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249B1 - A iontophoresis kit comprising a beauty pack for a neck - Google Patents

A iontophoresis kit comprising a beauty pack for a ne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2249B1
KR101552249B1 KR1020140192216A KR20140192216A KR101552249B1 KR 101552249 B1 KR101552249 B1 KR 101552249B1 KR 1020140192216 A KR1020140192216 A KR 1020140192216A KR 20140192216 A KR20140192216 A KR 20140192216A KR 101552249 B1 KR101552249 B1 KR 101552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clip
electrode
neck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2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영삼
Original Assignee
우먼스캐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먼스캐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먼스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92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22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2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22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0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 A61K9/0009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drug release technique; Application systems commanded by energy involving or responsive to electricity, magnetism or acoustic waves; Galenical aspects of sonophoresis, iontophoresis, electroporation or electroosm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28Specially adapted for iontophoresis, e.g. AC, DC or including drug reservo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5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ip for connecting a mask unit and a cable of iontophoresis and a mask assembly using the same. The clip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lip male part including a protrusion (72) inserted into a punched hole formed in the mask unit and a base plate (73) for supporting and fixating the protrusion (72); a clip female part including a ring type electrode fixing unit (75) having a protrusion inserting unit (75b) for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72) which is inserted into the punched hole, and a ring-shaped electrode unit (78)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able; and a washer (90) in which a coupling hole (91) for accommodating the protrusion (72) inserted into the punched hole is arranged at the center thereof, and which has a planar shape and maintains coupling between the clip male part (71) and the mask unit (10) by being coupled to the clip male part before the clip female part are combined with the clip male part. As the protrusion (72) of the clip male part is fitted and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electrode unit (78) in the clip female part,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electrode unit (78) a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protrusion (72) in the clip male part come into contact.

Description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목주름팩키트.{A iontophoresis kit comprising a beauty pack for a neck }A neck wrapping pack kit using iontophoresis. {A iontophoresis kit comprising a beauty pack for a neck}

본 발명은 이온토포레시스 현상을 이용한 목주름팩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패드(10), 전류원(20), 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이들 구성요소로 구성되는 전류루프를 통해 구현되는 이온토포레시스 현상을 이용하되, 목부위에 패드(10)가 안정적으로 접촉을 유지할 수 있고, 패드(10)에 전류를 신뢰성있게 공급하며, 사용자에게 피부 손상가능성을 낮출 수 있는 피부 목주름팩키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ck wrapping pack kit using iontophoresis, and more particularly, to a neck wrapping pack kit comprising a pad (10), a current source (20) and an electrode Which can reliably maintain the contact of the pad 10 with the neck 10, reliably supply the electric current to the pad 10, and reduce the possibility of skin damage to the wearer by using the iontophoresis phenomenon, Pack kit.

일반적으로 이온성, 약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의 약물에 대하여 경피투여하는 경우, 이들의 빠르고 많은 투여를 유도하기 위하여 약물분자나 용매분자의 이온이 전기적 추진력을 통해 전류적으로 이동하는 특성을 이용하여 피부나 점막질을 통하여 인체내에 유효약물을 투약하는 방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가령,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 일렉트로오스모시스(electroosmosis), 일렉트로포레이션(electroporation)등이 있으며, 이 밖에도 물리적인 수단인 음파나 광선을 이용하는 소노포레시스(sonophoresis) 및 레이저폴레션(iaserporation)이 있다.
In general, when the drug is transdermally administered to an ionic, ionic or non-ionic drug, the drug molecules or the ions of the solvent molecules are electrically moved through the electric propulsion force in order to induce their rapid and rapid administration. The method of administering an effective drug to the human body through skin or mucosal quality is mainly used. For example, there are iontophoresis, electroosmosis, electroporation, and sonophoresis and iaserporation using a physical means such as a sound wave or a light beam. .

이러한 전기적 추진력을 이용하는 수단으로는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가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잘 알려져 있고, 이온토포레시스는 피부에 미세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하를 가진 약물이나 유효성분이 전기 반발력에 의해 피부로 침투되게 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약물이나 유효성분이 전류에 의해 생체 조직으로 침투되기 위해서는 이온화된 약물의 전기적 반발력을 이용한다. 이온화된 약물 이온(+ 또는 -)은 전류의 극성에 따라 이동도가 큰 양이온(+)은 캐소드 전극(-)으로 이동하고, 음이온(-)은 애노드 전극(+)으로 이동하여 정전하를 띤 약물이온(+ 또는 -)이 피부에 투여된다. 피부로의 물질 흡수를 증대시키는 방법으로 흡수 촉진제나 프로드럭(prodrug)화를 이용하여 약물이나 피부의 물리화학적 성질을 바꾸어 약물의 침투를 촉진시키는 방법도 있으나, 이온토포레시스는 피부의 전기적인 환경을 강제로 바꾸어 기존의 방법보다 훨씬 더 능동적으로 약물 침투를 증대시키는 방법이면서도 인젝션(injection)보다는 훨씬 덜 침습적인 약물투여방법이다. 특히,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하여 피부 미백 효능 물질을 비타민C를 피부에 흡수시켜 기미를 개선하는 방법은 현재 피부과 병원에서도 사용되고 있으며 기미 치료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The iontophoresis is known to be the most representative means of utilizing such an electric propulsion force, and the iontophoresis is caused to flow a micro current to the skin, so that a drug or an effective ingredient having a charge is penetrated into the skin by the electric repulsion force . In order for a drug or an effective ingredient to penetrate into a living tissue by an electric current, an electric repulsive force of the ionized drug is used. The ionized drug ions (+ or -) migrate to the cathode electrode (-) with a high mobility according to the polarity of the electric current, and the negative ions (-) move to the anode electrode (+ A drug ion (+ or -) is administered to the skin. There is also a way to increase the absorption of substances into the skin by using an absorption promoter or prodrug to change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drug or skin to promote drug penetration. It is a much less aggressive drug administration method than injecting, while forcing the environment to increase drug penetration much more actively than conventional methods. In particular, it is known that the use of iontophoresis to improve skin irritation by absorbing vitamin C into the skin is currently being used in dermatology clinics and has been known to have a considerable effect on the treatment of spots.

KRKR 10-119869010-1198690 B1B1

종래의 이온토포레시스의 마스크부와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전극 연결부는 집게구조로서(대한민국 등록특허 공보 제 10-1198690호)집게편 전체를 도전성 재질로 형성하거나, 전극부재와 접속되는 집게편의 접속단부를 도전성 재질로 형성하여 제조해왔다. 하지만 상기의 집게형 전극 연결부는 사용시 케이블의 꼬임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반복 재사용으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 또한 내재되어 있어 새로운 전극 연결부의 도입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현재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를 피부에 적용하면, 직류전류의 사용으로 인해 피부에 하전된 전하들이 축적되어 분극화가 일어나게 된다. 또한, 직류 EH는 교류 전류가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인가되면 생체 내에 전기적 작용이 일어나며, 애노드 전극 밑면 피부의 산성도가 높아지고, 캐소드 전극 쪽 피부에는 염기가 높아진다. 특히, 캐소드 전극에 작용하는 염기의 농도가 더 높으므로 피부저항이 감소하여 전류량이 증가하므로 캐소드 전극 쪽 피부에 더 큰 손상을 초래한다.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을 이용한 리도케인 약물주입의 경우 캐소드 전극 쪽의 피부 및 점막에 손상이 더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The electrode connection portion for connecting the mask portion and the cable of the conventional iontophoresis is a clamp structure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198690). The clamp piece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or the clamp piece connected to the electrode member And the end portion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However, the above-described clamping-type electrode connection part can cause a problem of twisting of a cable in use, and hygienic problems due to repeated reuse are also inherent, so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new electrode connection part. In addition, when iontophoresis is applied to the skin at present, charge is accumulated on the skin due to the use of direct current, and polarization is caused. In addition, when an AC current is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the direct current EH causes an electrical action in the living body, the acidity of the ski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node electrode is increased, and the base is increased in the skin on the cathode electrode side. Particularly, since the concentration of the base acting on the cathode electrode is higher, the skin resistance is decreased and the amount of current is increased, thus causing more damage to the skin on the cathode electrode side. It is known that the lidocaine drug injection using the iontophoresis system causes more damage to the skin and mucous membrane on the cathode electrode side.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되는 본 발명은, 에센스가 도포되고, 사용자의 목 부위 피부 위에 안착되며, 제1전극(30)이 접촉되는 제1전극설치부위(11)를 구비하는 패드(10), 전류원(20), 전류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패드(10)에 접촉하여 전류원(20)으로부터 패드(10)로 전류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제1전극(30), 전류원(20)과 제1전극(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케이블(40), 신체 타부위의 피부 표면에 접촉하여 전류원(20), 제1전극(30) 및 패드(10)와 함께 이온토포레시스를 위한 전류 루프를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제2전극(50), 제2전극(50)을 전류원(2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케이블(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목주름팩키트를 제안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ad (a pad) having a first electrode mounting portion 11 to which an essence is applied, A first electrode 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urrent source 20 and the current source 20 and having a function of contacting the pad 10 and passing current from the current source 20 to the pad 10, A first cable 4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urrent source 20 and the first electrode 30 to the current source 20 and the first electrode 30 and the pad 10 A second electrode 50 having a function of forming a current loop for the iontophoresis and a second cable 6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electrode 50 to the current source 20, A neck crease pack kit using a phoresis is proposed.

또한, 본 발명의 목주름팩키트는, 제1전극(30)과 패드(10)의 접촉은, 제1전극설치부위(11)에 설치되는 천공홀(12)과, 천공홀(12)에 삽입되어 돌출되는 돌부(72)를 구비하는 클립숫형파트(71), 상기 제1전극(30)이 장착되고, 상기 돌부(72)가 끼워맞춤 체결되는 링형상부위(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클립암형파트(7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클립부(70)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the neck wrapping pack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ectrode 30 and the pad 1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perforation hole 12 provided in the first electrode mounting portion 11, A clip portion 71 having a protruding protruding portion 72 and a ring shaped portion 75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30 is mounted and to which the protruding portion 72 is fitted, And a clip portion (70) including a female part (74).

또한, 본 발명의 목주름팩키트는, 전류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패드(10)에 접촉하여 상기 전류원(20)으로부터 상기 패드(10)로 전류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제3전극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전류원(20)은, DC전류를 시분할하여 상기 제1전극(30)과 제3전극으로 전류를 교번적으로 통전시킬 수 있다. The neck wrapping pack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eck wrapping pack kit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urrent source 20 and has a function of contacting the pad 10 and passing current from the current source 20 to the pad 10. [ And the current source 20 may alternately supply current to the first electrode 30 and the third electrode by time division of the DC current.

본 발명은, 밴드(15) 및 제1전극설치부위(11)의 형상적 특징을 조절하여, 패드(10)와 피부면과의 접촉을 안정성 있게 유지할 수 있는 제1효과, 패드(10)와 제1전극(30)과의 안정적인 접촉유지를 보장하는 클립부(70)의 구성을 제공하는 제2효과, 연장플레이트(80) 및 추가적인 전극을 도입하고, 전류를 교번적으로 인가함으로써 사용자의 피부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제3효과를 갖는다. 또한, 특히, 클립숫형파트(71)와 마스크를 고정하는 기능을 하는 와셔(90)를 구비함으로써, 제조자(제1사용자)는 클립숫형파트(71)와 마스크 및 와셔(9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클립암형파트(74)가 결합되기 전 단계)로 판매하고, 제품사용자(제2사용자)는 클립숫형파트(71)에 클립암형파트(74)만을 최종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조립의 단계수를 줄여 사용자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rst effect which can stably maintain the contact between the pad 10 and the skin surface by adjusting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band 15 and the first electrode attaching portion 11, A second effect of providing a configuration of the clip portion 70 that ensures stable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30 is that the skin of the user by introducing the extension plate 80 and additional electrodes,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Particularly, by providing the washer 90 functioning to fix the mask and the clip is part 71, the manufacturer (the first user) is able to assemble the clip is part 71 and the mask and washer 90 (The user before the clip arm part 74 is engaged), and the product user (the second user) can finally use only the clip female part 74 in the clip male part 71 and finally use i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steps of assembling and to secure user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목주름팩키트의 일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목주름팩키트의 패드(10)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밴드(15)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클립부(70)를 구성하는 클립숫형파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클립부(70)를 구성하는 클립암형파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클립숫형파트와 클립암형파트의 체결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클립부(70)가 적용된 목주름팩키트의 실시예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연장플레이트(80)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연장플레이트(80)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와셔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클립부(와셔포함)의 장착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모식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neck wrapping pack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ad 10 of the neck wrapping pack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band 15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clip-like part constituting the clip portion 70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lip female part constituting the clip portion 70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fastening process of the clip male part and the clip femal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neck wrapping pack kit to which the clip unit 7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8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xtension plate 80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extension plate 80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mounting method of a clip portion (including a washe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에센스가 도포되고, 사용자의 목 부위 피부 위에 안착되는 패드(10), 전류원(20), 전류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패드(10)에 접촉하여 전류원(20)으로부터 패드(10)로 전류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제1전극(30), 전류원(20)과 제1전극(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케이블(40), 신체 타부위의 피부 표면에 접촉하여 전류원(20), 제1전극(30) 및 패드(10)와 함께 이온토포레시스를 위한 전류 루프를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제2전극(50), 제2전극(50)을 전류원(2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케이블(60)을 주요 구성요소로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essence is appli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ad (10), a current source (20) and a current source (20) A first electrode 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urrent source 20 and a first electrode 4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urrent source 20 and the first electrode 30 to each other, A second electrode 50 having a function of forming a current loop for the iontophoresis together with the current source 20, the first electrode 30 and the pad 10, the second electrode 50, And a second cable 6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cable 60 and the second cable 60 to each other.

전류의 관점에서 보면, 전류원(20)에서 공급되는 전류는 제1케이블(40)에 의해 제1전극(30)으로 이송되고, 제1전극(30)에 접촉되어 있는 패드(10)로 흘러간다. 이후, 전류는 패드(10)에 접촉하고 있는 피부쪽으로 이동하고, 신체를 전도체로 삼아 제2전극(50)쪽으로 이동하고, 제2케이블(60)에 의해 전류원(20)으로 흘러들어가게 되어 전체적으로 폐루프를 형성한다.
The current supplied from the current source 20 is transferred to the first electrode 30 by the first cable 40 and flows to the pad 10 in contact with the first electrode 30 . The electric current then flows toward the skin contacting the pad 10 and moves toward the second electrode 50 with the body as a conductor and flows into the current source 20 by the second cable 60, To form a loop.

이하,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술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패드(10)는, 기능성 물질을 포함하는 에센스가 도포되고 함유한 상태를 지속하는 제1기능, 사용자의 목 부위 피부 위에 안착되는 제2기능, 제1전극(30)이 접촉되는 제3기능을 갖는다.
The pad 10 includes a first function of applying an essence containing a functional substance and continuing the contained state, a second function of resting on the skin of the user's neck, and a third function of contacting the first electrode 30 .

제1기능과 관련하여, 패드(10)는 흡습력을 가지면서도 함유된 액상 에센스가 너무 빨리 증발되지 않도록 하는 소재로 제작되어야 한다. 재질은 부직포일 수 있으며, 부직포는 펄프, 합성섬유(Viscos Rayon) 혹은 화학섬유(PET, PP, Nylon 등)를 이용하여 제조한 것으로 뛰어난 촉감 및 유연성, 우수한 통기성 및 여과 기능 및 인체의 무해성을 가지고 있는 재질이 바람직하다. 또한 패드(10)의 재질은 겔(gel) 타입일 수 있는데, 식품의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증진하며 식품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품첨가물인 로커스트콩검(Locust Bean Gum)과, 식품의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증진하며 식품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식품첨가물인 캐라지난(Carrageenan)을 물에 혼합하여 점성을 가지는 겔 상태의 겔화조성물을 마스크 형태로 성형하여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전극의 설치 및 유지를 위해, 상기 겔은 소정의 강도를 갖는 것이 필요하다.
With respect to the first function, the pad 10 should be made of a material that has moisture absorption capability but does not evaporate the contained liquid essence too quickly. The non-woven fabric can be made of pulp, viscos Rayon or chemical fiber (PET, PP, Nylon, etc.). It has excellent tactile and flexibility, excellent breathability and filtration ability and harmlessness of human body. The material that you have is preferable. 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pad 10 may be a gel type. The pad 10 may be a food additive, such as locust bean gum, which improves tackiness and viscosity of a food, improves emulsion stability, A carrageenan, which is a food additive for increasing the tackiness and viscosity of food, improving the emulsion stability, and improving the physical properties and feel of food, is mixed with water to form a viscous gelled composition in the form of a mask It is possible to apply. However, for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of the electrode, it is necessary that the gel has a predetermined strength.

제2기능과 관련하여, 패드(10)는 사용자의 목부위 굴곡을 밀착하며 커버할 수 있도록 탄성 내지 신축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패드(10)의 일실시예를 참고하면, 패드(10)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재단되어 있으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할 것은 아니다. 패드(10)의 크기는 사용자의 목둘레의 길이 및 목의 상하방향 길이를 감안하여, 상당한 면적에 걸쳐 안착될 수 있도록 결정되어야 한다. 또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임부(13)는 쐐기모양의 형상으로 패드(10)의 모서리 하나에 대하여 한 개가 구비되고 있는데, 이러한 구성을 통해 목과 턱의 경계부위의 굴곡면에 패드(10)가 위치하는 경우에 패드(10)에 주름이 생기면서 들뜨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트임부(13)의 형상은 쐐기모양으로 한정할 것은 아니며, 트임부(13)의 개수에 있어서도 패드(10)의 한 모서리에 대해 2개 이상 형성할 수 있으며, 패드(10)의 모서리 두 개 이상에 대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Regarding the second function, the pad 10 needs to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or stretchability so as to cover and cover the bending of the neck of the user. 1 and 2, the pad 10 is cut into a rectangular shape, but the pad 10 is not limited to this shape. The size of the pad 10 should be determined so that it can be seated over a considerable area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neckline of the user and the length of the neck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b), the twist portion 13 is wedge-shaped, and one tooth is provided for one corner of the pad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henomenon that the pad 10 is wrinkled and lifted up when the pad 10 is positioned. However, the shape of the twist portion 13 is not limited to a wedge shape, and the number of the twist portions 13 may be two or more for one edge of the pad 10, Or may be formed for two or more.

제3기능과 관련하여, 패드(10)에는 제1전극설치부위(11)가 마련된다. 제1전극설치부위(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패드(10)의 중심부에서는 이온토포레시스 작용을 통한 기능성 성분의 피부로의 이동이 일어나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도2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는 패드(10)의 짧은 변에 대하여 상부측에 제1전극설치부위(11)가 설정되어 있으나, 반드시 한 쪽에 치우쳐 위치할 필요는 없고, 짧은 쪽 변의 중앙에 위치시키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는 제1전극설치부위(11)가 2개소에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제1전극(30)이 2개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제1전극(30)이 설치되는 부위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그런 의미에서 제1전극설치부위(11)는 패드(10)에 대하여 3개소 이상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후술할 연장플레이트(80)의 구성을 채택하는 경우에는 천공홀(12)을 반드시 2개소 이상의 위치에 형성하여야 하는데, 이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Regarding the third function, the pad 10 is provided with the first electrode mounting portion 11. The first electrode mounting region 11 is preferably located at the edge of the pad 10 as shown in FIG. 2, which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pad 10 to the skin of the functional component through iontophoresis This is because movement must take place.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the first electrode mounting portion 11 is set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short side of the pad 10, but it is not necessarily required to be positioned on one side, As shown in Fig.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the first electrode mounting portions 11 are formed at two locations. This does not mean that the number of the first electrodes 30 is two, The first electrode mounting portion 11 may be formed at three or more locations with respect to the pad 10. [0051] As shown in FIG. However, when adopting the structure of the extension plate 80 to be described later, the perforation hole 12 must be formed at two or more positions,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 2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 나타나 있는 천공홀(12)은, 후술할 클립부(70)를 사용하여 제1전극(30)과 패드(10)를 접촉 유지시키는 실시예에서는 필수적인 구성요소이나, 다른 구성- 일례로, 제1전극(30)이 집게 기능을 갖는 구조와 연결되고, 당해 집게가 패드(10)의 일부위를 집는 방식으로 패드(10)와 제1전극(30)이 접촉 유지되는 구성 등- 에서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천공홀(12)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The perforation hole 12 shown in the embodiment shown in FIG. 2 is an essential component in the embodiment in which the first electrode 30 and the pad 10 are kept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using the clip portion 70 The pad 10 and the first electrode 30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n such a manner that the first electrode 30 is connected to a structure having a gripping function and the gripper grips a part of the pad 10, And so on.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erforation hole 12 will be described later.

또한 제1전극설치부위(11)는, 패드(10)의 가장자리 소정의 부위에 연장되어 돌출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후술할 클립부(70)를 이용하거나, 기타 형상 ?일례로, 집개 기능을 갖는 구조-을 이용하여 제1전극(30)과 패드(10) 사이의 접촉을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제1전극설치부위(11)에 의도치 않는 힘이 작용하여, 제1전극설치부위(11) 주변에 대해, 국부적으로 패드(10)가 들떠 접촉해제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돌출형상의 제1전극설치부위(11)는, 이러한 들뜸 현상을 제1전극설치부위(11)에 한정토록 하고, 패드(10)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서는 접촉을 계속하여 유지하는 것을 보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Further, the first electrode mounting portion 11 may be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by extending to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edge of the pad 10. In order to maintain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30 and the pad 10 by using the clip unit 70 to be described later or by using a structure having another function such as a collecting function, An unintentional force may act on the pad 11 to cause the pad 10 to loosely contact with the periphery of the first electrode mounting region 11. The protruding first electrode mounting portion 11 has a function of limiting the lifting phenomenon to the first electrode mounting portion 11 and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pad 10 continuously .

또한, 패드(10)는 사용자의 목 피부와의 밀착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되기 위한 밴드(15)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주름팩키트를 실시함에 있어, 패드(10)는 사용자가 누워있는 상태에서 사용자의 목부위에 안착하여 시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실시 상황에서는 패드(10)가 사용자의 목 부위 피부로부터 들뜨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기는 하다. 다만, 패드(10)의 안정적인 접촉 유지를 더욱 더 보장하고, 심지어 사용자가 누워있는 자세가 아닌 다양한 자세에서 본 발명의 목주름팩키트를 사용하기 위하여 밴드(15)를 더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a)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따르면, 밴드(15)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 끝단이 상기 패드(10)에 고정되는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밴드(15)를 채택하는 경우, 사용자는 밴드(15)의 길이를 신장시킨 후, 머리 부분을 통과시켜 목 부위에 안착시키는 방식으로 패드(10)를 착장하게 된다. 밴드(15)의 길이는 밴드(15)가 사용자의 목 부위를 너무 심하게 조여서는 안되고, 너무 헐거워서는 접촉 유지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임을 감안하여 결정한다.
In addition, the pad 10 may further include a band 15 to be fixed to maintain a close contact state with the user's neck skin. The pad 10 is preferably placed on the neck of the user while the user is lying on the neck of the user, Can be minimized. However, it is possible to further secure the stable contact of the pad 10 and further include the band 15 to use the neck wrapping pack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variety of postures other than the posture in which the user is lying.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a), the band 15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can be installed in such a manner that both ends are fixed to the pad 10. In the case of employing the band 15 having such a configuration, the user puts the pad 10 in a state in which the length of the band 15 is extended, and then the head is passed through the head to be rested on the neck. The length of the band 15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band 15 should not be too tightly tightened to the neck of the user, and that too loose will not help to maintain contact.

도 3(b)에 도시된 밴드(15)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밴드(15)는 일끝단이 상기 패드(10)에 고정되고, 타끝단은 상기 패드(10)에 형성되는 슬릿에 삽입된 후, 임의 탈거를 방지하고, 고정을 유지시키는 걸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패드(10)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밴드(15)가 슬릿에 대하여 작용하는 장력은 피부쪽 방향으로의 분력을 가지므로, 밴드(15)의 장착으로 인해, 패드(10)가 들뜨는 현상은 심각하지 않을 것이지만, 패드(10)에 돌출형상의 슬릿설치부위를 형성하고 당해 슬릿설치부위에 슬릿을 설치한다면, 패드(10)와 피부와의 더욱 안정적인 접촉을 보장할 수 있다. 걸림부는 패드(10)의 재질과 동일하되, 슬릿의 길이가 걸림부의 폭보다 작도록 되어야 한다. 또한, 걸림부는 복수개만큼 구비되어, 사용자의 목둘레에 따라 상기 밴드(15)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band 15 shown in FIG. 3 (b), the band 15 is fixed at one end to the pad 10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slit formed at the pad 10 The pad 10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pad 10 by providing a latching portion for preventing any detachment and maintaining the latching. Since the tension applied to the slit by the band 15 has a force toward the skin side, the phenomenon of the pad 10 lifting due to the mounting of the band 15 will not be serious, Shaped slit attachment portion and the slit is provided at the slit attachment portion, it is possible to ensure more stable contact between the pad 10 and the skin. The engaging portion is the same as the material of the pad 10, and the length of the slit should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engaging portion. Also, a plurality of fastening portions are provided, and the length of the band 15 can be adjusted along the neckline of the user.

패드(10)는, 에센스 성분이 고르게 도포 및 함침되어 있으며, 상기 에센스는 사용자 피부에 이온투입되는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기능성 성분은 미백 및 항산화 효과로 알려진 액상의 비타민C일 수 있으며, 시트형 마스크에 전체적으로 도포 및 함침된 에센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의 비타민C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추가적으로 보습제, 계면활성제, 방부제 및 정제수 등을 소정의 비율로 더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보습제는 제품 그 자체의 수분보유제로서 작용하여, 계의 안정성의 유지에도 기여하는 중요한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글리세린이나 솔비톨 등의 3가 이상의 다가알콜은, 우수한 보습성과 수분보유성을 가지며, 안전성, 안정성, 그리고 가격 등의 점에서 가장 범용성이 높은 보습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보습제로서 구비해야하는 필요조건으로서, 환경조건(온도, 습도, 바람 등)에 좌우되지 않고, 특히 주위의 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수분을 오래 동안 유지할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한편 계면활성제는 저자극성 등의 안전성에서 우수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폴리글리세린과 지방산의 에스테르화물인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와 같이 공지된 것을 사용함이 무방하다.
The pad 10 is coated and impregnated with the essence component evenly, and the essence can contain a functional ingredient that is ion-charged into the user's skin. In particular, the functional ingredient may be a liquid vitamin C known to be whitening and antioxidant effect, and may include 0.1 to 10 parts by weight of vitamin C componen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ssence applied or impregnated in the sheet-type mask as a whole. In addition to this,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lude a moisturizing agent, a surfactant, an antiseptic agent, and purified water in a predetermined ratio. The moisturizing agent acts as a water retention agent of the product itself, and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ntributing to maintenance of the stability of the system. Trihydric or higher polyhydric alcohols such as glycerin and sorbitol have excellent moisture retention and water retention properties and are used as humectants most versatile in terms of safety, stability, and price. As a necessary condition to be provided as a moisturizing agent, it is not influenced by environmental conditions (temperature, humidity, wind, etc.), and is particularly susceptible to ambient temperature and can retain moisture for a long time. On the other hand, the surfactant is a nonionic surfactant excellent in safety such as hypoallergenicness, and it may be a known surfactant such as a polyglycerin fatty acid ester which is an esterified product of polyglycerin and a fatty acid.

전류원(20)은, 이온토포레시스를 위한 전류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적용하는 전류의 크기는, 패드(10)에 함유된 수분의 양, 사용자의 피부에 포함되는 수분의 양 등을 감안하여 결정한다. 다만, 그 크기가 너무 작으면 이온토포레시스 효과가 저감되고, 그 크기가 너무 크면, 피부에 손상을 줄 수 있음을 감안하여야 한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직류/교류 전류에 따른 피부손상의 원인으로 생체 내 pH 농도 변화를 들 수 있다. 직류/교류 전류가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인가되면 생체 내에 전기적 작용이 일어나며, 애노드 전극 밑면 피부의 산성도가 높아지고, 캐소드 전극 쪽 피부에는 염기가 높아진다. 특히, 캐소드 전극 측의 피부저항은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하여 전류량이 증가하므로 캐소드 전극 쪽 피부에 큰 손상이 초래될 수 있다. 이온토포레시스 시스템을 이용한 리도케인 약물주입의 경우 캐소드 전극 쪽의 피부 및 점막에 손상이 더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The current source 2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current for the iontophoresis. The magnitude of the applied current is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pad 10, the amount of moisture contained in the user's skin, and the like. However, if the size is too small, the effect of iontophoresis is reduced. If the size is too large,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the skin may be damaged. Described in this regard is a change in the in-vivo pH concentration as a cause of skin damage due to direct current / alternating current. When a direct current / alternating current is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an electrical action takes place in the living body, the acidity of the ski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node electrode increases, and the base of the skin on the cathode electrode side becomes higher. Particularly, the skin resistance on the cathode electrode side is relatively largely decreased, and the amount of current is increased, so that the skin on the cathode electrode side may be greatly damaged. It is known that the lidocaine drug injection using the iontophoresis system causes more damage to the skin and mucous membrane on the cathode side.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1전극(30) 외에, 상기 전류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패드(10)에 접촉하여 상기 전류원(20)으로부터 상기 패드(10)로 전류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제3전극을 더 구비(제3전극은 제3케이블에 의해 전류원(20)과 연결)하고, 전류원(20)은, DC전류를 시분할하여 상기 제1전극과 제3전극으로 전류를 교번적으로 통전시키는 것을 제안한다. 이렇게 되면, 직류 전류가 하나의 전극에 지속적으로 인가되지 않으므로, 캐소드 전극에 전기적으로 작용하는 피부 역효과를 억제하고, 기존의 이온토포레시스 장치에서 발생하는 피부 및 점막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 즉, 각각의 캐소드전극(제1전극 또는 제3전극)에는 펄스파형 전류가 인가되는 것이 되어 피부의 전기자극을 일정한 주기로 차단할 수 있는 것이 된다는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first electrode 30, a function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urrent source 20 to the current source 20 and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urrent source 20 to the pad 10 is provided. (The third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current source 20 by the third cable), and the current source 20 performs the time division of the DC current to alternate the current to the first electrode and the third electrode It is suggested to energize it in the enemy. In this case, since the DC current is not continuously applied to one electrode, the adverse effect of the skin electrically acting on the cathode electrode can be suppressed and the skin and mucous membrane damage caused in the conventional iontophoresis device can be reduced. That is, a pulse waveform current is applied to each of the cathode electrodes (the first electrode or the third electrode), so that the electrical stimulation of the skin can be blocked at a constant cycle.

제1전극(30)(또는 상기 제3전극)은 패드(10)에 접촉하는 전극으로서, 통전되어, 패드(10)상의 기능성 물질의 이온을 이동시키기 위해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형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패드(10)에 안정적으로 접촉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면, 판형, 집게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따르면, 제1전극(30)은 클립암형파트(74) 내에 매립되고, 패드(10)에 접촉할 수 있도록 특수한 형상을 가지며, 클립숫형파트(71)와 클립암형파트(74)를 끼워맞춤함으로써 패드(10)와의 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링형의 형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The first electrode 30 (or the third electrode) is an electrode that contacts the pad 10, and is preferably made of a metal material to energize and move the ions of the functional material on the pad 10. The shape can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plate-like shape and a catch-like shape as long as it is for maintaining stable contact with the pad 10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shown in Figure 5 (b), the first electrode 30 is embedded in the clip female part 74, has a special shape to contact the pad 10, and the clip male part 71 Like shape so that the contact with the pad 10 can be maintained by fitting the female part 74 and the female part 74 with the clip.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제 2전극은, 이온토포레시스를 위한 전류루프에 있어, 애노드전극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신체 타부위의 피부 표면에 접촉되며, 그 형상은 판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신체 타부위의 피부 표면과의 접촉도, 접착용 테이프 등 다양한 수단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제1전극(30)과 제2전극(50)은, 황동(brass)주조 공정 또는 전도성을 갖는 니켈, 크롬, 금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는 재질의 도금 공정을 통하여 제작할 수 있다.
The second electrode serves as an anode electrode in the current loop for iontophoresis, and i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kin at the other part of the body, and its shape can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such as a plate shap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skin of a person's body part, adhesion tape, and the like can be considered. The first electrode 30 and the second electrode 50 may be manufactured through a brass casting process or a plating process of a material including conductive nickel, chrome, gold, or an alloy thereof.

또한, 제1케이블(40) 및 제2케이블(60)은 각각 제1전극(30)과 전류원(20), 그리고 제2전극(50)과 전류원(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The first cable 40 and the second cable 60 function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electrode 30 and the current source 20 and the current source 20 to the second electrode 50, respectively.

제1전극(30)과 패드(10)와의 안정적인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제1전극설치부위(11)에는 천공홀을 설치하고, 천공홀(12)에 삽입되어 돌출되는 돌부(72)를 구비하는 클립숫형파트(71), 상기 제1전극(30)이 장착되고, 돌부(72)가 끼워맞춤 체결되는 링형상 부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클립암형파트(7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클립부(70)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클립숫형파트(71)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판(73)에 돌부(7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부(72)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안쪽으로 굽혀질 수 있고(도 4(b)참조), 당해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바깥쪽으로 복귀할 수 있다(도 4(a) 참조). 도 4의 돌부(72)에는, 반지름방향으로 탄성변형 및 탄성복원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4개의 슬릿(slit)이 베이스판(73)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슬릿의 개수는 2개 내지 8개 등으로 적용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도 5에 도시된 클립암형파트(74)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링형상부위(75)는 제1전극(30)의 일부가 매립되어 제1전극(30)을 고정하고, 가운데의 구멍을 통해 클립숫형파트(71)의 돌부(72)가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클립암형파트(74) 및 클립숫형파트(71)의 체결과정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첫째, 패드(10)상에 형성된 천공홀(12)에 클립숫형파트(71)의 돌부(72)를 삽입하고, 둘째, 클립암형파트(74)의 입구를, 제1전극(30)이 패드(10)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클립숫형파트(71)의 돌부(72)에 맞추고, 힘을 가하여 체결을 완료한다. 이로써, 패드(10)는 클립숫형파트(71)와 클립암형파트(74)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클립숫형파트(71)의 돌부(72)와 제1전극(30)의 특수한 단면 형상에 의하여, 제1전극(30)과 패드(10)는 그 접촉 및 유지를 공고하게 할 수 있다.
A hole is provided in the first electrode mounting portion 11 and a protruding portion 72 protruding from the hole 12 is provided to ensure stable contac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30 and the pad 10 And a clip-like part (74) including a ring-shaped part (71) to which the first electrode (30) is attached and a ring-shaped part to which the protrusion (72) ) Can be us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clip male part 71 shown in Fig. 4, the base plate 73 is provided with a protrusion 72, which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ee Fig. 4 (b)),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it can be returned to the outside again (see Fig. 4 (a)). 4, four slits having a function of enabling elastic deformation and elastic restoration in the radial direction ar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ase plate 73, and the number of slits is 2 Quot ;, " 8 " to " 8 "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clip female part 74 shown in Figure 5, the ring shaped portion 75 is formed by partially embedding the first electrode 30 to secure the first electrode 30, The protrusion 72 of the clip-like part 71 can be inserted and fasten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fastening process of the clip female part 74 and the clip male part 71 shown in Fig. 6, firstly, in the perforation hole 12 formed on the pad 10, The protrusion 72 is inserted and the entrance of the clip female part 74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protrusion 72 of the clip male part 71 so that the first electrode 30 can contact the pad 10 Tighten and apply force to complete the tightening. The pad 10 is positioned between the clip male part 71 and the clip female part 74 and the pad 10 is positioned between the protruding part 72 of the clip male part 71 and the special cross sectional shape of the first electrode 30 Accordingly, the first electrode 30 and the pad 10 can make contact and maintenance of the first electrode 30 and the pad 10 secure.

상기 클립숫형(male)파트의 돌부(72)와 베이스판(73), 링형상부위(75)는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및 스티렌(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로 성형되고, 표면 일부위에 도전성 금속으로 도금이 될 수 있는데, 인체에 무해한 니켈(Ni) 도금을 한 전도체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며, 금, 은, 구리, 크롬 등 주지된 도전성 금속 도금이면 만족할 수 있다. 링형상부위(75)에 있어 도금 부위는 패드(10)(10)와 접촉하는 부위에 설정하는 것으로 족하다. 제1전극(30)은, 황동(Brass)으로 제작하거나 전도성이 좋은 재질(니켈, 크롬, 금 또는 이들의 합금)로 도금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내주연 지름 크기는 클립숫형(male)파트의 돌부(72)와의 끼워맞춤공차를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The protrusion 72, the base plate 73 and the ring-shaped portion 75 of the clip male part are made of polycarbonate (PC), acrylonitrile, butadiene and styrene (ABS) And may be plated with a conductive metal on a part of the surfac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ductor is a nickel-plated conductor harmless to the human body,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Gold, silver, copper, chromium, or the like. It is sufficient to set the plating site in the ring-shaped portion 75 at a position where it contacts the pad 10 (10). The first electrode 30 may be made of brass or pl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such as nickel, chrome, gold, or an alloy thereof.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electrode 30 may be a male, It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fitting tolerance with the protrusion 72 of the part.

또한, 본 발명의 클립부(70)는, 와셔(9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이하, 이러한 와셔(9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와셔(90)는, 클립숫형파트(71)의 베이스판(73)과 클립암형파트(74)에 장착된 제1전극(30) 사이에 위치하면서, 클립숫형파트(71)와 클립암형파트(74)의 결합을 공고하게 하여 전류를 마스크로 통전시키는 제1기능, 상기 클립암형(female)파트와 상기 클립숫형(male)파트가 결합하기 이전에 상기 클립숫형(male)파트와 결합하여, 상기 클립숫형파트(71)와 상기 마스크부(10)와의 결합을 유지하는 제2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서, 와셔(90)의 형상은, 도 10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마스크부(10)의 천공홀(12)에 삽입돌출된 돌부(72)를 수납할 수 있는 체결홀(91)을 중앙에 구비하고, 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물론 체결홀(91) 및 와셔(90)의 외형 형상은 상기 실시예의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clip portion 7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washer 90. Hereinafter, the washer 9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washer 90 is positioned between the base plate 73 of the clip male part 71 and the first electrode 30 mounted on the clip female part 74 and the clip male part 71 and the clip female part 74), thereby energizing the current with a mask, and a second function of engaging the clip male part before the clip female part and the clip male part are engaged, And performs a second function of maintaining the coupling between the clip part (71) and the mask part (10). The shape of the washer 90 i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washer 90 so that the fastening hole 91 (see FIG. 10), which can receive the protruding protrusion 72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12 of the mask part 10 ) At the center, and can have a plate shape. Of course, the outer shape of the fastening hole 91 and the washer 90 is not limited to that of the above embodiment.

제1기능과 관련하여, 돌부(72) 몸체의 길이는 마스크부(10)의 두께, 클립암형파트(74)의 두께의 합보다 작아야 하는데, 이는 마스크, 클립암형파트(74)는 각각 소정의 직물 및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므로 표면에 압력이 가하여지는 경우 변형될 수 있으며, 변형에 대해 복원도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돌부(72) 몸체의 길이가 설정된다면, 클립암형파트(74)에 끼워맞춰진(또는 매립되고, 표면만 노출된) 제1전극(30)이 마스크에 신뢰성있게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와셔(90)가 추가 장착됨에따라, 와셔(90)의 두께만큼 마스크와 제1전극(30) 상호간 더 큰 압력을 가하게 될 수 있으므로, 제1전극(30)의 마스크부(10)와의 접촉신뢰성은 더욱 증대된다는 것이다. 이는, 클립암형파트(74) 및 클립숫형파트(71)의 제작오차를 흡수할 수도 있기에 더욱 그러하다. 특히, 와셔(90)는 도전성 물질로 제작되거나, 최소한 도전성 물질로 도금되어 제작되므로, 전극부와 마스크 사이에 존재하면서 전극부와 밀착함으로써 전극부로부터 전달되는 전류를 마스크 표면으로 이송하여 결과적으로 전류가 얼굴피부로 통전될 수 있도록 한다.
The length of the body of the protrusion 72 should be smaller than the sum of the thickness of the mask portion 10 and the thickness of the clip arm portion 74 because the mask and clip arm portion 74 It is made of fabric and plastic, so it can be deformed when pressure is applied to the surface, and restoration is also made against deformation. Thus, if the length of the body of the protrusion 72 is set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electrode 30 fitted (or buried, exposed only) to the clip female part 74 can be reliably contacted to the mask . At this time, as the washer 90 is additionally attached, a greater pressure may be applied between the mask and the first electrode 30 by the thickness of the washer 90, The contact reliability is further increased. This is more so because it may absorb manufacturing errors of the clip female part 74 and the clip male part 71. In particular, since the washer 90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or is formed by plating with at least a conductive material, the current transmitted from the electrode portion is transferred to the mask surface by being in contact with the electrode portion while being present between the electrode portion and the mask, So that the face skin can be energized.

와셔(90)의 제2기능과 관련하여, 제조자(제1사용자)는 클립숫형파트(71)와 마스크 및 와셔(9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클립암형파트(74)가 결합되기 전 단계)로 판매하고, 제품실사용자(제2사용자)는 클립숫형파트(71)에 클립암형파트(74)만을 최종적으로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실사용자가 여러 개의 구성품을 모두 다루어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제품조립의 총 단계수를 줄여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With regard to the second function of the washer 90, the manufacturer (first user) is in a state in which the clip is part 71 and the mask and washer 90 are engaged (before the clip female part 74 is engaged) And the product room user (second user) can finally use only the clip female part 74 with the clip male part 71 and finally use it, so that the user of the product room can handle all the component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otal number of stages of assembling the product and intuitively use it, thereby ensuring user convenience.

또한, 와셔(90)는 마스크에 장착되어야 하므로, 재질은 가벼운 플라스틱 종류를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카본 재질이 포함된 플라스틱으로 성형하고, 플라스틱 재질 표면에 니켈, 크롬, 금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을 포함하는 전도체로 도금하여 사용 할 수 있다.
Since the washer 90 is to be mounted on the mask, it is preferable to use a light plastic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the washer 9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containing a carbon material, and the plastic material is made of nickel, chrome, gold, It can be used by plating with a conductor.

와셔(90)가 있는 경우의 클립부(70)의 장착방법에 대해 상술한다.The mounting method of the clip portion 70 when the washer 90 is provid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11에 도시된 조립방법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준비된 마스크부(10)에 형성된 소정의 크기의 천공홀(12)에 클립숫형(male)파트의 돌부(72)를 끼우고, 와셔(90)의 체결홀(91)을 상기 돌부(72)에 끼워 장착한다. 이로써, 마스크부(10)와 클립숫형파트(71)는 분리되지 않도록 된다. 이후, 클립암형(female)파트에 클립숫형(male)파트의 돌부(72)를 끼워 가압하여 장착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립숫형파트(71)와 와셔(90)를 마스크에 장착하는 단계는 제조자(제1사용자)가 수행하고, 제품실사용자(제2사용자)는 클립암형(female)파트의 가운데홀에 클립숫형(male)파트의 돌부(72)를 끼워 가압하여 장착함으로써, 클립의 조립을 완성할 수 있다. 물론 제1사용자와 제2사용자는 동일인인 것을 배제하지는 않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언급한 본 발명의 조립과정은 짧은 시간 내에 전체 단계가 수행될 것이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assembly method shown in Fig. 11, a projecting portion 72 of a clip male part is inserted into a perforation hole 12 of a predetermined size formed in the mask portion 10 prepared beforehand, 90 are fitted to the projecting portion 72 by fitting. As a result, the mask part 10 and the clip part 71 are not separated. Thereafter, the projecting portion 72 of the clip male part is fitted to the clip female part by press-fitting. As described above, the step of mounting the clip male part 71 and the washer 90 to the mask is performed by the manufacturer (first user), and the product room user (second user) The clip can be assembled by press-fitting the projecting portion 72 of the male part into the hole. Of course, the first user and the second user do not exclude the same person, and in this case, the assembly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mentioned above will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다만, 클립숫형파트(71)와 와셔(90)를 마스크에 장착하는 단계(전반단계)와 클립암형(female)파트에 클립숫형(male)파트의 돌부(72)를 끼워 가압하여 장착함으로써 조립을 완료하는 단계(후반단계)의 사이에 시간적 간격이 반드시 길 필요는 없으나, 와셔(90)가 존재함으로써, 제조자는 클립숫형파트(71), 마스크부(10), 와셔(90)가 결합된 부분품(일종의 반제품)과 클립의 나머지 부분 등을 함께 포장하여 판매하고, 제품실사용자는 구입 후, 클립과 관련하여서는 클립암형파트(74)만 간단하게 클립숫형파트(71)의 돌부(72)에 결합하면 사용하면 된다는 것이므로, 상기 전반단계와 상기 후반단계가 이루어지는 시점 간에는 상당한 간격이 존재하는 것이 일반적일것이다.
However, the steps of mounting the clip male part 71 and the washer 90 to the mask (the first step) and pressing the clip part 72 of the male part to the clip female part, The temporal spacing between the washer 90 and the mask part 10 is not necessarily long. However, since the washer 90 is present, (A semi-finished product of a kind) and the rest of the clip are sold together and the product room user merely attaches the clip female part 74 to the protruding part 72 of the clip male part 71 It is common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gap between the time of the first half and the time of the second half.

또한, 본 발명의 목주름팩키트는, 양끝단이 각각 상기 제1전극설치부위(11) 및 상기 패드(10) 상의 소정의 부위에 고정되고, 표면이 도전성 물질로 코팅되어 상기 패드(10)와의 접촉면에 걸쳐 전류를 확산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연장플레이트(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플레이트(80)를 적용함으로써, 제1전극(30)이라는 한 지점에서 전류가 유입되던 것을 패드(10)와 접촉하는 연장플레이트(80) 표면 전체로부터 전류가 유입되도록 되어 전류의 확산을 야기하고, 이는 이온 도입(이온토포레시스)효과를 증대시키고, 나아가 전술한 바와 같은 피부손상의 방지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실시예의 연장플레이트(80)는, 패드(10)상에 형성되는 2개의 천공홀(12)에 각각 결합되는 두 개의 설치부(81)를 양 끝단부에 각각 구비하고 있다. 각각의 설치부(81)는 설치홀(82)을 구비하며, 2개의 설치홀(82) 간의 간격은 2개의 천공홀(12)의 간격과 동일하여야 한다. 연장플레이트(80)는 패드(10) 상의 격지에 위치한 두 개의 천공홀(12)을 상호 연결할 수 있어야 하므로, 바(bar)의 모양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장플레이트(80)의 몸체는 플라스틱으로 되고, 나아가 경도가 낮은(부서지기 쉬운)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연장플레이트(80) 표면의 도전성 물질은 니켈, 크롬 또는 은 등 금속일 수 있으며, 연장플레이트(80)의 몸체에 도금처리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연장플레이트(80)의 설치에 대해 설명한다. 2개의 천공홀(여기에 2개의 설치홀(82)이 각각 정렬됨) 중 하나에 클립숫형파트(71)를 삽입하고, 그 다음 연장플레이트(80)의 2개의 설치홀(82) 중 하나에 삽입한 다음, 클립암형파트(제1전극이 여기에 위치) 끼워맞춤하여 결합을 완성하는 것이다. 반면, 2개의 천공홀 중 다른 하나 및 이에 정렬되는 2개의 설치홀(82) 중 다른 하나에는 전류가 직접 유입되지는 않으므로, 따로 클립암형(female)파트가 필요하지는 않고, 고정을 위한 클립숫형(male)파트-클립숫형파트(71) 중 피부에 닿는 면은 미도금 -만 필요하게 된다. 이 부위에 대한 장착은, 먼저 클립숫형(male)파트를 패드(10)의 천공홀(12)에 삽입하고, 그 다음 연장플레이트(80)의 설치홀(82)에 삽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설치홀(82)은 클립숫형(male)파트의 돌부(72)가 오므려지면서 통과한다. 결합 후 클립숫형(male)파트의 돌부(72)가 탈거되지 않게 하기 위해, 숫형(male)클립의 돌부(72)의 말단이 걸리는 걸림홀(83)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연장플레이트(80)의 일실시예가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The neck wrapping pack k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of the neck wrapping pack kit are fix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n the first electrode mounting portion 11 and the pad 10 respectively and the surface thereof is co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And an extension plate (80) having a function of diffusing a current over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extension plate (80). By applying such an extension plate 80, a current is flowed from the entire surface of the extension plate 80, which contacts the pad 10, at a point called the first electrode 30, This increases the effect of ion introduction (iontophoresis), and further, the effect of preventing skin damage as described above can be obtained. The extension plate 80 of the embodiment as shown in Fig. 8 has two mounting portions 81 which are respectively engaged with the two perforation holes 12 formed on the pad 10, . Each of the mounting portions 81 is provided with a mounting hole 82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mounting holes 82 should be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holes 12. The extension plate 80 is preferably in the form of a bar, but it is not limited to this, since the extension plate 80 must be able to interconnect the two perforation holes 12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pad 10. The body of the extension plate 80 may be made of plastic and further made of a plastic having a low hardness (fragile). The conductive material on the surface of the extension plate 80 may be a metal such as nickel, chrome, or silver, and may be formed by plating the body of the extension plate 80. Herein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extension plate 80 will be described. The clip male part 71 is inserted into one of the two perforation holes in which the two installation holes 82 are respectively aligned and then inserted into one of the two installation holes 82 of the extension plate 80 And then the clip female part (the first electrode is positioned here) is fitted to complete the coupling. On the other hand, since current does not flow directly into the other one of the two perforation holes and the other one of the two mounting holes 82 arranged thereon, a separate clip female part is not required, male part-clip male part 71 is only required to be uncoated. This step is performed by inserting a male part of the clip into the perforation hole 12 of the pad 10 and then inserting the male part into the mounting hole 82 of the extension plate 80. The mounting hole 82 passes through the projecting portion 72 of the clip male part while being pinched. It is possible to further form the latching hole 83 in which the distal end of the projection 72 of the male clip is hooked so that the projection 72 of the male part after coupling is not detached. One embodiment of such an extension plate 80 is shown in Figs. 8 and 9. Fig.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의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된 것임을 명확히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bviously,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hich fall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by alteration, substitution, substitution and the lik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Range. Also, it should be clarified that some of the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structure more clearly and are provided in an exaggerated or reduced size than the actual one.

10 : 패드
11 : 제1전극설치부위
12 : 천공홀
13 : 트임부
15 : 밴드
17 : 슬릿
18 : 걸림부
20 : 전류원
30 : 제1전극
40 : 제1케이블
50 : 제2전극
60 : 제2케이블
70 : 클립부
71 : 클립숫형파트
72 : 돌부
73 : 베이스판
74 : 클립암형파트
75 : 링형상부위
80 : 연장플레이트
81 : 설치부
82 : 설치홀
83 : 걸림홀
90 : 와셔
91 : 체결홀
10: Pad
11: First electrode mounting portion
12: Perforation hole
13: Tweezers
15: Band
17: slit
18:
20: current source
30: first electrode
40: first cable
50: second electrode
60: Second cable
70: Clip section
71: Clip part
72:
73: base plate
74: Clip female part
75: ring-shaped portion
80: Extension plate
81: Installation section
82: Installation hole
83:
90: Washer
91: fastening hole

Claims (12)

에센스가 도포되고, 사용자의 목 부위 피부 위에 안착되며, 제1전극(30)이 접촉되는 제1전극설치부위(11)를 구비하는 패드(10);
전류원(20);
상기 전류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패드(10)에 접촉하여 상기 전류원(20)으로부터 상기 패드(10)로 전류를 통전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제1전극(30);
상기 전류원(20)과 상기 제1전극(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1케이블(40);
신체 타부위의 피부 표면에 접촉하여 상기 전류원(20), 상기 제1전극(30) 및 상기 패드(10)와 함께 이온토포레시스를 위한 전류 루프를 형성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제2전극(50);
상기 제2전극(50)을 상기 전류원(20)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제2케이블(60);
사용자의 목 피부와의 밀착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되기 위해 상기 패드(10)에 구비되는 밴드(1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밴드(15)는 일끝단이 상기 패드(10)에 고정되고,
타끝단은 상기 패드(10)에 형성되는 슬릿에 삽입되어 임의 탈거를 방지하고, 고정을 유지시키는 걸림부를 구비하여 상기 패드(10)에 대하여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목주름팩키트.
A pad (10) having a first electrode mounting portion (11) on which an essence is applied, and which is seated on a skin of a neck of a user and on which a first electrode (30) is contacted;
A current source 20;
A first electrode (3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urrent source (20) and having a function of contacting the pad (10) and passing current from the current source (20) to the pad (10);
A first cable (4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urrent source (20) and the first electrode (30);
(50) having a function of forming a current loop for iontophoresis together with the current source (20), the first electrode (30), and the pad (10) );
A second cable (60)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econd electrode (50) to the current source (20);
A band 15 provided on the pad 10 so as to be fixed to maintain a close contact state with the user's neck skin;
, ≪ / RTI >
One end of the band 15 is fixed to the pad 10,
And the other end is inserted into a slit formed in the pad (10) so as to prevent any dismounting and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ortion for holding the pad, and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pad (10). Used neck crease pack ki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설치부위(11)는 상기 패드(10) 상의 2개소 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목주름팩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mounting portion (11) is formed at two or more positions on the pad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설치부위(11)는, 상기 패드(10)의 가장자리 소정의 부위에 연장되어 돌출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목주름팩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ectrode mounting portion (11)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extending from a predetermined edge portion of the pad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드(10)는, 사용자의 목 피부와의 밀착을 위한 트임부(1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목주름팩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ad (10) is provided with a torsion (13) for close contact with the neck skin of a us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15)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양 끝단이 상기 패드(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목주름팩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nd (15) is made of a stretchable material, and both ends thereof are fixed to the pad (10).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복수개만큼 구비되어, 사용자의 목둘레에 따라 상기 밴드(15)의 길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목주름팩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ength of the band (15) is adjustable along the neckline of the user, so that the length of the band (15) can be adjus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센스는 사용자 피부에 이온투입되는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상기 기능성 성분은 액상의 비타민C이며,
상기 비타민C는, 상기 에센스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부만큼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목주름팩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ssence contains a functional ingredient that is ion-charged into the user's skin, the functional ingredient is a liquid vitamin C,
Wherein the vitamin C is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essen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전극(30)과 상기 패드(10)의 접촉은,
상기 제1전극설치부위(11)에 설치되는 천공홀(12)과,
상기 천공홀(12)에 삽입되어 돌출되는 돌부(72)를 구비하는 클립숫형파트(71), 상기 제1전극(30)이 장착되고, 상기 돌부(72)가 끼워맞춤 체결되는 링형상부위(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클립암형파트(7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클립부(70)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목주름팩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ct between the first electrode (30) and the pad (10)
A perforation hole 12 provided in the first electrode mounting portion 11,
A ring shaped part 71 having a protrusion 72 inserted into the perforation hole 12 and a ring shaped part 71 on which the first electrode 30 is mounted and in which the protrusion 72 is fitted, 75. The neck wrapping pack kit using iontophoresis as recited in any one of claims 1 to 7, wherein the clip portion (70) comprises a clip arm portion (74) comprising a clip arm portion (74)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클립부(70)는, 상기 천공홀(12)에 삽입돌출된 상기 돌부(72)를 수납하는 체결홀(91)을 중앙에 구비하고, 판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클립암형(female)파트와 상기 클립숫형(male)파트가 결합하기 이전에 상기 클립숫형(male)파트와 결합하여, 상기 클립숫형파트(71)와 상기 패드(10)와의 결합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와셔(90);를 더 포함하며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목주름팩키트,
The method of claim 10,
The clip portion 70 has a coupling hole 91 at the center thereof for receiving the protruding portion 72 protruded into the perforation hole 12 and has a plate shape and has a clip female portion A washer 90 that engages the clip male part prior to engaging the clip male part and maintains engagement of the clip male part 71 with the pad 10;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ck wrapping pack kit using iontophoresi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주름팩키트는, 양끝단이 각각 상기 제1전극설치부위(11) 및 상기 패드(10) 상의 소정의 부위에 고정되고, 표면이 도전성 물질로 코팅되어 상기 패드(10)와의 접촉면에 걸쳐 전류를 확산시키는 기능을 구비하는 연장플레이트(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토포레시스를 이용한 목주름팩키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eck wrapping pack kit is characterized in that both ends are fixed to a predetermined portion on the first electrode mounting portion 11 and the pad 10 respectively and the surface of the neck wrapping pack kit is coated with a conductive material to cover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pad 10 Further comprising an extension plate (80) having a function of diffusing a current. ≪ RTI ID = 0.0 > 11. < / RTI >
KR1020140192216A 2014-12-29 2014-12-29 A iontophoresis kit comprising a beauty pack for a neck KR1015522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216A KR101552249B1 (en) 2014-12-29 2014-12-29 A iontophoresis kit comprising a beauty pack for a ne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2216A KR101552249B1 (en) 2014-12-29 2014-12-29 A iontophoresis kit comprising a beauty pack for a ne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2249B1 true KR101552249B1 (en) 2015-09-18

Family

ID=54247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2216A KR101552249B1 (en) 2014-12-29 2014-12-29 A iontophoresis kit comprising a beauty pack for a ne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2249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92558A1 (en) * 2016-01-14 2017-07-19 Insung Information Co., Ltd. Sheet mask for iontophoresis and mask assembly using the same
CN111558135A (en) * 2019-09-30 2020-08-21 广东艾诗凯奇智能科技有限公司 Neck massager
KR20230016370A (en) 2021-07-26 2023-02-02 주식회사 엘림텍 An Apparatus for Caring a Skin with a Ultrasound Wave and an Iontophoresis and a Method for Caring the Skin Using the Sam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690B1 (en) 2009-11-09 2012-11-12 우먼스캐어 주식회사 Electrode apparatus for caring skin and skin care system using 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690B1 (en) 2009-11-09 2012-11-12 우먼스캐어 주식회사 Electrode apparatus for caring skin and skin care system using i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92558A1 (en) * 2016-01-14 2017-07-19 Insung Information Co., Ltd. Sheet mask for iontophoresis and mask assembly using the same
CN111558135A (en) * 2019-09-30 2020-08-21 广东艾诗凯奇智能科技有限公司 Neck massager
WO2021063416A1 (en) * 2019-09-30 2021-04-08 未来穿戴技术有限公司 Neck massager
KR20230016370A (en) 2021-07-26 2023-02-02 주식회사 엘림텍 An Apparatus for Caring a Skin with a Ultrasound Wave and an Iontophoresis and a Method for Caring the Skin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8884B2 (en) Microneedle electrode
KR101552249B1 (en) A iontophoresis kit comprising a beauty pack for a neck
US20060095001A1 (en) Electrode and iontophoresis device
DE69921090D1 (en) IONTOPHORETIC ELECTRODE DEVICE WITH LOW INITIAL RESISTANCE
JP2801393B2 (en) Needle for point stimulation and treatment equipment for point stimulation
JP2005506158A (en) Transdermal patch
KR20160033555A (en) The Sheet Mask for Iontophoresis and a mask assembly therewith
JP5755623B2 (en) Sheet electrode
KR20130100443A (en) Electrode for stimulating living body
JP6966812B1 (en) Skin irritation brush
JP2010253199A (en) Device for electroporation
WO2001003604A3 (en) Electrode design and stimulator for antler-bearing animals
KR101578810B1 (en) The Clip for Connencting Mask and Cable of Iontophoresis and a mask assembly therewith.
US20170216584A1 (en) Sheet mask for iontophoresis and mask assembly using the same
KR20170033744A (en) Iontophoresis For Promoting Hair Growth Pack Kit
US8457765B2 (en) Ear clip with pole
KR101668795B1 (en) Iontophoresis mask assembly
JP2004159673A (en) Device for iontophoresis
EP3192558A1 (en) Sheet mask for iontophoresis and mask assembly using the same
KR20170033155A (en) Fixing jig for the insulating coating of oriental acupuncture
CN217567139U (en) Vagus nerve stimulator
CN216676701U (en) Electrode plate with microneedle structure
KR20180130380A (en) Hair Kit for promoting hair growth by using iontophoresis
CN214713823U (en) Three-in-one beauty instrument
CN216725528U (en) Electrode subassembly, locating component and wearing formula electro photoluminescenc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