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0281B1 - 불연성 액체가 채워지는 방화커튼 - Google Patents

불연성 액체가 채워지는 방화커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0281B1
KR101550281B1 KR1020140074302A KR20140074302A KR101550281B1 KR 101550281 B1 KR101550281 B1 KR 101550281B1 KR 1020140074302 A KR1020140074302 A KR 1020140074302A KR 20140074302 A KR20140074302 A KR 20140074302A KR 101550281 B1 KR101550281 B1 KR 101550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tain
liquid
main body
fire
curtain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4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화
Original Assignee
이민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화 filed Critical 이민화
Priority to KR1020140074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0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0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0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74Removable non-load-bearing partitions; Partitions with a free upper 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화염과 연기가 확산 되는 것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불연성 액체가 채워지는 방화커튼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방화시트지(11)에 의해 전면부(12)와 배면부(13)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내부에 액체수용공(14)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커튼본체(10)와, 상기 커튼본체(10)가 처지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해 액체수용공(14) 내부에서 양단부가 방화시트지(11) 내면에 고정되고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시트지(15a)나 실(15b)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처짐방지수단(15)과, 상기 액체수용공(14)에 불연성 액체(W)를 수용하기 하기 위해 커튼본체(1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액체출입수단(20)과, 상기 불연성 액체(W)가 증발되어 발생 되는 증기(S)가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커튼본체(1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스팀방출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불연성 액체가 채워지는 방화커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불연성 액체가 채워지는 방화커튼{Filled with non-flammable liquid fire curtain}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가령 방화셔터와 같이 화염 및 연기 등이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화커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연기가 빠져나가는 것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화염과 연기가 확산 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된 불연성 액체가 채워지는 방화커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발생시 화염 및 연기 등이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은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화셔터가 대중화되어 있다.
그러나 방화셔터는 화재발생시에 대개는 모터 구동력으로 내려오도록 된 것이기 때문에 신속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단점을 수반하고 있다.
또한, 방화셔터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화염에 의해 고온으로 뜨거워지게 되면 비틀림과 변형이 빨리 발생 됨으로써 틈새가 발생 되어 연기를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온의 화염에 의해서 녹아 버리게 됨에 따라 화염과 연기가 확산되지 못하게 하는 기능을 완전히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제기능을 상실하게 된 후에는 도리어 화재 진압에 방해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방화셔터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게 되면서 복잡한 구동장치가 필요로 되기 때문에 고가의 시설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한 장소에 설치하게 되면 이동이 불가하고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하고 부품 교체를 해야 하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필요로 되고 유지관리비가 소요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그러므로 반드시 철저한 유지관리가 되어야 하는데 그러하지 못한 경우가 많이 발생 됨에 따라 비상시에 방화셔터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0563186 B1 2006.03.21 KR 10-0621207 B1 2006.09.13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화염과 연기가 확산 되는 것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불연성 액체가 채워지는 방화커튼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염에 의해 고온으로 뜨거워지더라도 변형이 없게 하여 화염이나 연기가 확산 되지 않게 되고, 고온의 화염에 의해 녹아버리게 되어도 방화작용을 할 수 있는 방화커튼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하지 않아도 화염과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이 전혀 상실되지 않는 방화커튼을 제공함으로써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제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인명이나 재산 피해가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장소 이동이 가능하고 방화셔터와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하게 보급 가능하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방화시트지에 의해 전면부와 배면부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내부에 액체수용공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커튼본체와, 상기 커튼본체가 처지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해 액체수용공 내부에서 양단부가 방화시트지 내면에 고정되고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시트지나 실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처짐방지수단과, 상기 액체수용공에 불연성 액체를 수용하기 하기 위해 커튼본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액체출입수단과, 상기 불연성 액체가 증발되어 발생 되는 증기가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커튼본체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스팀방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팀방출수단은, 방화시트지에 고정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증기배출구와, 상기 증기배출구를 관통하는 축부 일측에 구비되는 개폐판부재가 탄력부재의 탄력에 의해 증기배출구를 차폐하게 되고 증기압력에 의해 이동되어 증기배출구가 개방되게 하는 개폐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튼본체의 전면부 및 배면부의 방화시트지 일부를 ∪형태로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의 방화시트지가 봉합되게 하여 이루어지는 비상탈출문 및 상기 비상탈출문이 열리면 개방되는 비상탈출구가 더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튼본체의 일측면에 에어자동충진기에 의해 에어가 충진되는 에어실이 있고, 상기 에어실 내부에는 다수의 간격유지용 시트지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기립수단이 더 부착되어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튼본체가 천장부재에 설치되는 지지수단에 의해 두루마리 상태로 지지되고 화재발생시 액체자동주입펌프에 의해 커튼본체로 주입되는 불연성 액체의 주입 압력에 의해 지지수단이 해지되어 커튼본체가 펼쳐지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수단은, 두루마리 상태의 커튼본체가 상부에 얹혀지고 일단부에 경사부가 있고 상기 경사부 외측으로 걸림부가 있는 얹힘부재와, 상기 경사부와 걸림부가 관통공을 관통하여 걸림부 상단부가 걸림되는 받침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필요로 되는 장소에서 신속하게 방화커튼을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화염과 연기가 확산 되는 것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염에 의해 방화커튼이 고온으로 뜨거워지더라도 뒤틀리게 되는 변형이 없게 되므로 화염이나 연기가 확산 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초고온의 화염에 의해 설상 녹아버리게 되어도 방화커튼 내부에 있는 불연성 액체가 흘러나와서 불을 끄게 되는 방화작용을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하지 않아도 화염과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이 전혀 상실되지 않게 되는 방화커튼을 제공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인명이나 재산 피해가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방화커튼은 평상시 부피가 축소된 상태이기 때문에 설치장소 이동이 가능하여 필요로 되는 화재장소에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고 구조가 간단하므로 기존의 방화셔터와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하게 보급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방화커튼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커튼의 정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커튼의 일측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커튼의 다른 실시예의 일측단면 구성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방화커튼의 다른 실시예의 정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방화시트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실시되는 액체출입수단의 단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에 실시되는 스팀방출수단의 단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방화커튼의 절첩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방화커튼의 절첩상태를 설명하는 절첩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방화커튼의 사용상태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커튼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측단면 구성도,
도 14는 도 13의 x-x'선 단면 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문을 갖는 방화커튼의 요부 단면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비상탈출구를 보인 방화커튼의 요부 단면 일측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 실시예의 일측면 구성도,
도 19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실시예의 요부 작용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유연성을 갖는 방화시트지(11)에 의해 전면부(12)와 배면부(13)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내부에 액체수용공(14)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커튼본체(1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방화시트지(11)는 현재 1600℃의 고온에서도 타거나 녹지 않는 방화시트지가 이미 널리 알려지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방화시트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커튼본체(10)가 펴졌을 때 하부방향이나 앞뒷면 방향으로 배가 나오는 상태로 처지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처지방지수단(15)을 구비한다.
상기 처짐방지수단(15)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수용공(14) 내부에서 양단부가 방화시트지(11) 내면에 고정되고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시트지(15a)일 수 있다.
그리고 처짐방지수단(15)은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수용공(14) 내부에서 양단부가 방화시트지(11) 내면에 고정되고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실(15b) 일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처짐방지수단(15)이 다수의 시트지(15a)나 실(15b)에 하나가 선택적으로 채용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지(15a)과 실(15b)이 모두 같이 채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처짐방지수단(15)으로 사용되는 다수의 시트지(15a)나 실(15b)은 유연성이 있는 것이므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본체(10)의 전면부(12)와 배면부(13)가 서로 달라붙도록 밀착되게 하면 처짐방지수단(15)인 시트지(15a)나 실(15b)은 접혀지게 된다.
그리고 액체수용공(14)으로 불연성 액체(W)가 채워지게 되면 커튼본체(10)의 전면부(12)와 배면부(13)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면서 처짐방지수단(15)인 시트지(15a)나 실(15b)은 도 4의 (c)와 같이 접혀져 있던 것이 도 4의 (b)와 같이 일자상태로 펴지게 되고, 그로 인해 처짐방지수단(15)인 시트지(15a)나 실(15b)이 커튼본체(10)의 전면부(12)와 배면부(13)가 더 이상 외측방향으로 벌어지려는 것을 잡아 주게 되어 커튼본체(10)의 전면부(12)와 배면부(13)가 더 이상 외측방향으로 벌어지지 않게 된다.
그러므로 커튼본체(10)의 액체수용공(14)으로 불연성 액체(W)가 주입되어 채워지는 상태가 되어도 커튼본체(10)의 전면부(12)와 배면부(13)가 더 이상 외측방향으로 벌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커튼본체(10)의 액체수용공(14) 하부 쪽부터 상부 쪽으로 점차 불연성 액체(W)가 채워지게 됨에 따라 커튼본체(10)는 처짐됨이 없이 하나의 판이나 막 형태와 같은 형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처짐방지수단(15)의 하나인 시트지(15a)는 도 2와 같이 가로방향으로 다수가 등간격으로 구비되게 할 수 있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지(15a)가 세로 방향으로 다수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는 도 6과 같이 대각선방향으로 시트지(15a) 다수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방화커튼(10)의 전면부(12)와 배면부(13)를 이루는 유연성을 갖는 방화시트지(11)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조물(11b)이 내장되게 직조된 난연수지(11a)로 이루어지게 하거나 또는 난연수지(11a) 외면에 내열수지제(11c)가 코팅되고 내면에는 난연필름(11d)이 라미네이팅되게 코팅되도록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난연수지(11a) 및 내열수지제(11c)는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소재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액체수용공(14)으로 주입되는 불연성 액체(W)는 물이나 또는 인산암모늄 및 암모늄썰파민산이 바람직 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불연성이면 다른 액체가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액체수용공(14)에 불연성 액체(W)를 수용하기 하기 위해 커튼본체(10)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액체출입수단(20)을 구비한다.
상기 액체출입수단(2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화시트지(11)에 고정되는 본체(22)가 있고, 상기 본체(22)에 구비되는 출입구(21)를 개폐하는 체결마개(23)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출입구(21)를 개폐하여 불연성 액체(W)가 출입 될 수 있는 것이라면 다른 구조나 형태를 갖는 액체출입수단이 채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커튼본체(10)에는 불연성 액체(W)가 증발되어 발생 되는 증기(S)가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커튼본체(1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스팀방출수단(30)을 구비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팀방출수단(30)은 방화시트지(11)에 고정되는 본체(31)와, 상기 본체(31)에 구비되는 증기배출구(32)와, 상기 증기배출구(32)를 관통하는 축부(33) 일측에 구비되는 개폐판부재(34)가 탄력부재(35)의 탄력에 의해 증기배출구(32)를 차폐하게 되고 증기압력에 의해 이동되어 증기배출구(32)가 개방되게 하는 개폐구(36)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스팀방출수단(30)은 화염에 의해서 커튼본체(10) 내에 있는 불연성 액체(W)가 고온으로 가열되는 경우 기화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증기가 커튼본체(10)의 액체수용공(14)에서 발생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발생 된 증기는 액체수용공(14)의 상부 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스팀방출수단(30)은 커튼본체(10)의 상부 쪽에 하나 이상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액체수용공(14) 상부로 모여지는 증기는 스팀방출수단(30)에 의해서 자동으로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액체수용공(14) 내부에 내압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폭발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이 배출되는 증기가 액체상태로 분무하는 상태가 되므로 불을 끄게 되거나 주변을 적시게 되므로 화염이 번지게 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방화시트지(11) 및 처짐방지수단(15)이 유연성을 가진 소재로 되어 있는 것이므로 커튼본체(10)의 전면부(12)와 배면부(13)가 서로 달라붙도록 밀착시키게 되면 처짐방지수단(15)이 납짝하게 접혀지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튼본체(10)를 지그재그식으로 접을 수 있게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보관 및 이동과 운반이 용이하다.
따라서, 필요로 되는 장소에 비치가 용이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화재발생시에 비치된 장소가 아닌 다른 장소에서 화염이 확산 되는 것을 차단할 필요가 있을 때에 용이하게 옮겨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액체출입수단(20)에 호스(미도시됨)를 연결하여 불연성 액체(W)를 주입하게 되면 이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커튼본체(10)가 벽체처럼 세워지게 되므로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의 통로를 차폐하게 되기 때문에 화염이나 연기가 확산 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본 발명은 커튼본체(10) 내에 불연성 액체(W)가 채워져 있는 것이기 때문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로의 바닥면(B)이나 양측 벽면(F) 및 천장면(H)이 굴곡지거나 울퉁 불퉁하게 되어 있어도 완전히 밀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조그만 틈새도 없이 통로를 커튼본체(10)가 완벽하게 차폐하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화염이나 연기가 확산 되지 못하게 차단하는 화염차단 효율성이 매우 뛰어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커튼본체(10) 내에 불연성 액체(W)를 채울 때 찬 상태의 불연성 액체(W)를 채우게 된다.
그러므로 화재 발생 초기에 커튼본체(10)에 열이 가해지더라도 커튼본체(10)는 찬 상태의 불연성 액체(W)가 수용되어 있기 때문에 한동안 뜨거워지지 않게 되어 변형이 전혀 발생되지 않게 되고, 뜨겁게 가열되더라도 스팀방출수단(30)에 의해서 내부 증기가 방출되므로 변형이나 폭발되지 않게 되는 것이므로 커튼본체(10)가 통로를 차폐한 상태에서 틈새가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화염이나 연기가 전혀 확산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전의 금속으로 된 방화셔터는 열을 받으면 비틀림 현상과 같은 열변형이 일어날 수밖에 없으므로 틈새가 발생 되어 화재발생 초기에만 화염이나 연기가 확산 되는 것을 방지할 뿐 시간이 경과 되어 열을 받게 되면 비틀림 현상에 따라 화염이나 연기가 확산 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하지 못하는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열을 받아도 화염이나 연기가 확산 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커튼본체(10)의 배면부(13)에 기립수단(40)이 더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커튼본체(10)의 일측면에 에어자동충진기(42)에 의해 에어가 충진되는 에어실(41)이 있고, 상기 에어실(41) 내부에는 다수의 간격유지용 시트지(43)가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기립수단(40)이 더 부착되어 구비되도록 이루어지게 한 것이다.
따라서, 커튼본체(10)와 기립수단(40)이 절첩 된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 됨에 따라 커튼본체(10) 내에 불연성 액체(W)를 주입하기 전에 먼저 에어자동충진기(42)를 개방되게 조작하면 에어자동충진기(42) 내부에 있는 공기가 에어실(41)로 신속히 주입됨으로써 기립수단(40)이 세워지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불연성 액체(W)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커튼본체(10)가 신속히 세워지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불연성 액체(W)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커튼본체(10)가 신속히 세워지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화염과 연기가 확산 되는 것을 더욱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세워진 상태에서 커튼본체(10) 내부로 불연성 액체(W)을 주입하게 되므로 더욱 신속하게 액체수용공(14)으로 불연성 액체(W)를 주입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화재가 진압된 후에는 액체수용공(14) 내의 불연성 액체(W)는 액체출입수단(20)를 개방시켜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고, 기립수단(40) 에어실(41) 내의 공기는 공기배출구(44)를 개방시켜 배기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공기가 빠져 나간 에어자동충진기(42)는 새것으로 교체하거나 또는 에어컴프레샤(미도시됨)을 이용하여 에어자동충진기(42) 내에 공기를 충진하게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에어자동충진기(42)는 이미 알려져 있는 공지된 장치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튼본체(10)에 비상탈출문(16)과 비상탈출구(17)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커튼본체(10)의 전면부(12) 및 배면부(13)의 방화시트지(11) 일부를 ∪형태로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의 방화시트지(11)가 봉합되게 하여 이루어지는 비상탈출문(16) 및 상기 비상탈출문(16)이 열리면 개방되는 비상탈출구(17)가 구비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비상시에 비상탈출문(16)을 열고 비상탈출구(17)를 통해 화염과 연기를 피해 탈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7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커튼본체(10)가 천장부재(K)에 설치되는 지지수단(50)에 의해 두루마리 상태로 지지되고 화재발생시 액체자동주입펌프(51)에 의해 커튼본체(10)로 주입되는 불연성 액체(W)의 주입 압력에 의해 지지수단(50)이 해지되어 커튼본체(10)가 하부 방향으로 펼쳐지도록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부호 57은 배관을 나타낸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수단(50)은 두루마리 상태의 커튼본체(10)가 상부에 얹혀지고 일단부에 경사부(53)가 있고 상기 경사부(53) 외측으로 걸림부(54)가 있는 얹힘부재(52)와, 상기 경사부(53)와 걸림부(54)가 관통공(56)을 관통하여 걸림부(54) 상단부가 걸림되는 받침부재(55)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 되면 건물 천장에 구비된 화재감지부(미도시됨)가 화재 감지를 하여 신호를 제어부(미도시됨)에 인가하게 된다. 상기 화재감지부 및 제어부는 건물마다 구비되어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제어부에 명령에 의해서 액체자동주입펌프(51)가 가동되면 불연성 액체(W)가 두루마리 상태로 감겨져 있는 커튼본체(10) 내부로 주입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커튼본체(10)는 점차 부피가 커지는 상태가 됨으로써 커튼본체(10)가 얹힘부재(52)를 외측방향으로 밀게 된다.
그러므로 얹힘부재(52)의 경사부(53)가 받침부재(55)를 가압하는 상태가 되다가 어느 순간에 받침부재(55)를 도 19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밀쳐 내게 되면서 해지되는 상태가 됨에 따라 얹힘부재(52)도 도 19의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방향으로 펴지게 됨으로써 두루마리 상태로 감겨져 있던 커튼본체(10)가 도 17에서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방향으로 펼쳐지는 상태가 되어 통로를 차단하게 되어 화염과 연기가 확산 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필요로 되는 장소에서 신속하게 방화커튼을 설치할 수 있게 되므로 화염과 연기가 확산 되는 것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건물의 실내 천장에서 설치 가능하여 자동으로 펼쳐져서 화염 및 연기가 확산 되는 것을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화염에 의해 커튼본체(10)가 고온으로 뜨거워지더라도 뒤틀리게 되는 변형이 없게 되므로 통로 벽면과의 틈새 발생이 없게 되어 화염이나 연기가 확산 되지 않게 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초고온의 화염에 의해 설상 녹아버리게 되어도 커튼본체(10) 내부에 있는 불연성 액체가 흘러나와서 불을 끄게 되는 방화작용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썩지 않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유지관리를 하지 않아도 화염과 연기가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이 전혀 상실되지 않게 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화재발생시 신속하게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인명이나 재산 피해가 커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평상시 부피가 축소된 상태이기 때문에 설치장소 이동이 가능하여 필요로 되는 화재장소에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고 구조가 간단하므로 기존의 방화셔터와는 상대적으로 매우 저렴하게 보급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 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커튼본체 11:방화시트지
12:전면부 13:배면부
14:액체수용공 15:처짐방지수단
15a:시트지 15b:실
16:비상탈출문 17:비상탈출구
20:액체출입수단 30:스팀방출수단
40:기립수단 41:에어실
42:에어자동충진기 43:간격유지용 시트지
50:지지수단 51:액체자동주입펌프
52:얹힘부재 53:경사부
54:걸림부 55:받침부재
56:관통공 W:불연성 액체

Claims (5)

  1. 유연성을 갖는 방화시트지(11)에 의해 전면부(12)와 배면부(13)를 갖도록 이루어지고 내부에 액체수용공(14)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커튼본체(10)와;
    상기 커튼본체(10)가 처지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해 액체수용공(14) 내부에서 양단부가 방화시트지(11) 내면에 고정되고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다수의 시트지(15a)나 실(15b) 중에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처짐방지수단(15)과;
    상기 액체수용공(14)에 불연성 액체(W)를 수용하기 하기 위해 커튼본체(1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액체출입수단(20)과;
    상기 불연성 액체(W)가 증발되어 발생 되는 증기(S)가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커튼본체(1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스팀방출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튼본체(10)가 천장부재(K)에 설치되는 지지수단(50)에 의해 두루마리 상태로 지지되고 화재발생시 액체자동주입펌프(51)에 의해 커튼본체(10)로 주입되는 불연성 액체(W)의 주입 압력에 의해 지지수단(50)이 해지되어 커튼본체(10)가 펼쳐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수단(50)은 두루마리 상태의 커튼본체(10)가 상부에 얹혀지고 일단부에 경사부(53)가 있고 상기 경사부(53) 외측으로 걸림부(54)가 있는 얹힘부재(52)와, 상기 경사부(53)와 걸림부(54)가 관통공(56)을 관통하여 걸림부(54) 상단부가 걸림되는 받침부재(55)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액체가 채워지는 방화커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74302A 2014-06-18 2014-06-18 불연성 액체가 채워지는 방화커튼 KR101550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302A KR101550281B1 (ko) 2014-06-18 2014-06-18 불연성 액체가 채워지는 방화커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4302A KR101550281B1 (ko) 2014-06-18 2014-06-18 불연성 액체가 채워지는 방화커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0281B1 true KR101550281B1 (ko) 2015-09-07

Family

ID=54247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4302A KR101550281B1 (ko) 2014-06-18 2014-06-18 불연성 액체가 채워지는 방화커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02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6580A (ja) * 2002-01-11 2003-07-25 Bunka Shutter Co Ltd 遮熱構造体及びこれを用いた区画形成システム
JP2004033431A (ja) * 2002-07-02 2004-02-05 Yoshihisa Isobe 防火パネ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6580A (ja) * 2002-01-11 2003-07-25 Bunka Shutter Co Ltd 遮熱構造体及びこれを用いた区画形成システム
JP2004033431A (ja) * 2002-07-02 2004-02-05 Yoshihisa Isobe 防火パネ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521617T3 (en) Fire blocking device
KR101597891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2084527B1 (ko) 화재진압용 블라인드
KR101994223B1 (ko) 차열 성능을 강화한 방화셔터 시스템
KR101585378B1 (ko) 화재 대피실용 차열 방화문
KR101162065B1 (ko)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시스템
KR101670360B1 (ko) 화재 확산 방지 장치를 구비한 건물 배수관 설치 구조
KR101550281B1 (ko) 불연성 액체가 채워지는 방화커튼
US733140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ghting a fire in an enclosed space in an aircraft
KR102263952B1 (ko) 스크린형 차열 방화셔터
JP4026950B2 (ja) 空間仕切り装置
CN211714968U (zh) 一种新型安全的建筑防火门
JPH0670991A (ja) 防火・防煙システム
JP7340682B2 (ja) 防災器具及び防災設備
KR20110010737U (ko) 방화 열 차단용 차단막
KR20090126972A (ko) 창호용 방화장치 및 방법
KR101654596B1 (ko) 지하전력구용 화염 확산 방지 설비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20210155503A (ko) 단열차단판을 구비한 방화댐퍼
KR20230158728A (ko) 차열성능을 구비한 방화셔터
RU175287U1 (ru) Преграда для защиты от огня и дыма
KR20050079609A (ko) 제연기능성 방화문
US20230142841A1 (en) Meltable Fuse
KR102212160B1 (ko) 선박용 화재 셔터
KR200497704Y1 (ko) 확인창이 형성된 방화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