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935B1 -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한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 - Google Patents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한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935B1
KR101550935B1 KR1020100036399A KR20100036399A KR101550935B1 KR 101550935 B1 KR101550935 B1 KR 101550935B1 KR 1020100036399 A KR1020100036399 A KR 1020100036399A KR 20100036399 A KR20100036399 A KR 20100036399A KR 101550935 B1 KR101550935 B1 KR 101550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m
network
terminal
dual
data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6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6787A (ko
Inventor
선용문
이국현
황선아
심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00036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935B1/ko
Publication of KR20110116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6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고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한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이 개시되어 있다. 제1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모뎀과 제2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은 단말기가 제1 모뎀을 이용하여 제1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 경우, 단말기가 제2 모뎀을 이용하여 제2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단말기가 제2 모뎀을 이용하여 제2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경우, 단말기가 단말기에 포함되는 제1 모뎀을 저전력 모드로 천이하고 제2 모뎀을 활성화시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망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 더욱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효과적이고 저전력으로서 단말기에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한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 {METHOD OF PERFORMING HANDOVER OF TERMINAL INCLUDING DUAL BAND DUAL MODE MODEM AND APPARATUS FOR DUAL BAND DUAL MODE MODEM USING NO BATTERY}
본 발명은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한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배터리를 구비하지 않고 두 모뎀간의 스위칭이 가능한 외장형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에 적용될 수 있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한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CDMA2000(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2000), WCDMA(Wideband CDMA), HSPA(High-Speed Packet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등과 같이 다양한 액세스 망이 중첩되어 있는 다중 액세스 망의 통신 환경이 구축되면서 듀얼밴드 듀얼모드(Dual Band Dual Mode, 이하, 'DBDM'이라 약칭함)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와 같이 다중 통신 모드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용화되고 이와 같은 단말기를 사용함에 따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이동 통신 서비스의 종류가 다양해 졌다.
또한, 노트북, 넷북,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팅 기기들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상기한 다중 통신 모드를 지원하는 모뎀이 휴대용 컴퓨팅 기기에 내장되거나 별도의 외장형 모뎀을 휴대용 컴퓨팅 기기에 장착하여 위치나 이동 여부에 상관없이 무선 인터넷 또는 휴대 인터넷 등과 같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HSPA 및 WIBRO 망에 접속할 수 있는 두 개의 모뎀을 구비한 외장형 DBDM 모뎀을 넷북이나 PDA 등과 같은 휴대용 컴퓨팅 기기에 장착하면,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나 무선 인터넷(또는 휴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DBDM 모뎀은 각 통신 모드에 상응하는 두 개의 모뎀 중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은 모뎀은 전원이 차단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두 모뎀간의 스위칭이 불가능하고 이로 인해 데이터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받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는, 두 개의 모뎀간에 스위칭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USB 허브(hub)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USB 허브가 소비하는 전력으로 인해 USB 허브에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장치(예를 들면, 외장형 DBDM 모뎀이 연결된 노트북이나 넷북 등)에서 전원 불안정으로 인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외부 장치의 오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USB 허브가 소비하는 전력을 별도로 제공할 수 있는 배터리가 외장형 DBDM 모뎀에 반드시 설치되어야 한다. 또한, 외장형 DBDM 모뎀에 배터리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원 공급회로가 추가적으로 더 필요하게 되어 상기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의 전원 공급회로로 인해 외장형 DBDM 모뎀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게 되어 사용 편의성이 저하되고,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전자소자로 인해 제조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한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1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모뎀과 제2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모뎀을 저전력 모드로 천이하고 상기 제2 모뎀을 활성화시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망에 의해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망에 의해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망에 의해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망을 지원하는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망에 의해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조건은 상기 단말기가 동일한 셀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와 상기 단말기가 다른 셀로 이동한 경우 상기 다른 셀에서 상기 제2 망을 지원하는 셀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시간은 20초일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망에 의해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없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망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2 망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2 모뎀을 저전력 모드로 천이하고 상기 제1 망과 상기 제2 망을 통한 서비스가 가능한지 여부를 소정의 횟수로 반복하여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망에서 서비스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제2 망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가 0이하 인지 여부를 판단해 상기 제2 망에서 서비스가 불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곳이 상기 제1 망의 서비스 지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망에서 위치등록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망에서 위치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기의 위치등록 실패원인으로 불법 단말기 또는 불법 기지국을 상기 실패원인으로 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의 위치등록 실패원인으로 불법 단말기 또는 불법 기지국을 상기 실패원인으로 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1 망과 상기 제2 망사이의 핸드오버를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망은 HSPA 망이고, 상기 제1 모뎀은 HSPA 모뎀이고, 상기 제2 망은 WIBRO 망이고, 상기 제2 모뎀은 WIBRO 모뎀일 수 있다. 제1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모뎀과 제2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은 USB 스위치를 사용해서 상기 제1 모뎀이 활성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2 모뎀을 저전력 모드로 천이하고, 상기 제2 모뎀이 활성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모뎀을 저전력 모드로 천이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제 2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은 제1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모뎀, 제2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되 상기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가 상기 제1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경우, 상기 제1 모뎀을 저전력 모드로 천이하고 상기 제2 모뎀을 활성화시켜 데이터 서비스를 받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한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에 따르면, USB 스위치를 이용하여 HSPA망과 WIBRO망간의 핸드오버를 수행한다. 노트북과 같은 IP기반의 데이터를 주로 사용하는 경우 WIBRO망과 HSPA망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면 전송 효율 및 요금제에 있어 WIBRO망을 사용하는 것이 노트북 사용자에게 유리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통신망 등록을 위해서 HSPA 모뎀을 활성화 모드로 천이시켜 위치 등록을 수행한 후, USB 연결을 스위칭하여 USB 연결을 통해 WIBRO 모뎀의 데이터 연결을 수행한다. 따라서, USB 허브를 사용하지 않고도 USB 연결의 스위칭을 통하여 두 개의 모뎀간 핸드오버를 수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BDM 모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제2 모뎀이 활성화된 경우의 DBDM 모뎀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BDM 모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제2 모뎀에서 제1 모뎀으로 핸드오버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BDM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BDM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모뎀과 제2 모뎀을 포함하는 DBDM모뎀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1 모뎀은 HSPA망에 사용되는 HSPA모뎀이고 제2 모뎀은 WIBRO망에 사용되는 WIBRO모뎀일 수 있다. 또한 제1모뎀이 사용되는 제1 망은 HSPA망일 수 있고 제2 모뎀이 사용되는 제2 망은 WIBRO망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HSPA망과 WIBRO망을 이용하는 DBDM모뎀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이러한 제한적 실시예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양 망을 사용할 수 있는 DBDM모뎀일 경우, 본 발명의 본질이 회손되지 않는 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BDM 모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제2 모뎀이 활성화된 경우의 DBDM 모뎀의 구성을 나타낸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BDM 모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제2 모뎀에서 제1 모뎀으로 핸드오버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BDM 모뎀(100)은 USB 스위치(110), 제1 모뎀(130), 제2 모뎀(150) 및 UICC(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170)를 포함할 수 있고, 외부 장치(10)에 구비된 연결 관리부(11)의 제어를 받을 수 있다.
연결 관리부(11)는 외부 장치(10)에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형태로 설치될 수 있고, 제1 모뎀(130) 및 제2 모뎀(150) 각각의 네트워크 연결을 제어하고, 연결 우선순위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연결 관리부(11)는 제1 모뎀(130)을 통해 UICC(170)의 초기화를 제어하고, 제1 모뎀(130) 및 제2 모뎀(150)의 상태 천이(활성화 모드 또는 저전력 모드) 조건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각 모뎀의 상태 천이 및 USB 스위치(110)의 스위칭 동작을 제어한다. 여기서, 저전력 모드(LPM: Low Power Mode)는 모뎀에 전원은 공급되고 있으나 모뎀을 구성하고 있는 대부분의 전기 소자들이 비활성화 상태가 되어 실질적으로 전력을 거의 소모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고, 활성화 모드는 저전력 모드가 아닌 상태로 모뎀을 구성하고 있는 모든 전기 소자들이 활성화되어 모뎀이 동작 가능한 상태 또는 동작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연결 관리부(11)는 현재 단말기가 위치한 셀에서의 망의 신호를 판단하여 현재 활성화 모드에 있으면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모뎀을 저전력 모드로 상태를 천이시키고, 저전력 모드 상태로 있는 모뎀의 상태를 활성화 모드로 천이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연결 관리부(11) 활성화 모드로 상태가 천이된 모뎀이 위치 등록에 성공한 경우, USB 연결(USB connction)을 활성화 모드 상태인 모뎀으로 스위칭 하고, USB 연결을 통해 활성화 모드로 상태가 천이된 모뎀의 데이터 연결을 제어한다.
USB 스위치(110)는 외부 장치(10)와 DBDM 모뎀(100) 사이의 데이터 연결 및 전원 공급 경로를 제공하는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며, 외부 장치(10)의 연결 관리부(CM: Connection Manager; 11)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연결 관리부(11)와 제1 모뎀(130) 및 제2 모뎀(150) 사이의 USB 연결(connection)을 스위칭 하고, 외부 장치(10)로부터 제1 모뎀(130) 및 제2 모뎀(150)에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 한다.
제1 모뎀(130)은 예를 들어 HSPA 모뎀으로 구성될 수 있고, DBDM 모뎀(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USB 스위치(110)를 통해 외부 장치(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다. 여기서, DBDM 모뎀(100)이 외부 장치(10)에 접속되어 외부 장치(10)로부터 최초로 전원을 제공받는 순간에는 제2 모뎀(15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제1 모뎀(130)에만 전원이 공급되며, 연결 관리부(11)의 제어에 상응하여 USB 스위치(110)는 USB 연결을 제1 모뎀(130)으로 스위칭함으로써 제1 모뎀(130)과 외부 장치(10)의 연결 관리부(11) 사이에 데이터 경로가 형성된다.
제1 모뎀(130)은 전원이 인가된 후 연결 관리부(11)의 제어에 상응하여 UICC(170)의 초기화를 수행하고, UICC(170)의 초기화가 완료되면 USB 스위치(110)를 통해 외부 장치의 연결 관리부(11)에 이를 통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UICC(170)의 초기화를 위해 제1 모뎀(130)에는 UICC(170)와 인터페이스를 위한 UICC 인터페이스(135)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UICC 인터페이스(135)는 UART(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또는 USB 인터페이스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모뎀(130)은 연결 관리부(11)의 제어에 상응하여 제1 네트워크(예를 들면, HSPA 네트워크)에 위치 등록(registration)을 수행하며, 제2 모뎀(150)이 활성화 상태가 되어 데이터 연결을 설정하는 경우에는 연결 관리부(11)의 제어에 따라 저전력 모드로 상태가 천이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모뎀(130)은 제1 모뎀 제어부(13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모뎀 제어부(131)는 연결 관리부(11)로부터 제공된 제어 신호에 상응하여 제1 모뎀(130)의 기능(예를 들면, 위치 등록, 데이터 연결/해지 등)을 제어하고 UICC(170)로부터 데이터의 독출 및 기록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해당 명령어를 UICC 인터페이스(135)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뎀(130)은 제1 상태 제어부(133)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상태 제어부(133)는 제1 모뎀(130)이 저전력 모드 상태에 존재하는 경우 제2 모뎀(150)으로부터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면, 제1 모뎀(130)의 상태를 저전력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천이시킨다.
제2 모뎀은(150)은 예를 들어 WIBRO 모뎀으로 구성될 수 있다. DBDM 모뎀(100)에 최초로 전원이 인가될 때는 제2 모뎀(150)에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고, 제2 모뎀(150)이 활성 상태로 천이되기 위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전원이 공급된다. 여기서, 제2 모뎀(150)의 상태 천이를 위한 조건 만족 여부는 연결 관리부(11)가 판단할 수 있고, 연결 관리부(11)는 제1 모뎀(130)을 통해 제1 네트워크(예를 들면, HSPA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시스템 정보(예를 들면, SIB 3)의 특정 필드(예를 들면, Cell_ID)에 제2 모뎀(150)에 상응하는 제2 네트워크 정보(예를 들면, WIBRO_Indication)가 포함된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모뎀(150)에도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연결 제어부(11)는 제2 모뎀(150)이 접속하는 제2 네트워크(예를 들면, WIBRO 네트워크)의 신호 세기가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스위치(110)를 제어하여 USB 연결을 제1 모뎀(130)에서 제2 모뎀(150)으로 스위칭 함으로써 외부 장치(10)와 제2 모뎀(150) 사이에 데이터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제2 모뎀(150)은 연결 관리부(11)의 제어에 상응하여 제2 모뎀(150)의 기능(예를 들면, 데이터 연결/해지 설정 등)을 제어하는 제2 모뎀 제어부(15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모뎀(150)의 상태 천이를 제어하고 제1 모뎀(130)의 제1 상태 제어부(133)와 상태 정보를 송수신 하는 제2 상태 제어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뎀(130)에 구비된 제1 상태 제어부(133)와 제2 모뎀(150)에 구비된 제2 상태 제어부(153)는 SDIO(Secure Digital Input Output)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다.
UICC(170)는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Universal SIM), WSIM(WIBRO SIM) 등의 가입자 인증 모듈 및 네트워크 접속 관련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모뎀(130)을 통해 초기화 된다.
이하, 도 1 및 도 2을 참조하여 제2 모뎀(150)에서 제1 모뎀(130)으로 핸드오버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2 모뎀(150)은 WIBRO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WIBRO 모뎀이고, 제1 모뎀(130)은 HSPA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HSPA 모뎀인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먼저, WIBRO 모뎀(150)이 활성화 모드인 상태에서 WIBRO 네트워크에 데이터 연결이 설정되어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도중 연결 관리부(11)는 WIBRO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된 신호의 전력 레벨을 미리 설정된 제1 임계값과 비교한다. 여기서, WIBRO 모뎀(150)이 WIBRO 네트워크에 접속되어 데이터 서비스가 수행되고 있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연결이 WIBRO 모뎀(150)에 스위칭되어 WIBRO 모뎀(150)과 연결 관리부(11)사이에 데이터 경로가 형성된다.
연결 관리부(11)는 WIBRO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전력 레벨이 제1 임계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HSPA 모뎀(150)으로 핸드오버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전력소비 테이블을 참조하여 HSPA 모뎀의 전력 소비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전력 소비량이 미리 설정된 제2 임계값보다 작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WIBRO 모뎀(150)의 연결을 해제시키고, WIBRO 모뎀(150)의 상태를 저전력 모드로 천이시킨다. 여기서, 상기 전력소비 테이블은 HSPA 모뎀의 송신 전력별로 이에 상응하는 전류 소모량을 대응시킨 테이블을 의미하고, 상기 HSPA 모뎀(130)의 송신 전력은 현재 접속한 네트워크(예를 들면, WIBRO 네트워크)로부터 제공된 시스템 정보등을 통하여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연결 관리부(11)의 제어에 상응하여 WIBRO 모뎀(150)의 제2 상태 제어부(153)은 SDIO 인터페이스를 통해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HSPA 모뎀(130)으로 전송하고, 핸드오버 요청 메시지를 수신한 HSPA 모뎀(130)은 저전력 모드에서 활성화 모드로 상태가 천이된 후 HSPA 네트워크에 위치 등록(registration)을 수행하고, 위치 등록이 완료되면 이를 SDIO 인터페이스를 통해 WIBRO 모뎀의 제2 상태 제어부(153)에 통지하고, 제2 상태 제어부(153)는 USB 연결을 통해 연결 관리부(11)에 전달한다.
연결 관리부(11)는 HSPA 모뎀의 위치 등록이 성공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B 연결을 WIBRO 모뎀(150)에서 HSPA 모뎀(130)으로 스위칭함으로써 HSPA 모뎀(130)과 연결 관리부(11) 사이에 데이터 경로를 형성하고, USB 연결을 통해 HSPA 모뎀(130)에 데이터 연결 요청 신호를 제공한다.
HSPA 모뎀(130)은 연결 관리부(11)로부터 제공된 데이터 연결 요청 신호에 상응하여 HSPA 네트워크에 데이터 연결을 수행한다. 여기서, HSPA 모뎀(130)은 HSPA 네트워크로 Activate PDP Context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하고, HSPA 네트워크로부터 Activate PDP Context Accept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HSPA 네트워크와 데이터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DBDM 모뎀의 핸드오버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DBDM 모뎀에서 WIBRO 모뎀을 통해 WIBRO 네트워크와 데이터 서비스를 수행하는 상태에서 HSPA 모뎀을 통해 HSPA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는 경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다.
도 3에서 사용되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은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USB스위칭을 사용해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모델이다. 하나의 모뎀이 활성화 된 경우 나머지 하나의 모뎀은 저전력 모드(LPM)으로 천이할 수 있다.
도 3은 참조하면,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은 우선 망에 인증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HSPA 모뎀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단계 301). 이때에 HSPA 모뎀은 전원이 공급되고 USB 연결이 되어 USB 연결을 통해 외부 장치의 연결 관리부와 데이터를 주고 받는 활성화 모드 상태이고, WIBRO 모뎀은 전원은 공급되지만 USB 연결이 설정되지 않은 저전력 모드 상태이다.
활성화 모드인 HSPA 모뎀을 사용하여 HSPA망이 서비스 되는 지역인지 판단할 수 있다(단계 303). 단계 303에 따른 판단에 따라 HSPA망이 서비스 되는 지역이면 HSPA망에 접속을 위한 인증절차를 진행하고, 만약 HSPA망이 서비스 되는 지역이 아닌 경우, WIBRO 모뎀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단계 305). 이 때 HSPA 모뎀은 저전력 모드가 될 수 있다.
만약 HSPA망이 서비스 되는 지역이 아닌 경우, WIBRO 모뎀을 활성화 시키고 , WIBRO 모뎀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다(단계 307). 만약 WIBRO 모뎀의 신호레벨이 0보다 작은 값을 가질 경우, 즉, WIBRO망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가 불가능 할 때에는(단계 309), WIBRO 모뎀을 저전력 모드(LPM 모드)로 할 수 있다(단계 311). 단계 311은 HSPA망이 서비스가 되지 않고 WIBRO망도 서비스 되지 않는 경우이기 때문에 다시 한번 HSPA 모뎀을 활성화시키고(단계 301) HSPA 망에서 서비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303). 이러한 반복적 단계를 통해서 현재 단말기가 위치한 곳에서 HSPA 망과 WIBRO 망을 이용한 서비스가 가능한지를 판단하고 만약에 단말기가 두 망 모두에서 사용할 수 없다면, 지속적으로 각 망이 사용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순환적 루프 구조를 돌게 되므로 일정한 N번 이하 횟수까지만 반복해서 단말기가 WIBRO 망과 HSPA 망에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단계 313). 여기서 N번은 사용자에 의해 정의되어 일정한 반복횟수로 설정될 수 있다.
순환 횟수가 N번 이하일 경우 다시 저전력 모드였던 HSPA 모뎀을 활성화 상태로 만들 수 있다(단계 301). 반복이 N번 이상일 경우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이 HSPA망과 WIBRO망을 이용한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없는 지역이라고 판단하고 단말기의 각 망의 접속을 종료할 수 있다.
활성화 모드인 HSPA 모뎀을 사용하여 HSPA 망이 서비스 되는 지역인지 판단하는 단계 303을 거쳐 HSPA 망이 서비스되는 지역이라고 판단된 경우, HSPA 망을 통해 위치등록이 성공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317).
위치 등록이 실패한 경우 위치 등록의 실패 원인을 판단할 수 있다(단계 319). 단계 319를 통하여 실패이유를 판단하여 실패이유가 불법단말이나 불법 기지국일 경우 통신망 접속을 종료할 수 있다. 단계 319에서 판단되는 단말기의 위치등록 실패이유는 불법단말 또는 불법기지국은 3GPP의 TS 24.008문서에서 #3과 #6의 위치등록 거절 이유인 Illegal MS, Illegal ME를 의미한다.
불법 단말이나 불법 기지국을 이유로 위치등록이 실패하지 않은 경우, SIB(System Information Block)를 체크할 수 있다(단계 321). SIB를 체크하는 단계 후, 단말기가 위치한 셀이 WIBRO 망를 지원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323).
셀이 WIBRO 망를 지원하는 경우, WIBRO 망을 서비스하기 위한 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단계 325). WIBRO 망을 서비스하기 위한 조건은 셀의 아이디가 동일한지와 WIBRO 지원 셀에서 20초간 서비스가 유지될 수 있는지를 검토하고, 단말기가 이동하여 WIBRO 망이 지원되는 셀을 벋어날 경우, 인접한 핑퐁셀이 모두 WIBRO 셀인지를 를 검토한다. WIBRO 서비스 조건 데이터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사용자 또는 사업자의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위에 전술한 조건에 제한되어 WIBRO 망에서 서비스를 실시하는 것은 아니다.
단계 325을 통해서 판단된 WIBRO 서비스 조건에 해당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327). WIBRO 서비스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HSDPA 모뎀을 저전력 모드로 변경할 수 있고(단계 329) WIBRO 망을 이용한 서비스를 개시하기 위해 WIBRO 모뎀을 활성화시키는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단계 305).
만약 WIBRO 서비스 조건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HSPA 망을 통해서 데이터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다(단계 331).
HSPA 망을 통해서 데이터 서비스를 실시하는 도중 지속적으로 WIBRO 망에 접속할 수 있는 지를 판단하여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이 WIBRO 망을 사용할 수 있는 지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333). WIBRO 망에 접속할 수 있는 경우 HSPA 모뎀을 저전력상태로 변경하고 WIBRO 모뎀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단계 329).
단계 333을 통해서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이 WIBRO 망을 이용한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지역일 경우, HSPA 망을 이용하여 서비스가 가능한 지역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단계 335). 단계 335를 통해서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에서 HSPA 망을 이용한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곳이면, HSPA 망을 이용해 지속적으로 데이터 서비스를 실시한다(단계 331).
단계 335를 통한 판단절차를 통해 만약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이 HSPA 망을 이용한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곳이면, 단계 329로 진행해 HSPA 망을 이용하는 HSPA 모뎀을 저전력 모드로 천이하고 단계 305로 진행해 WIBRO 모뎀을 활성화시켜 WIBRO 모뎀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곳인지를 판단한다(단계 309). 이 후의 절차는 상기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일정한 회수 N번의 순환 루프를 통해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지역의 WIBRO 망 및 HSPA 망의 사용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단계 313) 일정한 회수 N번 이상의 판단횟수를 초과할 경우, 단말기의 HSPA망 및 WIBRO 망의 접속을 중단할 수 있다.
상기 전술한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 모드 모뎀에서 핸드오버를 실시하는 방법에 관한 도 3의 순서도는 설명의 편의상 각 단계를 구분하여 표현하였으나 본 발명의 본질이 회손되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각 단계가 합쳐져 하나의 단계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각 단계 중 일부가 흐름상 제외되어 진행할 수도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5)

  1. 제1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모뎀과 제2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모뎀을 저전력 모드로 천이하고 상기 제2 모뎀을 활성화시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망에 의해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망에 의해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망에 의해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시스템 정보 블록(SIB)를 통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망을 지원하는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망에 의해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조건은,
    상기 단말기가 동일한 셀에서 소정의 시간동안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와 상기 단말기가 다른 셀로 이동한 경우 상기 다른 셀에서 상기 제2 망을 지원하는 셀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시간은,
    20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망에 의해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없는 경우,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동안에 지속적으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망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7. 제1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모뎀과 제2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2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2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2 망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상기 제2 모뎀을 저전력 모드로 천이하고 상기 제1 망과 상기 제2 망을 통한 서비스가 가능한지 여부를 소정의 횟수로 반복하여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망에서 서비스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은,
    상기 제2 망에서 수신되는 신호의 크기가 0이하 인지 여부를 판단해 상기 제2 망에서 서비스가 불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모뎀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망에서 데이터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단말기가 위치한 곳이 상기 제1 망의 서비스 지역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망에서 위치등록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가 상기 제1 망에서 위치등록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상기 단말기의 위치등록 실패원인으로 불법 단말기 또는 불법 기지국을 상기 실패원인으로 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의 위치등록 실패원인으로 불법 단말기 또는 불법 기지국을 상기 실패원인으로 하는 경우,
    상기 단말기의 상기 제1 망과 상기 제2 망사이의 핸드오버를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망은 HSPA 망이고, 상기 제1 모뎀은 HSPA 모뎀이고, 상기 제2 망은 WIBRO 망이고, 상기 제2 모뎀은 WIBRO 모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제1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 모뎀과 제2 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제2 모뎀을 포함하는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은,
    USB 스위치를 사용해서 상기 제1 모뎀이 활성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2 모뎀을 저전력 모드로 천이하고, 상기 제2 모뎀이 활성화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1 모뎀을 저전력 모드로 천이하는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하는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15. 삭제
KR1020100036399A 2010-04-20 2010-04-20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한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 KR101550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399A KR101550935B1 (ko) 2010-04-20 2010-04-20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한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6399A KR101550935B1 (ko) 2010-04-20 2010-04-20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한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787A KR20110116787A (ko) 2011-10-26
KR101550935B1 true KR101550935B1 (ko) 2015-09-07

Family

ID=45031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6399A KR101550935B1 (ko) 2010-04-20 2010-04-20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한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9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952B1 (ko) * 2012-08-14 2019-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종네트워크 연동을 위한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6787A (ko) 201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22217B1 (en) Wireless hotspot switching method,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US8897152B1 (en) System and method for minimizing network transition latencies while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KR100606103B1 (ko) 서로 다른 통신망 간의 ps호의 핸드오버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
US20110182221A1 (en) Hybrid communication terminal and program
US9277582B2 (en) Fast communication recovery in dual network radio resource management
JP5166568B2 (ja) デュアルモデムデバイスにおけるサスペンドモード制御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100814646B1 (ko) 가입자 식별 모듈용 전력 관리
EP2339886A1 (en) Wireless base station device and power supply control method therefor
US8467348B2 (en) Power optimized station connection manager in IEEE 802.11 type stations
KR101550935B1 (ko)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을 포함한 단말기에서의 핸드오버 방법 및 베터리를 사용하지 않는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
WO2012051815A1 (zh) 一种双网终端进行通讯的方法和装置
KR101523398B1 (ko)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 및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의 핸드오버 방법
US20220303905A1 (en)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Power Saving Mode
CN103313358A (zh) 多模通信终端注册长期演进网络的方法及其多模通信终端
KR101569535B1 (ko)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 및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의 핸드오버 방법
US20070223599A1 (en) Cellular PC modem architecture and method of operation
JP4469136B2 (ja) 通信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CN105682079A (zh) 用户识别卡控制方法及终端
KR101531069B1 (ko)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전력 소모를 감소시키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기
EP4239451A1 (en) Network device energy-saving method and network device
CN101090540A (zh) 一种phs/gsm移动终端待机模式设置、控制和切换的方法
CN107920374A (zh) 一种NB‑IoT设备的通信切换系统及切换方法
CN1992979B (zh) 最小化切换中的功率消耗的方法及使用该方法的终端
KR20060109693A (ko) 듀얼밴드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배터리 상태를 고려한핸드오버 방법
KR101523399B1 (ko) 듀얼밴드 듀얼모드 모뎀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