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436B1 - 굴착 기구의 립에 대한 내구성 부재의 부착부 - Google Patents

굴착 기구의 립에 대한 내구성 부재의 부착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436B1
KR101547436B1 KR1020147022729A KR20147022729A KR101547436B1 KR 101547436 B1 KR101547436 B1 KR 101547436B1 KR 1020147022729 A KR1020147022729 A KR 1020147022729A KR 20147022729 A KR20147022729 A KR 20147022729A KR 101547436 B1 KR101547436 B1 KR 101547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p
locking device
retainer
fastene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2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6499A (ko
Inventor
존 에이 루방
Original Assignee
블랙 캣 블레이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랙 캣 블레이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블랙 캣 블레이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16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6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E02F9/2883Wear elements for buckets or implements in gener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굴착 기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부착 시스템은, 굴착 기구의 립(lip)에 내구성 부재(wear member)를 고착시키는 리테이너 - 립에 고정식으로 부착됨 - 과, 리테이너 내에 유지되는 압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압박 디바이스는 내구성 부재를 립을 향해 압박한다. 굴착 기구의 립에 내구성 부재를 부착하는 부착 방법은 립에 고정식으로 고착되는 리테이너에 압박 디바이스를 설치하는 것과, 그 후에 립 상에 내구성 부재를 위치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부착 시스템은 리테이너와 로킹 디바이스 사이에서 압축되는 압박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내구성 부재를 부착하는 다른 부착 방법은 립 상에 내구성 부재를 위치 설정하는 것, 그 후에 내구성 부재로부터 로킹 디바이스를 연장시키는 것, 및 로킹 디바이스와 리테이너 사이에서 압박 디바이스를 가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굴착 기구의 립에 대한 내구성 부재의 부착부{ATTACHMENT OF WEAR MEMBER TO LIP OF EXCAVATION IMPLEMENT}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굴착 기구와 함께 활용되는 장비 및 굴착 기구와 함께 수행되는 작동에 관한 것으로, 후술하는 일례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굴착 기구의 립(lip)에 대한 내구성 부재의 개선된 부착부를 제공한다.
굴착 기구의 립은 굴착되는 재료와의 맞물림으로 인해 손상되거나 마모될 수 있다. 립을 마모로부터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며, 따라서 립의 전방 에지에 내구성 부재(wear member)를 부착하는 것이 관례이다. 굴착 기구의 립에 내구성 부재를 부착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지속적으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개시에는, 굴착 기구의 립에 내구성 부재를 부착하는 기술을 개선하는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된다. 아래에서는, 압박 디바이스가 립에 대하여 내구성 부재를 탄성적으로 유지하는 일례가 설명된다. 아래에서는, 파스너가 로킹 디바이스를 통해 나사 체결되어 압박 디바이스를 가압하는 다른 예가 설명된다.
아래에서는, 굴착 기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부착 시스템이 설명된다. 일례에서, 부착 시스템은 굴착 기구의 립에 내구성 부재를 고착시키는 리테이너를 포함할 수 있으며, 리테이너는 립에 고정식으로 부착된다. 압박 디바이스는 리테이너 내에 유지된다. 압박 디바이스는 내구성 부재를 립을 향해 압박한다.
굴착 기구의 립에 내구성 부재를 부착하는 부착 방법도 또한 해당 기술에 제공된다. 상기 부착 방법은 립에 고정식으로 고착된 리테이너에 압박 수단을 설치하는 것과, 그 후에 립 상에 내구성 부재를 위치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다른 부착 시스템이 설명된다. 일례에서, 굴착 기구의 립에 내구성 부재를 고착시키는 리테이너는 립에 고정식으로 부착된다. 압박 수단은 내구성 부재를 립을 향해 압박한다. 로킹 디바이스는 내구성 부재를 통과하여 연장된다. 압박 디바이스는 리테이너와 로킹 디바이스 사이에서 가압된다.
굴착 기구의 립에 내구성 부재를 부착하는 다른 부착 방법은,
립 상에 내구성 부재를 위치 설정하는 단계, 이어서 내구성 부재로부터 로킹 디바이스를 연장시키는 단계, 및 후속하여 로킹 디바이스와 립에 고정식으로 고착된 리테이너 사이에서 압박 디바이스를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및 다른 피쳐(feature), 장점 및 이점은 본 개시의 아래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을 면밀하게 고려함으로써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첨부도면에 있어서 유사한 요소들은 여러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는 굴착 기구의 대표적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은 본 개시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는 부착 시스템 및 굴착 기구의 립에 내구성 부재를 부착하는 부착 방법에서의 단계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도면이다.
도 11은 부착 시스템의 다른 예의 대표적인 단면도이다.
도 1에는 본 개시의 원리를 구현할 수 있는 굴착 기구(10)와 관련 방법이 대표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그러나, 굴착 기구(10)와 관련 방법은 단순히 본 개시의 원리의 실제적인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일례이며, 매우 다양한 다른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확실히 이해해야만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서 설명되고/설명되거나 도면에 도시한 굴착 기구(10) 및 관련 방법에 관한 상세로 결코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의 예에서, 굴착 기구(10)는 케이블식 셔블(cable shovel)의 "디퍼(dipper)" 또는 "버킷(bucket)"으로 알려져 있는 타입의 것이지만, 본 개시의 원리는 다른 타입의 굴착 기구에 대해서도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이해해야만 한다. 사실상, 본 개시의 원리는 임의의 타입의 굴착 기구에 대한 내구성 부재의 부착부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예시에서, 굴착 기구(10)는 굴착 기구의 접지측(earth-engaging side)을 명확히 볼 수 있도록 회전되어 있다. 이 사시도로부터, 땅을 파기 위해 굴착 기구(10)에 다수의 치형부(12)가 장착되어 있을 것을 볼 수 있다.
이들 치형부(12)는 굴착 기구(10)의 사용 중에 통상적으로 급속히 마모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손상되며, 따라서 치형부의 교체가 편리하고, 경제적이며, 신속하고 안정하게 이루어져야만 한다. 이들 목적은 치형부(12)를 굴착 기구(10)에 있는 립(16)의 전방 에지에 해제 가능하게 고착하는, 특별히 구성된 어댑터(14)의 사용에 의해 달성된다.
어댑터(14)는 굴착 기구(10)의 접지 립(16)을 보호하는 내구성 부재의 예이다. 내구성 부재의 다른 예는 슈라우드(shroud)(18)이며, 슈라우드는 어댑터(14)들 사이의 립(16)의 전방 에지를 감싼다. 또 다른 예에서, 치형부(12)는 별도의 어댑터(14)를 사용하지 않고도 립(16)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치형부 자체가 립을 보호하기 위한 내구성 부재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개시의 범위에 따라 임의의 타입의 내구성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2 및 도 3을 더 참고하면, 굴착 기구의 립에 내구성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 시스템(20)과 관련 방법이 대표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아래에서는 부착 시스템(20)이 굴착 기구(10)에 내구성 부재(22)(도 2 및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 도 6 내지 도 11 참고)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설명되지만, 부착 시스템은 다른 타입의 굴착 기구의 립에 다른 타입의 내구성 부재를 부착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본 개시의 범위는 도면에 도시되어 후술하는 시스템의 상세로 제한되는 것이 결코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이해해야만 한다.
도 2 및 도 3에는, 립(16)에 리테이너(24)를 고정식으로 고착하는 초기 단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리테이너(24)는 립(16)의 상측부(26)에, 립의 전방 접지 에지(28)로부터 이격되어 고착된다.
다른 예에서는, 1개보다 많은 리테이너(24)가 사용될 수 있고, 리테이너는 립(16)의 하측부 또는 수직측부에 고착될 수 있고, 리테이너는 전방 에지(28) 등에 고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 및 립(16) 상의 리테이너의 위치 설정에 관한 상세는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리테이너(24)는 용접에 의해, 파스너(볼트, 리벳 등)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에 의해 립(16)에 고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리테이너(24)는 립(16)에 고정식으로 고착되고, 이에 따라 굴착 작업 동안에 인가되는 힘에 저항할 수 있다. 립(16)에 리테이너(24)를 부착하는 기술은 소정 어플리케이션에 대해 예상되는 굴착 조건을 기초로 하여 선택될 수 있다.
이제 도 4 및 도 5를 더 참고하면, 압박 디바이스(30)가 리테이너(24)에 설치된다. 이 예에서, 압박 디바이스(30)는 리테이너(24)에 형성된 오목부(32) 내에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압박 디바이스(30)가 굴착 작업 동안에 리테이너(24) 내에서 보호된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는 압박 디바이스(30)가 리테이너(24) 내에 유지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예에서의 압박 디바이스(30)는 엘라스토머(고무 등) 탄성 부재(34) 및 탄성 부재를 리테이너(24)에 대해 가압하는 플레이트(36)를 포함한다. 이러한 탄성 부재의 가압은 압박력을 가하여, 아래에서 더 완벽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내구성 부재를 립(16)의 전방 에지(28)에 대하여 유지한다.
이제 도 6을 더 참고하면, 내구성 부재(22)는 립(16)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대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내구성 부재(22)는 접지 치형부를 포함하지만, 다른 예에서 내구성 부재는 어댑터, 슈라우드 또는 임의의 다른 타입의 내구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내구성 부재가 립(16) 상에 위치 설정된 후, 굴착 작업 동안에 내구성 부재와 립 사이의 마모를 완화하기 위해 내구성 부재는 립의 전방 에지(28)와 접촉되도록 지속적으로 압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압박 디바이스(30)는 아래에서 더 충분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립(16)을 향하는 방향(38)으로 내구성 부재(22)를 압박하는 데 사용된다.
이 예에서는, 전방 에지(28)와 내구성 부재(22)에 있는 거의 C자형 오목부(40) 간의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 전방 에지(28)와 오목부(40)는 달리 성형될 수 있고, 내구성 부재(22)의 다른 면과 립(16) 간의 맞물림 등이 유지될 수 있다.
이제 도 7 및 도 8을 더 참고하면, 로킹 디바이스(42)는 내구성 부재(22)의 상부벽(44)을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44)를 통해 설치된다. 이 예에서, 로킹 디바이스(42)는 나사형 구멍(50)이 연장되는 평판(48)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를 유지하면서, 로킹 디바이스(42)를 위한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제 도 9를 더 참고하면, 로킹 디바이스(42)가 개구(44)에 삽입된 후의 부착 시스템(20)이 도시되어 있고, 파스너(52)가 설치되고 있다. 이 예에서, 파스너(52)가 개구(50)를 통해 나사 체결되어 압박 디바이스(30)를 가압한다. 그러나, 다른 예에서는 본 개시의 범위를 유지하면서, 압박 디바이스(30)가 다른 수단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제 도 10을 더 참고하면, 파스너(52)가 로킹 디바이스(42)를 통과하여 충분한 거리로 나사 체결되어 판(36)과 접촉하고 탄성 부재(34)를 가압한 후의 부착 시스템(20)이 도시되어 있다. 압박 디바이스(30)의 이러한 가압은 파스너(52)에, 그리고 로킹 디바이스(42)를 통해 내구성 부재(22)에 후방 지향 압박력을 가한다. 이에 따라, 내구성 부재(22)는 압박 디바이스(30)에 의해 립(16)을 향해 압박된다.
굴착 작업 동안에 파스너(52)를 우연히 잃어버리더라도, 로킹 디바이스(42)가 여전히 리테이너(24)에 접하여, 립(16)으로부터의 내구성 부재(22)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 유념하라. 이에 따라, 내구성 부재(22)는 파스너(52)가 대체될 때까지 립(16) 상에 유지될 수 있다. 그러나, 압박 디바이스(30)에 의해 파스너(52)에 인가되는 잔여 압박력이 파스너가 로킹 디바이스(42)로부터 나사 체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것이라는 점이 예견된다.
파스너(52)는 로킹 디바이스(42)와 압박 디바이스(40) 사이의 영역에서 가압된다는 점에 유념하라. 압박 디바이스(30)는 로킹 디바이스(42)와 리테이너(24) 사이, 또는 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파스너(52)와 리테이너(24) 사이에서 가압된다.
도 11에는, 부착 시스템(20)의 다른 예가 대표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압박 디바이스(30)의 탄성 부재(34)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 형태이다. 본 개시의 원리를 유지하면서, 다른 타입의 스프링과 다른 타입의 탄성 부재가 압박 디바이스(30)에서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압박 디바이스(30)가 탄성 부재(34)를 포함하는 것은 불필요한데, 그 이유는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압박력을 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압축 가스 챔버, 형상 기억 합금 또는 임의의 다른 요소가 압박 디바이스(30)에 압박력을 가할 수 있다.
이제, 상기 개시가 굴착 기구의 립에 내구성 부재를 부착하는 기술에 현저한 진보를 제공한다는 것이 충분히 이해될 것이다. 부착 시스템(20)에서, 내구성 부재(22)는 리테이너(24) 내에 유지되는 압박 디바이스(30)를 사용하여 굴착 기구(10)의 립(16)에 편리하게 부착될 수 있다. 리테이너(24) 및 압박 디바이스(30)와 협동하여 로킹 디바이스(42)를 통해 나사 체결된 파스너(52)는 내구성 부재(22)를 립(16) 상에 탄성적으로 유지하고, 이때 내구성 부재의 오목부(40)는 립의 전방 에지(28)와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굴착 기구(1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부착 시스템(20)을 전술하였다. 일례에서, 부착 시스템(20)은 굴착 기구(10)의 립(16)에 내구성 부재(22)를 고착하는 리테이너(24)를 포함한다. 리테이너(24)는 립(16)에 고정식으로 부착된다. 압박 디바이스(30)는 리테이너(24) 내에 유지된다. 압박 디바이스(30)는 립(16)을 향해 내구성 부재(22)를 압박한다.
압박 디바이스(30)는 내구성 부재(22)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로킹 디바이스(42)를 관통하는 파스너(52)의 설치에 응답하여 가압될 수 있다. 파스너(52)는 로킹 디바이스(42)를 통해 나사 체결될 수 있다.
파스너(52)는 로킹 디바이스(42)와 압박 디바이스(30) 사이에서 가압될 수 있다. 압박 디바이스(30)는 로킹 디바이스(42)와 리테이너(24) 사이에서 가압될 수 있다.
파스너(52)는 리테이너(24)와 로킹 디바이스(42) 사이에서 가압될 수 있다. 압박 디바이스(30)는 리테이너(24)와 내구성 부재(22)로부터 연장되는 로킹 디바이스(42) 사이에서 가압될 수 있다.
부착 시스템(20)은 내구성 부재(22)로부터 연장되고 리테이너(24)와 접하는 로킹 디바이스(42)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립(16)으로부터 내구성 부재(22)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굴착 기구(10)의 립(16)에 내구성 부재(22)를 부착하는 부착 방법도 또한 전술하였다. 일례에서, 부착 방법은 립(16)에 고정식으로 고착된 리테이너(24)에 압박 디바이스(30)를 설치하는 것; 및 그 후에 립(16) 상에 내구성 부재(22)를 위치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부착 방법은 립(16) 상에 내구성 부재(22)를 위치 설정한 후에 내구성 부재(22)로부터 로킹 디바이스(42)를 연장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로킹 디바이스(42)는 리테이너(24)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립(16)으로부터의 내구성 부재(22)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부착 방법은 압박 디바이스(30)를 가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내구성 부재(22)를 립(16)을 향해 압박할 수 있다. 가압은 리테이너(24)와 로킹 디바이스(42) 사이에서 압박 디바이스(30)를 가압하는 것 및/또는 로킹 디바이스(42)와 압박 디바이스(30) 사이에서 파스너(52)를 압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압박 디바이스(30)를 가압하는 것은 파스너(52)를 설치하고, 이에 의해 로킹 디바이스(42)를 고착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파스너(52)를 설치하는 것은 로킹 디바이스(42)를 통해 파스너(52)를 나사 체결하는 것 및/또는 파스너(52)를 가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굴착 기구(1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다른 부착 시스템(20)은 굴착 기구(10)의 립(16)에 내구성 부재(22)를 고착시키는 리테이너(24) - 립(16)에 고정식으로 부착됨 - ; 내구성 부재(22)를 립(16)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디바이스(30); 및 내구성 부재(22)로부터 연장되는 로킹 디바이스(42)를 포함할 수 있다. 압박 디바이스(30)는 리테이너(24)와 로킹 디바이스(42) 사이에서 가압된다.
압박 디바이스(30)는 리테이너(24) 내에서 유지될 수 있다. 로킹 디바이스(42)는 리테이너(24)에 접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립(16)으로부터의 내구성 부재(22)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압박 디바이스(30)는 로킹 디바이스(42)를 통한 파스너(52)의 설치에 응답하여 가압될 수 있다. 파스너(52)는 로킹 디바이스(42)를 통해 나사 체결될 수 있다.
굴착 기구(10)의 립(16)에 내구성 부재(22)를 부착하는 다른 부착 방법은 립(16) 상에 내구성 부재(22)를 위치 설정하는 것; 그 후에 내구성 부재(22)로부터 로킹 디바이스(42)를 연장시키는 것; 및 다음에 로킹 디바이스(42)와 립(16)에 고정식으로 고착된 리테이너(24) 사이에서 압박 디바이스를 가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부착 방법은 리테이너(24)에 압박 디바이스(30)를 설치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압박 디바이스(30)를 설치하는 것은 립(16) 상에 내구성 부재(22)를 위치 설정하기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각기 소정 피쳐를 갖는 다양한 예를 전술하였지만, 하나의 예의 특정 피쳐는 그 예에 대해서만 독점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대신에, 전술하고/전술하거나 도면에 도시한 피쳐는 이들 예의 임의의 다른 피쳐에 더하여 또는 이러한 다른 피쳐를 대체하여 임의의 예와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의 피쳐는 다른 예의 피쳐와 서로 배타적이지 않다. 대신에, 본 개시의 범위는 임의의 피쳐들의 임의의 조합을 망라한다.
전술한 각각의 예는 피쳐들의 소정 조합을 포함하지만, 예들의 모든 피쳐들이 사용될 필요는 없다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대신에, 임의의 다른 피쳐 또는 피쳐들을 더 사용하는 일 없이 전술한 피쳐들 중 임의의 피쳐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원리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여기에서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는 경사지거나, 역전되거나, 수평이거나 수직인 것 등과 같은 다양한 방위로 그리고 다양한 구성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만 한다. 실시예는 본 개시의 원리에 관한 유용한 어플리케이션의 예로서 설명된 것일 뿐, 본 개시의 원리가 이들 실시예의 임의의 특정 상세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예에 관한 상기 설명에서, 방향성 용어("위", "아래", "상부", "하부" 등)은 첨부도면을 참고하는 데 있어서 편의상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범위는 여기에 설명된 임의의 특정 방향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이해해야만 한다.
용어 "포함하는", "포함하다", "이루어지는", "이루어지다" 및 유사 용어가 본 명세서에서 비제한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예컨대, 시스템, 방법, 장치, 디바이스 등이 특정 피쳐 또는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는 경우, 시스템, 방법, 장치, 디바이스 등은 상기한 피쳐 또는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른 피쳐 또는 요소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용어 "이루어지다"는 "이루어지지만, 그것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라는 의미로 간주된다.
물론,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관한 상기 설명을 면밀히 검토함으로써,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여러가지 수정, 추가, 대체, 삭제 및 다른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변경이 본 개시의 원리에 의해 예상된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별개로 형성되는 것으로 개시된 구조들이 다른 예에서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다. 따라서, 전술한 상세한 설명은 단지 설명과 예로써 주어지는 것이라는 점이 명확히 이해되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와 그 등가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삭제

Claims (31)

  1. 굴착 기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부착 시스템으로서,
    굴착 기구의 립(lip)에 내구성 부재(wear member)를 고착시키고, 립에 고정식으로 부착되는 리테이너; 및
    립 상에 내구성 부재를 위치 설정하기 전에 리테이너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설치되는 압박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 디바이스는, 내구성 부재가 립에 고착된 후에 내구성 부재를 립을 향해 압박하는 것인 부착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디바이스는 내구성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로킹 디바이스를 통한 파스너의 설치에 응답하여 가압되는 것인 부착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는 로킹 디바이스를 통해 나사 체결되는 것인 부착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는 로킹 디바이스와 압박 디바이스 사이에서 가압되는 것인 부착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디바이스는 로킹 디바이스와 리테이너 사이에서 가압되는 것인 부착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는 리테이너와 로킹 디바이스 사이에서 가압되는 것인 부착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디바이스는 리테이너와, 내구성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로킹 디바이스 사이에서 가압되는 것인 부착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시스템은 내구성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로킹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킹 디바이스는 리테이너와 접하며, 이에 의해 립으로부터의 내구성 부재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인 부착 시스템.
  9. 굴착 기구의 립에 내구성 부재를 부착하는 내구성 부재의 부착 방법으로서,
    립에 고정식으로 고착되는 리테이너에 있는 오목부에 압박 디바이스를 설치하는 것;
    이어서 립 상에 내구성 부재를 위치 설정하는 것; 및
    다음에 내구성 부재로부터 로킹 디바이스를 연장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내구성 부재의 부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디바이스는 리테이너와 접하는 것에 의해 립으로부터의 내구성 부재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인 내구성 부재의 부착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압박 디바이스를 가압하고, 이에 의해 내구성 부재를 립을 향해 압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내구성 부재의 부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압박 디바이스를 가압하는 것은 리테이너와 로킹 디바이스 사이에서 압박 디바이스를 가압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내구성 부재의 부착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압박 디바이스를 가압하는 것은 파스너를 설치하고, 이에 의해 로킹 디바이스를 고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내구성 부재의 부착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를 설치하는 것은 로킹 디바이스를 통해 파스너를 나사 체결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내구성 부재의 부착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를 설치하는 것은 로킹 디바이스와 압박 디바이스 사이에서 파스너를 가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내구성 부재의 부착 방법.
  16. 굴착 기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부착 시스템으로서,
    굴착 기구의 립에 내구성 부재를 고착시키고, 립에 고정식으로 부착되는 리테이너;
    립 상에 내구성 부재를 위치 설정하기 전에 리테이너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설치되고, 내구성 부재가 립에 고착된 후에 내구성 부재를 립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디바이스; 및
    내구성 부재로부터 연장되는 로킹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압박 디바이스는 리테이너와 로킹 디바이스 사이에서 가압되는 것인 부착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디바이스는 리테이너 내에 유지되는 것인 부착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디바이스는 리테이너와 접하고, 이에 의해 립으로부터의 내구성 부재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인 부착 시스템.
  19. 제16항에 있어서, 로킹 디바이스에 나사 체결되는 파스너를 더 포함하는 부착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디바이스는 로킹 디바이스에 대한 파스너의 회전에 응답하여 가압되는 것인 부착 시스템.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는 로킹 디바이스와 압박 디바이스 사이에서 가압되는 것인 부착 시스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는 리테이너와 로킹 디바이스 사이에서 가압되는 것인 부착 시스템.
  23. 굴착 기구의 립에 내구성 부재를 부착하는 내구성 부재의 부착 방법으로서,
    립에 고정식으로 고착되는 리테이너에 형성된 오목부 내에 압박 디바이스를 설치하는 것;
    다음에 립 상에 내구성 부재를 위치 설정하는 것;
    이어서 내구성 부재로부터 로킹 디바이스를 연장시키는 것; 및
    후속하여 로킹 디바이스와 리테이너 사이에서 압박 디바이스를 가압하는 것
    을 포함하는 내구성 부재의 부착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 디바이스는 리테이너와 접하는 것에 의해 립으로부터의 내구성 부재의 분리를 방지하는 것인 내구성 부재의 부착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디바이스를 가압하는 것은 내구성 부재를 립을 향해 압박하는 것인 내구성 부재의 부착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디바이스를 가압하는 것은 파스너를 설치하고, 이에 의해 로킹 디바이스를 고착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내구성 부재의 부착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를 설치하는 것은 로킹 디바이스를 통해 파스너를 나사 체결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내구성 부재의 부착 방법.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를 설치하는 것은 로킹 디바이스와 압박 디바이스 사이에서 파스너를 가압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인 내구성 부재의 부착 방법.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KR1020147022729A 2012-02-13 2012-02-13 굴착 기구의 립에 대한 내구성 부재의 부착부 KR101547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US2012/024843 WO2013122561A1 (en) 2012-02-13 2012-02-13 Attachment of wear member to lip of excavation imp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6499A KR20140116499A (ko) 2014-10-02
KR101547436B1 true KR101547436B1 (ko) 2015-08-25

Family

ID=48984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22729A KR101547436B1 (ko) 2012-02-13 2012-02-13 굴착 기구의 립에 대한 내구성 부재의 부착부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EP (1) EP2815034B1 (ko)
JP (1) JP5764267B2 (ko)
KR (1) KR101547436B1 (ko)
CN (1) CN104114780B (ko)
AU (1) AU2012370301B2 (ko)
BR (1) BR112014017907B1 (ko)
CA (1) CA2860777C (ko)
ES (1) ES2896349T3 (ko)
MX (1) MX341268B (ko)
WO (1) WO2013122561A1 (ko)
ZA (1) ZA2014053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95712A1 (en) * 2015-06-05 2016-12-08 Black Cat Blades Ltd. Wear member attachment system for excavation implement
US9631346B2 (en) * 2015-07-24 2017-04-25 Caterpillar Inc. Wear member retention system for an implement
US9909285B2 (en) 2015-09-10 2018-03-06 Caterpillar Inc. Shroud retention system for a work tool
US9938695B2 (en) * 2015-09-10 2018-04-10 Caterpillar Inc. Shroud retention system for a work tool
USD922447S1 (en) 2018-11-06 2021-06-15 Caterpillar Inc. Retention component
US10883257B2 (en) 2018-11-06 2021-01-05 Caterpillar Inc. Shroud retention system for a work tool
US20230287661A1 (en) * 2022-03-14 2023-09-14 Black Cat Wear Parts, Ltd. Material handling implement with displaceable wear component abutm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3145A (en) 1996-03-12 1998-02-03 Gh Hensley Industries, Inc. Wear resistant excavating apparatus
US6240663B1 (en) 2000-09-18 2001-06-05 G. H. Hensley Industries, Incorporated Streamlined resilient connection system for attaching a wear member to an excavating lip structure
US20030061744A1 (en) 2001-10-02 2003-04-03 Mr. Thomas Anthony Meyers Excavator teeth
US20050229441A1 (en) 2002-03-26 2005-10-20 Maher Patrick G Attach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9238B1 (en) * 2000-09-18 2001-04-03 Gh Hensley Industries, Inc. Excavating adapter-to-lip connection apparatus with bottom front-accessible disconnection portion
US8438760B2 (en) * 2002-03-26 2013-05-14 Sandvik Mining And Construction Australia (Production/Supply) Pty Ltd. Mechanical attachment system and associated failure mechanism
US6986216B2 (en) * 2003-04-30 2006-01-17 Esco Corporation Wear assembly for the digging edge of an excavator
US7171771B2 (en) * 2003-04-30 2007-02-06 Esco Corporation Releasable coupling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3145A (en) 1996-03-12 1998-02-03 Gh Hensley Industries, Inc. Wear resistant excavating apparatus
US6240663B1 (en) 2000-09-18 2001-06-05 G. H. Hensley Industries, Incorporated Streamlined resilient connection system for attaching a wear member to an excavating lip structure
US20030061744A1 (en) 2001-10-02 2003-04-03 Mr. Thomas Anthony Meyers Excavator teeth
US20050229441A1 (en) 2002-03-26 2005-10-20 Maher Patrick G Attachmen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114780B (zh) 2016-05-18
JP2015507112A (ja) 2015-03-05
EP2815034A4 (en) 2016-03-16
MX341268B (es) 2016-08-09
MX2014009736A (es) 2014-11-14
CN104114780A (zh) 2014-10-22
EP2815034B1 (en) 2021-10-06
CA2860777C (en) 2016-04-26
AU2012370301B2 (en) 2015-04-30
KR20140116499A (ko) 2014-10-02
CA2860777A1 (en) 2013-08-22
EP2815034A1 (en) 2014-12-24
BR112014017907A2 (ko) 2017-06-20
BR112014017907A8 (pt) 2017-07-11
ES2896349T3 (es) 2022-02-24
WO2013122561A1 (en) 2013-08-22
JP5764267B2 (ja) 2015-08-19
BR112014017907B1 (pt) 2021-04-06
AU2012370301A1 (en) 2014-09-18
ZA201405375B (en) 2015-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3718B2 (en) Attachment of wear member to lip of excavation implement
KR101547436B1 (ko) 굴착 기구의 립에 대한 내구성 부재의 부착부
US8302333B2 (en) Excavation tooth lip adapter and fastening system therefor
US8434248B2 (en) Excavation retention assembly
KR101945606B1 (ko) 굴착 장비를 위한 마모 부재
US7788830B2 (en) Excavation retention assembly
EP2483482B1 (en) Excavator tooth retention device
US8464444B2 (en) Hydraulic locking mechanism for securing tooth carrying adapters to lips of excavating buckets and the like
US11035103B2 (en) Lock for ground engaging tool
US9187881B2 (en) Reliable connection system and assemblies and methods for using the reliable connections
US11097926B2 (en) Connector to facilitate lifting of wear parts
US10196799B2 (en) Ground engaging tool
US9657463B2 (en) Wear member attachment system for excavation implement
RU2698928C2 (ru) Орудие для земляных работ
US20230417028A1 (en) Material handling implement with wear component securement
AU2014268636B2 (en) Hydraulic locking mechanism for securing teeth and tooth carrying adapters to excavating buckets of excava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