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539B1 - Trampoline Cleaning Apparatus having Duct Frame Structure for Dust Flow - Google Patents

Trampoline Cleaning Apparatus having Duct Frame Structure for Dust F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539B1
KR101550539B1 KR1020140045158A KR20140045158A KR101550539B1 KR 101550539 B1 KR101550539 B1 KR 101550539B1 KR 1020140045158 A KR1020140045158 A KR 1020140045158A KR 20140045158 A KR20140045158 A KR 20140045158A KR 101550539 B1 KR101550539 B1 KR 101550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mpoline
duct
duct frame
module
unit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1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광숙
최남영
Original Assignee
이광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광숙 filed Critical 이광숙
Priority to KR1020140045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5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53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00Apparatus for jumping
    • A63B5/11Trampoli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A trampoline apparatus having a duct frame structure includes: a trampoline mat (1); a main duct frame (10) arranged under the trampoline mat (1); a unit flow module which is arranged on a lower end portion of the main duct frame (10)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trampoline mat (1); an exhaust pipe (50) which is joined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duct frame (10) or the unit flow module; and a suction module (55) arranged on the exhaust pipe (50). The unit flow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duct frames (20) joined with a lower end portion of the trampoline mat (1); and flow pipes (30) arranged between the support duct frames (20)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main duct frame (10), the support duct frames (20), and the flow pipe (30) are hollow pipes. Dust in a lower space of the trampoline mat (1) which enters through the flow pipe (30) is discharged through the support duct frames (20) and the exhaust pipe (50).

Description

먼지 유동을 위한 덕트 프레임 구조를 갖는 트램펄린 장치{Trampoline Cleaning Apparatus having Duct Frame Structure for Dust Flow}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mpoline cleaning apparatus having a duct frame structure for dust flow,

본 발명은 트램펄린 하부 공간 상의 먼지를 포집하는 덕트 프레임 구조를 갖는 트램펄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트램펄린 설비의 하부 공간에 쌓이는 먼지를 덕트 구조를 이용하여 간단히 포집하는 시스템으로서 트램펄린 설비 바닥 공간의 청결도를 유지할 수 있는 덕트 프레임 구조를 갖는 트램펄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ampoline apparatus having a duct frame structure for collecting dust on a lower space of a trampol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ystem for collecting dust accumulated in a lower space of a trampoline facility using a duct structure, To a trampoline apparatus having a duct frame structure capable of maintaining cleanliness.

일반적으로 트램펄린은 사각이나 원형 금속틀에 안에 다수개의 스프링을 이용하여 캔버스 천을 탄성 지지한 운동기구로써, 이용자는 캔버스 천을 이용하여 높이 도약하면서 각종 동작을 구현하게 된다.In general, a trampoline is a motion mechanism in which a canvas cloth is elastically supported by using a plurality of springs in a rectangular or circular metal frame, and a user can implement various operations while leaping using a canvas cloth.

이러한 트램펄린은 텀블링(Tumbling)이라고도 불리우며, 손쉽게 공중으로 도약할 수 있는 특성으로 인해 놀이시설이나 운동시설로써 많이 사용되고 있다.These trampolines are also called tumbling, and they are widely used as amusement facilities and exercise facilities due to their ability to leap easily to the air.

특히 체조선수들의 경우, 공중돌기나 비틀기 또는 체조기구로부터 도약 후 바닥에 안정된 자세로 착지하는 것을 연습하기 위하여 트램펄린을 사용하고 있다.Especially for gymnasts, they use trampolines to practice landing from an airborne or twisted or gymnastic device in a stable position on the ground after leaping.

또한 트램펄린은 운동과 동시에 하늘을 나는 듯한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기 때문에 유아 놀이시설이나 체육 운동시설로서 많이 사용되어 왔으며, 효과에 비해 경제적인 헬스 및 다이어트 기구로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In addition, trampoline has been widely used as an infant play facility and athletic exercise facility because it can enjoy the pleasure of flying at the same time as the exercise, and it is focused on economical health and diet apparatus compared to the effect.

한편, 트램펄린 시설은 그 하부 공간이 매우 좁아 사람이 들어가서 청소를 하기 힘드므로 종래에는 트램펄린 설비의 하부 공간에 덕트를 설치하거나 로봇 청소기를 이용하여 트램펄린 하부 공간의 미세먼지를 청소한 바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도 트램펄린 하부 공간의 일부분만 청소가 될 뿐 형식에 그치고 있어 문제점이 있어 왔다.
Conventionally, a duct is installed in a lower space of a trampoline facility or a fine dust in a lower space of a trampoline is cleaned by using a robot cleaner because a lower space of the trampoline facility is very narrow and it is difficult for a person to enter and clean it. Also, only a part of the lower space of the trampoline has been cleaned, and the problem has been a problem.

트램펄린 하부 공간의 청소 관련 기술을 제시하는 종래의 문헌인 공개특허 제2013-0115746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문헌은 트램펄린이 설치되는 하부 바닥을 청소하기 위한 청소 로보트와, 이 청소 로보트의 이동통로가 확보된 고정프레임을 포함하는 트램펄린 하부 청정화 시스템을 제공한다.As disclosed in the prior art publication No. 2013-0115746, which discloses cleaning related technology of a trampoline lower space, the document discloses a cleaning robot for cleaning a lower floor on which a trampoline is installed, And a trampoline sub-cleaning system including the secured frame.

상기 종래의 문헌에서는 트램펄린 하부에 축적되는 먼지를 제거함으로써 건강상의 문제나 미관상의 문제를 줄이고 먼지 덩어리의 발생을 억제하게 하는 기술을 제공하지만, 청소 로보트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현실적으로 트램펄린 하부 공간을 미세하게 청소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점, 별도의 덕트 없이 로봇 청소기 만으로 작업하는 경우에는 수시로 로봇 청소기 내에 가득찬 먼지를 제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개선의 필요성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는 것이다.
In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literature, there is provided a technique for reducing health problems and a cosmetic problem by suppressing dust accumulated in the lower portion of a trampoline, and suppressing generation of dust lumps. However, even when a cleaning robot is used,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the robot cleaner has a limitation, and when the robot cleaner is operated without a separate duct, there is a need to remove the dust from the robot cleaner every time. Therefore, there is still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램펄린의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덕트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지지 덕트 프레임 사이를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유동관을 구비한 상태에서, 트램펄린의 하부에 쌓이는 먼지를 상기 유동관 및 지지 덕트 프레임 내부를 통하여 간단하고 편리하게 포집하는 덕트 프레임 구조를 갖는 트램펄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ampoline refrigerator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ing duct frames arranged at a lower portion of a trampoline and a flow pipe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ing duct frames, And a duct frame structure for collecting dust accumulated in a lower portion of the duct frame and the supporting duct frame simply and conveniently.

본 발명에 따른 덕트 프레임 구조를 갖는 트램펄린 장치는 트램펄린 매트(1); 상기 트램펄린 매트(1)의 하부에 배치되는 메인 덕트 프레임(10); 상기 메인 덕트 프레임(10)의 하단에 상기 트램펄린 매트(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단위유동모듈; 상기 메인 덕트 프레임(10) 또는 상기 단위유동모듈에 연통하도록 결합되는 배기관(50); 및 상기 배기관 상에 배치되는 흡입모듈(55);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유동모듈은 상기 트램펄린 매트(1)의 하단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 덕트 프레임(20) 및 상기 지지 덕트 프레임(20) 사이에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유동관(3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덕트 프레임(10), 지지 덕트 프레임(20) 및 유동관(30)은 중공관 형이며, 상기 유동관(30)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트램펄린 매트(1) 하부 공간 상의 먼지는 상기 지지 덕트 프레임(20) 및 상기 배기관(50)을 통해 배출된다.A trampoline apparatus having a duct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trampoline mat (1); A main duct frame 10 disposed under the trampoline mat 1; A unit flow module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duct frame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mpoline mat (1); An exhaust pipe (50)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duct frame (10) or the unit flow module; And a suction module (55) disposed on the exhaust pipe, wherein the unit flow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ing duct frames (20)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trampoline mat (1)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duct frames Wherein the main duct frame (10), the supporting duct frame (20) and the flow pipe (30) are hollow tubes, and the trampoline mats (1) Dust on the lower space is discharged through the supporting duct frame (20) and the exhaust pipe (50).

상기 지지 덕트 프레임(20)은 수평 덕트 부재(21), 상기 수평 덕트 부재(21)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통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 덕트 부재(22) 및 상기 수평 덕트 부재(21)의 상면과 상기 수직 덕트 부재(22)의 측면을 연결하는 경사 부재(23)를 포함한다.The supporting duct frame 20 includes a horizontal duct member 21, a vertical duct member 22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duct member 21 so as to be vertically communicabl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duct member 21, And an inclined member 23 connecting the side surfaces of the vertical duct member 22.

상기 트램펄린 장치는, 상기 메인 덕트 프레임(10)의 상단을 따라 연장 배치되어 상기 트램펄린 매트(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구조의 안전 펜스(40);를 더 포함한다.The trampolin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afety fence (40) extending along the upper end of the main duct frame (10) and surrounding the edge of the trampoline mat (1).

복수의 상기 단위유동모듈은, 제1 단위유동모듈; 및 상기 트램펄린 장치의 가로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단위유동모듈과 소정 거리이격 배치되는 제2 단위유동모듈;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제1,2 단위유동모듈 중 하나에는 상기 배기관(50)과 흡입모듈(55)이 연결되고, 다른 하나에는 송풍관(60)과 송풍모듈(65)이 연결된다.The plurality of unit flow modules may include: a first unit flow module; And a second unit flow modul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unit flow modul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rampoline apparatus, where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unit flow modules adjacent to the first and second unit flow modules is connected to the exhaust pipe (50) The module 55 is connected and the blowing pipe 60 and the blowing module 6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유동관(3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접힘이 가능한 주름형 부재이다.
The flow tube (30) is a pleated member capable of fold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본 발명은 트램펄린의 하부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 덕트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지지 덕트 프레임 간을 연통하도록 설치되는 유동관을 포함한 상태에서, 트램펄린의 하부 공간 상의 먼지가 유동관과 지지 덕트 프레임의 내부를 따라 유동하게 하는 과정을 통하여 별도의 다른 청소 장치를 구비함이 없이 충실한 청소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upporting duct frames arranged in a row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mpoline and a flow pipe provided so as to communicate between the plurality of supporting duct frames, It is possible to perform a substantial cleaning operation without providing any other cleaning device through the process of flowing along the inside of the duct frame.

또한, 본 발명은 트램펄린 매트가 거치되는 메인 덕트 프레임과 지지 덕트 프레임을 연통하게 구성함으로써 이를 통해 기존의 트램펄린 설치 구조를 이용하여 포집된 먼지의 유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duct frame on which the trampoline mat is mounted and the supporting duct frame are configur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whereby the collected dust can be easily flowed through the existing trampoline mounting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덕트 프레임 구조를 갖는 트램펄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먼지 포집 구조를 구성하는 복수의 지지 덕트 프레임과 유동관의 결합 구조를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트램펄린 매트가 거치되는 메인 덕트 프레임을 통해 먼지가 포집되어지는 먼지 포집 구조의 다른 실시예, 및
도 4는 트램펄린의 가로 방향을 따라 이격되는 복수의 단위유동모듈의 배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trampoline apparatus having a duct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oupling structure of a plurality of supporting duct frames and a flow tube constituting the dust collecting structure of Fig. 1; Fig.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dust collecting structure in which dust is collected through a main duct frame on which a trampoline mat is mounted, and Fig.
4 is a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unit flow modules spaced along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rampolin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의 기능 또는 공지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은 트램펄린 하부 공간에서 발생하는 먼지를 포집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하는 것이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먼지의 비산이 가능한 작업 현장 등에 다양하게 응용 및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structure for collecting dust generated in the lower space of the trampolin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applications and applications may be possible in a work site where dust can be scattered.

본 발명인 덕트 프레임 구조를 갖는 트램펄린 장치는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제조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The trampoline apparatus having the duct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tegrally or separately from each other as needed. In addition, some components may be omitted depending on the usage pattern.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Quot; may be "connected,""coupled," or "connected. &Quot;

덕트 프레임 구조를 갖는 트램펄린 장치(100)A trampoline apparatus (100) having a duct frame structure

트램펄린 장치(100)는 트램펄린 매트(1)의 가장자리와 하부단에 배치되는 메인 덕트 프레임(10), 메인 덕트 프레임(10)의 하단에 결합되는 지지 덕트 프레임(20), 복수의 지지 덕트 프레임(20) 사이에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유동관(30), 메인 덕트 프레임(10)의 상단을 따라 연장 배치되어 트램펄린 매트(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구조의 안전 펜스(40), 지지 덕트 프레임(20)의 일측에 연통하는 상태로 결합하는 배기관(50), 배기관(50) 상에 배치되는 흡입 모듈(55), 및 배기관(50)의 외부 타측에 배치되어 배출되는 먼지의 외부로의 방출을 가능하게 하는 배기구(57)를 포함한다.The trampoline apparatus 100 includes a main duct frame 10 disposed at an edge and a lower end of the trampoline mat 1, a supporting duct frame 20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main duct frame 10, 20, a safety fence 40 extending along the upper end of the main duct frame 10 and surrounding the edge of the trampoline mat 1, a supporting duct frame 20, A suction module 55 disposed on the exhaust pipe 50 and a dust discharging device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exhaust pipe 50 for discharging the dust to the outside (57).

본 발명을 구성하는 메인 덕트 프레임(10), 지지 덕트 프레임(20), 및 유동관(30)은 모두 중공관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서, 일체적으로 트램펄린 매트(1)의 하부 공간 상에서 발생하는 먼지의 유동 통로 기능을 하게 된다.
The main duct frame 10, the supporting duct frame 20 and the flow pipe 3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ll have the shape of a hollow tube and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flow of dust generated in the lower space of the trampoline mat 1 It functions as a passageway.

메인 덕트 프레임(10)은 트램펄린 매트(1)의 길이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는 사각 덕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단면을 갖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할 수 있다.
The main duct frame 10 may have a rectangular duct shape extending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r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trampoline mat 1,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shapes having different cross sections may be possible.

지지 덕트 프레임(20)은 수평 덕트 부재(21), 수평 덕트 부재(21)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통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 덕트 부재(22), 수평 덕트 부재(21)의 상면과 수직 덕트 부재(22)의 측면을 연결하는 경사 부재(23)를 포함한다.The supporting duct frame 20 includes a horizontal duct member 21, a vertical duct member 22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duct member 21 so as to be vertically communicabl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duct member 21, And an inclined member 23 that connects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member 22.

상기 지지 덕트 프레임(20)은 트램펄린 매트(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일렬로 배치되며, 메인 덕트 프레임(10)의 하단에 연결된 상태에서 트램펄린 매트(1)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특히, 사용자들에 의해 트램펄린 매트(1) 상에 가해지는 하중 및 진동을 적절히 지탱하고 분산하기 위해서 별도의 댐핑장치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The supporting duct frames 20 are arranged in a line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mpoline mat 1 and support the load of the trampoline mat 1 in a state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duct frame 10. In particular, it may be desirable to attach a separate damping device to properly support and distribute the loads and vibrations exerted on the trampoline mat 1 by the users.

유동관(30)은 이웃하는 복수의 지지 덕트 프레임(20)의 측면에 연통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웃하는 복수의 수평 덕트 부재(21) 간을 연결하거나, 이웃하는 복수의 수직 덕트 부재(22) 간을 연결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flow tube 30 is communicably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a plurality of neighboring supporting duct frames 20 and specifically concretely connects a plurality of neighboring horizontal duct members 21 or a plurality of neighboring vertical duct members 20, (22).

유동관(30)은 일 실시예로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접힘이 가능한 주름형 신축 부재일 수 있고, 그 외면에는 다수의 관통홀(32)이 형성된다. In one embodiment, the flow tube 30 may be a foldable stretchable member capable of folding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2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reof.

유동관(30)과 지지 덕트 프레임(20) 간의 연결 형태는 수평 덕트 부재(21)의 측면에 돌출 형성된 결합 돌기 상에 유동관(30)의 끝단이 체결되는 형태이거나 수평 덕트 부재(21)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홀에 유동관(30)의 끝단이 삽입 체결되는 형태일 수 있는데, 이에 제한되는 것은 다양한 체결 구조가 가능할 수 있다.The connecting shape between the flow pipe 30 and the supporting duct frame 20 may be such that the end of the flow pipe 30 is fastened on the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horizontal duct member 21, And the end of the flow tube 30 may be inserted into the formed coupling ho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fastening structures may be possible.

한편, 트램펄린 장치(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유동관(30) 및 복수의 지지 덕트 프레임(20)의 연결 구조를 단위유동모듈로 정할 수 있다.
The connection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flow tubes 30 and the plurality of support duct frames 20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mpoline apparatus 100 may be defined as a unit flow module.

안전 펜스(40)는 트램펄린 매트(1)의 길이 방향을 따른 메인 덕트 프레임(10) 상단에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수직 바아(42), 복수의 수직 바아(42) 상단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 바아(41) 및 수직 바아(42)와 수평 바아(41) 사이에 배치되는 격자 형상의 안전망(43)을 포함한다.
The safety fence 40 includes a vertical bar 42 disposed at an upper end of the main duct frame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mpoline mat 1, a horizontal bar 42 interconnecting the upper end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bars 42 41 and a grid-shaped safety net 43 disposed between the vertical bar 42 and the horizontal bar 41. [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트램펄린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rampoline apparatus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FIG.

제어부(미도시)는 기설정된 청소 주기에 따라서 흡입 모듈(55)에 내장된 흡입 모터 및 흡입팬의 작동을 조절한다. 일례를 들어서 매일 2시간 간격으로 흡입 모듈(55)의 작동을 30분 정도씩 가동하는 것으로 정할 수 있다. 흡입 모듈(55)의 흡입팬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흡입력은 유동관(30)의 관통홀(32)을 통해 먼지를 유동관(30) 내로 유입하게 한다. 유입된 먼지는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유동관(30) 및 복수의 수평 덕트 부재(21)를 따라 유동하고, 최종적으로는 배기관(50)과 배기구(5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The control unit (not shown) adjusts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tor and the suction fan built in the suction module 55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leaning cycle.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module 55 may be set to operate for about 30 minutes every two hours every day. The suction force generated by the rotation of the suction fan of the suction module 55 causes the dust to flow into the flow tube 30 through the through hole 32 of the flow tube 30. The inflowing dust flows along a plurality of continuously arranged flow tubes 30 and a plurality of horizontal duct members 21 and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ipe 50 and the exhaust port 57.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10)의 일측에 연통하는 상태로 배기관(50)이 결합된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는 복수의 유동관(30) 및 복수의 수평 덕트 부재(21)를 따라 유입되는 먼지가 수직 덕트 부재(22)를 통해 메인 프레임(10)으로 유동하게 되고, 메인 프레임(10) 내부의 먼지는 최종적으로는 배기관(50)과 배기구(5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Referring to FIG. 3, it is shown that the exhaust pipe 50 is connected in a state of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main frame 10. The dust introduced along the plurality of flow tubes 30 and the plurality of horizontal duct members 21 flows into the main frame 10 through the vertical duct member 22 and the dust inside the main frame 10 Is fin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exhaust pipe (50) and the exhaust port (57).

상기 구조에서는 트램펄린 장치(100)의 기본 프레임 구조를 그대로 활용한 상태에서, 배기관(50)이 메인 프레임(10)의 일측단에만 결합되는 것으로 배기 구조의 구성이 가능하다. 이를 통해 트램펄린 장치(100)의 가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단위유동모듈에 배기관이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생략할 수 있다.
In the above structure, the exhaust pipe 50 is coupled to only one end of the main frame 10 while the basic frame structure of the trampoline apparatus 100 is used as it is. It is possible to omit the exhaust pipes from being individu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unit flow modules disposed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trampoline apparatus 100. [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트램펄린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유동관(30) 및 복수의 지지 덕트 프레임(20)의 연결 구조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유동모듈이 트램펄린 장치(100)의 가로 방향을 따라 한쌍이 나란히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Hereinafter, another embodiment of the trampoline apparatu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Here, a plurality of unit flow modules includ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plurality of flow tubes 30 and a plurality of support duct frames 20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trampoline apparatus 100 As shown in FIG.

도면 상에서 좌측으로는 복수의 제1유동관(30a) 및 복수의 제1지지 덕트 프레임(20a)을 갖는 제1단위유동모듈이 배치되고, 우측으로는 제1단위유동모듈로부터 트램펄린 장치(100)의 가로 방향을 따라 소정거리 이격되는 제2단위유동모듈이 배치된다. 제2단위유동모듈은 복수의 제2유동관(30b) 및 복수의 제2지지 덕트 프레임(20b)을 갖는다.A first unit flow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first flow tubes 30a and a plurality of first support duct frames 20a is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tamping device 100, And a second unit flow modul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along the lateral direction is disposed. The second unit flow module has a plurality of second flow tubes 30b and a plurality of second support duct frames 20b.

제1단위유동모듈을 이루는 복수의 제1지지 덕트 프레임(20a)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지지 덕트 프레임에는 배기관(50) 및 흡입 모듈(55)이 연결된다.The exhaust duct 50 and the suction module 55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duct frame disposed at the outermost of the plurality of first supporting duct frames 20a constituting the first unit flow module.

한편, 제2단위유동모듈을 이루는 복수의 제2지지 덕트 프레임(20b) 중 최외곽에 배치되는 지지 덕트 프레임에는 송풍관(60) 및 송풍 모듈(65)이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blowing duct 60 and the blowing module 65 are connected to the support duct frame disposed at the outermost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supporting duct frames 20b constituting the second unit flow module.

이하, 트램펄린 장치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rampoline apparatus will be described.

송풍 모듈(65)을 통해 공급되는 바람은 송풍관(60)을 통해 제2단위유동모듈에 공급되는데, 제2단위유동모듈을 이루는 제2유동관(30b)에 형성된 복수의 유출홀(32b)를 통해 공급되는 바람이 고속으로 배출된다. 여기에서, 배출되는 바람은 이웃하는 제1단위유동모듈의 제1유동관(30a) 측으로 향한다.The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blowing module 65 is supplied to the second unit flow module through the blowing pipe 60. Through the plurality of outflow holes 32b formed in the second flow tube 30b constituting the second unit flow module, The supplied wind is discharged at high speed. Here, the discharged wind is directed to the first flow tube 30a side of the neighboring first unit flow module.

한편, 제1단위유동모듈은 흡입모듈(55)의 흡입력에 의해 제1유동관(30a)의 유입홀(32a)을 통해 먼지를 흡입한 후에 배기구(57)를 통해 배출한다.
Meanwhile, the first unit flow module sucks the dust through the inlet hole 32a of the first flow tube 30a by the suction force of the suction module 55, and then discharges the dust through the outlet 57. [

상기 유입홀(32a)과 유출홀(32b)의 배치형태의 일 실시예로서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유동관(30a,30b) 상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inflow hole 32a and the outflow hole 32b,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inflow hole 32a and the outflow hole 32b are formed on the flow tubes 30a and 30b in the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한편, 유입홀(32a)과 유출홀(32b)의 배치형태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유동관(30a,30b) 상에 각각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1유동관(30a)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 원주 상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복수개의 유입홀(32a)이 배치되며, 제2유동관(30b)을 중심으로 하여 동일 원주 상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복수개의 유입홀(32b)이 배치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arrangement of the inlet holes 32a and the outlet holes 32b, they may be radially formed on the flow tubes 30a and 30b, respectively. In this case, a plurality of inflow holes 32a are arranged on the same circumference on the same circumference with the first flow tube 30a as a center, and a plurality of inflow holes 32a are arranged on the same circumference on the same circumference with the second flow tube 30b as a center A plurality of inflow holes 32b can be arranged to be maintained.

1 : 트램펄린 매트
10 : 메인 덕트 프레임
20 : 지지 덕트 프레임
30 : 유동관
40 : 안전 펜스
50 : 배기관
55 : 흡입 모듈
60 : 송풍관
65 : 송풍 모듈
100 : 트램펄린 장치
1: Trampoline Mat
10: Main duct frame
20: Support duct frame
30: Flow tube
40: Safety fence
50: Exhaust pipe
55: Suction module
60: blower
65: blowing module
100: Trampoline device

Claims (5)

트램펄린 매트(1);
상기 트램펄린 매트(1)의 하부에 배치되는 메인 덕트 프레임(10);
상기 메인 덕트 프레임(10)의 하단에 상기 트램펄린 매트(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단위유동모듈;
상기 메인 덕트 프레임(10) 또는 상기 단위유동모듈에 연통하도록 결합되는 배기관(50); 및
상기 배기관 상에 배치되는 흡입모듈(55);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유동모듈은 상기 트램펄린 매트(1)의 하단에 결합되는 복수의 지지 덕트 프레임(20) 및 상기 지지 덕트 프레임(20) 사이에 연통하도록 배치되는 유동관(30)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 덕트 프레임(10), 지지 덕트 프레임(20) 및 유동관(30)은 중공관 형이며,
상기 유동관(30)을 통해 유입되는 상기 트램펄린 매트(1) 하부 공간 상의 먼지는 상기 지지 덕트 프레임(20) 및 상기 배기관(50)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프레임 구조를 갖는 트램펄린 장치.
A trampoline mat (1);
A main duct frame 10 disposed under the trampoline mat 1;
A unit flow module disposed at a lower end of the main duct frame (1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rampoline mat (1);
An exhaust pipe (50)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duct frame (10) or the unit flow module; And
And a suction module (55) disposed on the exhaust pipe,
The unit flow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duct frames 20 coupled to a lower end of the trampoline mat 1 and a flow pipe 30 arranged to communicate between the support duct frames 20,
The main duct frame 10, the supporting duct frame 20 and the flow pipe 30 are hollow tubes,
Wherein dust on the lower space of the trampoline mat (1) flowing through the flow pipe (30) is discharged through the supporting duct frame (20) and the exhaust pipe (50)
A trampoline apparatus having a duct fram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덕트 프레임(20)은 수평 덕트 부재(21), 상기 수평 덕트 부재(21)의 상면에 수직 방향으로 연통가능하게 결합되는 수직 덕트 부재(22) 및 상기 수평 덕트 부재(21)의 상면과 상기 수직 덕트 부재(22)의 측면을 연결하는 경사 부재(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프레임 구조를 갖는 트램펄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ing duct frame 20 includes a horizontal duct member 21, a vertical duct member 22 communicab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duct member 21 so as to be vertically communicable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duct member 21, And an inclined member (23) connecting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duct member (22).
A trampoline apparatus having a duct frame structur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램펄린 장치는,
상기 메인 덕트 프레임(10)의 상단을 따라 연장 배치되어 상기 트램펄린 매트(1)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는 구조의 안전 펜스(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프레임 구조를 갖는 트램펄린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trampoline apparatus includes:
And a safety fence (40) extending along the upper end of the main duct frame (10) and surrounding the edge of the trampoline mat (1).
A trampoline apparatus having a duct fram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단위유동모듈은,
제1 단위유동모듈; 및
상기 트램펄린 장치의 가로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단위유동모듈과 소정 거리이격 배치되는 제2 단위유동모듈;을 포함하고,
이웃하는 제1,2 단위유동모듈 중 하나에는 상기 배기관(50)과 흡입모듈(55)이 연결되고,
다른 하나에는 송풍관(60)과 송풍모듈(65)이 연결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프레임 구조를 갖는 트램펄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lurality of unit flow modules may include:
A first unit flow module; And
And a second unit flow module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unit flow module along a lateral direction of the trampoline apparatus,
The exhaust pipe 50 and the suction module 55 are connected to one of the neighboring first and second unit flow modules,
And the blowing pipe (60) and the blowing module (65)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trampoline apparatus having a duct frame struct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관(30)은 길이 방향을 따라 접힘이 가능한 주름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프레임 구조를 갖는 트램펄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tube (30) is a corrugated member capable of folding along its longitudinal direction.
A trampoline apparatus having a duct frame structure.
KR1020140045158A 2014-04-16 2014-04-16 Trampoline Cleaning Apparatus having Duct Frame Structure for Dust Flow KR1015505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158A KR101550539B1 (en) 2014-04-16 2014-04-16 Trampoline Cleaning Apparatus having Duct Frame Structure for Dust F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158A KR101550539B1 (en) 2014-04-16 2014-04-16 Trampoline Cleaning Apparatus having Duct Frame Structure for Dust Flow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539B1 true KR101550539B1 (en) 2015-09-04

Family

ID=54247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158A KR101550539B1 (en) 2014-04-16 2014-04-16 Trampoline Cleaning Apparatus having Duct Frame Structure for Dust F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53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6598B2 (en) 2018-04-25 2023-11-07 Robovision Limited Safety barrier for play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513B1 (en) 2003-11-27 2005-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dust removal device for painting process
JP2006204571A (en) 2005-01-28 2006-08-10 Mitsubishi Heavy Ind Ltd Bedding cleaning apparatus
KR101347981B1 (en) 2012-10-16 2014-01-09 한기수 Trampoline facility for installing in indo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7513B1 (en) 2003-11-27 2005-08-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 dust removal device for painting process
JP2006204571A (en) 2005-01-28 2006-08-10 Mitsubishi Heavy Ind Ltd Bedding cleaning apparatus
KR101347981B1 (en) 2012-10-16 2014-01-09 한기수 Trampoline facility for installing in indo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06598B2 (en) 2018-04-25 2023-11-07 Robovision Limited Safety barrier for play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9194B2 (en) Local clean zone forming device
CN105665279B (en) A kind of efficient Sand screen for building
CN109563668A (en) Clothes treatment device
KR101550539B1 (en) Trampoline Cleaning Apparatus having Duct Frame Structure for Dust Flow
CN208526100U (en) Mobile type dust collector in a kind of subway station
CN203735422U (en) Vegetable pretreatment system
KR101347981B1 (en) Trampoline facility for installing in indoor
CA2841243A1 (en) Local air cleaning apparatus
JP5578726B2 (en) Clean booth
KR20150141012A (en) Trampoline having slope and stairs
JP5165910B2 (en) Island where game machines are installed
CN113210260B (en) Conveying type vibration cleaning device for grain production
US6139728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removing solid particles from a flowing fluid
CN207500211U (en) A kind of air-introduced machine with multi-layer filtrating equipment
CA2772477C (en) Vertical drop product cleaner with perforated intake manifold
CN208288423U (en) A kind of water dropper screening machine
JP2008220589A (en) Game machine installation island and execution method of game machine installation island
KR20130115746A (en) Cleaning system for trampoline bottom and cleaning method for trampoline bottom
KR101630534B1 (en) Trampoline Apparatus with Maze Structure
JP2003079540A (en) Dust collector and dust collecting system
KR100464614B1 (en) Personal golf practice range
JP6719355B2 (en) Blower
CN108157997A (en) A kind of vegetables sell production vegetable cleaning device
KR101350258B1 (en) An apparatus for cleaning embedded air-conditioner in ceiling
CN213281091U (en) Animal drying device and have its animal belt clea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