 방 배관 120 : 제1 환수관
130 : 송수분배기 140 : 컨트롤러
200 : 제2 보일러 210 : 제1 송수구
220 : 제2 환수관 221 : 환수유입구
230 : 환수분배기 240 : 환수펌프
250 : 제2 송수관 251 : 개폐밸브
300 : 보충수 탱크 301 : 보충수관
302 : 직수관 303 : 오버플로 관
111 : 각 방 배관 120 : 제1 환수관
130 : 송수분배기 140 : 컨트롤러
200 : 제2 보일러 210 : 제1 송수구
220 : 제2 환수관 221 : 환수유입구
230 : 환수분배기 240 : 환수펌프
250 : 제2 송수관 251 : 개폐밸브
300 : 보충수 탱크 301 : 보충수관
302 : 직수관 303 : 오버플로 관
Claims (5)
- 가열된 물이 각 방의 난방배관(111) 및 욕실, 싱크대의 온수배관으로 분배하도록 송수분배기(130)와 제1 송수관(110)으로 연결된 제1 보일러(100);
상기 각 방의 난방배관(111)을 거쳐 난방을 마친 환수가 공급되도록 환수분배기(230)와 제2 환수관(220)이 차례로 연결된 제2 보일러(200);
상기 제2 보일러(200)의 제2 송수구(210)와 제1 보일러(100)의 제1 환수구(121) 사이를 연결한 제1 환수관(120);
상기 제1 보일러(100)가 고장 또는 유지보수를 위하여 작동을 멈출 경우 제2 보일러(200)에서 예열된 난방수가 설정온도까지 가열되어 송수분배기(130)로 유입되도록 연결된 제2 송수관(250); 및
상기 제1 보일러(1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제2 송수관(250)을 개폐하는 컨트롤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일러(200)는,
제2 송수구(210)와 제2 환수관(220)의 환수 유입구(221)는 서로 대각선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일러(100)에는,
상기 제1 송수관(110), 각 방의 난방배관(111) 및 제1 환수관(120)을 거쳐 제1 보일러(100)로 유입되는 환수의 양이 최초 송수되는 양보다 적을 경우 제1 보일러(100)로 보충수가 유입되는 보충수관(301); 및
상기 보충수관(301)과 연결되되, 외부의 수원으로부터 유입되는 직수관(302)이 구비되는 보충수 탱크(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일러(100)에는,
상기 제1 송수관(110), 각 방의 난방배관(111) 및 제1 환수관(120)을 거쳐 제1 보일러(100)로 유입되는 환수에 증기가 포함될 경우 이를 토출시키는 오버플로 관(30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 - 제3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 관(303)은,
보충수 관(301)과 연결되되, 오버플로 되는 물은 보충수 탱크(300)로 유입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2620A KR101552997B1 (ko) | 2015-04-14 | 2015-04-14 |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2620A KR101552997B1 (ko) | 2015-04-14 | 2015-04-14 |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2997B1 true KR101552997B1 (ko) | 2015-09-14 |
Family
ID=54248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2620A KR101552997B1 (ko) | 2015-04-14 | 2015-04-14 |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2997B1 (ko) |
-
2015
- 2015-04-14 KR KR1020150052620A patent/KR101552997B1/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69490B2 (en) | Boiler having increased indoor heating efficiency and enabling simultaneous use of indoor heating and hot water | |
KR101754029B1 (ko) | 메인보일러와 가스보일러의 배관 연결구조 | |
CN102042670B (zh) | 一种家用智能中央热水系统 | |
GB2450414A (en) | Exhaust gas water heating system | |
CN102705980A (zh) | 一种具有采暖热水炉多机并联系统的装置及其使用方法 | |
KR20110009100A (ko) | 가정용 온수를 생산하는 설비 | |
KR101038120B1 (ko) | 열매체유를 이용한 바닥 난방시스템 | |
KR101117665B1 (ko) | 전기 보일러 | |
KR101552997B1 (ko) | 열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복수의 보일러 배관 연결구조 | |
KR102081174B1 (ko) | 전기 온수 보일러 | |
US10234170B2 (en) | Boiler system | |
KR200446160Y1 (ko) | 연탄보일러의 난방/온수 자동제어시스템 | |
KR100793110B1 (ko) | 화목 보일러 | |
KR101261170B1 (ko) | 온수 공급 및 난방 장치 | |
JP3944434B2 (ja) | 給湯暖房システム | |
KR100828382B1 (ko) | 복합 보일러 | |
KR101464690B1 (ko) | 소형 인버터 전기보일러 | |
KR101257774B1 (ko) | 태양 보일러 시스템 | |
CN201916996U (zh) | 一种家用智能中央热水系统 | |
KR20110127933A (ko) | 저탕식 보일러 | |
KR20090083829A (ko) | 가정용 난방시스템 | |
EP1939540A2 (en) | A Heating System | |
KR101458165B1 (ko) |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 | |
KR20150084424A (ko) | 태양열 온수시스템 | |
KR20130022330A (ko) | 히트 파이프 열교환기를 이용한 이중 구조의 축열 탱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