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323B1 -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323B1
KR101550323B1 KR1020130097398A KR20130097398A KR101550323B1 KR 101550323 B1 KR101550323 B1 KR 101550323B1 KR 1020130097398 A KR1020130097398 A KR 1020130097398A KR 20130097398 A KR20130097398 A KR 20130097398A KR 101550323 B1 KR101550323 B1 KR 101550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ghtness
controller
lighting load
lighting
l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7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9932A (ko
Inventor
한재용
원동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처테크
Priority to KR1020130097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323B1/ko
Publication of KR20150019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9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3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data-b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Landscapes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조명 부하를 통합적으로 원격 제어하여 조명의 점/소등 및 밝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한 디밍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부하 제어기로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분전함 제어기; 및 상기 분전함 제어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조명 부하의 밝기를 최대 밝기에서 최소 밝기로 또는 최소 밝기에서 최대 밝기로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키는 조명 부하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명 부하가 LED 램프이던지, 메탈할라이드 램프, 나트륨 램프, 수은등, 백열등 등과 같은 기존 조명 기구이던지 간에 각 조명 부하별로 점등, 소등, 밝기 등을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INTEGRATED CONTROL SYSTEM OF LIGHTING LOAD}
본 발명은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각종 조명 부하를 통합적으로 원격 제어하여 조명의 점/소등 및 밝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메탈할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 나트륨 램프, 수은등, 백열등 등으로 구현되어 설치 운영되던 가로등, 방전등, 고천정등, 보안등, 경관조명등 등과 같은 각종 조명 부하는 기존 조명 기구에 비해 소비전력이 낮은 LED 램프로 점차 교체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이, 기존 조명 기구(메탈할라이드 램프, 나트륨 램프, 수은등, 백열등 등)와 LED 램프가 혼재되어 설치 운영되는 각종 조명 부하는 일반적으로 설정된 시간에 일괄적으로 점등되거나, 소등되는 데, 정해진 시간에 조명 부하를 일괄 점등하게 되는 경우에는 조명 부하가 설치된 주변의 밝기에 상관하지 않고 100% 밝기로 비추게 되므로,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종 조명 부하는 조도 센서와 연동하여 주변 밝기에 따라 일괄 점등되거나 일괄 소등되기도 하는 데, 조도 센서와 연동하여 조명 부하를 일괄 점등하게 되는 경우에는 단계별 밝기 조절이 불가능하고, 조명 부하의 밝기를 100% 밝기로 비추게 되므로,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LED 램프로 구현된 조명 부하의 경우에는 조광기 및 조광기와 연동하여 디밍이 가능한 LED 램프를 이용하여 LED 램프의 조명 밝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LED 램프의 조명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 조광기 및 디밍이 가능한 LED 램프를 설치해야 하므로, 초기 설치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경향이 있으며, 나아가 별도의 조광기 설치라는 불편한 공사가 뒤따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20806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분전함 제어기를 통해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조명의 밝기를 최소 밝기에서 최대 밝기로(또는 최대 밝기에서 최소 밝기로) 단계별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현장용 로컬 제어기로부터 입력받은 디밍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부하로 출력되는 DC 출력 전압을 가변시켜 조명의 밝기를 단계별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현장용 로컬 제어기로부터 입력받은 디밍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부하로 출력되는 AC 출력 전압의 가변에 의한 위상 제어를 통해 조명의 밝기를 단계별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부터 수신한 디밍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부하 제어기로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분전함 제어기; 및 상기 분전함 제어기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조명 부하의 밝기를 최대 밝기에서 최소 밝기로 또는 최소 밝기에서 최대 밝기로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키는 조명 부하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분전함 제어기; 및 상기 분전함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디밍 제어 명령에 의거하여 조명 부하의 밝기 단계를 파악하고, 파악된 밝기 단계로 조명 부하를 점등시키는 조명 부하 제어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각 조명 부하별로 점등, 소등, 밝기 등을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명 부하가 LED 램프이던지, 메탈할라이드 램프, 나트륨 램프, 수은등, 백열등 등과 같은 기존 조명 기구이던지 간에 원격으로 점등, 소등, 밝기 등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전함 제어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명 부하 제어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현장용 로컬 제어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현장용 로컬 제어기의 입력부의 구성과 올림 버튼과 내림 버튼의 입력에 따른 조명 밝기의 변화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전함 제어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전함 제어기(100)는 전원 공급부(110),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필터부(115), 정전압 공급부(120), 보조 전원부(125), 릴레이부(130), 저장부(135), 제1유무선 통신부(140), 제2유무선 통신부(145), 위치 정보 제공부(150), 디스플레이부(155), 제어부(1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11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교류(AC)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EMI 필터부(115)는 전원 공급부(110)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전자기 방해(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잡음을 제거한다.
정전압 공급부(120)는 전원 공급부(110)로부터 인가받은 직류 전원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보조 전원부(125)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전원 공급부(110)를 대신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릴레이부(130)는 제어부(160)의 제어하에 조명 부하 제어기(미도시)로 인가되는 전원을 설정된 시간 내에 온/오프 스위칭한다.
저장부(135)는 조명 부하(미도시)의 각 밝기 단계에 대응되는 릴레이부(130)의 온/오프 회수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조명 부하(미도시)의 밝기가 최대 밝기에서 최소 밝기로 변환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조명 부하의 밝기가 5단계로 나뉘어져 있다고 가정했을 때, 조명 밝기 단계1은 온, 조명 밝기 단계2는 온->오프->온, 조명 밝기 단계3은 온->오프->온->오프->온, 조명 밝기 단계4는 온->오프->온->오프->온->오프->온, 조명 밝기 단계5는 온->오프->온->오프->온->오프->온->오프->온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밝기 단계에 대응되는 릴레이부(130)의 온/오프 회수는 저장부(135)에 저장된다.
제1유무선 통신부(14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미도시) 또는 클라이언트 PC(미도시)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것으로, PLC(Power Line Communication) 통신부; CDMA 모뎀, WCDMA 모뎀, 와이브로(WIBRO) 모뎀,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모뎀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부;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유무선 통신부(145)는 조명 부하 제어기(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여, 서버(미도시) 또는 클라이언트 PC(미도시)로부터 수신한 디밍 제어 명령을 조명 부하 제어기(미도시)로 전송하는 것으로, PLC 통신부; 블루투스 모뎀, 지그비 모뎀 등으로 이루어지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CDMA 모뎀, WCDMA 모뎀, 와이브로(WIBRO) 모뎀,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모뎀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부;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위치 정보 제공부(150)는 분전함 제어기(100)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GPS 위성(미도시)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하여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5)는 분전함 제어기(1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제어부(160)는 분전함 제어기(100)의 각부(110~155)를 제어하는 것으로, 제1유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서버(미도시) 또는 클라이언트 PC(미도시)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한 디밍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원격 관리자가 원하는 조명 부하의 밝기 단계를 확인하고, 확인된 조명 부하의 밝기 단계에 대응되는 릴레이부(130)의 온/오프 회수를 저장부(135)에서 읽어온다. 그리고, 읽어온 온/오프 회수에 따라 릴레이부(130)를 교번적으로 스위칭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제1유무선 통신부(140)를 통해 서버(미도시) 또는 클라이언트 PC(미도시)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한 디밍 제어 명령을 제2유무선 통신부(145)를 통해 조명 부하 제어기(미도시)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명 부하 제어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조명 부하 제어기(200)는 전원 공급부(210), EMI 필터부(215), 정전압 공급부(220), 보조 전원부(225), 저장부(230), 유무선 통신부(235), 밝기 조절부(240), 상태 감지부(245), 디스플레이부(250), 제어부(255)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210)는 분전함 제어기(미도시)로부터 공급되는 교류(AC)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EMI 필터부(215)는 전원 공급부(210)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전자기 방해 잡음을 제거한다.
정전압 공급부(220)는 전원 공급부(210)로부터 인가받은 직류 전원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보조 전원부(225)는 분전함 제어기(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전원 공급부(210)를 대신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저장부(230)는 조명 부하(300)의 각 밝기 단계에 대응되는 DC 출력 전압 값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30)는 조명 부하(300)의 각 밝기 단계에 대응되는 AC 출력 전압 값을 저장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부(235)는 분전함 제어기(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PLC 통신부; 블루투스 모뎀, 지그비 모뎀 등으로 이루어지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CDMA 모뎀, WCDMA 모뎀, 와이브로(WIBRO) 모뎀,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모뎀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부;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밝기 조절부(240)는 분전함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설정된 시간 내에서 교번적으로 인가받은 교류 전원에 따라, 정전압 공급부(220)에서 정전압을 교번적으로 출력하면, 제어부(255)와 연동하여 조명 부하(300)의 밝기를 최대 밝기에서 최소 밝기로 또는 최소 밝기에서 최대 밝기로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킨다. 예를 들어, 조명 밝기가 5단계로 나뉘어져 있다고 가정했을 때, 정전압 공급부(220)에서 설정된 시간 내에 교번적으로 출력되는 정전압에 따라 조명 밝기를 가장 밝은 단계5에서 단계4로, 단계4에서 단계3으로, …, 단계2에서 가장 어두운 단계1로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키거나, 조명 밝기를 가장 어두운 단계1에서 단계2로, 단계2에서 단계3으로, …, 단계4에서 가장 밝은 단계5로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조명 밝기를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키는 중에 정전압 공급부(220)에서 지속적으로 정전압이 출력되면 즉, 전원의 온/오프 동작이 정지하면, 밝기 조절부(240)는 제어부(255)와 연동하여 정전압이 지속적으로 출력된 시점(전원의 온/오프 동작이 정지된 시점)의 조명 밝기로 조명 부하(300)를 지속적으로 점등시킨다. 예를 들어, 정전압 공급부(220)에서 교번적으로 출력되는 정전압에 따라 조명 부하(300)의 밝기가 단계3에서 단계4로 변환된 후, 정전압 공급부(220)에서 정전압이 지속적으로 출력되면(전원의 온/오프 동작이 정지되면), 밝기 조절부(240)는 조명 부하(300)를 단계4 밝기로 지속적으로 점등시킨다.
또한, 밝기 조절부(240)는 제어부(255)와 연동하여, 분전함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수신한 디밍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원격 관리자가 원하는 조명 부하(300)의 밝기 단계를 확인하고, 확인된 조명 부하(300)의 밝기 단계에 대응되는 DC 출력 전압 값(또는 AC 출력 전압 값)을 저장부(230)에서 읽어온다. 그리고, 읽어온 DC 출력 전압 값(또는 AC 출력 전압 값)에 따라 조명 부하(300)를 점등시켜, 조명 부하(300)를 원격 관리자가 원하는 밝기 단계로 점등시킨다.
또한, 밝기 조절부(240)는 현장용 로컬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전송받은 디밍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부하(300)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킨다.
즉, 밝기 조절부(240)는 현장용 로컬 제어기(미도시)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전송받으면, 디밍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밝기 단계를 올리는 명령인지 아니면 밝기 단계를 내리는 명령인지를 확인한 후, 그 결과에 따라 조명 부하(300)로 출력되는 DC 출력 전압 값(또는 AC 출력 전압 값)을 가변하여 조명 부하(300)의 밝기를 밝게 또는 어둡게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킨다. 예를 들어, 현재 조명 부하(300)가 단계2 밝기로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서 현장용 로컬 제어기(미도시)로부터 밝기 단계를 올리는 디밍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디밍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부하(300)의 밝기 단계를 단계2에서 단계3으로 변환시키고, 현재 조명 부하(300)가 단계5 밝기로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서 현장용 로컬 제어기(미도시)로부터 밝기 단계를 내리는 디밍 제어 명령을 수신한 경우에는 디밍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부하(300)의 밝기 단계를 단계5에서 단계4로 변환시킨다.
이때, 밝기 조절부(240)는 조명 부하(300)가 LED 조명으로 구현된 경우에는, 현장용 로컬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전송받은 디밍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부하(300)로 출력되는 DC 전압을 가변하여 조명 부하(300)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키고, 조명 부하(300)가 메탈할라이드 램프, 나트륨 램프, 수은등, 백열등 등으로 구현된 경우에는, 현장용 로컬 제어기(미도시)로부터 전송받은 디밍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부하(300)로 출력되는 AC 전압을 가변시켜, 위상 제어를 통해 조명 부하(300)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태 감지부(245)는 조명 부하 제어기(200)에 연결되어 있는 조명 부하(300)의 누전 여부를 감지하거나, 조명 부하(300)의 소모 전력을 감지하거나, 조명 부하(300)의 불량 여부 등을 감지하고, 그 감지 결과를 제어부(255)로 인가한다.
디스플레이부(250)는 조명 부하 제어기(2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제어부(255)는 조명 부하 제어기(200)의 각부(210~250)를 제어하는 것으로, 정전압 공급부(220)에서 교번적으로 출력되는 정전압이 인가되는 경우에는, 밝기 조절부(240)와 연동하여 조명 부하(300)의 밝기를 최대 밝기에서 최소 밝기로 또는 최소 밝기에서 최대 밝기로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킨다.
또한, 제어부(255)는 분전함 제어기(미도시)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그 디밍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원격 관리자가 원하는 조명 부하(300)의 밝기 단계를 확인한 후, 밝기 조절부(240)와 연동하여 확인된 조명 부하(300)의 밝기 단계에 대응되는 DC 출력 전압 값(또는 AC 출력 전압 값)을 저장부(230)에서 읽어와, 읽어온 DC 출력 전압 값(또는 AC 출력 전압 값)에 따라 조명 부하(300)를 점등시킨다.
또한, 제어부(255)는 현장용 로컬 제어기(미도시)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그 디밍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밝기 단계를 올리는 명령인지 아니면 밝기 단계를 내리는 명령인지를 확인한 후, 밝기 조절부(240)와 연동하여 조명 부하(300)로 출력되는 DC 출력 전압 값(또는 AC 출력 전압 값)을 가변하여 조명 부하(300)의 밝기를 밝게 또는 어둡게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킨다.
도 2에서 조명 부하(300)는 제어부(255)의 제어하에 점등되는 것으로, LED 램프로 구현될 수도 있고, 메탈할라이드 램프, 나트륨 램프, 수은등, 백열등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현장용 로컬 제어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현장용 로컬 제어기(400)는 전원 공급부(410), EMI 필터부(415), 정전압 공급부(420), 보조 전원부(425), 입력부(430), 유무선 통신부(435), 디스플레이부(440), 제어부(445)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전원 공급부(4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AC) 전원을 직류(DC)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EMI 필터부(415)는 전원 공급부(410)로 인가되는 교류 전원의 전자기 방해 잡음을 제거한다.
정전압 공급부(420)는 전원 공급부(410)로부터 인가받은 직류 전원을 정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보조 전원부(425)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었을 때, 전원 공급부(410)를 대신하여 전원을 공급한다.
입력부(430)는 현장 관리자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다.
전술한, 입력부(43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조명 부하별로 밝기 단계를 올리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올림 버튼과 밝기 단계를 내리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는 내림 버튼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따라, 현장 관리자가 1번 조명 부하의 올림 버튼을 눌러 입력하면, 1번 조명 부하는 올림 버튼이 눌러질 때마다 단계별로 밝아지고, 1번 조명 부하의 내림 버튼을 눌러 입력하면, 1번 조명 부하는 내림 버튼이 눌러질 때마다 단계별로 어두워지게 된다.
유무선 통신부(435)는 조명 부하 제어기(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하여, 입력부(430)를 통해 입력받은 디밍 제어 명령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조명 부하 제어기(미도시)로 전송하는 것으로, PLC 통신부; 블루투스 모뎀, 지그비 모뎀 등으로 이루어지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CDMA 모뎀, WCDMA 모뎀, 와이브로(WIBRO) 모뎀, 고속하향패킷접속(HSDPA) 모뎀 등으로 이루어지는 무선 통신부; 이더넷 통신을 수행하는 유선 통신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40)는 현장용 로컬 제어기(4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다.
제어부(445)는 현장용 로컬 제어기(400)의 각부(410~440)를 제어하는 것으로, 입력부(430)를 통해 현장 관리자로부터 입력받은 디밍 제어 명령을 유무선 통신부(435)를 통해 조명 부하 제어기(미도시)로 전송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은 서버(10), 클라이언트 PC(20), 분전함 제어기(100), 조명 부하 제어기(200), 조명 부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서버(10) 또는 클라이언트 PC(20)는 원격에서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조명 부하(300)의 점등, 소등, 조명 밝기 등을 제어한다.
전술한, 서버(10) 또는 클라이언트 PC(20)는 관리자로부터 조명 부하(300)의 점등, 소등, 조명 밝기 등에 관련한 디밍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디밍 제어 명령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분전함 제어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PC(20)는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전함 제어기(1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10)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한 디밍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원격 관리자가 원하는 조명 부하(300)의 밝기 단계를 확인한다. 그리고, 확인된 조명 부하(300)의 밝기 단계에 대응되는 전원 스위치의 온/오프 회수에 따라 전원 스위치를 설정된 시간내에 교번적으로 온/오프하여 조명 부하 제어기(200)로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조명 부하 제어기(200)는 분전함 제어기(10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조명 부하(300)의 밝기를 최대 밝기에서 최소 밝기로 또는 최소 밝기에서 최대 밝기로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킨다.
즉, 조명 부하 제어기(200)는 분전함 제어기(100)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교번적으로 온/오프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설정된 시간 내에 온/오프되는 전원에 따라 조명 부하(300)의 밝기를 최대 밝기에서 최소 밝기로 또는 최소 밝기에서 최대 밝기로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킨다. 이와 같이, 조명 밝기를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키는 중에 전원의 온/오프가 정지하면, 마지막으로 변환된 단계의 조명 밝기로 조명 부하(300)를 점등시킨다. 이때, 설정된 시간을 초과해서 전원이 온/오프되면, 다시 최대 밝기 또는 최소 밝기로 조명 부하(300)를 점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조명 부하(300)는 LED 램프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은 서버(10), 클라이언트 PC(20), 분전함 제어기(100), 현장용 로컬 제어기(400), 조명 부하 제어기(200), 조명 부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서버(10) 또는 클라이언트 PC(20)는 원격에서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조명 부하(300)의 점등, 소등, 조명 밝기 등을 제어한다.
전술한, 서버(10) 또는 클라이언트 PC(20)는 관리자로부터 조명 부하(300)의 점등, 소등, 조명 밝기 등에 관련한 디밍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디밍 제어 명령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분전함 제어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PC(20)는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전함 제어기(1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10)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한 디밍 제어 명령을 다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조명 부하 제어기(200)로 전송한다.
현장용 로컬 제어기(400)는 조명 부하 제어기(200)에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 설치되며, 현장 관리자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조명 부하 제어기(200)로 전송한다.
전술한, 현장용 로컬 제어기(400)는 전면에 각 조명 부하별로 구비되어 있는 올림 버튼과 내림 버튼의 조작을 통해 현장 관리자로부터 특정 조명 부하(300)의 밝기 단계를 입력받는다.
또한, 현장용 로컬 제어기(400)는 버튼 조작에 따라 조명 부하 제어기(200)로 디밍 제어 명령을 전송할 때, 버튼 조작이 이루어진 조명 부하 즉, 밝기를 조절할 조명 부하를 식별하기 위해 조명 부하별로 할당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 부하 제어기(200)는 분전함 제어기(100)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한 디밍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원격 관리자가 원하는 조명 부하(300)의 밝기 단계를 확인하고, 확인된 조명 부하(300)의 밝기 단계에 대응되는 DC 출력 전압 값으로 조명 부하(300)를 점등시켜, 조명 부하(300)를 원격 관리자가 원하는 밝기 단계로 점등시킨다.
또한, 조명 부하 제어기(200)는 현장용 로컬 제어기(400)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디밍 제어 명령과 함께 수신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밝기를 조절할 조명 부하(300)를 파악하고, 디밍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밝기 단계를 올리는 명령인지 아니면 밝기 단계를 내리는 명령인지를 확인한 후, 조명 부하(300)로 출력되는 DC 출력 전압 값을 가변하여 조명 부하(300)의 밝기를 밝게 또는 어둡게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조명 부하(300)는 LED 램프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조명 부하(300)가 메탈할라이드 램프, 나트륨 램프, 수은등, 백열등 등으로 구현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를 LED 램프로 교체한 후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을 이용하여 조명 부하(300)의 밝기를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은 서버(10), 클라이언트 PC(20), 분전함 제어기(100), 현장용 로컬 제어기(400), 조명 부하 제어기(200), 조명 부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서버(10) 또는 클라이언트 PC(20)는 원격에서 관리자의 조작에 따라 조명 부하(300)의 점등, 소등, 조명 밝기 등을 제어한다.
전술한, 서버(10) 또는 클라이언트 PC(20)는 관리자로부터 조명 부하(300)의 점등, 소등, 조명 밝기 등에 관련한 디밍 제어 명령을 입력받으면, 입력받은 디밍 제어 명령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분전함 제어기(100)로 전송한다.
여기서, 클라이언트 PC(20)는 개인용 컴퓨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분전함 제어기(10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10)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한 디밍 제어 명령을 다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조명 부하 제어기(200)로 전송한다.
현장용 로컬 제어기(400)는 조명 부하 제어기(200)에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 설치되며, 현장 관리자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이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조명 부하 제어기(200)로 전송한다.
전술한, 현장용 로컬 제어기(400)는 전면에 각 조명 부하별로 구비되어 있는 올림 버튼과 내림 버튼의 조작을 통해 현장 관리자로부터 특정 조명 부하(300)의 밝기 단계를 입력받는다.
또한, 현장용 로컬 제어기(400)는 버튼 조작에 따라 조명 부하 제어기(200)로 디밍 제어 명령을 전송할 때, 버튼 조작이 이루어진 조명 부하 즉, 밝기를 조절할 조명 부하를 식별하기 위해 조명 부하별로 할당되어 있는 식별 정보를 함께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명 부하 제어기(200)는 분전함 제어기(100)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수신한 디밍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원격 관리자가 원하는 조명 부하(300)의 밝기 단계를 확인하고, 확인된 밝기 단계로 조명 부하(300)를 점등시키기 위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명 부하(300)로 출력되는 AC 전압을 가변시켜, 위상 제어를 통해 조명 부하(300)를 원격 관리자가 원하는 밝기 단계로 점등시킨다.
또한, 조명 부하 제어기(200)는 현장용 로컬 제어기(400)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전송받으면, 전송받은 디밍 제어 명령과 함께 수신한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밝기를 조절할 조명 부하(300)를 파악하고, 디밍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밝기 단계를 올리는 명령인지 아니면 밝기 단계를 내리는 명령인지를 확인한 후, 조명 부하(300)로 출력되는 AC 전압을 가변시켜, 위상 제어를 통해 조명 부하(300)의 밝기를 밝게 또는 어둡게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조명 부하(300)는 메탈할라이드 램프, 나트륨 램프, 수은등, 백열등 등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을 구성하여 조명 부하(300)의 밝기를 제어할 때, 조명 부하(300)가 설치된 현장에 조도 센서를 설치한 후, 조도 센서와 연동하여 조도 센서를 통해 감지된 밝기 값을 이용하여 조명 부하(300)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고, 조명 부하(300)가 설치된 현장에 IP 카메라를 설치한 후, IP 카메라와 연동하여 조명 부하(300)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서버, 20. 클라이언트 PC,
100. 분전함 제어기, 200. 조명 부하 제어기,
300. 조명 부하, 400. 현장용 로컬 제어기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서버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분전함 제어기; 및
    상기 분전함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디밍 제어 명령에 의거하여 조명 부하의 밝기 단계를 파악하고, 파악된 밝기 단계로 조명 부하를 점등시키는 조명 부하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조명 부하 제어기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분전함 제어기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부; 및
    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분전함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디밍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조명 부하의 밝기 단계를 파악하고, 파악된 밝기 단계로 조명 부하를 점등시키되, 상기 조명 부하가 메탈할라이드 램프, 나트륨 램프, 수은등, 백열등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분전함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디밍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조명 부하로 출력되는 AC 전압의 가변에 의한 위상 제어를 통해 상기 조명 부하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키는 밝기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부하 제어기에 유무선 방식으로 연결 설치되어, 현장 관리자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입력받아 이를 상기 조명 부하 제어기로 전송하는 현장용 로컬 제어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명 부하 제어기는, 상기 현장용 로컬 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디밍 제어 명령에 따라 조명 부하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키되,
    상기 조명 부하 제어기의 밝기 조절부는, 상기 조명 부하가 메탈할라이드 램프, 나트륨 램프, 수은등, 백열등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경우에는, 상기 현장용 로컬 제어기로부터 전송받은 디밍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조명 부하로 출력되는 AC 전압의 가변에 의한 위상 제어를 통해 상기 조명 부하의 밝기를 단계적으로 순차 변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용 로컬 제어기는,
    현장 관리자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받은 디밍 제어 명령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조명 부하 제어기로 전송하는 유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전함 제어기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제1유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제1유무선 통신부로부터 수신한 디밍 제어 명령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조명 부하 제어기로 전송하는 제2유무선 통신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
  11.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부하 제어기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분전함 제어기로부터 디밍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유무선 통신부;
    제어부와 연동하여, 상기 분전함 제어기로부터 수신한 디밍 제어 명령을 분석하여 조명 부하의 밝기 단계를 파악하고, 파악된 밝기 단계로 조명 부하를 점등시키는 밝기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
KR1020130097398A 2013-08-16 2013-08-16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 KR101550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398A KR101550323B1 (ko) 2013-08-16 2013-08-16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7398A KR101550323B1 (ko) 2013-08-16 2013-08-16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932A KR20150019932A (ko) 2015-02-25
KR101550323B1 true KR101550323B1 (ko) 2015-09-04

Family

ID=52578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7398A KR101550323B1 (ko) 2013-08-16 2013-08-16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3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803B1 (ko) 2012-05-15 2012-11-15 (주)선일일렉콤 점등스위치형 디밍제어모듈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 디밍 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803B1 (ko) 2012-05-15 2012-11-15 (주)선일일렉콤 점등스위치형 디밍제어모듈을 이용한 엘이디 조명 디밍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9932A (ko) 2015-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23403B2 (en) Intelligent control of backlighting or other pilot lights on wall switch or the like
JP4637804B2 (ja) ガス放電灯の多段階調光制御装置とその調光制御方法
KR101124478B1 (ko) 엘이디 조명의 조도 자동 제어장치
US20170127496A1 (en) Demand response for networked distributed lighting systems
JP6704193B2 (ja) 照明制御装置
JP2013165004A (ja) 照明制御システム
CN102934155B (zh) 灯箱照明方法
KR101021614B1 (ko) 원격제어 가로등 시스템용 무선디밍 절전 가로등기구
KR101555236B1 (ko) 스마트 led 조명장치
KR20150116945A (ko) 조도 설정 가변 제어형 led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H07235390A (ja) 蛍光灯照明調光システム
KR101735638B1 (ko) Dc 전원 부하 제어 장치
KR101550323B1 (ko) 조명 부하의 통합 제어 시스템
KR101243649B1 (ko) 에너지절감기능을 구비한 조명컨트롤장치 및 방법
JP2006310258A (ja) 蛍光ランプ点灯装置および照明制御システム
KR101318270B1 (ko) 단계적 출력 밝기 변경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 제어 장치
US202100149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light level and daylight harvesting calibration using mobile handheld devices
KR20110013567A (ko) 원격제어 가로등 시스템용 무선디밍 절전 가로등기구
JP2006019244A (ja) 蛍光ランプ点灯装置
KR101318271B1 (ko) 단계적 출력 밝기 변경이 가능한 엘이디 조명 제어 방법
WO20172228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light level and daylight harvesting calibration using mobile handheld devices
KR101803915B1 (ko) 전기 조명 제어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120044711A (ko) 전자식 디밍 가로등기구의 제어를 위한 무선 디밍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가로등주
JP2000286066A (ja) 照明システム
KR20160026017A (ko) 자율디밍제어형led실외조명용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