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392B1 - 전자기력 가속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력 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392B1
KR101549392B1 KR1020150056601A KR20150056601A KR101549392B1 KR 101549392 B1 KR101549392 B1 KR 101549392B1 KR 1020150056601 A KR1020150056601 A KR 1020150056601A KR 20150056601 A KR20150056601 A KR 20150056601A KR 101549392 B1 KR101549392 B1 KR 101549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ature
rails
damper
rail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6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혁
김성호
이병하
안상혁
이영현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150056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3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6/00Electromagnetic launchers ; Plasma-actuated launchers
    • F41B6/006Rail launc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1/00Launching apparatus for project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Harpoon gu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Linear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1레일과 제2레일,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상기 제2레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전자기력을 받아 상기 일방향을 따라 추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기자, 및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의 각 단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자가 상기 제1 및 제2레일의 단부를 지나면 상기 전기자와 충돌하여 상기 전기자의 운동 에너지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아크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기자와 통전되도록 구성되는 댐핑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자기력 가속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자기력 가속장치{ACCELERATOR USING ELECTROMAGNETIC FORCE}
본 발명은 전자기력을 이용한 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레일 단부에서의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기력 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력 가속장치는 두 개의 평행한 도전성 레일 사이에 전기자(armature)가 배치되고, 상기 전기자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하는 로렌츠의 힘(Lorentz's force)으로 상기 전기자를 발진시키는 장치이다. 전자기력 가속장치는 레일건(railgun)에 응용되어 기존의 화포가 가지고 있는 사정거리 및 발사속도의 한계를 극복하고 있다.
그러나 전기자가 가속되어 레일의 단부(레일건의 포구)를 지나게 되면, 전기자와 레일 간의 전기적 연결이 끊어지고 공기 중으로 전류가 흘러 아크(arc)가 발생하게 된다. 이처럼 포구에서 발생하는 아크는 레일을 손상시키거나, 방전으로 인하여 적에게 위치를 노출하는 빌미를 제공하는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가변저항 또는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아크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포구에서 큰 저항이 생기게 되어 전기자를 통하는 전류의 양이 감소하게 되며, 감소된 전류는 전기자를 감속시켜 전자기력 가속장치의 효율을 떨어뜨린다.
본 발명은 레일 단부에서의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전자기력 가속장치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전자기력 가속장치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1레일과 제2레일,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상기 제2레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전자기력을 받아 상기 일방향을 따라 추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기자, 및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의 각 단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자가 상기 제1 및 제2레일의 단부를 지나면 상기 전기자와 충돌하여 상기 전기자의 운동 에너지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아크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기자와 통전되도록 구성되는 댐핑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자의 전방에는 탄(彈)이 장전되어 상기 전기자의 추진에 의해 발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은 상기 제1 및 제2레일과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기자는, 제1 및 제2레일과 통전되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레일과 각각 접촉되는 전기자 몸체부, 및 상기 전기자 몸체부와 상기 탄 간의 통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전기자 몸체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절연부를 포함한다.
적은 무게로 상기 제1 및 제2레일과의 증가된 접촉 면적이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자 몸체부에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움푹 들어간 형태의 리세스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핑 시스템은, 상기 전기자가 상기 제1 및 제2레일의 단부를 지나면 걸림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댐퍼 몸체부, 및 상기 댐퍼 몸체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지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댐퍼 몸체부는, 상기 전기자가 걸림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댐퍼 헤드를 구비한다.
상기 절연부는 상기 댐퍼 헤드에 걸림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댐퍼 헤드에 걸림시 일부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기자 몸체부는 상기 댐퍼 몸체부와 접촉되어 통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댐퍼 몸체부를 통하여 상기 전기자와 통전되도록, 상기 댐퍼 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댐퍼 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댐퍼 몸체부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 흡수부는 유압식 댐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자기력 가속장치는, 부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레일과 상기 댐핑 시스템을 수용 및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레일건에서와는 달리 전기자는 레일을 떠난 후에도 댐핑 시스템을 통하여 통전되도록 구성되므로, 레일의 단부(포구)에서 아크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기존의 전자기력 가속장치에 댐핑 시스템을 추가로 설치하고 기존의 전기자에 절연부를 형성하면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바, 기존의 구조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성이 크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전자기력 가속장치에서 전기자가 추진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력 가속장치의 일 예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기력 가속장치를 레일 안쪽(Ⅲ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전기자의 추진에 따른 댐핑 시스템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4a는 전기자가 댐퍼 몸체부의 댐퍼 헤드에 걸림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4b는 충격 흡수부의 탄성부재가 압축되는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전기자에서, 탄의 형태 및 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절연부의 형태를 보인 개념도들.
도 5b는 본 발명의 전자기력 가속장치에서 전기자의 변형예를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전자기력 가속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전자기력 가속장치(100)는 레일건 뿐만 아니라 물체의 가속이 필요한 분야라면 어디든 응용될 수 있다. 이하, 전자기력 가속장치(100)가 레일건에 적용된 것을 일 예로 들어 그 구조 및 메커니즘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전자기력 가속장치(100)에서 전기자(120)가 추진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기력 가속장치(100)는 제1레일(111)과 제2레일(112), 전기자(120) 및 펄스전원장치(13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전원장치(130)에서 인가되는 전류는 제1레일(111), 전기자(120) 및 제2레일(112)을 차례로 거쳐 흐르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1레일(111)과 제2레일(112)은 전도성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소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제1레일(111)과 제2레일(11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자(120)에 의하여, 제1레일(111)과 제2레일(112)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된다. 제1레일(111)과 제2레일(112)은 펄스전원장치(130)에 각각 연결되는 파워인가라인 및 접지라인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전류의 인가에 따라, 제1레일(111)과 제2레일(112) 주변에는 자기장이 형성된다. 그 중에서도, 제1레일(111)과 제2레일(112) 사이에는 상기 일방향에 수직한 자기장(B1)이 형성되게 된다.
전기자(120)는 제1레일(111)과 제2레일(112) 사이에 배치되어 제1레일(111) 및 제2레일(112)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펄스전원장치(130)에서 전류가 인가되면, 전기자(120)에는 제1레일(111)에서 제2레일(112)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게 된다.
즉, 전기자(120)에는 상기 일방향에 수직한 전류가 흐르게 되고, 전기자(120)는 상기 자기장(B1)에 의해 전자기력을 받아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이동(추진)되게 된다. 전기자(120)의 전방에는 탄(彈, 10)이 장전되어 전기자(120)의 추진에 의해 발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전기자(120)의 전방에 탄(10)이 장전된 것을 보이고 있다.
앞서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전자기력 가속장치(100)의 경우 전기자(120)가 레일(111, 112)의 단부(레일건의 포구)를 떠나는 순간 전기적으로 단락이 발생함에 따라 아크가 발생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아크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새로운 구조의 전자기력 가속장치(100)를 제안한다. 이하, 레일(111, 112) 단부에서의 아크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전자기력 가속장치(100)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력 가속장치(100)의 일 예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전자기력 가속장치(100)를 레일(111, 112) 안쪽(Ⅲ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전기자(120)의 추진에 따른 댐핑 시스템(140)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들로서, 도 4a는 전기자(120)가 댐퍼 몸체부(141)의 댐퍼 헤드(141a)에 걸림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4b는 충격 흡수부(142)의 탄성부재(142b)가 압축되는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전자기력 가속장치(100)는 앞서 설명한 제1레일(111)과 제2레일(112) 및 전기자(120)에 더하여, 댐핑 시스템(140)을 더 포함한다.
댐핑 시스템(140)은 제1레일(111)과 제2레일(112)의 각 단부의 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레일(111)과 제2레일(112)의 각 단부에 댐핑 시스템(140)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댐핑 시스템(140)은 제1레일(111)과 제2레일(112)의 각 단부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정 간격은, 전기자(120)가 레일(111, 112) 및 댐핑 시스템(140) 중 적어도 하나와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전기자(120)의 길이보다 짧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댐핑 시스템(140)은 전기자(120)가 제1 및 제2레일(111, 112)의 단부를 지나면 전기자(120)와 충돌하여 전기자(120)의 운동 에너지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아크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전기자(120)와 통전되도록 구성된다. 즉, 기존의 레일건에서와는 달리 전기자(120)는 레일(111, 112)을 떠난 후에도 댐핑 시스템(140)을 통하여 통전되도록 구성되므로, 레일(111, 112)의 단부에서 아크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전자기력 가속장치(100)는 하우징(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50)은 부도체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레일(111, 112)과 댐핑 시스템(140)을 수용 및 고정하여 이들이 힘을 받더라도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기자(120)의 전방에는 탄(10)이 장전되어 전기자(120)의 추진에 의해 발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10)이 비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없으나, 일반적으로 탄(10)은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여 구성되므로, 탄(10)에 전류가 흐를 경우, 탄(10)이 레일(111, 112)의 단부를 이탈시 아크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탄(10)은 제1 및 제2레일(111, 112)과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도면에서는, 탄(10)이 제1 및 제2레일(111, 112)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탄(10)은 댐핑 시스템(140)에 걸림되지 않도록 댐핑 시스템(140)의 내부 폭보다도 작은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아울러, 탄(10)은 전기자(120) 몸체와도 통전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전기자(120)는 전기자 몸체부(121) 및 절연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자 몸체부(121)는 전도성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제1 및 제2레일(111, 112)과 각각 접촉됨으로써, 제1 및 제2레일(111, 112)과 통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절연 재질로 형성되는 절연부(122)는 전기자 몸체부(121)의 전방에 구비됨으로써, 전기자 몸체부(121)와 탄(10) 간의 통전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탄(10)이 전기자(120)의 전방에 장전되더라도, 절연부(122)에 의해 전기자 몸체부(121)와 탄(10)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에 놓이므로, 상술한 아크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전기자(120)가 받는 힘은 다음의 관계식을 가진다.
Figure 112015039189842-pat00001
여기서, F는 전기자(120)가 받는 전자기력이고, J는 전기자(120)에 흐르는 전류이며, B는 전기자(120)에 작용하는 자기장이다.
위의 식에서 볼 수 있듯이, 전기자(120)가 강한 가속을 받기 위해서는 강한 전류와 그에 상응하는 강한 자기장이 있어야 한다. 전기자(120)가 적은 무게를 가질수록 강한 가속을 받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전기자(120)가 강한 전자기력을 받을 수 있도록, 전기자 몸체부(121)에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움푹 들어간 형태의 리세스부(12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제1 및 제2레일(111, 112)과의 증가된 접촉 면적으로 강한 전류가 흐를 수 있으며, 리세스부(121a)에 해당하는 무게만큼 경량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기자(120) 및 이에 장전된 탄(10)은 보다 빠르게 추진될 수 있다.
한편, 댐핑 시스템(140)은 댐퍼 몸체부(141) 및 충격 흡수부(14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 몸체부(141)와 충격 흡수부(142)는 제1 및 제2레일(111, 112)이 연장되는 일방향을 따라 차례로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 몸체부(141)는 전기자(120)가 제1 및 제2레일(111, 112)의 단부를 지나면 걸림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댐퍼 몸체부(141)는 전기자(120)가 걸림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댐퍼 헤드(141a)를 구비할 수 있다. 댐퍼 헤드(141a)는 댐퍼 몸체부(141)의 전방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전기자(120)의 전단부 양측 모서리 부분은 댐퍼 헤드(141a)에 걸림되고, 전기자(120)의 적어도 일부는 댐퍼 몸체부(141)에 수용 및 접촉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절연부(122)가 댐퍼 헤드(141a)에 걸림되도록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절연부(122)는 댐퍼 헤드(141a)에 걸림시 일부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 재질(예를 들어, 러버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기자 몸체부(121)는 댐퍼 몸체부(141)와 접촉되어 통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댐퍼 몸체부(141)는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자 몸체부(121)의 양측면이 댐퍼 몸체부(141)와 접촉되어 통전되도록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한편, 전기자(120)에 장전되어 있던 탄(10)은 전기자(120)가 댐퍼 헤드(141a)에 충돌하는 순간 전기자(120)로부터 분리되며, 빠른 속도로 발사되게 된다.
댐퍼 몸체부(141)는 전기자(120)와 충돌함에 따라,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이동되게 된다. 충격 흡수부(142)는 댐퍼 몸체부(141)가 받는 충격을 흡수하여, 댐퍼 몸체부(141)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충격 흡수부(142)가 가이드부재(142a) 및 탄성부재(14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부재(142a)는 댐퍼 몸체부(141)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된다. 댐퍼 몸체부(141)에는 가이드부재(142a)가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재(142a)는 복수 개로 구비되어 댐퍼 몸체부(141)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142b)는 가이드부재(142a)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댐퍼 몸체부(141)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형성된다. 탄성부재(142b)의 일단부는 댐퍼 몸체부(141)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가이드부재(142a)의 단부 내지는 하우징(150)에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142b)는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라, 전기자(120)는 탄성부재(142b)를 압축시키며 이동하여 서서히 운동 에너지를 잃게 된다.
한편, 충격 흡수부(142)는 유압식 댐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유압식 댐퍼에 대해서는 당업자 사이에 다양한 형태로서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그 중 어떠한 것을 채용하여도 무방하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충격 흡수부(142)는 댐퍼 몸체부(141)를 통하여 전기자(120)와 통전되도록 댐퍼 몸체부(14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충격 흡수부(142)는 전도성 금속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접지 연결될 수 있다. 충격 흡수부(142)가 유압식 댐퍼로 구성되는 경우, 댐핑 시스템(140) 전체는 충격 흡수를 위한 유체 부분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구성이 전도성 금속으로 형성되어 통전선로의 역할을 담당함으로써 아크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도 5a는 도 2에 도시된 전기자(120)에서, 탄(10)의 형태 및 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절연부(122)의 형태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탄(10)은 원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탄(10)은 댐퍼 헤드(141a)에 걸림되지 않도록 서로 마주하는 댐퍼 헤드(141a) 간의 폭보다도 작은 폭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절연부(122)는 댐퍼 헤드(141a)와 충돌하게 되며, 이를 고려하여 절연부(122)는 댐퍼 헤드(141a)에 걸림시 일부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전자기력 가속장치(100)에서 전기자(120)의 변형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절연부(122)는 전기자(120)에 장전되는 탄(10)의 후단부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연부(122)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탄(10)과 전기자(120) 간의 통전을 방지하는 본연의 기능만을 수행하게 되며, 전기자(120)의 전단부 양측 모서리 부분은 댐퍼 헤드(141a)에 직접 걸림되게 된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절연부(122)의 두께를 보다 얇게 제작할 수 있으며, 전기자(120)와 댐퍼 몸체부(141) 간의 통전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전자기력 가속장치(100)에 댐핑 시스템(140)을 추가로 설치하고 기존의 전기자(120)에 절연부(122)를 형성하면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는바, 기존의 구조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경제성이 크다고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전자기력 가속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13)

  1.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전류가 인가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는 제1레일과 제2레일;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상기 제2레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자기장에 의하여 전자기력을 받아 상기 일방향을 따라 추진 가능하게 형성되는 전기자; 및
    상기 제1레일과 상기 제2레일의 각 단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자가 상기 제1 및 제2레일의 단부를 지나면 상기 전기자와 충돌하여 상기 전기자의 운동 에너지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아크의 발생을 방지하도록 상기 전기자와 통전되도록 구성되는 댐핑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전기자의 전방에는 탄(彈)이 장전되어 상기 전기자의 추진에 의해 발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전기자는,
    제1 및 제2레일과 통전되도록, 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레일과 각각 접촉되는 전기자 몸체부; 및
    상기 전기자 몸체부와 상기 탄 간의 통전을 제한하도록, 상기 전기자 몸체부의 전방에 구비되는 절연부를 포함하며,
    상기 댐핑 시스템은,
    상기 전기자가 상기 제1 및 제2레일의 단부를 지나면 걸림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일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댐퍼 몸체부; 및
    상기 댐퍼 몸체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이루어지는 충격 흡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몸체부는, 상기 전기자가 걸림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댐퍼 헤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 가속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은 상기 제1 및 제2레일과 접촉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 가속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적은 무게로 상기 제1 및 제2레일과의 증가된 접촉 면적이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전기자 몸체부에는 후방에서 전방을 향하여 움푹 들어간 형태의 리세스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 가속장치.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는 상기 댐퍼 헤드에 걸림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댐퍼 헤드에 걸림시 일부 충격을 흡수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 가속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 몸체부는 상기 댐퍼 몸체부와 접촉되어 통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 가속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댐퍼 몸체부를 통하여 상기 전기자와 통전되도록, 상기 댐퍼 몸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 가속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상기 댐퍼 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댐퍼 몸체부의 이동에 따라 압축되어 충격을 흡수하도록 형성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 가속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부는 유압식 댐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 가속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부도체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레일과 상기 댐핑 시스템을 수용 및 고정하도록 이루어지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력 가속장치.
KR1020150056601A 2015-04-22 2015-04-22 전자기력 가속장치 KR101549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601A KR101549392B1 (ko) 2015-04-22 2015-04-22 전자기력 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6601A KR101549392B1 (ko) 2015-04-22 2015-04-22 전자기력 가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392B1 true KR101549392B1 (ko) 2015-09-02

Family

ID=5424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6601A KR101549392B1 (ko) 2015-04-22 2015-04-22 전자기력 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39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9818A1 (ja) * 2018-10-18 2020-04-23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射出装置及び射出システム
WO2020202456A1 (ja) * 2019-04-02 2020-10-08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射出装置、射出システム及び梱包体
CN112161516A (zh) * 2020-09-11 2021-01-01 上海大学 一种磁阻电磁阻尼与能量回收装置
KR102232815B1 (ko) 2019-11-01 2021-03-26 탁승민 절연파괴를 이용한 전자기력 레일건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597B1 (ko) * 2012-11-28 2013-02-21 국방과학연구소 전자기력 가속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597B1 (ko) * 2012-11-28 2013-02-21 국방과학연구소 전자기력 가속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79818A1 (ja) * 2018-10-18 2020-04-23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射出装置及び射出システム
WO2020202456A1 (ja) * 2019-04-02 2020-10-08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射出装置、射出システム及び梱包体
JPWO2020202456A1 (ko) * 2019-04-02 2020-10-08
JP7267403B2 (ja) 2019-04-02 2023-05-01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射出装置、射出システム及び梱包体
KR102232815B1 (ko) 2019-11-01 2021-03-26 탁승민 절연파괴를 이용한 전자기력 레일건
CN112161516A (zh) * 2020-09-11 2021-01-01 上海大学 一种磁阻电磁阻尼与能量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9392B1 (ko) 전자기력 가속장치
CN101523153A (zh) 具有多个展开触点的改进的放电束缚性武器发射体
US7444940B2 (en) Variable range ammunition cartridge for electrical discharge weapon
US20060207466A1 (en) Ammunition for electrical discharge weapon
CN109059630B (zh) 一种基于微锥型的电磁轨道炮轨道
US8302584B1 (en) Rail gun launcher
US4753153A (en) Electromagnetic railgun with a non-explosive magnetic flux compression generator
CN109029092B (zh) 一种电磁轨道炮轨道、电枢及电磁轨道炮
CN108955369B (zh) 一种电磁轨道炮的炮口消弧器
CN106643286B (zh) 一种多极重接型电磁发射装置
US9354019B2 (en) Electromagnetic tube gun
CN110763080A (zh) 一种电磁推力发射装置
US5528974A (en) Sabot separator for projectile accelerator
KR101235597B1 (ko) 전자기력 가속장치
CN106595390A (zh) 基于电枢预加速降低接触面热积累的电枢熔化抑制方法
KR102046247B1 (ko) 트리거 스파크 갭을 적용한 전자기력 가속장치
US10942012B2 (en) Conducted electrical weapon
US20140063679A1 (en) Electrical Discharge Immobilization Weapon Projectile Having Multiple Deployed Contacts
US4429613A (en) Electromagnetic projectile launcher with an automatic plasma formation device
EP0375310A1 (en) Electromagnetic launcher with improved current commutating switch performance
CN113237381B (zh) 一种电磁轨道炮消弧消音装置
CN211552602U (zh) 一种电磁加速消防水弹炮
GB2260804A (en) Rail gun
Hundertmark et al. Performance of a hexagonal, segmented railgun
CN211291173U (zh) 一种弩射模型火箭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