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338B1 - Toilet - Google Patents

Toil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338B1
KR101547338B1 KR1020130133965A KR20130133965A KR101547338B1 KR 101547338 B1 KR101547338 B1 KR 101547338B1 KR 1020130133965 A KR1020130133965 A KR 1020130133965A KR 20130133965 A KR20130133965 A KR 20130133965A KR 101547338 B1 KR101547338 B1 KR 101547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torage space
water storage
recycled wat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39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52509A (en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김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수 filed Critical 김광수
Priority to KR1020130133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338B1/en
Publication of KR20150052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25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33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02High-level flushing systems
    • E03D1/14Cistern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lso cisterns with bell siphons in combination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00Water flushing devices with cisterns ; Setting up a range of flushing devices or water-closets; Combinations of several flushing devices
    • E03D1/30Valves for high or low level cisterns; Their arrangement ; Flushing mechanisms in the cistern,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pre-or a post- flushing and for cutting off the flushing mechanism in case of leakage
    • E03D1/34Flushing valves for outlets; Arrangement of outlet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재활용수를 이용하여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으며, 재활용수가 없을 경우 상수를 이용하여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기는, 내부가 구획벽에 의해 재활용수 저장공간과 상수 저장공간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과 상수 저장공간에 배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의 배출부에 설치되는 제1개폐부, 상기 저장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개폐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의 배출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재활용수 배출부, 상기 상수 저장공간의 배출부에 설치되는 제2개폐부, 상기 저장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개폐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수 저장공간의 배출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상수 배출부,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과 상수 저장공간에 연결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재활용수 배출부 및 상수 배출부와 마주하며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에 담수되는 재활용수의 양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재활용수 배출부 또는 상수 배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reat waste materials by using recycled water, and to treat waste materials by using a constant water when there is no recycle water.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ior of the toilet is divided into a recycle water storage space and a constant water storage space by a partition wall and a discharge portion is formed in the recycle water storage space and the constant water storage space, A recycled water discharge unit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for moving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upward and downward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unit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A water discharge unit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for moving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upward and downward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unit of the water storage space, And one side thereof faces the recycled water discharging portion and the water discharging portion, and the amount of the recycled water discharged in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recycled water discharge unit or the water discharge unit while being rota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Description

변기{TOILET}Toilet bowl {TOILET}

본 발명은 재활용수와 상수를 사용할 수 있는 변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capable of using recycled water and a constant.

일반적으로 변기는 일측에 상수관과 연결된 세척수조를 형성하여 일정량의 상수를 집수하였다가 변을 보고 난 다음 세척수조에 있는 상수를 통해 세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Generally, the toilet has a washing water tank connected to a water pipe on one side, collect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and then washing the water through the water in the washing water tank after seeing the side.

근래에는 물을 절약할 목적으로 변기를 구성하는 세척수조에 벽돌 등을 넣어 세척수 사용량을 줄이고자 하고 있으나, 이의 경우 세척수 부족으로 변기의 올바른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아 세척수를 재 공급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상수의 절약효과가 없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save water, bricks have been put into a washing tank constituting a toilet to reduce the amount of washing water. However, in this case, since the washing water is not properly cleaned due to the lack of washing water, There was no saving effect.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목적으로 욕조, 세면대, 세탁기 및 주방 등에서 버려지는 오염 정도가 덜한 생활하수나 빗물 등의 재활용수를 모아두었다가 이를 이용하여 변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 다수 제공되고 있으나, 이들의 경우 상수를 이용하지 않고 재활용수만 이용하기 때문에 세척수조에 재활용수가 보충되어 있지 않을 경우 변기 상의 배설물을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For the purpose of solving such problems, there have been provided a number of techniques for collecting recycled water such as domestic sewage or rainwater, which have been dumped from bathtubs, wash basins, washing machines and kitchen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waste water on the toilet can not be treated if the recycling water is not replenished in the washing water tank because the water is used only for the recycled water without using the constant water.

또한, 세척수조에 재활용수가 보충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도 배수레버 또는 배수버튼이 작동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세척수조에 소량으로 보충된 재활용수가 변기에 공급되어 배설물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even when the washing water tank is not supplemented with the recycled water, the drain lever or the drain button is operated, so that a small amount of recycled water supplied to the washing water tank is supplied to the toilet to waste the waste.

등록특허공보 제10-1124613호(2012.02.29)Patent Registration No. 10-1124613 (Feb. 29, 2012)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재활용수를 이용하여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으며, 재활용수가 없을 경우 상수를 이용하여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한 변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oilet capable of treating excreta using recycled water, .

본 발명에 따른 변기는, 내부가 구획벽에 의해 재활용수 저장공간과 상수 저장공간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과 상수 저장공간에 배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저장부,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ior of the toilet is partitioned into a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and a constant water storage space by a partition wall and a discharge portion is form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and the constant water storage space,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의 배출부에 설치되는 제1개폐부, 상기 저장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개폐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의 배출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재활용수 배출부,A recycled water discharging unit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to mov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ing unit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상기 상수 저장공간의 배출부에 설치되는 제2개폐부, 상기 저장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개폐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수 저장공간의 배출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상수 배출부,A second opening / closing part installed in a discharge part of the water storage space, a water discharge part installed in the storage part and moving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art upward and downward to open / close the discharge part of the water storage space,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과 상수 저장공간에 연결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재활용수 배출부 및 상수 배출부와 마주하며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에 담수되는 재활용수의 양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재활용수 배출부 또는 상수 배출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recycling water storage space is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space and one side thereof is rota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in accordance with the amount of the recycled water facing the recycled water discharge portion and the water discharge portion and desalinat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ater discharge unit or the water discharge unit.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과 연결되는 저장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투시창을 더 포함한다.And a viewing window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상기 재활용수 배출부는,Wherein the recycled water discharging portion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의 내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추 운동될 수 있는 제1하부 회동유닛, 상기 힌지에 결합되고 상기 제1하부 회동 유닛과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이 추 운동될 경우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며 일측이 제1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개폐부와 연결되는 제1상부 회동유닛을 포함하는 제1회동부,A first lower rotating unit hinged to the inside of the recycling water storage space and capable of being moved around the hinge, a second lower rotating unit coupled to the hinge and being perpendicular to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A first turning unit including a first upper turning unit that is pivoted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via a first connecting unit,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과 연결되는 저장부의 일측면에 관통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과 접촉되며,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을 밀어 상기 제1상부 회동유닛이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제1개폐부가 제1연결부에 의해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을 포함한다.The first upper rotating unit is pivotally moved upward by pushing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so that the first upper rotating unit is pivotally moved upwardly by being pushed through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And a button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so that the on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lifted by the first connecting part.

상기 상수 배출부는,The constant-

상기 상수 저장공간의 내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추 운동될 수 있는 제2하부 회동유닛, 상기 힌지에 결합되고 제2하부 회동 유닛과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이 추 운동될 경우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며 일측이 제2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2개폐부와 연결되는 제2상부 회동유닛을 포함하는 제2회동부,A second lower rotating unit hing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space and being able to move about the hinge, a second lower rotating unit coupled to the hinge and being perpendicular to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A second turning unit including a second upper turning unit that is rotated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via a second connecting unit,

상기 상수 저장공간과 연결되는 저장부의 일측면에 관통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과 접촉되며,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을 밀어 상기 제2상부 회동유닛이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제2개폐부가 제2연결부에 의해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상수 배출용 버튼을 포함한다.And the second upper rotating unit is pivotally moved upward by pushing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so that the second upper rotating unit is rotated upward, And a button for discharging the water to lift the opening / closing part by the second connecting part.

상기 제어부는,Wherein,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의 일측벽과 상수 저장공간의 일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브라켓,A bracket installed on one side wall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and one side wall of the water storage space,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의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그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돌기,A lower protrusion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center of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의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그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돌기,An upper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과 상수 저장공간에 위치되고 일측면이 상기 상부돌기 또는 하부돌기와 마주하며 양측에는 상기 브라켓과 마주하는 결합편이 형성된 스토퍼,A stopper which is locat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and the water storage space and has one side surface facing the upper projection or the lower projection and a coupling piece facing the bracket on both sides,

상기 브라켓과 결합편에 순차적으로 관통설치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축,A rotating shaft which is sequentially inserted through the bracket and the engaging piece so that the stopper can be rota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구간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회동부,A rotating part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bracket and rotatabl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topper,

상기 회동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에 담수되거나 배출되는 재활용수에 의해 승강되는 부력통을 포함하고,And a buoyancy cylinder which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otary part and is lifted or lowered by recycled water that is desiccated or discharged in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상기 스토퍼는 상기 부력통이 하강될 경우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하부돌기와 접촉되면서 상부돌기와는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부력통이 상승될 경우에는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부돌기와 접촉되면서 하부돌기와는 일정간격 이격된다.When the buoyancy tube is lowered, the stopper is rotated downwar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rojection by contacting with the lower projection. When the buoyancy tube is raised, the stopper is rotated upwar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rojection by contacting with the upper projection .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은,Wherein the button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comprises:

상기 저장부의 재활용수 저장공간 또는 저장부의 외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으며, 일부분이 상기 저장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1이동유닛,A first moving unit that can be moved toward the recycling water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unit or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and a part of which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상기 제1이동유닛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을 미는 제1푸쉬유닛을 포함한다.And a first push unit extending horizontally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moving unit and pushing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상기 상수 배출용 버튼은,Wherein the button for discharging the constant-

상기 저장부의 상수 저장공간 또는 저장부의 외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으며, 일부분이 상기 저장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2이동유닛,A second moving unit that can be mo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or the storage unit of the storage unit and a part of which protrudes outside the storage unit,

상기 제2이동유닛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을 미는 제2푸쉬유닛을 포함한다.And a second push unit extending horizontally from a lower end of the second moving unit and pushing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상기 제어부는 일 예로,For example,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의 일측벽과 구획벽의 사이에 수평설치되는 회동축,A rotary shaft horizontally installed between one side wall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and the partition wall,

상기 회동축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축 상에서 양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회전체,A rotating body mount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ng shaft and capable of rotating in both directions on the rotating shaft,

상기 회전체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고 일단이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을 향하는 제1회동부,A first pivot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and rotated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nd having one end directed toward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상기 제1회동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과 상수 저장공간에 위치되고 일측면이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 또는 제2하부 회동유닛과 마주하는 스토퍼,A stopper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tary part and is locat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and the constant water storage space and whose one side faces the first lower rotary unit or the second lower rotary unit,

상기 회전체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지지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1회동부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회동부,A second turning part which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rotating body and which is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supporting part with the rotating body therebetween and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turning part,

상기 제2회동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에 담수되거나 배출되는 재활용수에 의해 승강되는 부력통을 포함할 수 있고,And a buoyancy cylinder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rotary part and lifted and lowered by recycled water discharged or discharged in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상기 스토퍼는 상기 부력통이 하강될 경우 상측으로 회동되어 제1하부 회동유닛과 접촉되면서 제2하부 회동유닛과는 일정간격 이격되고, 상기 부력통이 상승될 경우에는 하측으로 회동되어 제2하부 회동유닛과 접촉되면서 제1하부 회동유닛과는 일정간격 이격된다.When the buoyancy cylinder is lowered, the stopper is rotated upwar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lower rotation unit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lower rotation unit. When the buoyancy cylinder is raised, the stopper is rotated downward,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본 발명에 따른 변기는, 욕조, 세면대, 세탁기 및 주방 등에서 버려지는 오염 정도가 덜한 생활하수나 빗물 등의 재활용수를 변기의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어 상수 사용량을 절감하면서 생활하수의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use recycled water such as domestic sewage or rainwater having less pollution abandoned in bathtubs, washbasins, washing machines, kitchens and the like as washing water for toilet seat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그리고, 재활용수 저장공간에 재활용수가 완전히 담수 되어 있지 않을 경우 스토퍼가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만 작동되지 않도록 하여 재활용수 저장공간에 소량으로 담수된 재활용수가 불필요하게 변기에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가 저장부의 덮개를 열어보지 않더라도 재활용수 저장공간에 담수된 재활용수의 양을 인지할 수 있으며 상수를 통해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수반된다.In addition, when the recycled water is not completely drain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the stopper may not operate only the button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so that the recycled water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may not be unnecessarily supplied to the toilet. In this case, even if the user does not open the cover of the storage part, the amount of the recycled water can be recogniz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and the waste can be treated through the constant water.

또한, 재활용수 저장공간에 재활용수가 완전히 담수 되어 있을 경우 스토퍼가 상수 배출용 버튼만 작동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사용자는 재활용수 저장공간에 담수된 재활용수를 통해 배설물을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 when the recycled water is completely drain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the stopper does not operate only the button for discharging the water, so that the user can easily treat the excrement through the recycled water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적용된 재활용수 배출부와 상수배출부 및 제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적용된 재활용수 배출부와 상수 배출부 및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구성이 변기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적용된 재활용수 배출부와 상수배출부 및 제어부가 저장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적용된 재활용수 배출부와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적용된 상수 배출부와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적용된 투시창을 도시한 정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ycled water discharging part, a water discharging part, and a control part applied to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cycling water discharge unit, a water discharge unit, and a control unit applied to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FIG. 4 is applied to a toilet.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recycling water discharge part, a water discharge part, and a control part applied to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a storage part.
FIG. 7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control unit and a recycled water discharge unit applied to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a control unit and a constant discharge unit applied to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a sight window applied to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Like parts are designated with lik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적용된 재활용수 배출부와 상수배출부 및 제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적용된 재활용수 배출부와 상수 배출부 및 제어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구성이 변기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적용된 재활용수 배출부와 상수배출부 및 제어부가 저장부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적용된 재활용수 배출부와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적용된 상수 배출부와 제어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변기에 적용된 투시창을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cycled water discharging part, a water discharging part, and a control part applied to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recycling water discharge unit, a water discharge unit, and a control unit applied to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schematically shows a state in which the configuration of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cycled water discharging part, a water discharging part, and a control part applied to a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installed in a storage part, and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recycled water discharge FIG. 8 is a side view showing an operation state of the control unit and the water discharge unit applied to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of operation of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front view of a used viewing window.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변기는, 저장부(10)와 변기본체(20)와 제1개폐부(30)와 재활용수 배출부(40)와 제2개폐부(50)와 상수 배출부(60)와 제어부를 포함한다.1 to 3, the toil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unit 10, a toilet bowl body 20, a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30, a recycled water discharging unit 40,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50, A constant discharge unit 60 and a control unit.

먼저, 상기 저장부(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부(10)의 상측에는 상기 저장부(10)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할 수 있는 덮개(14)가 구비된다.First,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unit 10 is opened and an internal space is formed. A lid 14 is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orage unit 10 to open and close the opened portion of the storage unit 10.

상기 저장부(10)의 내부는 구획벽(11)에 의해 재활용수 저장공간(12)과 상수 저장공간(13)으로 분할형성 된다.The interior of the storage unit 10 is partitioned into a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and a constant water storage space 13 by a partition wall 11.

이때, 상기 구획벽(11)은 상기 저장부(10)의 중앙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artition wall 11 may be install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storage unit 10.

그리고 상기 구획벽(11)의 상측에는 후술되는 제어부(70,80)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회동 허용홈(111)이 형성된다.On the upper side of the partition wall 11, a rotation allowance groove 111 is formed for allowing the control portions 70 and 8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o be rota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상기 저장부(10)에는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과 연결되는 재활용수 공급관(150)이 연결된다.A recycle water supply pipe 150 connected to the recycle water storage space 12 is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10.

상기 재활용수 공급관(150)은 욕조, 세면대, 세탁기, 주방 등에서 버려지는 오염 정도가 덜한 생활하수나 빗물을 집수할 수 있는 집수조(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생활하수나 빗물이 재활용수 저장공간(12)에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The recycled water supply pipe 150 is connected to a water collecting tank (not shown) capable of collecting domestic sewage or rainwater having a less degree of contamination left in a bathtub, washstand, washing machine or kitchen, (Not shown).

이때, 상기 집수조는 욕조의 바닥 등에 설치되거나 옥외에 설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water collecting tank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athtub, or may be installed outdoors.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과 연결되는 저장부(10)의 일측면에는 후술되는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안내용홀(122)이 관통형성 된다.On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10 connected 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there is formed a through hole 12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recycle water discharge button 4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이동안내용홀(122)은 재활용수 저장공간(12)과 연결된다.The movable eye opening hole 122 is connected 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그리고 상기 상수 저장공간(13)과 연결되는 저장부(10)의 일측면에는 상수 배출용 버튼(62)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안내용홀(132)이 관통형성 된다.A movable intake hole 132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water discharge button 62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10 connected to the constant storage space 13.

상기 이동안내용홀(132)은 상기 상수 저장공간(13)과 연결된다.The movable eye opening hole 132 is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space 13.

이때, 상기 이동안내용홀(122, 132))들은 수평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ving eye holes (122, 132)) can be positioned on the horizontal line.

계속해서,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에는 재활용수가 저장되며, 상기 상수 저장공간(13)에는 상수가 저장된다.Subsequently, the recycled water is stor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and constants are stored in the constant water storage space 13.

이상 설명한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바닥면에는 재활용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121)가 관통설치 형성되고, 상기 상수 저장공간(13)의 바닥면에는 상수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부(131)가 형성된다.In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described above, a discharge portion 121 through which recycled water can be discharged is formed to pass through, an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space 13, (131) is formed.

상기 배출부(121)는 일부분이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재활용수 저장공간(12)으로 돌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저장부(10)의 외부로 돌출된다.A part of the discharge part 121 protrudes in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and the remaining part protrudes outside the storage part 10.

그리고, 상기 배출부(131)는 일부분이 상기 상수 저장공간(13)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수 저장공간(13)으로 돌출되고 나머지 부분은 저장부(10)의 외부로 돌출된다.A part of the discharge part 131 protrudes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13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space 13 and the remaining part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part 10.

이상 설명한 상기 배출부(121,131)는 중공형상으로 형성되어 재활용수 저장공간(12)에 담수된 재활용수 또는 상수 저장공간(13)에 담수된 상수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The discharge units 121 and 131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 a hollow shape to discharge the purified water desiccat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or the water desiccat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13 to the outside.

부가적으로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과 상수 저장공간(13)에는 무소음 필밸브(미도시) 보충수 호스(미도시)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silent fill valve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and the constant water storage space 13.

그리고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배출부(12)와 상수 저장공간(13)의 배출부(131)에는 배출관(140)이 연결되고 상기 배출관(140)은 변기본체(20)와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121,131)에서 배출되는 재활용수 또는 상수는 상기 변기본체(20)의 내부에 공급된다.A discharge pipe 140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art 12 of the recycle water storage space 12 and the discharge part 131 of the water storage space 13 and the discharge pipe 140 is connected to the toilet bowl body 20 Recycled water or a constant water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units 121 and 131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oilet bowl body 20.

상기 변기본체(20)는 사용자가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일정량의 물이 담수 되어 있다.The toilet bowl main body 20 has a top opened and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drained in the toilet bowl so that the user can see the toilet.

상기 변기본체(20)의 상단에는 상기 저장부(10)가 설치된다.The storage unit 10 is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toilet bowl 20.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변기본체(20)의 내부에는 일반적인 변기와 동일하게 대략 'S'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수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배수로는 배수관(미도시)과 연결되어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drain pipe (not shown) formed in an approximately 'S' shape is formed inside the toilet bowl body 20 in the same manner as a general toilet bowl, and the drain pipe is connected to a drain pipe have.

상기 변기본체(20)의 내부로 재활용수 또는 상수가 공급되면 변기본체(20)에 담수된 물과 배설물은 상기 배수로와 배수관을 순차적으로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When recycled water or a constant water is supplied into the toilet bowl body 20, water and excrement water discharged into the toilet bowl body 20 are sequentially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rainage pipe and the drain pipe.

이와 같은 배설물의 배출원리는 일반적인 변기의 배출원리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principle of discharge of such excrement is the same as the discharge principle of a general toilet, so a detailed explanation will be omitted.

한편, 상기 제1개폐부(30)는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배출부(121)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출부(12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121)에 삽입되고 상측 외주연에 배출부(121)의 상면에 걸쳐지는 단턱(31)이 돌출형성 된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30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art 121 of the recycle water storage space 12 and has a diamete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part 121, And a step 31 extending 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portion 121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y.

상기 제1개폐부(30)는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내부에 설치되는 플러시 밸브(120)에 힌지(130)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 회동되었다가 다시 하측으로 회동될 경우 상기 배출부(121)에 삽입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30 is coupled to the hinge 130 to the flush valve 120 install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so as to be rota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nd is rotated upward, And may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ing portion 121 when rotated.

그리고 상기 제1개폐부(30)의 일단에는 후술되는 제1연결부(413)가 설치되는 링 형상의 연결편(32)이 형성된다.In addition, a ring-shaped connecting piece 3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30 to have a first connecting part 413 to be described later.

이상 설명한 제1개폐부(30)는 배출부(121)에 대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30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maintain airtightness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part 121. [

상기 재활용수 배출부(40)는 상기 저장부(10)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개폐부(3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배출부(121)가 개폐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1회동부(41)와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으로 나뉘어 구성된다.The recycled water discharging part 40 is installed in the storage part 10 and moves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30 upward and downward so that the discharge part 121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is opened and closed And comprises a first rotary part 41 and a button 42 for discharging recycled water.

상기 제1회동부(41)는 다시 제1하부 회동유닛(411)과 제1상부 회동유닛(412)으로 나뉘어 구성된다.The first rotary part 41 is further divided into a first lower rotary unit 411 and a first upper rotary unit 412.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내벽면에는 고정편(16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편(160)에는 원형상의 힌지(100)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A fixing piece 160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and a circular hinge 10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xing piece 160.

그리고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은 힌지(100)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추 운동될 수 있다.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hinge 100 and can be moved about the coupled portion.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은 직사각형 막대 형상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면이 후술되는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과 맞닿는다.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bar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and one side of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contacts the button 4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상기 제1상부 회동유닛(412)은 상기 힌지(10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과 직각을 이룬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상부 회동유닛(412)은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이 추 운동될 경우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The first upper rotating unit 412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inge 100 and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Accordingly, the first upper rotating unit 412 is rota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when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is moved.

상기 제1상부 회동유닛(412)은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의 길이보다 약 2배 이상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first upper rotating unit 412 is form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by at least two times.

이로 인해 평상시 상기 제1상부 회동유닛(412)의 무게 중심은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바닥면을 향해 쏠리게 되고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은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내벽면을 향하게 된다.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irst upper revolving unit 412 is normally direct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and the first lower revolving unit 411 is moved toward the bottom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It faces the wall.

이상 설명한 제1회동부(41)는 제1연결부(413)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개폐부(30)와 연결된다.The first rotary part 41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rt 30 via the first connection part 413.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결부(413)는 쇠사슬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이 상기 제1개폐부(30)의 연결편(32)과 연결된다.Specifically,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13 may be formed of a chain or the like, and the low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413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ece 32 of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ortion 30.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은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과 연결되는 이동안내용홀(122)에 관통설치되며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을 관통한다.The button 4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penetrates through the moving inner hole 122 connected 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은 상기 이동안내용홀(122)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안내용홀(122) 상에서 재활용수 저장공간(12) 또는 저장부(10)의 외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은 재활용수 저장공간(12) 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과 접촉된다.The button 4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is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moving eye hole 122 so that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or the storage unit 10 is formed on the moving eye hole 122,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when the button 4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is moved toward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the button 42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이러한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은 일부분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도록 저장부(10)의 외부로 돌출된다.The button 4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10 so that a part of the button 42 can be pushed by the user.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의 둘레에는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내벽면에 걸리는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은 상기 이동안내용홀(12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topper (not shown) is formed around the button 4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which catches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Therefore, the button 4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can not be released from the movable eye opening hole 122.

사용자가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을 누르게 되면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의 일면이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을 밀게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상부 회동유닛(412)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개폐부(30)가 제1연결부(413)에 의해 들어올려지게 됨에 따라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배출부(121)가 개방되며, 이로 인해 재활용수가 변기본체(20)의 내부에 공급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button 4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one side of the button 4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pushes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The first upper rotating unit 412 is rotated upward so that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30 is lifted up by the first connecting part 413 so that the discharging part 121 of the recycling water storage space 12 is opened, So that the recycled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oilet bowl body 20.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에서 손을 떼게 되면 상기 제1상부 회동유닛(412)이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바닥면을 향해 회동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이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의 일면을 밀게 되어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의 전체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개폐부(30)가 하강되어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배출부(121)를 밀폐시킨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releases his / her hand from the button 4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the first upper rotating unit 412 rotates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The rotating unit 411 pushes one side of the button 4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so that the entire button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42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30 is lowered, Thereby sealing the discharge portion 121 of the water storage space 12.

한편, 상기 제2개폐부(50)는 상기 상수 저장공간(13)의 배출부(131)를 개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출부(131)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배출부(131)에 삽입되고 상측 외주연에 배출부(131)의 상면에 걸쳐지는 단턱(51)이 돌출형성된다.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50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art 131 of the water storage space 13 and has a diameter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discharge part 131, And a step 51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ischarge part 131 is formed on the upper outer periphery.

상기 제2개폐부(50)는 상기 상수 저장공간(13)의 내부에 설치되는 플러시 밸브(120')에 힌지(130') 결합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상측으로 회동되었다가 다시 하측으로 회동될 경우 상기 배출부(131)에 삽입될 수 있다.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50 is connected to the hinge 130 'to the flush valve 120' installed inside the water storage space 13 and is pivotable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50 is rotated upward, It may be inserted into the discharging unit 131. [0050]

그리고 상기 제2개폐부(50)의 일단에는 후술되는 제2연결부(613)가 설치되는 링 형상의 연결편(52)이 형성된다.A ring-shaped connecting piece 52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50, and a second connecting part 61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talled.

이상 설명한 제2개폐부(50)는 배출부(131)에 대한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50 described above can be formed of a rubber material so as to maintain airtightness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part 131.

상기 상수 배출부(60)는 상기 저장부(10)에 설치되고 상기 제2개폐부(50)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수 저장공간(13)의 배출부(131)가 개폐되도록 하는 것으로, 제2회동부(61)와 상수 배출용 버튼(62)으로 나뉘어 구성된다.The water discharge unit 60 is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10 and moves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50 upward and downward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unit 131 of the water storage space 13 A second rotary part 61 and a button 62 for discharging the water.

상기 제2회동부(61)는 다시 제2하부 회동유닛(611)과 제2상부 회동유닛(612)으로 나뉘어 구성된다.The second rotary part 61 is further divided into a second lower rotary unit 611 and a second upper rotary unit 612.

상기 상수 저장공간(13)의 내벽면에는 고정편(16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편(160')에는 원 형상의 힌지(110)가 제자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A fixed piece 160 'is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space 13 and a circular hinge 11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fixed piece 160'.

그리고 제2하부 회동유닛(611)은 상기 힌지(110)의 하측에 결합되며 상기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추 운동될 수 있다.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611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hinge 110 and can be moved about the coupled portion.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611)은 직사각형 막대 형상 또는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면이 후술되는 상수 배출용 버튼(62)과 맞닿는다.The second lower rotatable unit 61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rod shape or an elliptical shape, and one side of the second lower rotatable unit 611 contacts the constant release button 62 described later.

상기 제2상부 회동유닛(612)은 상기 힌지(110)의 일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611)과 직각을 이룬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상부 회동유닛(612)은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611)이 추 운동될 경우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The second upper rotating unit 612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inge 110 and is perpendicular to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611. Therefore, the second upper rotating unit 612 is rota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when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611 is moved.

상기 제2상부 회동유닛(612)은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611)의 길이보다 약 2배 이상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The second upper rotating unit 612 is formed to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611 by at least two times.

이로 인해 평상시 상기 제2상부 회동유닛(612)의 무게 중심은 상수 저장공간(13)의 바닥면을 향해 쏠리게 되고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611)은 상기 상수 저장공간(13)의 내벽면을 향하게 된다.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upper rotating unit 612 is normally tilt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space 13 and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611 moves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space 13 Lt; / RTI >

이상 설명한 제2회동부(61)는 제2연결부(613)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2개폐부(50)와 연결된다.The second rotary part 61 described above is connected to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art 50 via the second connection part 613.

구체적으로 상기 제2연결부(613)는 쇠사슬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이 상기 제2개폐부(50)의 연결편(52)과 연결된다.Specifically,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613 may be formed of a chain or the like, and the low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613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piece 52 of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ortion 50.

상기 상수 배출용 버튼(62)은 상기 상수 저장공간(13)과 연결되는 이동안내용홀(132)에 관통설치되며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611)을 관통한다.The water discharge button 62 is inserted through a movable intake hole 132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space 13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lower rotation unit 611.

상기 상수 배출용 버튼(62)은 상기 이동안내용홀(132)과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안내용홀(132) 상에서 상수 저장공간(13) 또는 저장부(10)의 외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수 배출용 버튼(62)은 상수 저장공간(13) 측으로 이동될 경우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611)과 접촉된다.The button 62 for discharging the water is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movable eye opening hole 132 so that the constant water storage hole 13 or the outside of the storage box 10 Lt; / RTI > At this time, when the button 62 for discharging the water is moved toward the water storage space 13, it contacts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611.

이러한 상수 배출용 버튼(62)은 일부분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도록 저장부(10)의 외부로 돌출된다.The button 62 for discharging the water is protruded out of the storage part 10 so that the user can press the finger partly.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상수 배출용 버튼(62)의 둘레에는 상기 상수 저장공간(13)의 내벽면에 걸리는 걸림턱(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상수 배출용 버튼(62)은 상기 이동안내용홀(13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topping jaw (not shown) is formed around the water discharge button 62 to catch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space 13. Therefore, the button 62 for releasing the water is not released from the movable eye opening hole 132.

사용자가 상기 상수 배출용 버튼(62)을 누르게 되면 상기 상수 배출용 버튼(62)의 일면이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611)을 밀게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상부 회동유닛(612)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개폐부(50)가 제2연결부(613)에 의해 들어올려지게 됨에 따라 재활용수 저장공간(13)의 배출부(131)가 개방되며, 이로 인해 상수가 변기본체(20)의 내부에 공급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water discharge button 62, one surface of the water discharge button 62 pushes the second lower rotation unit 611. The second upper rotating unit 612 is rotated upward so that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50 is lifted up by the second connecting part 613 so that the discharging part 131 of the recycling water storage space 13 is opened, So that the constant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oilet bowl body 20.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수 배출용 버튼(62)에서 손을 떼게 되면 상기 제2상부 회동유닛(612)이 상수 저장공간(13)의 바닥면을 향해 회동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611)이 상수 배출용 버튼(62)의 일면을 밀게 되어 상수 배출용 버튼(62)의 전체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2개폐부(50)가 하강되어 상수 저장공간(13)의 배출부(131)를 밀폐시킨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releases his / her hand from the water discharge button 62, the second upper rotating unit 612 is rotat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space 13,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art 50 is lowered to the first opening / closing part 50 and the second opening / closing part 50,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에 담수되는 재활용수의 양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재활용수 배출부(40) 또는 상수 배출부(6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다시 브라켓(71)과 하부돌기(76)와 상부돌기(77)와 스토퍼(72)와 회동축(73)과 회동부(74)와 부력통(75)으로 나뉘어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7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cycled water discharging unit 40 or the water discharging unit 60 while being rota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ccording to the amount of the recycled water discharged in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The lower projection 76, the upper projection 77, the stopper 72, the rotary shaft 73, the rotary unit 74, and the buoyancy cylinder 75. The buoyancy cylinder 75 is a rotary shaft.

먼저, 상기 브라켓(71)은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일측벽과 상수 저장공간(13)의 일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직사각형 형상 또는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벽(11)을 사이에 두고 수평선상에 위치된다.The bracket 71 is installed on one side wall of the recycle water storage space 12 and one side wall of the water storage space 13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or semicircular shape. Is positioned on the horizontal line with a space therebetween.

상기 브라켓(71)에는 후술되는 회동축(73)이 관통될 수 있는 홀이 관통형성되어 있다.The bracket 71 is formed with a hole through which a rotation shaft 73,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an pass.

상기 상부돌기(76)는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의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그 하측에 형성되며 후술되는 스토퍼(72)와 마주한다.The upper protrusion 76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of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and faces a stopper 72 described later.

상기 하부돌기(77)는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의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그 상측에 형성되며 후술되는 스토퍼(72)와 마주한다.The lower protrusion 77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of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and faces a stopper 72 described later.

상기 스토퍼(72)는 실질적으로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 또는 상수 배출용 버튼(62)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일부분은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에 위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구획벽(11)의 회동 허용홈(111)을 통과하여 상수 저장공간(13)에 위치된다.The stopper 72 substanti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utton 4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or the button 62 for discharging the water, and a part of the stopper 72 is locat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Passes through the rotation allowing groove 111 of the wall 11 and is located in the constant storage space 13. [

이러한 스토퍼(72)는 평평한 직사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면이 상기 하부돌기(76) 또는 상부돌기(77)와 마주하게 된다.The stopper 72 may be formed in a flat rectangular bar shape and one side faces the lower projection 76 or the upper projection 77.

부가적으로 상기 스토퍼(72)의 양측에는 상기 브라켓(71)과 마주하는 결합편(721)이 절곡형성된다.In addition, engagement pieces 721 facing the bracket 7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opper 72.

상기 결합편(721)에는 브라켓(71)의 홀과 연결되며 후술되는 회동축(73)이 관통될 수 있는 홀이 관통형성 된다.The coupling piece 721 is formed with a hole that is connected to the hole of the bracket 71 and through which the pivot shaft 73 described later can pass.

상기 회동축(73)은 상기 브라켓(71)과 결합편(721)에 순차적으로 관통설치된다. 이로 인해 상기 스토퍼(72)는 상기 회동축(73)이 설치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The pivot shaft (73) is inserted through the bracket (71) and the engaging piece (721) in order. Accordingly, the stopper 72 can be pivoted up and down about the portion where the pivot shaft 73 is installed.

상기 회동부(74)는 상기 브라켓(71)의 일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구간 형성된다.The pivot portion (74)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bracket (71).

상기 회동부(74)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토퍼(72)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The pivot portion 74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r a circular shape and may be pivot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topper 72.

상기 부력통(75)은 상기 회동부(74)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회동부(74)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스토퍼(72)와 대칭형성된다.The buoyancy tube 75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winging part 74 and is formed symmetrically with the stopper 72 with the swinging part 74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부력통(75)은 내부가 빈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재활용수에 의해 부양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 재질 등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The buoyancy tube 75 may be formed in an empty elliptical shape and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or the like so that it can be lifted by recycled water.

이러한 부력통(75)은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에 담수되거나 배출되는 재활용수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The buoyancy tank 75 may be lifted or lowered by the recycled water discharged or discharged in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에 담수된 재활용수의 양이 적을 경우 상기 부력통(75)은 하강되고 상기 스토퍼(72)는 상기 회동축(73)이 설치된 부분을 중심으로 하측 방향으로 회동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회동부(74)는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바닥면을 향해 회동된다.3, when the amount of the recycled water drained in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is small, the buoyancy cylinder 75 is lowered and the stopper 72 is moved downward from the portion where the rotary shaft 73 is installed In this process, the rotation unit 74 is rotat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이렇게 되면 상기 스토퍼(72)는 상기 하부돌기(76)와 접촉되고 상기 상부돌기(77)와는 일정간격 이격된다.The stopper 72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rotrusion 76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rotrusion 77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하부돌기(76)는 상기 스토퍼(72)에 의해 막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0)를 누르더라도 상기 하부돌기(76)가 제1하부 회동유닛(411)을 밀 수 없게 된다.The lower protrusion 76 is blocked by the stopper 72 so that even if the button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420 is pressed, the lower protrusion 76 can not push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do.

그리고, 상기 스토퍼(72)는 상수 저장공간(13)에 위치된 상부돌기(77)와는 일정간격 이격되기 때문에 상기 상수 배출용 버튼(62)을 누르면 상기 상수 배출용 버튼(62)의 일면이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611)을 밀게 된다. 이로 인해 제2하부 회동유닛(611)이 전방을 향해 회동되고 상기 제2상부 회동유닛(612)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개폐부(50)가 제2연결부(613)에 의해 들어올려지게 되어 상수 저장공간(13)의 배출부(131)가 개방된다.Since the stopper 72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projection 77 locat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13 by pressing the water discharge button 62,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611 is pushed. As a result,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611 is rotated forward, and the second upper rotating unit 612 is rotated upward, so that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50 is lifted up by the second connecting unit 613 The discharge portion 131 of the constant storage space 13 is opened.

이와 반대로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에 재활용수가 적정량 담수될 경우, 상기 부력통(75)이 재활용수에 의해 상승되고 상기 스토퍼(72)는 상기 회동축(73)이 설치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측 방향으로 회동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회동부(74)는 상측으로 회동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cycled water is drained to a sufficient amount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the buoyancy cylinder 75 is raised by the recycled water, and the stopper 72 is moved upward And in this process, the rotation unit 74 is rotated upward.

이렇게 되면 상기 스토퍼(72)는 상부돌기(77)와 접촉되고 상기 하부돌기(76)와는 일정간격 이격된다.The stopper 72 contacts the upper protrusion 77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rotrusion 76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상부돌기(77)는 상기 스토퍼(72)에 의해 막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상수 배출용 버튼(62)를 누르더라도 상기 상부돌기(77)가 제2하부 회동유닛(611)을 밀 수 없게 된다.The upper projection 77 is blocked by the stopper 72 so that the upper projection 77 can not push the second lower rotation unit 611 even if the user presses the water discharge button 62 .

그리고, 상기 스토퍼(72)는 재활용수 저장공간(12)에 위치된 하부돌기(76)와는 일정간격 이격되기 때문에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을 누르면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의 일면이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을 밀게 된다. 이로 인해 제1하부 회동유닛(411)이 전방을 향해 회동되고 상기 제1상부 회동유닛(412)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개폐부(30)가 제1연결부(413)에 의해 들어올려지게 되어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배출부(121)가 개방된다.Since the stopper 72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projection 76 locat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by pressing the button 4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And one side pushes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As a result,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rotates forward and the first upper rotating unit 412 rotates upward, so that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30 is lifted up by the first connecting unit 413 The discharge portion 121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is opened.

다음으로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적용된 제어부(80)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Next, another embodiment of the control unit 80 appli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to 8. Fig.

상기 제어부(80)의 구성 및 작동방법이 변경될 경우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과 상수 배출용 버튼(62)의 구성도 변경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button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42 and the button for discharging the water 62 are changed whe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method of the controller 80 are changed.

이하에서는 제어부(80)의 작동방법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과 상수 배출용 버튼(62)에 대해 먼저 설명한 이후 상기 제어부(8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control unit 8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button 4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and the button 62 for discharging the water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control unit 80 can be easily understood.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은 다시 제1이동유닛(421)과 제1푸쉬유닛(422)으로 나뉘어 구성된다.The button 4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is further divided into a first moving unit 421 and a first push unit 422.

상기 제1이동유닛(421)은 직사각형 형상 또는 모서리 부분이 곡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도록 저장부(10)의 외부로 돌출된다.The first moving unit 42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r a curved shape at an edge portion and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10 so that the user can press it with a finger.

상기 제1푸쉬유닛(422)은 상기 제1이동유닛(421)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동안내용홀(12)을 관통하여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과 접촉된다.The first pushing unit 422 extends horizont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moving unit 421 and is dispos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through the moving inner hole 12, A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1푸쉬유닛(422)의 둘레에는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내벽면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은 상기 이동안내용홀(12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push unit 422 is formed with a stopping jaw which is hook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Therefore, the button 4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can not be released from the movable eye opening hole 122.

사용자가 상기 제1이동유닛(421)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제1푸쉬유닛(422)이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을 밀게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1상부 회동유닛(412)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개폐부(30)가 제1연결부(413)에 의해 들어올려지게 됨에 따라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배출부(121)가 개방되며, 이로 인해 재활용수가 변기본체(20)의 내부에 공급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first moving unit 421, the first push unit 422 pushes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The first upper rotating unit 412 is rotated upward so that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30 is lifted up by the first connecting part 413 so that the discharging part 121 of the recycling water storage space 12 is opened, So that the recycled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oilet bowl body 20.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이동유닛(421)에서 손을 떼게 되면 상기 제1상부 회동유닛(412)이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바닥면을 향해 회동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이 제1푸쉬유닛(422)을 밀게 되어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의 전체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개폐부(30)가 하강되어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배출부(121)를 밀폐시킨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releases his / her hand from the first moving unit 421, the first upper rotating unit 412 rotates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The unit 411 pushes the first push unit 422 so that the entire button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42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30 is lowered to the recycle water storage space 12 to seal the discharge portion 121 thereof.

상기 상수 배출용 버튼(62)은 상기 상수 저장공간(13)과 연결되는 이동안내용홀(132)에 관통설치되는 것으로, 다시 제2이동유닛(621)과 제2푸쉬유닛(622)으로 나뉘어 구성된다.The button 62 for discharging the water is installed through the movable eye opening hole 132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space 13 and is further divided into a second moving unit 621 and a second push unit 622 .

상기 제2이동유닛(621)은 직사각형 형상 또는 모서리 부분이 곡면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누를 수 있도록 저장부(10)의 외부로 돌출된다.The second moving unit 621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r a curved shape at an edge portion and is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10 so that the user can press it with a finger.

상기 제2푸쉬유닛(622)은 상기 제2이동유닛(621)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동안내용홀(132)을 관통하여 상수 저장공간(13)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611)과 접촉된다.The second push unit 622 extend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moving unit 621 and is position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13 through the moving eye hole 132, And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rotating unit 611.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2푸쉬유닛(622)의 둘레에는 상기 상수 저장공간(13)의 내벽면에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기 상수 배출용 버튼(62)은 상기 이동안내용홀(132)에서 이탈되지 않는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econd push unit 622 is formed with a locking protrusion around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space 13 around the second push unit 622. Therefore, the button 62 for releasing the water is not released from the movable eye opening hole 132.

사용자가 상기 제2이동유닛(621)을 누르게 되면 상기 제2푸쉬유닛(622)이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611)을 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제2상부 회동유닛(612)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개폐부(50)가 제2연결부(613)에 의해 들어올려지게 됨에 따라 상수 저장공간(13)의 배출부(131)가 개방되며, 이로 인해 상수가 변기본체(20)의 내부에 공급된다.When the user presses the second moving unit 621, the second push unit 622 pushes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611. The second upper rotation unit 612 is rotated upward so that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50 is lifted up by the second connection part 613 so that the discharge part 131 of the water storage space 13 So that the constant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toilet bowl body 20.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이동유닛(621)에서 손을 떼게 되면 상기 제2상부 회동유닛(612)이 상수 저장공간(13)의 바닥면을 향해 회동되며 이로 인해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611)이 제2푸쉬유닛(622)을 밀게 되어 상수 배출용 버튼(62)의 전체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개폐부(30)가 하강되어 상수 저장공간(13)의 배출부(131)를 밀폐시킨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releases the second moving unit 621, the second upper rotating unit 612 is rotate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space 13, The first push-button unit 611 pushes the second push unit 622 so that the entirety of the button 62 for discharging the water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t the same time, the first switch unit 30 is lowered, Thereby sealing the discharge portion 131.

이상 설명한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과 상수 배출용 버튼(62)은 상기한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도 1에 도시된 버튼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을 밝힌다.The recycling water discharge button 42 and the water discharge button 62 described above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hape but may be formed in a button shape as shown in Fig.

한편, 상기 제어부(80)는 회동축(81)과 회전체(82)와 제1회동부(83)와 스토퍼(84)와 제2회동부(85)와 부력통(86)으로 나뉘어 구성된다.The control unit 80 includes a rotary shaft 81, a rotary body 82, a first rotary unit 83, a stopper 84, a second rotary unit 85, and a buoyancy cylinder 86 .

상기 회동축(81)은 원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타측은 상기 구획벽(11)의 일측면에 설치되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바닥면과 수평을 이룬다.The rotary shaft 81 is formed in a circular rod shape and one sid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ecyclable water storage space 12 and the other sid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partition wall 11 and a recyclable water storage space 12, As shown in FIG.

상기 회전체(8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동축(81)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축(81) 상에서 양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The rotating body 82 is formed in a ring shape and mount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ng shaft 81 and can be rotated in both directions on the rotating shaft 81.

상기 제1회동부(83)는 회전체(82)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체(82)가 회동될 경우 상,하 방향으로 회동된다.The first rotary part 83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rotary body 82 and is rota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when the rotary body 82 is rotated.

이러한 제1회동부(83)는 일단이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을 향하는 구조가 된다.The first rotary part 83 has a structure in which one end is directed to the first lower rotary unit 411.

상기 스토퍼(84)는 실질적으로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 또는 상수 배출용 버튼(62)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상기 제1회동부(83)의 일측에 형성되며 일부분은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에 위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구획벽(11)의 회동 허용홈(111)을 통과하여 상수 저장공간(13)에 위치된다.The stopper 84 substanti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cycle water discharge button 42 or the water discharge button 62. The stopper 84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tation part 83,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located in the constant storage space 13 through the rotation allowable groove 111 of the partition wall 11. [

이러한 스토퍼(84)는 평평한 직사각형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측면이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 또는 제2하부 회동유닛(611)과 마주하게 된다.The stopper 84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flat rectangular bar and one side of the stopper 84 may face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or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611.

상기 제2회동부(85)는 상기 회전체(82)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82)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회동부(83)와 동일선상에 위치된다.The second rotary part 85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rotary body 82 and positioned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rotary part 83 with the rotary body 82 interposed therebetween.

이로 인해 상기 제2회동부(85)는 상기 제1회동부(83)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된다.Thus, the second rotary part 85 is rot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rotary part 83.

예를 들어 상기 제1회동부(83)가 상측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2회동부(85)는 하측 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제1회동부(83)가 하측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제2회동부(85)는 상측 방향으로 회동된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rotary part 83 is rotated in the upward direction, the second rotary part 85 is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When the first rotary part 83 is rotated in the downward direction, (85) is rotated in the upward direction.

상기 부력통(86)은 상기 제2회동부(85)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에 담수되거나 배출되는 재활용수에 의해 승강된다.The buoyancy tank 86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rotary part 85 and is raised and lowered by recycled water discharged or discharged in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도 7(실선기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에 담수된 재활용수의 양이 적을 경우, 상기 부력통(86)이 자중에 의해 하강되어 상기 스토퍼(84)는 상측으로 회동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스토퍼(84)는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과 접촉되면서 도 8(점선기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부 회동유닛(611)과는 일정간격 이격된다.As shown in FIG. 7 (solid line), when the amount of the recycled water drained in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is small, the buoyancy cylinder 86 is lowered by its own weight, . In this case, the stopper 84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lower rotation unit 6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shown in FIG. 8 (dotted lin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lower rotation unit 411.

이때,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611)은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스토퍼(84)가 부력통(86)과 수평을 이룰 경우 상기 스토퍼(84)와 접촉될 수 있다.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611 is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than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so that when the stopper 84 is horizontal with the buoyancy tube 86, Lt; / RTI >

다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411)은 상기 스토퍼(84)에 의해 막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1이동유닛(421)을 누르더라도 제1푸쉬유닛(422)이 제1하부 회동유닛(411)을 밀 수 없게 된다.7, since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is blocked by the stopper 84, even if the first pushing unit 422 presses the first moving unit 421,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can not be pushed.

그리고 도 8(점선기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84)는 상수 저장공간(13)에 위치된 제2하부 회동유닛(611)과는 일정간격 이격되기 때문에 상기 제2이동유닛(621)을 누르면 제2푸쉬유닛(622)이 제2하부 회동유닛(611)을 밀게 된다. 이로 인해 제2하부 회동유닛(611)이 전방을 향해 회동되고 상기 제2상부 회동유닛(612)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2개폐부(50)가 제2연결부(613)에 의해 들어 올려지게 됨에 따라 상수 저장공간(13)의 배출부(131)가 개방된다.Since the stopper 84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611 locat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13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s shown in FIG. 8 (dotted line), the second moving unit 621, The second pushing unit 622 pushes the second lower turning unit 611.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611 is rotated forward and the second upper rotating unit 612 is rotated upward so that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50 is lifted up by the second connecting unit 613 The discharge portion 131 of the constant storage space 13 is opened.

이와 반대로 도 7(점선기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에 재활용수가 적정량 담수될 경우, 상기 부력통(86)이 재활용수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스토퍼(84)는 하측으로 회동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스토퍼(84)는 도 8(실선기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부 회동유닛(611)과 접촉되면서 제1하부 회동유닛(411)과는 일정간격 이격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7 (dotted line), when the amount of recycled water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is adequately drained, the buoyancy cylinder 86 is raised by the recycled water, . The stopper 84 is separated from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by a predetermined distance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611 as shown in FIG. 8 (solid line reference).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611)은 상기 스토퍼(84)에 의해 막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제2이동유닛(621)을 누르더라도 제2푸쉬유닛(622)이 제2하부 회동유닛(611)을 밀 수 없게 된다.Since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611 is blocked by the stopper 84, even if the second pushing unit 622 presses the second moving unit 621,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611 You will not be able to push.

다시 도 7(점선기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84)는 재활용수 저장공간(12)에 위치된 제1하부 회동유닛(411)과는 일정간격 이격되기 때문에 제1이동유닛(421)을 누르면 상기 제1푸쉬유닛(422)이 제1하부 회동유닛(411)을 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상부 회동유닛(412)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제1개폐부(30)가 제1연결부(413)에 의해 들어올려지게 됨에 따라 재활용수 저장공간(12)의 배출부(131)가 개방된다.The stopper 84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411 locat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as shown in FIG. 7 (dotted line), so that the first moving unit 421, The first pushing unit 422 pushes the first lower turning unit 411. The first upper rotating unit 412 is rotated upward so that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30 is lifted up by the first connecting part 413 so that the discharging part 131 of the recycling water storage space 12 is opened, Is opened.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12)과 연결되는 저장부(10)에는 투시창(90)이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9, a viewing window 90 may be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10 connected 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상기 투시창(90)은 투명소재에 의해 형성되어, 사용자는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을 눌러보지 않고도 재활용수 저장공간(12)에 담수된 재활용수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viewing window 90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user can visually confirm the amount of the water recycled in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without pressing the button 4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즉, 사용자는 상기 투시창(90)을 통해 재활용수 저장공간(12)에 담수된 재활용수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재활용수 저장공간(12)에 재활용수가 많이 담수 되어 있지 않을 경우 상수 배출용 버튼(62)을 눌러 배설물을 처리하 하고, 이와 반대로 재활용수 저장공간(12)에 재활용수가 적정량으로 담수되어 있을 경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42)을 눌러 배설물을 처리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the user visually confirms the amount of the water recycled in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through the viewing window 90, and when the recycled water is not sufficiently stor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If the recycled water is desiccated in an appropriate amount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12, the discharged water can be processed by pressing the button 42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0 : 저장부 11 : 구획벽
111 : 회동 허용홈 12 : 재활용수 저장공간
121,131 : 배출부 122, 132 : 이동안내용홀
13 : 상수 저장공간 20 : 변기본체
30 : 제1개폐부 31,51 : 단턱
32,52 : 연결편 40 : 재활용수 배출부
41,83 : 제1회동부 411 : 제1하부 회동유닛
412 : 제1상부 회동유닛 413 : 제1연결부
42 :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 421 : 제1이동유닛
422 : 제1푸쉬유닛 50 : 제2개폐부
60 : 상수 배출부 61,85 : 제2회동부
611 : 제2하부 회동유닛 612 : 제2상부 회동유닛
613 : 제2연결부 62 : 상수 배출용 버튼
621 : 제2이동유닛 622 : 제2푸쉬유닛
70 ,80 : 제어부 71 : 브라켓
72,84 : 스토퍼 721 : 결합편
73,81 : 회동축 74 : 회동부
75,86 : 부력통 82 : 회전체
90 : 투시창 100,110,130,130' : 힌지
120,120' : 플러시 밸브 140 : 배출관
150 : 재활용수 공급관
10: Storage part 11: Compartment wall
111: Rotation allowable groove 12: Recyclable water storage space
121, 131: discharge part 122, 132:
13: Constant storage space 20:
30: first opening / closing part 31, 51:
32,52: Connecting piece 40: Recycled water discharging part
41, 83: first rotating part 411: first lower rotating unit
412: first upper rotating unit 413: first connecting portion
42: button for discharging recycled water 421: first moving unit
422: first push unit 50: second opening /
60: a constant water discharging portion 61, 85:
611: second lower rotating unit 612: second upper rotating unit
613: Second connection portion 62: Button for discharging the constant
621: second moving unit 622: second pushing unit
70, 80: control unit 71: bracket
72,84: Stopper 721: Coupling piece
73,81: Pivot shaft 74:
75, 86: buoyancy passage 82: rotating body
90: Viewing window 100, 110, 130, 130 ': Hinge
120, 120 ': Flush valve 140:
150: Recycled water supply pipe

Claims (8)

내부가 구획벽에 의해 재활용수 저장공간과 상수 저장공간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과 상수 저장공간에 배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저장부,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의 배출부에 설치되는 제1개폐부,
상기 저장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개폐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의 배출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재활용수 배출부,
상기 상수 저장공간의 배출부에 설치되는 제2개폐부,
상기 저장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개폐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상수 저장공간의 배출부가 개폐되도록 하는 상수 배출부,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에 담수되는 재활용수의 양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재활용수 배출부 또는 상기 상수 배출부 중 어느 하나가 작동될 경우 다른 하나의 작동은 제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의 일측벽과 상수 저장공간의 일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브라켓,
상기 재활용수 배출부의 제1하부 회동유닛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그 하측에 형성되는 하부돌기,
상기 재활용수 배출부의 제2하부 회동유닛 중앙부분을 중심으로 그 상측에 형성되는 상부돌기,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과 상수 저장공간에 위치되고 일측면이 상기 상부돌기 또는 하부돌기와 마주하며 양측에는 상기 브라켓과 마주하는 결합편이 형성된 스토퍼,
상기 브라켓과 결합편에 순차적으로 관통설치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회동축,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서 수평방향으로 소정구간 형성되며 상기 스토퍼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에 담수되거나 배출되는 재활용수에 의해 승강되는 부력통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는 재활용수가 사용되어 상기 부력통이 하강될 경우 하측으로 회동되어 상기 하부돌기와 접촉되면서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이 동작되지 않도록 하며, 재활용수가 채워져 상기 부력통이 상승될 경우 상측으로 회동되어 상부돌기와 접촉되면서 상수 배출용 버튼이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변기.
Wherein the recycling water storage space and the water storage space are divided into a recycle water storage space and a constant water storage space by a partition wall,
A first opening and closing part installed in a discharge part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A recycling water discharge unit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and moving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part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A second opening and closing part provided at a discharge part of the water storage space,
A water discharge unit installed in the storage unit and moving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unit of the water storage space,
And a control unit which is rota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recycled water to be drain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thereby limiting the operation of the other one when any one of the recycled water discharge unit and the constant discharge unit is operated,
Wherein,
A bracket installed on one side wall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and one side wall of the water storage space,
A lower projec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of the recycled water discharging portion,
An upper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er portion of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of the recycled water discharging portion,
A stopper which is locat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and the water storage space and has one side surface facing the upper projection or the lower projection and a coupling piece facing the bracket on both sides,
A rotating shaft which is sequentially inserted through the bracket and the engaging piece so that the stopper can be rota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 rotating part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a horizontal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bracket and rotatable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stopper,
And a buoyancy tank formed on one side of the swing unit and being lifted and lowered by recycled water that is desiccated or discharged in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When the buoyant canister is lowered, the stopper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lower protrusion so that the button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is not operated. When the buoyant canister rises due to the filling of the recycle water, the upper stopper A toilet seat to prevent the button for discharging the water from being operated while being contacted.
제1항에서,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과 연결되는 저장부의 일측에 설치되는 투시창을 더 포함하는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And a viewing window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제1항에서,
상기 재활용수 배출부는,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의 내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추 운동될 수 있는 제1하부 회동유닛, 상기 힌지에 결합되고 상기 제1하부 회동 유닛과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이 추 운동될 경우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며 일측이 제1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1개폐부와 연결되는 제1상부 회동유닛을 포함하는 제1회동부,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과 연결되는 저장부의 일측면에 관통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과 접촉되며,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을 밀어 상기 제1상부 회동유닛이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제1개폐부가 제1연결부에 의해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을 포함하는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recycling water discharging portion
A first lower rotating unit hinged to the inside of the recycling water storage space and capable of being moved around the hinge, a second lower rotating unit coupled to the hinge and being perpendicular to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A first turning unit including a first upper turning unit that is pivoted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nd is connected to the first opening and closing unit via a first connecting unit,
The first upper rotating unit is pivotally moved upward by pushing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so that the first upper rotating unit is pivotally moved upwardly by being pushed through one side of the storage unit connected 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And a button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so that the one opening and closing part is lifted by the first connecting part.
제1항에서,
상기 상수 배출부는,
상기 상수 저장공간의 내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추 운동될 수 있는 제2하부 회동유닛, 상기 힌지에 결합되고 제2하부 회동 유닛과 직각을 이루며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이 추 운동될 경우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며 일측이 제2연결부를 매개로 하여 상기 제2개폐부와 연결되는 제2상부 회동유닛을 포함하는 제2회동부,
상기 상수 저장공간과 연결되는 저장부의 일측면에 관통설치되고 일측이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과 접촉되며,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을 밀어 상기 제2상부 회동유닛이 상측으로 회동되도록 하므로서 상기 제2개폐부가 제2연결부에 의해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상수 배출용 버튼을 포함하는 변기.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stant-
A second lower rotating unit hinged to the inside of the water storage space and being able to move about the hinge, a second lower rotating unit coupled to the hinge and being perpendicular to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A second turning unit including a second upper turning unit that is rotated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s a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opening and closing unit via a second connecting unit,
And the second upper rotating unit is pivotally moved upward by pushing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so that the second upper rotating unit is rotated upward, And a button for releasing the constant opening of the opening / closing portion by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삭제delete 제3항에서,
상기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은,
상기 저장부의 재활용수 저장공간 또는 저장부의 외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으며, 일부분이 상기 저장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1이동유닛,
상기 제1이동유닛의 상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을 미는 제1푸쉬유닛
을 포함하는 변기.
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utton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comprises:
A first moving unit that can be moved toward the recycling water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unit or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and a part of which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unit,
A first pushing unit that extends horizontally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moving unit and pushes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
제4항에서,
상기 상수 배출용 버튼은,
상기 저장부의 상수 저장공간 또는 저장부의 외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으며, 일부분이 상기 저장부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제2이동유닛,
상기 제2이동유닛의 하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2하부 회동유닛을 미는 제2푸쉬유닛
을 포함하는 변기.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utton for discharging the constant-
A second moving unit that can be moved toward the outside of the storage space or the storage unit of the storage unit and a part of which protrudes outside the storage unit,
A second pushing unit that extends horizontally at a lower end of the second moving unit and pushes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
제6항 또는 제7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의 일측벽과 구획벽의 사이에 수평설치되는 회동축,
상기 회동축의 외주연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축 상에서 양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회전체,
상기 회전체의 일측면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고 일단이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을 향하는 제1회동부,
상기 제1회동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과 상수 저장공간에 위치되고 일측면이 상기 제1하부 회동유닛 또는 제2하부 회동유닛과 마주하는 스토퍼,
상기 회전체의 타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체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회동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1회동부와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는 제2회동부,
상기 제2회동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재활용수 저장공간에 담수되거나 배출되는 재활용수에 의해 승강되는 부력통
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는 재활용수가 사용되어 상기 부력통이 하강될 경우 상측으로 회동되어 제1하부 회동유닛과 접촉되면서 재활용수 배출용 버튼이 동작되지 않도록 하며, 재활용수가 채워져 상기 부력통이 상승될 경우 하측으로 회동되어 제2하부 회동유닛과 접촉되면서 상수 배출용 버튼이 동작되지 않도록 하는 변기.
8.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or 7,
Wherein,
A rotary shaft horizontally installed between one side wall of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and the partition wall,
A rotating body mounted on an outer periphery of the rotating shaft and capable of rotating in both directions on the rotating shaft,
A first pivoting part provided on one side of the rotating body and rotated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and having one end directed toward the first lower rotating unit,
A stopper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otary part and is located in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and the constant water storage space and whose one side faces the first lower rotary unit or the second lower rotary unit,
A second pivoting portion that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rotating body and is disposed on the same line as the first pivoting portion with the rotating body therebetween and is rot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first pivoting portion,
And a buoyancy tank which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rotary part and is lifted and lowered by recycled water discharged or discharged into the recycled water storage space,
/ RTI >
The stopper is rotated upward when the buoyancy container is lowered by using recycled water, so that the button for discharging the recycled water is not opera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lower rotation unit. When the buoyancy container is lifted up, So that the button for discharging the water can not be operated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second lower rotating unit.
KR1020130133965A 2013-11-06 2013-11-06 Toilet KR1015473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965A KR101547338B1 (en) 2013-11-06 2013-11-06 Toil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3965A KR101547338B1 (en) 2013-11-06 2013-11-06 Toile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509A KR20150052509A (en) 2015-05-14
KR101547338B1 true KR101547338B1 (en) 2015-08-25

Family

ID=53389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3965A KR101547338B1 (en) 2013-11-06 2013-11-06 Toil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33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4052B1 (en) * 2020-10-15 2022-07-21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Toilet seat with an elbow switc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7240Y1 (en) * 2001-06-14 2001-10-29 박주환 Water economizing toilet bowl
JP2002242256A (en) 2001-02-15 2002-08-28 Seiichi Miyazaki Low-installation water tank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2256A (en) 2001-02-15 2002-08-28 Seiichi Miyazaki Low-installation water tank
KR200247240Y1 (en) * 2001-06-14 2001-10-29 박주환 Water economizing toilet bow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2509A (en) 2015-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357B1 (en) Water-saving toilet
KR200202253Y1 (en) A toilet stool for economize water
KR101547338B1 (en) Toilet
JP4877034B2 (en) Turn trap flush toilet
JP4304461B2 (en) Turn trap flush toilet
JP4927107B2 (en) Turn trap flush toilet
JP2014224432A (en) Toilet bowl washing equipment
US8468618B2 (en) Sink insert
JP6805807B2 (en) Toilet unit
KR200476196Y1 (en) Toilet bowl produced all in one with sink
KR101529967B1 (en) Wash basin toilet wastewater recycling system
KR20140083494A (en) Toilet bowl for water-saving, deodorization and noise reduction
JP5804416B2 (en) Retractable urinal
KR100960432B1 (en) Structure of filtering apparatus in sink
KR101476620B1 (en) Toilet bowl for water-saving and noise reduction
KR20150134799A (en) Cleaning system of ceramic integrated bidet
KR102424052B1 (en) Toilet seat with an elbow switch
GB2047301A (en) Dual-flush valve-discharge cisterns
KR20140078865A (en) Toilet stool having water drain handle linked with cover
KR102089102B1 (en) champer pot opening and closing device of movable type bathroom
JP3243223U (en) toilet toy
KR20010015995A (en) Water-saving toilet
KR20100051606A (en) Urinal of the self-supporting
JP2011074686A (en) Drain valve device
JP5622174B2 (en) Washing water tan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