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8075B1 -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8075B1
KR101548075B1 KR1020140045290A KR20140045290A KR101548075B1 KR 101548075 B1 KR101548075 B1 KR 101548075B1 KR 1020140045290 A KR1020140045290 A KR 1020140045290A KR 20140045290 A KR20140045290 A KR 20140045290A KR 101548075 B1 KR101548075 B1 KR 101548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nput unit
signal input
finger
finger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5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규
Original Assignee
박승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승규 filed Critical 박승규
Priority to KR10201400452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8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8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8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손가락의 끝부분에 배치되어 손가락 끝부분을 지지면을 향하는 제1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신호입력부;와, 손가락 끝부분을 제2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제2신호입력부; 및, 손가락 끝부분을 제3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제3신호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양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 끝부분에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하기 간편하고 데이터 입력에 대한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전환스위치를 이용해 문자 이외의 숫자키나 기능키를 간편하게 입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바닥에 배치되는 움직임 감지센서를 이용해 마우스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Wearable data input device}
본 발명은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 끝부분에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정보 입력장치들 중 현재 사람들에게 가장 익숙한 입력장치는 쿼티(QWERTY) 키보드이다. 그러나, 근래에는 쿼티 키보드 대신에, 사용자의 편리성과 휴대성을 고려하여 가상적으로 소프트웨어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키보드를 사용한다. 여기서, 가상 키보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8-020202호 (1998.07.15)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가상 키보드를 구비한 컴퓨터 시스템은 모니터상에 팝업 디스플레이되는 가상 키보드상의 키를 선택하기 위해서 마우스(mouse)나 터치 패드(touch pad)를 사용한다. 따라서, 장시간에 걸쳐 키들을 선택하여야 하는 경우, 사용자가 키들을 입력하는 과정이 매우 번거롭고 피곤할 뿐만 아니라 키를 선택하는 시간도 길어지는 문제점들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다른 정보 입력 장치는, 다수개의 2축 가속도 센서들을 부착한 장갑을 이용하여 평면적으로 외부의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한다. 즉, 손가락 끝에 2축의 가속도 센서를 부착하고, 평면상에서 손가락을 움직이면, 손가락의 운동에 의한 가속도 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각각의 손가락에서 검출된 2축의 가속도 신호를 두 번 적분하면 평면상에서 그 손가락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 파악된 손가락의 위치 정보를 가상 키보드 상의 키 위치와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를 선택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정보 입력 장치는 가속도 센서가 갖는 오차 및 중력 가속도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가속도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가속도 신호에 에러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에러를 갖는 가속도 신호를 두 번 적분하여 얻어지는 손가락의 위치 정보는 정확하지 않으며 발산할 수도 있어, 선택된 입력 정보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더욱이, 이러한 종래의 정보 입력 장치는 평면적으로만 정보를 입력할 수 있으며 공간적으로는 정보를 입력할 수 없는 한계를 갖는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장갑형 입력장치는 손가락의 위치 정보를 가상 키보드 상의 키 위치와 비교하여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정보를 선택하는 것이므로, 사용자가 키입력 여부를 감촉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오타 발생률이 높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며 공간적으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종래의 또 다른 정보 입력 장치가 미국등록특허 제4,414,537호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정보 입력 장치는 공간적으로 선택된 정보를 인식하기 위해 손가락들 간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 손 관절의 변화를 감지하는 센서 및 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를 부착한 장갑을 이용한다. 이때, 장갑에 부착된 센서들에서 감지된 손가락들 간의 접촉, 손 관절의 변화 및 손의 움직임으로부터 사용자가 공간적으로 형성한 손의 모양을 검출하고, 검출된 손의 전체적인 모양이 미리 정의된 모양들 중 어느 모양과 일치하는가를 검사하며, 검사된 결과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정보를 인식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정보 입력 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수화할 때와 마찬가지로 미리 정의된 형태의 손 모양만으로 정보를 선택할 것을 요구한다. 그러므로, 입력 정보 선택법을 익히기 위해 사용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 끝부분에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하기 간편하고 데이터 입력에 대한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각 문자열에 따른 신호발생부의 작용압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입력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키입력부의 신호발생부를 가압하여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에서 신호발생부의 가압 감촉이 손끝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키입력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손가락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마련하여 손가락을 벌린 상태에서는 다른 열에 위치한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손바닥에 마우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움직임감지센서를 마련함으로써 키보드의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와 함께 마우스 포인터의 좌표를 이동시키기 위한 움직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손가락의 끝부분에 배치되어 손가락 끝부분을 지지면을 향하는 제1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신호입력부;와, 손가락 끝부분을 제2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제2신호입력부; 및, 손가락 끝부분을 제3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제3신호입력부;를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상기 제2신호입력부와 제3신호입력부는 제1신호입력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신호입력부는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과 제3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2방향으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제2신호입력부에 압력을 전달하고, 제3방향으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제3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제3신호입력부에 압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신호입력부는 손가락 끝부분을 세워 지지면을 향하는 제1방향으로 가압하였을 때 입력신호를 발생하도록 손가락 끝부분에 배치되고, 제2신호입력부는 손가락 끝부분을 눕혀 지지면을 향하는 제2방향으로 가압하였을 때 입력신호를 발생하도록 제1신호입력부로부터 손가락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제3신호입력부는 제2신호입력부와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제1신호입력부와 제2신호입력부는 제2방향과 교차하는 제3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3방향으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제3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제3신호입력부에 압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신호입력부와 제2신호입력부는 제3방향으로 동시에 슬라이딩하도록 연결부재로 연결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신호입력부와 제2신호입력부 및 제3신호입력부는 양쪽 손의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3행 버튼을 갖는 키보드의 각 행에 대응하는 버튼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손가락 중 검지와 중지, 약지와 소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이에 배치되어, 배치된 손가락 사이의 이격여부 또는 이격간격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면에 접촉하는 손바닥 부위에 배치되어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는 움직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손에 착용한 상태에서 손가락 끝부분에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하기 간편하고 데이터 입력에 대한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각 문자열에 따른 신호발생부의 작용압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데이터 입력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키입력부의 신호발생부를 가압하여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에서 신호발생부의 가압 감촉이 손끝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키입력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손가락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마련하여 손가락을 벌린 상태에서는 다른 열에 위치한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할 수 있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손바닥에 마우스의 기능을 수행하는 움직임감지센서를 마련함으로써 키보드의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와 함께 마우스 포인터의 좌표를 이동시키기 위한 움직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에 따른 키입력부의 발췌사시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에 따른 키입력부의 키입력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키보드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의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의 키입력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에 따른 키입력부의 발췌사시도이고,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에 따른 키입력부의 키입력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키보드의 배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 1과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사용자의 손에 장갑 또는 골무의 형태로 착용가능한 착용부(110)와, 상기 착용부(110)의 검지, 중지, 약지, 소지에 대응하는 손가락의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는 키입력부(120)와, 상기 착용부(110)의 검지와 중지 사이에 배치되어 검지와 중지의 접촉 또는 이격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130) 및, 지지면에 접촉하는 손바닥 부위에 배치되어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는 움직임감지센서(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부(120)는 손가락 끝부분을 제1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신호입력부(121)와, 손가락 끝부분을 제2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제2신호입력부(122)와, 손가락 끝부분을 제3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제3신호입력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키입력부(120)는 상기 착용부(110)의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3행 버튼을 갖는 키보드의 각 행에 대응하는 버튼의 입력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상기 제2신호입력부(122)와 제3신호입력부(123)는 제1신호입력부(12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신호입력부(121)는 제1방향과 교차하는 제2방향과 제3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키입력부(120)의 제1신호입력부(121)와 제2신호입력부(122) 및 제3신호입력부(123)를 가압하여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에서 신호발생부의 가압 감촉이 손끝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키입력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신호입력부(121)는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해 최초의 설정위치가 유지되도록 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제2방향 또는 제3방향으로 슬라이딩하였다가 외력이 해제되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신호입력부(121)는 손가락 끝부분을 지지면을 향해 아래로 누르는 방향(제1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입력신호를 발생하고, 손가락 끝부분을 지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앞으로 밀어내는 방향(제2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제2신호입력부(122)와, 손가락 끝부분을 지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손목을 향해 잡아당기는 방향(제3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제3신호입력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도 3과 같이 손가락을 지지면을 향하는 제1방향(도 3의 화살표 방향)으로 누르면 제1신호입력부(121)에 제1방향으로 압력이 인가되면서 제1신호입력부(121)에서 신호를 발생하고, 도 4와 같이 손가락을 지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2방향(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어내면 제1신호입력부(121)가 제2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제2신호입력부(122)에 압력을 전달하여 제2신호입력부(122)에서 신호를 발생하며, 도 5와 같이 손가락을 지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3방향(도 5의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제1신호입력부(121)가 제3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제3신호입력부(123)에 압력을 전달하여 제3신호입력부(123)에서 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도 1 및 도 6과 같이 왼손의 각 손가락에 설치된 키입력부(120)의 제1신호입력부(121)는 키보드의 "A","S","D","F","G" 버튼이 배열된 제2행(R2)에 대응하고, 제2신호입력부(122)는 "Q","W","E","R","T" 버튼이 배열된 제1행(R1)에 대응하고, 제3신호입력부(123)는 "Z","X","C","V","B" 버튼이 배열된 제3행(R3)에 대응하는 버튼의 입력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소지의 키입력부(120)는 "Q","A","Z" 버튼이 배열된 제1열(C1)에 대응하고, 약지의 키입력부(120)는 "W","S","X" 버튼이 배열된 제2열(C2)에 대응하고, 중지의 키입력부(120)는 "E","D","C" 버튼이 배열된 제3열(C3)에 대응하고, 검지의 키입력부(120)는 "R","F","V" 버튼이 배열된 제4열(C4)에 대응하는 버튼의 입력신호를 발생한다.
특히, 검지와 중지 사이에 배치되는 센서부(130)는, 검지와 중지의 이격 여부 또는 이격 간격을 감지하는 것으로, 중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검지가 중지에 인접한 상태에서는 검지의 키입력부(120)가 키보드의 제4열(C4)에 위치한 "R","F","V"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고, 검지가 중지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검지의 키입력부(120)가 키보드의 제5열(C5)에 위치한 "T","G","B"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약지와 소지 사이에 배치되는 센서부(130')는, 약지와 소지의 이격 여부 또는 이격 간격을 감지하는 것으로, 왼손의 경우에는 약지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소지가 약지에 인접한 상태에서는 소지의 키입력부(120)가 키보드의 제1열에 위치한 "Q","A","Z"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고, 소지가 약지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는 소지의 키입력부(120)가 키보드의 왼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Tab", "Shift", "Ctrl"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손바닥 중 지지면에 접촉하는 부위에 배치되는 움직임감지센서(140)는 통상의 마우스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손바닥과 지지면의 상대적인 위치이동에 따라 마우스 포인터의 좌표를 이동시키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으며, 움직임감지센서로는 광학센서나 터치패드와 같이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통상의 감지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엄지에는 하나의 신호발생부를 구비한 키입력부(120')를 배치하여 키보드의 스페이스바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엄지에는 엄지의 키입력부(120)의 맞은편에 온(on)/오프(off) 신호를 발생하는 전환 스위치(150)를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환 스위치(150)는 엄지를 검지 방향으로 움직여 검지와 접촉에 의한 압력에 의해 온과 오프가 교대로 전환된다.
즉, 엄지의 전환스위치(150)와 검지의 접촉에 의한 압력에 의해 전환 스위치(150)가 온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각 손가락의 키입력부(120)에 기본으로 설정된 각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엄지의 접촉에 의해 전환 스위치(150)가 오프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각 손가락의 키입력부(120)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신호가 화살표 버튼이나 숫자버튼 또는 "Insert", "Delete", "Page Up", "Page Down"과 같은 별도의 기능키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로 대체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전환 스위치(150)의 구성에 따르면, 전환 스위치(150)의 설정에 따라 각 손가락에 설치된 키입력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기본문자 버튼 이외에, 다른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로 대체할 수 있다. 따라서, 손가락에 각각 설치되는 키입력부(120)를 이용해 일반적인 쿼티 키보드에 배열되는 모든 버튼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각 손가락에 키입력부(120)를 배치한 착용부(110)를 착용하면, 종래의 키보드와 같이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아 공간이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데이터 입력을 위한 공간의 제약을 최소화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제1신호입력부(121)와 제2신호입력부(122) 및 제3신호입력부(123)는 사용자의 손바닥을 지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1행과 제2행 및 제3행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입력신호를 발생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존의 쿼티 배열구조를 갖는 키보드에 대응하는 키입력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추가적인 학습이 필요없이 누구나 곧바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양쪽 손에 각각 배치되는 키입력부(120)를 무선 또는 유선통신으로 동기화시고, 양쪽 손의 키입력부(120)의 키입력에 대한 입력신호를 조합하여 상술한 3행10열의 문자 이외에 다른 열 또는 다른 행에 위치한 숫자키나 기능키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는 양쪽 손에 각각 착용하여 양손의 각 손가락에 대응하는 버튼의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왼손에 설치된 입력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한편, 오른손에 설치되는 입력장치는 왼손에 설치된 입력장치와 동일한 원리로 오른손의 각 손가락에 대응하는 버튼의 입력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의 사시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의 키입력 작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키입력부(120')의 제1신호입력부(121)는 손가락 끝부분을 세워 지지면을 향하는 제1방향으로 가압하였을 때 입력신호를 발생하도록 손가락 끝부분에 배치되고, 제2신호입력부(122)는 손가락 끝부분을 눕혀 지지면을 향하는 제2방향으로 가압하였을 때 입력신호를 발생하도록 제1신호입력부(121)로부터 손가락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제3신호입력부(123)는 제2신호입력부(122)와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제1신호입력부(121)와 제2신호입력부(122)는 제2방향과 교차하는 제3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3방향으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제3방향(손가락을 손목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제3신호입력부(123)에 압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신호입력부(121)와 제2신호입력부(122)는 제3방향으로 동시에 슬라이딩하도록 연결부재(124)로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부재(124)는 제1신호입력부(121)와 제2신호입력부(122) 중 어느 하나의 신호발생부에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의 압력이 가해졌을 때 다른 하나의 신호발생부에 압력을 전달하지 않고, 제3방향으로의 압력은 전달할 수 있는 구조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에 따른 키입력부(120')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바닥을 바닥면에 지지한 상태에서 도 8과 같이 손가락을 키보드의 기본열인 제2행(도 6의 R2)에 위치시킨 상태, 즉 손가락을 세운 상태를 기본위치로 하면, 손가락과 지지면 사이에 제1신호입력부(121)가 위치하게 된다. 여기에서 손가락을 지지면에 접촉하여 지지면을 향하는 제1방향(도 8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면, 제1신호입력부(121)에 압력이 인가되면서 제2행의 버튼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한다.
이어서, 제1행에 위치한 버튼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9와 같이 손가락의 각도를 눕혀서 손가락의 끝을 키보드의 제1행(도 6의 R1)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면 지지면과 손가락의 각도가 도 8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져 손가락을 눕힌 상태가 되며, 이때에는 제2신호입력부(122)가 손가락과 지지면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가락을 지지면을 향하는 제2방향(도 9의 화살표 방향)으로 가압하면, 제2신호입력부(122)에 압력이 인가되면서 제1행의 버튼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제3행에 위치한 버튼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8과 같이 손가락을 기본위치로 세운 상태에서, 키입력부(120')를 지지면에 접촉하고, 이어서 도 10과 같이 손가락을 제3방향(도 10의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연결부재(124)로 연결된 제1신호입력부(121)와 제2신호입력부(122)가 함께 제3신호입력부(123)를 향해 슬라이딩하면서 제3신호입력부(123)에 압력을 전달하여 제3신호입력부(123)에서 제3행(도 6의 R3)의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신호입력부(121)와 제2신호입력부(122)로 제1행과 제2행의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고, 제3신호입력부(123)는 연결부재(124)로 연결된 제1신호입력부(121)와 제2신호입력부(122) 중 어느 하나를 제3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는 작용에 의해 제3행의 버튼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발생하므로 의도하지 않은 버튼의 입력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착용부, 120,120':키입력부, 121:제1신호입력부,
122:제2신호입력부, 123:제3신호입력부, 124:연결부재,
130,130':센서부, 140:움직임감지센서, 150:전환 스위치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손가락의 끝부분에 배치되어 손가락 끝부분을 지지면을 향하는 제1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신호입력부;
    손가락 끝부분을 제2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제2신호입력부; 및,
    손가락 끝부분을 제3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제3신호입력부;를 포함하며,
    제1신호입력부는 손가락 끝부분을 세워 지지면을 향하는 제1방향으로 가압하였을 때 입력신호를 발생하도록 손가락 끝부분에 배치되고,
    제2신호입력부는 손가락 끝부분을 눕혀 지지면을 향하는 제2방향으로 가압하였을 때 입력신호를 발생하도록 제1신호입력부로부터 손가락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제3신호입력부는 제2신호입력부와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제1신호입력부와 제2신호입력부는 제2방향과 교차하는 제3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제3방향으로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제3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제3신호입력부에 압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신호입력부와 제2신호입력부는 제3방향으로 동시에 슬라이딩하도록 연결부재로 연결 구성되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
  5.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손가락의 끝부분에 배치되어 손가락 끝부분을 지지면을 향하는 제1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신호입력부;
    손가락 끝부분을 제2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제2신호입력부; 및,
    손가락 끝부분을 제3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제3신호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신호입력부와 제2신호입력부 및 제3신호입력부는 양쪽 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검지, 중지, 약지, 소지의 끝부분에 각각 설치되어, 3행 버튼을 갖는 키보드의 각 행에 대응하는 버튼의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손가락 중 검지와 중지, 약지와 소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이에 배치되어, 배치된 손가락의 이격여부 또는 이격간격을 측정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
  7. 삭제
  8.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에 있어서,
    손가락의 끝부분에 배치되어 손가락 끝부분을 지지면을 향하는 제1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입력신호를 발생하는 제1신호입력부;
    손가락 끝부분을 제2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제2신호입력부; 및,
    손가락 끝부분을 제3방향으로 가압하여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신호를 발생하는 제3신호입력부;를 포함하며,
    엄지와 검지의 서로 마주하는 부분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엄지와 검지의 접촉에 따라 온/오프 상태가 교대로 전환되면서 각 손가락의 키입력부의 입력신호를 기 설정된 버튼에 해당하는 입력신호로 대체하는 전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
KR1020140045290A 2014-04-16 2014-04-16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 KR101548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290A KR101548075B1 (ko) 2014-04-16 2014-04-16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5290A KR101548075B1 (ko) 2014-04-16 2014-04-16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8075B1 true KR101548075B1 (ko) 2015-08-27

Family

ID=54062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5290A KR101548075B1 (ko) 2014-04-16 2014-04-16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80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988Y1 (ko) 2004-09-23 2004-12-23 이재동 일체형 장갑마우스
JP2005293512A (ja) 2004-04-05 2005-10-20 Itsuo Kumazawa 指装着型データ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3512A (ja) 2004-04-05 2005-10-20 Itsuo Kumazawa 指装着型データ入力装置
KR200370988Y1 (ko) 2004-09-23 2004-12-23 이재동 일체형 장갑마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hitmire et al. Digitouch: Reconfigurable thumb-to-finger input and text entry on head-mounted displays
KR20220018094A (ko) 센서들 및 햅틱들을 갖는 핑거 장착형 디바이스
US20100103104A1 (en) Apparatus for user interface based on wearable computing environment and method thereof
CN107209560A (zh) 检测手指移动
KR20120054809A (ko) 자세인식을 이용하는 제어신호 입력장치 및 제어신호 입력방법
US20050219355A1 (en) Information input device
KR20110040165A (ko) 비접촉 입력 인터페이싱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비접촉 입력 인터페이싱 방법
JP2015531527A (ja) 入力装置
JP2010108500A (ja) 着用型コンピューティング環境基盤のユーザ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499391B1 (ko) 손가락의 움직임에 의한 입력장치 및 그 방법
US20050264522A1 (en) Data input device
US20120176315A1 (en) Joystick type computer input device with mouse
CN112041795A (zh) 穿戴式数据输入设备及操作方法
KR100802456B1 (ko) 고정형 마우스
KR101211808B1 (ko) 동작인식장치 및 동작인식방법
KR101548075B1 (ko) 착용가능한 데이터 입력장치
SE521283C2 (sv) Anordning för inmatning av styrsignaler till en elektronisk apparat
KR101521288B1 (ko) 장갑형 무선 입력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1397457B1 (ko) 게임 조정장치
CN204028814U (zh) 单手套手式鼠标键盘
WO2020033468A1 (en) Feedback input apparatus and method for use thereof
US20200192477A1 (en) Modular hand-mounted input device
KR102322968B1 (ko) 사용자의 손동작에 따른 명령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명령 입력 방법
KR101588021B1 (ko) 헤드 마우스
KR101748570B1 (ko) 웨어러블 데이터 입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