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606B1 - 관리자 단말이 사용자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 Google Patents

관리자 단말이 사용자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606B1
KR101548606B1 KR1020150027862A KR20150027862A KR101548606B1 KR 101548606 B1 KR101548606 B1 KR 101548606B1 KR 1020150027862 A KR1020150027862 A KR 1020150027862A KR 20150027862 A KR20150027862 A KR 20150027862A KR 101548606 B1 KR101548606 B1 KR 1015486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administrator terminal
user equipment
user
remotely cont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권
Original Assignee
아란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란타(주) filed Critical 아란타(주)
Priority to KR1020150027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6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6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를 관리자 단말이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부가적인 인증 절차 없이 임시 접속 번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임시 접속 번호에 의하여 원격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에 의해 원격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관리자 단말에서 무선데이터망을 통해 사용자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관리자 단말이 사용자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A SYSTEM AND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REMOTELY CONTROLLING AN USER EQUIPMENT BY AN ADMINISTRATOR'S TERMINAL}
본 발명은 임시 접속 번호에 기반하여 사용자 기기를 관리자 단말에서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메모리, CPU 등의 성능 향상으로 이동 단말의 기술이 발전하면서, 기존의 음성통신 중심의 단말기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하고 구동하며 멀티미디어 기능, 인터넷 등 데이터통신 위주의 다변화된 기능을 지닌 스마트폰이 이동 단말 시장에서 급속도로 보급되고 있다. 스마트폰은 기존의 휴대전화기, MP3 플레이어 단말, 내비게이션 단말기 등의 여러 정보통신기기의 통합을 가져왔고, 앞으로는 더 많은 기기의 통합이나 현재까지 통합적으로 구현되지 않은 정보통신기기나 기능을 추가로 내재화하여, 또는 특정 기능이나 목적에 특화된 스마트 기기로 진화해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등장, 발달, 및 급격한 보급은 빠르고 정확한 데이터 전송률의 구현이 가능한 데이터통신이 가능하게 되면서 진화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디바이스, 사용자 기기) 자체에 이상이 있는 경우에 기존의 휴대전화보다 복잡한 기능을 갖기 때문에 모든 사용자가 일일이 이를 자체적으로 점검하거나 이상 유무를 판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종래 개인용 컴퓨터(PC)의 점검 방식에 있어 관리자나 운용자가 제공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개인용 컴퓨터(PC)와 연결된 통신망을 통해 관리자나 운용자가 개별적으로 사용자의 PC에 원격 접속하여 PC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거나 사용자가 느끼는 애로사항을 해결해주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원격 제어 방식을 따르더라도 최초 원격 접속과 제어를 요청하기 위해서는 상담원과의 전화통화를 거쳐 어떠한 응용프로그램을 설치하여야 할 것인지를 확인하고, 응용프로그램의 설치과정에서 사용자 본인에 대한 인증 절차를 요구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 PC의 원격제어 방식을 유사하게 스마트폰 및 이로부터 파생될 스마트 기기에 적용하기에는 한계점이 존재한다.
[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7262호 [2]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4049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임시 접속 번호에 기반하여 사용자 기기를 관리자 단말에서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제공하기 위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1 양상으로서,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를 관리자 단말이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이 개시된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관리자 단말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가능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윈도우에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임시 접속 번호를 생성가능한 사용자 기기; 및 상기 사용자 기기와 통신가능한 관리자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임시 접속 번호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식별번호 또는 전화번호와 독립적이며, 설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접속가능할 수 있다.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입력 수단에 의하여 식별되는 일련번호가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생성된 임시 접속 번호와 일치하면,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임시 접속 번호를 생성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제어권의 획득은,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Application Framework) 계층, 네이티브 라이브러리(Native Libraries) 계층, 안드로이드 런타임(Android Runtime) 계층, HAL 계층 및 리눅스 커널(Linux Kernel) 계층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기능을 상기 관리자 단말이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기능 또는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관리자 단말의 입력 수단은 키패드, 헤드셋, 마이크로폰, 가상키보드, 터치스크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면,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설정 파라미터를 구비하는 원시 코드(Native code)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로그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의 동기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 2 양상으로서,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를 관리자 단말이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가 개시된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기기에서 관리자 단말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윈도우에 신호가 인가되는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코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임시 접속 번호를 생성하기 위한 코드; 관리자 단말에서 일련번호를 식별하여, 상기 일련번호가 상기 임시 접속 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일련번호가 상기 임시 접속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임시 접속 번호를 생성하기 위한 코드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기 위한 코드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 네이티브 라이브러리 계층, 안드로이드 런타임 계층, HAL 계층 및 리눅스 커널 계층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기능을 상기 관리자 단말이 획득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의하면, 별도의 부가적인 인증 절차 없이 임시 접속 번호와 일치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임시 접속 번호에 의하여 원격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에 의해 원격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여, 관리자 단말에서 무선데이터망을 통해 사용자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기기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 등은 개인용 컴퓨터(PC)에 대해서만 가능하였던 기존의 원격 접속 및 제어 방법으로부터, 개별적인 사용자 기기에서 생성되는 임시접속번호에 기반하여 사용자 기기 자체에 대한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격 제어를 원할 경우 번거로운 과정으로 여겨질 수 있는 인증 등의 절차를 생략하고도 원격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에 의한 효과는 전술한 사항에 국한되지 아니하고 더욱 폭넓게 인정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이 제1 단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의 개괄적인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이 제1 단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단말의 식별번호가 제2 단말과 연동된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지 않은 경우에 적용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제1 단말인 사용자 기기에서 기반으로 사용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이 실시되는, 하나의 예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이 구현되는 사용자 기기의 예시적인 양상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이 구현되는 관리자 단말의 예시적인 양상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구성에 관하여 지나치게 상세한 설명으로 인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경우 그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고 도면에 나타난 특정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구성, 요소가 존재하는 것을 의미하지만, 이들 특징, 구성, 요소만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 요소 및 이들의 조합에 대한 존재가능성 및/또는 추가될 여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이라는 용어는 '일 예, 하나의 경우, 또는 한 가지 예시로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하며, '예시적인' 양상이 다른 양상들에 비해 바람직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단수 형태로 특정하여 기술된 것이 아니라면, 하나 이상의 형태까지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단수의 형태임을 한정하도록 기재되지 아니한다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대상, 객체(object)는 모두 단수와 복수의 형태를 포괄하는 것으로 통용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이 제1 단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제1 단말(10), 제2 단말(20), 및 통신망(30)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각각 원격에 위치하고 전형적으로 통신망(30)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면서 가상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대측과 제1 단말(10)-제2 단말(20)의 연결 노드를 형성함으로써 발생된다.
제1 단말(10)은 사용자측 단말이나 기기일 수 있는데, 사용자 기기, 가입자국, 가입자 유닛, 이동국, 모바일, 사용자 에이전트, 사용자 디바이스 등으로 지칭되는 이동 단말(셀룰러폰이나 스마트폰, 또는 이를 기반으로 하는 응용 형태의 디바이스)을 총괄적으로 지칭하기 때문에, 제1 단말(10)은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하나 이상의 양상들은 휴대전화(예, 스마트폰 등), 데이터 통신 기능이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 태블릿 PC,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 또는 무선 매체를 통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개인용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단말(10)은 관리자가 제공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활성화 윈도우에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임시접속번호가 생성된다.
약술하면, 제1 단말(10)은 관리자 단말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가능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윈도우에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관리자 단말(즉, 제2 단말, 20)에 대해 별도의 요청이나, 관리자 단말로부터의 별도 응답에 의하지 아니하고 제1 단말(10) 자체적으로, 임시 접속 번호를 생성하게 된다.
한편, 제2 단말(20)은 관리자측 단말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운용하는 관리자의 서버, 데이터베이스와 연동되어 개별적인 상담원이나 매니저의 개인용 컴퓨터(PC), 원격 컴퓨팅 장치 등을 지칭한다. 이러한 제2 단말(20)의 입력 수단에 의해 식별되는 일련번호가 제1 단말(10)에서 생성된 임시 접속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임시 접속 번호를 유효 번호로 간주하여 이를 통해 제1 단말(10)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게 된다.
제2 단말(20)이 제1 단말(10)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한다고 함은, 제1 단말(10)이 안드로이드 플랫폼에 기반한 것이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플랫폼상 제1 단말(10)이 작동가능하도록 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 네이티브 라이브러리 계층, 안드로이드 런타임 계층, HAL 계층 및 리눅스 커널 계층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할 수 있다.
통신망(30)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도록 가능한 수단을 지칭하는 것으로,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광대역통신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에서 통신망(30)은 무선 데이터망을 지칭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단말이 제1 단말을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며,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에서 원격 제어 시스템이나 원격 제어 기능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먼저, 제1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며 활성화 영역에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원격접속요청신호 및 임시 접속 번호를 생성한다(S10 단계).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이 구현되는 제1 단말의 예시적인 양상을 도시한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특정 애플리케이션(예,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Mobile Helper)이 실행되거나 활성화 영역(예,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A 영역)에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원격 제어 방법이 개시되는 것이다. 여기서, 원격접속요청신호란, 제1 단말인 사용자 기기로부터 제2 단말인 관리자 단말에 원격으로 자신의 사용자 기기에 접속하여 제어를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하며, 임시 접속 번호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고유한 단말 식별번호나 단말의 전화번호와 독자적으로 일시적으로(예를 들면, 15분, 30분, 1시간 등 시스템 상에 설정된 특정한 시간 동안만) 유효하게 관리자 단말이 사용자 기기에 접속할 수 있는 번호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1 단말은, 사용자 기기의 식별번호, 원격접속요청신호, 및 임시접속번호를 제1 단말로부터 제2 단말에 송신하게 된다(S20 단계). 송신되는 식별번호, 원격접속요청신호 및 임시접속번호는 양 단말이 통신하게 되는 통신망(도 1의 30)에 대한 암호화 방식에 의하여, 제1 단말에서 암호화될 수 있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제1 단말의 식별번호, 원격접속요청신호 및 임시접속번호를 수신한 제2 단말은, 제2 단말과 연동된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제1 단말의 식별번호가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S30 단계). 이는 원격접속제어를 요청한 사용자 기기가 관리자의 시스템 상에 인가된 사용자인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절차로서,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의 보안성을 확보하기 위한 과정으로 볼 수 있다. 만약, 내부 데이터베이스 상에 제1 단말의 식별번호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적용되는 방법은 도 3을 참조로 설명된다.
도 3을 참고하면, 제2 단말인 관리자 단말은 관리 서버에 제1 단말의 식별번호 및 이에 관한 등록 요청 신호를 송신하고(S31 단계), 관리 서버가 제1 단말의 식별번호를 보유하고 제1 단말로 등록요청포맷신호를 송신하게 된다(S32 단계). 이 대 등록요청포맷신호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상에서 설정된 양식을 구비한 데이터 패키지로, 제1 단말의 식별번호를 제1 단말 내부로부터 파싱(parsing)할 수도 있지만, 관리 서버가 제1 단말의 식별번호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 계정 정보 및 시스템의 운용에 필요한 부가정보만을 요청하게 되며, 필요에 따라 제1 단말의 사용자로부터 등록확인응답을 수신하며 이에 따른 사용자 계정 정보(예, ID 및 비밀번호 정보)를 요구한다.
제1 단말로부터 등록응답포맷신호를 제2 단말이 수신하여, 등록응답포맷신호와 관리 서버에 보유하고 있는 제1 단말의 식별번호를 매칭함으로써, 제2 단말과 연동된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S33 단계).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단말의 식별번호가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것으로 판단되거나,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정상적으로 등록되면, 제2 단말은 임시 접속 번호에 의하여,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제1 단말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게 된다(S40 단계).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이 구현되는 제2 단말의 예시적인 양상을 도시하는, 즉, 관리자 서버에서 확인되는 화면을 도시한 도 7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관리자 화면 상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는 응용프로그램명칭 표시영역(61)에 응용 프로그램의 명칭이 표기되며, 다른 영역은 일반적인 프로그램의 구성화면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담원, 관리자 또는 매니저가 도 7에 예시된 화면과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관리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 기기에 접속하고자 할 때, 관리자 단말을 사용하는 상담원 등은 임시 접속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사용자 기기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할 수 있다.
상담원 등이 임시 접속 번호를 입력하게 되는 입력 수단은 관리자 단말의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헤드셋, 또는 화면상에 출력되는 가상키패드, 터치스크린 등의 기계전기적 입력 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에서 관리자 단말은 이러한 과정으로 입력되는 임시 접속 번호를 식별하여 사용자 기기로부터 송신된 임시 접속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사용자 기기로 접속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에 따라 관리자 단말에서 입력된 일련 번호와 사용자 단말에서 생성된 임시 접속 번호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 7에 도시되듯이, 원격접속상태알림창(62)에 '고객 ID ○○○○○의 임시 접속 번호 1234-5678-1234로 접속 중입니다'라고 디스플레이된 것처럼, S10 단계에서 생성된 임시 접속 번호로 관리자 단말인 제2 단말이 원격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자 단말이 사용자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방법은, 사용자 기기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영역에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원격접속요청신호 및 임시 접속 번호를 생성하고(도 2의 S10 단계에 대응), 원격접속요청신호 및 임시 접속 번호를 상기 사용자 기기로부터 상기 관리자 단말에 송신하며(도 2의 S20 단계에 대응), 관리자 단말에서 원격접속요청신호 및 임시 접속 번호를 수신하여, 관리자 단말에서 입력된 임시 접속 번호를 식별함으로써,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게 된다(도 2의 S40에 대응).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부가적인 인증 절차 없이 임시 접속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에 의해서, 임시 접속 번호만으로 사용자 단말과 이격된 관리자 단말에서 사용자 단말에 원격 접속되고, 관리자 단말에서 무선데이터망을 통해 사용자 기기를 원격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 기기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3에는 비록 도시되지 아니하였을지라도, 사용자 기기에 대한 제어권을 관리자 단말이 획득한 후에, 사용자 기기의 설정 값이나 파라미터를 구비하는 원시 코드를 통해서 사용자 기기의 로그데이터에 기반하여 동기화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제1 단말인 사용자 기기에서 기반으로 사용되는 안드로이드 플랫폼의 계층 구조를 도시한다. 일반적으로, 안드로이드 플랫폼은 운영체제, 미들웨어(middleware), 및 java 언어로 개발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데, 애플리케이션 계층(101),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102), 시스템 라이브러리 계층(103), 안드로이드 런타임 계층(104), HAL(Hardware Abstraction Layer; 105), 및 리눅스 커널 계층(106)으로 구성된다.
애플리케이션 계층(101)은 사용자 기기의 응용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을 지칭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은 관리자에 의해 특정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기기에서 구동됨으로써 또는 특정 활성화 영역에 인가된 신호에 의해 개시되는 것이다. 한편,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102)은 애플리케이션의 활성 주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상태, 그래픽 파일, 문자열, 레이아웃 등 코드화되지 않은 자원을 관리하고, 응용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 간의 데이터 공유와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기능을 담당하여 시스템 라이브러리 계층(103)이나 리눅스 커널 계층(106)에 대한 직접적인 호출 없이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시스템 라이브러리 계층(103)과 HAL(105)은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102)과 리눅스 커널 계층(106)의 연계가능하도록 하는 계층부로서, 특히 시스템 라이브러리 계층(103)은 2차원과 3차원 그래픽의 표면 관리 지원, 모바일용 웹 브라우징 기능, RDB(Relational Data Base) 엔진, 멀티미디어 파일의 재생 등을 단말 상에서 가능하도록 경량화된 시스템 라이브러리를 포괄하여 구성한다.
한편, 안드로이드 런타임 계층(104)은 자바 가상 머신(Java Virtual Machine)을 모바일에 최적화한 달빅 가상 머신으로, JAVA에 의해 개발된 프로그램의 실행이 가능하게 하며, 리눅스 커널 계층(106)은 프로세스, 메모리, 네트워크 관리 및 시스템 보안 외에도 하드웨어(카메라부, 오디오부, 전원부, 디스플레이부) 자체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면, 원격접속요청신호 및 임시접속번호의 생성은 사용자 기기의 애플리케이션 계층이나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사용자 기기에 대하여 관리자 단말이 제어권을 획득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Application Framework) 계층, 네이티브 라이브러리(Native Libraries) 계층, 안드로이드 런타임(Android Runtime) 계층, HAL 계층 및 리눅스 커널(Linux Kernel) 계층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기능을 획득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 제어 시스템이 실시되는, 하나의 예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차량 내에 위치한 제1 단말(10)은 사용자측 단말로 스마트폰, 데이터 통신 기능이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스, 태블릿 PC, 휴대용 통신 디바이스, 휴대용 컴퓨팅 디바이스,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 또는 무선 매체를 통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된 개인용 디바이스일 수 있는데, 예컨대 블랙박스나 내비게이션 기능을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디바이스라고 가정한다. 바꾸어 말하면, 본 명세서에서 제1 단말(10)은 차량용 네비게이션 기능 또는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스마트 디바이스인 제1 단말(10)에서 사용자가 예측하지 못한 시스템 상의 결함이나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제1 단말(10)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됨으로써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활성화 영역에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임시 접속 번호가 생성되고, 원격에 위치한 관리자측 단말인 제2 단말(20)에서는 임시 접속 번호로 제1 단말(10)에 접속한 후, 제1 단말(10)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의하여, 별도 부가적인 인증 절차를 거치지 않고도 사용자 기기(즉, 제1 단말, 10)를 관리하고 원격에 위치한 관리자 단말에 의해 원격 접속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관리자 단말(즉, 제2 단말, 20)에서는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사용자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기기에서 발생한 문제점을 용이하게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 태양을 가정하면, 운전자가 주행 중에 제1 단말(10)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관리자 측에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하거나 특정 영역을 터치하는 등으로 특정 활성화 영역에 인가되는 신호만으로도, 관리자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다는 현저한 효과가 인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7을 통하여 기술된 본 발명의 원격 제어 시스템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컴퓨터 프로그램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를 관리자 단말이 원격으로 제어하기 것으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기기에서 관리자 단말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윈도우에 신호가 인가되는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코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임시 접속 번호를 생성하기 위한 코드; 관리자 단말에서 일련번호를 식별하여, 상기 일련번호가 상기 임시 접속 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일련번호가 상기 임시 접속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임시 접속 번호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식별번호 또는 전화번호와 독립적이며, 설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접속가능하도록 유효한 값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서 임시 접속 번호를 생성하기 위한 코드는, 애플리케이션 계층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기 위한 코드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 네이티브 라이브러리 계층, 안드로이드 런타임 계층, HAL 계층 및 리눅스 커널 계층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기능을 상기 관리자 단말이 획득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상에서 명령이나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서로 이격된 장소에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는 통신 매체와 컴퓨터 저장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제한적이지 않고 예시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이나 다른 광디스크 저장소, 자기 디스크 저장소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이나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전달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고, 임의의 접속가능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는 임의의 적당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 제1 단말
20: 제2 단말
30: 통신망
101: 애플리케이션 계층
102: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
103: 시스템 라이브러리 계층
104: 안드로이드 런타임 계층
105: HAL
106: 리눅스 커널 계층

Claims (8)

  1. 사용자 기기를 관리자 단말이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상기 관리자 단말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가능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윈도우에 신호가 인가됨으로써, 임시 접속 번호를 생성가능한 사용자 기기; 및
    관리자 단말을 포함하며,
    상기 임시 접속 번호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식별번호 또는 전화번호와 독립적이며, 설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접속가능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입력 수단에 의하여 식별되는 일련번호가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생성된 임시 접속 번호와 일치하면,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를 관리자 단말이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안드로이드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를 관리자 단말이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임시 접속 번호를 생성하는 것은, 애플리케이션 계층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계층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를 관리자 단말이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제어권의 획득은,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Application Framework) 계층, 네이티브 라이브러리(Native Libraries) 계층, 안드로이드 런타임(Android Runtime) 계층, HAL 계층 및 리눅스 커널(Linux Kernel) 계층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제어 기능을 상기 관리자 단말이 획득하는 것으로 포함하는,
    사용자 기기를 관리자 단말이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기기는 차량용 네비게이션 기능 또는 차량용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를 관리자 단말이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의 입력 수단은 키패드, 헤드셋, 마이크로폰, 가상키보드, 터치스크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를 관리자 단말이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면,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설정 파라미터를 구비하는 원시 코드(Native code)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로그데이터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기기의 동기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기기를 관리자 단말이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8. 사용자 기기를 관리자 단말이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사용자 기기에서 관리자 단말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활성화 윈도우에 신호가 인가되는지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코드;
    상기 사용자 기기에서 임시 접속 번호를 생성하기 위한 코드 ― 상기 임시 접속 번호는 상기 사용자 기기의 식별번호 또는 전화번호와 독립적이며, 설정된 시간 동안만 상기 관리자 단말에서 접속가능함 ―;
    관리자 단말에서 일련번호를 식별하여, 상기 일련번호가 상기 임시 접속 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코드; 및
    상기 일련번호가 상기 임시 접속 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무선 데이터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 기기에 대한 제어권을 획득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20150027862A 2015-02-27 2015-02-27 관리자 단말이 사용자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KR101548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862A KR101548606B1 (ko) 2015-02-27 2015-02-27 관리자 단말이 사용자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862A KR101548606B1 (ko) 2015-02-27 2015-02-27 관리자 단말이 사용자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606B1 true KR101548606B1 (ko) 2015-08-31

Family

ID=54062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862A KR101548606B1 (ko) 2015-02-27 2015-02-27 관리자 단말이 사용자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60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035A (ko) *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코튼캔디 원격 제어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220108225A (ko) * 2021-01-25 2022-08-03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테스트를 위한 원격 접속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0037A1 (ko) 2009-04-17 2010-10-21 주식회사 로그 접속자 단말 식별 장치 및 방법
KR101440495B1 (ko) * 2013-12-31 2014-10-06 (주)오픈벡스 가상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멀티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0037A1 (ko) 2009-04-17 2010-10-21 주식회사 로그 접속자 단말 식별 장치 및 방법
KR101440495B1 (ko) * 2013-12-31 2014-10-06 (주)오픈벡스 가상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멀티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서비스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5035A (ko) * 2019-07-31 2021-02-10 주식회사 코튼캔디 원격 제어 지원 방법 및 장치
KR102251579B1 (ko) * 2019-07-31 2021-05-13 주식회사 코튼캔디 원격 제어 지원 방법 및 장치
KR20220108225A (ko) * 2021-01-25 2022-08-03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테스트를 위한 원격 접속 시스템 및 방법
KR102518842B1 (ko) * 2021-01-25 2023-04-06 현대오토에버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원격 테스트를 위한 원격 접속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11432B1 (en) Remote management of application settings
CN111522595B (zh) 短暂应用
JP2021507555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ベーススマートコントラクト起動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電子デバイス
CN103905651A (zh) 智能终端中应用权限管理方法及系统
US9280665B2 (en) Fast and accurate identification of message-based API calls in application binaries
EP2993603B1 (en) Permission determining method and device for application program
US11831727B2 (en) Profile based content and services
CN111241559A (zh) 训练模型保护方法、装置、系统、设备和计算机存储介质
US9747449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application in an operating system from being uninstalled
US10754717B2 (en) Fast and accurate identification of message-based API calls in application binaries
KR20190069574A (ko) 무선 네트워크 유형 검출 방법과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
US8176499B2 (en) Defining, distributing and presenting device experiences
CN112130866A (zh) 一种应用部署方法和相关装置
CN103544434A (zh) 用于确保应用程序安全运行的方法和终端
KR101548606B1 (ko) 관리자 단말이 사용자 기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CN112448909A (zh) 电子锁管理方法、装置、系统及存储介质
CN112437075A (zh) 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1666581A (zh) 数据保护方法、装置、设备及介质
CN105827565A (zh) 一种应用的安全认证系统、方法、及终端
CN110225513A (zh) 移动设备的动态数据包访问
CN114531486B (zh) 一种工业互联网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278323B (zh) 第三方信息的获取方法、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7573161A (zh) 应用升级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程序产品
CN115396217A (zh) 应用授权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计算机程序产品
CN117992107A (zh) 一种应用程序获取系统以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