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615B1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615B1
KR101547615B1 KR1020080121390A KR20080121390A KR101547615B1 KR 101547615 B1 KR101547615 B1 KR 101547615B1 KR 1020080121390 A KR1020080121390 A KR 1020080121390A KR 20080121390 A KR20080121390 A KR 20080121390A KR 101547615 B1 KR101547615 B1 KR 101547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drum
radiation
laundr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1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2664A (ko
Inventor
최철진
송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1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615B1/ko
Publication of KR20100062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5/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having further drying means, e.g. using hot ai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2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4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domestic laundry 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58/36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D06F58/38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for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of drying, e.g. to achieve the target humid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2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건조물이 수납되는 건조실; 상기 건조실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대류 히터; 상기 대류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실 내로 토출하는 급기 덕트; 및 상기 건조실 내로 복사광을 방사하는 복사 히터를 포함하여, 건조 효율 및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킨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Laundry treatment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대류 히터 및 복사 히터를 이용하여 건조실 내의 공기를 가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 처리기기란, 의류 등의 세탁물을 세척, 헹굼, 탈수 또는 건조시키는 기기로서, 세탁기, 건조기, 의류 리프레셔 및 건조 겸용 세탁기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특히, 전술한 건조기 또는 건조 겸용 세탁기 등의 건조 기능을 갖춘 세탁물 처리기기는, 건조실 내로 열풍을 가하는 히터를 포함한다. 즉, 상기 히터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고 송풍팬 등의 송풍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 건조한 상태가 된 공기를 상기 건조실 내로 송풍시켜 의류 등의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한다.
이러한 건조 방법은 일차적으로 공기를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공기를 이용하여 세탁물에 함유된 수분을 제거하는 간접 건조 방식이기 때문에 건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상기 히터에 의해 발생한 열이 세탁물에 직접 가해 지는 것이 아니라 상당 부분이 공기를 가열하기 위하여 쓰이기 때문이다.
또한, 세탁물을 완전 건조 시키기 위해서 상기 히터를 장시간 구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원 발명은, 대류 히터 및 복사 히터를 함께 구비하여 건조 효율 및 에너지 효율을 높인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원 발명은, 세탁물이 수납되는 건조실; 상기 건조실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대류 히터; 상기 대류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건조실 내로 토출하는 급기 덕트; 및 상기 건조실 내로 복사광을 방사하는 복사 히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근적외선을 복사하는 복사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대류 히터 및 복사 히터를 함께 구비하여 세탁물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복사 히터에 의해 건조실 내의 세탁물에 직접 열을 가함으로써 건조 효율 및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근적외선을 복사하는 복사 히터를 포함할 수 있어, 세탁물을 살균 처리 할 수 있어 건강 기능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원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는 의류 등의 세탁물을 건조시킬수 있는 건조 기능을 갖춘 기기를 모두 포함한다. 즉, 상기 세탁물 처리기기는, 건조기, 건조 겸용 세탁기 및 의류 리프레셔를 모두 포함한다. 이하에서, 세탁물 처리기기(1)는 의류 건조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리기는 의류 건조기에 한정되지 않고, 전술한 건조 겸용 세탁기 및 의류 리프레셔 등의 건조 기능을 갖춘 다양한 기기를 포함할 수 있음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세탁물 처리기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10)과, 건조실을 형성하는 드럼(120)과, 드럼(120)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대류 히터(130)와, 드럼(120)과 연통되어 대류 히터(130)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드럼(130) 내로 토출하는 급기 덕트(140)와, 드럼(120) 내로 복사광을 가하는 복사 히터(150)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실은 의류 등의 피 건조물이 투입되어 건조되는 공간을 의미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드럼(120)으로 구현되나, 상기 건조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데, 본 발명의 세탁물 처리기기(1)는 캐비닛 건조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면, 이때, 상기 건조실은 고정 배치된 캐비닛 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캐비닛(110)은, 캐비닛 본체(111)와 캐비닛 본체(111)의 저면에 배치되는 프론트 커버(112)와, 캐비닛 본체(111)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 커버(1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커버(112)에는 드럼(12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13)가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프론트 커버(112)의 상측에는 컨트롤 패널(115)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드럼(120)의 내주에는 수납된 의류 등의 피건조물(5)을 일정 높이로 퍼올린 후 낙하시켜 상기 피건조물(5)을 풀어주는 리프터(121)를 구비할 수 있다. 드럼(120)은 캐비닛(110) 내측에 배치되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며 전방부와 후방부가 개구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수단은 후술하는 송풍팬(22)을 회전시키는 모터(24)로 구현될 수 있다. 즉, 모터(24)는 송풍팬(22)을 구동시킴과 아울러 전동벨트(26)에 의해 드럼(120)를 함께 회전시킴으로써, 리 프터(121)에 의해 내부의 피건조물이 텀블링(tumbling)되면서 건조된다.
한편, 드럼(120)과 캐비닛 본체(111) 사이에는, 드럼(120)의 후방부를 밀폐함과 아울러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리어 서포터(30)와, 드럼(120)의 전방부를 밀폐함과 아울러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프론트 서포터(10)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어 서포터(30)에는 드럼(120)의 형상에 대응하여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드럼(120)이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지지 및 안내하는 안내부(31)가 형성된다.
또한, 프론트 서포터(10)의 배면 하부에는 상기 드럼(120)의 전방부가 올림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프론트 가이드 롤러(56)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리어 서포터(30)의 전면 하부에는 드럼(1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리어 가이드 롤러(64)가 구비될 수 있다.
드럼(120), 프론트 서포터(10) 및 리어 서포터(30)는 내열성이 우순한 알루미늄 도금강판(Alcosta)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표면에는 외관, 내식성, 내마모성 등이 향상되도록 불소수지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드럼(120), 프론트 서포터(10) 및 리어 서포터(30)가 피건조물(5)과 접촉되면서 발생하는 마모나 스크래칭이 방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드럼(120), 프론트 서포터(10) 및 리어 서포터(30)는 상기 불소수지 코팅되층에 의해 트럼(120) 내부의 온도가 상승하더라도 열기에 의해 박리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피건조물(5)의 안료 또는 염료가 흡수되어 변색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컨트롤 패널(115)은, 사용자로 부터 작동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 버튼(117)과, 세탁물 처리기기(1)의 작동 전반에 대한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조작 버튼(117)은 로터리 놉(rotary knob)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118)는 LCD, 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대류 히터(130)는 드럼(1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대류 히터(130)는 코일 히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캐비닛(110) 내측의 공기와 접촉하여 상기 공기를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급기덕트(140)는, 리어 서포터(30)의 토출구(32)와 연통되며, 복수의 통홀이 천공된 토출부(141) 및 대류 히터(130)와 연결되어 가열된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142)를 포함한다. 급기 덕트(140)는 전술한 드럼(120)과 프론트 서포터(10) 및 리어 서포터(30)와 마찬가지로 내식성과 내열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도금강판(Alcosta)으로 제작되거나, 발청 및 열에 의한 탄화 흔적이 남지 않도록 법랑(Porcelain) 재질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법랑 코팅된 급기 덕트(140)는 건조시 발생한 습기에 의해 녹이 생기는 현상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가열된 공기로 인하여 검게 그을리는 탄화 흔적의 발생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물론, 급기 덕트(140)는 전체 표면이 법랑 재질로 코팅될 수도 있으나, 제조시 시간과 비용의 절감을 위해 토출부(141)만 법랑 코팅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세탁물 처리기기(1)는, 드럼(120)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프론트 서포터(10)에 연통되게 설치된 린트 덕트(16)와, 린트 덕트(16)로 유입되는 공기가 정화되도록 린트 덕트(16)에 설치된 필터(18)와, 린트 덕트(16) 내부의 공기를 캐비닛(110)의 외부로 안내하도록 캐비닛(110)의 후면에 관통되게 설치된 배기 덕트(20)와, 배기 덕트(20)와 린트 덕트(16) 사이에 연결된 송풍팬(22)과, 송풍팬(22)의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모터(2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송풍팬(22)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전동벨트(26)와 연동된 드럼(120)을 회전시킨다.
한편, 복사 히터(150)는 근적외선을 복사하는 근적외선 히터로 구현될 수 있다. 복사 히터(150)는 근적외선 발생을 위한 물질이 코팅되어 있는 석영관의 내측에 열선을 구비하여, 상기 열선에 의해 발생한 열에 의해 근적외선이 방사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때, 근적외선을 발생하는 물질은 세라믹 소재로 구현될 수 있고, 상기 세라믹 소재는 알루미나(Al2O3), 실리카(SiO2), 탄소(C), 산화마그네슘(MgO) 등의 무기질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근적외선이란 발열체의 온도가 1800~2200℃인 상태에서 발생되는 태양의 복사열에 가장 가까운 적외선으로, 파장이 0.8~1.4㎛이며 공기를 가열하지 않고 물체에만 열 파장으로 전달되는 단파장의 복사광선을 의미한다. 특히, 근적외선은 파장이 작아 피건조물의 내부 깊이까지 순간적으로 열전달되며, 피거조물의 내부로부터 건조가 이루어짐으로 건조효과가 좋은 장점이 있다. 특히, 근적외선은 강한 열작용과 소독, 멸균 효과가 있다.
한편, 복사 히터(150)는 드럼(120)의 하부를 향해 복사광을 방사하도록 배치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 복사 히터(150)는 피건조물(5)의 상부에 배치되어 하방으로 복사광을 방사함으로써 피건조물(5)을 효과적으로 건조 시킬 수 있다. 즉, 상측에서 하방향으로 복사광을 방사함으로써 피건조물(5)에 닿은 복사광의 면적을 넓힐 수 있고, 피건조물(5)에 균일한 세기로 복사광이 닿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는 프론트 서포터(10)의 상부에 복사 히터(150)가 배치되어 하방으로 복사광을 방사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사 히터(150)는 피건조물(5)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다양한 방법으로 배치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세탁물 처리기기(1)는 드럼(120) 내의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160) 및 온도 센서(160)의 측정값에 근거하여 대류 히터(130) 및 복사 히터(15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160)의 측정값이 소정치 이하이면, 제어부(170)는 대류 히터(130) 및 복사 히터(150)가 함께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소정치는 드럼(120) 내 공기 온도의 높고 낮음을 판단하는 기준을 의미한다. 제어부(170)는, 온도 센서(160)의 측정값이 상기 소정치 보다 낮은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드럼(120) 내 공기의 온도가 낮다고 판단하여 대류 히터(130) 및 복사 히터(150)를 동시에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대류 히터(130) 및 복사 히터(150)가 함께 구동되면, 드럼(120) 내의 공기의 온도는 급속으로 가열될 것이다. 특히, 대류 히터(130)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송풍팬(22)에 의해 송풍되어 다시 대류 히터(130)에 의해 가열되 는 과정이 반복되기 때문에 가열되기 고온으로 가열되어 피건조물(5)을 효과적으로 건조시키며, 이와 동시에 복사 히터(130)에 의해 방사된 복사광은 직접 피건조물(5)을 건조 시키기 때문에 건조효율이 향상된다.
한편, 온도 센서(160)의 측정값이 상기 소정치을 초과하면, 제어부(170)는 대류 히터(130) 및 복사 히터(150) 중 어느 하나만이 구동되도록 제어한다. 즉, 드럼(130) 내의 공기가 충분히 가열되었기 때문에, 하나의 히터 만을 구동하여 피건조물(5)을 건조 시킴으로써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줄여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또한, 제어부(170)는 온도 센서(160)의 측정치에 근거하여 복사 히터(150)가 방사하는 복사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제어부(160)는 복사 히터(150) 내의 열선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하여 방사되는 복사광을 조절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1)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복사 히터(150)가 급기 덕트(140) 내부에 배치된다.
급기 덕트(140)는 내부에 배치된 복사 히터(150)로부터 방사된 복사광이 외부로 투과될 수 있도록 투과창(143)을 포함한다. 투과창(143)은 통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 경우 급기 덕트(140) 내부를 유동하는 가열 공기가 누설될 수 있으므로, 투과창(143)은 투명재질의 차폐물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리어 서포터(30)에는, 급기 덕트(140)의 투과창(143)을 투과한 복사광이 드럼(120) 내에 도달할 수 있도록, 투과창(143)과 대응하는 위치가 개구되어 형성된 개구부(33)를 포함할 수 있다.
피건조물(5)은 자중에 의해 드럼(120)의 저면에 모일 것이고, 복사 히터(150)의 복사광이 피건조물(5)과 최대한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면서 피건조물(5)을 향하기 위해서는, 투과창(143) 및 개구부(33)는 드럼(120)의 상부 및 하부 사이 대략 중앙에 위치하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급기 덕트(140)는 내측에 반사체(미도시)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사 히터(150)에 의해 방사된 복사광은 일부는 투과창(143)을 투과하여 드럼(120) 내부에 도달하고, 다른 일부는 급기 덕트(140)의 상부에 도달하게 된다. 이때, 급기 덕트(140) 내측 상부에 상기 반사체를 구비함으로써, 급기 덕트(140)의 상부에 도달하는 상기 복사광이 상기 반사체에 의해 반사되어 토출부(141)를 통해 드럼(120)내로 방사되어 피건조물(5)의 건조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대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 세탁물 처리기기 10: 프론트 서포터
30: 리어 서포터 110: 캐비닛
120: 드럼 130: 건조 히터
140: 급기 덕트 141: 토출부
142: 흡입부 150: 복사 히터
160: 온도 센서 170: 제어부

Claims (13)

  1.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이 투입되는 개구부가 전방부에 형성된 드럼;
    상기 드럼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을 지지하는 프론트 서포터;
    상기 드럼 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대류 히터;
    상기 대류 히터에 의해 가열된 공기를 상기 드럼 내로 토출하는 급기 덕트; 및
    상기 프론트 서포터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드럼 내로 복사광을 방사하는 복사 히터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히터는 근적외선을 복사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히터는,
    세라믹 소재로 코팅된 석영관; 및
    상기 석영관의 내측에 구비된 열선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 내의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 및
    상기 온도 센서의 측정치에 근거하여, 상기 대류 히터 및 복사 히터 중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한 측정치가 소정치 이하이면, 상기 대류 히터 및 상기 복사 히터가 동시에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온도 센서에 의한 측정치가 상기 소정치를 초과하면 상기 대류 히터 및 상기 복사 히터 중 어느 하나만 구동되도록 제어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의 측정치에 근거하여 상기 복사 히터가 방사하는 복사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히터는 상기 드럼의 내측 하부를 향해 복사광을 방사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히터는 상기 급기 덕트 내에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덕트는,
    상기 복사 히터에 의해 방사된 복사광이 투과되는 투과창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창은 투명재질로 이루어진 세탁물 처리기기.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덕트는,
    상기 복사 히터에 의해 방사된 복사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체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류 히터는 코일 히터인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080121390A 2008-12-02 2008-12-02 세탁물 처리기기 KR101547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390A KR101547615B1 (ko) 2008-12-02 2008-12-02 세탁물 처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1390A KR101547615B1 (ko) 2008-12-02 2008-12-02 세탁물 처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664A KR20100062664A (ko) 2010-06-10
KR101547615B1 true KR101547615B1 (ko) 2015-08-26

Family

ID=42362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1390A KR101547615B1 (ko) 2008-12-02 2008-12-02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6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369B1 (ko) * 2002-07-11 2004-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프론트 서포터 마운팅 구조
JP2005304992A (ja) * 2004-04-26 2005-11-04 Sharp Corp 衣類乾燥機および洗濯乾燥機
KR100652774B1 (ko) * 2005-12-17 2006-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적외선 히터를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369B1 (ko) * 2002-07-11 2004-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의 프론트 서포터 마운팅 구조
JP2005304992A (ja) * 2004-04-26 2005-11-04 Sharp Corp 衣類乾燥機および洗濯乾燥機
KR100652774B1 (ko) * 2005-12-17 2006-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적외선 히터를 구비하는 의류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664A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94460B (zh) 洗涤干燥机以及衣物干燥机
EP1743063B1 (en)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a radiation drying unit
JP3817186B2 (ja) 蒸気発生機能付き高周波加熱装置の制御方法
KR20120070763A (ko) 건조기 및 건조기의 제어 방법
JP2001035649A (ja) 電子レンジ
KR20150123637A (ko) 콘덴싱 방식의 세탁건조기
JP3260977B2 (ja) 加熱調理器
KR101547615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20110041352A1 (en) Clothes dryer
US20100133259A1 (en) Heater usable with cooke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ooker
MY139969A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US20200325621A1 (en) Dryer
KR20050076083A (ko) 의류건조기
KR101165633B1 (ko) 의류 건조기의 자외선 램프 제어방법
JP2005164171A (ja) 乾燥用輻射熱源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乾燥装置
KR100589773B1 (ko) 복사 건조 장치가 구비된 세탁기
KR20110097737A (ko) 회전 건조기
KR100705067B1 (ko) 전기오븐의 라운드타입 하부히터 장착구조
JP2005152193A (ja) 洗濯乾燥機
KR101474942B1 (ko) 가정용 세탁물 건조기
JP2005304992A (ja) 衣類乾燥機および洗濯乾燥機
JP3106439B2 (ja) 炊飯器
KR20060014485A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건조장치
JPH1157292A (ja) 赤外放射形衣類乾燥機
JPH05103719A (ja) 炊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