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2148B1 - The rotary type air filtering apparatus for industrial - Google Patents
The rotary type air filtering apparatus for industri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2148B1 KR101552148B1 KR1020150082166A KR20150082166A KR101552148B1 KR 101552148 B1 KR101552148 B1 KR 101552148B1 KR 1020150082166 A KR1020150082166 A KR 1020150082166A KR 20150082166 A KR20150082166 A KR 20150082166A KR 101552148 B1 KR101552148 B1 KR 10155214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fresh water
- rotary
- hole
- fres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7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87 air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1000737296 Pisum sativum Chlorophyll a-b binding protein AB96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4 b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5 energy consum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926 pur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987 spin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2 ve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01D47/02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by using a liquid curtai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이다. 그 구체적인 구성은, 하부에는 담수부(11)와 상부에는 통기부(15)로 구성된 하우징(10)이 구비되고, 회전정화유닛(40)은 물이 채워지는 담수부(11)에 절반이 잠기도록 장착되되, 회전정화유닛(40)의 회전축(45)이 담수부(11)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입설부(13)의 회전공(14)에 인입되어 장착되고, 일측에 배출공(31)이 형성된 덮개(30)는 상기 담수부(11)의 상부에 결합수단을 통해 장착되면서 하우징(10)의 일측으로 유입공(16)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정화유닛(40)은 다수개의 수막공(42)이 형성된 원통부(41)가 구비되어, 담수부(11)의 물이 수막공(42)에서 수막으로 생성되고, 상기 원통부(41)의 양측에는 플랜지(43)가 장착되며, 상기 플랜지(43)에는 방사상으로 끼움공(44)이 다수개 형성되어, 양측에 끼움구(52)를 갖는 담수표(50, 湛水瓢)가 상기 끼움공(44)에 조립되면서 담수표(50)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장착되고, 상기 담수표(50)에는 다수개의 통공(51)이 형성되어, 담수부(11)의 물을 퍼올리는 과정에서 샤워 커튼을 조성하는 구성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dustrial rotary type wet air cleaning apparatus. The rotary purification unit 40 is provided with a fresh water portion 11 filled with water, and a half of the water is filled in the fresh water portion 11, And the rotary shaft 45 of the rotary purification unit 40 is drawn in and inserted into the rotary hole 14 of the mouth portion 13 protru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fresh water portion 11, The lid 30 is formed with an inlet hole 16 at one side of the housing 10 while being attach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resh water receiving portion 11 through a coupling means. A water portion of the fresh water portion 11 is formed as a water film in the water hole 42 and a flange 43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cylindrical portion 41 A plurality of radial fitting holes 44 are formed in the flange 43 and a check table 50 having a fitting hole 52 on both sides is assembled to the fitting hole 44 A large number of through holes 51 are formed in the fresh check sheet 50 and a shower curtain is formed in the process of pouring the water of the fresh water receiving portion 11 .
Description
본 발명은 습식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담긴 담수부(11)에서 회전정화유닛(40)이 회전하면서 회전정화유닛(40)의 원통부(41)에 형성된 수막을 통해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걸러지고, 동시에 회전정화유닛(40)의 플랜지(43)에 방사상으로 다수개 장착된 담수표(50, 湛水瓢)에서 공급되는 샤워 커튼을 통해 먼지와 같은 공기 중의 오염물질이 여과되어 산업 현장의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air clean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t air cleaning apparatus in which a rotary purification unit (40) rotates in a fresh water containing water (11) The pollutants in the air are filtered and at the same time the pollutants in the air such as dust are removed through the shower curtain supplied from the check table 50 (flooded gour), which is mounted radially on the
미세 먼지나 분진 등으로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종래의 수단에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착하는 집진 방식 정화장치와 여과망을 통해 오염된 공기를 걸러내는 필터 집진 방식 등이 있다. 전기 집진 방식은 고전압을 사용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율이 높은 단점이 있을 뿐 아니라, 먼지가 많을 경우 집진 효율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Conventional means for purifying indoor air contaminated with fine dust or dust include a dust collecting type purifying device for adsorbing air using electricity and a filter dust collecting method for filtering contaminated air through a filtering net. Since the electric dust collection system uses a high voltag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not only the energy consumption rate is high but also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is deteriorated when there is a lot of dust.
한편, 필터 집진 방식은 건식필터를 주로 사용함에 따라, 필터의 성능에 따른 공기 정화 효율성이 좌우되는 문제점과, 성능이 우수한 필터라 할지라도 시간의 경과로 인해 오염물질이 쌓이게 되면 집진 효율이 자연스럽게 정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강한 바람을 통해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먼지를 걸러내는 건식 방식임을 고려할 때, 실내 공기가 너무 건조해 지는 문제점 있으므로, 별도의 가습기를 가동하여 쾌적한 실내 공기를 조성해야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filter dust collection system mainly uses a dry filter, the efficiency of air purification depends on the performance of the filter. Even if the filter has excellent performance, if the pollutants accumulate due to passage of time, . In addition, considering that it is a dry type method in which indoor air is sucked through strong wind to filter out dust, indoor air becomes too dr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a separate humidifier is operated to provide pleasant indoor air.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공기 정화 장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오염된 산업 현장의 실내 공기를 물이 담긴 담수부(11)내에서 회전하는 회전정화유닛(40)에 생성되는 수막과, 담수표(50)에서 공급하는 샤워 커튼을 통해 걸러냄으로써, 전기 집진 방식 정화장치의 소비에너지 과다 사용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필터 집진 방식 정화장치에서 사용하는 고가의 먼지필터를 사용하지 않게 되어 유지 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of the air purification apparatu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purification apparatus, , The water is filtered through a shower curtain supplied from the check table 50, thereby solving the problem of excessive use of energy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system purifier, and the use of the expensive dust filter used in the filter dust collecting system purifie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ndustrial rotary type wet type air cleaning apparatus capable of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의 구체적인 수단은, 하부에는 담수부(11)와 상부에는 통기부(15)로 구성된 하우징(10)이 구비되고, 회전정화유닛(40)은 물이 채워지는 담수부(11)에 절반이 잠기도록 장착되되, 회전정화유닛(40)의 회전축(45)이 담수부(11)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입설부(13)의 회전공(14)에 인입되어 장착되고, 일측에 배출공(31)이 형성된 덮개(30)는 상기 담수부(11)의 상부에 결합수단을 통해 장착되면서 하우징(10)의 일측으로 유입공(16)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정화유닛(40)은 다수개의 수막공(42)이 형성된 원통부(41)가 구비되어, 담수부(11)의 물이 수막공(42)에서 수막으로 생성되고, 상기 원통부(41)의 양측에는 플랜지(43)가 장착되며, 상기 플랜지(43)에는 방사상으로 끼움공(44)이 다수개 형성되어, 양측에 끼움구(52)를 갖는 담수표(50, 湛水瓢)가 상기 끼움공(44)에 조립되면서 담수표(50)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장착되고, 상기 담수표(50)에는 다수개의 통공(51)이 형성되어, 담수부(11)의 물을 퍼올리는 과정에서 샤워 커튼을 조성하는 구성이다.
The rotary rotary type clean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산업현장의 오염된 실내 공기를 담수표(50)에서 중력방향으로 공급하는 샤워 커튼을 매개체로 하여 정화시키고, 동시에 회전정화유닛(40)의 원통부(41)의 수막공(42)에 생성된 수막에 의하여 오염된 공기속의 먼지와 이물질이 여과됨으로써,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When the industrial rotary type wet ai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the contaminated indoor air of the industrial site is cleaned by using a shower curtain as a medium to supply the room air in the direction of gravity from the check table 50, The dust and foreign matter in the air contaminated by the water film formed in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중 하우징의 담수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중 회전정화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 5는 본 발명중 하우징의 담수부와 회전정화유닛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의 대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중 확관유입부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ndustrial rotary type wet ai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fresh water portion of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rotary purification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combination of the fresh water section and the rotary purification unit of the housing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ustrial rotary type wet ai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industrial rotary type wet ai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view of an industrial rotary type wet type ai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expanded tube inflow sec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corporated in and constitute a part of the specification, illustrat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nd, together with the description, serve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먼지와 이물질이 공기중으로 많이 발생되는 산업 현장의 경우, 공해방지시설을 통해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을 하고 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현장에는 잔여하는 먼지와 이물질로 인해 쾌적한 작업 여건이 조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산업 현장의 실내 오염공기를 수막과 샤워 커튼과 같은 물을 이용하여 습식으로 정화하기 위한 로터리 타입의 습식 공기 정화장치로써,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중 하우징(10)의 담수부(11)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In the case of industrial sites where dust and foreign matter are generated in the air, contaminat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pollution prevention facilities. Nevertheless, there is no pleasant working condition due to residual dust and foreign matter in the industrial site In f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tary type wet air cleaning apparatus for wetly cleaning indoor polluted air in an industrial site by using water such as a water film and a shower curtai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wet type air cleaning apparatus for industrial rotary type wet ai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도 1에서 보듯이 하부에는 담수부(11)와 상부에는 통기부(15)로 구성된 하우징(10)이 구비되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담수부(11)의 내부에는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매개체로써 여과수가 담긴다. 한편, 로터리 타입으로 회전하는 회전정화유닛(40)은 여과수에 절반이 잠기는 방식으로 담수부(11)에 위치되되, 회전정화유닛(40)의 회전축(45)이 담수부(11)의 일측에서 상부로 돌출 형성된 입설부(13)의 회전공(14)에 인입되어 별도의 구동장치에 의하여 회전정화유닛(40)이 회전운동을 하도록 장착된다.As shown in FIG. 1, a
도 3은 본 발명중 회전정화유닛(4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3에서 보듯이 다수개의 수막공(42)이 형성된 원통부(41)가 구비되고, 상기 원통부(41)의 양측에는 플랜지(43)가 장착되며, 상기 플랜지(43)에는 방사상으로 끼움공(44)이 다수개 형성되는바, 상기 끼움공(44)으로 다수개의 통공(51)을 갖는 담수표(50, 湛水瓢), 즉 물을 담아 퍼올리는 두레박 기능을 하는 담수표(50)가 양측단에 형성된 끼움구(52)를 매개체로 하여 플랜지(43)의 테두리를 따라 다수개 장착된다.3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상기 담수표(50)는 여과수가 담긴 담수부(11)의 물을 퍼올리기 위한 두레박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회전정화유닛(40)이 담수부(11)의 내부에서 물레방아처럼 회전할 때에 담수부(11)는 항상 중력방향을 향해 일정하게 위치되도록 담수표(50)의 끼움구(52)와 플랜지(43)의 끼움공(44)은 자유로이 움직이는 유동 방식으로 장착된다.The fresh water check table 50 performs a function of draining a water of the
이는 물레방아처럼 회전하는 회전정화유닛(40)이 담수부(11)의 물을 담수표(50)를 통해 퍼올린 후, 담수표(50)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51)을 통해 중력방향을 향해 자유낙하 되도록 함으로써, 이른바 샤워 커튼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그러므로, 담수표(50)에서 중력방향으로 공급되는 샤워 커튼을 통해 공기에 함유된 먼지와 이물질 등이 떨어지는 물에 흡착되면서 신선한 공기와 분리되는 것이다.This is because the
도 4, 5는 본 발명중 하우징(10)의 담수부(11)와 회전정화유닛(40)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정화유닛(40)은 물이 담기는 담수부(11)와 공기가 흐르는 통기부(15)로 구성된 하우징(10)에 장착되되, 상기 회전정화유닛(40)의 절반은 담수부(11)의 물에 잠기고, 절반은 통기부(15)에 위치됨으로써, 회전시 담수부(1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물이 원통부(41)에 형성된 다수개의 수막공(42)에 수막 형태로 맺히게 된다.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for explaining the combination of the
따라서, 하우징(10)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공(16)을 통해 유입된 산업 현장의 실내 공기가 수막공(42)에 맺힌 수막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먼지와 이물질이 등이 수막에 의하여 여과되는 방식으로 공기가 정화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회전정화유닛(40)의 원통부(41)에 형성된 수막공(42)의 크기는 본 발명이 설치되는 현장의 먼지입자의 크기에 따라 결정하되, 목표치로 하는 공기의 신선도를 고려하여 유동적으로 결정한다.Therefore, when the indoor air flowing through the
한편, 이처럼 회전정화유닛(40)에 형성된 수막공(42)을 통해 오염된 공기가 정화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따라 수막공(42)이 먼지와 이물질로 인해 막히는 현상이 도래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공기 또는 수압으로 작동되는 수막청소기(60)를 도 4, 5에서와 같이 담수부(11)를 관통하도록 장착하되, 담수부(11)의 일측면에 형성된 인입공(12)에 장착하여 수막청소기(60)에 형성된 다수개의 노즐(61)을 통해 회전정화유닛(40)의 원통부(41)에 형성된 수막공(42)을 압축공기 또는 수압을 통해 청소하도록 함으로써, 회전정화유닛(40)의 공기 정화기능이 우수하게 유지되도록 한다.Meanwhile, since the contaminated air is purified through the
한편, 도 1 및 도 5에서 보듯이 담수부(11)의 직하방에는 여과박스(20)가 볼트와 같은 결합수단을 통해 장착된다. 상기 여과박스(20)의 내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필터(22)가 장착되는바, 상기 이물질필터(22)는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는 과정에서 담수부(11)의 물속에 침전된 먼지와 이물질 등을 걸러내어 여과수의 수질을 깨끗하게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1 and 5, the
즉,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를 일정시간 동안 가동시키면, 담수부(11)에 채워진 물이 오염된 공기에서 분리된 이물질과 혼합되면서 탁수가 되고, 먼지와 이물질 등은 물속에서 서로 엉키면서 침전된다. 이때 담수부(11)의 하방으로 내려앉는 침전물을 이물질필터(22)가 흡착함으로써, 침전물 상태의 이물질이 여과수와 계속 혼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여과수의 수질이 우수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실내 공기의 정화에 효과적으로 기능 하도록 한다.That is, when the industrial rotary type wet ai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water filled in the
상기 이물질필터(22)의 교체 및 세척은 도 1에서와 같이 여과박스(20)의 저면에 장착된 배수밸브(21)를 개방하여 담수부(11)에 채워진 물을 배수시킨 다음, 여과박스(20)를 담수부(11)에서 탈거하여 이물질필터(22)를 교체하거나 세척하여 재사용 하게 되는 것이다.1, th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의 대표 단면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ustrial rotary type wet type ai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n industrial rotary type wet type ai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도 6에서와 같이 하우징(10)에 덮개(30)를 결합수단을 통해 장착하면, 산업 현장의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공(16)과 통기부(15)가 가시적으로 보이게 된다. 따라서, 산업 현장의 공기의 흐름은 도 6, 7에서 굵은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싸이클론에서 흡입하는 흡입모터에 의하여 통기부(15)을 통해 하우징(10)의 통기부(15)로 유입된다. 통기부(15)로 유입된 오염된 공기는 도 8에서와 같이 담수표(50)에서 중력방향으로 공급하는 샤워 커튼과 원통부(41)의 수막을 순서에 상관없이 자유롭게 통과하면서 오염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이물질이 여과수에 의하여 흡착된 다음, 신선한 공기만 덮개(3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공(31)을 통해 통상적인 싸이클론으로 배출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6, when the
한편, 도 9는 본 발명중 확관유입구(7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로서, 도 9에서 보듯이 오염된 실내 공기를 더욱 많이 유입하기 위하여 앞서 설명한 유입공(16)에는 선단의 입구가 넓고 후단쪽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나팔관 형태의 확관유입구(70)가 설치된다.9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expanded
또한, 상기 확관유입구(70)의 내주면에는 나선형와류유도구(71)가 장착됨으로써, 도 9에 굵은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유입되는 산업 현장의 오염 공기가 나선형으로 와류를 형성하면서 유입됨에 따라, 결과적으로 확관유입구(70)에서 흡입하는 오염공기의 흡입 각도가 와류로 인해 커지는 효과가 발생된다.As the spiral
그러므로, 나선형와류유도구(71)를 갖는 확관유입구(70)가 장착된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를 동일한 시간동안 가동하더라도 직선형 유입공(16)이 장착된 정화장치보다 나선형와류유도구(71)가 내장된 확관유입구(70)가 장착된 정화장치가 실내의 오염공기를 더욱 많이 정화시키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even if the industrial rotary type wet air cleaning apparatus equipped with the
한편, 도 9에서와 같이 싸이클론을 본 발명의 후단에 장착하였는바, 상기 싸이클론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공기중의 과다 수분과 미세 먼지를 분리시키는 공지의 장치로써, 본 발명에서는 2차 정화시설로 장착하였다. 그러므로, 도 9에서와 같이 싸이클론에서 강하게 토출되는 공기는 무동력 송풍팬을 거치면서 자유자재로 비산됨에 따라, 신선한 공기가 산업현장의 구석구석으로 비산되면서, 산업현장의 전체적인 실내 공기가 신선하게 조성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9, the cyclone is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yclone is a well-known device for separating excess moisture and fine dust in the air using centrifugal force. In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Therefore, as shown in FIG. 9, the air strongly discharged from the cyclone is scattered freely while passing through the non-powered blowing fan, so that the fresh air is scattered to every corner of the industrial field,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산업현장의 오염된 실내 공기를 담수표(50)에서 중력방향으로 공급하는 샤워 커튼을 매개체로 하여 정화시키고, 동시에 회전정화유닛(40)의 원통부(41)의 수막공(42)에 생성된 수막에 의하여 오염된 공기속의 먼지와 이물질이 여과됨으로써,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industrial rotary type wet air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 shower curtain for supplying contaminated indoor air in the industrial field in the direction of gravity from the check table 50 is cleaned as an intermediary, Dust and foreign matter in the air contaminated by the water film formed in the
10 : 하우징
11 : 담수부
12 : 인입공
13 : 입설부
14 : 회전공
15 : 통기부
16 : 유입공
20 : 여과박스
21 : 배수밸브
22 : 이물질필터
30 : 덮개
31 : 배출공
40 : 회전정화유닛
41 : 원통부
42 : 수막공
43 : 플랜지
44 : 끼움공
45 : 회전축
50 : 담수표(湛水瓢)
51 : 통공
52 : 끼움구
60 : 수막청소기
61 : 노즐
70 : 확관유입구
71 : 나선형와류유도구10: Housing
11: Freshwater section
12: Incoming ball
13: mouth tongue
14: Meeting Major
15:
16: Inflow ball
20: Filter box
21: Drain valve
22: Foreign matter filter
30: Cover
31: Exhaust hole
40: rotation purifying unit
41:
42:
43: Flange
44: insert ball
45:
50: Dam check
51: Through hole
52:
60: Water cleaning system
61: Nozzle
70: expansion inlet
71: spiral vortex tool
Claims (4)
상기 회전정화유닛(40)은 다수개의 수막공(42)이 형성된 원통부(41)가 구비되어, 담수부(11)의 물이 수막공(42)에서 수막으로 생성되고, 상기 원통부(41)의 양측에는 플랜지(43)가 장착되며, 상기 플랜지(43)에는 방사상으로 끼움공(44)이 다수개 형성되어, 양측에 끼움구(52)를 갖는 담수표(50, 湛水瓢)가 상기 끼움공(44)에 조립되면서 담수표(50)가 방사상으로 다수개 장착되고, 상기 담수표(50)에는 다수개의 통공(51)이 형성되어, 담수부(11)의 물을 퍼올리는 과정에서 샤워 커튼을 조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
The rotary purification unit 40 is mounted on the fresh water portion 11 filled with water so as to be submerged in half, The rotary shaft 45 of the purifier unit 40 is inserted into the rotation hole 14 of the mouth portion 13 protruding upward from one side of the fresh water portion 11, An inlet hole 16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housing 10 while being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resh water portion 11 through a coupling means,
The rotary purification unit 40 is provided with a cylindrical portion 41 having a plurality of water holes 42 so that the water of the fresh water portion 11 is formed as a water film in the water hole 42, A flange 43 is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flange 43. A plurality of radially fitting holes 44 are formed in the flange 43 and a check table 50 A plurality of fresh water check tables 50 are mounted in a radial manner while being assembled in the fitting holes 44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51 are formed in the fresh water check table 50, Wherein the shower curtain is provided with a shower curtain.
상기 유입공(16)에는 나팔관 형태의 확관유입구(70)가 설치되고, 상기 확관유입구(70)의 내주면에는 나선형와류유도구(71)가 장착되어, 유입되는 실내 공기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piral vortex oil tool 71 is moun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xpanded inlet port 70 to form a vortex in the introduced indoor air. Industrial rotary type wet air cleaning device characterized by.
상기 담수부(11)의 일측면에는 인입공(12)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공(12)으로 다수개의 노즐(61)이 형성된 수막청소기(60)가 장착되어, 상기 회전정화유닛(40)의 원통부(41)에 형성된 수막공(42)의 막힘현상이 수막청소기(60)를 통해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 suction port 1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resh water section 11 and a shower head cleaner 60 having a plurality of nozzles 61 formed therein is mounted on the suction port 12, Wherein the clogging phenomenon of the water hole (42) formed in the cylindrical portion (41) of the rotary type wet air cleaning apparatus is removed through the water screen cleaner (60).
상기 담수부(11)의 직하방에는 여과박스(20)가 결합수단을 통해 장착되고, 상기 여과박스(20)의 내부에는 담수부(11)의 물속에 침전된 먼지와 이물질를 걸러내기 위한 이물질필터(22)가 장착되며, 상기 여과박스(20)의 저면에는 배수밸브(21)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로터리형 습식 공기 정화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 filter box 20 is attached to the filter box 20 directly below the fresh water section 11 and a foreign matter filter 20 for filtering dust and foreign substances precipitated in the water of the fresh water section 11 is provided in the filter box 20, And a drain valve (21) is moun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lter box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2166A KR101552148B1 (en) | 2015-06-10 | 2015-06-10 | The rotary type air filtering apparatus for industri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2166A KR101552148B1 (en) | 2015-06-10 | 2015-06-10 | The rotary type air filtering apparatus for industria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52148B1 true KR101552148B1 (en) | 2015-09-10 |
Family
ID=5424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2166A Active KR101552148B1 (en) | 2015-06-10 | 2015-06-10 | The rotary type air filtering apparatus for industri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2148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925054A (en) * | 2017-03-31 | 2017-07-07 | 郑州中绿环保新材料有限公司 | Gas purge system |
KR101758842B1 (en) * | 2015-12-28 | 2017-07-17 | 신현명 | Smoke purifier |
KR101801517B1 (en) * | 2017-06-23 | 2017-11-27 | 박정길 | Fine dust collector |
KR101928199B1 (en) * | 2017-06-26 | 2019-02-26 | 오영호 | Water using device and method of washing type air cleaning dust removing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0303Y1 (en) | 2000-02-28 | 2000-07-15 | 김종인 | Air Pollution Removal Device |
-
2015
- 2015-06-10 KR KR1020150082166A patent/KR10155214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90303Y1 (en) | 2000-02-28 | 2000-07-15 | 김종인 | Air Pollution Removal Device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58842B1 (en) * | 2015-12-28 | 2017-07-17 | 신현명 | Smoke purifier |
CN106925054A (en) * | 2017-03-31 | 2017-07-07 | 郑州中绿环保新材料有限公司 | Gas purge system |
KR101801517B1 (en) * | 2017-06-23 | 2017-11-27 | 박정길 | Fine dust collector |
KR101928199B1 (en) * | 2017-06-26 | 2019-02-26 | 오영호 | Water using device and method of washing type air cleaning dust remov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8076B1 (en) | a dust clearing device | |
CN205411088U (en) | Machine of sweeping floor of washing dust collector that sets up behind filter screen induced drafts | |
JP2005296623A (en) | Filtering device for vacuum cleaner | |
KR101552148B1 (en) | The rotary type air filtering apparatus for industrial | |
US20060102000A1 (en) | Wet type air cleaner | |
KR100589788B1 (en) | Wet air freshener | |
KR20160139799A (en) | Air cleaner with humidification of wet type | |
KR20200001819U (en) | Wet cleaning apparatus for an air | |
KR20170006088A (en) | Air Purifier with water | |
KR100671844B1 (en) | Tank of wet air cleaner | |
US20060230713A1 (en) | Wet type air cleaner | |
KR20030003677A (en) | Washer type air conditioner device | |
KR102105600B1 (en) | Double cyclone dust cleaner | |
KR100875966B1 (en) | Grain Drying Dust Collector | |
KR101906955B1 (en) | Air purifier | |
CN220990211U (en) | Waste gas demister | |
KR100640733B1 (en) | Suction type liquid air-cleaner | |
CN104226062A (en) | Quick dust remover for high dust amount | |
JP2006175336A (en) | Wet gas purifier | |
KR20120066448A (en) | A the dust reduction system which uses a nothing power cyclone method | |
KR100640732B1 (en) | Blowing type wet air cleaner | |
KR100640748B1 (en) | Purifier for wet air cleaners | |
KR102097982B1 (en) | Wet scrubber for using the orifice theory | |
KR100605730B1 (en) | Collection Structure of Wet Air Purifier | |
KR101607805B1 (en) | Wet type air clea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7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1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