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321B1 - 공동주택용 논슬립 모서리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공동주택용 논슬립 모서리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321B1
KR101548321B1 KR1020150051904A KR20150051904A KR101548321B1 KR 101548321 B1 KR101548321 B1 KR 101548321B1 KR 1020150051904 A KR1020150051904 A KR 1020150051904A KR 20150051904 A KR20150051904 A KR 20150051904A KR 101548321 B1 KR101548321 B1 KR 1015483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slip
edge
corner
detach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1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표
Original Assignee
(주)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엄앤드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50051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3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3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3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63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논슬립의 모서리 부위가 마모되는 경우 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모서리 부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논슬립 모서리 교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논슬립(20)에 형성되는 L자 모양의 모서리결합턱(30); 상기 모서리결합턱(30)에 결합되는 분리형바(40); 상기 분리형바(40)의 상단모서리에 브레이징(brazing) 접합되는 모서리보강바(50); 상기 분리형바(40)와 상기 모서리결합턱(30)을 상호 맞물리기 위한 교합기구(60); 상기 분리형바(40)를 상기 논슬립(20)에 연결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볼트착탈기구(70); 상기 모서리결합턱(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볼트착탈기구(70)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패드(8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동주택용 논슬립 모서리 교환장치{Non-slip edge exchange apparatus for apartment house}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계단코에 설치되어 미끄럼을 방지하는데 이용하는 논슬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논슬립의 모서리 부위가 마모되는 경우 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고, 모서리 부위를 보강할 수 있도록 한 공동주택용 논슬립 모서리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슬립은 계단코에 부착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고, 계단코의 파손이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되는 재료와 형상은 계단 마감 재료나 위치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논슬립 중에서 압출 형태로 제작되는 논슬립의 일예를 첨부도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여러 줄의 돌출부(11)와 홈(12)이 논슬립(10)의 상면에 요철(凹凸)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통상 황동 또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금속재료를 이용해서 일정한 모양의 단면이 연속하도록 압출성형한 다음 필요한 길이로 절단해서 콘크리트를 이용해서 계단(13)을 타설할 때 부분 매립하도록 되어 있었다.
이와 같은 논슬립(10)의 모서리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해 접촉 빈도가 높기 때문에 마모가 빠르게 진행되는 특징을 갖고 있지만 모서리 부위만을 부분 교체할 수 없도록 논슬립(10) 전체가 일체형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마모된 논슬립(10)을 그대로 방치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첨부도면 도 3에서와 같이 계단(18)의 디딤부위가 석재로 마감된 경우에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원형의 다이아몬드 그라인더와 같은 공구를 이용해서 석재디딤판(17)의 표면에 여러 줄의 홈(15)을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가공하는 논슬립도 있으며, 이 경우 석재디딤판(17)의 모서리 부위가 금속에 비해 경도가 높아 마모에 강한 성질은 있지만 취성(脆性)이 강해 파손의 우려가 있게 되며, 온전한 것으로 교환하는 경우에는 전체를 들어내서 재시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편, 논슬립의 마찰부위를 교환할 수 있도록 된 종래기술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0558호(종래기술 1)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9364호(종래기술 2)에 개시된 바 있으나 모서리만을 부분적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교체비용이 큰 부담이 되어 보급에 장애가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8055호(종래기술 3)에는 논슬립의 모서리 부위에 고무재질로 된 논슬립바를 끼워서 결합한 것이 개시되었으나 논슬립바의 접합면이 45° 기울어진 형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하측을 향해 작용되는 마찰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어 계단을 오르내릴 때 위험하게 될 뿐만 아니라 고무재질이어서, 마모가 빠르게 진행되어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기술 3은 논슬립바를 분리하는 것은 가능하겠지만 탄성변형에 의해 억지 끼워맞춤 형태로 결합되기 때문에 걸리는 부분의 언더컷을 크게 하는 경우 결합이 쉽지 않고, 그 반대로 결합을 쉽게 하기 위해 언더컷량을 줄이면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05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936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805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논슬립의 모서리 부위 마모시 부분 교체가 가능하고, 모서리 부위의 강도를 향상시킴으로써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공동주택용 논슬립 모서리 교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공동주택용 논슬립 모서리 교환장치는 논슬립에 형성되는 L자 모양의 모서리결합턱; 상기 모서리결합턱에 결합되는 분리형바; 상기 분리형바의 상단모서리에 브레이징(brazing) 접합되는 모서리보강바; 상기 분리형바와 상기 모서리결합턱을 상호 맞물리기 위한 교합기구; 상기 분리형바를 상기 논슬립에 연결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볼트착탈기구; 상기 모서리결합턱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볼트착탈기구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패드를 포함한다.
상기 교합기구는 상기 분리형바와 상기 모서리결합턱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암수의 역사다리꼴돌기와 역사다리꼴홈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모서리보강바가 마모되었을 때 체결볼트를 풀게 되면, 분리형바를 논슬립에 형성된 모서리결합턱으로부터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온전한 모서리보강바를 갖는 분리형바로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모서리보강바를 초경합금으로 형성한 경우 내마모성이 크게 증대되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모서리보강바를 분리형바에 브레이징 접합하여 일체화 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형바를 잘 부러지지 않는 성질의 금속재료인 황동이나 강철로 형성하고, 모서리보강바를 경질합금으로 구성하여 이종(異種) 금속으로 접합하면, 취성이 강한 모서리보강바의 부러짐을 방지하면서 수명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교합기구를 구성하는 역사다리꼴돌기와 역사다리꼴홈에 의해 분리형바와 모서리결합턱을 암수의 형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계단을 오르내리면서 분리형바에 수평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역사다리꼴돌기와 역사다리꼴홈의 걸림작용으로 버틸 수 있으며, 볼트착탈기구를 구성하는 체결볼트에 수평방향으로 전단력이 작용되는 것을 막아 체결볼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교합기구를 구성하는 역사다리꼴돌기와 역사다리꼴홈에 의해 분리형바가 모서리결합턱으로부터 미끄러져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분리형바의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모서리결합턱의 하부에 설치되는 실링패드에 의해 볼트착탈기구를 구성하는 탭구멍으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탭구멍이 막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은 모서리보강바와 분리형바가 윗니와 아랫니에 의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접합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모서리보강바와 분리형바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압출형 논슬립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일반적인 압출형 논슬립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3은 일반적인 석재디딤판에 직접 가공하는 논습립을 보인 단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분리 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8은 도 7의 저면측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주택용 논슬립 모서리 교환장치가 계단에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논슬립(20)에 형성되는 L자 모양의 모서리결합턱(30); 상기 모서리결합턱(30)에 결합되는 분리형바(40); 상기 분리형바(40)의 상단모서리에 브레이징(brazing) 접합되는 모서리보강바(50); 상기 분리형바(40)와 상기 모서리결합턱(30)을 상호 맞물리기 위한 교합기구(60); 상기 분리형바(40)를 상기 논슬립(20)에 연결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볼트착탈기구(70); 상기 모서리결합턱(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볼트착탈기구(70)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패드(80)를 포함한다.
상기 모서리보강바(50)는 예컨대, 탄화텅스텐 따위의 금속 탄화물 가루와 코발트, 니켈 따위의 금속 가루를 섞어서 압축한 후 소결(燒結)하여 만든 초경합금(超硬合金)으로 구성하여 내마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꼭 이러한 소재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분리형바(40)는 예를 들어서, 모서리보강바(50)와 브레이징 접합하기에 적합한 황동이나 강철을 압출성형 또는 롤러성형에 의해 일정한 단면이 길이방향(압출방향 또는 성형방향)으로 연속하도록 제작할 수 있으며, 분리형바(40)와 모서리보강바(50)의 접합면에 플럭스를 도포한 후 은납 또는 놋쇠납 등의 접합제를 이용해서 가열하여 접할할 수 있다.
상기 교합기구(咬合器具)(60)는 상기 분리형바(40)와 상기 모서리결합턱(30)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암수의 역사다리꼴돌기(62)와 역사다리꼴홈(64)으로 구성된다.
상기 분리형바(40)와 상기 모서리보강바(50)의 접합면에 암수로 맞물리는 요철(凹凸) 모양의 아랫니(42)와 윗니(52)를 형성할 수 있으며, 분리형바(40)에 모서리보강바(50)가 접합된 상태에서 분리형바(40)의 상부에 형성된 돌출부(44)와 모서리보강바(50) 사이에 홈부(46)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아랫니(42)와 윗니(52)는 서로 맞물리면서 모서리보강바(50)와 분리형바(40) 간의 기계적 결합력을 배가시킴으로써 모서리보강바(50)와 분리형바(40)가 강한 결합력을 갖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볼트착탈기구(70)는 상기 논슬립(2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탭구멍(72); 상기 탭구멍(72)의 구멍중심과 일치되게 상기 분리형바(40)에 형성되는 카운터홀(74); 및 상기 카운터홀(74)을 통해 상기 탭구멍(72)에 결합되는 체결볼트(76)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카운터홀(74)은 상기 역사다리꼴돌기(62)의 중앙을 통과하도록 형성할 수 있고, 탭구멍(72)은 역사다리꼴홈(64)의 중앙에 위치되도록 형성하여 역사다리꼴돌기(62)와 역사다리꼴홈(64)이 결합될 때 카운터홀(74)과 탭구멍(72)의 중심이 자동으로 일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실링패드(80)를 모서리결합턱(30)에 부착하기 위해 탭구멍(72)의 하단부에 페이싱구멍(32)을 형성하고, 실링패드(80)의 상면에 부착된 양면테이프(82)를 이용해서 페이싱구멍(32)에 접착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실링패드(80)는 계단(90)을 성형하기 위해 계단거푸집(도시생략)에 주입하는 콘크리트가 탭구멍(72)의 하단부를 통해 침투하여 탭구멍(72)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논슬립(20)의 양쪽 단부에 엔드플레이트(22)(24)를 설치하여 계단(90)을 성형할 때 타설하는 콘크리트가 논슬립(2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요철부(21)와 모서리결합턱(30)의 상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엔드플레이트(22)(24)를 논슬립(20)에 결합하기 위해 엔드플레이트(22)(24)와 논슬립(20)의 단면에 상호 중심이 일치되는 리벳구멍(22h)(20h)을 형성하고, 그 리벳구멍(22h)(20h)을 통해 리벳(26)(28)을 박아서 엔드플레이트(22)(24)를 논슬립(20)의 양단에 결합할 수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23은 계단(90) 성형을 위해 타설하는 콘크리트와 논슬립(20)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논슬립(2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요철부를 나타낸 것이며, 92는 계단(90)의 일측에 설치되는 난간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90)을 오르내릴 때 분리형바(40)의 모서리 부위에 설치되어 있는 모서리보강바(50)에 작용되는 마찰에 의해 모서리보강바(50)의 마모가가 점진적으로 진행된다.
장기간에 걸쳐 모서리보강바(50)의 마모가 심하게 진행되어 온전한 것으로 교환할 필요가 생기는 경우 볼트착탈기구(70)를 구성하고 있는 체결볼트(76)를 풀어서 탭구멍(72)과 카운터홀(74)로부터 체결볼트(76)를 분리하게 되면, 분리형바(40)를 모서리결합턱(3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마모된 모서리보강바(50)도 분리형바(40)에 접합되어 있기 때문에 분리형바(40)를 분리할 때 같이 분리된다.
이후 온전한 모서리보강바(50)를 갖는 분리형바(40)를 모서리결합턱(30)에 결합한 다음 체결볼트(76)를 카운터홀(74)로 집어넣고 탭구멍(72)에 결합하여 타이트하게 조이게 되면, 모서리보강바(50)가 온전한 것으로 교체된다.
이때 분리형바(40)를 모서리결합턱(30)에 결합할 때 분리형바(4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역사다리꼴돌기(62)와, 모서리결합턱(30)에 형성된 역사다리꼴홈(64)으로 이루어진 교합기구(60)에 의해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즉, 분리형바(40)와 모서리결합턱(30)이 결합되어야 할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약간 어긋난 위치에서 조립해도 역사다리꼴돌기(62)와 역사다리꼴홈(64)의 쐐기작용에 의해 분리형바(40)와 모서리결합턱(30)이 정해진 위치로 결합되며, 이때 카운터홀(74)과 탭구멍(72)의 중심도 상호 일치된다.
한편, 모서리보강바(50)를 초경합금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내마모성이 증대되어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게 되며, 이 경우 모서리보강바(50)의 경도는 증가하지만 재료 특성상 취성이 강해 잘 부러지는 성질을 갖게 되는데, 모서리보강바(50)를 쉽게 부러지지 않는 성질의 황동이나 강철로 제작되는 분리형바(40)에 브레이징 접합하여 일체화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모서리보강바가 부러지지 않게 된다.
20 : 논슬립 21 : 상부요철부
23 : 하부요철부 22,24 : 엔드플레이트
22h,20h : 리벳구멍 26,28 : 리벳
30 : 모서리결합턱 32 : 페이싱구멍
40 : 분리형바 42 : 아랫니
44 : 돌출부 46 : 홈부
50 : 모서리보강바 52 : 윗니
60 : 교합기구 62 : 역사다리꼴돌기
64 : 역사다리꼴홈 70 : 볼트착탈기구
72 : 탭구멍 74 : 카운터홀
76 : 체결볼트 80 : 실링패드
82 : 양면테이프 90 : 계단
92 : 난간

Claims (2)

  1. 논슬립(20)에 형성되는 L자 모양의 모서리결합턱(30);
    상기 모서리결합턱(30)에 결합되는 분리형바(40);
    상기 분리형바(40)의 상단모서리에 브레이징(brazing) 접합되는 모서리보강바(50);
    상기 분리형바(40)와 상기 모서리결합턱(30)을 상호 맞물리기 위한 교합기구(60);
    상기 분리형바(40)를 상기 논슬립(20)에 연결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볼트착탈기구(70);
    상기 모서리결합턱(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볼트착탈기구(70)로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실링패드(80)를 포함하는 공동주택용 논슬립 모서리 교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합기구(60)는
    상기 분리형바(40)와 상기 모서리결합턱(30)의 경계면에 형성되는 암수의 역사다리꼴돌기(62)와 역사다리꼴홈(6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논슬립 모서리 교환장치.
KR1020150051904A 2015-04-13 2015-04-13 공동주택용 논슬립 모서리 교환장치 KR1015483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904A KR101548321B1 (ko) 2015-04-13 2015-04-13 공동주택용 논슬립 모서리 교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1904A KR101548321B1 (ko) 2015-04-13 2015-04-13 공동주택용 논슬립 모서리 교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321B1 true KR101548321B1 (ko) 2015-08-31

Family

ID=54062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1904A KR101548321B1 (ko) 2015-04-13 2015-04-13 공동주택용 논슬립 모서리 교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32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981B1 (ko) 2005-09-12 2006-06-08 (주)건축사사무소 제일건축 건축물 계단 개선 구조
KR101201704B1 (ko) 2012-06-18 2012-11-15 (주)투에이치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계단 논슬립 구조
KR101279364B1 (ko) 2013-01-24 2013-07-04 (주)무한에이앤디건축사사무소 건축용 계단 논슬립 구조
KR101318804B1 (ko) 2012-10-18 2013-10-17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 시스템의 계단 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5981B1 (ko) 2005-09-12 2006-06-08 (주)건축사사무소 제일건축 건축물 계단 개선 구조
KR101201704B1 (ko) 2012-06-18 2012-11-15 (주)투에이치엠건축사사무소 건축용 계단 논슬립 구조
KR101318804B1 (ko) 2012-10-18 2013-10-17 우리산업 주식회사 데크로드 시스템의 계단 보호장치
KR101279364B1 (ko) 2013-01-24 2013-07-04 (주)무한에이앤디건축사사무소 건축용 계단 논슬립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25596B2 (ja) 削りくず形成機械加工のための工具と工具保持器
CA2685893C (en) Hammerless c-clamp and wedge connector system
EP3235710B1 (en) Track shoe pad structure assembly
AU2009326840B2 (en) A lock for an excavator wear assembly
KR20140061322A (ko) 지면 결합 마모 부재 및 기계적인 부착 수단
KR101548321B1 (ko) 공동주택용 논슬립 모서리 교환장치
CA2866949C (en) Press roller for a roller press
ATE515601T1 (de) Schnellwechselvorrichtung mit einer hydraulischen kupplung für medien an einem baugerät
US20120132051A1 (en) Saw Chain For Aggregate Materials
CA2426046A1 (en) Replaceable insert for mold lock
EA031370B1 (ru) Устройство с изнашиваемым наконечником, оснащенное быстроразъемным соединением
KR101484579B1 (ko) 공동주택 건축용 계단 논슬립
US20190389034A1 (en) Pressure-fit grinding pad assembly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1004548B1 (ko) 연마 휠
US20210179209A1 (en) Shoe trimming tool
CN211488022U (zh) 一种立轴式破碎机复合结构耐磨抛料头
JPS649126B2 (ko)
CN210504223U (zh) 具有安装件的耐磨板
CN213499907U (zh) 一种耐火砖耐磨模具
KR100957511B1 (ko) 탈,부착이 용이한 굴삭기 버켓용 평삭장치.
CN215401920U (zh) 一次性铸造成型稀土合金耐磨钢堆取料机裙口
AU5654300A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wear component and wear components manufactured by that method
CN102086858B (zh) 混凝土输送泵用眼镜板
CN220192372U (zh) 一种手链接头及手链
JP6502654B2 (ja) 爪ヤスリ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