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423B1 - 총기용 조준경 - Google Patents

총기용 조준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423B1
KR101551423B1 KR1020150072951A KR20150072951A KR101551423B1 KR 101551423 B1 KR101551423 B1 KR 101551423B1 KR 1020150072951 A KR1020150072951 A KR 1020150072951A KR 20150072951 A KR20150072951 A KR 20150072951A KR 101551423 B1 KR101551423 B1 KR 101551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ive lens
fastening
lens unit
clip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도현
Original Assignee
임도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도현 filed Critical 임도현
Priority to KR1020150072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4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8Telescopic 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Supports or moun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1/00Details of sighting or aiming apparatus; Accessor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1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adapted to interchang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총기용 조준경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총기용 조준경은, 총기에 결합 되는 조준경 본체; 조준경 본체에 결합 되는 대물 렌즈부; 및 대물 렌즈부를 조준경 본체에 탈착시키는 탈착 체결부를 포함하고, 대물 렌즈부는 조준경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조준경 본체에서 세팅된 영점 조준의 변경 없이 대물 렌즈부를 교체할 수 있어 근거리와 원거리 배율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총기용 조준경{TELESCOPIC SIGHT FOR RIFLE}
본 발명은, 조준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물 렌즈부를 조준경의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하여 세팅된 영점 조절의 변경 없이 원거리 또는 근거리 배율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총기용 조준경에 관한 것이다.
조준경이란 조준용 망원경을 말하는 것으로 소총 등의 총기에 부착하여 원거리 목표물을 크게 보고 정확하게 겨누는 장치이다.
여기서 소총(小銃, rifle)이란 강선이 있는 총열에 탄환을 사용하여 견착 사격하는 개인 화기로서 정교한 조준으로 목표물을 정확히 타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소총의 조준은 일반적으로 목표물을 향한 조준선 정렬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사격의 정확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단계로서 총열의 끝단에 위치한 가늠쇠와 총기 주몸체에 위치한 가늠자를 정렬시킨다.
그런데 가늠쇠와 가늠자 자체가 매우 작고, 작은 떨림에도 정렬이 흐트러지기 때문에 조준선 정렬을 위해 사격자는 고도의 집중력을 요한다.
또한 지나치게 조준선 정렬에 신경을 쓰다 보면 목표물이나 전방 상황보다 가늠쇠와 가늠자 자체에 시선이 집중되고 시야가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게다가 조준선 정렬은 확보한 목표물을 순간적으로 타격해야하는 사격의 특성에 반해 상대적으로 소요 시간이 많이 걸린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고자 종래에는 소총에 조준경을 부착하였다. 이러한 조준경은 망원경의 원리에 좌표선이나 점을 부가한 것으로 별도의 조준선 정렬이 필요없고 저배율에서 고배율로 배율을 조정하여 원거리의 목표물을 겨눌 수 있다.
종래에 배율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영점 조준이 된 조준경 전체를 교체해야 하므로 조준경의 교체 후에 다시 영점 조준을 해야하는 불편과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068290호(정인) 2011. 09. 21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세팅된 영점 조절의 변경 없이 원거리 또는 근거리 배율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총기용 조준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총기에 결합 되는 조준경 본체; 상기 조준경 본체에 결합 되는 대물 렌즈부; 및 상기 대물 렌즈부를 상기 조준경 본체에 탈착시키는 탈착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물 렌즈부는 상기 조준경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상기 조준경 본체에서 세팅된 영점 조준의 변경 없이 상기 대물 렌즈부를 교체할 수 있어 근거리와 원거리 배율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경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탈착 결합부는, 상기 조준경 본체와 상기 대물 렌즈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단부가 서로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프가 구비된 클램프부; 및 상기 한 쌍의 클램프의 타단부에 각각 결합 되어 상기 클램프부를 상기 조준경 본체와 상기 대물 렌즈부에 결합시키는 체결 클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클램프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한 쌍의 체결홀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체결홀에는 상기 대물 렌즈부의 체결돌기와 상기 조준경 본체의 본체 돌기가 각각 삽입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클램프의 상기 타단부에는 클립 체결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체결 클립에는 상기 클립 체결플레이트가 삽입되는 클립홈이 마련되어 상기 체결 클립은 상기 타단부에 끼움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조준경 본체에는 본체 플랜지가 마련되고, 상기 대물 렌즈부에는 상기 본체 플랜지의 내부로 삽입되는 체결플랜지가 마련되며, 상기 탈착 체결부는 상기 조준경 본체와 상기 대물 렌즈부를 감싸 서로 접촉되는 한 쌍의 클램프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대물 렌즈부를 조준경의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하여 세팅된 영점 조절의 변경 없이 원거리 또는 근거리 배율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영점 조절에 소요되는 시간과 불편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조준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탈착 체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조준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조준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탈착 체결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조준경(1)은, 총기에 결합 되는 조준경 본체(100)와, 조준경 본체(100)에 결합 되는 대물 렌즈부(200)와, 대물 렌즈부(200)를 조준경 본체(100)에 탈착시키는 탈착 체결부(300)를 구비한다.
조준경 본체(100)의 선단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플랜지(110)가 마련되고, 이 본체 플랜지(110)에는 대물 렌즈 바디(210)의 체결 플랜지(220)가 삽입 결합 된다.
본 실시 예에서 본체 플랜지(110)의 외주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돌기(111)가 마련되고, 이 본체 돌기(1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311)의 체결홀(311b)에 삽입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조준경 본체(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부(120)와, 십자선으로부터 과녁이 벗어나는 것을 상쇄시키기 위해 조준경 본체(100)를 수평 방향으로 조절하는 편차 조절부(130)와 시차 조절부(140)가 마련될 수 있다.
조준경 본체(100)의 높이 조절부(120)는 십자선으로부터 과녁이 벗어나는 것을 상쇄시키기 위해 조준경을 수직 방향으로 조절하는데 이용되고, 편차 조절부(130)는 탄환의 탄착점과 표적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높이 조절부(120)와 편차 조절부(130)와 시차 조절부(140)에는 캡이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예에서 조준경 본체(100)의 후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줌(zoom) 기능의 조절링(150)이 마련될 수 있다.
대물 렌즈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 체결부(300)에 의해 조준경 본체(10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그 결과 조준경 본체(100)에서 영점 조절이 끝난 상태에서 배율을 변경하기 위해 대물 렌즈부(200)를 교체하더라도 영점 조절에 변경이 없으므로 기존의 배율 변경 후 영점 조절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대물 렌즈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물 렌즈 바디(210)와, 조준경 본체(100) 방향의 대물 렌즈 바디(210)의 일단부에 마련되어 조준경 본체(100)의 본체 플랜지(110)에 삽입 결합 되는 체결 플랜지(220)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체결 플랜지(220)가 마련된 영역의 대물 렌즈 바디(21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돌기(211)가 마련된다. 이 체결 돌기(21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311)의 체결홀(311b)에 삽입되어 클램프(311)에 고정된다.
즉 본 실시 예에서 대물 렌즈부(200)는 체결 플랜지(220)가 먼저 조준경 본체(100)의 본체 플랜지(110)에 삽입되고, 다음으로 조준경 본체(100)의 본체 돌기(111)와 대물 렌즈 바디(210)의 체결 돌기(211)에 체결되는 클램프(311)를 체결 클립(320)으로 체결시켜 조준경 본체(100)에 결합 될 수 있다. 참고로 대물 렌즈부(200)의 분리는 전술한 순서의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본체 돌기(111)와 체결 돌기(211)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고, 대물 렌즈 바디(210)의 선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부재(212)가 끼움 맞춤 결합 될 수 있다.
탈착 체결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경 본체(100)와 대물 렌즈부(200) 모두에 결합 되어 대물 렌즈부(200)를 조준경 본체(100)로부터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탈착 체결부(3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준경 본체(100)와 대물 렌즈부(200)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단부가 서로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프(311)가 구비된 클램프부(310)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클램프(311)의 타단부에 각각 결합 되어 클램프부(310)를 조준경 본체(100)와 대물 렌즈부(200)에 결합시키는 체결 클립(320)과, 조준경 본체(100)와 대물 렌즈부(200)를 감싸 서로 접촉되는 한 쌍의 클램프(311)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330)를 포함한다.
탈착 체결부(300)의 클램프(311)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 클립 체결플레이트(311a)가 마련되고, 이 클립 체결플레이트(311a)에는 체결 클립(320)의 체결홈(321)이 삽입 결합 된다.
그 결과 한 쌍의 클램프(311)는 대물 렌즈부(200)를 조준경 본체(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클립 체결플레이트(311a)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홀(311b)이 마련되고, 이 체결홀(311b)에는 체결부재(330)가 체결 클립(320)의 클립홀(322)을 관통한 후 나사 결합 된다.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클램프(311)는 체결 클립(3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고, 체결부재(330)는 체클 클립을 고정시키는 역할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한 쌍의 클램프(31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힌지 로드(312)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힌지 로드(312)를 기준축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총기용 조준경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총기용 조준경(1a)은,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배율을 갖는 대물 렌즈부(200a)를 채용한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는 3~12배까지 변환해 사물을 확대해 볼 수 있고, 본 실시 예는 대물 렌즈부(200a)를 교체함으로써 1~4배까지 확대해 사물을 볼 수 있다.
본 실시 예들은 이와 같이 대물 렌즈부(200)를 조준경 본체(100)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하여 세팅된 영점 조절의 변경 없이 원거리 또는 근거리 배율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영점 조절에 소요되는 시간과 불편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a : 총기용 조준경
100 : 조준경 본체 110 : 본체 플랜지
111 : 본체 돌기 120 : 높이 조절부
130 : 편차 조절부 140 : 시차 조절부
150 : 조절링 200,200a : 대물 렌즈부
210 : 대물 렌즈 바디 211 : 체결 돌기
212 : 고무 부재 220 : 체결 플랜지
300 : 탈착 체결부 310 : 클램프부
311 : 클램프 311a : 클립 체결플레이트
311b : 체결홀 320 : 체결 클립
321 : 체결홈 322 : 클립홀
330 : 체결부재

Claims (5)

  1. 총기에 결합 되는 조준경 본체;
    상기 조준경 본체에 결합 되는 대물 렌즈부; 및
    상기 대물 렌즈부를 상기 조준경 본체에 탈착시키는 탈착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대물 렌즈부는 상기 조준경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상기 조준경 본체에서 세팅된 영점 조준의 변경 없이 상기 대물 렌즈부를 교체할 수 있어 근거리와 원거리 배율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탈착 체결부는,
    상기 조준경 본체와 상기 대물 렌즈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일단부가 서로 힌지 결합되는 한 쌍의 클램프가 구비된 클램프부; 및
    상기 한 쌍의 클램프의 타단부에 각각 결합 되어 상기 클램프부를 상기 조준경 본체와 상기 대물 렌즈부에 결합시키는 체결 클립을 포함하는 조준경.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프 중 적어도 하나에는 한 쌍의 체결홀이 마련되고,
    상기 한 쌍의 체결홀에는 상기 대물 렌즈부의 체결돌기와 상기 조준경 본체의 본체 돌기가 각각 삽입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경.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클램프의 상기 타단부에는 클립 체결플레이트가 마련되고,
    상기 체결 클립에는 상기 클립 체결플레이트가 삽입되는 클립홈이 마련되어 상기 체결 클립은 상기 타단부에 끼움 맞춤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경.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준경 본체에는 본체 플랜지가 마련되고,
    상기 대물 렌즈부에는 상기 본체 플랜지의 내부로 삽입되는 체결플랜지가 마련되며,
    상기 탈착 체결부는 상기 조준경 본체와 상기 대물 렌즈부를 감싸 서로 접촉되는 한 쌍의 클램프를 체결시키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준경.
KR1020150072951A 2015-05-26 2015-05-26 총기용 조준경 KR101551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951A KR101551423B1 (ko) 2015-05-26 2015-05-26 총기용 조준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951A KR101551423B1 (ko) 2015-05-26 2015-05-26 총기용 조준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423B1 true KR101551423B1 (ko) 2015-09-08

Family

ID=54247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951A KR101551423B1 (ko) 2015-05-26 2015-05-26 총기용 조준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4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385B1 (ko) * 2018-09-06 2020-01-09 대한민국 박격포용 야간투시경 결합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2194A (ja) * 2000-11-21 2002-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小火器用昼夜間照準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2194A (ja) * 2000-11-21 2002-06-07 Mitsubishi Electric Corp 小火器用昼夜間照準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385B1 (ko) * 2018-09-06 2020-01-09 대한민국 박격포용 야간투시경 결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299B2 (en) Vertically adjustable scope base
US9441915B2 (en) Modular scope mount assembly
ES2652303T3 (es) Montura de visor con anillas divididas en diagonal y conexiones para accesorios
US8151510B2 (en) Partial optical sighting device
US9291810B1 (en) Variable magnification indicator in sighting system
JP2018535382A (ja) 光学照準装置用レチクル
US10337837B2 (en) Flip sight systems for firearms
US201503163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and reinstalling weapon sight without changing boresight
US20160356575A1 (en) Prismatic Eyepiece Attachment for Telescopic Gun Sights
CN104677193B (zh) 枪械准星、照门机械瞄准通用光学校正仪
US20230080906A1 (en) Auxiliary optical system
US3962795A (en) Erector assembly retainer for telescopic rifle sights
KR101551423B1 (ko) 총기용 조준경
KR101732248B1 (ko) 링형 마운트용 도트사이트 장치
US3235967A (en) Unitary mounting apparatus for firearm optical sights
EP3303977B1 (en) Co-aligned close quarters battlefield sight
CA1085200A (en) Sighting device for small arms
US10458751B2 (en) Marksman positioning device
US10801812B2 (en) Boresight alignment device for aiming systems
US1428115A (en) Sight for firearms
CN103575166A (zh) 反射式瞄准镜及枪械
US20200025514A1 (en) Front sight for firearms
KR20190071343A (ko) 조준경
RU2534504C1 (ru) Оптический прицел
RU2007138320A (ru) Способ выверки нулевой линии прицеливания боевой машины реактивной системы залпового огн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