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1397B1 - Apparatus and system for treatment of hospital trash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system for treatment of hospital tras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1397B1
KR101551397B1 KR1020140153388A KR20140153388A KR101551397B1 KR 101551397 B1 KR101551397 B1 KR 101551397B1 KR 1020140153388 A KR1020140153388 A KR 1020140153388A KR 20140153388 A KR20140153388 A KR 20140153388A KR 101551397 B1 KR101551397 B1 KR 1015513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ransfer pipe
vertical transfer
medical
desce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33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완
Original Assignee
김재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완 filed Critical 김재완
Priority to KR1020140153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139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1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139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5/00Gathering or removal of refuse otherwise than by receptacles 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electric or electromagnetic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1/00Dumping solid was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1/00Chutes
    • B65G11/20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 B65G11/206Auxiliary devices, e.g. for deflecting, controlling speed of, or agitating articles or solids for bulk

Abstract

Disclosed are a waste lowering apparatus for skyscrapers and a waste treatment system for skyscrapers using the same. The waste treatment system for skyscrapers to treat waste from each floor of a skyscraper includes: one or more lowering devices provid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pass through each floor to lower waste by forming an ascending air current and adjusting the lowering speed of the waste; a transfer device provided directly under the lowering devices to transfer the waste discharged from the lowering devices to a sorting center; and a sorting device provided in the sorting center to sort and store the transferred waste by types.

Description

병원 폐기물 처리 장치 및 처리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TREATMENT OF HOSPITAL TRASH}[0001] APPARATUS AND SYSTEM FOR FORMATION OF HOSPITAL TRASH [0002]

본 발명은 병원 폐기물 처리 장치 및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처리에 있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병원 폐기물의 자동화된 처리를 위한 병원 폐기물 처리 장치 및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spital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a treatmen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spital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a treatment system for automated treatment of hospital waste requiring special attention in treatment.

병원, 보건소, 의료관계 연구소 또는 의료관계 교육기관 등에서 배출하는 폐기물은 인체에 유해한 약품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가 요구되나, 현재 병원 폐기물 처리 실태는 대부분 수작업에 의한 기록, 계량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Waste discharged from hospitals, public health centers, medical research institutes, or medical education institutions is required to be thoroughly managed because it contains chemicals harmful to human bodies. However, most of the waste disposal practices are performed by manual recording and weighing have.

병원 등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은 격리가 필요한 의료폐기물, 위해 의료 폐기물(조직물류, 병리계 폐기물, 손상성 폐기물, 생물, 화학폐기물, 혈액 및 오염폐기물) 및 일반의료 폐기물로 분류할 수 있다. Wastes from hospitals, etc. can be classified as medical wastes requiring isolation, medical wastes (tissue logistics, pathological wastes, damaging wastes, biological, chemical wastes, blood and polluted wastes) and general medical wastes.

현재의 공정을 살펴보면, 폐기물의 수거 시에 전담 청소원, 간호원 또는 간호조무사 등이 각층에서 폐기물 종류별로 분리수거하여 지정박스에 담고, 박스를 포장 밀폐 후 관련 내용을 기입한 후 태그를 부착한다. 그 다음에 각 층 지정 창고에 일시 보관하고 종류별로 수량을 파악한다. 그 다음에 박스를 이동용 카트에 담아 전용 또는 화물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여 주로 지하층에 위치되어 있는 집하장으로 이송한다. 수작업에 의해 종류별로 박스를 구분하고 적재해 두었다가 지하 하치장을 통해 수집 운반 업체에서 배출해 나간다. If you look at the current process, when collecting wastes, you need to separate the wastes by the kind of waste from each floor, nurse or nursing assistant in the specified box, seal the box, fill in the relevant contents, and attach the tag. Then, they are stored temporarily in designated warehouses at each floor, and the quantity of each type is determined. The box is then placed in a transport cart and transported to a collecting place, which is mainly located in the basement, using a dedicated or freight elevator. The boxes are sorted by hand according to the type and loaded, and then discharged from the collection carrier through the underground dump.

이와 같은 처리 과정을 보면 위해한 병원 폐기물에 대한 처리가 주로 사람에 의해 이루어지기 때문에, 처리 과정에서 감염 등의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수작업에 의하다 보니 병원 폐기물의 분류, 관리가 잘못되게 되어 2차 감염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킬 수 있다. Since the treatment of hospital wastes is mainly performed by people, there is concern about infection during processing. In addition, according to manual operation,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of hospital waste may be wrong, which may cause problems such as secondary infection.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수작업에 의한 병원 폐기물의 처리를 자동화함으로써 병원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여 감염 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utomate the treatment of hospital wastes by hand, so as to efficiently treat hospital wastes and prevent problems such as infection.

본 발명은 수직이송관 내부에서 하강하는 폐기물의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의료시설용 폐기물 하강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aste disposal apparatus for a medical facility capable of controlling a descending speed of a waste falling inside a vertical transfer pipe.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시설용 폐기물 하강장치는 의료 시설에서 배출되는 의료폐기물을 건물의 하부로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각 층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어져 폐기물의 하강을 유도하고, 각 층에 대응되는 영역에 폐기물가 투입되는 다수의 투입구가 형성된 수직이송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면서 상기 폐기물를 상기 수직이송관으로 투입시키는 다수의 투입도어; 상기 수직이송관의 하단을 개폐하도록 상기 의료폐기물을 상기 수직이송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도어; 상기 수직이송관의 하부영역 중 상기 배출도어의 직상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직이송관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팬; 상기 수직이송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이송관 내부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팬; 및 상기 수직이송관의 내부에서 하강되는 폐기물를 상기 배출도어로부터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위에서 받아서 상기 의료폐기물의 하강 속도를 조절하는 완충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transferring medical waste discharged from a medical facility to a lower portion of a building, the apparatus comprising: And a plurality of injection ports into which waste is injected into a region corresponding to each layer; A plurality of input door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put port and inputting the waste into the vertical transfer pipe; A discharge door for discharging the medical waste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so as to open and close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A blowing fan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conveying pip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exit door to supply air into the vertical conveying pipe; An exhaust fan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to exhaust air inside the vertical transfer pipe to the outside; And a shock absorber for receiving the waste desc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discharge door to adjust the descending speed of the medical waste.

상기 완충장치는, 상기 하강하는 의료폐기물이 안착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고 완충작용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 아래에 존재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의료폐기물이 안착되는 순간 상기 플레이트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게 하기 위한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hock absorber comprises: a cushion part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ving a buffering action so that the falling medical waste is seated; A plate existing under the cushion portion; And a rotation unit for rotating the plate in a downward direction and returning the plate to its original position at the moment when the medical waste is settled.

상기 완충장치는, 상기 수직이송관의 내면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수직이송관의 하단부를 향해 구배지게 연장되고, 말단이 상기 수직이송관의 내면과 이격되어 있는 속도제어 플레이트; 및 상기 수직이송관의 외부에 위치하고, 피스톤의 말단이 상기 수직이송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속도제어 플레이트의 하부영역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이 상기 수직이송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구배각을 조절하는 플레이트 조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shock absorber includes a speed control plate having a distal end extended from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to a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and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And a length of the piston inserted into the vertical transfer pipe to correspond to a lower area of the speed control plate and a length of the piston inserted into the vertical transfer pipe, And adjusting a draft angle of the plate.

상기 속도제어 플레이트는 평판형의 바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peed control plate may be formed as a flat type bar type.

상기 속도제어 플레이트는 구배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형태의 바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speed control plate may be formed as a bar type curved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adient direction.

상기 완충장치는, 상기 수직이송관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탄성바들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바들은 각각의 탄성바의 말단이 서로 근접하도록 구배져 있을 수 있다. The shock absorber may include elastic bars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vertical transfer tube, and the elastic bars may be sloped such that the ends of the elastic bars are close to each other.

상기 수직이송관에는 하강되는 폐기물의 속도를 검출하는 폐기물 위치검출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폐기물 위치검출 센서에서 검출되는 폐기물의 속도에 따라 상기 송풍팬 및 배기팬의 작동량을 제어할 수 있다. The vertical transfer pipe is provided with a waste position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waste to be lowered, so that the operation amount of the blowing fan and the exhausting fan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waste detected by the waste position detecting sensor.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수직이송관에 하방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수직이송관의 하단을 개폐할 수 있다. The discharge door may be rotated downwardly on the vertical transfer pipe to open and close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의료폐기물 선별장에 설치되어 이송된 의료폐기물을 종류별로 구별하여 저장하는 선별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nd a sorting device for sorting and storing the transferred medical waste installed in the medical waste sorting area.

각 층에는 상기 투입도어를 통하여 폐기물를 반입시키는 반입장치가 구비되고,Each layer is provided with a loading device for loading the waste through the loading door,

상기 반입장치는 출입게이트가 마련되면서 상기 수직이송관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도어의 주변을 둘러싸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폐기물의 종류를 입력하고, 상기 투입도어의 개폐를 실행시키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Wherein the loading device comprises: a case installed around the vertical transfer pipe with an access gate provided therearound and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loading door; And an input unit installed in the case for inputting the type of waste by the user and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losing door.

상기 의료폐기물 선별장에는 상기 의료폐기물을 종류별로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용기가 설치되고, 상기 선별장치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해당 종류의 폐기물를 저장하는 저장용기에 선별적으로 의료폐기물을 공급할 수 있다. Wherein the medical waste collection station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for storing the medical wast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medical waste, and the sorting device selectively supplies the medical waste to the storage container storing the corresponding type of wast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aste input from the input unit Can supply.

상기 의료폐기물에는 RFID 태그가 부착되고, 상기 입력부에는 RFID 태그 식별기가 포함되어 상기 의료폐기물의 종류를 상기 RFID 태그에 의하여 식별할 수 있다. An RFID tag is attached to the medical waste, and an RFID tag identifier is included in the input unit so that the kind of the medical waste can be identified by the RFID ta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의료시설에서 발생하는 의료폐기물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의료 폐기물에 의한 감염 등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의료 폐기물이 하강되는 통로인 수직이송관의 내부에서 하강되는 폐기물의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medical waste generated in the medical facility, thereby preventing problems such as infection caused by the medical waste and preventing the medical waste from falling down.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descending speed of the waste descending from the insid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시설용 폐기물 하강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완충장치를 확대 도시한다.
도 3은 완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속도제어 플레이트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도 5a 및 도 5b는 완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인 의료시설용 폐기물 하강 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waste disposal system for a medical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shock absorb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4A and 4B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speed control plate shown in Fig.
5A and 5B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waste descent apparatus for a medical facility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층건물용 폐기물 하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층건물용 폐기물 처리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high-rise building waste disposal apparatus and a high-rise building waste disposal system using the sa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form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text.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are enlarg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larify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i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시설용 폐기물 하강시스템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인 의료시설용 폐기물 하강장치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waste descending system for a medical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showing a waste descending apparatus for a medical facility which is a main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시설용 폐기물 하강시스템은 크게 폐기물를 하강시키는 하강장치(100)와, 폐기물를 상기 하강장치(100)로 반입시키는 반입장치(200)와, 폐기물를 수용용기(320)에 담아 선별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300)와, 선별장으로 이송된 폐기물를 종류별로 선별하여 저장하는 선별장치(400)와, 선별장치(400)에 이어서 설치되어 폐기물가 제거된 수용용기(320)를 상기 이송장치(300)로 반송시키는 리턴장치(500)를 포함한다.1 and 2, the waste disposal system for a medical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escending apparatus 100 for descending waste, a take-in apparatus 200 for transferring waste to the descending apparatus 100, A transfer device 300 for transferring the waste into the container 320 and transferring the waste to the sorting hall, a sorting device 400 for sorting and storing the waste transferred to the sorting device, and a sorting device 400 installed next to the sorting device 400, And a return device (500) f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320) to the transfer device (300).

상기 하강장치(100)는 고층건물의 각 층에서 폐기물를 이송장치로 하강시키는 장치로서, 수직이송관(110), 투입도어(120), 배출도어(130), 배기팬(142) 및 완충장치(160)로 이루어진다.The lowering device 100 is a device for lowering waste from each layer of a high-rise building to a transfer device. The vertical transferring pipe 110, the loading door 120, the discharge door 130, the exhaust fan 142, 160).

상기 수직이송관(110)은 폐기물가 하강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수단으로서, 내부에 폐기물가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상단과 하단이 개구된 사각관의 형태로 구비되어 각 층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수직이송관(110)의 개구된 상단은 건물의 외부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직이송관(110)의 개구된 하단은 상기 이송장치(300)가 구비되어 있는 지점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수직이송관(110)의 하단은 건물의 최하층까지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is a means for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ste is lowered and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ipe having upper and lower ends opened so as to form a passage through which the waste moves, .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pened upp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may extend to a position where the transfer device 300 is installed. For example,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preferably extends to the lowest layer of the building.

한편 상기 수직이송관(110)에는 각 층에 대응하는 위치에 폐기물를 그 내부로 반입시킬 수 있는 투입구(111)가 형성된다. 즉, 각 층마다 투입구(111)가 마련되는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is provided with an inlet 111 through which wastes can be carried into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layers. In other words, a slot 111 is provided for each layer.

그리고, 상기 각각의 투입구(111)에는 상기 투입도어(120)가 마련된다.Each of the input ports 111 is provided with the input door 120.

상기 투입도어(120)는 상기 투입구(111)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시키는 동시에 폐기물를 상기 수직이송관(110)으로 투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투입도어(120)는 상기 투입구(111)의 하단을 기준으로 외부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투입도어(120)가 외부방향으로 회동되어 열린 상태에서 그 상부에 폐기물를 올려놓고 투입도어(120)를 회동시켜 투입구(111)를 닫는 동작에 의해 폐기물가 자중에 의해 투입도어(120)에서 미끄러지면서 수직이송관(110)으로 투입되도록 한다. 물론, 상기 투입도어(120)의 구성은 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투입구(111)를 개폐하면서 그 동작에 의해 폐기물를 수직이송관(110)의 내부로 투입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The inlet door 120 is provided in the inlet port 111 to open and close the inlet port 111 and inject waste into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hat the closing door 120 is installed to rotate in the out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lower end of the inlet 111. Therefore, when the loading door 120 rotates in the outward direction and the waste is plac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door 120 and the loading door 120 is rotated to close the loading port 111, the waste slides on the loading door 120 due to its own weight So that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is inserte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inlet door 120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 but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that the waste can be introduced into the vertical conveying pipe 110 by opening and closing the inlet 111, .

또한, 상기 수직이송관(110)의 하단에는 상기 배출도어(130)가 마련된다.In addition, the discharge door 130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상기 배출도어(130)는 상기 수직이송관(110)의 개구된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이송관(110)의 하단을 개폐시킨다. 이때 상기 배출도어(130)는 상기 수직이송관(110)에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배출도어(130)는 서로 같은 평면상에 한 쌍이 서로 맞대어 지면서 상기 수직이송관(110)의 개구된 하단을 막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배출도어(130)는 그 일단이 상기 수직이송관(110)의 하단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그 타단이 서로 맞대어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래서, 상기 배출도어(130)가 상기 수직이송관(110)의 하단을 닫은 상태에서 폐기물가 하강되어 배출도어(130)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배출도어(130)는 하방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기 때문에 폐기물의 안착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The discharge door 13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to open and close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At this time, the discharge door 130 is installed to be pivoted downward to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For example, the discharge doors 13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a pair of the discharge doors 130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on the same plane to block the opened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vessel 110. At this time, each of the discharge doors 130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thereof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and the other ends thereof are butted against each other. Accordingly, the waste door 130 is lower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door 130 while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is closed. At this time, since the discharge door 130 is installed to rotate downward, the impact can be absorbed when the waste is seated.

상기 배기팬(142)은 상기 수직이송관(110)으로 하강되는 폐기물의 속도를 조절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직이송관(110)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팬(1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exhaust fan 142 regulates the velocity of the waste being lowered to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blowing fan 141 for supplying air into the vertical conveying pipe 110.

상기 송풍팬(141)은 상기 수직이송관(110)의 내부에 상승기류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그 설치 위치를 상기 수직이송관(110)의 하부영역 중 상기 배출도어(130)의 직상부에 연통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배기팬(142)은 상기 수직이송관(1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ventilation fan 141 is installed such tha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ventilation fan 141 communicates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door 130 of the lower area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in order to form a rising air flow inside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It is desirable to install it. Further, the exhaust fan 142 may be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그래서, 배기팬(142)에서 에어를 흡기하여 배기시키는 동작에 의하거나, 상기 송풍팬(141)에서 에어를 수직이송관(110)의 내부로 공급하면서 배기팬(142)에서 에어를 흡기하여 배기시키는 동작에 의해 수직이송관(110)의 내부에 상승기류를 형성시켜 폐기물의 하강속도를 조절하는 것이다.The air is sucked from the exhaust fan 142 by exhausting air from the exhaust fan 142 or by supplying air from the air blowing fan 141 to the inside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Thereby forming a rising air flow inside the vertical conveying pipe 110 to regulate the descending speed of the waste.

특히, 상기 수직이송관(110)에는 각 영역별로 폐기물 위치검출 센서(150)가 설치되어 폐기물의 하강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검출되는 폐기물의 하강속도에 대응하여 상기 송풍팬(141) 및 배기팬(142)의 작동량을 조절함에 따라 수직이송관(110) 내부의 상승기류 양을 제어하여 폐기물의 하강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is provided with a waste position detecting sensor 150 for each area, so that the falling speed of the waste can be detected. At this time, the operation amount of the blowing fan 141 and the exhausting fan 142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descending speed of the waste to be detected, so that the amount of rising air in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is controlled to adjust the descending speed of the waste It is.

또한, 상기 수직이송관의 내부에서 하강되는 폐기물를 상기 배출도어로부터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위에서 받아서 상기 의료폐기물의 하강 속도를 조절하는 완충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shock absorber (160) for adjusting the descending speed of the medical waste by receiving the waste desc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discharge door.

상기 완충장치(160)는, 상기 하강하는 의료폐기물이 안착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고 완충작용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쿠션부(162); 상기 쿠션부 아래에 존재하는 플레이트(161); 및 상기 의료폐기물이 안착되는 순간 상기 플레이트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게 하기 위한 회전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ushioning unit 160 includes a cushion unit 162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ving a buffering action so that the descending medical waste can be placed thereon. A plate 161 existing below the cushion part; And a rotation unit 163 for rotating the plate downward at the moment when the medical waste is seated and then returning the plate to its original position.

도 3은 완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도 3을 참조하면, 완충장치(160)의 다른 실시예로서, 완충장치(160)는 속도제어 플레이트(143) 및 플레이트 조정장치(144)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160, the shock absorber 160 may include a speed control plate 143 and a plate adjuster 144.

속도제어 플레이트(143)는 바(bar) 타입으로 이루어진 긴 길이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속도제어 플레이트(143)의 상단부는 수직이송관(110)의 내면의 일부 영역에 고정되고, 속도제어 플레이트(143)의 말단은 그 고정된 일부 영역으로부터 수직이송관(110)의 하단부를 향해 구배지게 연장된다. 이때, 속도제어 플레이트(143)의 말단은 수직이송관(110)의 내면과 이격될 수 있다.The speed control plate 143 may be a long length plate of bar type. The upper end of the speed control plate 143 is fixed to a partial are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and the end of the speed control plate 143 is sloped from the fixed partial area toward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 At this time, the end of the speed control plate 143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이러한 속도제어 플레이트(143)는 도 3 및 도 4a, 도 4b를 통해 예시된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에 도시된 속도제어 플레이트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일 예로, 이러한 속도제어 플레이트(143)는 도 3과 같이 평판형의 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속도제어 플레이트(143)가 구배진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형태의 바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된 속도제어 플레이트(143)들은 탄성이 부여되어 있다.This speed control plate 143 is illustrated in FIG. 3 and FIGS. 4A and 4B. 4A and 4B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speed control plate shown in Fig. For example, the speed control plate 143 may be formed as a flat bar type as shown in FIG. 3, or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peed control plate 143 is extended,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curved shape of the bar type can be formed. The illustrated speed control plates 143 are provided with elasticity.

플레이트 조정장치(144)는 수직이송관(110)의 외부에 위치하여 속도제어 플레이트(143)의 구배각을 조절한다. 일 예로, 플레이트 조정장치(144)는 유압 또는 공압식의 실린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피스톤(144a)의 말단이 수직이송관(1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속도제어 플레이트(143)의 하부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The plate adjusting device 144 is positioned outside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to adjust the draft angle of the speed control plate 143. [ In one example, the plate adjustment device 144 may be in the form of a hydraulic or pneumatic cylinder. In this case, the end of the piston 144a may be inserted into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and correspond to the lower region of the speed control plate 143. [

이러한 플레이트 조정장치(144)는 피스톤(144a)이 수직이송관(110)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속도제어 플레이트(143)의 구배각을 조절할 수 있다. 즉, 피스톤(144a)이 수직이송관(110)의 내부로 삽입된 길이가 길어지는 경우 속도제어 플레이트(143)의 말단은 수직이송관(110)의 내면에 점차 가까워지고, 이에 의해 하강되는 폐기물는 속도제어 플레이트(143) 상에 안착되어 속도가 줄어드는 구간이 길어진다. 한편 피스톤(144a)이 수직이송관(110)의 내부로 삽입된 길이가 짧아지는 경우 속도제어 플레이트(143)의 말단은 수직이송관(110)의 내면과 멀어지고, 이에 의해 하강되는 폐기물는 속도제어 플레이트(143) 상에 안착되어 속도가 줄어드는 구간이 짧아진다. The plate adjusting device 144 may control the length of the piston 144a inserted into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to adjust the draft angle of the speed control plate 143. [ That is, when the length of the piston 144a inserted into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becomes long, the end of the speed control plate 143 gradually approaches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The section on which the speed is restrained by being seated on the speed control plate 143 becomes longer. On the other hand, when the length of the piston 144a inserted into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is shortened, the end of the speed control plate 143 is moved awa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The section on which the speed is reduced by being seated on the plate 143 is shortened.

도 5a 및 도 5b는 완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A and 5B are views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완충장치(16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완충장치(160)은 탄성바들(145)로 이루어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5A and 5B,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shock absorber 160, the shock absorber 160 may be formed of elastic bars 145.

탄성바들(145)은 수직이송관(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다. 이때, 탄성바들(145)은 각각의 탄성바(145)의 말단이 서로 근접하도록 구배진다. 탄성바들(145)은 탄성력을 갖는다. 이러한 형태에 의해 탄성바들(145)의 서로 근접한 말단은 폐기물가 하강될 수 있는 통로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경우, 폐기물가 탄성바들(145)이 배열된 영역 내로 삽입되면 하강된 폐기물는 탄성바들(145)의 말단에 의해 지지되고 이에 의해 폐기물의 하강 속도는 감소된다. 폐기물의 하강 속도는 잠시 감소되고 탄성바들(145)의 말단들은 폐기물를 일시적으로 지지한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인장된다. 이에 의해 속도가 감소된 폐기물는 다시 수직이송관(110)의 하단부를 향해 하강된다.The elastic bars 145 are arrang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At this time, the elastic bars 145 are sloped such that the ends of the respective elastic bars 145 are close to each other. The elastic bars 145 have an elastic force. With this configuration, the proximal ends of the elastic bars 145 reduce the passage through which the waste can be lowered. In this case, when the waste is inserted into the region where the elastic bars 145 are arranged, the lowered waste is supported by the ends of the elastic bars 145, whereby the lowering speed of the waste is reduced. The descending speed of the waste is temporarily reduced and the ends of the elastic bars 145 are temporarily pulled and then pulled away from each other. Whereby the reduced-speed waste is again lowered toward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conveying pipe 110.

도 2는 본 발명의 하강장치의 완충장치를 확대 도시한다.2 is an enlarged view of a shock absorber of the desc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완충장치(160)는 수직이송관(110)의 내부에서 하강되는 폐기물를 상기 배출도어의 부근에서 받아서 안정적으로 배출도어(130)를 향해 이동시킨다. 이러한 완충장치(160)는 플레이트(161), 쿠션부(162) 및 회전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shock absorber 160 receives the waste desc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vertical conveying pipe 110 in the vicinity of the discharge door and stably moves toward the discharge door 130. The shock absorber 160 may include a plate 161, a cushion portion 162, and a rotation portion 163.

플레이트(161)는 수직이송관(110)의 단면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이루어 수직이송관(110)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161)는 수직이송관(110) 내에서 하강되는 폐기물를 받는다.The plate 16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tional shape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and may be installed inside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The plate 161 receives the waste descending in the vertical transfer vessel 110.

쿠션부(162)은 플레이트(161)의 상면에 설치된다. 쿠션부(162)은 플레이트(161)의 상면으로 하강되는 폐기물의 하강속도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킨다.The cushion portion 162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61. The cushion part (162) relaxes the impact due to the descending speed of the waste descending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late (161).

회전부(163)는 수직이송관(110)의 외부에 설치되어 플레이트(161)와 연결되어 플레이트(161)를 회전시킨다. 이때, 플레이트(161)는 아래 방향으로 회전했다가 원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회전부(163)와 연결될 수 있다. 회전부(163)의 형태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The rotary part 163 is installed outside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and connected to the plate 161 to rotate the plate 161. At this time, the plate 161 can be connected to the rotation unit 163 so as to rotate downward and return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shape of the rotating portion 163 is not particularly limited.

한편, 각 층에는 상기 투입도어(120)를 통하여 폐기물를 수직이송관(110)으로 반입시키는 반입장치(200)가 구비된다.Each layer is provided with a loading device 200 for loading the waste into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through the loading door 120.

상기 반입장치(200)는 상기 투입도어(120)의 주변을 둘러싸도록 상기 수직이송관(110)의 둘레에 설치되는 케이스(210)를 포함한다.The loading device 200 includes a case 210 installed around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so as to surround the periphery of the loading door 120.

상기 케이스(210)는 수직이송관(110)의 내부와 건물의 내부를 격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폐기물가 수직이송관(110)의 내부에서 하강하는 동안 그 내부에서 상승기류를 형성하는 에어가 투입구(111)를 통하여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악취가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case 210 serves to isolate the inside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from the inside of the building. Thus, while the waste is descending inside the vertical conveying pipe 110, the air that forms the ascending air flow therein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through the inlet 111. As a result, the odor is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한편, 상기 케이스(210)에는 사용자가 폐기물를 그 내부로 반입시킬 수 있도록 출입게이트(211)가 마련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10)에는 사용자가 폐기물의 종류를 입력하고, 상기 투입도어(120)의 개폐를 실행시키는 입력부(220)가 설치된다.Meanwhile, the case 210 is provided with a gate 211 for allowing the user to carry the waste into the interior thereof. An input unit 220 is provided in the case 210 to allow the user to input the type of waste and to open and close the closing door 120.

상기 입력부(220)는 사용자가 폐기물의 종류를 입력하고, 투입도어(120)의 개폐를 실행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행버튼이 구현된 터치패널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입력부(220)에는 투입도어(120)의 개폐를 실행할 수 있는 상태인지가 표시된다. 부연하자면, 수직이송관(110)을 통하여 다른 층에서 폐기물가 하강하고 있는 동안에도 폐기물의 투입 또는 대기가 가능하도록 설계 구현된다. 다만, 다른 층에서 폐기물가 하강하는 동안에는 출입게이트(211)가 열리지 않도록 제어되어 상승기류를 형성하는 에어가 출입게이트(211)를 통하여 거주자 공간으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input unit 220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manners in which the user inputs the type of waste and opens and closes the input door 120. For example, a touch panel having various execution buttons can be applied. At this time, the input unit 220 displays whether the closing door 120 can be opened or closed. In other words, it is designed so that the waste can be input or stalled while the waste is descending from the other layer through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However, while the waste is falling in another layer, the entrance gate 211 is controlled not to be opened so that the air forming the upward flow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o the occupant space through the entrance gate 211.

한편, 상기 하강장치(100)를 통하여 하강된 폐기물를 선별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300)가 구비된다.Meanwhile, a transfer device 300 for transferring the lowered waste through the lowering device 100 to the sorting hall is provided.

상기 이송장치(300)는 하강장치(100)의 직하방과 상기 선별장 사이에 설치되는 제 1 컨베이어(310)를 포함한다. 이때 건물을 크기에 따라 하강장치(100)가 다수개로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제 1 컨베이어(310)는 각 하강장치(100)의 직하방을 모두 통과하도록 설치된다.The conveying device 300 includes a first conveyor 310 install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descending device 100 and the sorting device. At this time, when a plurality of lifting apparatuses 100 are provid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uilding, the first conveyor 310 is installed to pass through all of the downward apparatus 100.

그리고, 상기 제 1 컨베이어(310)에는 하강장치(100)에서 배출되는 폐기물를 수용하는 다수개의 수용용기(320)가 안착되어 이송된다.A plurality of receiving containers 320 receiving waste discharged from the descending device 100 are seated and transported to the first conveyor 310.

이때 상기 제 1 컨베이어(310)의 이동경로 중에는 다수의 하강장치(100)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의 원활한 이송을 위하여 각 하강장치(100)의 전방영역에 여분의 수용용기(320)를 저장하고 제 1 컨베이어(310)으로 즉, 각각의 하강장치(100) 하부로 공급하여주는 기능을 하는 수용용기 대기장치(340)가 배치된다. 그래서 제 1 컨베이어(310)를 통하여 이동 중인 수용용기(320)가 부족할 경우 해당 수요에 따라 해당 하강장치(100)의 전방에 있는 수용용기 대기장치(340)에서 수용용기(320)를 추가로 공급할 수 있다. 물론 제 1 컨베이어(310) 상에 수용용기(320)가 과도하게 많이 이동 중일 경우에는 이를 수용용기 대기장치(340)로 반납되어 대기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in order to smoothly transfer wastes discharged from the plurality of descending devices 100, the extra container 320 is stored in the front area of each descending device 100, A container holding device 340 functioning to feed the lower part of each lowering device 100 to the conveyor 310 is disposed. If there is a shortage of the container 320 being moved through the first conveyor 310, the container 320 may be further supplied from the container waiting device 340 located in front of the descending device 100, . Of course, when the container 320 is moving excessively on the first conveyor 310, it can be returned to the container waiting device 340 and wait for it.

상기 수용용기(320)는 상부가 개구되어 하강장치(100)의 배출도어(130)를 통하여 낙하하는 폐기물가 용이하게 수용되도록 한다.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container 320 is opened so that the waste falling through the discharge door 130 of the lowering device 100 is easily accommodated.

그리고, 상기 제 1 컨베이어(310)의 이동경로 상에는 구역별로 다수의 수용용기 위치검출 센서(330)가 설치되어 제 1 컨베이어(310)를 통하여 이송중인 수용용기(320)의 위치를 검출 및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A plurality of receiving container position detecting sensors 330 are provided on the moving path of the first conveyor 310 to detect and confirm the position of the receiving container 320 being conveyed through the first conveyor 310 .

한편, 선별장에는 폐기물를 종류별로 구별하여 해당 저장용기(410)에 저장하는 선별장치(400)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 sorting device 400 for sorting the waste according to the type and storing the waste in the storage container 410 is installed in the sorting hall.

상기 선별장치(400)는 폐기물를 종류별로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용기(410)와, 폐기물가 수용된 수용용기(320)를 취부하여 선별적으로 해당 저장용기(410)로 공급하는 취부암(430)을 포함한다.The sorting device 400 includes a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410 for storing waste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aste container and a mounting arm 430 for selectively attaching the waste container to the corresponding storage container 410 do.

상기 취부암(430)은 상기 수용용기(320)를 취부하고 반전시켜 수용용기(320) 내부의 폐기물를 해당 저장용기(410)로 낙하시켜 공급한다. 이때 상기 취부암(430)은 폐기물를 해당 저장용기(410)로 낙하시키기 위하여 레일(431) 상을 활주하면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The mounting arm 430 mounts the storage container 320 and inverts the storage container 320 to supply waste in the storage container 410 to the storage container 410. At this time, the mounting arm 430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slide while sliding on the rail 431 to drop the waste into the storage container 410.

다수의 저장용기(410)는 위에서 언급한 의료폐기물의 종류별로 구분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3개 내지 7개로 분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410 may be classified into, for example, three to seven so as to be classified into the types of medical waste mentioned above.

상기 선별장치(400)는 상기 입력부(220)에서 입력된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해당 폐기물를 종류에 대응하는 저장용기에 공급한다.The sorting device 400 supplies the waste to the storage container corresponding to the type of the waste according to the type of waste input from the input unit 220.

한편, 선별장에서 폐기물가 수거된 수용용기(320)를 다시 이송장치(300)로 이송시키는 리턴장치(500)가 상기 선별장치(400)에 이어서 설치된다.Meanwhile, a return device 500 for transferring the waste container 320 from the sorter to the transfer device 300 is installed after the sorter 400.

리턴장치(500)는 이송장치(300)와 마찬가지로 수용용기(320)를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턴장치(500)는 제 2 컨베이어(510)를 포함한다.The return device 500 may adopt a conveyor system for conveying the container 320 in the same manner as the conveyance device 300. Accordingly, the return device 500 includes the second conveyor 510.

이때 상기 제 2 컨베이어(510)의 이동경로 상에는 수용용기(320)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단(520)이 마련된다.At this time, on the moving path of the second conveyor 510, a cleaning means 520 for cleaning the container 320 is provided.

상기 세척수단(520)은 제 2 컨베이어(510)의 이동경로 하방에 배치되어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세척액을 살수하도록 구비된다.The cleaning means 520 is disposed below the movement path of the second conveyor 510 to spray the cleaning liquid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상기 세척수단(520)을 이용하여 수용용기(320)를 세척하기 위하여 선별장치(400)에서 제 2 컨베이어(510)로 공급되는 수용용기(320)는 개구된 상부가 하방을 향하도록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수용용기는 제 2 컨베이어 (510)를 통하여 이송되는 도중 상기 세척수단(520)을 통과하면서 그 내부가 세척된다. 이때 수용용기(320)의 개구된 상부가 하방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세척액이 수용용기(320)의 내부에 남지않고 외부로 배출된다.In order to clean the storage container 320 using the cleaning means 520, the storage container 320 supplied from the sorting device 400 to the second conveyor 510 is supplied so that the opened top faces downward desirable. Thus, while the container is being conveyed through the second conveyor 510, the inside of the container is cleaned while passing through the cleaning means 520. At this time, since the opened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container 320 is directed downward, the washing liquid does not remain in the receiving container 320 bu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의료시설용 폐기물 처리시스템의 작동상태를 설명한다.The operation state of the waste disposal system for medical treatm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사용자는 폐기물를 종류별로 수거하여 종류별 지정박스에 밀폐 후 바람직하게는 RFID 태그를 부착할 수 있다. 이렇게 모아진 폐기물를 배출하기 위하여 수거한 폐기물를 각 층에 마련된 반입장치(200)로 가져간다.The user collects the wast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astes. The waste collected in order to discharge the collected waste is taken to the loading device 200 provided in each floor.

그리고, 사용자는 반입장치(200)의 출입게이트(211)를 열어 수거한 폐기물를 케이스(210)의 내부에 반입시킨다. 그리고, 출입게이트(211)를 닫은 다음 입력부(220)를 이용하여 폐기물의 종류를 입력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입력부(220)는 RFID 태그 리더를 포함할 수 있고, 폐기물의 종류를 입력하기 위해 폐기물 박스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런 다음 다른 층에서 폐기물가 하강하고 있는지 여부 및 수용용기(320)가 수직이송관(110)의 하부에 배치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하여 폐기물 투입 가능 여부가 표시된 입력부(220)를 확인하고, 폐기물의 투입이 가능한 상태라면 폐기물의 하강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투입도어(120)가 오픈되면서 폐기물가 수직이송관(110)으로 반입된다.Then, the user opens the entry gate 211 of the loading device 200 to bring the collected waste into the case 210. [ After the entrance gate 211 is closed, the input unit 220 is used to input the type of the waste. Preferably, the input unit 220 may include an RFID tag reader and may be to read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waste box to input the type of waste. Then, it is detected whether the waste is falling in another layer and whether the receiving container 320 is disposed at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conveying pipe 110 to check the input unit 220 indicating whether or not the waste can be input. If possible, press the waste button on the waste. Then, the inlet door 120 is opened and the waste is carried into the vertical conveying pipe 110.

폐기물가 수직이송관(110) 내로 반입되면, 폐기물는 배기팬에 의해 하강속도가 느려지면서 하강되고, 완충장치에 의하여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완충장치는 앞서 언급된 실시예들의 형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When the waste is carried into the vertical conveying pipe 110, the waste is lowered by the exhaust fan while being lowered in the descending speed, and the speed can be controlled by the buffer. At this time, the shock absorber may be one of the forms of the above-mentioned embodiments.

폐기물가 수직이송관(110) 내로 반입된 후 하강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송풍팬(141)을 통하여 수직이송관(110)의 내부로 에어가 송풍되고, 배기팬(142)을 통하여 수직이송관(110) 내부의 에어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수직이송관(110)의 내부에 상승기류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수직이송관(110)을 통하여 하강하는 폐기물는 하강속도가 느려지면서 하강된다. 이때 수직이송관(110)의 영역별로 구비된 폐기물 위치검출 센서(150)에서 폐기물의 위치를 검출하면서 폐기물의 하강속도가 검출된다. 그래서 폐기물가 배출도어(130)에 안착될 때까지 그 하강속도를 조절한다.The waste is conveyed into the vertical conveying pipe 110 and then the lowering button is pressed and air is blown into the vertical conveying pipe 110 through the blowing fan 141 and the vertical conveying pipe 110 The upward airflow is formed inside the vertical transfer pipe 110. Accordingly, the waste descending through the vertical conveying pipe 110 is lowered at a lowering speed. At this time, while the position of the waste is detected by the waste position detecting sensor 150 provided for each region of the vertical conveying pipe 110, the descending speed of the waste is detected. So that the rate of descent is adjusted until the waste is seated in the exit door 130.

하강속도가 조절되어 하강되는 폐기물는 배출도어(130)에 근접하게 도달하면 완충장치(160)의 플레이트(161)에 안착된다. 플레이트(161)는 회전부(163)에 의해 상승된 상태이다. 이때, 폐기물는 쿠션부(162)에 의해 충격이 완화된다. 이후 회전부(163)가 동작하여 플레이트(161)를 회전시킴으로써 폐기물의 하강 속도가 한층 느려진 후 배출도어(130)를 향해 이동된다. 회전부(163)에 의해 플레이트(161)는 다시 원래 자리로 돌아간다. When the descending speed is adjusted and the waste descending approaches the discharge door 130, the waste is seated on the plate 161 of the shock absorber 160. The plate 161 is in a state of being raised by the rotation part 163. At this time, the impact is relieved by the cushion portion 162 of the waste. The rotating portion 163 is operated to rotate the plate 161 to move the waste toward the discharge door 130 after the lowering speed of the waste is further reduced. The plate 161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rotating portion 163. [

이렇게 폐기물가 배출도어(130)에 근접하게 도달되면, 배출도어(130)를 열어 폐기물가 그 하부에 배치되어 있는 수용용기(320)로 낙하시킨다.When the waste reaches the discharge door 130 in this way, the discharge door 130 is opened and the waste is dropped into the storage container 320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수용용기(320)에 폐기물가 수용되면 제 1 컨베이어(310)가 동작되면서 수용용기(320)가 선별장으로 이송된다. 이때 수용용기(320)는 제 1 컨베이어(310)의 이동경로에 마련된 수용용기 위치검출 센서(330)에 의해 이동되는 위치가 모니터링 되면서 이송된다.When the waste is received in the storage container 320, the first conveyor 310 is operated and the storage container 320 is transferred to the sorter. At this time, the receiving container 320 is moved while being monitored by the receiving container position detecting sensor 330 provided in the moving path of the first conveyor 310.

계속적인 제 1 컨베이어(310)의 동작에 의해 수용용기(320)가 선별장까지 이송된다. By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first conveyor 310, the receiving container 320 is transported to the sorting hall.

입력부(220)에 입력된 해당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해당 저장용기(410)에 폐기물를 공급한다.And supplies the waste to the storage container 410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waste input to the input unit 220.

이때 폐기물의 공급은 취부암(430)이 수용용기(320)를 취부하여 해당 지정된 저장용기(410)로 이송시킨 다음 수용용기(320)를 반전시켜 폐기물를 저장용기(410)로 낙하시키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upply of waste is carried out by the mounting arm 430 mounting the storage container 320, transferring the storage container 410 to the designated storage container 410, and then reversing the storage container 320 to drop the waste into the storage container 410.

이렇게 수용용기(320)에서 폐기물가 배출되었다면 취부암(430)은 수용용기(320)를 반전된 상태 그대로 제 2 컨베이어(510)에 올려놓는다.When the waste is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320, the mounting arm 430 places the container 320 in the inverted state on the second conveyor 510.

이 상태에서 제 2 컨베이어(510)가 작동되면서 제 2 컨베이어(510)에 실려 수용용기(320)가 세척수단 방향으로 이동되고, 세척수단(520)을 통과하는 동안 세척수단(520)에서 살수되는 세척액에 의해 수용용기(320)의 내부가 세척된다.In this state, while the second conveyor 510 is operated, the receiving container 320 is moved in the direction of the washing means by being loaded on the second conveyor 510, and water is sprinkled in the washing means 520 while passing through the washing means 520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container 320 is cleaned by the cleaning liquid.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description of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rovided to enable any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make or use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to these embodiments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generic principles defined herein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u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shown herein but is to be accorded the widest scope consistent with the principles and novel features presented herein.

Claims (13)

삭제delete 의료 시설에서 배출되는 의료폐기물을 건물의 하부로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각 층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어져 폐기물의 하강을 유도하고, 각 층에 대응되는 영역에 폐기물가 투입되는 다수의 투입구가 형성된 수직이송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면서 상기 폐기물를 상기 수직이송관으로 투입시키는 다수의 투입도어;
상기 수직이송관의 하단을 개폐하도록 상기 의료폐기물을 상기 수직이송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도어;
상기 수직이송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이송관 내부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팬; 및
상기 수직이송관의 내부에서 하강되는 폐기물를 상기 배출도어로부터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위에서 받아서 상기 의료폐기물의 하강 속도를 조절하는 완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장치는,
상기 하강하는 의료폐기물이 안착되도록 일정한 두께를 가지고 있고 완충작용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 아래에 존재하는 플레이트; 및
상기 의료폐기물이 안착되는 순간 상기 플레이트를 아래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게 하기 위한 회전부
을 포함하는,
의료시설용 폐기물 하강장치.
An apparatus for transferring medical waste discharged from a medical facility to a lower portion of a building,
A vertical transfer pipe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ports through which the wastes are introduced vertically through the respective layers to induce the lowering of the wastes,
A plurality of input door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put port and inputting the waste into the vertical transfer pipe;
A discharge door for discharging the medical waste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so as to open and close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An exhaust fan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to exhaust air inside the vertical transfer pipe to the outside; And
And a shock absorber for receiving the waste desc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discharge door to adjust a descending speed of the medical waste,
In the shock absorber,
A cushion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ving a buffering action so that the descending medical waste is seated;
A plate existing under the cushion portion; And
A rotation part for rotating the plate in a downward direction and returning it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medical waste is seated;
/ RTI >
Waste descent device for medical facilities.
의료 시설에서 배출되는 의료폐기물을 건물의 하부로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각 층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이어져 폐기물의 하강을 유도하고, 각 층에 대응되는 영역에 폐기물가 투입되는 다수의 투입구가 형성된 수직이송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면서 상기 폐기물를 상기 수직이송관으로 투입시키는 다수의 투입도어;
상기 수직이송관의 하단을 개폐하도록 상기 의료폐기물을 상기 수직이송관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도어;
상기 수직이송관의 상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이송관 내부의 에어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팬; 및
상기 수직이송관의 내부에서 하강되는 폐기물를 상기 배출도어로부터 미리 결정된 높이만큼 위에서 받아서 상기 의료폐기물의 하강 속도를 조절하는 완충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장치는,
상기 수직이송관의 내면의 일부 영역으로부터 상기 수직이송관의 하단부를 향해 구배지게 연장되고, 말단이 상기 수직이송관의 내면과 이격되어 있는 속도제어 플레이트; 및
상기 수직이송관의 외부에 위치하고, 피스톤의 말단이 상기 수직이송관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속도제어 플레이트의 하부영역에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이 상기 수직이송관의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구배각을 조절하는 플레이트 조정장치를 포함하는,
의료시설용 폐기물 하강장치.
An apparatus for transferring medical waste discharged from a medical facility to a lower portion of a building,
A vertical transfer pipe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ports through which the wastes are introduced vertically through the respective layers to induce the lowering of the wastes,
A plurality of input doors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put port and inputting the waste into the vertical transfer pipe;
A discharge door for discharging the medical waste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so as to open and close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An exhaust fan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to exhaust air inside the vertical transfer pipe to the outside; And
And a shock absorber for receiving the waste desc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discharge door to adjust a descending speed of the medical waste,
In the shock absorber,
A speed control plate having a distal end extended from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to a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and spaced apart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And
The end of the piston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transfer pipe to correspond to the lower region of the speed control plate and the length of the piston inserted into the vertical transfer pipe is adjusted And a plate adjusting device for adjusting a draft angle of the plate,
Waste descent device for medical faciliti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 플레이트는 평판형의 바타입으로 형성되는,
의료시설용 폐기물 하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peed control plate is formed as a plate type bar type,
Waste descent device for medical faciliti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제어 플레이트는 구배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소정의 곡률로 만곡된 형태의 바타입으로 형성되는,
의료시설용 폐기물 하강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peed control plate is formed as a bar type curved at a predetermined curvatur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gradient direction,
Waste descent device for medical facilities.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송관에는 하강되는 폐기물의 속도를 검출하는 폐기물 위치검출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폐기물 위치검출 센서에서 검출되는 폐기물의 속도에 따라 송풍팬 및 배기팬의 작동량을 제어하는,
의료시설용 폐기물 하강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vertical transfer pipe is provided with a waste position detecting sensor for detecting the speed of the waste to be lowered to control the operation amount of the blowing fan and the exhaust fan according to the speed of the waste detected by the waste position detecting sensor.
Waste descent device for medical facilities.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도어는 상기 수직이송관에 하방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수직이송관의 하단을 개폐하는,
의료시설용 폐기물 하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the discharge door is rotated downwardly to the vertical transfer pipe to open and close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transfer pipe,
Waste descent device for medical facilities.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의료폐기물 선별장에 설치되어 이송된 의료폐기물을 종류별로 구별하여 저장하는 선별장치를 더 포함하는, 의료시설용 폐기물 하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Further comprising a sorting device for sorting and storing the transferred medical wastes installed in the medical waste sorting area by type.
제9항에 있어서,
각 층에는 상기 투입도어를 통하여 폐기물를 반입시키는 반입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반입장치는
출입게이트가 마련되면서 상기 수직이송관의 둘레에 설치되어 상기 투입도어의 주변을 둘러싸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폐기물의 종류를 입력하고, 상기 투입도어의 개폐를 실행시키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의료시설용 폐기물 하강장치.
10. The method of claim 9,
Each layer is provided with a loading device for loading the waste through the loading door,
The carrying device
A case installed around the vertical transfer pipe with an access gate provided therearound and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insertion door;
And an input unit installed in the case for inputting a type of waste by a user and executing opening and closing of the closing door,
Waste descent device for medical facilitie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폐기물 선별장에는 상기 의료폐기물을 종류별로 저장하는 다수의 저장용기가 설치되고,
상기 선별장치는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폐기물의 종류에 따라 해당 종류의 폐기물를 저장하는 저장용기에 선별적으로 의료폐기물을 공급하는,
의료시설용 폐기물 하강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edical waste sort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for storing the medical waste according to the types,
Wherein the sorting device is configured to selectively supply medical waste to a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a corresponding type of waste according to the type of waste input from the input unit,
Waste descent device for medical facilities.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폐기물에는 RFID 태그가 부착되고,
상기 입력부에는 RFID 태그 식별기가 포함되어 상기 의료폐기물의 종류를 상기 RFID 태그에 의하여 식별하는, 의료시설용 폐기물 하강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n RFID tag is attached to the medical waste,
Wherein the input unit includes an RFID tag identifier to identify the kind of the medical waste by the RFID tag.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이송관의 하부영역 중 상기 배출도어의 직상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수직이송관의 내부로 에어를 공급하는 송풍팬을 더 포함하는, 의료시설용 폐기물 하강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Further comprising a blowing fan installed in a lower portion of the vertical conveying pipe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exit door to supply air into the vertical conveying pipe.
KR1020140153388A 2014-11-06 2014-11-06 Apparatus and system for treatment of hospital trash KR10155139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388A KR101551397B1 (en) 2014-11-06 2014-11-06 Apparatus and system for treatment of hospital tras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3388A KR101551397B1 (en) 2014-11-06 2014-11-06 Apparatus and system for treatment of hospital trash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1397B1 true KR101551397B1 (en) 2015-09-18

Family

ID=54247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3388A KR101551397B1 (en) 2014-11-06 2014-11-06 Apparatus and system for treatment of hospital tras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139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714A (en) * 1999-02-10 2000-08-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Vertically carrying device for trash
KR101287172B1 (en) * 2011-07-20 2013-07-17 신메이와 인더스트리즈,리미티드 System for treatment of trash in high-rise build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29714A (en) * 1999-02-10 2000-08-22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Vertically carrying device for trash
KR101287172B1 (en) * 2011-07-20 2013-07-17 신메이와 인더스트리즈,리미티드 System for treatment of trash in high-rise build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1982B (en) Method for processing substrates
TWI409200B (en) Substrate storage facility and substrate processing facility and method of operating substrate storage facility
CN104700210B (en) Biohazard Waste monitoring management system
US9725253B2 (en) Material handling system with queue chute
US20110209336A1 (en) Efficient layout and design of production facility
KR101967200B1 (en) Multiple dock station for pneumatic transport system
KR101551397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treatment of hospital trash
JP2007314288A (en) Automatic garbage gathering device for apartment house
KR20150137934A (en) Apparatus and system for treatment of trash
KR101287172B1 (en) System for treatment of trash in high-rise building
KR101486270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treatment of trash
CN115744308B (en) Intelligent conveying system for classifying and collecting dirt
US20180036192A1 (en) Transport and storage system for servicing of a number of treatment and care areas in a hospital and method for operation hereof
KR200453579Y1 (en) bulk restriction type door for refuse in suction operated refuse ingathering chute means
CN113335798B (en) Hospital robot dir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1198317B1 (en) Recycle destruction system
JP2001253672A (en) Article conveying lifter
CN114538111A (en) Garbage bedding and clothing recovery system with automatic disinfection function
CN107487698A (en) gap protection device
EP182075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goods
KR20190014411A (en) Trash disposal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and Trash treatment system for high-rise buildings
JP2010255225A (en) Mechanical parking device having refuse collection function
JP3567215B2 (en) Medical parts recycling system
KR100958105B1 (en) Device for adsorption the trash
JPH03115002A (en) Dust disposal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