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769B1 - 선박의 칠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의 칠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769B1
KR101549769B1 KR1020140001542A KR20140001542A KR101549769B1 KR 101549769 B1 KR101549769 B1 KR 101549769B1 KR 1020140001542 A KR1020140001542 A KR 1020140001542A KR 20140001542 A KR20140001542 A KR 20140001542A KR 101549769 B1 KR101549769 B1 KR 101549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ler
ship
zones
compartment
un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2733A (ko
Inventor
서대근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1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769B1/ko
Publication of KR20150082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2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Abstract

SRtP 룰의 요구사항에 맞는 선박의 칠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칠러 시스템은, 복수 개의 구획존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복수 개의 칠러유닛을 포함하여, 선박에 긴급상황 발생 시 상기 복수 개의 칠러유닛 중 일부가 작동 불가일 경우, 나머지 정상 작동되는 상기 칠러유닛에 의해 선박 운항에 필요한 칠러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의 칠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CHILLED WATER SYSTEM FOR SHIP AND SHIP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의 칠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수, 화재 등 긴급상황 발생 시 선박이 안전하게 항구로 돌아올 수 있도록 설계된 선박의 칠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대형화 및 승객, 승무원 수 증가로 인해 침수 또는 화재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 시 인명의 대피와 탈출에 어려움이 있다.
아울러 2010년 7월 이후 적용된 신규 법규인 SRtP(Safe Return to Port) 룰의 적용으로, 선박의 안전성을 더욱 강화해야 한다.
SRtP 룰은 선박이 운항 중에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되었을 때에 선박 자체가 인명 구조 용도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기본 개념으로 하는데, 특히, 선내에 화재 또는 침수 발생 시, 선박 자체가 인근의 안전한 항구까지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추력장치는 물론 주요 시스템이 이중(Dual)로 배치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기존의 선박(특히 여객선) 등의 경우 상기와 같은 SRtP 요구사항이 미 적용됨에 따라, 상기한 SRtP 룰에 따른 선박의 칠러 시스템에 대한 설계 방안이 전무하였다.
여객선(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28410호)
본 발명은 침수, 화재 등 긴급상황 발생 시 선박이 안전하게 항구로 돌아올 수 있도록 설계된 선박의 칠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구획존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복수 개의 칠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칠러유닛은 각각 방수 격벽(watertight bulkhead)으로 분리된 독립된 격실(compartment)에 배치되며, 상기 각 격실에는 화재 진압 시스템(Firefighting System)이 구비되어 상기 하나의 격실에서 발생한 침수나 화재가 상기 다른 격실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선박에 긴급상황 발생 시 상기 복수 개의 칠러유닛 중 일부가 작동 불가일 경우, 나머지 정상 작동되는 상기 칠러유닛에 의해 선박 운항에 필요한 칠러 기능이 유지되는 선박의 칠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복수 개의 구획존은 제1, 2, 3, 4 구획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칠러유닛은, 제1 씨체스트(Sea Chest)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제1 칠러유닛과, 제2 씨체스트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제2, 3 칠러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 2, 3 칠러유닛 사이에는 연결 배관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 배관 상에는 복수 개의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구획존에 연결되는 우현 주 배관과 상기 제 3, 4 구획존에 연결되는 좌현 주 배관 사이에는 바이패스 배관이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 배관 상에는 복수의 밸브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2, 3 칠러유닛은 연결 배관, 우현(starboard) 주 배관, 좌현(port) 주 배관 및 바이패스(bypass) 배관에 의해서 각각 상기 제1, 2, 3, 4 구획존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침수, 화재 등 긴급상황 발생 시 선박이 안전하게 항구로 돌아올 수 있는 SRtP 룰의 요구사항에 맞는 선박의 칠러 시스템 설계 가이드 라인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칠러 시스템을 간략히 도시한 개념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2010년 7월 이후 적용된 신규 법규인 SRtP(Safe Return to Port) 룰의 적용으로, 선박의 안전성이 더욱 강화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 SRtP 룰은 선박이 운항 중에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되었을 때에 선박 자체가 인명 구조 용도로 사용되도록 하는 것을 기본 개념으로 한다. 특히, 선내에 화재 또는 침수 발생 시, 선박 자체가 인근의 안전한 항구까지 도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룰의 요구사항이 적용된 선박에는 추력장치는 물론 주요 시스템이 이중으로 배치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칠러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SRtP 룰의 요구사항이 적용된 것으로, SRtP 룰의 요구사항이 적용된 선박의 설계 가이드 라인을 제시해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칠러 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도시된 선박에는 복수 개의 구획존(MFZ1, MFZ2, MFZ3, MFZ4)이 구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칠러 시스템(100)은 복수 개의 구획존(MFZ1, MFZ2, MFZ3, MFZ4)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복수 개의 칠러유닛(110: 110a, 110b, 110c)를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상 제1 칠러유닛(110a), 제2 칠러유닛(110b), 제3 칠러유닛(110c)라 지칭한다.
상기 복수 개의 칠러유닛(110: 110a, 110b, 110c)은 각각 방수 격벽(101)으로 분리된 독립된 격실에 배치되며, 상기 각 격실에는 화재 진압 시스템이 구비되어 상기 하나의 격실에서 발생한 침수나 화재가 상기 다른 격실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선박에 화재 또는 침수 등의 긴급상황 발생 시, 상기 복수 개의 칠러유닛(110: 110a, 110b, 110c)의 일부가 작동 불가일 경우에 나머지가 정상적으로 작동되어 선박 운항에 필요한 칠러 기능을 유지시켜준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구획존(MFZ1, MFZ2, MFZ3, MFZ4)은 설명의 편의상 제1 구획존(MFZ1), 제2 구획존(MFZ2), 제3 구획존(MFZ3) 및 제4 구획존(MFZ4)이라 지칭한다.
상기 복수 개의 칠러유닛 중에서, 제1 칠러유닛(110a)은 제1 씨체스트(103)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작동하도록 구성되며, 이와 달리, 제2, 3 칠러유닛(110b, 110c)는 제2 씨체스트(105)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구성된다.
상기 제1, 2, 3 칠러유닛(110: 110a, 110b, 110c) 사이에는 연결 배관(130)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 배관 상에는 복수 개의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구획존(MFZ1, MFZ2)에 연결되는 우현 주 배관(115)과 상기 제 3, 4 구획존(MFZ3, MFZ4)에 연결되는 좌현 주 배관(113) 사이에는 서로를 연결해주는 바이패스 배관(1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 2, 3 칠러유닛(110: 110a, 110b, 110c)은 상기 연결 배관(130), 상기 우현 주 배관(115), 상기 좌현 주 배관(113) 및 상기 바이패스 배관(120)에 의해서 각각 상기 제1, 2, 3, 4 구획존(MFZ1, MFZ2, MFZ3, MFZ4)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배관(120)은 카 데크(D2)와 바이패스 데크(D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미 설명된 도면부호 D3는 머시너리 데크를 지시한다.
한편, 전체 배관 구성을 통해 복수 개의 밸브(v1, v2, v3, v4, v5, v6, v7, v8)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의 개수 및 장착 위치에 본 발명은 한정될 필요가 없다. 즉, 조금씩 변형된 형태로 실시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이들 밸브(v1, v2, v3, v4, v5, v6, v7, v8)의 종류 역시 관용적으로 알려진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이용 가능하며,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개폐 조절되는 체크 밸브에서 전기적 신호로 제어되는 전자변까지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침수, 화재 등 긴급상황 발생 시 선박이 안전하게 항구로 돌아올 수 있는 칠러 시스템의 설계 가이드 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칠러유닛(110a)이 배치된 격실에 침수 또는 화재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칠러유닛(110a)의 동작이 불가능해 질 경우, 해당 격실에는 화재진압 시스템이 작동하여 다른 구역으로의 화재 전이를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나머지 제2, 3 칠러유닛(110b, 110c)을 보호하고, 이들 제2, 3 칠러유닛으로부터 제1, 2, 3, 4 구획존(MFZ1, MFZ2, MFZ3, MFZ4) 모두에 대한 칠러 시스템 기능이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또는 침수가 발생한 상황에서도 칠러 기능 손실을 최소화 한 상태에서 선박은 항구까지 안정된 운항을 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인 선박의 칠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리고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1: 바이패스 데크
D2: 카 데크
D3: 머시너리 데크
MFZ1: 제1 구획존
MFZ2: 제2 구획존
MFZ3: 제3 구획존
MFZ4: 제4 구획존
v1, v2, v3, v4, v5, v6, v7, v8: 밸브
100: 칠러 시스템
101: 방수 격벽(watertight bulkhead)
103: 제1 씨체스트
105: 제2 씨체스트
110a: 제1 칠러유닛
110b: 제2 칠러유닛
110c: 제3 칠러유닛
113: 좌현 주 배관
115: 우현 주 배관
120: 바이패스 배관
130: 연결 배관

Claims (6)

  1. 선박에 있어서,
    복수 개의 구획존 각각에 대해 적어도 하나 구비되는 복수 개의 칠러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칠러유닛은 각각 방수 격벽(watertight bulkhead)으로 분리된 독립된 격실(compartment)에 배치되며, 상기 각 격실에는 화재 진압 시스템(Firefighting System)이 구비되어 상기 하나의 격실에서 발생한 침수나 화재가 상기 다른 격실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선박에 긴급상황 발생 시 상기 복수 개의 칠러유닛 중 일부가 작동 불가일 경우, 나머지 정상 작동되는 상기 칠러유닛에 의해 선박 운항에 필요한 칠러 기능이 유지되는 선박의 칠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구획존은 제1, 2, 3, 4 구획존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칠러유닛은,
    제1 씨체스트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제1 칠러유닛과,
    제2 씨체스트로부터 해수를 공급받아 작동하는 제2, 3 칠러유닛을 포함하는 선박의 칠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 칠러유닛 사이에는 연결 배관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 배관 상에는 복수 개의 밸브가 구비되는 선박의 칠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구획존에 연결되는 우현 주 배관과 상기 제 3, 4 구획존에 연결되는 좌현 주 배관 사이에는 바이패스 배관이 구비되며,
    상기 바이패스 배관 상에는 복수 개의 밸브가 구비되는 선박의 칠러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 칠러유닛은 상기 연결 배관, 상기 우현 주 배관, 상기 좌현 주 배관 및 상기 바이패스 배관에 의해서 각각 상기 제1, 2, 3, 4 구획존 모두에 연결되는 선박의 칠러 시스템.
  6.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칠러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KR1020140001542A 2014-01-06 2014-01-06 선박의 칠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549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542A KR101549769B1 (ko) 2014-01-06 2014-01-06 선박의 칠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542A KR101549769B1 (ko) 2014-01-06 2014-01-06 선박의 칠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733A KR20150082733A (ko) 2015-07-16
KR101549769B1 true KR101549769B1 (ko) 2015-09-03

Family

ID=53884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542A KR101549769B1 (ko) 2014-01-06 2014-01-06 선박의 칠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76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1494B1 (ko) 1991-06-19 2000-04-15 괴란 순트홀름 소화용장치및방법
JP2008149798A (ja) 2006-12-15 2008-07-0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1494B1 (ko) 1991-06-19 2000-04-15 괴란 순트홀름 소화용장치및방법
JP2008149798A (ja) 2006-12-15 2008-07-03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船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2733A (ko)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78736B1 (en) Ballast water treatment system with a ballast water treatment unit in the engine room of a ship having a submergible pump
JP2008149798A (ja) 船舶
KR102251638B1 (ko) 선박의 스프링클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Pennanen et al. Integrat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increased passenger ship safety
EP3071875B1 (en) Cold-box apparatus and cold-box system
KR101549769B1 (ko) 선박의 칠러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101550508B1 (ko) 선박의 오수 배출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선박
KR20170053421A (ko) 대피경로안내시스템
EP1160155A2 (en) Distributed machinery structure for ships
KR102124645B1 (ko) 선박의 음용수 공급 시스템
CN209396043U (zh) 一种飞行救生圈
van ‘t Veer et al. Large passenger ship safety: time-to-flood simulations
RU2748092C1 (ru) Автономная система обеспечения сжатым воздухом цистерны быстрого погружения подводной лодки с целью продувания балласта независимо от общего запаса воздуха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и состояния общей системы
Jo et al. Study on the potential gaps and themes identified by IMO Regulatory Scoping Exercise (RSE) for the use of Maritime Autonomous Surface Ships (MASS)
Pospolicki A study on how to improve the mass evacuation at sea with the use of survival crafts
CN109552626A (zh) 一种飞行救生圈
KR20160011411A (ko) 선박의 소방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소방수 공급 방법
KR101727787B1 (ko) 안전 수밀 시스템을 갖는 선박
ITUB20155776A1 (it) Un sistema di sicurezza
Johnsen et al. Hazards and Risks of Automated Passenger Ferry Operations in Norway
CN118004328A (en) Ship ballast water system meeting safety inward bound requirements
KR101544809B1 (ko) 선박의 발라스트 시스템
KR101620689B1 (ko) 선박의 산소 공급 장치
KR20130022934A (ko) 선박의 생존 유지를 위한 구조
KR20170115924A (ko) 잠수형 펌프가 설치된 선박의 기관실 내 선박평형수 처리부를 갖는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