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686B1 - Lifting regulate apparatus of high place working vehicles - Google Patents

Lifting regulate apparatus of high place working vehicl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686B1
KR101550686B1 KR1020140012427A KR20140012427A KR101550686B1 KR 101550686 B1 KR101550686 B1 KR 101550686B1 KR 1020140012427 A KR1020140012427 A KR 1020140012427A KR 20140012427 A KR20140012427 A KR 20140012427A KR 101550686 B1 KR101550686 B1 KR 101550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control device
elevation
control uni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24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91786A (en
Inventor
김지용
지수언
Original Assignee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제이네트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2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686B1/en
Publication of KR20150091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178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68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2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actuated by lazy-tongs mechanisms or articulated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이 가능한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부에 설치되고, 절첩되며 승강하는 리프트암과 상기 리프트암의 상부에 설치되고, 난간과 컨트롤 장치가 구비된 작업대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암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작업대의 승강 높이를 제어하는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간에 결합되고, 장애물 감지 및 위상 변화에 따라 상기 작업대의 승강이 제한되도록 상기 컨트롤 장치를 제어하는 승강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 truck which includes a moveable bogie, a lift arm which is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gie and folds up and down, and a workbench provided on the lift arm and provided with a railing and a control device, And an elevation control unit coupled to the rail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device so as to limit the elevation of the work table in accordance with an obstacle detection and a phase change, the elevation control device comprising: do.

Description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Lifting regulate apparatus of high place working vehicle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

본 발명은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 리미트스위치의 위상 변화에 따라 작업대의 승강이 제한되도록 하는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fting / lowering control device for a high-performance work c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fting / lowering control device for a high-

일반적으로 아파트, 빌딩 등의 건물 건축 시에는 벽돌이나 시멘트, 철제빔 등의 건축자재를 비롯한 각종 화물을 각층으로 운반하면서 공사를 시행하게 되며, 이러한 화물 운반시 승강기나 기중기 등이 사용된다.Generally, when building such as apartment buildings, buildings, construction materials such as bricks, cement, iron beam, etc. are carried to various floors, while elevators and cranes are used.

그런데, 상기 승강기는 위치가 항상 고정되어 있고 공간이 제한되며 싣고 내릴 때 인력이 필요하므로 대형 화물의 운반이 불가능하고 인력 및 작업시간 등의 절감이 어렵다.However, since the elevator is always fixed in position, the space is limited, and manpower is required when loading and unloading, it is difficult to transport a large cargo, and it is difficult to reduce manpower and work time.

그리고, 상기 기중기의 경우 운반속도가 비교적 느리므로 화물을 여러 번 반복해서 운반하거나 소형 화물을 운반하기에는 부적합하고, 작업장소에서 작업자가 화물의 적재나 하역 위치를 조정해야 함에 따라 사고의 위험성이 높다.In the case of the crane, the conveying speed is relatively slow, so it is not suitable for carrying the cargo repeatedly or carrying small cargoes repeatedly, and the operator has to adjust the loading and unloading positions of the cargoes at the work site.

따라서, 화물의 적재나 하역 위치를 조정 시 장애물의 감지에 따라 승강 높이가 제한되도록 하여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소작업차의 개발이 필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that can secure the safety of the worker by restricting the height of elev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of the obstacle when the cargo is loaded or unloaded.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355350호(등록일 : 2004.06.28)가 있으며, 상기 선행문헌에는 고소작업차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다.
A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Korean Registration Practice No. 20-0355350 (Registered on Jun. 26, 2004), and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discloses a technique for a complaint worker.

본 발명의 목적은, 리미트스위치의 위상 변화에 따라 작업대의 승강이 제한되도록 하는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apparatus for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in which lifting and lowering of a work platform is restricted in accordance with a phase change of a limit switch.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이동이 가능한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부에 설치되고, 절첩되며 승강하는 리프트암과 상기 리프트암의 상부에 설치되고, 난간과 컨트롤 장치가 구비된 작업대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암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작업대의 승강 높이를 제어하는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간에 결합되고, 장애물 감지 및 위상 변화에 따라 상기 작업대의 승강이 제한되도록 상기 컨트롤 장치를 제어하는 승강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gie capable of elevating and lowering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lift arm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bogie, folded and elevated, and a workbench provided on the elevator, And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lift arm to control an elevation height of the work table, the elevation control device comprising: a control unit coupled to the railing and configured to limit the elevation of the work table according to an obstacle detection and a phase change; And an eleva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vation control unit.

여기서, 상기 승강 제어 유닛은 상기 난간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고, 힌지 축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폴대와 상기 폴대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리미트스위치가 안착되도록 안착 공간이 형성되는 결합관 및 상기 결합관에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 장치와 연결되며, 위상 변화에 따른 신호를 상기 컨트롤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작업대의 승강이 제한되도록 설치되는 감지센서를 구비한다.The elevation control unit includes a pair of fixing plates protruding from the railing and a pole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fixing plates and hinged to the pair of fixing plates by a hinge shaft to rotate, A coupling pipe which is coupled to surrou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e and in which a seating space is formed so that a limit switch is seated therein and a coupling pipe which is provided in the coupling pipe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And a detection sensor installed to limit the elevation of the work table.

이때, 상기 승강 제어 유닛은 상기 힌지 축에 체결되고, 상기 폴대의 회전 위치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구비한다.At this time, the elevation control unit includes a fixing part which is fastened to the hinge shaft and which is formed to fix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pole.

그리고,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안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센서모듈과 상기 센서모듈의 상부에 길이를 가지며 설치되고, 상기 결합관의 상부에서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감지기 및 상기 센서모듈에서 연장되어 상기 컨트롤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폴대의 내부에서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전원라인을 구비한다.The limit switch includes a sensor module inserted and fixed in the seating space, a sensor installed at a top of the sensor module and protruding out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tube, And a power supply line connected to the device and configured to have a variable length within the pole.

또한, 상기 폴대는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승강부재 및 상기 제1승강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삽입위치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제2승강부재를 한다.In addition, the pole includes a first elevating member coupled to the pair of fixing plates, and a second elevating member inserted into the first elevating member and configured to vary the insertion position through slide movement.

한편, 상기 폴대는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애물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 발생 시 휘어지도록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pole is formed to have a bell-shaped shape and is installed to be bent when an impact due to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occurs.

여기서, 상기 결합관은 상기 폴대의 주름관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부에 형성되고,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폴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결합부를 구비한다.
Here, the coupling pipe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formed therein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rrugated pipe of the pole and being fixed to the pole through rotation in one direction.

본 발명은, 리미트스위치의 위상 변화에 따라 작업대의 승강 높이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작업 위치 상에서 작업자가 구조물의 상층부와 협착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vation height of a work platform is fixed in accordance with a phase change of a limit switch, so that an accident that an operator is stuck to an upper portion of a structure on an operation posi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그리고, 본 발명은 난간 상에 힌지 결합된 리미트스위치의 설치 위치를 통해 작업자가 작업대의 승강 가능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worker can easily ascertain whether or not the work platform can be elevated through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 limit switch hinged on a handrail.

또한, 본 발명은 리미트스위치에 연결된 전선이 난간의 내부를 따라 컨트롤 장치와 연결되기 때문에, 전선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전선에 걸려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limit swit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along the inside of the rail, the electric wir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s well as the risk of injury caused by the electric wire can be prevented.

아울러, 본 발명은 작업대의 승강 위치 고정을 위하여 별도의 장치를 제작하여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승강 제어 유닛에 대한 위상 변화를 통해 승강 높이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어서, 승강 조절 장치의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a separate device for fixing the elevating position of the work table, but it is possible to fix the elevating height by changing the phase of the existing elevating control uni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에 대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에 대한 승강 제어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에 대한 결합관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에 대한 리미트스위치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vating and lowering control apparatus for a high-altitude working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elevating and lowering control apparatus of the high-altitude working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elevation control unit for the elevation control device of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pipe to the elevating control device of the elevating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limit switch for a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apparatus of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apparatus for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anner of achieving it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To fully disclose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에 대한 동작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levating and lowering control apparatus for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peration of a elevating and lowering control apparatus for a high-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는 승강 제어 유닛(1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elevating and lowering control device of the elevator car includes an elevating control unit 100. Fig.

상기 승강 제어 유닛(100)은, 난간(40)에 직립되어 힌지 결합되고, 장애물 감지 및 위상 변화에 따라 상기 작업대의 승강이 제한되도록 컨트롤 장치(50)를 제어한다.The elevation control unit 100 controls the control device 50 such that the elevation control unit 100 is hinged to the handrail 40 and hinged to limit the elevation of the work platform in accordance with the obstacle detection and the phase change.

먼저, 상기 승강 제어 유닛(100)이 설치되는 고소 작업차는 이동이 가능한 대차(10)와 상기 대차(10)의 상부에 설치되고, 'X'자 형상으로 절첩되며 승강하는 리프트암(20)을 구비한다.First, the elevator car equipped with the elevator control unit 100 is provided with a movable truck 10 and a lift arm 20 installed on the elevator 10 and folded in an 'X' Respectively.

또한, 상기 고소작업차는 상기 리프트암(20)의 상부에 설치되고, 난간(40)과 컨트롤 장치(50)가 구비된 작업대(30)를 포함한다.The elevator work car is mounted on the lift arm 20 and includes a workbench 30 having a handrail 40 and a control device 50.

여기서, 상기 작업대(3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작업자의 탑승 공간을 마련하며, 테두리에는 높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난간(40)이 수직하게 설치된다.Here, the work table 3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area to provide a boarding space for an operator, and a railing 40 having a height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rim.

상기 작업대(30)는, 탑승 공간의 내부에 구비된 컨트롤 장치(50)의 조작을 통해 승강되고, 작업자의 판단에 따라 승강 높이를 변경 및 고정시킬 수 있다.The work table 30 can be elevated and lowered by operating a control device 50 provided inside the boarding space, and can change and fix the elevation height according to the judgment of the operator.

만일, 작업자의 의도와 상관없이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높이가 고정된 상기 작업대(30)의 컨트롤 장치(50)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작업대(30)의 높이 변화에 따른 작업자의 부상을 발생시킬 수 있고, 작업 위치가 변화되기 때문에 작업공수가 증가될 수 있다.If the control device 50 of the workbench 30, whose height is fixed due to the carelessness of the operator, is operated irrespective of the operator's intention, the worker may be injured according to the height change of the workbench 30 Since the work position is changed, the work flow can be increased.

이를 위해,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는 난간(40) 상에 힌지 결합된 승강 제어 유닛(100)을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elevating and lowering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car can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by installing the elevating control unit 100 hinged on the handrail 40.

여기서, 상기 승강 제어 유닛(100)은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110), 폴대(120), 결합관(130) 및 감지센서(140)를 구비한다.The elevation control unit 100 includes a pair of fixed plates 110, a pole 120, a coupling pipe 130, and a sensing sensor 140.

먼저,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110)는 난간(40)의 모서리에 돌출 형성된다.First, the pair of fixing plates 110 protrude from the edges of the railing 40.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110)는, 상기 난간(40)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의 모서리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 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난간(40) 상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pair of fixing plates 110 may be installed at any one of the corners of the handrail 40. However, if necessary, a plurality of fixing plates 110 may be installed. At any position on the handrail 40, May be installed.

이때,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110) 사이에는 후술 될 폴대(120)가 배치된다.At this time, a pole 12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fixing plates 110.

상기 폴대(120)는, 힌지 축(111)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110)와 함께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형성된다.The pole 120 is coupled with the pair of fixing plates 110 by a hinge shaft 111 and is formed to rotate.

즉, 상기 폴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축(110)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난간(40)에 접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That is, the pole 120 may be rotated to be in contact with the handrail 40 while being coupled to the pair of fixing plates 110 by the hinge shaft 110, as shown in FIG.

여기서, 상기 폴대(120)는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110)에 삽입되어 상기 힌지 축(110)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른 형태의 결합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Here, the pole 120 is inserted into the pair of fixing plates 110 and rotated by the hinge shaft 110, but other types of coupling and operation may be performed.

예를 들면, 상기 폴대(120)는 탈부착 형태로 형성되어 작업대(30)의 승강 시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110) 사이에 직립되도록 끼움 결합시키거나, 상기 작업대(30)의 하강 시 탈착하여 누워진 상태로 거치시키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pole 120 may be formed in a detachable form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pair of fixing plates 110 when the work table 30 is lifted or lowered, or may be detached when the work table 30 is lowered It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it is mounted in a lying state.

한편, 상기 폴대(120)에는 후술 될 결합관(130)이 결합된다.Meanwhile, a coupling pipe 13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coupled to the pole 120.

상기 결합관(130)은, 상기 폴대(120)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리미트스위치(150)가 안착되도록 안착 공간(A)이 형성된다.The coupling pipe 130 is coupled to enclose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e 120 and a seating space A is formed in which the limit switch 150 is seat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는 승강 제어 유닛(100)을 난간(40)에 힌지 결합시킴으로써, 작업대(30)의 높이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 제어 유닛(100)의 사용 유무를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The lift control device of the elevator car hinges the elevation control unit 100 to the railing 40 so that the height of the work platform 30 can be lowered and the elevation control unit 100 ) Can be effectively recognized.

이하,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에 대한 승강 제어 유닛을 보여주는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an elevation control unit for the elevation control device of the elevator c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는 장애물 감지 및 위상 변화에 따라 작업대(30)의 승강이 제한되도록 컨트롤 장치(50)를 제어하는 승강 제어 유닛(1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elevator control device of the elevator car includes an elevator control unit 100 that controls the control device 50 to limit the elevation of the workbench 30 in accordance with the obstacle detection and the phase change.

여기서, 상기 승강 제어 유닛(100)은 폴대(120)를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110)에 힌지 결합시키고, 작업자에 의해 난간(40)에 접하도록 회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작업대(30)의 승강을 제한할 수 있다.The elevation control unit 100 hinges the pole 120 to the pair of fixing plates 110 and rotationally moves the unit 120 in contact with the handrail 40 by the operator so that the elevation / Can be limited.

이에 앞서, 먼저 리미트스위치(150)는 일단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관(130)의 안착 공간(A)에 안착되고, 컨트롤 장치(50)와 연결되어 작업대(30)의 승강 시 장애물과 접촉되면 상기 작업대(30)의 승강이 제한되도록 한다.First, the limit switch 150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A of the coupling pipe 130 so that one end of the limit switch 150 protrudes to the outside. When the limit switch 15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50 and contacts the obstacle So that the elevation of the work table 30 is restricted.

이후, 상기 작업대(30)가 작업 위치로 이동한 경우, 컨트롤 장치(50)에 대한 외부 입력으로 상기 작업대(30)가 승강되지 않도록 폴대(120)를 난간(40)에 접하도록 이동시킨다.Thereafter, when the work table 30 is moved to the work position, the pole 120 is mov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railing 40 so as to prevent the work table 30 from being lifted or lowered by an external input to the control device 50.

즉, 잡업 위치 상에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폴대(120)의 위치를 가변시켜 컨트롤 장치(50)의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That is, the position of the pole 120 may be changed to shut off the power of the control device 50 in order to prevent the position of the worker from being changed due to carelessness in the work position.

이를 위해, 결합관(130)에는 후술 될 감지센서(140)가 구비된다.To this end, the coupling pipe 130 is provided with a detection sensor 14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감지센서(140)는, 작업대(30)에 구비된 컨트롤 장치(50)와 연결되고, 위상 변화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신호를 상기 컨트롤 장치(50)로 전달하여 작업대(30)의 승강이 제한되도록 한다.The detection sensor 140 is connected to a control device 50 provided on the work table 30 and senses a phase change and transmits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change to the control device 50 so that the lift of the work table 30 is limited do.

다시 말해, 상기 감지센서(140)는 결합관(130)에 설치되어 별도의 제어부(미도시)와 연결되고, 제어부(미도시)는 기설정된 폴대(120)의 위상 기준 입력값과 상기 폴대(120)의 회전 이동에 따른 위상 변화를 비교하여, 상기 컨트롤 장치(5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한다.In other words, the sensing sensor 140 is installed on the coupling pipe 130 and is connected to a separate control unit (not shown),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phase reference input value of the predetermined pole 120, 120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ontrol device 50 is cut off.

결과적으로,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는 상기 감지센서(140)를 통해 폴대(120)가 난간(40)에 접하도록 회전이동 하는 경우, 상기 컨트롤 장치(50)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조작에 관계없이 작업대(30)의 승강을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elevation control device of the elevator car rotates to move the poles 120 to contact with the railing 40 through the detection sensor 140,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work table 30 can be effectively restricted regardless of the operation due to carelessness of the worker.

만일, 상기 작업대(30)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폴대(120)의 위치를 원래 상태인 상기 난간(40)에 직립되도록 하면, 상기 작업대(30)의 승강 높이를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If the height of the pole 120 is set upright on the railing 40 in the original state when the elevation height of the work table 30 is to be adjusted, .

따라서,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는 감지센서(140)를 통해 상기 폴대(120)의 위상 변화에 따라 상기 작업대(30)의 승강 높이를 용이하게 제한할 수 있고, 상기 폴대(12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작업대(30)의 조작 가능 상태를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Therefore, the elevating control device of the elevator car can easily limit the elevation height of the work table (30) according to the phase change of the pole (120) through the sensing sensor (140) The operable state of the work table 30 can be effectively recognized.

한편, 승강 제어 유닛(100)은 후술 될 고정부(160)를 통해 폴대(120)의 회전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elevation control unit 100 can fix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pole 120 through the fixing unit 16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고정부(160)는,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110)와 상기 폴대(120)를 함께 관통하는 힌지 축(111)에 체결되어, 효과적으로 상기 폴대(120)의 회전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The fixing part 160 is fastened to the hinge shaft 111 passing through the pair of fixing plates 110 and the pole 120 to effectively fix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pole 120. [

상기 고정부(160)는, 너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사산으로 형성된 상기 힌지 축(111)에 체결되어 용이하게 상기 폴대(120)의 회전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xing part 160 is preferably formed of a nut and is fastened to the hinge shaft 111 formed of a thread so that the rotation position of the pole 120 can be easily fixed.

아울러, 상기 폴대(120)는 외주면이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에 따라 외부와의 충돌로 인한 충격 발생 시 휘어지도록 설치된다.In addition, the pole 120 is formed to have an outer peripheral surface in the form of a corrugated pipe, so that it is bent so as to generate an impact due to collision with the outside.

즉, 상기 폴대(120)는 벽면 및 일정하지 않은 형상을 가진 구조물 등과 접촉되어 충돌하게 되면, 부러지는 것이 아니라 충돌 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휘어지도록 형성된다.That is, when the pole 120 comes into contact with a wall surface and a structure having an irregular shape and collides with it, the pole 120 is formed not to break but to be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ollision direction.

다시 말해, 상기 폴대(12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외부의 충격 발생 시 부러지는 것이 아니라 휘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원상태로의 복원 후에 재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pole 120 is formed of an aluminum material, and is formed to be bent rather than broken when an external impact is generated, so that the pole 120 can be reused after being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그에 따라,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는 고소위치에서의 작업 능률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상기 폴대(120)의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Accordingly, the lifting / lowering device of the elevator car improves the work efficiency at the high altitude position, and the pole 120 can be reused, thereby reducing the cost.

이하,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에 대한 결합관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oupling of the coupling pipe to the elevating and lowering control device of the elevating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는 폴대(120)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며 끼움 결합되고, 내부에 리미트스위치(150)의 안착공간(A)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결합관(130)을 포함한다.4, the elevating and lowering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or car includes a coupling pipe (not shown) which is fitted to the upp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ole 120 to be fitted therein and in which a seating space A of the limit switch 150 is formed, 130).

여기서, 상기 결합관(130)은 상기 폴대(120)의 결합위치와 상기 리미트스위치(150)의 안착공간(A)의 경계를 형성하는 걸림턱(131)을 구비한다.The coupling pipe 130 includes a locking protrusion 131 that defines a boundary between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pole 120 and the seating space A of the limit switch 150.

즉, 상기 걸림턱(131)은 상기 결합관(130)의 내주면에서 내부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결합관(130)의 상부에는 상기 리미트스위치(150)가 안착공간(A)이 형성되고, 하부에는 폴대(120)의 결합공간(B)이 형성되도록 한다.That is, the locking protrusion 131 protrudes downward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ipe 130 toward the center of the coupling pipe 130, so that the limit switch 150 is positioned above the coupling pipe 130 in the seating space A, And the coupling space B of the pole 120 is formed in the lower portion.

이는, 상기 걸림턱(131)이 상기와 같이 하향 경사를 가지며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폴대(120)가 고정 플레이트(110)에 직립된 경우, 기상 상황 등에 의하여 유체가 상기 결합관(130)의 내부로 침투하면, 유체가 상기 걸림턱(131)에 고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When the pole 120 is erected on the fixed plate 110, the fluid can flow in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pipe 130 due to a weather condition or the like, because the engaging step 131 is formed with the downward inclination as described above. So that the flui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aught by the catching jaw 131. [0064]

한편, 상기 폴대(120)는 외주면이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관(130)의 회전을 통해 결합공간(B)의 하부에 걸림 위치되도록 한다.The pole 120 has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in the shape of a bellows and is engag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coupling space B through rotation of the coupling pipe 130.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폴대(120)는 알루미늄 재질을 가지며, 외주면이 주름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장애물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 시 충격방향을 향해 휘어질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ole 120 has an aluminum material,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is formed in a wrinkle shape so that it can be bent toward the impact direction when impacted by collision with an obstacle.

그에 따라, 상기 폴대(120)는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부러지는 것이 아니라, 휘어짐으로써, 손상 시 복구가 가능하며, 그에 따라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ole 120 is not broken due to an external impact, but can be restored upon bending by bending, so that semi-permanent use can be possible.

한편, 결합관(130)은 상기 폴대(120)의 주름관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부에 결합부(132)가 형성된다.Meanwhile, the coupling pipe 130 is formed with a coupling portion 132 therein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bellows of the pole 120.

상기 결합부(132)는, 걸림턱(131)과 인접한 결합공간(B)의 내주면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결합공간(B)의 내주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engaging portion 132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space B adjacent to the engaging protrusion 131 but may be formed entirely along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engaging space B.

결과적으로, 결합관(130)은 폴대(120)의 상부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턱(131)에 상기 폴대(120)의 상부가 걸림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폴대(120)와 효과적으로 결합 및 고정되도록 한다.
As a result, the coupling pipe 13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while being fit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ole 120,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pole 120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rotrusion 131, As shown in Fig.

이하,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에 대한 리미트스위치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limit switch for the elevating and lowering control apparatus of the elevated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는 작업대(30)의 승강에 따른 장애물 감지 시 상기 작업대(30)의 승강 높이가 제한되도록 컨트롤 장치(50)를 제어하는 리미트스위치(150)를 포함한다.5, the elevating / lowering control device of the elevator car may include a limit switch 150 (not shown) for controlling the control device 50 so that the elevation height of the work platform 30 is limited when an obstacle is detected ).

이를 위해, 상기 리미트스위치(150)는 센서모듈(151), 감지기(152) 및 전원라인(153)을 구비한다.To this end, the limit switch 150 includes a sensor module 151, a detector 152, and a power supply line 153.

먼저, 상기 센서모듈(151)은 결합관(130)의 안착공간(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First, the sensor module 151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seating space A of the coupling pipe 130.

즉, 상기 센서모듈(151)은, 소정의 크기를 가지며 구비되고, 하부가 상기 결합관(130)의 걸림턱(131)에 걸림 위치되도록 한다.That is, the sensor module 151 has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lower part of the sensor module 151 is engaged with the latching jaw 131 of the coupling tube 130.

다시 말해, 상기 센서모듈(151)은 몸체가 안착공간(A)에 끼움 결합되도록 삽입되고, 이때 상기 센서모듈(151)의 하부는 상기 걸림턱(131)의 상부와 맞닿도록 위치된다.In other words, the sensor module 151 is inserted so that the body is fitted into the seating space A,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nsor module 151 is positioned to abut the upper portion of the latching jaw 131.

여기서, 상기 안착공간(A)의 직경은 상기 센서모듈(151)의 크기와 같거나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는 상기 센서모듈(151)에 끼움 결합되는 경우 용이하게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Here, the diameter of the seating space A is preferably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ensor module 151, so that it can be easily fixed when the sensor module 151 is fitted to the sensor module 151 .

또한, 상기 안착공간(A)의 직경은 상기 센서모듈(151)이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원형의 폴대(120)가 결합되는 결합공간(B)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결합관(130)의 외부 및 내부가 단차를 가지며 형성된다. Since the sensor module 151 is formed in a box shape, the diameter of the seating space A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oupling space B to which the circular pole 120 is coupled, The outer side and the inner side are formed with stepped portions.

한편, 상기 센서모듈(151)의 상부에는 후술 될 감지기(152)가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a sensor 152 to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on the sensor module 151.

상기 감지기(152)는, 상기 센서모듈(151)의 상부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설치된다.The sensor 152 is installed on the sensor module 151 with a predetermined length.

이때, 상기 감지기(152)는 결합관(130)의 상부에서 외부로 돌출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detector 152 protrudes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upling pipe 130 to the outside.

즉, 상기 감지기(152)는 안착공간(A)에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며, 상기 결합관(130)의 상부에서 외부로 돌출되도록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효과적으로 장애물을 감지하도록 한다.That is, the detector 152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space A and is inserted into the seating space A,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ipe 130, thereby effectively detecting an obstacle.

이는, 상기 결합관(130)의 높이 보다 높게 돌출 형성된 상기 감지기(152)가 장애물과 접촉되는 경우, 컨트롤 장치(50)로 접촉 신호를 전달하여 제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작업대(30)의 승강 높이를 제한하도록 하기 위함이다.When the sensor 152 protruding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coupling pipe 130 contacts the obstacle, the contact signal is transmitted to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50 so that the lift height of the work table 30 is effectively limited .

상기 감지기(152)는, 장애물과의 충돌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고, 탄성력에 의해 휘어질 수 있도록 하부가 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충격 발생 시 용이하게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한다. The detector 152 prevents damage due to collision with an obstacle and is formed in a spring-like shape so as to be bent by an elastic force so that it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easily when an impact is generated.

여기서, 상기 감지기(1520)는 상기 감지기(152)는 전체가 하나로 이루어진 중실(中實)의 탄성체봉으로 형성될 수 있고, 파이프, 주름관, 플라스틱 봉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Here, the detector 1520 may be formed of a solid elastic rod having a single body, or may be formed of a pipe, a corrugated pipe, a plastic rod, or the like.

이때, 만일 상기 감지기(152)가 실리콘이나, 우레탄, 특수고무, 탄성 합성수지 등의 탄성체봉인 경우, 가압력에 대한 내성이 강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기적 절연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다,At this time, if the detector 152 is an elastic seal such as silicone, urethane, special rubber, elastic synthetic resin, or the like, it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resistant to a pressing force and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ectrical insulation.

따라서, 감지기(152)는 접촉되는 장애물이 전기적 위험물인 경우라 하더라도, 전기가 센서모듈(151)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누설전류에 의한 피해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obstacle to be contacted is an electrical dangerous object, the sensor 152 can prevent damage due to the leakage current since electricity is not transmitted to the sensor module 151.

한편, 상기 센서모듈(151)에는 컨트롤 장치(50)와의 연결을 위하여 후술 될 전원라인(153)이 설치된다.Meanwhile, the sensor module 151 is provided with a power supply line 15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for connection with the control device 50.

상기 전원라인(153)은, 상기 센서모듈(151)에서 연장되어 상기 컨트롤 장치(50)와 연결되고, 폴대(120)의 내부 공간에서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된다.The power line 153 extends from the sensor module 151 and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50 and is formed to have a variable length in an internal space of the pole 120.

즉, 상기 전원라인(153)은 작업대(30)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컨트롤 장치(50)와 연결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구비되고, 상기 폴대(120)의 설치 위치와 상기 컨트롤 장치(50)의 위치에 따라 연결이 용이할 수 있도록 길이가 가변된다.That is, the power supply line 153 is provid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to be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50 installed in the work table 30, and the position of the pole 120 and the position of the control device 50 Depending on the position, the length can be varied to facilitate connection.

따라서,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는 상기 컨트롤 장치(50)와 상기 전원라인(230)의 연결을 통해 감지기(152)에 장애물이 접촉되면 상기 작업대(30)의 승강이 정지되도록 상기 컨트롤 장치(50)를 제어함으로써,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elevation control device of the elevator car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50 so that when the obstacl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nsor 152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control device 50 and the power line 230,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caused by carelessness of the operator.

결과적으로, 상기 승강 조절 장치는 승강 제어 유닛(100)의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작업대(30)의 승강 높이를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 제어 유닛(100)의 직립 시에도 장애물 감지에 따라 상기 작업대(30)의 승강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elevating and lowering control device can not only fix the elevation height of the work table 30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movement of the elevation control unit 100, but also, when the elevation control unit 100 is upright,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work table 30 can be restricted.

이하,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에 대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lifting and lowering control apparatus for a high-performance work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는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110) 사이에 삽입되고, 힌지 축(111)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110)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폴대(120)를 구비한다.6, the lift control device of the elevator car is inserted between a pair of fixed plates 110, hinged to the pair of fixed plates 110 by a hinge shaft 111, (Not shown).

여기서, 상기 폴대(1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1승강부재(121)와 제2승강부재(122)를 구비한다.Here, the pole 120 includes a first elevating member 121 and a second elevating member 122 so as to be adjustable in length.

먼저, 상기 제1승강부재(121)는 한 상의 고정 플레이트(110)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결합된다.First, the first elevating member 121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coupled to the fixing plate 110 of one phase.

여기서, 제2승강부재(122)는 상기 제1승강부재(121)의 내부에 삽입되고, 회전에 의한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삽입위치가 가변되도록 형성된다.Here, the second elevating member 122 is inserted into the first elevating member 121 and is formed such that the insertion position thereof is changed through sliding movement by rotation.

즉, 상기 제2승강부재(122)는 상기 제1승강부재(12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구비되고, 미세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1승강부재(121)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다.That is, the second elevating member 122 is provided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rst elevating member 121, and can be slid within the first elevating member 121 so that the micro-length can be adjusted Do.

이때, 상기 제1승강부재(121) 및 상기 제2승강부재(122)는 상기 제2승강부재(122)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가지며 형성된 체결 홀(123)에 체결부재(200)를 삽입하여 슬라이드 이동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elevating member 121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122 are fastened to the second elevating member 122 by fastening members 200 in the fastening holes 123, So that the slide moving position can be fixed.

다시 말해, 상기 체결부재(200)는 상기 체결 홀(120)에 삽입되어 상기 제1승강부재(121)와 상기 제2승강부재(122)를 함께 관통하여 체결함으로써, 슬라이드 이동 위치를 효과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astening member 200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hole 120 so that the first elevating member 121 and the second elevating member 122 are inserted and fastened together to effectively fix the slide moving position .

따라서,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는 상기 제2승강부재(122)의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폴대(120)의 길이를 미세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의 구조물의 형상 및 돌출 된 구조물의 높이 차 등에 관계없이 고소위치에서의 작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lifting and lowering device of the elevator car can finely adjust the length of the pole 120 through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econd elevating member 122, the shape of the complex structure and the height difference of the protruding structure The operation at the high altitude position can be facilitated.

본 발명은, 리미트스위치의 위상 변화에 따라 작업대의 승강 높이가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작업 위치 상에서 작업자가 구조물의 상층부와 협착하여 발생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levation height of a work platform is fixed in accordance with a phase change of a limit switch, so that an accident that an operator is stuck to an upper portion of a structure on an operation posit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그리고, 본 발명은 난간 상에 힌지 결합된 리미트스위치의 설치 위치를 통해 작업자가 작업대의 승강 가능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worker can easily ascertain whether or not the work platform can be elevated through an installation position of a limit switch hinged on a handrail.

또한, 본 발명은 리미트스위치에 연결된 전선이 난간의 내부를 따라 컨트롤 장치와 연결되기 때문에, 전선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전선에 걸려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since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limit switch is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along the inside of the rail, the electric wire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as well as the risk of injury caused by the electric wire can be prevented.

아울러, 본 발명은 별도의 장치를 제작하여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승강 제어 유닛에 대한 위상 변화를 통해 승강 높이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어서, 승강 조절 장치의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a separate device, but it is possible to fix the elevation height by changing the phase of the existing elevation control unit, there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elevation control device .

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all or some of the elements (s) may be optionally constructed in combina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 : 대차 20 : 리프트암
30 : 작업대 40 : 난간
50 : 컨트롤 장치 100 : 승강 제어 유닛
110 : 고정 플레이트 111 : 힌지 축
120 : 폴대 121 : 제1승강부재
122: 제2승강부재 123 : 체결 홀
130 : 결합관 131 : 걸림턱
132 : 결합부 140 : 감지센서
150 : 리미트스위치 151 : 센서모듈
152 : 감지기 153 : 전원라인
160 : 고정부 200 : 체결부재
A : 안착 공간 B : 결합 공간
10: Bogie 20: Lift arm
30: Workbench 40: Handrail
50: Control device 100: Lift control unit
110: fixed plate 111: hinge shaft
120: pole 121: first elevating member
122: second elevating member 123: fastening hole
130: Coupling tube 131:
132: coupling portion 140: detection sensor
150: Limit switch 151: Sensor module
152: Detector 153: Power line
160: fixing part 200: fastening member
A: seat space B: engagement space

Claims (7)

이동이 가능한 대차와 상기 대차의 상부에 설치되고, 절첩되며 승강하는 리프트암과 상기 리프트암의 상부에 설치되고, 난간과 컨트롤 장치가 구비된 작업대를 포함하며, 상기 리프트암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작업대의 승강 높이를 제어하는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난간에 결합되고, 장애물 감지 및 위상 변화에 따라 상기 작업대의 승강이 제한되도록 상기 컨트롤 장치를 제어하는 승강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 제어 유닛은,
상기 난간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 사이에 삽입되고, 힌지 축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와 힌지 결합되어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폴대;
상기 폴대의 상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고, 내부에 리미트스위치가 안착되도록 안착 공간이 형성되는 결합관; 및
상기 결합관에 구비되고, 상기 컨트롤 장치와 연결되며, 위상 변화에 따른 신호를 상기 컨트롤 장치로 전달하여 상기 작업대의 승강이 제한되도록 설치되는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결합관은,
상기 폴대의 결합 위치와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안착 공간의 경계를 형성하며, 내부 중심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걸림턱을 구비하며,
상기 폴대는,
상기 한 쌍의 고정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제1승강부재; 및
상기 제1승강부재의 내부에 삽입되고, 슬라이드 이동을 통해 삽입위치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며,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1승강부재 상에서 삽입위치가 고정되는 제2승강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
And a worktabl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bogie, the lift arm being folded and elevated and install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ift arm, the platform being provided with a railing and a control device, A lifting / lowering control device for a high-performance work car that controls a lifting height of a work platform,
And an elevation control unit coupled to the rail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device to limit the elevation of the work platform in accordance with an obstacle detection and a phase change,
The elevation control unit includes:
A pair of fixing plates protruding from the railing;
A pole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fixing plates and hinged to the pair of fixing plates by a hinge shaft to rotate;
A coupling tube coupled to surround the upper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e and having a seating space for seating a limit switch therein; And
And a sensing sensor provided in the coupling pipe,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for transmitting a signal corresponding to a phase change to the control device,
Wherein the coupling tube comprises:
And a locking jaw which forms a boundary between the engagement position of the pole and the seating space of the limit switch and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inner center,
The pole
A first elevating member coupled to the pair of fixing plates; And
And a second elevation member inserted in the first elevation member and formed to vary an insertion position through slide movement and fixed at an insertion position on the first elevation member through a fastening member Lift / lower control device for high - altitude work vehic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제어 유닛은,
상기 힌지 축에 체결되고, 상기 폴대의 회전 위치를 고정하도록 형성되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on control unit includes:
And a fixing unit coupled to the hinge shaft and configured to fix a rotational position of the po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미트스위치는,
상기 안착공간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센서모듈;
상기 센서모듈의 상부에 길이를 가지며 설치되고, 상기 결합관의 상부에서 외부로 돌출 형성되는 감지기; 및
상기 센서모듈에서 연장되어 상기 컨트롤 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폴대의 내부에서 길이가 가변되도록 형성되는 전원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mit switch includes:
A sensor module inserted and fixed in the seating space;
A sensor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ensor module and protruding outwar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pipe; And
And a power line extending from the sensor module and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the power line being formed to be variable in length within the pol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는,
주름관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애물과의 충돌로 인한 충격 발생 시 휘어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ole
And is installed so as to be bent when a shock caused by a collision with an obstacle occur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관은,
상기 폴대의 주름관 형상에 대응되도록 내부에 형성되고, 일방향으로의 회전을 통해 상기 폴대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coupling tube comprises:
And an engaging portion formed inside the corrugated pipe so as to correspond to a shape of a corrugated pipe of the pole and fixed to the pole through rotation in one direction.
KR1020140012427A 2014-02-04 2014-02-04 Lifting regulate apparatus of high place working vehicles KR1015506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427A KR101550686B1 (en) 2014-02-04 2014-02-04 Lifting regulate apparatus of high place working vehi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2427A KR101550686B1 (en) 2014-02-04 2014-02-04 Lifting regulate apparatus of high place working vehic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786A KR20150091786A (en) 2015-08-12
KR101550686B1 true KR101550686B1 (en) 2015-09-07

Family

ID=5405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2427A KR101550686B1 (en) 2014-02-04 2014-02-04 Lifting regulate apparatus of high place working vehicl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686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44985A (en) * 2016-03-02 2016-05-04 赵健 Lifting type construction platform car used on construction site
KR101667569B1 (en) * 2016-01-13 2016-10-19 주식회사 에스오티시스템즈 High place work device for prevention accident,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CN106477493A (en) * 2016-12-08 2017-03-08 诺力机械股份有限公司 A kind of scalable anticollision device, collision-prevention device of self-propelled aloft working platform
KR20210136510A (en) 2020-05-08 2021-11-17 유병호 Non-motorized Lift Apparatus
KR20220055689A (en) 2020-10-27 2022-05-04 박길수 Ceiling panel attachment apparatus
KR20220055685A (en) 2020-10-27 2022-05-04 박길수 Wall panel attachment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01660A (en) * 2018-03-15 2018-08-17 山东省科学院自动化研究所 A kind of fruit and vegetable picking auxiliary robot and method
KR102299163B1 (en) * 2020-01-16 2021-09-06 김연한 Limit switches for lift vehicle
KR102560658B1 (en) 2021-03-05 2023-07-26 박인재 Work boarding device
KR102446299B1 (en) 2021-03-05 2022-09-21 박인재 Work boarding device
KR102446293B1 (en) 2021-03-05 2022-09-21 박인재 Work boarding device
KR200495471Y1 (en) * 2021-08-03 2022-06-10 한영준 Apparatus to protect impact for work-bench elevated position
KR102664436B1 (en) * 2023-06-26 2024-05-10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템 limit switch using center connector for mobile elevated work platform
CN118100001B (en) * 2024-04-29 2024-06-25 天津中物绿色新能源科技有限公司 Later-period fault overhaul and debugging equipment for power equipment and debugging control method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0479A (en) * 2003-11-10 2007-04-26 フレゼニウス メディカル ケア ドイッチェランド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Dialyzer port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0479A (en) * 2003-11-10 2007-04-26 フレゼニウス メディカル ケア ドイッチェランド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Dialyzer port connector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7569B1 (en) * 2016-01-13 2016-10-19 주식회사 에스오티시스템즈 High place work device for prevention accident, and method for operation thereof
CN105544985A (en) * 2016-03-02 2016-05-04 赵健 Lifting type construction platform car used on construction site
CN106477493A (en) * 2016-12-08 2017-03-08 诺力机械股份有限公司 A kind of scalable anticollision device, collision-prevention device of self-propelled aloft working platform
CN106477493B (en) * 2016-12-08 2018-11-16 诺力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A kind of scalable anticollision device, collision-prevention device of self-propelled aloft working platform
KR20210136510A (en) 2020-05-08 2021-11-17 유병호 Non-motorized Lift Apparatus
KR20220055689A (en) 2020-10-27 2022-05-04 박길수 Ceiling panel attachment apparatus
KR20220055685A (en) 2020-10-27 2022-05-04 박길수 Wall panel attachment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1786A (en) 2015-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686B1 (en) Lifting regulate apparatus of high place working vehicles
JP4742591B2 (en) Elevator terminal safety device
JP4590506B2 (en) An elevator equipped with a safety device for protecting an operator in an elevator where the bottom end of the hoistway is low
KR101213713B1 (en) Boom control device of high place operation car
KR20180001335U (en) Radar mast adjustable in height and ship having the same
JP6654995B2 (en) Safety equipment for aerial work vehicles
KR102154509B1 (en) CCTV metal pole prop capable of moving up and down
KR101760019B1 (en) Tower parking lot's lower driven parking device
US10875456B2 (en) Cab guard with adjustable railing system for aerial device
KR101547432B1 (en) vertically movable workable for preventing crash accident
KR101680944B1 (en) Lifting apparatus of high place working vehicles
KR100769925B1 (en) Work teble with safety device
WO2017174877A1 (en) Personnel lift
KR102208054B1 (en) Up-down metal pole prop for CCTV
KR200429332Y1 (en) Up and down structure of camera for closed-circuit television
US20170022031A1 (en) Attic Lift System
KR101605992B1 (en) vertically movable workable for preventing crash accident
KR20200077700A (en) Compression preventing apparatus for table lift
US20220048731A1 (en) Safety lockout on paths to regions of heightened risk
KR101632485B1 (en) Lift for work
KR101894830B1 (en) Safety equipment for installing at low pit of elevator way
EP3530605B1 (en) Elevator car toe guard system
KR102205520B1 (en) Movable working-tower apparatus for preventing safety accident
KR20130126021A (en) Leaking water monitoring system of elevator hoistway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KR200268391Y1 (en) Device for working at high place adhesion hight contro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