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385B1 -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 - Google Patents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385B1
KR101550385B1 KR1020130159100A KR20130159100A KR101550385B1 KR 101550385 B1 KR101550385 B1 KR 101550385B1 KR 1020130159100 A KR1020130159100 A KR 1020130159100A KR 20130159100 A KR20130159100 A KR 20130159100A KR 101550385 B1 KR101550385 B1 KR 101550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color
light
treatment
op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1951A (ko
Inventor
이병일
신인희
박재석
엄주범
박형주
나창수
Original Assignee
한국광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광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광기술원
Priority to KR1020130159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385B1/ko
Publication of KR20150071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1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8Psychologic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26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5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 A61N2005/0647Applicators worn by the patient the applicator adapted to be worn on the h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Light sources therefor
    • A61N2005/0651Diodes
    • A61N2005/0653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58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wavelength of light used
    • A61N2005/0662Visible light
    • A61N2005/0663Coloured l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sychiatry (AREA)
  • Psych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Radiation-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색광을 이용한 특정 질병 및 심미치료를 위한 오색광을 이용한 증상별 색치료 광원조사장치 및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빛을 이용한 생체 내에서 광화학작용을 일으켜 세포의 신진대사 촉진, 세포의 합성 촉진, 혈액순환 개선을 위하여 특정 파장의 오색(황색, 적색, 녹색, 백색, 주황색)을 집적화시켜 집중적으로 혹은 복합적으로 치료목적의 광조사하는 색치료 광원조사장치 및 심미치료와 눈의 보호를 위해 OLED를 적용한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증상별 색치료를 위한 광원조사장치 및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Light exposure system and optical glasses for lighting therapy for treatment of symptom}
본 발명은 신체의 장기와 부위별 증상에 대하여 오색광을 이용한 광치료 및 심미치료를 위한 증상별 색치료를 위한 광원조사장치 및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빛을 이용한 생체 내에서 광화학작용을 통한 세포의 신진대사 촉진, 세포의 합성 촉진, 혈액순환 개선 효과를 특정 파장의 오색(황색, 적색, 녹색, 백색, 주황색)을 집적화시킨 색치료 광원조사장치와 이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심미치료 및 눈의 보호를 위한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빛을 이용한 광의 색치료는 오래 전부터 태양광을 이용한 치료법이 존재하였으며, 일반적으로 해를 입지 않는 범위에서 일광욕을 하거나 또는 선텐과 같이 인공적인 광원을 이용하여 특정 파장의 기구를 이용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 조사하여 치료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특정 색의 이용에 따라 사람에게 영양소를 공급하고 역동적으로 사람의 심신 상태를 조화롭고 균형 있게 유지 해주거나 복원시켜 주는 등 다양한 인체 내 작용을 하게 된다.
최근에는 색치료 분야에서는 특정 파장의 할로겐 램프나 레이저를 이용한 여드름, 황달, 통증치료, 상처회복, 모발치료 등의 외과적인 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어지고 있다. 즉 적외선 광원은 통증완화를 위해 물리치료실에서뿐만 아니라 가정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찜질방이나 건강센터에서도 효과적으로 이용되는 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 LED를 이용한 분리된 특정된 파장의 광원을 사용하기도 하며, 일반적인 조명 장치로는 할로겐 램프를 이용한 병변의 부분적 사용이나, 저출력의 레이저를 이용한 집중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광학적인 방법은 비침습적으로 고통이 동반되지 않는 치료법으로서 광을 이용한 치료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으며, 많은 연구를 통해 특정 파장에 대한 병변의 치료 및 심미치료(정신적 치료)의 효과에 대한 많은 성과들이 알려지고 있다. 즉 색상심미치료의 경우 환자에게 안정되게 하는 색상을 계속 보이게 함으로써 심리적으로 안정을 찾게 하여 정신적 치료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한의학적으로도 오색광에 대한 치료가 외부환경에 대한 내부장기를 연관지어 영향을 유기적으로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빨강은 생명력에 대한 기능으로 혈액순화 촉진 및 교감신경계 자극과 간과 근육조직의 활성화 기능이 있으며, 주황은 여성적 에너지, 균형 및 행복, 정서안정에 관련하고 있고, 노랑은 정신과 지성기능으로 운동신경을 활성화하고 소화불량, 우울증 등에 효과가 있으며, 녹색은 해독기능, 혈액응고완화 등으로 피로회복, 정신질환, 불면증에 효과가 있다. 또한 파랑은 생체조직 내 산화 촉진 및 호르몬 활동 저지, 혈관 축소의 기능으로 흥분을 안정시키고 히스테리, 가려움증, 생리불순 등에 효과가 있으며, 이외에도 남색, 자주색, 흰색, 흑색 등이 한의학적 치료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광을 이용한 치료의 경우 레이저와 같은 특정 광원에 대해서 국한이 되어 있어, 구매 및 유지보수에 대한 높은 비용이 발생되어지며 레이저의 무분별한 사용과 부주의한 사용으로 더 큰 문제들이 발생이 되고 있다.
또한 광원에서 발생되는 특정 파장의 빛이 눈에 입사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는 도구의 경우 일부분에만 단순 적용될 뿐 광치료에 있어서 관리자 및 환자의 눈을 최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방안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아울러 시술되는 동안 환자를 심리적으로 안정시킬 방안도 모색되어야 하는 것이다.
특허출원 제10-2011-0089822호 특허출원 제10-2008-0059016호 특허출원 제10-2012-0030677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효과적인 광원의 구성에 있어서, 특정 증상에 효과가 있는 오색 광 중 특정 파장만을 선택 한 후 조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증상 부위에 대한 부분(집중) 치료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병변의 증상 정도에 따른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LED 광원을 사용하여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특정 부위의 병변에 대한 오색광의 집중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광원의 회전 및 이동이 편리하도록 구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눈을 보호하기 위해 특정 파장에 대한 필터링 기능을 가진 안경 및 오색에 대한 연동된 심미치료를 위해서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이용한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을 구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에 색치료를 하는 동안 동일색상계열의 영상과 심미치료를 위한 음악, 그리고 치료 전 치료 후 치료 중에 치료 정보를 볼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어기(컨트롤러)를 함께 구성하여 구현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색 광 색치료 광원조사장치와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을 함께 사용하여 광원조사장치에서 방출되는 특정 파장의 빛에 대해 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색을 통한 심미치료를 병행하여 병변에 대한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오색의 파장을 갖는 색치료 광원조사장치는 사각형(육면체), 원형(반구) 및 다면체 형태로 이루면서 다수개의 LED 광원이 사람의 모든 부위, 즉 병변에 직접 조사가 될 수 있는 구조의 반사체 위에 고정되며, 일정 시간 조사 시간 가운데 다수개의 광원의 발열을 막을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되어 있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개의 LED의 모듈이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져 필요에 따라 광원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LED 모듈의 발열을 막기 위해 일정 간격의 홈을 내어 자연 냉각, 전기 냉각, 수냉식 냉각 등을 통해 열을 억제할 수 있고, 광원의 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색치료 광원조사장치의 광원 모듈은 다수의 개의 LED로 이루어지며, 병변에 대한 집중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광원 모듈의 조사 각도를 수동 및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오색광을 이용한 증상별 색치료 광원조사장치는 천장 부착 형태 또는 스탠드 형태로 광원조사장치의 높낮이 조절과 회전과 같이 이동이 쉽도록 하는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OLED를 적용한 광학안경을 구성하여 안경의 렌즈에 특정 색깔의 발현으로 필터링과 심미치료를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본 발명은, 다수 색상 빛을 발생하는 LED 광원부; 및 LED 광원부가 설치되는 광원조사장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LED 광원부는: 다수 색상 빛을 발생하는 다수 개의 LED가 설치되는 LED 광원 모듈; 및 상기 LED 광원 모듈(310)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LED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별 색치료 광원조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광원조사장치 케이스는 육면체 형상, 반구형 형상, 반타원체 형상, 반다면체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별 색치료 광원조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LED 광원은, 황색, 적색, 녹색, 백색, 및 주황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색상을 갖는 LED 광원, 황색, 적색, 녹색, 백색, 및 주황색 중 어느 둘 이상의 색상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여러 가지 색상을 구현하는 LED 광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별 색치료 광원조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LED 오색 광원 모듈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LED 오색 광원 모듈의 외측이 광원조사장치 케이스의 고정 틀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별 색치료 광원조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LED 광원에 의한 조사 시간, 광량의 세기, 여기 광원 색깔의 전환을 조절하기 위한 컨트롤러; 및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LC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별 색치료 광원조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광원조사장치 케이스와 LED 여기 광원 모듈 사이에, LED 여기 광원 모듈에 의한 광원 조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유압식 실린더를 포함하고, LED 여기 광원 모듈 후면에 냉각용 방열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상별 색치료 광원조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 빛을 투과시키는 광학안경 렌즈 및 광학안경 렌즈 양측의 안경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안경 렌즈는 OLED로 이루어지며, 병변의 대상에 대해 조사되는 빛이 사용자 또는 환자의 눈으로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며, 빛의 조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안경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 광학안경 렌즈 일측으로 전원부, 및 외부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타측으로 OLED로 이루어지는 광학안경 렌즈가 특정 파장에 대한 필터링 구조를 이루고 색상을 갖도록 제어하기 위한 안경컨트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안경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 상기의 광원조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기의 광학안경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광원조사장치의 광원의 세기, 조사 시간, 빛의 조사 간격에 대해 광원조사장치를 제어하고, 광학안경으로 광조사에 따른 영상신호, 음악, 음성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조사시스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먼저 본 발명은 다수의 LED 모듈을 사용하여 출력의 향상과 사용 목적에 따른 광원 출력 세기의 조정을 쉽게 할 수 있으며, 모듈을 둘러싸고 있는 반사경으로 고른 조사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LED 모듈의 탈부착으로 광원 모듈의 변경이 용이하여 다양한 파장의 광원을 사용할 수 있으며, 광원 모듈의 문제로 생기는 수리가 간단하여 유지보수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고정형식과 스탠드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공간 활용과 용이한 이동을 할 수 있으며, 병변의 위치에 따른 광원조사장치의 위치와 높낮이를 조정과 광원 모듈의 조사각도를 수동 및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광원조사장치의 형태가 사각(육면체), 원(반구) 및 다면체 형태의 구성되어 병변에 대한 광의 조사가 이루어지며, 광 조사의 치료로 환자의 고통의 감소 안정감을 가져 올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OLED가 적용된 색상 심미치료용 광학안경의 착용으로 특정 파장에 대한 눈의 보호 및 특정 색깔에 대한 심미치료를 통해 안정적이면서 부가적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심미치료용 안경을 통해 치료진행에 따라 안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색상별 선택된 사진이나 그림을 통해 심미적 치료효과를 연관하여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안정을 위해 음악을 연동하여 들음으로서 부가적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색광을 이용한 증상별 색치료 광원조사장치의 사시도로, 천정 등 설치면에 설치되는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색광을 이용한 증상별 색치료 광원조사장치의 사시도로, 스탠드형으로 되어 이동가능하게 실시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색광을 이용한 증상별 색치료 광원조사장치의 LED 오색 광원모듈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색광을 이용한 증상별 색치료 광원조사장치의 LED 광원부에 손잡이가 구성된 실시예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색광을 이용한 증상별 색치료 광원조사장치의 광조사장치 케이스의 상면 부분에 대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색광을 이용한 증상별 색치료 광원조사장치의 광원모듈에 대한 개략적인 예시도로, 직사각형 형상의 모듈 및 원형의 모듈을 예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색광을 이용한 증상별 색치료 광원조사장치와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의 작동에 대한 개략적인 작동 예시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오색광을 이용한 증상별 색치료 광원조사장치(100) 및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400)에 관한 것으로, 이 중에서 증상별 색치료 광원조사장치(10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2 등에서와 같이, 빛이 발생되는 LED 광원부(300) 및 LED 광원부(300)가 설치되는 색치료 광원조사장치 케이스(11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광원조사장치 케이스(110)의 중앙 및 측면 부분에 전원 및 컨트롤러(120)가 위치되며, 이동이 쉽도록 가볍고 내구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알루미늄 합금 및 PVC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광원조사장치 케이스(110) 내에 LED 광원부(300)가 위치되어 오색의 광이 비추게 된다.
그리고 광원조사장치 케이스(110)는 육면체 형상, 반구형 형상, 반타원체 형상, 반다면체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실시되는 실시 양태에 알맞게 하여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첨부된 도면의 일 실시예시에서는 얇은 두께이면서 조사 방향의 면이 넓은 면적의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예를 보인 것이다.
특히 이러한 상기 LED 광원부(300)는 오색 빛을 발생하는 다수의 LED 칩(도시 안 됨)으로 구성되는 다수 개의 LED광원이 설치되는 LED 오색 광원 모듈(310), 빛이 병변(病變)의 위치에 집중 조사가 될 수 있도록 설치된 반사체(도시 안 됨), 그리고 광원 모듈을 병변의 어느 위치에서도 집중조사를 할 수 있도록 조사 각도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레버(control lever)(도시 안 됨)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 적용될 수 있는 상기 LED 오색 광원 모듈(310)은 오색(황색, 적색, 녹색, 백색, 주황색)을 갖는 각각의 파장 별 LED 칩을 방열판(320)에 위치시켜 첨부된 도 3과 같이 도시된 것처럼 파장별로 LED 오색 광원 모듈(310)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서 주로 이용하는 색상으로는 황색, 적색, 녹색, 백색, 주황색 등의 광원이 주로 이용되며, 이들 오색 광원은 색치료의 주요 광원에 이용되는 광원 색상이라 할 것이다. 이에 황색, 적색, 녹색, 백색, 및 주황색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색상을 갖는 LED 광원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황색, 적색, 녹색, 백색, 및 주황색 중 어느 둘 이상의 색상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여러 가지 색상을 구현하는 LED 광원으로 이용될 수 있어,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광원에 의해 보다 다양한 오색의 색치료를 얻을 수 있는 등 다양한 실시 양태가 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색상을 갖는 광원에 의해 색치료가 이루어질 것이며 이러한 색치료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색상을 갖는 광으로 치료함을 의미한다 할 것이며, 오색 이외에도 다양한 색상의 치료가 가능한 경우에도 해당 색상의 광원을 적용하여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반적인 색치료 과정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색치료에 이용되는 광원 부재들 및 광원조사장치에 대한 발명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LED 광원은, 황색, 적색, 녹색, 백색, 주황색 등의 빛이 발광되는 LED 광원이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더하여 색치료에 상황에 따라 그 외에 다른 파장의 LED 광원을 포함하여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에 일반적으로 오색광을 비롯한 주요 색상을 이용한 질병 치료 및 예방 대상에 대한 예로 일반적으로 알려진 사항들을 보면 아래와 같다.
- 붉은 색: 따뜻하고 자극적이며 충혈된 부위를 풀어주는 기능으로 심장 부위에 비춰주면 적혈구가 증가하고 혈액순환이 좋음.
- 주홍 색: 뇌자극이나 염증 감소 효과, 동맥자극 효과 신장에 에너지를 불어 넣어 주는 효과가 있음.
- 녹색: 가장 강한 치료효과를 가진 대표적인 색깔로 교감 신경계에 작용하여 신장, 간장의 기능을 도와주며 공해불질에 대한 해독 작용이 강함.
- 파란색: 마음을 가라앉혀주고 해독시켜주는 효과가 있어 불면증에 효과가 있음.
- 오렌지 색: 천식이나 호흡기 질환, 근육수축증 소화장애, 궤양, 갑상선 기능 장애, 기타 의욕이 떨어졌을 때 효과를 발휘하며 당뇨 치료시에 사용을 하면 인슐린 사용량을 낮출 수 있음.
- 노란색: 점액성 분비물을 제거하는 성질이 있어 감기치료에 효과적임.
그리고 이러한 LED 오색 광원 모듈(310)은 다수의 LED 칩을 위치시켜 밝은 빛이 발현되도록 하며, LED 오색 광원 모듈(310)의 LED 칩이 위치한 하부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는 전원 접속부(340)를 마련한다. 전원 접속부(340)는 전원공급부(미도시됨)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접속단자(광원조사장치 케이스 등에 마련된 단자)와의 접속으로 LED 오색 광원 모듈(3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이다. 그리고 쉽게 LED 광원 모듈을 설치 및 수리를 할 수 있도록 광원조사장치 케이스(110)에 대해 탈부착이 쉽게 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첨부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원 모듈 고정 틀(140)이 광원조사장치 케이스(110)에 마련되어 LED 오색 광원 모듈(310)을 광원 모듈 고정틀(140)에 의해 고정되어 안착시킬 수 있어 안정적으로 사용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LED 오색 광원 모듈(310)의 외측이 광원조사장치 케이스(110)에 마련된 고정 틀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아울러 LED 오색 광원 모듈(310)은 적용되는 오색(황색, 적색, 녹색, 백색, 주황색)뿐만 아니라 다른 영역의 파장을 갖는 LED 광원 모듈로 교체를 할 수 있으며, 상기 방식과 동일하게 구성 및 활용할 수 있다. 이에 첨부된 도 3의 예에서는 오색의 예에 대한 일 실시예시를 보이고 있으나 이는 사용되는 상황에 따라 각 색상의 위치가 변경되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며, 다른 파장의 광원 모듈로 교체될 경우에도 사용되는 실시상황에 알맞게 응용되어 실시될 것이다. 그리고 LED 오색 광원 모듈(310)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방열판(320)은 재질을 알루미늄 합금 등으로 하여 자연 냉각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수냉식 냉각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도 실시될 수 있을 것이며, 수냉식 냉각장치의 경우, 물을 공급하는 부재 및 수냉의 열교환 부재 등도 함께 마련될 것이다.
또한 하나의 LED 광원 모듈(310)과 방열판(320)의 한 세트와 색 치료 광원조사장치 케이스(110)의 사이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자동 유압식 실린더(도시 안 됨)를 구성하여 자동으로 광원의 조절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자동 유압식 실린더에 대해서 구체적인 구성을 도면으로 제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설치면에 대하여, 또는 환자의 병변의 높이에 대하여 LED 광원 모듈(310)의 높이나 위치, 조사 방향 등을 조절하기 위해 알맞은 위치에 유압식 실린더 및 자동 조절 부재들이 설치될 수 있으며, 아울러 공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로 응용되어 실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LED 광원에서 발현되어 나오는 빛은 병변에 대한 집중 조사를 위하여 LED 광원부(300)가 설치되는 색치료용 광원조사장치 케이스(110) 앞단에 반사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반사체에 의하여 빛을 집중조사할 수 있도록 하여 치료에 대한 효과가 증대될 수 있으며, 빛의 손실을 방지하여 효과적으로 병변에 전달할 수 있으며, 여러 색에 의한 색치료 시작 전후 병변의 위치 확인과 무영등의 역할을 위하여 LED 오색 광원 모듈(310) 일측으로 LED 백색광원(330)을 마련할 수 있다. 이에 도 3의 예에서는 LED 오색 광원 모듈(310) 주변에 LED 백색광원(330)을 4개, 그 사이에 4개가 마련된 것을 예시하였다.
또한 공간의 여건 및 치료 병변의 위치에 따라 색치료 광원조사장치 케이스(110)의 경우 육면체 형상으로 색치료 광원조사장치 케이스(110)를 마련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상 및 형태를 갖추어 실시되도록 함으로써, 조사 대상에 대한 조사가 양호하도록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색치료용 광원조사장치(100)의 측면에 손잡이(130)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도 1 내지 도 5 등에서는 일측으로 둥근 형태의 손잡이가 제공되고 타측으로 직선형태의 손잡이가 제공되는 등, 광원조사장치(100)의 실시 양태에 알맞게 하여 손잡이가 마련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색치료 광원조사장치의 전원 및 컨트롤러(120)는 광원조사장치 측면에 전원 on/off, 다른 색깔의 빛으로 전환, 빛의 조사 시간, 광원 모듈의 조사 각도 등과 같은 간단한 정보를 표시 해주는 LCD와 조작 버튼을 포함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컨트롤러에 의해 LED 광원에 의한 조사시간, 광량의 세기, 여기 광원 색깔들 사이의 전환 등의 조절이 가능하며, LCD를 통하여 컨트롤되는 제어상황 및 광원 조사 상황 등의 정보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색치료 광원조사장치 케이스(110)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2에서와 같이, 한 개 또는 다수 개를 구비할 수 있으며, 천장 고정형 또는 스탠드형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도 1에서처럼 상기 천장 고정형의 경우 천장에 설치되어진 고정축(220)과 색치료 광원조사장치(100)의 광원조사장치 케이스(110)를 연결 및 고정하기 위하여 암(210)을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색치료 광원조사장치(100)의 대상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이동성을 확보와 적정 위치에서 고정되어 사용할 수 있도록 암(210)과 암 사이에 암 커넥터(260)를 설치함으로써, 활용도를 높이게 된다.
또한 LED 광원부(300)가 위치되는 반대쪽, 즉 색치료 광원조사장치 케이스 상부에 도 5에서처럼 광원조사장치를 고정하여 회전 및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 커넥터(160)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러한 회전 커넥터(160)에 의하여 암(210)에 대해 광원조사장치 케이스(110) 및 LED 광원부(300) 등은 회전 및 기울임 등이 자유롭게 되어 병변에 대한 집중 광조사가 잘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도 2에서처럼 상기 스탠드형의 경우 수직고정축(230) 하부에 이동 바퀴(250)가 설치되어 공간의 활용도와 용이한 이동을 할 수 있으며, 수직고정축(230)에는 색치료 광원조사장치(1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 조절 커넥터(240) 등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른 증상별 색치료를 위한 광원조사장치(100)에 대해 구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광원조사장치(1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천정 설치형 또는 스탠드 형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축(220), 상기 고정축(22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암(210), 그리고 상기 암(2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광원조사장치 케이스(110)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광원조사장치 케이스(110)에 결합되는 LED 광원부(30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에 상기 LED 광원부(300)는 다수 개의 LED광원이 설치되는 LED 광원 모듈(310)을 포함하며, 상기 LED 광원 모듈(310)은, 오색 빛을 발생하는 다수 개의 LED광원 및 LED 광원 모듈(310) 주변에 설치된 다수 개의 LED 백색광원(330)을 포함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LED 광원 모듈(310)은 일측 모서리가 원호를 이루는 4개의 사각 모듈 및 4개의 사각 모듈 중앙의 원형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색치료 광원조사장치(100)를 이용하여 병변의 대상에 대한 집중 조사 시 발생되는 오색의 특정 파장 빛이 눈으로 투과되어 발생 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예방과 색을 이용한 심미치료를 동시에 시행할 수 있도록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400)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이러한 상기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400)에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적용하여 부분 집중 광 치료 시 발생되는 오색의 빛이 눈으로 투과되지 않도록 필터링하는 기능과 부가적으로 특정 색을 눈에 노출시켜 정신적 안정 등과 같은 심미치료에 사용될 수 있도록 특정 파장의 투사, 그리고 치료 진행 상황 등의 정보를 볼 수 있는 광학안경 렌즈(410)를 포함하여 구성될 것이다.
또한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400)은 안경의 일측(도 7에서는 왼쪽 측면부)으로 전원부(420) 및 외부 컨트롤러(예: 광원조사장치(100)의 전원 및 컨트롤러(120) 등의 콘트롤러가 연결될 수 있음)와 연결되는 연결부재 등이 위치된다.
그리고 광학안경(400)의 OLED 사용 전원 스위치(도시 안됨) 및 충전 단자(도시 안됨)를 포함하여 충전전원을 이용하며, 광학안경(400)의 다른 일측(도 7에서는 오른쪽 측면부분)에 OLED 색 조정을 위한 안경컨트롤러(430)가 위치되어 사용자에 맞게 조정을 할 수 있도록 실시되는 것이다.
즉 타측으로 OLED로 이루어지는 광학안경 렌즈(410)가 특정 파장에 대한 필터링 구조를 이루고 색상을 갖도록 제어하기 위한 안경컨트롤러가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광학안경(400)에 의하여 특정 파장에 대한 필터링과 특정 색에 대한 심미치료를 위한 발현 색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광학안경 렌즈(410)는 전원의 on/off 상태, 충전의 정도 정보를 표시하는 정보창을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광학안경(400) 양측으로는, 색치료 시 심리적 안정을 줄 수 있는 음악과 치료의 시간의 경과 및 치료정도, 치료상태 등을 음성으로 들려주는 이어폰(440)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광학안경(400)은, 광학안경 렌즈(410)가 양측 눈과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으로, 눈으로 비춰지는 빛을 조절하게 된다. 즉 광원조사장치(100)에서 발생되는 오색의 빛 및 다양한 빛이 눈에 비춰지는 것을 방지하여 눈을 보호하게 된다. 광학안경 렌즈(410)가 OLED로 마련되어 심미적으로 안정되게 하는 영상이나 색상을 갖게 함으로써 광원조사장치(100)에 의한 증상별 색치료 과정 중에 심리적 안정을 이루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광학안경 렌즈(410)의 양측으로는 안경다리가 마련되고, 일측 안경다리에는 전원부(420) 및 외부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가 마련되어 광원조사장치(100)에서의 작동 상태에 대한 정보 및 다양한 정보를 제공받으며,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타측 안경다리에는 광학안경을 제어하기 위한 안경컨트롤러(430)가 마련되며, 안경컨트롤러(430)와 전원부(420) 등은 서로 연결되는 것으로, 이들 안경컨트롤러(430) 및 전원부(420) 등에는 좌우 이어폰(440)이 연결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음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광학안경 렌즈(410) 상부에는 수평 가림부가 마련되어 눈과 광학안경 렌즈(410)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광학안경 렌즈(410)의 영상이 선명하게 보이도록 하면서 시력보호의 기능도 갖게 된다. 또한 상부로부터 이물질이나 빛이 투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광원조사장치 및 광학안경의 메인컨트롤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메인컨트롤러는 광조사장치의 전원 및 컨트롤러(120)로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메인컨트롤러가 광조사장치 케이스(110)에 내재되는 일체형으로 실시될 수도 있다. 아울러 외부에 별도로 마련되는 형태로 메인컨트롤러가 마련되는 개별형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별체형 메인컨트롤러의 경우 광조사장치(100) 및 광학안경(400)으로 각각의 제어신호를 전송하고 상태정보를 전달받아 신호처리하도록 실시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광원의 세기, 조사 시간, 빛의 조사 간격에 대해 광원조사장치를 제어하고, 광학안경으로 광조사에 따른 영상신호, 음악, 음성의 정보를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광원조사장치 110 : 광원조사장치 케이스
120 : 전원 및 컨트롤러 130 : 손잡이
140 : 광원 모듈 고정 틀 150 : 열 방출 홈
160 : 회전 커넥터
210 : 암 220 : 고정축
230 : 수직고정축 240 : 높이 조절 커넥터
250 : 이동 바퀴 260 : 암 커넥터
300 : LED 광원부 310 : LED 오색 광원 모듈
320 : 방열판 330 : LED 백색광원
340 : 전원 접속부
400 : 광학안경 410 : 광학안경 렌즈
420 : 전원부 430 : 안경컨트롤러
440 : 이어폰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빛을 투과시키는 광학안경 렌즈 및 광학안경 렌즈 양측의 안경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안경 렌즈는 OLED로 이루어지며,
    병변의 대상에 대해 조사되는 빛이 사용자 또는 환자의 눈으로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며, 빛의 조사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안경.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안경 렌즈 일측으로 전원부, 및 외부 컨트롤러와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고, 타측으로 OLED로 이루어지는 광학안경 렌즈가 특정 파장에 대한 필터링 구조를 이루고 색상을 갖도록 제어하기 위한 안경컨트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안경.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안경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인컨트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컨트롤러는 증상별 색치료 광원조사장치에서 상기 광학안경으로 광조사에 따른 영상신호, 음악, 음성의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안경.
KR1020130159100A 2013-12-19 2013-12-19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 KR101550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100A KR101550385B1 (ko) 2013-12-19 2013-12-19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100A KR101550385B1 (ko) 2013-12-19 2013-12-19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951A KR20150071951A (ko) 2015-06-29
KR101550385B1 true KR101550385B1 (ko) 2015-09-07

Family

ID=5351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100A KR101550385B1 (ko) 2013-12-19 2013-12-19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38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49149A1 (en) * 2002-10-07 2005-07-07 Chung Dong-Chune C. Phototherapy system and devi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49149A1 (en) * 2002-10-07 2005-07-07 Chung Dong-Chune C. Phototherapy system and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1951A (ko) 201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52033B2 (en) Phototherapy apparatus for skin treatment
US8435273B2 (en) High powered light emitting diode photobiology device
CN203329193U (zh) 多功能综合治疗平台
KR102013247B1 (ko) 얼굴 및 눈 노화방지를 위한 전기자극장치
US20150209597A1 (en) Phototherapy eyeglass device
US20180221682A1 (en) Phototherapy apparatus for hair and skin treatment
KR20120087896A (ko) 손에 들고 사용할 수 있는 저출력 레이저 치료 장치
KR101385707B1 (ko) 가시광선을 이용한 색광 치료 시스템
WO2018090840A1 (zh) 一种应用于代谢性疾病的光治疗装置及方法
US20110125230A1 (en) Portable Light Therapy Devices
KR20140090332A (ko) 테라피 글라스
KR102431396B1 (ko) Led 전신 온열기
TWI544916B (zh) 眼罩式眼部穴位雷射刺激裝置
US8486126B2 (en) Lighting system for use in light therapy
KR101550385B1 (ko) 색상심미치료용 광학안경
CN202184849U (zh) 一种护理皮肤的眼罩
CN202961542U (zh) 一种造型可变的led脸谱
KR101820492B1 (ko) 망막 질환 광치료기
RU17937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тотерапии
TW201302262A (zh) 健髮儀
CN206577255U (zh) 一种光治疗装置
RU124575U1 (ru) Физиотерапевтиче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KR20020091373A (ko) 의료용 광 자극장치
CA2775529C (en) High powered light emitting diode photobiology device
JPH02302276A (ja) 光治療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