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9216B1 -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오징어 채낚시 - Google Patents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오징어 채낚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9216B1
KR101549216B1 KR1020140158210A KR20140158210A KR101549216B1 KR 101549216 B1 KR101549216 B1 KR 101549216B1 KR 1020140158210 A KR1020140158210 A KR 1020140158210A KR 20140158210 A KR20140158210 A KR 20140158210A KR 101549216 B1 KR101549216 B1 KR 101549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fishing
magnet
capacitor
current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희춘
배재현
배봉성
조삼광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40158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9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9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9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chanical Means For Catching Fish (AREA)

Abstract

종래 발광 전원으로 소형 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잦은 교체작업에 따른 불편과 교체작업 중 염기를 내포한 해수가 전자회로 내부에 유입되어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자급 전원장치를 발광 전원으로 구성하고 발광체는 외부와 완전히 밀폐시켜 제품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상하이동형 자가발전 모듈을 제공한다 발광체의 유도전류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 발광부는 콘덴서와 저항을 포함하는 전자회로와 연결되어, 유도전류 발생부에 형성된 코일에서 출력되는 전원 접압을 콘덴서에서 충전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방전시킴으로서 LED 발광부가 일정 주기로 점멸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집어등으로 유집된 오징어가 채낚시를 쉽게 인식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여 채낚시 어업에서의 조획성능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오징어 채낚시{The self-generation lighting hook}
본 발명은 현재 오징어 채낚기 어선에서 사용하는 채낚시에 발광기능을 갖고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도전류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 발광부는 콘덴서와 저항을 포함하는 전자회로와 연결되어, 유도전류 발생부에 형성된 코일에서 출력되는 전원 접압을 콘덴서에서 충전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방전시킴으로서 LED 발광부가 점멸할 수 있도록 한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오징어 채낚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 기술이 발달하고 각종 전기전자 모듈을 소형으로 제작하는 기술이 확보됨에 따라 소량의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장비에 있어서 전지의 교환이 필요 없도록 자급 전원 모듈이 적용된 제품이 많다. 즉, 손목시계, 컴퓨터용 마우스, 리모컨, 손전등, 휴대폰 등, 자급 전원 모듈이 적용된 제품이 많다. 자급 전원 모듈은 운동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것이기 때문에 제품의 운동특성에 따라 다양한 자급 전원 모듈이 개발되었다.
한편, 오징어를 주로 잡는 방법에는 채낚기 어법(漁法)이 있다. 채낚기 어법은 오징어를 잡는 낚시인 채낚시를 낚싯줄에 일정한 간격으로 연결하고 낚싯줄을 자동조획기라는 얼레 같은 기기에 감아 놓고 자동조획기가 수직으로 오르내리면서 채낚시에 달려드는 오징어를 잡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을 위해서는 우선 집어등을 밝혀 원거리에 있는 오징어를 유집하여야 한다.
오징어는 빛에 민감한 반응을 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여 채낚시에서 빛이 발광되도록 하여 오징어가 채낚시에 쉽게 접근하도록 하는 기술이 사용되었다. 채낚시에서 빛이 발광되도록 처음으로 사용한 방법은 채낚시의 몸체를 인광 또는 야광으로 제작하는 것이며, 인광의 경우 효과가 떨어지고 야광의 경우 가격이 비싼 단점이 있었다.
여기서 인광은 빛을 흡수하였다가 일정시간 빛을 발광하는 것이고 야광은 빛을 비추지 않아도 일정기간동안 빛을 발광하는 것이다. 채낚시에서 빛이 발광되도록 그 다음으로 사용한 방법은 채낚시 속에 소형 전지와 엘이디를 넣어 빛이 나도록 하는 것이며, 효과는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전지의 교환이 불편하고 이에 따른 고장이 잦은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발명으로 국내등록공보 제10-1049860호에서 발광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자급전원 발광 채낚시가 출원등록되어있고, 국내등록공보 제10-1121091호에서 회전자석의 기전력에 의한 자가발전형 발광모듈을 출원 등록되었다.
상기 발명에서는 유도전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성되는 유도전류발생부 및 상기 유도전류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유도전류에 의해 광이 발하는 발광부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무전원 발광모듈에 의해 무전원 자가발전 및 발전된 전류를 이용하여 LED광원의 발광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수중에서 발광체가 움직일 때마다 발광체가 발광되는 한편 이와 같은 발광이 섬멸함으로서 오징어를 위협하는 작용을 하게 됨으로서 어획에 충분한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상기 모듈을 개량하여 유도전류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 발광부에 콘덴서와 저항을 포함하는 전자회로를 연결하여, 유도전류 발생부에 형성된 코일에서 출력되는 전원 접압을 콘덴서로 충전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방전시킴으로서 LED 발광부가 일정간격으로 점멸할 수 있도록 한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오징어 채낚시를 개발하였다.
자가발전형 전원모듈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0951592호에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자가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폰, PDA, PMP, 리모콘 등 사용자가 휴대하는 전자기기에 교체형 배터리를 사용함이 없이, 전자기기의 내부에 설치하여 휴대중에 전자기기에 가하여지는 진동에 의하여 전자기기에 요구된 전기적인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 개시되어있다. 국내등록특허 제10-0689634호에는 다목적 자가발전 손전등에 관한 기술로 자가발전과 외부전원에 의한 손전등의 충전 및 휴대폰, MP3 같은 외부기기의 충전을 가능케 하고, 자가발전시 회전시키는데 걸리는 부하를 경감시키며, 최대한의 발광기능과 발광시간을 가지는 동시에, 주간 조난 또는 사고시 위치표시 및 치한 등을 퇴치할 수 있는 경고 사이렌 기능, 라디오 청취 기능, 야간 조난 시 사고 위치를 표시하고 어둠을 밝힐 수 있는 조광등 기능과 의사 전달 기능 및 케이스에 자석을 부착하여 철재에 고정시키거나 손잡이 홈에 줄을 구비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부착기능을 갖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들은 손전등 및 휴대용 전자기기의 자가발전장치에 이용하기 위한 것으로 해상의 수중에서 사용되는 어업용으로 이용하기에 적합한 것은 아니다. 또한 국내등록공보 제10-1049860호에서는 발광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자급전원 발광 채낚시, 국내등록공보 제10-1121091호에서는 회전자석의 기전력에 의한 자가발전형 발광모듈을 출원되어있고 상기 선행발명들은 본체 유도전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성되는 유도전류발생부 및 상기 유도전류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유도전류에 의해 광이 발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며, 유도전류발생부는,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된 자석이동관 상기 자석이동관의 외부에 설치된 코일 및 상기 자석이동관을 따라 그 내부에서 이동되는 이동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전류발생부는, 이동되는 상기 이동자석이 반발되도록 상기 자석이동관 내의 상단부에 장착된 반발고무; 및 이동되는 상기 이동자석을 척력에 의해 밀도록 상기 자석이동관 내의 하단부에 장착된 고정자석을 포함한다. 상기 발명은 무전원에 의해 LED광원의 발광이 가능하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콘덴서와 저항을 포함하는 전자회로구성을 포함하지 않아 발광시간과 발광량이 일정하지 않고, 코일과 자석의 기전력발생에 따라 산발적으로 발광이 되고 또한 발광에 잔상이 없어 오징어 어군의 유집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집어등으로 유집된 오징어가 채낚시를 쉽게 인식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한 발광체의 유도전류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 발광부는 콘덴서와 저항을 포함하는 전자회로와 연결되어, 유도전류 발생부에 형성된 코일에서 출력되는 전원 접압을 콘덴서에서 충전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방전시킴으로서 LED 발광부가 일정 주기로 점멸할 수 있도록 한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오징어 채낚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발광시간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는 LED 발광부와 전원 공급부를 갖는 낚시용 발광체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와 콘덴서가 회로상으로 연결되어 전원 접압을 콘덴서에서 충전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방전시킴으로서 LED 발광부가 점멸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전원공급부 또는 콘덴서에는 저항이 회로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회로상에 연결되는 콘덴서는 10 내지 100μF이고, 저항은 10 내지 300kΩ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회로에 배치되는 콘덴서에서 충전된 전원전압의 일정 방전시간은 0.5초 내지 5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시간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를 제공한다.
한편으로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는 수밀구조로 이루어진 본체; 유도전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성되는 유도전류발생부로 이루어지고, 유도전류발생부는,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된 자석이동관; 상기 자석이동관의 외부에 설치된 코일; 및 상기 자석이동관을 따라 그 내부에서 이동되는 이동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전류발생부는, 이동되는 상기 이동자석이 반발되도록 자석이동관 내의 상단부에 장착된 반발고무; 및 이동되는 상기 이동자석을 척력에 의해 밀도록 자석이동관 내의 하단부에 장착된 고정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도전류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유도전류에 의해 광이 발하는 LED 발광부를 포함하는 발광체로 이루어고 유도전류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 발광부는 콘덴서와 저항을 포함하는 전자회로와 연결되어, 유도전류 발생부에 형성된 코일에서 출력되는 전원 접압을 콘덴서에서 충전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방전시킴으로서 LED 발광부가 점멸할 수 있도록 하여 발광시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전자회로에 이용되는 콘덴서는 10 내지 100μF이고, 저항은 10 내지 300kΩ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전자회로에 배치되는 콘덴서에서 충전된 전원전압의 방전시간은 0.5초 내지 5초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LED 발광부에는 발광형광체를 도포하여 LED 발광체가 점멸 후 일정시간의 발광 잔광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LED 발광부에 도포되는 발광형광체는 산질화물 형광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아울러 산질화물 형광체는 하기의 식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Me1-v Amv)1-w Rew]3 Si6 (O1-xF2x)15-3y (N1-zF3z)2y
단, 상기 식에서, Me는 알칼리토금속이며, Am는 알칼리금속이며, Re는 산질화희토류 금속이며, Si는 규소 원소, O는 산소 원소이며, N은 질소 원소이고, F는 불소 원소이며, v, w, x, y 및 z는 0≤v≤1, 0<w<1, 0<x≤0.5, 0≤y≤5, 0<z≤0.33를 만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발광체 및 이를 구비하는 오징어 채낚시는, 발광부에 필요한 전원을 유도전류발생부에서 유도전류로서 공급받음으로써, 소비되는 전지와 같은 별도의 부품 없이도 유도전류 형태로 반영구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아울러, 사용하는 과정에서도 소비되거나 고장으로 인한 전지 교체와 같은 번거로움을 피하면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낚시용발광체를 이용한 오징어채낚시에 의해 채낚기 어업의 조획성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에 설치되는 콘덴서와 저항을 갖는 전자회로도의 기본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에 설치되는 콘덴서와 저항 및 스위치을 갖는 전자회로도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4은 본 발명의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에 설치되는 콘덴서와 저항 및 트랜지스터을 갖는 전자회로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은 본 발명의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에 설치되는 콘덴서와 저항 및 IC를 갖는 전자회로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6는 본 발명의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가 몸체에 장착된 오징어 채낚시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A는 기본적 구성으로 발광시간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는 LED 발광부와 전원 공급부를 갖는 낚시용 발광체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와 콘덴서가 회로상으로 연결되어 전원 접압을 콘덴서에서 충전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방전시킴으로서 LED 발광부가 점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전원공급부 또는 콘덴서에는 저항이 회로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회로상에 연결되는 콘덴서는 10 내지 100μF이고, 저항은 10 내지 300kΩ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자회로에 배치되는 콘덴서에서 충전된 전원전압의 일정 방전시간은 0.5초 내지 5초인 것으로 하여 회로상의 콘덴서와 저항의 크기를 고려하여 구성할 수 있다.
심해 아귀가 오징어를 포획할 때 사용되는 광원은 청색광원을 사용하여 광원의 방전시간을 1 내지 1.5초 간격으로 점멸하면서 유인하여 포획한다. 즉 생물학적 최적화된 점멸간격은 1내지 1.5초가 적절하고 점멸시간이 정해지면, 콘덴서의 용량과 저항의 크기를 조합하여 구성할수 있다.
본 발명의 발광체는 국내등록공보 제10-1049860호에서 나타난 발광모듈에 응용이 가능하다. 즉, 도 1의 B와 같이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는 하우징과 그 내부에 장착되는 자석 이동관, 이동자석, 고정자석, 코일, 반발고무로 이루어지는 유도전류발생부 및 LED 발광부로 구성된다. 발광체의 위쪽과 아래쪽에는 각각 발광체 윗고리와 발광체 아랫고리가 있어 상하로 낚싯줄 또는 채낚시에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의 발광원리는 하우징 내부에 장착되는 건전지 또는 전류발생부에서 공급 발생되는 전류가 LED 발광부로 공급되면서 LED를 발광시킨다. 발광체에서 빛을 내는 소자로 사용되는 LED는 기존의 조명광원으로 이용되어 왔던 백열 전구와는 달리 저전력으로 장기간 교체 없이 사용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색상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LED에 공급되는 전원은 건전지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자체적으로 전류를 발생시키는 유도전류발생부로 구성될수 있다. 유도전류발생부는 국내등록공보 제10-1049860호에서 설명되어있는 구성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유도전류발생부는 자석이동관 외부에 코일이 자석이동관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이동자석은 자석이동관을 따라 그 내부에서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외부에 코일이 부착된 자석이동관 속에 있는 이동자석이 자석이동관의 내부에 위치되어 자석이동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면서 코일에서 발생된 유도전류를 LED 발광부로 흘려보냄으로서 유도전류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전류의 양만큼 LED가 발광된다. 자석이동관 속에 있는 이동자석의 움직임은 오징어채낚기 어선의 자동조획기에서 상하왕복으로 내리고 감겨지는 낚시줄의 움직임에 따라 발광체의 유도전류발생부에서 기전력이 발생한다.
즉 오징어 채낚기 어업에서 채낚시는 얼레와 흡사한 기능을 하는 자동조획기에 70-90m이상의 길이를 갖는 낚싯줄에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있어, 자동조획기가 낚싯줄을 반복적으로 풀었다 감았다 함으로써 채낚시는 불규칙한 상하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하운동력을 이용하여 발광체 내부의 이동자석은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외부의 코일에 유도전류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유도전류발생부는 자석이동관 내에 고정자석을 구비하여 고정자석이 이동 가능한 이동자석을 척력에 의해 밀도록 자석이동관 내의 단부에 장착된다. 이동자석은 자석이동관 내에서 움직이는 이동자석이 자석이동관의 단부에 도달하여 부드럽게 다시 반대방향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한다.
즉, 자석이동관의 아래쪽에는 고정자석이 있으며 자석의 극성을 이동자석과 서로 척력이 발생되도록 자석을 위치시켜 아래로 떨어지는 이동자석을 충격 없이 부드럽게 위로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유도전류발생부는 자석이동관 위쪽에 반발고무가 부착되어 있어 위로 이동하는 이동자석을 부드럽게 반발시키는 역할을 한다. 반발고무는 이동되는 이동자석이 반발되도록 자석이동관 내의 단부에 장착된다. 이러한 반발고무는 자석이동관 내에서 움직이는 이동자석이 자석이동관(2)의 단부에 도달하여 부드럽게 반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반발고무는 이동되는 이동자석이 반발되도록 자석이동관 내의 일단부에 장착되고, 고정자석은 이동되는 이동자석을 척력에 의해 밀도록 자석이동관 내의 타단부에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하이동하는 이동자석이 자석이동관의 일단부에 도달될 때는 반발고무에 의해, 타단부에 도달될 때는 고정자석에 의해 부드럽게 반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도전류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유도전류는 LED 발광부에서 광을 발하도록 공급된다.
한편, 유도전류발생부에 의해 발생된 유도전류는 LED 발광부에서 광을 발하도록 공급되며 공급되는 유도전류는 LED의 정격전압에 맞는 전류가 발생될 때 LED광원이 빛을 발하게 된다. 오징어채낚기 어선의 자동조획기에 설치된 낚시줄이 수중으로 내려가면서 선체의 요동의 힘이 낚시줄로 전달되어 유도전류를 발생시킨다. 이때 발생되는 전류의 양은 미량의 전류로 LED 광원을 지속적으로 발생시킬 수 없다. 따라서 발광체에서 발생되는 유도전류를 충전하여 충전된 전류를 일정한 주기로 방전할 필요가 있다.
도 2는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에 설치되는 콘덴서와 저항을 갖는 전자회로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발광체에서 발생된 유도전류의 충전은 콘덴서를 이용하여 충전가능하다. 콘덴서의 충, 방전 전압보다 높은 전압을 얻기 위해서는 콘덴서에 전압을 충전시켜 놓고, 충전을 완료 한 콘덴서를 직렬로 함으로써 가능하다.
백색 LED 또는 청색 LED를 점등시키려면 3.5V ~ 4.5V 정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도 2의 회로도를 구성하면 충전된 유도전류를 방전함으로서 순간만 점등가능하다.
도 2의 상부 회로도는 3 개의 콘덴서를 병렬로 하여 충전하고 점등시는 3 개의 콘덴서를 직렬로 연결함으로서 LED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함으로서 점등 가능하다. 이와 같은 전기 회로는 추가적으로 병렬을 직렬로 변환시킬 수 있는 스위치를 함께 사용하여야 한다. 도 2의 하부 회로도는 2 개의 콘덴서와 전원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로서 유도전류발생부에서 발생된 전류는 콘덴서로 충전되면서 필요한 전류가 충전되면 콘덴서로부터 전류가 순간적으로 방전되면서 LED 광원이 점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에 설치되는 콘덴서와 저항 및 스위치을 갖는 전자회로도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서 발전된 회로도로서 유도전류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전류를 충전시에는 콘덴서를 병렬로 하고, 충전된 전류를 이용하여 LED를 점등시킬 때는 2 개의 콘덴서를 전류공급부와 직렬이 되도록 한 회로이다.
즉 도 3에서 2 개의 스위치(SW)가 OFF 일 때는 콘덴서(C)는 2 개의 저항 R을 통해 전원이 충전되며, 2 개의 스위치(SW)가 ON 때는 2 개의 콘덴서(C)와 전원이 직렬로 연결되어 LED에 전원이 방전되게 된다. 통상은 스위치를 온, 오프하는 것으로 점멸시킬 수 있으나, 발광체가 하우징내부에 밀폐되므로 스위치가 아닌 이를 대신할 트랜지스터로 대체함으로서 자동적으로 작동가능하다.
도 4은 본 발명의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에 설치되는 콘덴서와 저항 및 트랜지스터을 갖는 전자회로도의 일 예를 나타낸다. 상기 도 3에서 만들어진 회로의 콘덴서를 연결하는 순서를 변경하기 위해 스위치를 사용하는 대신 도 4에서는 스위치 대신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예를 나타낸다. 즉 스위치에 해당하는 트랜지스터가 Tr3, Tr4로서, 트랜지스터를 사용함으로서 스위치가 담당하는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콘덴서를 충전 할 때 2 개의 저항 R을 통해 충전하므로 충전 시간이 걸리며, 저항을 통해 콘덴서에 충전시킨 경우 콘덴서의 양단 전압은 저항 R과 콘덴서 C의 곱으로 구해지며, C * R 초에 전원 E의 약 63 %가 충전되며, 3CR 초 후 전원 E의 약 95 %가 충전된다. 도 4는 저항 R을 2개 이용하기 때문에, 6CR 초에 약 95 %가 충전된다.
도 4의 회로의 충전 방전에는 저항 R에 1KΩ, 콘덴서 C에 100μF을 사용하였으므로 95 %의 충전 시간은 0.6 초가 걸리며, 트랜지스터 Tr3, Tr4의 전환에 따라 충전, 방전을 자동적으로 전환하게 된다. 즉 자동적 점멸시간은 콘덴서의 방전용량의 조절로 가능하며 충전하는 시간의 조절은 저항 R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으로 변경 조절가능하다. 100μF의 콘덴서를 47μF, 22μF, 10μF로 변경하면 충전시간은 단축되며 점멸시간도 짧게 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에 설치되는 콘덴서와 저항 및 IC를 갖는 전자회로도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는 대신 IC를 사용함으로서 본 발명의 회로를 더욱 간소화 시킬 수 있다. 도 5의 점멸주기는 저항 R1에 33KΩ, 콘덴서 C1에 10μF을 사용하였으므로 1.4 X 10 X10-6 X 33000=0.462초로 계산된다.
한편 상기 회로도를 갖는 발광체에 장작된 LED 로부터 방사되는 빛은 통상의 LED 광원의 경우 빤짝하는 정도의 짧은 순간만 발광하게 되므로 오징어 어군에게는 섬광으로 보이게 되어 유인하는 특성보다는 위협하는 특성을 갖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을 발광한 후 0.2초 내지 1초 정도의 간격으로 잔광을 갖도록 빛을 방사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잔광효과는 LED모듈 표면에 산질화물 형광체를 도포함으로서 LED광으로부터 방사된 빛이 산질화물 형광체로 전이되어 잔광효과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산질화물에 대해서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226253호(2013.01.25. 공고)에서 그 제조방법이 언급되어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산질화물 형광체는 하기 구조를 가질 수 있다.
[(Me1-v Amv)1-w Rew]3 Si6 (O1-xF2x)15-3y (N1-zF3z)2y
단, 상기 식에서, Me는 알칼리토금속이며, Am는 알칼리금속이며, RE는 산질화희토류 금속이며, Si는 규소 원소, O는 산소 원소이며, N은 질소 원소이고, F는 불소원소이며, v, w, x, y 및 z는 0≤v≤1, 0<w<1, 0<x≤0.5, 0≤y≤5, 0<z≤0.33를 만족하며, 분말크기가 10.0㎛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 토금속 할로겐화물은 MgF2, CaF2, SrF2, BaF2, MgCl2, CaCl2, SrCl2, BaCl2, MgBr2, CaBr2, SrBr2, BaBr2, MgI2, CaI2, SrI2, BaI2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상기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1몰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몰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칼리 금속 할로겐화물은 LiF, NaF, KF, LiCl, NaCl, KCl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은 MgCO3, CaCO3, SrCO3, BaCO3, MgO, CaO, SrO, BaO, SrO2, BaO2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희토류 금속 산화물은 La2O3, CeO2, Pr2O3, Nd2O3, Sm2O3, Eu2O3, Gd2O3, Tb2O3, Dy2O3, Ho2O3, Er2O3, Tm2O3, Yb2O3, Lu2O3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규소원은 규소(Si), 나트륨규소불화물(Na2SiF4), 질화규소(Si3N4)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의 산질화물 형광체는 1) 알칼리금속 할로겐화물, 알칼리 토금속 산화물, 알칼리 토금속 할로겐화물, 희토류 금속 산화물, 규소원을 혼합하여 반응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2) 상기 반응 혼합물을 로에 넣어 혼합기체하에서 소성하여 반응 혼합물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2) 단계의 반응 생성물을 세척한 후, 산성 용액으로 침출하여 산질화물 형광체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산질화물 형광체를 얻기 위한 제조단계에서 소성온도는 700℃ 내지 1600℃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6시간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산성 용액은 황산, 염산, 질산, 불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제조된 산질화물 형광체는 분말일 수 있으며 이러한 분말의 평균입자크기는 10.0㎛이하일 일 수 있으며, 산질화물 형광체를 채용한 LED 패키지 또는 발광소자의 광효율 및 LED 패키징시 침강을 방지하기 위해 8.0㎛이하로 정할 수 있다.
제조된 산질화물 형광체 분말은 450 ~ 452.5nm 블루칩위에 주제, 경화제, 산질화물 형광체의 조성비를 10 : 10 : 2.6으로 하여 산질화물 형광체 분말을 적용한 LED 패키지를 제조하였다. 형광체를 적용한 LED의 경우, 적용하지 않은 LED에 비해 발광 후 빛의 잔광 효과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힌편, 본 발명의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는 유도전류발생부와 발광부가 오징어채낚시의 몸체에 적정하게 내장될 수 있도록 그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채낚시와 직접 연결되거나 설치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변경가능하다. 도 6는 본 발명의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가 몸체에 장착된 오징어 채낚시를 나타낸다.
도 6은 발광체채낚시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발광체의 내부구조를 기존 오징어용 채낚시의 낚시채 내부에 장착할 수 있도록 크기와 구조를 변경하여 구성한 것이다. 발광 모듈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채낚시는 기존 채낚시 내부에 발광체를 형성함으로서 기존의 조업방식과는 아무런 영향 없이 채낚시의 낚시채에서 빛을 발광하고 잔상을 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가 오징어 채낚시 몸체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오징어 채낚시의 바늘부 아래에 직렬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발광체을 기존 채낚시의 아래쪽에 연결하여 구성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구성은 기존 채낚시의 아래쪽에 연결되므로 기존의 채낚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채낚시의 바늘이 노후시에는 채낚시만 교체하여 사용하므로, 발광체은 반영구적으로 사용가능하다. 또한 채낚시 아랫고리와 발광체 윗고리의 연결부위는 자유롭게 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동조획기에 꺾이면서 감기므로 안정성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발광시간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를 갖는 구성은 모두 엘이디에서 발생하는 빛을 보고 오징어 등 대상생물을 유집하는 효과를 얻어 채낚기 어업의 조획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광체을 이용하여 레저용 낚시에서 이용함으로서 조획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약 5,750척 오징어 채낚기 어선이 있고 최근 유가의 급등으로 어업경영이 매우 어려운 실정이므로 집어에 소요되는 에너지 비용을 낮출 필요가 있고, 이에 따라 어획성능의 보장을 위해서는 발광 채낚시 및 발광체가 필요하며, 본 발명의 무전원 발광체를 사용함으로서 전원공급에 필요한 경비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발광주기를 일정시간으로 조절 가능함으로 어획성능의 향상이 가능하다.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 하우징 2 : 자석 이동관
3 : 이동자석 4 : 고정자석
5 : 코일 6 : 반발고무
7 : 엘이디 발광부 8 : 발광체 윗고리
9 : 발광체 아랫고리 10 : 발광체 채낚시
11 : 채낚시 윗고리 12 : 채낚시 아랫고리
13 : 낚싯바늘 14 : 위 낚싯줄
15 : 아래 낚싯줄 16 : 채낚시
20 : 건전지 25 : 콘덴서
26 : 저항

Claims (8)

  1. 수밀구조로 이루어진 하우징; 유도전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구성되는 유도전류발생부로 이루어지고, 유도전류발생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된 자석이동관 상기 자석이동관의 외부에 설치된 코일 및 자석이동관을 따라 그 내부에서 이동되는 이동자석을 포함하며 이동되는 이동자석이 반발되도록 자석이동관 내의 상단부에 장착된 반발고무 및 이동자석을 척력에 의해 밀도록 자석이동관 내의 하단부에 장착된 고정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도전류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계되어 상기 유도전류에 의해 광이 발하는 LED 발광부를 포함하는 발광체로서, 상기 LED 발광부에는 발광형광체로서 하기 구조를 갖는 산질화물 형광체를 도포하여 LED 발광체가 점멸 후 일정시간의 발광 잔광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시간 조절이 가능한 오징어 채낚시용 발광체에 있어서,
    유도전류 발생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LED 발광부에 콘덴서와 저항이 회로상에서 연결되어 유도전류 발생부에 형성된 코일에서 발생하는 전류를 콘덴서에서 충전하여 일정시간 간격으로 방전시킴으로서,
    LED 발광부가 1 내지 5초의 간격으로 발광 잔상을 갖고 점멸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회로상에 연결되는 콘덴서의 용량은 10 내지 100μF이고, 저항의 크기는 10 내지 300kΩ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특징으로 하는 발광시간 조절이 가능한 오징어 채낚기용 낚시 발광체.
    [(Me1-v Amv)1-w Rew]3 Si6 (O1-xF2x)15-3y (N1-zF3z)2y
    (상기 식에서, Me는 알칼리토금속이며, Am는 알칼리금속이며, Re는 산질화희토류 금속이며, Si는 규소 원소, O는 산소 원소이며, N은 질소 원소이고, F는 불소 원소이며, v, w, x, y 및 z는 0≤v≤1, 0<w<1, 0<x≤0.5, 0≤y≤5, 0<z≤0.33를 만족한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158210A 2014-11-13 2014-11-13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오징어 채낚시 KR101549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210A KR101549216B1 (ko) 2014-11-13 2014-11-13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오징어 채낚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210A KR101549216B1 (ko) 2014-11-13 2014-11-13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오징어 채낚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9216B1 true KR101549216B1 (ko) 2015-09-02

Family

ID=54246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210A KR101549216B1 (ko) 2014-11-13 2014-11-13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오징어 채낚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921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4049A (zh) * 2021-01-24 2021-04-27 翟凤平 能够自行发光和产生电场的假饵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782B2 (ja) 1991-11-18 2001-04-25 株式会社リコー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1049860B1 (ko) 2010-06-23 2011-07-19 대한민국 발광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자급전원 발광 채낚시
KR101315264B1 (ko) 2012-11-13 2013-10-08 대한민국 Led 집어등에 알맞은 형광 채낚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782B2 (ja) 1991-11-18 2001-04-25 株式会社リコー ファクシミリ装置
KR101049860B1 (ko) 2010-06-23 2011-07-19 대한민국 발광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자급전원 발광 채낚시
KR101315264B1 (ko) 2012-11-13 2013-10-08 대한민국 Led 집어등에 알맞은 형광 채낚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4049A (zh) * 2021-01-24 2021-04-27 翟凤平 能够自行发光和产生电场的假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2761B2 (en) Light emitting diode lamp assembly
EP2660881B1 (en) Light-emitting diode driver circuit and led light source
JP2009105016A (ja) Led照明装置
KR101549216B1 (ko) 발광주기 조절이 가능한 낚시용 발광체 및 이를 이용한 오징어 채낚시
CN201628158U (zh) 节电型led间歇照明指示灯
CN201878375U (zh) Led恒压恒流驱动电路
CN103582220B (zh) 可调色温的发光二极管灯具
CN203859903U (zh) 一种电路元件
CN202195410U (zh) 感应太阳能草坪灯
CN2575418Y (zh) 发电型照明电筒
CN205071365U (zh) 发光二极管照明驱动电路及灯具
CN102278620A (zh) 可控制照明亮度之led模块
TWM306751U (en) Lighting controller of light emitting diode
CN111542150A (zh) 一种具有消防应急照明功能的人体感应led灯电路
CN104489995A (zh) 运动充电夜间照明鞋
KR200302495Y1 (ko) 자가 발전 기능을 갖는 손전등
KR101587540B1 (ko) 엘이디 장치
CN218295391U (zh) 一种带激光指示器的led强光手电筒
CN2594620Y (zh) 磁能环保发光器
CN217584148U (zh) 一种无整流的无极灯灯串
JP4975883B1 (ja) 発光ダイオード用駆動回路及びled光源
TW200806080A (en) Light-emitting control device of light-emitting diode
CN110996446B (zh) 一种交流驱动的led器件及其在交流电电源下的发光方法
TW201212701A (en) LED lighting apparatus
CN211090050U (zh) 一种led灯串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