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874B1 -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 및 이의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 및 이의 사용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49874B1 KR101549874B1 KR1020130129819A KR20130129819A KR101549874B1 KR 101549874 B1 KR101549874 B1 KR 101549874B1 KR 1020130129819 A KR1020130129819 A KR 1020130129819A KR 20130129819 A KR20130129819 A KR 20130129819A KR 101549874 B1 KR101549874 B1 KR 1015498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otographing
- unit
- stereoscopic
- image
- moving imag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571 Visual impairm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43—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three or more 2D image sens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89—Recording image signals; Reproducing recorded imag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또는 촬영부의 이동에 따른 구조의 복잡함이 없으면서도 입체 동영상의 심도가 높은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이미지센서에서 촬영한 이미지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촬영부의 촬영순서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저장순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2개 이상의 촬영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의 횡방향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횡배열과 2개 이상의 촬영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의 종방향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종배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의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체 동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은, 정해진 순서에 의해서 복수의 촬영부들 중에서 하나씩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정지영상을 동영상의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입체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의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체 동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은, 정해진 순서에 의해서 복수의 촬영부들 중에서 하나씩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정지영상을 동영상의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입체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하나의 카메라로 다양한 각도에서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나안으로도 입체 동영상을 인식하도록 하는 입체 동영상 촬영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촬영부를 이동하지 않고도 다양한 각도에서 영상을 촬영하여 입체 동영상을 구현하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3D 입체영상 기술은 생동감 있는 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차세대 영상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최근 들어 영화, 교육, 광고 등의 각종 3D 영상 콘텐츠의 제작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3D TV의 보급으로 관련시장의 규모가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3D 입체 동영상을 촬영하는 기술은 인간이 두 눈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는 양안시차의 원리를 이용한다. 인간의 두 눈은 약 65mm 정도 이격되어 있고, 이로 인해 좌안과 우안은 각각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인식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뇌가 서로 다른 두 화상을 합성하여 인식함으로써 입체감을 느끼게 된다. 따라서 입체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인간의 좌안과 우안에 해당하는 2대의 영상카메라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좌측 영상과 우측 영상을 동기화하여 합성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2대의 영상카메라를 사용할 경우에, 각 카메라의 초점과 주시각을 제어하기 어려워 촬영준비에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2개의 영상을 조합하여 입체 영상을 제작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하여 영상 제작에도 많은 시간이 걸린다. 또한 각 카메라의 렌즈마다 구면 수차. 색수차 등 렌즈의 광학적 특성이 비록 미세하지만 다르게 표현되어 이들을 보정하기 위한 노력이 많이 드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방향에서 서로 다른 렌즈로 입사된 빛을 반거울(half mirror)을 이용하여 하나의 카메라로 교차 촬영함으로써 두 개의 카메라로 촬영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는 기술(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0-24767호)이 개발되었으나, 이 경우에도 2개의 렌즈의 특성 차이에 의한 문제가 있으며 반거울을 사용하기 때문에 광 손실률이 높은 단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양안시차의 원리를 이용한 종래의 입체 동영상 촬영장치는, 좌로 이격된 2개의 영상을 조합하는 점에서 입체영상의 심도가 높지 못한 단점을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단일의 카메라 또는 렌즈가 좌우로 왕복하며 영상을 촬영함으로써, 광손실에 따른 영상의 저하가 없으면서 1초에 수십 장으로 구성된 영상의 잔상에 의해 입체안경 없이도 사람의 뇌에서 입체적인 동영상으로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입체영상 촬영장치에 대한 발명(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1-0009740호)을 출원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광손실에 따른 영상의 저하가 없고, 카메라 또는 촬영부의 이동에 따른 구조의 복잡함이 없으면서도 입체 동영상의 심도가 높은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는,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이미지센서에서 촬영한 이미지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촬영부의 촬영순서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저장순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2개 이상의 촬영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의 횡방향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횡배열과 2개 이상의 촬영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의 종방향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종배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는 복수의 촬영부를 횡방향의 횡배열과 종방향의 종배열으로 배열함으로써, 촬영부 또는 카메라가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심도가 깊은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는 2개 이상의 촬영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대각방향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2개의 대각배열을 더 포함함으로써, 촬영 방향을 늘려서 더욱 심도 깊은 입체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는,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이미지센서에서 촬영한 이미지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촬영부의 촬영순서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저장순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2개 이상의 촬영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의 횡방향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횡배열과 2개 이상의 촬영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앞뒤의 전후방향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전후배열을 포함함으로써, 원근감이 포함되어 더욱 심도 깊은 입체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각 촬영부는 동일한 촬영 지점을 향하도록 배열되어야 하므로, 복수의 촬영부 각각에 촬영부가 촬영점을 향하도록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기가 설치되거나, 복수의 촬영부가 베이스부에 설치된 뒤에 베이스부의 형상을 조절하여 각 촬영부가 촬영점을 향하도록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설치부는 오목한 원호면을 갖는 형상일 수 있으며, 이러한 설치부 원호면의 지름을 변경하여 촬영부가 촬영점을 향하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구성의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체 동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은, 정해진 순서에 의해서 복수의 촬영부들 중에서 하나씩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정지영상을 동영상의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입체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복수의 촬영부에 촬영순서를 정하여 촬영함으로써, 촬영부가 움직이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각 촬영부에서 촬영된 정지 영상을 프레임으로 구성하면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되어 심도가 깊은 입체 동영상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의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체 동영상을 촬영하는 다른 방법은, 복수의 촬영부들 각각이 평면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평면 동영상들 중에서 필요한 프레임을 추출하여 순차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입체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러 각도로 배열된 복수의 촬영부에서 각각 촬영된 평면 동영상의 프레임들로부터 필요한 프레임을 추출하여 프레임을 구성함으로써, 촬영부가 움직이는 것과 동일한 효과의 심도가 깊은 입체 동영상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카메라 또는 촬영부를 움직이지 않고도 좌우, 전후, 상하 그리고 대각선으로 움직이면서 촬영한 것과 동일한 효과의 심도 깊은 입체 동영상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방법으로 촬영된 영상은, 여러 형태로 배치된 촬영부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순차적으로 배열함으로써, 광손실이 없으면서 입체안경과 같은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볼 수 있는 입체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을 이용하여 촬영된 동영상은 깜박임과 잔상에 의한 문제가 없고 입체안경을 이용하지 않고 볼 수 있으며, 다양한 각도에서 영상을 촬영하기 때문에 실제 눈으로 보는 것처럼 편안하고 자연스러우며 심도가 깊은 입체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의 촬영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와 도 3은 각 촬영부에 각도조절기가 설치된 경우에 촬영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촬영부가 설치된 설치부를 조절하여 촬영 각도를 변경하는 경우의 촬영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원호면을 갖는 설치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설치부에 촬영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설치부에 촬영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전후배열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촬영부 배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체 동영상을 촬영하는 하나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체 동영상을 촬영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와 도 3은 각 촬영부에 각도조절기가 설치된 경우에 촬영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와 도 5는 촬영부가 설치된 설치부를 조절하여 촬영 각도를 변경하는 경우의 촬영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원호면을 갖는 설치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의 설치부에 촬영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설치부에 촬영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전후배열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촬영부 배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체 동영상을 촬영하는 하나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체 동영상을 촬영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렌즈와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촬영부와 촬영부의 이미지센서에서 촬영한 이미지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촬영부의 촬영 순서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순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기타 동영상 촬영을 위해 필요한 구성이 모두 적용되는 점에서는 일반적인 카메라와 같다.
다만, 본 발명의 카메라는 촬영부를 여러 개 구비하며, 촬영부의 배치에 그 특징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카메라는 2개 이상의 촬영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횡방향 일렬로 배열된 횡배열과 2개 이상의 촬영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종방향 일렬로 배열된 종배열을 구성하며 배치되며, 여기 추가적으로 2개 이상의 촬영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대각방향 일렬로 배열된 2개의 대각배열을 구성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인 복수의 촬영부가 배치된 형상을 기준으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의 촬영부의 배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촬영부(100)가 횡방향 일렬로 배열된 횡배열(L1)과 종방향 일렬로 배열된 종배열(L2) 및 대각방향 일렬로 배열된 두 개의 대각배열(L3)을 구성하면서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배열이 중심에 위치하는 촬영부(100)를 포함하여 7개의 촬영부(100)로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각 배열을 구성하는 촬영부(100)의 수는 더 적거나 많을 수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는 횡배열(L1)과 종배열(L2) 및 대각배열(L3)로 구성된 복수의 촬영부(100)를 구비함으로써, 중심점을 기준으로 좌우, 상하 및 대각 방향의 다양한 각도에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부를 움직이는 대신에 각 촬영부(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순차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촬영부가 움직이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복수의 촬영부(100)의 촬영순서 및 촬영된 영상을 배열하는 순서를 제어하는 촬영방법에 대해서는 이후에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도 1에서는 모든 촬영부(100)들이 동일하게 정면을 향하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각 촬영부(100)는 모두 특정의 촬영점을 향하도록 각도가 조절된다.
촬영부(100)가 촬영점을 향하도록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 아니면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촬영부(100) 각각에 촬영부(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기를 구비하는 방법과 촬영부(100)가 설치되는 설치부를 통해서 촬영부(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가능하다.
도 2와 도 3은 각 촬영부에 각도조절기가 설치된 경우에 촬영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각 촬영부(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기(미도시)를 구비한 경우에는, 촬영부(100)가 설치되는 설치부(200)의 형상에 제한이 없으며 평면구조인 경우도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설치부(200)에 설치된 각 촬영부(100)들은 촬영 대상의 중심이 되는 촬영점(F)을 향하도록 각도가 조절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영점(F)이 도 2의 경우보다 더 가까워지면, 각도조절기는 각 촬영부(100)의 각도를 조절하여 촬영부(100)가 촬영점(F)을 향하도록 한다.
한편, 각 촬영부(10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기는 각 촬영부(100)의 각도를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고, 횡배열(L1)에 위치하는 전체의 촬영부(100)들 또는 중심을 기준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촬영부(100)들을 서로 연동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이상 도 2와 도 3에서 횡배열(L1)에 대한 촬영부(100)의 각도 조절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종배열(L2)과 대각배열(L3)에서도 동일한 내용이 적용된다.
도 4와 도 5는 촬영부가 설치된 설치부를 조절하여 촬영 각도를 변경하는 경우의 촬영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영부(100)가 설치된 설치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미도시)를 구비한 경우에는, 촬영부(100)가 설치되는 설치부(200)의 형상이 자체적으로 각 촬영부(100)가 촬영점(F)을 향하도록 제한된다. 도시된 설치부(200)의 형태는 자체적으로 각도를 갖는 가장 대표적인 형상인 오목한 원호면 구조에 촬영부(100)가 설치된 경우이며, 이때 촬영점(F)은 원호의 중심이 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설치부(200)에 설치된 각 촬영부(100)들은 설치부(200) 자체의 각도에 의해서 촬영 대상의 중심이 되는 촬영점(F)을 향하도록 각도가 조절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촬영점(F)이 도 4의 경우보다 더 가까워지면, 설치부(200)의 형상을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미도시)가 설치부(200) 원호면의 원호 반지름이 더욱 작도록 변경하여 각 촬영부(100)가 촬영점(F)을 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원호면을 갖는 설치부(200)는 탄성 재질로 제조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은 원호면을 갖는 설치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구의 일부를 잘라낸 형상의 설치부(200)를 나타내며, 내부의 오목한 원호면에 촬영부들이 배치된다. 도 6의 설치부(200)는 내부의 오목한 원호면에 배치된 촬영부들이 모두 동일한 촬영점을 향하도록 배열되는 장점이 있다. 도 8은 도 6의 설치부에 촬영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각 배열 별로 원호면을 갖는 설치부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횡배열이 설치되는 설치부(210)와 종배열이 설치되는 설치부(220)를 도시한 것이며, 대각배열이 설치되는 설치부도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9는 도 7의 설치부에 촬영부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설치부들(210, 220, 230)에 설치된 횡배열(L1)과 종배열(L2) 및 대각배열(L3)을 구성하는 촬영부(100)들은 모두 동일한 촬영점을 향하도록 배열된다.
이상 완전한 원호면을 갖는 설치부(200) 표면에 촬영부(100)가 설치된 경우에 대하여 도시하였으나, 접이식 접시형 안테나 또는 접이식 태양광 집열기 등의 제품에서 사용되는 구조의 원호면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원호면에 의한 구성에만 제한되지 않고 각 촬영부(100)가 설치된 설치부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경우라면 다수의 회전축으로 구성되는 경우 등도 모두 가능하다.
또한 도 4와 도 5에서 횡배열(L1)에 대한 촬영부(100)의 각도 조절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종배열(L2)과 대각배열(L3)에서도 동일한 내용이 적용된다.
도 10은 전후배열을 포함하는 실시예의 촬영부 배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2개 이상의 촬영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전후방향 일렬로 배열된 전후배열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촬영부(100)가 횡방향 일렬로 배열된 횡배열(L1)과 전후방향 일렬로 배열된 전후배열(L4)을 구성하면서 배치되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포함되었던 종배열과 대각배열도 선택적으로 포함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배열이 중심에 위치하는 촬영부(100)를 포함하여 7개의 촬영부(100)로 구성되는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각 배열을 구성하는 촬영부(100)의 수는 더 적거나 많을 수 있으며,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는 횡배열(L1)과 전후배열(L4)로 구성된 복수의 촬영부(100)를 구비함으로써, 중심점을 기준으로 전후, 좌우방향의 다양한 각도에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촬영부를 움직이는 대신에 각 촬영부(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순차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촬영부가 움직이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복수의 촬영부(100)의 촬영순서 및 촬영된 영상을 배열하는 순서를 제어하는 촬영방법에 대해서는 이후에 더욱 자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도 10에서는 모든 촬영부(100)들이 동일하게 정면을 향하는 것과 같이 도시되었지만, 각 촬영부(100)는 모두 특정의 촬영점을 향하도록 각도가 조절된다.
촬영부(100)가 촬영점을 향하도록 각도를 조절하는 방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 아니면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본 실시예에서 전후방향의 설치부(240)에 설치된 전후배열(L4)은 좌우방향의 설치부(210)에 설치된 횡배열(L1)에 포함된 촬영부(100) 또는 전후배열(L4)에 포함된 촬영부(100)의 촬영화면을 가리지 않도록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전후방향의 설치부(240)가 좌우방향의 설치부(210)를 기준으로 수평하게 직각방향 앞뒤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횡배열(L1)의 중앙에 위치하는 촬영부(100) 및 전후배열(L4)에 포함된 촬영부(100)의 촬영화면이 앞쪽에 위치하는 촬영부(100)에 의해서 가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도시된 것과 같이, 앞뒤방향의 설치부(240)는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이 아니고 앞쪽이 약간 아래쪽을 향하고 뒤쪽은 위쪽을 향하도록 배치하며, 좌우방향 설치부(210)를 기준으로 수직하지 않고 측면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고 교차하도록 배치함으로써, 각 촬영부(100)에서 촬영되는 화면에 앞쪽의 촬영부(100)가 보이지 않도록 배치한다. 한편, 촬영부(100)의 촬영화면을 가리지 않도록 전후배열(L4)을 배치하는 방법은 상기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가능한 모든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촬영부의 촬영화면을 가리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과 함께, 일부 촬영부의 화면이 가려지는 경우에는 그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사용하지 않는 방법 등으로 촬영부의 촬영순서 또는 촬영영상을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도 있다.
이상 도 10에 도시된 횡배열(L1)과 전후배열(L4)의 배치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였으나, 종배열 또는 대각배열이 더 배치된 경우에서도 각각의 배열에 위치하는 촬영부들이 서로 촬영화면을 가리지 않도록 배치되는 것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카메라의 동영상 촬영 및 저장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또는 촬영부가 전후좌우 또는 좌우상하 등으로 이동하면서 영상을 촬영하는 효과를 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의 촬영부에 의해서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하는 방법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체 동영상을 촬영하는 하나의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부가 각 촬영부에 촬영 순서를 부여하고 촬영 순서에 따라서 각 촬영부가 촬영한 정지 영상들을 저장부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면서, 각 정지 영상을 동영상의 프레임으로 사용하여 하나의 입체 동영상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이때, 각 촬영부의 촬영 순서는 전후, 좌우, 상하 및 대각선으로 움직이는 카메라 또는 촬영부에 의해서 입체 동영상을 촬영하는 경우에 카메라 또는 촬영부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위치들이 될 수 있으며, 다양한 카메라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이러한 촬영 순서는 다양한 카메라의 움직임에 해당하는 순서를 미리 제어부에 프로그래밍 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체 동영상을 촬영하는 다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다음으로 각 촬영부가 모두 동시에 평면 동영상을 촬영하고, 제어부가 각 촬영부에서 촬영된 평면 동영상들에서 필요한 프레임을 추출하여 순차적으로 배열함으로써 하나의 입체 동영상을 만드는 방법이다.
이때, 각 촬영부에서 촬영된 평면 동영상들을 모두 저장한 뒤에 필요한 프레임을 추출하여 새로운 입체 동영상을 제작할 수도 있고, 촬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약간의 시차를 두고 미리 프로그래밍된 순서에 따라서 평면 동영상들에서 필요한 프레임을 추출하여 입체 동영상을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촬영부에서 촬영된 평면 동영상들은 필요한 프레임을 추출함과 동시에 불필요한 부분을 삭제할 수도 있고, 필요한 프레임을 추출한 뒤에도 전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평면 동영상들 중에서 불필요한 부분을 바로바로 삭제하는 경우에는 저장 공간에 여유를 가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평면 동영상을 모두 저장하는 경우에는 많은 저장 공간이 필요한 단점이 있지만, 이후에 저장된 평면 동영상들에서 다른 순서로 프레임을 추출하여 다른 입체 동영상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촬영부 200, 210, 220, 230, 240: 설치부
L1: 횡배열 L2: 종배열
L3: 대각배열 L4: 전후배열
F: 촬영점
L1: 횡배열 L2: 종배열
L3: 대각배열 L4: 전후배열
F: 촬영점
Claims (8)
-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이미지센서에서 촬영한 이미지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촬영부의 촬영순서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저장순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2개 이상의 촬영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의 횡방향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횡배열과 2개 이상의 촬영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상하의 종방향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종배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각 촬영부에서 촬영된 평면 동영상들을 모두 저장한 뒤에 필요한 프레임을 추출하여 새로운 입체 동영상을 제작하거나, 촬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일정 시간의 시차를 두고 미리 프로그래밍된 순서에 따라서 평면 동영상들에서 필요한 프레임을 추출하여 입체 동영상을 제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입체안경을 이용하지 않고 볼 수 있는 입체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
- 청구항 1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촬영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대각방향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2개의 대각배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
- 렌즈와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는 복수의 촬영부;
상기 촬영부의 이미지센서에서 촬영한 이미지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달받아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촬영부의 촬영순서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저장순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2개 이상의 촬영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의 횡방향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횡배열과 2개 이상의 촬영부가 중심을 기준으로 앞뒤의 전후방향 일렬로 배열되어 구성된 전후배열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각 촬영부에서 촬영된 평면 동영상들을 모두 저장한 뒤에 필요한 프레임을 추출하여 새로운 입체 동영상을 제작하거나, 촬영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일정 시간의 시차를 두고 미리 프로그래밍된 순서에 따라서 평면 동영상들에서 필요한 프레임을 추출하여 입체 동영상을 제작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입체안경을 이용하지 않고 볼 수 있는 입체 동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영부 각각에 촬영부가 촬영점을 향하도록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
-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영부는 설치부에 설치되고,
상기 설치부의 형상을 조절하여 각 촬영부가 촬영점을 향하도록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는 오목한 원호면을 갖는 형상이며,
상기 설치부 원호면의 지름을 변경하여 상기 촬영부가 촬영점을 향하도록 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에 한 항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체안경을 이용하지 않고 볼 수 있는 입체 동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으로서,
정해진 순서에 의해서 복수의 촬영부들 중에서 하나씩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정지영상을 동영상의 프레임으로 구성하여 입체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영상 촬영방법.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에 한 항의 카메라를 이용하여 입체안경을 이용하지 않고 볼 수 있는 입체 동영상을 촬영하는 방법으로서,
복수의 촬영부들 각각이 평면 동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평면 동영상들 중에서 필요한 프레임을 추출하여 순차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입체 동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 동영상 촬영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9819A KR101549874B1 (ko) | 2013-10-30 | 2013-10-30 |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 및 이의 사용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29819A KR101549874B1 (ko) | 2013-10-30 | 2013-10-30 |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 및 이의 사용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9357A KR20150049357A (ko) | 2015-05-08 |
KR101549874B1 true KR101549874B1 (ko) | 2015-09-03 |
Family
ID=53387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29819A KR101549874B1 (ko) | 2013-10-30 | 2013-10-30 |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 및 이의 사용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4987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18306B1 (ko) * | 2019-09-30 | 2023-12-27 | 주식회사 라씨엔블루 | 얼굴인식용 인공지능학습을 위한 빅 데이터 수집 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8130Y1 (ko) * | 2004-01-31 | 2004-05-03 | (주)오픈브이알 | 카메라 고정식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
-
2013
- 2013-10-30 KR KR1020130129819A patent/KR10154987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48130Y1 (ko) * | 2004-01-31 | 2004-05-03 | (주)오픈브이알 | 카메라 고정식 3차원 이미지 생성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49357A (ko) | 2015-05-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699454B1 (ko) | 눈 위치를 사용하는 삼차원 무안경 광 필드 디스플레이 | |
US20160328824A1 (en) |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multi-projection images | |
KR20130096709A (ko) | 3d 카메라 시스템 및 방법 | |
US20160344999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PANORAMIC AND STEREOSCOPIC VIDEOS | |
TWI527434B (zh) | 利用光場相機產生立體影像的方法及光場相機 | |
WO2015085406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panoramic and stereoscopic videos | |
CN108141578A (zh) | 呈现相机 | |
KR102070800B1 (ko) | 입체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 |
JP4631812B2 (ja) | 多視点映像表示装置、多視点映像撮像装置、及び多視点映像生成装置 | |
JP2014026012A (ja) | 裸眼立体(3d)映像装置及びそのアダプター | |
KR101329057B1 (ko) | 다시점 입체 동영상 송신 장치 및 방법 | |
KR101322187B1 (ko) | 입체 동영상 촬영용 장치 및 카메라 | |
CN108345108A (zh) | 头戴式显示设备、三维图像信息的生成方法及装置 | |
CN206618900U (zh) | 头戴式显示设备 | |
US9258546B2 (en) | Three-dimensional imaging system and image reproducing method thereof | |
US20120154543A1 (en) | Document camera, method for controlling document camera, program, and display processing system | |
CN107071391B (zh) | 一种增强显示3d裸眼图形的方法 | |
CN104519341B (zh) | 一种任意倾斜角度的集成成像微图像阵列的生成方法 | |
KR101556741B1 (ko) | 실감형 자유시점 영상 제공을 위한 반구형 스마트 카메라 형성 장치 및 방법 | |
KR101549874B1 (ko) | 입체 동영상 촬영용 카메라 및 이의 사용방법 | |
KR101578890B1 (ko) | 입체 동영상 촬영용 장치 및 카메라 | |
CN207301514U (zh) | 用于获得焦距认知的显示屏及头戴显示设备 | |
CN107646193A (zh) | 双目立体视觉图像的提供方法、观察装置和照相机单元 | |
KR101433645B1 (ko) | 입체 동영상 촬영용 장치 및 카메라 | |
WO2020060533A1 (en) | Optical arrangement for producing virtual reality stereoscopic imag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