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235B1 - 리프팅 바 및 리프팅 바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프팅 바 및 리프팅 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235B1
KR101548235B1 KR1020147008928A KR20147008928A KR101548235B1 KR 101548235 B1 KR101548235 B1 KR 101548235B1 KR 1020147008928 A KR1020147008928 A KR 1020147008928A KR 20147008928 A KR20147008928 A KR 20147008928A KR 101548235 B1 KR101548235 B1 KR 101548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ifting bar
latch
pin
attach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6027A (ko
Inventor
마틴 포쉐
미쉘 코리보
Original Assignee
알조훈트레이흐 마고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조훈트레이흐 마고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조훈트레이흐 마고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96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6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2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61G7/1015Cables, chain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13Lifting of patients b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25Lateral movement of patients, e.g. horizontal transfer
    • A61G7/1034Rollers, rails or other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Devices carried or supported by
    • A61G7/1042Rail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51Flexible harnesses or s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49Attachment, suspending or supporting means for patients
    • A61G7/1061Yok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10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special adaptations of hoists thereto
    • A61G7/1063Safety means
    • A61G7/1069Safety means for quick rele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9/00Bolts without screw-thread; Pins, including deformable elements; Riv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lamp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10T29/49947Assembling or joining by applying separate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60Biased catch or la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60Biased catch or latch
    • Y10T403/602Biased catch or latch by separate sp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70Interfitted members
    • Y10T403/7075Interfitted members including discrete retain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환자용 리프팅 시스템에서 환자용 리프팅 바를 하중 지지 부재에 부착하고 탈착하기 위한 환자용 리프트 커넥터가 개시된다. 커넥터는, 환자용 리프팅 바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블록을 포함하는 커넥터 바디를 포함한다. 또한 커넥터는, 하중 지지 부재와 결합되고, 커넥터 바디를 통해 및 연결 블록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핀 홀더와, 커넥터 바디에 고정되고, 커넥터 바디 내에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부착 래치를 포함한다. 부착 래치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핀 홀더는 연결 블록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리프팅 바는 하중 지지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Description

리프팅 바 및 리프팅 바 커넥터{LIFTING BAR AND LIFTING BAR CONNECTOR}
본 개시는 리프팅 바 및 리프팅 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환자 승강용 리프팅 바 및 리프팅 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환자용 리프트는 세장형 트랙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 트랙-이동 모터 유닛(track-riding unit)을 포함한다. 트랙은 천장 또는 고가 구조물로부터 하강하도록 매달려 있을 수 있고, 이는 플로어 리프트와 같은 리프트보다 방에서 작은 공간을 차지할 수 있다. 하중 지지 부재, 예를 들어 스트랩(strap) 또는 케이블(cable)과 같은 가요성 부재는 모터 유닛(motor unit)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고 리프팅 바를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리프팅 바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한 슬링(sling), 크레이들(cradle), 또는 환자용 서포트(patient support)에 고정될 수 있다. 간병인은 원하는 대로 환자를 이동시키기 위해 트랙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및/또는 리프팅 바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도록 모터 유닛을 제어하도록 제어 유닛을 사용할 수 있다.
환자용 리프트가 어떻게 사용되는 지에 따라, 즉, 환자가 어떻게 지지 및/또는 이동되는지에 따라, 다양한 리프팅 바 및 다양한 리프팅 바 작동이 이용 가능하다. 간병인은, 리프팅 바를 하중 지지 부재(load-supporting member)로부터 분리시키고, 다른 리프팅 바를 하중 지지 부재에 연결시킴으로써 어느 하나의 리프팅 바를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일 예시로서, 미국 특허 제7,434,787호(이하, '787 특허'라 함)는 오버헤드 레일(overhead rail)에 부착될 수 있는 윈치(winch)를 구비하는 천장 리프트(ceiling lift)를 개시한다. 리프팅 스트랩(lifting strap)은 윈치로부터 돌출되고, 스프레더 바(spreader bar)에 부착되는 자유단(free end)을 가진다. '787 특허'에 따르면, 스프레더 바의 단부에는 환자가 리프팅되도록 유지하는 슬링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부착하기 위한 후크(hooks)가 구비된다. 스프레더 바는 암 시트(female seat)에서 윈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리프팅 스트랩의 자유단과 스프레더 바에 퀵 커플링 시스템(quick coupling system)이 구비된다. 윈치는 이에 부착된 스프레더 바를 상승시키기 위해 스트랩을 와인딩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2010/0664432호(이하, '432 공개'라 함)는 여러 위치 또는 구역 간에 환자을 이송하기 위한 환자용 리프팅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장치는 하우징(housing)으로부터 리프팅 프레임(lifting frame)으로 연장되는 리프트 스크랩(lift strap)을 포함한다. '432 공개'는 슬링(sling)이 리프팅 프레임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을 더 개시한다.
따라서, 의료용 리프트 시스템에서 사용하기에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개선된 리프팅 바 및 리프팅 바 커넥터에 대한 요구가 있다.
일 측면에서, 환자용 리프팅 시스템에서 환자용 리프팅 바를 하중 지지 부재에 부착하고 탈착하기 위한 환자용 리프트 커넥터가 개시된다. 커넥터는, 환자용 리프팅 바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블록을 포함하는 커넥터 바디를 포함한다. 또한 커넥터는, 하중 지지 부재와 결합되고, 커넥터 바디를 통해 및 연결 블록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핀 홀더와, 커넥터 바디에 부착되고, 커넥터 바디 내에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부착 래치를 포함한다. 부착 래치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핀 홀더는 연결 블록에 삽입될 수 이으며, 이에 의해 리프팅 바는 하중 지지 부재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환자용 리프팅 시스템에서 환자용 리프팅 바를 하중 지지 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환자용 리프트 커넥터가 설명된다. 커넥터는 환자용 리프팅 바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블록을 포함하는 커넥터 바디를 포함한다. 또한, 커넥터는 커넥터 바디를 통해 및 연결 블록의 슬롯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하중 지지 부재의 종결 부품과, 커넥터 바디에 고정되고, 커넥터 바디 내에서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부착 래치를 포함한다. 종결 부품은 리프팅 바를 하중 지지 부재에 부착하도록 부착 래치를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연결 블록의 슬롯은 커넥터 바디의 일 부분에 의해 덮혀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환자용 리프팅 시스템에서 커넥터의 이용을 통해 환자용 리프팅 바를 하중 지지 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방법이 설명된다. 방법은, 커넥터의 부착 래치에 대해 하중 지지 부재의 종결 부품을 가압하는 단계 - 부착 래치는, 리프팅 바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바디에 고정됨 - 를 포함한다. 방법은, 종결 부품을 커넥터 바디의 일부를 통해 연결 블록의 슬롯 내로 이동시키는 단계 - 부착 래치는 커넥터 바디 내에서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종결 부품이 부착 래치에 대해 가압되었을 경우 부착 래치는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종결 부재가 연결 블록의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부착 래치는 폐쇄 위치로 이동함 - 을 더 포함한다.
본 개시에 통합되고, 본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첨부된 도면은, 본 장치 및 방법의 여러 실시예 및 여러 측면을 도시한다.
도 1은 개시된 실시예와 일치하는 천장 리프트 시스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바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리프팅 바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바의 내부가 부분적으로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리프팅 바에 배치된 커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리프팅 바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고 개시된 실시예와 일치하는, 리프팅 바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리프팅 바 커넥터의 조립도이다.
도 8은 도 6 및 7의 조립된 리프팅 바 커넥터에의 하중 지지 부재의 부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6 및 7의 조립된 리프팅 바 커넥터로부터의 하중 지지 부재의 탈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3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바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4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바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제5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바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6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바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7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바의 사시도이다.
다음의 설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각각의 도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낸다.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은 청구된 장치(들) 및 방법(들)의 모범적인 예시를 설명한다.
도 1은, 여기서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와 일치하는 천장 리프트 시스템(ceiling lift system)(2)의 사시도이다. 리프트 시스템(2)은 천장, 다른 벽 또는 고가 구조을 따라 연장하고, 이로부터 매달려 있는 트랙 시스템(track system)(4)을 포함할 수 있고, 리프터(lifter)(6)는 트랙 시스템(4)을 따라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거나, 리프터(6)는 트랙 시스템(6)을 따라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전동식 유닛(motorized unit)일 수 있다. 하중 지지 부재(load supporting member)(10)는 천장 리프터(6)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하중 지지 부재(10)는 천장 리프터(6)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하중 지지 부재(10)는 리프팅 바(lifting bar)(12)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리프터(6)에 의해 감기거나 풀리도록 구성된다. 경우에 따라서, 하중 지지 부재(10)는 스트랩(띠)(strap), 케이블(cable), 로프(rope), 또는 코드(줄)(cord)과 같은 가요성 하중 지지 부재일 수 있고, 또는 하중 지지 부재(10)는 금속 및/또는 단단한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견고한 지지 부재일 수 있다.
리프팅 바(12)는 커넥터(connector)(60)를 통해 하중 지지 부재(10)에 연결될 수 있고, 커넥터(60)는 도 6 내지 8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된다. 도 1에 도시된 천장 리프트 시스템(2)은 제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리프팅 바(12)를 포함하고 있지만, 도 4, 6 및 7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제2 예시적 실시예의 리프팅 바(112)와 같은 다른 리프팅 바의 실시예가 사용될 수도 있다. 더욱이, 이러한 리프팅 바(12, 112)는 지지 바(supporting bar), 스프레더 바(spreader bar), 리프팅 부재(lifting bar) 등으로 불릴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슬링(sling), 크레이들(cradle), 또는 다른 장치와 같은 환자용 서포트(patient support)(8)는 환자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리프팅 바(12)에 연결될 수 있다. 환자용 서포트(8)는 환자용 리프트 장치(patient lift apparatus)로 불릴 수도 있다. 리프트 시스템(2)은, 리프터(8)가 트랙 시스템(4)을 따라 이동하도록 리프터(6)에 지시하도록 리프터(6)와 전기적으로 통신하기 하기 위한 유선 또는 무선식 휴대용 버튼 제어기(wired or wireless handheld button controller)와 같은 제어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천장 리프트 시스템(2)으로부터 분리된 리프팅 바(12)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리프팅 바(12)는, 리프팅 바(12)의 하나 이상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리지(rigdes)(17, 18)를 구비하는 세장형 메인 바디(13)를 포함하는 세장형 부재일 수 있다. 리프팅 바(12)는 메인 바디(13)의 대향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지지 커넥터(support connectors)(14)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지지 커넥터(14)는 후크(hooks), 클래스프(clasps), 클립(clips), 또는 다른 지지 및/또는 고정 부재(supporting and/or fastening member)일 수 있다. 각각의 지지 커넥터(147)는 관통하여 연장되는 구멍(aperture)(19)을 갖는 단부(end)(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서, 단부(16)는 라운드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구형 또는 실린더형 형상으로 나타난다. 단부(16) 전체를 통해 연장하거나 단부(16) 일부를 통해 연장될 수 있는 구멍(19)은 안전 기구(safety mechaninsm)(28)와 같은 부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커넥터(14)는 리프팅 바(12)(도 1 참조)에 하중 지지 부재(10)를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지지 커넥터(14)는 리프팅 바(12)의 메인 바디(13)로 형성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리프팅 바(12)는 단일의 구성요소로 된다. 지지 커넥터(14)는 각각 환자용 서포트(8)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space)(26)을 형성할 수 있다. 홈(depression), 소켓(socket), 갭(gap) 등으로 불릴 수도 있는 공간(26)은 각각의 지지 커넥터(14)의 내면 상에 위치되는 지지 표면(supporting surface)(24)을 포함할 수 있다. 래치(latch), 클래스프(clasp), 패스너(fastener), 또는 다른 유사한 가동형 기구(movable mechanism)일 수 있는 안전 기구(28)는, 지지 표면(24)과 접촉하는 슬링의 스트랩와 같은 환자용 서포트(8)가 의도치 않게 공간(26)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 커넥터(14)에 이동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두 개의 지지 커넥터(14)가 도시되어 있지만, 추가적인 지지 커넥터(14)가 리프팅 바(12)의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리프팅 바(12)의 메인 바디(13)는 제1 표면(21)과, 제1 표면(21)과 같이 메인 바디(13)의 대향하는 측면 상의 제2 표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프팅 바(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리프트 시스템(2)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제1 표면(21)은 상부 표면(upper surface)으로 불릴 수 있고, 제2 표면(22)은 하부 표면(lower surface)으로 불릴 수 있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바(12)는, 하나의 지지 커넥터(14)의 최외각 가장자리(outmost edge)로부터 리프팅 바(12)의 메인 바디(13)의 대향하는 단부에 배치되는 다른 지지 커넥터(14)의 최외각 에지로 연장하는 길이(length)(200)를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길이(200)는 대략 30.5와 61.0 cm의 사이(12.0과 24.0 inch의 사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에 있어서, 길이(200)는 대략 45.7 cm(대략 18.0 inch)일 수 있다. 도 4, 6 및 7의 리프팅 바(112)는 리프팅 바(12)의 길이와 유사한 치수를 가질 수 있다. 이들 치수들은 단지 예시이고, 리프팅 바(12, 112)는, 예컨대 천장 리프트 시스템(2)에 의해 지지되는 환자의 크기에 따라 여러 가지의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리프팅 바(12)의 저면도, 즉, 도 3에 도시된 제2(하부) 표면(23)을 도시한다. 리프팅 바(12)는 리프팅 바 구멍(lifting bar aperture)(29)을 포함할 수 있고, 리프팅 바 구멍(29)은 하부 표면(23)으로부터 상부 표면(21)으로 연장되는 관통-홀(through-hole)일 수 있고, 리프팅 바 핀(lifting bar pin)(130)(도 4 및 6 참조)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리프팅 바 구멍(29)은 원형이지만,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진 리프팅 바 핀을 수용하기 위해 타원-유사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리프팅 바 구멍(29)는, 도 3에서 리프팅 바(12)의 길이(200)의 중앙에 또는 중앙 부근에 도시되었지만, 다른 형태의 구멍도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리프팅 바(12)는 리프팅 바(12)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하게 이격되는 두 개의 구멍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제2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천장 리프트 시스템(2)으로부터 분리된 리프팅 바(112)의 내부가 부분적으로 보이도록 도시한 사시도이다. 리프팅 바(112)는 세장형 부재일 수 있다. 그러나, 도 2 및 3에 도시된 리프팅 바(12)는 단일의 견고한 부품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반면, 도 4에 도시된 리프팅 바(112)는, 별도의 리프팅 바 메인 바디(113)의 부분 및/또는 하나 이상의 지지 커넥터(114)의 부분을 통해 연장하는 내부 코어(inner core)(115)를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지지 커넥터(114)에 의해 둘러싸이고 이를 통해 연장되는 내부 코어(150)의 부분은 내부 코어 지지 커넥터(inner core support connectors)(162)로 불릴 수 있다. 내부 코어(150)는 리프팅 바의 지지 커넥터(114)와 메인 바디(113)의 부분으로 통해 연장하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내부 코어(150)는 예컨대, 금속 또는 단단한 플라스틱과 같은 내구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내부 코어(150)는 금속성 빔(metallic beam)으로 불릴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내부 코어(150)가 제조되는 재료는 리프팅 바 메인 바디(113) 및 지지 커넥터(114)를 형성하는 재료보다 단단하고, 이는 모두 내부 코어(150)용 골격형 지지 구조(skeletal support structure)로 불릴 수 있다.
내부 코어(150)는 복수의 시트(sheets)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 코어(150)는 서로 접촉하는 면을 갖는 제1 시트(first sheet)(152) 및 제2 시트(second sheet)(154)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152, 154)는 플레이트로 불릴 수도 있고, 접촉 면(contacting faces)에 용접(welding), 리벳(riveting) 또는 접착제(adhesive)의 적용과 같은 고정하거나 부착하는 구성(fastening or adhering configuration)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내부 코어를 형성하는 시트(152, 154)는 금속이거나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는 다수의 적층된 시트(layered sheets)(152, 154)으로 형성된 내부 코어(150)를 도시한다. 플랜지(flanges)(156, 158, 160)는 시트(152, 154)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플랜지(first flange)(156)는 제1 시트(152)로부터 연장되고, 제2 및 제3 플랜지(second and third flanges)(158, 160)는, 제2 시트(154)로부터 각각 연장된다. 제4 플랜지(fouth flange)(미도시)는 제3 플랜지(160)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제1 시트(15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내부 코어(150)는, 내부 코어(150)에 형성된, 유지 핀 홀(retaining pin hole)일 수 있는 홀(holes)(164)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내부 코어(150)는, 아래에서 더 자세히 설명되는 몰딩 공정(molding process) 동안 제 위치에서 유지될 수 있다. 내부 코어(150)는 여기서 다양한 특징을 갖는 것으로 설명되었지만, 내부 코어는 다른 형상 및 특징을 가질 수 있고, 및/또는 금속 외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하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내부 코어(150)는, 내부 코어(150) 위에 형성되는 리프팅 바 메인 바디(113) 및 지지 커넥터(114)와 유사한 형상 및 특징을 가질 수 있다.
리프팅 바 메인 바디(113)는 제1 표면(또는 상부 표면)(121) 및 제1 표면(121)과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2 표면(또는 하부 표면)(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리지(first ridge)(117)와 제2 리지(second ridge)(118)는 리프팅 바(112)의 하나 이상의 면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리프팅 바(112)는, 리프팅 바(112)의 길이을 따라 연장되는 홀(holes) 및/또는 스트립(strips)(12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하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홀 은 제1 몰딩 공정(first molding process)의 결과일 수 있고, 홀은 제2 몰딩 공정(second molding process) 동안 재료(material)로 채워질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리프팅 바(112)는 메인 바디(113)의 대향 단부(opposite ends)에서 지지 커넥터(11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커넥터(114)는 후크(hooks), 클래스프(clasps), 클립(clips), 또는 다른 지지 및/또는 고정하는 부재일 수 있다. 각각의 지지 커넥터(114)는 관통 연장되는 구멍(119)을 갖는 단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우에 따라, 단부(116)는 라운드져 있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단부(116)는 구형 또는 실린더형 형상으로 나타난다. 단부(116)의 전체를 통해 연장하거나 단부(116)의 일부를 통해 연장할 수 있는 구멍(119)은 안전 기구(safety mechaninsm)(102)(도 6 참조)와 같은 부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커넥터(114)는 하중 지지 부재(10)(도 1 참조)를 리프팅 바(112)에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더 자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지지 커넥터(114)는 리프팅 바(112)의 메인 바디(113)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메인 바디(113)와 지지 커넥터(114)는 단일 구성요소(single element)이다. 지지 커넥터(14)는 각각 환자용 서포트(8)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126)을 형성할 수 있다. 홈(depression), 소켓(socket), 갭(gap) 등으로 불릴 수도 있는 공간(26)은, 각각의 지지 커넥터(114)의 내면 상에 위치된 지지 표면(supporing surface)(12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는 두 개의 지지 커넥터(114)가 도시되었지만, 추가적인 지지 커넥터(114)가 리프팅 바(112)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바(12)와 유사하게, 안전 래치(safety latch)와 같은 안전 기구(102)는, 환자용 서포트(8)가 리프팅 바(112)로부터 의도치 않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안전 기구(102)는, 리프팅 바(112)로부터 환자용 서포트(8)의 의도적인 이탈을 허용하면서도 환자용 서포트(8)가 리프팅 바(112)로부터 의도치 않게 이탈할 가능성을 줄이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 기구(102)는, 예컨대 구멍(119)을 통해 지지 커넥터의 단부(116)에서 지지 커넥터(114)에, 또는 리프팅 바(112)에 부착될 수 있다. 안전 기구(102)는 리프팅 바 메인 바디(113) 또는 지지 커넥터(114)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일체 형성은, 안전 기구(102)와 리프팅 바 메인 바디(113) 또는 지지 커넥터(114) 사이에 간격(gaps) 또는 조인트(joints)과 같은 간섭(interruptions)이 없음을 보장할 수 있다.
리프팅 바(112)는, 리프팅 바 핀(lifting bar pin)(130)을 수용하기 위한 리프팅 바 구멍(lifting bar aperture)(12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리프팅 바(12)의 리프팅 바 구멍(29)과 유사하게, 리프팅 바 구멍(129)은 하부 표면(123)으로부터 상부 표면(121)으로 연장되는 관통 홀(through hole)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바 핀(130)은, 연결 블록 핀(connective block pin)(90)을 관통하여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리프팅 바 핀 구멍(lifting bar pin aperture)(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리프팅 바(12) 상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된 커버(cover)(27)을 도시한다. 커버(27)는 리프팅 바(12)의 적어도 일부분을 덮고 있는 탈착 가능한 보호 패딩(protective padding)의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버(27)는, 지지 커넥터(14)를 덮고 있지 않으면서 리프팅 바(12)의 메인 바디(13)의 상당 부분을 덮고 있을 수 있다. 커버(27)는, 예컨대 커버(27)의 일측을 따라 배치된 지퍼(zipper) 또는 걸이-고리 고정구(hook-and-loop fasteners)와 같은 고정 장치(fastening device)를 사용하여, 리프팅 바(12) 주위에 여러 가지 방법으로 싸이거나 부착될 수 있다. 커버(27)가 리프팅 바(12)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커버(27)는 도 4, 6 및 7에 도시된 리프팅 바(112)를 덮고 있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리프팅 바(112)를 위한 예시적인 커텍터(60)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커넥터(60)는 리프팅 바(112)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리프팅 바(112)와 리프팅 바 커넥터(60)에 관한 다음의 설명은, 도 1 내지 3 및 5를 참조하여 설명된 리프팅 바(12)에 적용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 래치(latch)와 같은 안전 기구(102)가 리프팅 바(112)에 구비될 수 있다. 안전 기구 스프링(safety mechanism spring)(104)에 연결될 수 있는 안전 기구(102)는 안전 기구 핀(safty mechanism pin)(106)에 통해 지지 커넥터(114)의 단부(116)에 연결될 수 있다. 조립된 경우(도 7 참조), 스프링(104)은, 안전 기구가 리프팅 바(112)(도 7 참조)의 메인 바디(113)와 접촉하는 폐쇄 위치(closed position)로 안전 기구(102)를 편향시킬 수 있다. 스프링(104)을 포함하는 상술한 안전 기구(102) 배치의 제공은, 리프팅 바(112)로부터 환자용 서포트(8)의 의도적인 이탈을 허용하면서, 환자용 서포트(8)가 의도치 않게 리프팅 바(112)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커넥터(60)는 하중 지지 부재(10), 예컨대 스트랩(strap)과 같은 가요성 하중 지지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하중 지지 부재(10)의 일부는 핀 홀더(pin holder)(20)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slot)(15)일 수 있다. 슬롯(15) 및 핀 홀더(20)는 하중 지지 부재의 종결 부품(terminating component), 종결 부재(terminating member) 등으로 총괄적으로 불릴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슬롯(15)은, 연결 블록 커버(connecting block cover)(35) 및/또는 연결 블록(connecting block)(65)과 직접적으로 또는 핀 홀더(20)과 같은 다른 부품을 통해 연결시킬 수 있는 클래스프(clasp), 후크(hook), 버클(buckle), 또는 다른 연결하거나 부착하는 기구(connecting or affixing mechanism)로 대체될 수 있다. 핀 홀더(20)는, 핀(pin)(30)을 관통하여 수용하도록 구성된 핀 홀더 드럼(pin holder drum)(25) 및 한 쌍의 날개(wings)(22)을 포함할 수 있다. 핀 홀더(20)는, 연결 블록 커버(35) 및/또는 연결 블록(65)과 연결시키기에 적합한 클래스프, 후크, 버클 또는 다른 연결 기구를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핀 홀더 드럼(25) 및 핀(30)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실시예에서, 핀 홀더 드럼(25)은 별도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핀 홀더와 핀 홀더 드럼(15)이 조절 가능하도록, 핀 홀더 드럼은 핀 홀더에 힌지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60)는, 경우에 따라 연결 블록 커버(35)와 연결 블록(65)으로 구성되는 커넥터 바디(connector body)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블록 커버(35)는 내부에 연결 블록(65)과 핀 홀더 드럼(25)을 수용하는 블록 커버 소켓(block cover socket)(40)을 구비한다. 커넥터 바디는, 표면에 형성된 블록 커버(35) 내의 만입부(indents)(45)를 포함할 수도 있고, 만입부(45)를 통해 핀 홀더 드럼(25) 및 핀(30)이 통과할 수 있다. 래치 핀 구멍들(latch pin apertures)(50)로 불릴 수도 있는 블록 커버(35)의 제1 핀 구멍(first pin apertures)(50)은, 래치 핀(latch pins)(110)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블록 커버 핀 구멍(connecting block cover pin apertures)으로 불릴 수도 있는 블록 커버(35)의 제2 핀 구멍(second pin apertures)(55)은, 연결 블록 핀(90)을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결 블록 소켓(40)은 연결 블록 커버(35) 내에, 예컨대, 바람직한 축(desired axis)을 따라 위치될 수 있다. 연결 블록 소켓(40)은 내부에 연결 블록(65)의 일부 또는 전부를 받아들일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연결 블록(65)은 블록 커버 소켓(40) 내에 탈착 가능하지 않도록 수용될 수 있다. 블록 커버 만입부(45)는 핀 홀더(20), 핀 홀더 드럼(25), 및/또는 하중 지지 부재(10)가 통과하도록 하는 바람직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블록 커버 만입부(45)는, 핀 홀더(20)의 다른 부위가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블록 커버 만입부(45)는 연결 블록 커버(35)의 일부 내에 형성될 수 있고, 커버(35)의 양 측 또는 커버(35)의 전방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만입부(indents), 구멍(apartures) 또는 개구(openings)는, 하중 지지 부재(10)가 연결 블록 커버(35)의 일측으로부터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블록 커버 만입부(45)는 커버(35) 내에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연결 블록(65) 내에 형성될 수 있다. 블록 커버 제1 핀 구멍(50)은 부착 래치(attachment latch)(100)를 연결시키기 위한 기구일 수 있고, 부착 래치(100)의 일부를 샌드위칭(sandwiching)시킴으로써 부착 래치(100)를 연결 블록 커버(35) 또는 연결 블록(65)에 고정하는, 예컨대 스프링-편향 표면(spring-biased surfaces)을 포함할 수 있다. 블록 커버 제2 핀 구멍(55) 및/또는 연결 블록 제2 구멍(connecting block second apertures)(85)은 연결 블록 커버(35) 및 연결 블록(65)을 함께 고정하는 기구(mechanism)을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블록 커버(35) 및/또는 연결 블록(65)을 쥐도록 구성된 스프링-편향 표면은 연결 블록 핀(90)의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블록(65)은, 하중 지지 부재(10) 및/또는 핀 홀더(20)의 일부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슬롯(slots)(3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30)은 슬롯(3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연결 블록(65)은, 내부에 핀 홀더 드럼(25) 및 핀(30)을 수용하기 위한 연결 블록 동공(connecting block cavity)(80) 및 연결 블록 소켓(connecting block socket)(7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연결 블록 제1 구멍(75)은 리프팅 바 핀(130)을 관통하여 수용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 블록 구멍(connecting block apertures)으로 불릴 수 있는 연결 블록 제2 구멍(85)은 연결 블록 핀(connecting block pin)(90)을 관통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연결 블록(65) 및 연결 블록 커버(35)는, 예컨대 연결 블록(65)에 블록 커버 제1 핀 구멍을 구비시킴으로써 하나의 부품으로 일체로 형성된다. 연결 블록 소켓(70)은 연결 블록(65) 내의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켓은 바람직한 축을 따라 개방될 수 있다. 연결 블록 소켓(70)은 핀 홀더(20)(핀 홀더 드럼(25)을 포함함), 하중 지지 부재(10) 및/또는 핀(30)의 전부 또는 일부를 받아들일 수 있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연결 블록(65) 및/또는 연결 블록 커버(35)는, 리프팅 바 핀(130)을 이용하여 리프팅 바(112)에 고정되지 않는다. 대신에, 예를 들어, 이들 부품들은 모두 통합된 부품으로 몰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프팅 바 핀(130)은 필요없게 된다.
커넥터(60)는, 블록 커버 만입부(45)에 상호 보완적일 수 있는 래치 플랜지(latch flange)(105)를 갖는 부착 래치(attachment latch)(1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래치 플랜지는 블록 커버 만입부(45)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부착 래치(100)의 래치 핀(latch pins)(110)은 블록 커버 제1 핀 구멍(5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부착 래치(100)는 이에 형성된 손가락 누름부(finger depression)를 가질 수 있는 부착 래치 메인 바디(attachment latch main body)(120)과, 폐쇄 위치(closed position)를 향해 부착 래치(100)를 편향시키는 스프링과 같은 부착 래치 편향 부재(attachment latch biasing element)(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폐쇄 위치에서, 래치 플랜지(105)는 블록 커버 만입부(45)에서 연결 블록 커버(35)와 인접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부착 래치(100)는 연결 블록 커버(35) 및 연결 블록(65)와 힌지적으로 또는 스윙가능하게(hingedly or swingably) 고정되지 않을 수 있다. 부착 래치(100)는, 연결 블록 소켓(70) 내에서의 스윙(swing) 대신에 연결 블록 소켓(70) 내에서의 눌림에 의해 래치(100)가 개방 또는 폐쇄되는, 예컨대 푸쉬-버튼(push-botton)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대체적으로, 부착 래치(100)는 다른 축 또는 에지를 따라 스윙할 수 있다. 래치 핀(110)은, 부착 래치(100)를 연결 블록 커버(35)에 부착할 수 있는 다른 연결, 고정, 또는 고정 기구(connecting, fastening or securing mechanism)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록 커버 제1 핀 구멍(50) 내에 수용되는 래치 핀(110) 대신에, 부착 래치(100)의 일부가 연결 블록 커버(35) 또는 연결 블록(65)에 형성된 래치 포켓(latch pocket) 또는 유사한 구조 내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핀 홀더 드럼(25)이 연결 블록 소켓(70) 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핀 홀더 드럼(25)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해, 추가적인 래치가 연결 블록 소켓(70)내에 구비될 수 있다.
리프팅 바(112)는, 연결 블록(35) 및/또는 연결 블록 커버(65)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설명되는 커넥터(60) 또는 커넥터(60)를 구비하는 여러 부품은 조각되거나 깍이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리프팅 바(112) 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중 지지 부재(10)는, 리프팅 바(112) 내에 형성될 수 있는 연결 블록 소켓(70) 내에 부재(10)의 일부를 삽입함으로써, 예를 들어, 리프팅 바(112)에 고정된 부착 래치를 누름으로써, 리프팅 바(112)에 고정될 수 있다. 리프팅 바 핀(130)와 리프팅 바(112) 간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도록, 스러스트 베어링(thrust bearing)이, 리프팅 바 핀(130)과 리프팅 바(112)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바 핀(130)은, 연결 블록 핀(90)을 관통하여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리프팅 바 핀 구멍(lifting bar pin aperture)(1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리프팅 바(112)와 함께 사용되는 커넥터(60)를 나타냈지만, 도 1 내지 3 및 5에 도시된 리프팅 바(12)와 함께, 또는 여러 다른 리프팅 바의 실시예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폐쇄 위치에서 부착 래치(100)를 도시한 도 7의 조립된 커넥터(60)를 참조하면, 도 6에 도시된 연결 블록(65)은 연결 블록 커버(35) 내에 위치되고, 연결 블록(65) 및 블록 커버(35)는, 리프팅 바 핀(130)을 사용하여 리프팅 바(112)에 고정된다. 슬롯(15) 내에 핀 홀더(20)를 갖는 하중 지지 부재(10)는, 연결 블록(65) 및 블록 커버(35)를 통해 리프팅 바(112)에 고정된다. 부착 래치 메인 바디(120)는 블록 소켓(70)을 덮고 있고, 래치 플랜지(105)는 만입부(45)(도 6 참조)를 덮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핀 홀더 드럼(25)이 블록 커버 만입부(45)를 통해 연결 블록 소켓(70)의 외부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하중 지지 부재(10)를 고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부착 래치(100)는 부착 래치 편향 부재(115)를 이용하여 스프링 편향(spring biased)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부착 래치(100)는 부착 래치 메인 바디(120) 및 래치 플랜지(105)를 연결 블록 소켓(70) 내로 이동시키도록 전방 방향으로 스윙할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 부착 래치(100)는 폐쇄 위치보다 대향하는 후방 방향으로 더 스윙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이는 연결 블록 소켓(70) 내에서 핀 홀더 드럼(25) 및 핀(30)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중 지지 부재(10)를 리프팅 바(112)에 고정하기 위해서, 핀 홀더(20) 또는 핀 홀더 드럼(25)과 같은 종결 부품의 일부는, 연결 블록 소켓(70) 내에서 부착 래치(100)를 스윙시키기 위해 화살표(300)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래치 메인 바디(120)에 대하여 가압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부착 래치(100)를 개방 위치에서 폐쇄 위치 사이, 예를 들어 폐쇄 위치에서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핀 홀더 드럼(25)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블록(65)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부착 래치 메인 바디(120)에 대해 가압될 수 있다. 그러나, 부착 래치(100)는 개방 위치에 대해 스프링 편향, 즉 폐쇄된 위치로 편향될 수 있다. 따라서, 핀 홀더 드럼(25)과 핀(30)이 부착 래치(100)를 지나쳐 이동한 경우, 부착 래치(100)는 폐쇄 위치로 되돌가고, 이에 따라 부착 래치(100)의 플랜지(105)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커버 만입부(4)와 인접한다. 이후, 하중 지지 부재(10), 핀 홀더(20) 및/또는 핀(30)은, 화살표(30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슬롯(32)으로 미끄러져 들어간다. 상승 이후, 부착 래치(100)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하중 지지 부재(10), 핀 홀더(20) 및/또는 핀(30)은, 화살표(304)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32) 내에서 제1 방향으로 90°회전하고, 이에 의해 날개(22)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결 블록 커버(35) 위에 위치시킬 수 있다. 날개(22)가 제 위치에 위치하면, 날개(22)는 연결 블록 커버(35)의 상부에 인접하기 때문에, 핀 홀더(20)는 하방향 이동에 대해 저항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하중 지지 부재(10)는, 연결 블록 커버(35)와 리프팅 바(112)에 부착된 연결 블록(10)에 고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부착 래치(100)는, 날개(22)가 연결 블록 커버(35)의 상부에 인접하도록 하기 위해 하중 지지 부재(10), 핀 홀더(20) 및/또는 핀(30)이 커넥터 블록(65) 내에서 회전할 때까지, 개방 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에는 리프팅 바(112)가 도시되었지만, 여기에 설명된 부착(및 탈착) 방법은, 유사한 방식으로 도 2의 리프팅 바(12)에 적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리프팅 바(112)로부터 하중 지지 부재(10)를 탈착시키기 위해, 부착 래치(100)는, 도 9의 화살표(306)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개방 위치로 전방에서 눌리거나 밀어내어 질 수 있다. 부착 래치(100)가 눌려진 경우, 연결 블록 커버(35)의 상부로부터 날개(22)를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화살표(308)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32) 내에서 하중 지지 부재(10), 핀 홀더(20) 및/또는 핀(30)을 예컨대 제2 방향 하방으로 대략 90°회전시킴으로써, 하중 지지 부재(10)가 연결 블록(65)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부착 래치(100)가 가압된 경우, 화살표(310)로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연결 블록 커버(65)의 슬롯(32) 내에서 하방향으로 하중 지지 부재(10), 핀 홀더(20), 또는 핀(30)를 하강시키거나 이동(예컨대, 슬라이딩(slinding))시킴으로써, 하중 지지 부재(10)는 연결 블록(65)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이러한 탈착 방법은, 화살표(312)로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홀더 드럼(25)을 연결 블록 동공(80) 밖으로 및 블록 커버 만입부(45)를 지나쳐 이동시킴으로써, 하중 지지 부재(10), 핀 홀더(20) 및/또는 핀(30)가 연결 블록(65)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하중 지지 부재(10), 핀 홀더(20) 및 핀(30)이, 탈착 동안에 연결 블록(65)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핀 홀더 드럼(25) 및 핀(30)이 블록 커버 만입부(45)를 지나 이동하는 경우, 부착 래치(100)는 폐쇄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장치 및 방법의 다양한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60), 및 더 상세하게는 커넥터 바디는 연결 블록(65)를 덮고 있는 커넥터 연결 블록 커버(35)를 구비하지 않을 수 있다. 만일 커넥터 블록 커버(35)가 구비되지 않는다면, 커넥터 블록(65)과 같은 커넥터(60)의 다른 부분이 커넥터 블록 커버(35)의 특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 블록(65)은, 커넥터 블록(65)에서 부착 래치(100)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래치 핀(110)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추가적인 구멍 또는 홈을 구비함으로써 부착 래치(100)를 수용 및/또는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핀 홀더(20) 및/또는 하중 지지 부재(10)에는, 핀 홀더 드럼(25)의 너비 또는 다른 치수를 변경시키는 기구가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핀 홀더 드럼(25)이, 원하는 바와 같이 연결 블록 소켓(70) 내로 들어가도록 할 있다. 예를 들어, 핀 홀더(20), 핀 홀더 드럼(25) 및/또는 하중 지지 부재(10)는, 핀 홀더 드럼(25)의 외부에 있는 부분을 갖는 리트랙터블, 스프링-편향 플랜지(retractable, spring-biased flange)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 또는 플래지 자체를 가압함으로써, 플랜지는 핀 홀더(20), 핀 홀더 드럼(25) 및/또는 하중 지지 부재(10) 내에서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내측 방향으로 수축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핀 홀더(20), 핀 홀더 드럼(25) 및/또는 하중 지지 부재(10)의 치수를 조정할 수 있다. 이는 핀 홀더(20), 핀 홀더 드럼(25) 및/또는 하중 지지 부재(10)가 연결 블록 소켓(70) 상에 개방된 블록 커버 만입부(45)와 같은 개구를 통과하여 설치되도록 한다. 플랜지가 연결 블록 소켓(70) 내에 있는 경우, 플랜지는 이완될 수 있고, 또는 그렇지 않은 경우, 다시 돌출하게 되고, 이를 통해 핀 홀더(20), 핀 홀더 드럼(25) 및/또는 하중 지지 부재(10)가 플랜지가 다시 수축되기 까지 연결 블록 소켓(7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설명되는 리프팅 바(12, 112)는 천장 리프트 시스템(2)과 연결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팅 바(12, 112)는 다수의 바, 커넥터, 소켓, 구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리프팅 바(12, 112)는, 하중 지지 부재(10)로부터 리프팅 바(12, 112)로의 매끄럽고 연속적인 연결부(transition)가 구비되도록 하기 위해 하중 지지 부재(10) 또는 하중 지지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0 내지 14는 리프팅 바의 다양한 추가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리프팅 바(212)의 제3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리프팅 바(212)는 만곡된 구조적 부재(curved structural members)(222)와, 크로스 부재(cross member)(224)와, 지지 부재(supporting member)(216)와, 연결 부재(connecting member)(226)를 포함한다. 만곡된 구조적 부재(222)는 지지 부재(216)의 개구(opening)(228)을 통해 연장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개구(228)는 지지 부재(216)를 통해 전체적으로 연장하는 관통 홀(through hole)이고, 이 겨우에 다수의 만곡된 구조적 부재(222)는 크로스 부재(224)의 대향 단부(opposite ends)를 연결하는 단일의 구조적 부재(222)로 구비될 수 있다. 리프팅 바(212)는 지지 커넥터(support connectors)(218)를 포함할 수도 있다. 지지 커넥터(213)는 메인 바디(main body)(213)으로부터 연장되고, 도 10에 도시된 구형 구성과 같은 여러 구성을 포함하여 환자용 서포트(patient support)가 리프팅 바(212)에 부착되어 유지되도록 돕는 안전 기구(safty mechanism)로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리프팅 바(212)는 리프팅 바(212)를 조종하기 위한 핸들(handle)(2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리프팅 바 구멍(lifting bar aperture)(229)은, 리프팅 바(212)를 하중 지지 부재(10)에 고정하도록 커넥터(60)에 연결하기 위한 리프팅 바 핀(lifting bar pin)을 수용하기 위해 지지 부재(216)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에 따른 리프팅 바(311)의 제4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리프팅 바(311)는 중심 구조(central structure)(318)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세장형 부재(elongated members)(318)를 포함하고, 이는 총괄적으로 메인 바디로 불린다. 각각의 세장형 부재(313)는, 래치, 클램프 등과 같은 가동형 안전 기구(movable safty mechanism)(316)를 갖는 지지 커넥터(support connector)(314)에서 종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천장 리프트 시스템(2)과 같은 장치에 연결시키기 위해, 리프팅 바(311)의 중심 구조(318)는 리프팅 바 구멍(lifting bar aperture)(329)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 바 구멍(329)은 커넥터(60)에 연결하기 위해 리프팅 바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리프팅 바(311)가 하중 지지 부재(10)에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에 따른 리프팅 바(412)의 제5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리프팅 바(412)는 중심 구조(418)로부터 연장되는 다수의 세장형 부재(413)를 포함하고, 이는 총괄적으로 메인 바디로 불릴 수 있다. 각각의 세장형 부재(413)는 래치, 클램프 등과 같은 가동형 안전 기구(416)를 갖는 지지 커넥터(414)에서 종결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천장 리프트 시스템(2)과 같은 장치에 연결시키기 위해, 리프팅 바(412)의 중심 구조(418)는 리프팅 바 구멍(429)을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 바 구멍(429)은 커넥터(60)에 연결하기 위해 리프팅 바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리프팅 바(412)가 하중 지지 부재(10)에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에 따른 리프팅 바(512)의 제6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리프팅 바(512)는 서포트 커넥터(514)를 갖는 두 개의 대향 단부에서 종결하는 세장형 메인 바디(enlongated main body)(513)를 포함한다. 각각의 지지 커넥터(514)는 래치, 클램프 등과 같은 안전 기구(516)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 바(512)는 융기 부재(raised member)(527)를 포함할 수도 있고, 이러한 융기 부재(512)는, 리프팅 바(512)가 설치된 경우 천장 리프트 시스템(2)을 동작시키는 사용자를 위한 추가적인 지지(support), 커버(cover) 또는 핸들(handle)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리프팅 바 구멍(529)는, 커넥터(60)를 연결하기 위해 리프팅 바(lifting bar)를 수용하도록 메인 바디(513)에 따른 중심 위치에 구비되어, 리프팅 바(512)가 하중 지지 부재(10)에 확실히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4는 본 개시에 따른 리프팅 바(612)의 제7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리프팅 바(612)는 다수의 연결 부재(connecting members)로 형성될 수 있는 메인 바디(613)를 포함한다. 연장 부재(extending members)(622)는 메인 바디(613)의 대향 단부로부터 연장되고, 다수의 지지 커넥터(614)가 연장 부재(622)를 따라 다른 위치(positions)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지지 커넥터가 메인 바디(613)의 부분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서포트 커넥터(614)의 각각은, 리프팅 바(612)의 사용시에 예컨대 환자용 서포트(8)를 확실하게 유지하도록 구성된 안전 기구(616)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지지 부재(618)는 메인 바디(613)로부터 연장될 수 있고, 중심 구조(central structure)(615)에 연결된다. 경우에 따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지지 부재는 메인 바디(613)와 연장 부재(622)가 위치하는 평면에 전반적으로 수직인 평면으로 연장된다. 중심 구조(615)는 리프팅 바 구멍(629)를 포함할 수 있고, 리프팅 바 구멍(629)는 리프팅 바(612)를 커넥터(60)에 연결하기 위한 리프팅 바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 리프팅 바(612)가 하중 지지 부재(10)에 확실하게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바디(613), 추가적인 지지 부재(618) 및 연장 부재(622)와 같은 리프팅 바(612)의 여러 부품은, 사각형 단면 형상, 원형 단면 형상, 또는 다른 단면 형상을 갖는 바(bars)로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60)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리프팅 바(12, 112)와 마찬가지로, 도 10 내지 14에 도시된 리프팅 바 중 어느 것이든 커넥터(60)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천장 리프트 시스템(2)에 통합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리프팅 바 및 커넥터(60)는, 다양한 의료적 또는 비의료적 현장에서 다양한 부품 및 장치를 함께 제거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서 천장 리프트(ceiling lift) 또는 다른 리프트 장치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의료적 현장에서, 천장 리프트 시스템(2)은, 슬링(sling)과 같은 환자용 서포트(8) 내에서 환자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천장 리프터(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어기(controller)(미도시)를 사용하여, 조작자는, 리프터(6)를 통해 리프팅 바 및 하중 지지 부재(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환자가 리프팅 바에 부착된 환자용 서포트(8) 내에서 지지되는 경우, 환자는 수직으로 및/또는 수평으로 이동될 수 있다. 리프터(6)는 윈치(winch) 또는 유사 클랭크 장치(similar crank device)로 기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감기(winding)는 환자를 상승시키기 위해 하중 지지 부재를 더 감아 올리고, 반면 풀기(unwinding)는 환자를 하강시키기 위해 하중 지지 부재를 풀어 준다. 트랙 시스템(4)에 따른 리프터(6) 이동은 수평 및/또는 수직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다양한 리프팅 바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3, 5, 11, 12 및 13에 도시된 리프팅 바는, 단일 단계로서 인젝션 몰딩(injection molding)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3 및 5에 도시된 리프팅 바를 참조하면, 메인 바디(13) 및 지지 커넥터(14)는 하나의 단계로 동시에 제조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프팅 바(12)는 단일의, 연속적인 세장형 부재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리프팅 바(12)의 구조를 나타내는 "연속적인"이라는 용어는, 리프팅 바(12)가 메인 바디(13)와 지지 커넥터(14)간에 균열(breaks), 조인트(joints) 등이 없는 세장형 부재라는 것을 나타낸다. 리프팅 바(12)는 완전히 고체(solid)로 몰딩될 수 있고, 리프팅 바 메인 바디(13)와 지지 커넥터(14)(구멍(19)을 제외함) 내에 개방 공간을 갖지 않는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리프팅 바(12)는 코어(core) 주위에 몰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프팅 바(12) 내부에 속이 빈 또는 중공의 공간이 있을 수 있다. 추가적인 단계, 예를 들어 샌딩(sanding)과 같은 연마 기법이, 단일의 성형 단계 이후에 리프팅 바(12)의 외부 표면을 더 매끄럽게 하기 위해서 취해질 수 있다. 안전 기구(28)는 리프팅 바(12)를 생산하기 위해 사용되는 단일의 인젝션 몰딩 단계로서 제조될 수도 있는 반면에, 경우에 따라 안전 기구(28)는 리프팅 바(12)와는 별도로 생산될 수 있다. 안전 기구(28)가 별도로 생산되는 경우에는, 인젝션 몰딩 단계가 완료된 이후, 안전 기구(28)는 리프팅 바(12)에 고정될 수 있다.
도 4, 6 및 7에 도시된 리프팅 바를 참조하면, 리프팅 바(112)는 두 개의 인젝션 몰딩 단계로서 제조될 수 있다. 내부 코어(150)는 먼저 다양한 유지 핀 홀(retaining pin holes)(164)을 통해 유지 핀(retaining pins)을 연결시킴으로써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이들 유지 핀(미도시)은, 인젝션 몰딩 과정의 제1 단계 동안에 리프팅 바(112)를 유지시킨다. 제1 단계 동안, 열가소성 수지(thermoplastic)과 같은 재료가, 캡슐(capsule)을 형성하도록 전체 내부 코어(150) 주위에 전체 몰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내부 코어(150)는 몰드 재료에 의 의해 둘러싸이거나 캡슐화된다. 그러나, 내부 코어(150)는 유지 핀에 의해 제 위치에 유지되기 때문에, 미충전 공간(unfilled space) 또는 홀(holes)이 유지 핀이 위치하는 곳에 있을 수 있다. 유지 핀은 제1 몰딩 단계 이후에 제거되고, 제1 단계 이후의 인젝션 몰딩의 제2 단계 동안에, 추가적인 재료가 리프팅 바 메인 바디(113), 지지 커넥터(114) 및/또는 안전 기구(102)를 몰딩하기 위해 주입된다. 경우에 따라, 안전 기구(102)는 인젝션 몰딩 단계와는 별도로 생산되고, 이에 따라 안전 기구(102)는 두 가지의 인젝션 몰딩 단계의 완료 이후에 리프팅 바(112)에 고정될 수 있다. 인젝션 몰딩의 제2 단계는, 유지 핀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채울 수도 있다. 제2 단계는, 리프팅 바(112)의 하나 이상의 부위를 따라 형성된 재료의 스트립(strip)(125)을 생성한다. 경우에 따라, 제1 및 제2 단계 동안에 사용되는 재료는 동일한 재료일 수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제2 단계에서 유지 핀에 의해 남겨진 공간을 채우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는, 제1 단계 동안에 메인 바디(113) 및 지지 커넥터(114)를 몰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료와 다를 수 있다. 만일 예를 들어, 재료의 바람직하지 않은 스트립 또는 결함이 두 가지의 인젝션 몰딩으로부터 기인한다면, 샌딩과 같은 연마 기법과 같은 추가적인 단계가 리프팅 바(112)의 외부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서 취해질 수 있다.
리프팅 바를 제조하는 상술한 방법에 있어서, 리프팅 바의 결과적인 표면 마감은 구멍이 없고 동공이 없으며 및/또는 매끄럽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팅 바(12)는 표면 상에 동공(cavities) 또는 다른 디테일(details)을 갖고 있지 않은 단일의 연속적인 구성요소로서 하나의 인젝션 몰딩 단계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리프팅 바(112)는 다수의 단계를 거쳐 제조되지만, 매끄럽고 전반적으로 동공이 없는 표면 마감을 보여 주고 있다.
위생은 의료적인 환경에서 질병 확산을 방지하는데 중요하다. 감염된 표면 또는 다른 구조물의 교차-오염(cross-contamination)을 방지하기 위해, 간병인은 예를 들어 공지의 소독제를 사용함으로써 환자에 접근 가능한 장비 또는 구역을 청결하게 하는데 애써야만 한다. 상술한 리프팅 바는 병실에서 조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교차-오염의 위험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리프팅 바는, 리프팅 바를 청결하게 하는데 용이하고 편리하고, 리프팅 바는 청소에 필요한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이에 의해 효율을 강화하고 비용을 낮출 수 있다. 매끄러우며 구멍이 없는 리프팅 바의 표면 마감은, 신속하고 연속적인 채택가능한 청소 이동으로부터 기인한 더 나은 청소 결과를 허용할 수도 있고, 이는 차례로 질병의 확산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리프팅 바는: 리프팅 바 바디를 형성하는 다양한 프로파일 사이의 단차(steps) 또는 다른 작고 도달하기 어려운 부분와 같은 세부적인 것; 별도로 연결되는 지지 커넥터; 효과적으로 청소하기 어려울 수 있는 동공(cavities)을 만들어낼 수 있는 조인트(joints) 또는 접합부(junctions); 등 중의 하나 이상을 갖지 않으면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여기에 설명되는 단일 단계로 제조되는 리프팅 바(12)의 단일 구성요소 디자인은, 매끄러운 표면 마감 및 리프팅 바의 청소에 있어서의 용이성에 기여할 수 있다. 다수의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는 도 4의 리프팅 바는, 용이한 청소를 고려하여 매끄럽고 연속적인 표면 마감을 가진다. 또한, 리프팅 바는 하중 지지 부재(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효과적으로 청소하기 위해 더 적은 노력을 필요로 하는 구조로 된다. 지지 커넥터(14, 11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26, 126)의 각각은, 예를 들어 간병인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하여 간병인 지지 표면(24, 124)을 포함하는 지지 커넥터(14, 114)을 서로 청소할 수 있도록, 및 환자용 서포트(8)의 리프팅 바(12, 112)로의 삽입 및 부착을 가능하게 하도록, 충분이 크고 매끄러울 수 있다. 리프팅 바에 추가하여, 핸드 컨트롤(미도시)는 고 택스쳐 구조의 컨트롤 버튼(highly textured control botton) 보다는 매끄럽운 가요성 맴브레인(membrane)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사용하기 쉽고 인체공학적이고 심미적이고 소형이며, 전반적으로 저렴한 제조 비용을 갖는 핸드 컨트롤을 제공하면서, 핸드 컨트롤의 용이한 청소를 가능하게 한다.
의료적 처치(medical procedure) 동안, 안전, 효율성 및 청결성은 간병인에 환자에게 효과적인 보살핌을 제공하는데 일반적으로 중요하다. 간병인이 책임지고 있는 환자 또는 처치의 수가 증가하는 경우에 특히 그렇다. 리프트 장치(lift device)가 사용될 수 있는 처치 동안에, 여기서 설명되는 다양한 리프팅 바와 같은 리프팅 바는, 하중 지지 부재에서 및 하중 지지 부재로부터 반복적으로 연결 및 분리되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되는 리프팅 바 커넥터(60)는, 다양한 하중 지지 부재 및 리프팅 바 간의 빠른, 쉽게 개시되는, 견고한 연결 및/또는 분리가 가능한, 소형이고 청소가 용이한 장치이다. 리프팅 바 커넥터(60)는, 환자 및 간병인에게 안전하고 직관적인 방식으로 리프팅 바의 별개의 유사한 또는 다른 리프팅 바로의 빠른 대체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60)는, 리프팅 스트로크(lifting stroke) 즉, 천장 리프트 시스템(2)에서 리프팅 바 및 부착물(attachments)이 이동하는 수직 거리를 상당히 줄일 수 없을 수 있다. 더욱이, 커텍터(60)의 매끄러운 또는 유선형의 디자인, 특히 연결 블록 커버(35)는 커넥터(60)와 주변부의 간단하고 효과적인 청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커넥터(60)는 다양한 리프팅 바의 연결 및 분리 동안 사용자에 의해 자주 조작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60)와 주변부의 쉽고 완전한 청소는 질병의 확산을 방지하는데 중요하다.
하중 지지 부재(10), 핀 홀더(20) 및 핀(30)이 커넥터(60)의 연결 블록(65)으로 밀어넣어지거나 이로부터 빼내어질 때, 클립핑 동작(clipping action)을 수반하기 때문에, 여기서 설명되는 부착 또는 탈착 수순(attaching or detaching sequence)은 일반적으로 빠르고 간단하다. 부착 전에 장치를 열 필요가 없기 때문에, 부착 방법은 특히 편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쇄 위치로 편향된 부착 래치(100)는, 연결 블록(65) 내에 구성요소들을 확실히 유지하면서, 장치의 부분을 열 필요 없이 하중 지지 부재(10), 핀 홀더(20) 및 핀(30)의 부착을 가능하게 한다. 부착 래치(100)이 폐쇄 위치로 편향되어 있기 때문에(예를 들어, 부착 래치 스프링(15)을 사용함으로써), 부착 전에 열기(unlocking)가 필요 없으면서도, 부착 래치(100)는 하중 지지 부재(10), 핀 홀더(20) 및 핀(30)이 리프팅 바로부터 돌발적인 이탈을 막을 수 있는 안전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안전 조치(safety measure)는, 탈착을 달성하기 위해서 수동의 의도적인 동작을 요구함으로써, 본 장치 및 방법에 통합되어 있다.
개시된 장치 또는 방법에 다양한 수정 또는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분명하다. 개시된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 및 상세한 설명의 고려로부터 다른 실시예가 통상의 기술자에게 가능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다음의 특허청구범위 및 이들의 균등범위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정해져야 할 것이다.
2 : 리프트 시스템
4 : 트랙 시스템
6 : 리프터
8 : 환자용 서포트
10 : 하중 지지 부재
12 : 리프팅 바
60 : 커넥터

Claims (20)

  1. 환자용 리프팅 시스템에서 환자용 리프팅 바를 하중 지지 부재에 착탈하기 위한 환자용 리프트 커넥터으로서,
    상기 환자용 리프팅 바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블록을 포함하는 커넥터 바디와,
    상기 하중 지지 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커넥터 바디를 통해 상기 연결 블록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핀 홀더와,
    상기 커넥터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서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부착 래치 - 상기 부착 래치가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핀 홀더는 상기 연결 블록 내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리프팅 바는 상기 하중 지지 부재에 부착될 수 있음 - 를 구비하되,
    상기 부착 래치는 래치 핀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바디는 두개의 래치 핀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 래치는, 상기 래치 핀 구멍 내에서 상기 래치 핀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개방 위치 및 상기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리프팅 바를 통하여 연장하는 리프팅 바 핀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구멍을 포함하는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는 만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착 래치는, 상기 부착 래치가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만입부와 인접하도록 구성되는 래치 플랜지를 포함하는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 내에 형성되는 슬롯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핀 홀더는, 상기 리프팅 바의 착탈 동안 상기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핀 홀더의 핀 홀더 드럼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핀을 더 구비하고,
    상기 핀은, 상기 리프팅 바의 착탈 동안 상기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래치는, 상기 부착 래치를 상기 폐쇄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구성되는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 부재는 스프링인
    커넥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부착 래치가 상기 폐쇄 위치에 있을 경우, 상기 핀 홀더가 상기 연결 블록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홀더는, 상기 리프팅 바가 상기 하중 지지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핀 홀더의 하방향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커넥터 바디의 상부에 인접하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날개를 포함하는
    커넥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바디는 블록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블록 커버의 소켓 내에 배치되는
    커넥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블록은, 상기 연결 블록을 통해 연장하는 연결 블록 핀에 의해 상기 환자용 리프팅 바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는
    커넥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 부재로부터 부착 및 탈착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리프팅 바는,
    세장형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지 커넥터의 제1 표면 상에 환자용 리프트 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커넥터와,
    상기 지지 커넥터의 상기 제1 표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공간을 둘러싸기 위해 상기 지지 커넥터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커넥터는 상기 세장형 메인 바디의 일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단일의 구조적인 구성요소가 되는
    커넥터.
  14. 환자용 리프팅 시스템에서 환자용 리프팅 바를 하중 지지 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환자용 리프트 커넥터로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환자용 리프팅 바에 고정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연결 블록을 포함하는 커넥터 바디와,
    상기 커넥터 바디를 통해 상기 연결 블록의 슬롯 내에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하중 지지 부재의 종결 부품과,
    상기 커넥터 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서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부착 래치를 구비하고,
    상기 종결 부품은 상기 리프팅 바를 상기 하중 지지 부재에 부착하도록 상기 부착 래치를 상기 폐쇄 위치로부터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연결 블록의 슬롯은 상기 커넥터 바디의 일 부분에 의해 덮혀 있고,
    상기 부착 래치는 래치 핀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바디는 두개의 래치 핀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 래치는, 상기 래치 핀 구멍 내에서 상기 래치 핀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개방 위치 및 상기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종결 부품의 핀 홀더 드럼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핀을 더 구비히고,
    상기 핀은 상기 리프팅 바의 부착 및 탈착 동안 상기 슬롯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지지 부재로부터 탈착 및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리프팅 바는,
    세장형 메인 바디와,
    상기 메인 바디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지지 커넥터의 제1 표면 상에 환자용 리프트 장치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지지 커넥터와,
    상기 지지 커넥터의 상기 제1 표면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공간을 둘러싸기 위해 상기 지지 커넥터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안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커넥터는 상기 세장형 메인 바디의 일부와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바 위에 제거가능하게 배치되는 커버를 더 구비하는
    커넥터.
  18. 환자용 리프팅 시스템에서 커넥터의 이용을 통해 환자용 리프팅 바를 하중 지지 부재에 부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커넥터의 부착 래치에 대해 상기 하중 지지 부재의 종결 부품을 가압하는 단계 - 상기 부착 래치는 상기 리프팅 바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바디에 고정됨 - 와,
    상기 종결 부품을 상기 커넥터 바디의 일부를 통해 연결 블록의 슬롯 내로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부착 래치는 상기 커넥터 바디 내에서 개방 위치 및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종결 부품이 상기 부착 래치에 대해 가압되었을 경우 상기 부착 래치는 상기 개방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종결 부재가 상기 연결 블록의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부착 래치는 상기 폐쇄 위치로 이동함 - 를 구비하되,
    상기 부착 래치는 래치 핀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바디는 두개의 래치 핀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부착 래치는, 상기 래치 핀 구멍 내에서 상기 래치 핀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개방 위치 및 상기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 내에서 상기 종결 부품을 상승시키는 단계와,
    상기 종결 부품의 일부가 상기 연결 블록의 상부와 인접할 때까지 제1 방향으로 상기 종결 부품을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은 상기 부착 래치를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방법.
KR1020147008928A 2011-09-08 2012-10-25 리프팅 바 및 리프팅 바 커넥터 KR1015482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32328P 2011-09-08 2011-09-08
US201161532300P 2011-09-08 2011-09-08
PCT/GB2012/052654 WO2013034936A1 (en) 2011-09-08 2012-10-25 Lifting bar and lifting bar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6027A KR20140096027A (ko) 2014-08-04
KR101548235B1 true KR101548235B1 (ko) 2015-08-28

Family

ID=478315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928A KR101548235B1 (ko) 2011-09-08 2012-10-25 리프팅 바 및 리프팅 바 커넥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9222498B2 (ko)
EP (1) EP2753284A1 (ko)
KR (1) KR101548235B1 (ko)
AU (1) AU2012306103B2 (ko)
BR (1) BR112014005285B1 (ko)
GB (1) GB2513490B (ko)
MX (1) MX2014002788A (ko)
WO (1) WO20130349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84709B2 (en) 2013-03-14 2015-07-21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Sling bar for patient lift slings
US9359174B2 (en) * 2014-02-20 2016-06-07 The Caldwell Group, Inc. Composite lifting beam
US10369069B2 (en) * 2014-10-07 2019-08-06 Allen Medical Systems, Inc. Surgical arm positioning systems and methods
PL3220870T3 (pl) * 2014-11-17 2023-03-20 Arjo Ip Holding Ab Konfigurowalny podnośnik sufitowy dla pacjenta
US10588806B2 (en) 2014-11-17 2020-03-17 Arjohuntleigh Magog Inc. Coupled spreader bar assembly for patient lift
US10561558B2 (en) * 2015-07-31 2020-02-18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Patient lift system with component compatibility features
US10828216B2 (en) 2017-03-03 2020-11-10 Medline Industries, Inc. Inflatable patient repositioning sheet
US10772778B2 (en) 2017-04-25 2020-09-15 Medline Industries, Inc. Patient repositioning sheet and sling
US10772777B2 (en) * 2017-06-02 2020-09-15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Linkage assemblies for person lifting apparatuses
EP3501471A1 (en) * 2017-12-19 2019-06-26 Invacare International GmbH Patient lift apparatus
EP4241752A3 (en) 2018-11-29 2023-11-22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Adjustable sling bars for subject lifting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the same
US11786430B2 (en) 2019-02-11 2023-10-17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Patient lift and sling having wireless communication
US11331235B2 (en) 2019-09-13 2022-05-17 Medline Industries, Lp Patient repositioning sheet, system, and method
US20230000705A1 (en) * 2019-12-05 2023-01-05 David Owen A connection point assembly for a patient lifter spreader bar with a visual indicator indicative of a latch position thereof
US11767198B2 (en) 2020-04-08 2023-09-26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Sling bars, methods for attaching a subject sling to sling bars, and lift systems using sling bars
EP3970679A1 (en) * 2020-09-16 2022-03-23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Sling bars and lift assemblies including sling bars
USD1016302S1 (en) 2021-04-06 2024-02-27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Sling bar
USD989436S1 (en) 2021-04-06 2023-06-13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Sling bar
USD989435S1 (en) 2021-04-06 2023-06-13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Sling bar
USD989437S1 (en) 2021-04-06 2023-06-13 Liko Research & Development Ab Sling ba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13915A2 (en) 1985-08-30 1987-03-11 South Coast Hydro Baths Ltd. Lifting apparatus
WO2003078294A1 (en) 2002-03-13 2003-09-25 Huntleigh Technology Plc Hoist
US20080222859A1 (en) 2004-12-02 2008-09-18 Corven Healthcare Inc. Carabiner and Connection Tool for Use with Patient Carrying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9591A (en) 1996-03-19 1998-09-22 Lift Aid, Inc. Patient lift mechanism
CA2217421C (en) 1997-10-03 2005-06-07 Stephane Robert A person lowering and raising winch assembly
CA2303619C (en) 2000-03-31 2009-12-08 Martin Faucher Support structures
EP1521565B1 (en) 2000-09-15 2011-01-12 BHM Medical Inc. A winch assembly for the displacement of a person between a first vertical position and a second vertical position
US20030084508A1 (en) 2001-11-02 2003-05-08 Martin Faucher Variable function person transportation system(S)
CA2369668C (en) 2002-01-28 2010-05-04 Waverley Glen Systems Ltd. Personal lift device
US7284745B2 (en) 2003-02-18 2007-10-23 British Columbia Institute Of Technology Portable raising and lowering device and equipment therefor
ES2305363T3 (es) 2003-02-28 2008-11-01 Ergolet A/S Un cabestrante para levantar y bajar personas.
ATE345107T1 (de) 2003-05-15 2006-12-15 Ergolet As Teleskopschienen mit laufwagen zum halten einer patientenhebevorrichtung
DK176287B1 (da) 2003-10-31 2007-06-11 Guldmann V As Hejsearrangement
USD553825S1 (en) 2006-03-30 2007-10-23 Waverly Glen Systems Ltd. Ceiling lift
CA2715490C (en) 2008-02-18 2016-05-10 Bhm Medical Inc. Conductive connection for track-riding patient hoists
EP2296601B9 (en) * 2008-07-10 2013-04-17 Invacare Corporation Patient lift with hanger bar attachment
US20100064432A1 (en) 2008-09-11 2010-03-18 Duquette Noel Infection control lifting strap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13915A2 (en) 1985-08-30 1987-03-11 South Coast Hydro Baths Ltd. Lifting apparatus
WO2003078294A1 (en) 2002-03-13 2003-09-25 Huntleigh Technology Plc Hoist
US20080222859A1 (en) 2004-12-02 2008-09-18 Corven Healthcare Inc. Carabiner and Connection Tool for Use with Patient Carrying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4005285B1 (pt) 2020-12-29
AU2012306103B2 (en) 2017-08-03
US9222498B2 (en) 2015-12-29
US20130086793A1 (en) 2013-04-11
EP2753284A1 (en) 2014-07-16
GB2513490B (en) 2017-11-22
MX2014002788A (es) 2016-06-06
US10470958B2 (en) 2019-11-12
US20160184156A1 (en) 2016-06-30
GB2513490A (en) 2014-10-29
AU2012306103A1 (en) 2014-04-24
BR112014005285A2 (pt) 2017-03-28
KR20140096027A (ko) 2014-08-04
GB201410095D0 (en) 2014-07-23
WO2013034936A1 (en) 2013-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8235B1 (ko) 리프팅 바 및 리프팅 바 커넥터
US20110108784A1 (en) Hand-operated hoisting system
US20120235450A1 (en) Infant bouncer
US9637153B2 (en) Child-carrier mounting adapter
US8740492B2 (en) Coupling for a hoisting system
US20110100249A1 (en) Rail system for an overhead hoist
EP3183410B1 (en) Telescopic ladder assembly
JP5886966B2 (ja) リフティングバーおよびリフティングバーコネクター
WO2010098197A1 (ja) マッサージ・チェア
CN214231804U (zh) 患者支撑装置及用于患者支撑装置的用户界面壳体
KR102298247B1 (ko) 휠체어 후방에 부착고정되는 휠체어고정횡바 및 이를 이용한 이동차량 휠체어고정시스템
JP2016041209A (ja) キャスター付き鞄
KR20140043331A (ko) 환자용 호이스트/리프트를 위한 비상 정지(로크아웃) 시스템
CN102485091B (zh) 具有安全装置的自动开收伞
CN211647953U (zh) 一种电工专用梯
ES2643547T3 (es) Dispositivo para asegurar una escalera de tijera en una posición desplegada
CN212382248U (zh) 多功能梳子
CN203802514U (zh) 可调式皮肤牵开器
WO2015136702A1 (ja) ベルト長さ調整具
CN211064579U (zh) 一种多功能便携宠物笼
TWI573543B (zh) 洗澡椅座墊定位結構
JP3165654U (ja) 寝床用敷き板
JP2020189375A (ja) アシスト器具
CN111838939A (zh) 多功能梳子
WO2013106395A1 (en) Animal claw trimming chamb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