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58165B1 -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 - Google Patents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58165B1
KR101458165B1 KR1020140026946A KR20140026946A KR101458165B1 KR 101458165 B1 KR101458165 B1 KR 101458165B1 KR 1020140026946 A KR1020140026946 A KR 1020140026946A KR 20140026946 A KR20140026946 A KR 20140026946A KR 101458165 B1 KR101458165 B1 KR 101458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t water
storage tank
temperatur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준
Original Assignee
에너지귀뚜라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너지귀뚜라미(주) filed Critical 에너지귀뚜라미(주)
Priority to KR1020140026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581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58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581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7/00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 F24H7/02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 F24H7/04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 F24H7/0408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7/0433Storage heaters, i.e. heaters in which the energy is stored as heat in masses for subsequent release the released heat being conveyed to a transfer fluid with forced circulation of the transfer fluid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the transfer medium be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1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D19/100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 F24D19/1051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ing systems for domestic hot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24H1/202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with resistan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4Arrangements for connecting different sections, e.g. in water heaters 
    • F24H9/142Connecting hydraulic components
    • F24H9/144Valve seats, piping and heat exchanger connections integrated into a one-piece hydraulic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1Storage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냉수를 공급하여 승온을 한 후 난방 및 온수를 공급할 때, 즉시 사용온도에 맞추어 공급할 수 있도록 축열조 내부에 장착된 다수개의 히터삽입관에 각각 히터를 장착하여 히터삽입관으로 통과되는 물을 가열하여 축열조 내부의 상층부를 고온수로 유지함과 동시에, 인버터에 온수의 온도를 설정하면 순환펌프의 속도를 제어하면서 히터삽입관으로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여 항상 설정온도의 온수를 생산하여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 구성은 물을 수장하여 승온할 수 있게 형성된 축열조(10)와, 상기 축열조(10)의 하측으로 삽입장착되어 급수를 공급하는 급수관(20)과, 상기 급수관(20)의 단부측에 형성되어 급수를 살포하기 위한 하부디퓨져(30)와, 상기 하부디퓨져(30)와 연결되어 축열조(10)의 외부로 유도되는 순환급수관(40)에 장착된 순환펌프(50)와, 상기 순환펌프(50)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60)와, 상기 순환펌프(50)에 의해 순환되는 온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순환급수관(40)에 형성된 체크밸브(41)와, 상기 순환급수관(40)과 연결되어 유도되는 급수를 승온할 수 있게 축열조(10)의 하부측 내부로 다수 장착된 히터삽입관(7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삽입된 히터(80)와, 상기 히터(80)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축열조(10)의 외부로 유도함과 동시에 온수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해 체크밸브(91)가 형성된 외부급수관(90)과, 상기 외부급수관(90)은 축열조(10)의 상층부 내부로 삽입되어 단부에 장착된 상부디퓨져(100)와, 상기 상부디퓨져(100)와 연결하여 축열조(10)의 상부로 온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온수배출관(110)에 장착된 3방향밸브(12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Regenerative inverter electric boiler}
본 발명은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에 관한 것으로, 더욱 바람직하게는 냉수를 공급하여 승온을 한 후 난방 및 온수를 공급할 때, 즉시 사용온도에 맞추어 공급할 수 있도록 축열조 내부에 장착된 다수개의 히터삽입관에 각각 히터를 양측에서 삽입하여 히터삽입관으로 통과되는 물을 가열하여 축열조 내부의 상층부를 고온수로 유지함과 동시에, 인버터에 온수의 온도를 설정하면 순환펌프의 속도를 제어하면서 히터삽입관으로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여 항상 설정온도의 온수를 생산하여 공급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등의 주거시설에는 난방을 위하여 전기보일러 및 가스보일러, 기름보일러, 심야 전기보일러, 순간식 가스보일러 등으로 포함하는 난방설비가 설치된다.
종래의 보일러 난방설비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난방에 사용할 난방수를 가열하기 위한 (가스, 기름, 전기)보일러와, 상기 보일러에 연결된 출탕관에 출탕분배기가 연결되고 가스, 기름, 전기보일러에 연결된 환수관에 환수분배기 사이에 순환펌프가 그리고 각 난방영역의 바닥에 매설되는 난방배관과, 상기 난방배관이 매설된 각 난방영역의 온도를 조절 및 설정하기 위한 실내 온도조절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난방 수의 출탕 분배장치에는 개폐밸브가 설치된다. 여기서, 실내 온도조절기의 설정상태에 따라 각각의 (가스, 기름, 전기)보일러가 동작되어 난방수를 제공하게 되고 보일러에서 제공된 난방수는 난방수의 분배장치를 통하여 각 난방영역으로 순환펌프가 매설된 난방배관으로 보내져 난방에 사용된 후 난방 환수분배장치에서 난방환수 배관을 경유하여 (가스, 기름, 전기)보일러로 다시 회수되고 순환 처리되는데, 난방에 사용되는 난방수의 순환은 근본적으로 실내온도조절기의 조절 및 설정상태, 그리고 보일러의 난방수의 온도에 따라서 순환펌프는 작동과 멈춤을 하며 난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일 예로, (가스, 기름, 전기)보일러 실내온도조절기를 통해 난방 수 온도와 실내온도가 설정되면, 보일러는 난방수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보일러가 동작되어 난방수를 가열하게 되고 이를 순환펌프가 작동하여 각각의 난방을 하게 되며 보일러의 난방수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동일하게 이르게 되면 보일러의 가동이 정지된다.
이때, (가스, 기름 전기)보일러에서 가열된 난방수는 난방수 분배장치를 통해 각 난방영역으로 보내진 후 난방환수관을 경유해서 순환펌프의 가동에 의해 순환 공급되어, (가스, 기름, 전기)보일러는 실내 온도조절기에 설정된 온도에 또는 시간설정에 도달할 때까지 각각의 보일러는 버너와 순환모터가 지속적으로 작동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가스, 기름, 전기)보일러 난방설비는 난방배관에 잔류된 난방수 온도와 무관하게 각각의 보일러의 버너와 순환펌프는 불필요하게 가동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각각의 보일러는 자주 가동을 야기 시키므로 인하여 결국 많은 에너지를 소비되게 한다.
또한, 전기보일러는 통상 전기히터를 이용한 것으로, 이는 축열조 내에 충진된 물을 일정 온도로 상승시켜 난방을 실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전기보일러는 별도의 가열조가 없기 때문에 축열조 내의온도를 일정온도로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초기운전 시간이 많이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히터는 전기보일러 내에 일체로 체결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히터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축열조 내에 축열된 온수 전체를 배수하여야 만이 교체가 가능하고, 전기히터를 교체한 후에는 다시 축열조 내에 물을 채우고 물을 일정온도로 상승시켜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에너지가 동시에 손실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전기보일러에는 온수가 팽창되면 이를 수용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도중 폭파될 위험성이 항상 내포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안심하고 전기보일러를 사용할 수 없는 제반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등록특허 10-1251468호의 난방용 온수를 이용한 세대유닛 온수 공급제어장치가 공개되었으나, 상기 특허는 열원에서 공급되는 난방수공급관에 삼방향(또는 절환)밸브와 열교환기 그리고 온수배관 출구에 온도센서를 설치하여 배출되는 온수를 감지하면서 열교환 된 온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열교환기에서는 난방용 순환수를 이용하며 급수관으로 공급되는 냉수를 열교환 하여 급탕온수로 사용할 뿐이고, 온도센서는 단지 3방향밸브의 개폐하기 위하여 감지하는 것이지, 설정온도에 맞는 온수를 일정하게 생산하여 공급할 수는 없었던 것이다.
1.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65084호 2. 국내 등록특허 제10-1251468호 3. 국내 등록특허 제 10-0874748호 4. 국내 등록특허 10-125146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 난방 및 온수를 공급함에 있어서, 축열조에 저장된 상층부의 물을 항상 고온수로 유지하기 위하여 축열조 내부에 다수개 장착되는 히터삽입관에 각각 히터를 양측에서 삽입하여 히터삽입관을 통과하는 물을 가열함과 동시에 축열조 내부의 물을 승온시키므로 즉시 사용 온도에 맞는 온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축열조의 외부 일측 순환급수관에 장착된 인버터에 온수의 온도를 설정하면 축열조에서 외부급수관으로 유도되는 온수를 출구온도감지센서가 감지한 후, 이를 주파수 변환시켜서 순환펌프의 속도를 제어하여 히터삽입관을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설정온도에 맞추어 조절하기 때문에, 항상 설정온도의 온수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축열조의 상층부는 항상 고온수를 유지하므로 3방향밸브에서는 직수 및 리턴수와 믹싱하여 설정온도에 맞는 온수를 공급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을 수장하여 승온할 수 있게 형성된 축열조(10)와,
상기 축열조(10)의 하측으로 삽입장착되어 급수를 공급하는 급수관(20)과,
상기 급수관(20)의 단부측에 형성되어 급수를 살포하기 위한 하부디퓨져(30)와,
상기 하부디퓨져(30)와 연결되어 축열조(10)의 외부로 유도되는 순환급수관(40)에 장착된 순환펌프(50)와,
상기 순환펌프(50)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60)와,
상기 순환펌프(50)에 의해 순환되는 온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순환급수관(40)에 형성된 체크밸브(41)와,
상기 순환급수관(40)과 연결되어 유도되는 급수를 승온할 수 있게 축열조(10)의 하부측 내부로 다수 장착된 히터삽입관(7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삽입된 히터(80)와,
상기 히터(80)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축열조(10)의 외부로 유도함과 동시에 온수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해 체크밸브(91)가 형성된 외부급수관(90)과,
상기 외부급수관(90)은 축열조(10)의 상층부 내부로 삽입되어 단부에 장착된 상부디퓨져(100)와,
상기 상부디퓨져(100)와 연결하여 축열조(10)의 상부로 온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온수배출관(110)에 장착된 3방향밸브(12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냉수를 공급하여 축열조의 내부에서 승온하여 난방 및 온수 공급할 때, 축열조의 내부에 장착된 히터삽입관으로 통과하는 물을 히터삽입관에 삽입된 히터가 가열해줌으로써, 즉시 사용온도에 온수가 도달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버터에 설정온도를 설정하게 되면, 외부급수관의 전방에 장착된 출구온도감지센서가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주파수 변환한 후, 순환펌프 속도를 제어하여 히터삽입관으로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여 항상 설정온도의 온수를 유지하여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축열조의 상층부의 물은 고온수이므로 직수 및 리턴수와 믹싱하여 3방향밸브에서는 설정온도에 맞추어 온수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순환펌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버터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열조(10)의 내부로 공급되는 급수를 축열조(10) 내부에 다수 장착된 히터삽입관(70)의 양측에 삽입된 히터(80)로 가열하여 축열조(10)의 상층부를 항상 고온수의 상태로 유지하고, 인버터(60)에 온수의 온도를 설정하여 주면, 외부급수관(90)에 장착된 출구온도감지센서(140)가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주파수 변환한 후, 순환펌프(50)의 속도를 제어하여 히터삽입관(70)으로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제어하여 항상 설정온도에 맞는 온수를 공급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대하여 도 1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급수를 승온하여 수장하기 위한 축열조(10)가 형성되고, 상기 축열조(10)는 도 1에서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각형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축열조(10)의 하부측에는 급수관(20)을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때 급수관(20)은 축열조(10)의 내부로 삽입이 되고, 급수관(20)의 단부측에는 급수를 살포하여 공급할 수 있게 하부디퓨져(3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디퓨져(30)는 순환급수관(40)과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때 순환급수관(40)은 축열조(10)의 하부 외부측으로 유도되어 축열조(10)의 내부에 다수 장착된 히터삽입관(70)의 입구측과 연결하여 구성한다.
이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순환급수관(40)에는 축열조(10)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기 위한 순환펌프(50)가 장착되어 있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순환펌프(50)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하여 순환펌프(50)에는 인버터(60)를 연결하여 구성한다.
또한, 순환급수관(40)으로 유도되는 온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체크밸브(41)가 순환펌프(50)의 전방에 장착하여 구성한다.
그뿐만 아니라 순환펌프(50)의 전방에는 입구온도감지센서(150)가 장착되어 순환급수관(40)으로 순환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히터삽입관(70)의 내부에는 온수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80)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히터삽입관(70)은 축열조(10)의 내부에 다수개를 형성하여 히터삽입관(70)과 히터삽입관(70)은 서로 연결관(71)에 의해 연결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다수개 장착되는 히터삽입관(70)은 직렬 또는 병렬방식으로 구성하여 온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시 히터삽입관(70)에 삽입되는 히터(80)는 일측으로 삽입하여 하나의 히터(80)를 장착할 수 있으나, 도 1에서와 같이, 히터(80)를 서로 분리하여 히터삽입관(70)의 양측에서 삽입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히터삽입관(70)을 통과하여 가열된 온수를 다시 외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히터삽입관(70)의 출구측은 외부급수관(90)과 연결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외부급수관(90)은 다시 축열조(10)의 상층부로 삽입되어 단부측에는 온수를 살포하기 위한 상부디퓨져(10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급수관(90)에는 온수의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체크밸브(9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크밸브(91)의 전방에는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출구온도감지센서(140)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디퓨져(100)는 다시 축열조(10)의 상부측으로 유도되는 온수배출관(110)과 연결하여 구성되고, 상기 온수배출관(110)에는 3방향밸브(120)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3방향밸브(120)의 일측 수평체크밸브(121)는 온수배출관(110)과 연결하여 구성되고, 수직체크밸브(122)는 급수관(20)에서 분기된 분기관(21)과 연결하여 급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또 다른 수평체크밸브(123)는 난방과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공급관(130)과 연결하여 구성한다.
그뿐만 아니라 축열조(10)의 상부 일측에는 상층부의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상부온도감지센서(160)가 장착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축열조(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순환급수관(40)의 출구측과 외부급수관(90)의 유입구측에는 히터(81)(82)를 각각 장착하여 유입되는 온수를 가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에 대한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는 항상 설정된 온도의 온수를 공급할 수 있게, 급수관(20)을 통해 축열조(10)의 내부로 급수를 공급한다. 이때 급수관(20)으로 공급되는 급수는 단부측의 하부디퓨져(30)를 통해 사방으로 살포되면서 공급이 된다.
그리고 축열조(10)의 외부로 형성된 순환급수관(40)에 장착된 순환펌프(50)가 작동하면서 축열조(10) 내의 온수를 순환급수관(40)으로 유도하여 다시 축열조(10) 내에 다수 장착된 히터삽입관(70)으로 유입되면서 히터삽입관(70)에 삽입된 히터(80)에 의해 온수는 가열이 된다. 이때 히터삽입관(70)에 일측 또는 양측에 삽입된 히터(80)에 의해 축열조(10) 내의 온수도 간접적으로 가열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순환펌프(50)의 가동 속도는 순환펌프(50)와 연결된 인버터(60)에 의해 제어가 된다.
상기와 같이 축열조(10) 내부에 다수 장착된 히터삽입관(70)을 통해 통과되는 온수는 히터(80)에 의해 가열된 후, 다시 외부급수관(90)으로 유도되어 축열조(10) 상층부의 내부에 형성된 상부디퓨져(100)를 통해 사방으로 살포되면서 공급이 된다. 이때 축열조(10)의 상층부는 항상 고온수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디퓨져(100)를 통해 다시 외부로 형성되는 온수배출관(110)을 따라 유도되어 3방향밸브(120)를 통해 설정온도에 맞는 온수를 온수공급관(130)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축열조(10) 내부로 공급되는 급수는 상기와 같은 작동에 의해 온수를 생산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온수의 온도를 인버터(60)에 설정하게 되면, 축열조(10) 내에 유입된 급수가 순환급수관(40) 및 히터삽입관(70)을 거쳐 외부급수관(90)으로 유도될 때, 외부급수관(90)의 체크밸브(91) 전방에 장착된 출구온도감지센서(140)가 배출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이를 주파수 변환한 후, 순환펌프(50)의 속도를 제어하여 히터삽입관(70)으로 유입되는 온수의 통과 유량을 조절하여 항상 설정온도의 온수가 일정하게 생산되도록 인버터(60)가 제어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축열조(10)의 상층부는 항상 고온수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상부디퓨져(100)를 거쳐 온수배출관(110)을 따라 배출될 때, 설정온도 이상의 고온수가 배출하게 되면, 온수배출관(110)에 형성된 3방향밸브(120)에서는 급수 및 리턴수와 믹싱하여 설정온도에 맞는 온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3방향밸브(120)의 온수배출관(110)과 연결된 수평체크밸브(121)를 개방하여 고온수를 배출함과 동시에 분기관(21)과 연결된 수직체크밸브(122)도 개방하여 고온수와 급수를 서로 혼합하여 설정온도에 맞는 온수를 생산하여 타측에 형성된 수평체크밸브(123)를 통하여 온수공급관(130)으로 공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하면, 온수의 설정온도가 100℃일 때, 온수배출관(110)과 연결된 3방향밸브(120)의 수평체크밸브(121)로 130℃의 고온수가 공급되면, 급수를 공급하는 분기관(21)과 연결된 수직체크밸브(122)로는 고온수의 온도를 30℃ 낮출 수 있는 급수의 양을 조절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수직체크밸브(122)의 개방을 조절하게 되면, 고온수와 급수가 혼합되어 설정온도에 맞는 온수를 타측의 수평체크밸브(123)를 통해 온수공급관(130)으로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즉시 사용온도에 도달할 수 있는 온수를 생산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희터삽입관((70)에 삽입된 히터(80) 교체시 순환급수관(50)과 외부급수관(90)에 형성된 체크밸브(41)(91)를 오프하고, 교체 축열조(10)의 온수를 드레인 시키지 않고 교체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도 1에는 표기되어 있지는 않으나, 급수 및 온수가 유도되는 배관에 에어가 가득차 있을 때 이를 배출하기 위하여 에어밴트가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 축열조 20. 급수관
21. 분기관 30. 하부디퓨져
40. 순환급수관 41. 체크밸브
50. 순환펌프 60. 인버터
70. 히터삽입관 71. 연결관
80, 81, 82. 히터 90. 외부급수관
91. 체크밸브 100. 상부디퓨져
110. 온수배출관 120. 3방향밸브
121, 123. 수평체크밸브 122. 수직체크밸브
130. 온수공급관 140. 출구온도감지센서
150. 입구온도감지센서 160. 상부온도감지센서

Claims (5)

  1. 물을 수장하여 승온할 수 있게 형성된 축열조(10)와,
    상기 축열조(10)의 하측으로 삽입장착되어 급수를 공급하는 급수관(20)과,
    상기 급수관(20)의 단부측에 형성되어 급수를 살포하기 위한 하부디퓨져(30)와,
    상기 하부디퓨져(30)와 연결되어 축열조(10)의 외부로 유도되는 순환급수관(40)에 장착된 순환펌프(50)와,
    상기 순환펌프(50)의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인버터(60)와,
    상기 순환펌프(50)에 의해 순환되는 온수를 제어하기 위하여 순환급수관(40)에 형성된 체크밸브(41)와,
    상기 순환급수관(40)과 연결되어 유도되는 급수를 승온할 수 있게 축열조(10)의 하부측 내부로 다수 장착된 히터삽입관(7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삽입된 히터(80)와,
    상기 히터(80)에 의해 가열된 온수를 축열조(10)의 외부로 유도함과 동시에 온수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해 체크밸브(91)가 형성된 외부급수관(90)과,
    상기 외부급수관(90)은 축열조(10)의 상층부 내부로 삽입되어 단부에 장착된 상부디퓨져(100)와,
    상기 상부디퓨져(100)와 연결하여 축열조(10)의 상부로 온수의 배출을 유도하는 온수배출관(110)에 장착된 3방향밸브(12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방향밸브(120)의 일측 수평체크밸브(121)는 온수배출관(110)과 연결하여 형성되고, 수직체크밸브(122)는 급수관(20)과 분기된 분기관(21)과 연결하여 형성되고, 타측 수평체크밸브(123)는 온수 또는 온수와 냉수가 혼합되어 설정온도에 맞는 온수가 배출되도록 온수공급관(130)과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급수관(90)에 형성된 체크밸브(91)의 전방에는 외부로 유도되는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출구온도감지센서(140)를 형성하여, 인버터(60)에 온수의 온도를 설정하면 출구온도감지센서(140)가 온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주파수 변환한 후, 순환펌프(50)의 속도를 제어하여 히터삽입관(70)을 통과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면서 설정온도에 맞는 온수가 생성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축열조(10)의 내부에 형성된 상부디퓨져(100)와 하부디퓨져(30)에 의하여 축열조(10) 내부의 물을 성층화 하여 상충부의 물은 항상 고온수를 유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삽입관(70)은 다수개를 형성하되, 직렬 또는 병렬방식으로 구성하여 축열조(10)의 내부에서 연결관(71)에 의해 서로 연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
KR1020140026946A 2014-03-07 2014-03-07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 KR1014581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946A KR101458165B1 (ko) 2014-03-07 2014-03-07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6946A KR101458165B1 (ko) 2014-03-07 2014-03-07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58165B1 true KR101458165B1 (ko) 2014-11-04

Family

ID=52289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946A KR101458165B1 (ko) 2014-03-07 2014-03-07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581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739Y1 (ko) * 1987-08-26 1990-10-19 최학묵 축열조의 순환 온도 조절장치
KR200430701Y1 (ko) * 2006-08-28 2006-11-13 진명구 순간가열식 전기 보일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739Y1 (ko) * 1987-08-26 1990-10-19 최학묵 축열조의 순환 온도 조절장치
KR200430701Y1 (ko) * 2006-08-28 2006-11-13 진명구 순간가열식 전기 보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705980B (zh) 一种具有采暖热水炉多机并联系统的装置及其使用方法
CN104344555A (zh) 热泵热水器
US20070205292A1 (en) Heated fluid distribution apparatus for combined domestic hot water supply and space heating system
CN207649089U (zh) 一种具有零冷水功能的双热源燃气采暖热水炉
KR101355124B1 (ko) 예열기능을 구비한 팽창탱크 및 이를 사용한 보일러시스템
KR101754029B1 (ko) 메인보일러와 가스보일러의 배관 연결구조
KR101464690B1 (ko) 소형 인버터 전기보일러
CN101280933A (zh) 不同种类热水器的联合使用方法
KR101458165B1 (ko) 축열식 인버터 전기보일러
JP7130329B2 (ja) 給湯システム
CN201628366U (zh) 一种内置循环泵燃气热水器
JP3944434B2 (ja) 給湯暖房システム
KR20130118793A (ko) 히트펌프 열원 시스템
KR20110133073A (ko) 히트파이프보일러 및 난방제어 시스템과 순환펌프제어 컨트롤러
CN108151318A (zh) 一种具有烘干功能的热水循环装置及控制方法
RU2715877C1 (ru) Способ работы отопительного котла в системе отопления
TWM547648U (zh) 節能儲熱式電熱水器的加熱控制裝置
KR20140067412A (ko) 개별주택의 복사냉난방 시스템
JP5358010B2 (ja) ミストサウナ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ミストサウナシステム
KR20120092238A (ko) 에너지절약형 보일러 난방장치
KR200442776Y1 (ko) 벽난로의 온수공급장치
KR20090000678U (ko) 연탄보일러의 난방/온수 자동제어시스템
KR20160120899A (ko) 보일러 연료절감 컨트롤시스템
JP4155140B2 (ja) 貯湯式給湯装置
CN211233382U (zh) 壁挂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