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178B1 -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178B1
KR101547178B1 KR1020130080566A KR20130080566A KR101547178B1 KR 101547178 B1 KR101547178 B1 KR 101547178B1 KR 1020130080566 A KR1020130080566 A KR 1020130080566A KR 20130080566 A KR20130080566 A KR 20130080566A KR 101547178 B1 KR101547178 B1 KR 1015471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delete delete
base body
elastomer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0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9034A (ko
Inventor
옥순천
홍성호
변진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전앤한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전앤한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전앤한단
Priority to KR1020130080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178B1/ko
Publication of KR201500090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90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1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1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엘라스토머 스킨(elastomeric skin)을 가지는 박형의 모바일 기기 케이스는 액상 수지를 이용한 이중 사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엘라스토머 박막 스킨에 의한 소프트한 질감 및 탄성 그립감(grip feeling)을 지님과 아울러, 범퍼 기능을 가지며, 선택적으로는 저면에 방습용 림을 형성하거나 또는 엘라스토머 스킨의 외표면에 다양한 패턴의 부여가 가능함은 물론 도장 공정과 같은 후공정의 생략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FOR THE CASE OF MOBILE DEVICE HAVING ELASTOMERIC SKIN}
본 발명은 엘라스토머 스킨(elastomeric skin)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 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1액형, 2액형 또는 3액형 액상 수지를 이용한 이중 사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엘라스토머 박막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엘라스토머 박막 스킨에 의한 소프트한 질감과 부드러운 탄성 그립감(grip feeling)을 나타내는 전혀 새로운 느낌의 제품 감성을 지님과 아울러, 외부 충격으로부터 하우징을 보호하는 범퍼 기능을 가지며, 액상 수지의 높은 유동성으로 인하여 성형품의 외관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엘라스토머 박막 스킨에 의한 1차 사출 케이스 외표면의 싱크마크(sink mark)나 웰드라인(weld line)을 효과적으로 은폐할 수가 있고, 엘라스토머 박막 스킨자체가 완성도 높은 소프트한 질감을 나타내며, 선택적으로는 배면에 액상 실리콘 성형을 통한 방수 구조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 외표면에 금형을 이용한 다양한 패턴 부여가 가능하므로, 하도, 중도, 상도 코팅으로 이루어지는 도장 공정이나 텍스쳐링(texturing) 공정과 같은 후공정의 생략이 가능하고, 특히 액상 엘라스토머 성형재로 이중 사출하는 것에 의하여 엘라스토머 박막 스킨을 성형하므로 성형 케이스 두께를 최소화할 수가 있다.
오늘날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 등과 같은 다양한 모바일 기기는 우수한 이동성(Mobility), 처리 역량(Processing) 및, 제어(Control) 특성을 가지므로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정보를 다운로드 및/또는 업로드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므로 현대인의 생활에 있어 그 활용도 및 사용빈도는 급속히 확장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는 본질적으로 간편한 휴대성을 그 주요 특징의 하나로 하므로, 전자 기술의 발전에 따라 급속한 고기능화에도 불구하고 경박단소화(輕薄短小化)되는 추세에 있다.
부연하면, 일반 모바일 기기, 그 중에서도 특히 소형 제품인 피처폰(pitcher phone)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폰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수지재(樹脂材) 외장 케이스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최소 0.8mm 이상, 그리고 흔하게는 약 1mm 이상이며, 노트북과 같은 약 20인치 크기의 수지재 외장 케이스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약 2mm 정도의 두께가 요구되며, 상기한 모바일 기기용 외장 케이스의 소재로서는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레이트(P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A와 ABS의 알로이(alloy), 또는 유리 섬유 촙(chop)을 충진재(filler)로서 상기한 수지원료와 균질하게 단순 혼합하여 강도 보강을 도모한 것들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종래의 방안으로서 유리섬유 원단편을 이용한 수지 이송 성형법(RTM: Resin Transfer Molding method)에 의하여 두께 약 0.5~0.7mm의 초박형화된 휴대폰용 외장 케이스를 구현하고 있으며, 열가소성 수지만을 사용하거나 또는 그에 충진재로서의 유리 섬유 촙을 균질하게 혼입시킨 경우에 비하여 약 4배 정도의 인장강도 향상을 달성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기술 모두는 하드한 그립감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용 외장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써, 그 어느 것도 엘라스토머 스킨(elastomeric skin)을 보유하여 소프트한 그립감과 질감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용 외장 케이스에 대한 것은 아니다.
한편, 모바일 기기의 외장 케이스에 소프트한 느낌을 부여하기 위하여 종래의 이중사출 기술에 의해 엘라스토머 스킨을 형성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한 두께 약 0.8~1.2mm 정도의 통상적인 1차 사출물의 외표면에, 금형 온도 약 60~90℃, 노즐 온도 약 280~320℃의 통상적인 이중사출 조건으로 폴리우레탄 그레인을 고온 용융하여 고압으로 사출함으로써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할 경우 용융 수지의 충진 프로파일을 고려할 때 두께 0.8mm 미만으로 형성할 수는 없었으므로 결과적으로 케이스의 최종 두께가 약 1.6~2.0mm 정도의 상대적으로 매우 두꺼운 두께를 가지는 외장 케이스를 제조할 수는 있겠으나, 이는 근자의 모바일 기기의 박형화 추세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후형화(厚形化)된 외장 케이스는 모바일 기기의 휴대 및 사용 편의성에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용 외장 케이스의 외표면에 엘라스토머 박막 스킨을 형성할 수만 있다면, 넌슬립성(non-slip property) 및 그립성(grip property)을 모바일 기기에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의 내충격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은 물론, 대부분의 모바일 기기 사용자들이 박형화에 따른 높은 휴대 편의성을 희생하면서까지 실리콘이나 폴리우레탄과 같은 엘라스토머 범퍼 케이스를 별도로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할 필요성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이러한 엘라스토머 박막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외장 케이스는 가능하지 않은 것으로 믿어져 왔다.
또한 최근의 많은 종류의 스마트 폰들은 배면에 금속 또는 수지 박판으로 된 배면 커버 아래의 하부 케이싱 외표면에 배터리 저장부와 복수의 고정 나사공, 또는 안테나 혹은 카메라 등이 위치하고 있으므로 습기나 방수에 매우 취약하며, 따라서 스마트 폰을 습기나 물기가 많은 표면에 놓을 경우 배면 커버의 체결 틈을 통하여 하부 케이싱의 배면으로 습기나 물기가 침투하기 쉽고 이는 기기의 오작동이나 고장을 초래할 우려가 높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종래의 방안으로서는 별도의 방수링을 이용하여 케이스의 외곽 부분을 패킹하는 형태가 제안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방수 링의 사용은 부품 수 및 공수 증가로 인한 제조 원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소프트한 질감과 부드러운 탄성 그립감(grip feeling)을 보유하여 새로운 제품 감성을 나타내는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우수한 넌슬립성(non-slip property) 및 그립성(grip property)을 모바일 기기에 부여할 수가 있는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모바일 기기의 내충격성 제고에 유용한 범퍼(bumper) 기능을 보유한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전술한 제반 목적에 더하여 엘라스토머 스킨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박형화 내지 초박형화된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은 다양한 패턴이 형성된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목적은 모바일 기기의 저면에 노출되어 있는 배터리 저장부와 복수의 고정 나사공, 또는 안테나나 카메라 설치부 등을 통한 습기나 수분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오작동이나 고장의 우려를 제거할 수가 있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곱 번째 목적은 전술한 제반 목적에 따른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를 효과적으로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덟 번째 목적은 성형품의 외관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엘라스토머 스킨에 의해 1차 사출 케이스 외표면의 싱크마크(sink mark)나 웰드라인(weld line)을 효과적으로 은폐할 수가 있는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아홉 번째 목적은 하도, 중도, 상도 코팅으로 이루어지는 도장 공정이나 텍스쳐링(texturing) 공정과 같은 후공정의 생략이 가능한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aspect)에 따르면, 두께 0.4~0.7mm, 바람직하게는 0.5~0.6mm의 베이스 본체와; 상기한 베이스 본체의 외표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두께 0.03~0.35mm, 바람직하게는 0.05~0.1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1mm의 엘라스토머 스킨(elastomeric skin)으로 구성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한 베이스 본체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레이트(P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A/ABS 알로이(alloy), 유리섬유 충진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유리섬유 충진 폴리아크릴레이트(P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수지로 사출 성형된 성형품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두께 0.1~0.5mm, 바람직하게는 0.3~0.4mm의 베이스 본체와; 상기한 베이스 본체의 외표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두께 0.03~0.35mm, 바람직하게는 0.05~0.1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1mm의 엘라스토머 스킨(elastomeric skin)과; 상기한 베이스 본체의 저면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는 조립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가 제공된다.
상기한 조립 프레임의 두께가 0.15~0.3mm, 바람직하게는 0.15~0.25mm이다.
여기서, 상기한 베이스 본체는 적어도 한 겹의 섬유 원단편에 폴리우레탄(PU),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레이트(P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PA/ABS 알로이(alloy)가 침투되어 경화된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이다.
여기서 상기한 조립 프레임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레이트(P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A/ABS 알로이(alloy), 유리섬유 충진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유리섬유 충진 폴리아크릴레이트(P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수지로 사출 성형된 성형품이다.
한편,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은 폴리우레탄,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엘라스토머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다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은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 엘라스토머 스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은 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의 미세 패턴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여섯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모바일 기기의 저면에 노출되어 있는 배터리부나 카메라부 등과 같은 기능부 및 나사 구멍과 같은 고정부 영역을 에워싸 외부 환경으로부터의 습기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방습용 엘라스토머성(elastomeric) 림(rim)이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가 제공된다.
상기한 엘라스토머성 림은 실리콘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A) 두께 0.4~0.7mm, 바람직하게는 0.5~0.6mm의 베이스 본체(base body)를 1차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B) 상기한 베이스 본체의 외표면에 두께 0.03~0.35mm, 바람직하게는 0.05~0.1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1mm의 엘라스토머 스킨(elastomeric skin)을 액상 제형으로 도징(dosing)하여 이중 사출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한 베이스 본체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레이트(P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A/ABS 알로이(alloy), 유리섬유 충진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유리섬유 충진 폴리아크릴레이트(P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수지로 사출 성형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여섯 번째 내지 여덟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A) 적어도 한 겹의 섬유 원단편에 열가소성 수지를 침투시켜 경화함으로써 두께 0.1~0.5mm, 바람직하게는 0.3~0.4mm의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으로 된 베이스 본체(base body)를 포밍(forming)하는 단계와; (B) 상기한 베이스 본체의 저면 가장자리에 조립 프레임을 인서트 이중 사출하여 성형하는 단계와; (C) 상기한 베이스 본체의 외표면에 두께 0.03~0.35mm, 바람직하게는 0.05~0.1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1mm의 엘라스토머 스킨(elastomeric skin)을 액상 제형으로 도징(dosing)하여 이중 사출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한 단계 (A)의 베이스 본체 포밍 단계는 수지 이송 성형(RTM: resin transfer molding)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단계 (A)의 베이스 본체 포밍 단계는 (A1) 적어도 한 겹(ply)의 섬유 원단을 열가소성 수지로 함침(impregnation) 시키는 단계; (A2) 열가소성 수지 함침 섬유 원단을 박형화(薄形化)하는 단계; (A3) 예열하는 단계; 및 (A4) 가열된 금형 중에 위치시켜 형폐(型閉)하고 가압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단계 (A)의 베이스 본체 포밍 단계는 (A1) 적어도 한 겹(ply)의 섬유 원단 각각의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일면에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와, (A2) 열가소성 수지 시트 섬유 원단을 박형화(薄形化)하는 단계와, (A3) 예열하는 단계와, (A4) 가열된 금형 중에 위치시켜 형폐(型閉)하고 가압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베이스 본체에 적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우레탄(PU),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레이트(P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PA/ABS 알로이(alloy)이다.
상기한 조립 프레임의 두께는 0.15~0.3mm, 바람직하게는 0.15~0.25mm이다.
여기서, 상기한 조립 프레임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레이트(P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A/ABS 알로이(alloy), 유리섬유 충진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유리섬유 충진 폴리아크릴레이트(P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수지로 사출 성형된다.
한편,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은 폴리우레탄,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엘라스토머이다.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은 2액형 액상 폴리우레탄의 도징(dosing)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2액형 액상 폴리우레탄의 도징은 금형 온도 80~130℃, 바람직하게는 90~115℃의 온도 조건 하에, 도징 압력 100~360 bar, 바람직하게는 155~165bar의 압력 조건 하에 수행된다.
또한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은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 엘라스토머 스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내측 표면에 패턴이 형성된 금형을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의 외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의 미세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적어도 한 겹의 섬유 원단은 직조(fabric) 또는 부직(non-fabric)의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상품명 케블라(kevla)와 같은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 또는 아라미드(aramid) 섬유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예열 단계는 예열 온도 160~220℃, 예열 시간 30~60초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한 가압 단계에서는 금형을 120~160℃로 가열한 상태에서 예열된 열가소성 수지 함침 원단을 위치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한 가압 단계에서는 금형을 1~3 ton/cm2의 압력으로 형폐하여 40~120초간 프레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베이스 본체의 사출 성형 단계 (A)와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의 이중 사출 단계 (B) 사이, 또는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의 이중 사출 단계 (B)에 후속하여 엘라스토머성 림의 이중 사출 단계를 더욱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베이스 본체의 포밍 단계 (A)와 상기한 조립 프레임의 인서트 이중 사출 단계 (B) 사이, 또는 상기한 조립 프레임의 인서트 이중 사출 단계 (B)와 엘라스토머 스킨의 이중 사출 단계 (C) 사이, 또는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의 이중 사출 단계 (C)에 후속하여 엘라스토머성 림의 이중 사출 단계를 더욱 수행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는 소프트한 질감과 부드러운 탄성 그립감(grip feeling)을 보유하여 새로운 제품 감성을 나타내며, 모바일 기기에 우수한 넌슬립성(non-slip property) 및 그립성(grip property)과 아울러, 범퍼 기능에 의한 내충격성을 부여할 수가 있고, 특히 엘라스토머 스킨의 존재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박형화 내지 초박형화 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는 그 이면에 엘라스토머성 림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습기 또는 물기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음은 물론, 그 외표면에 다양한 패턴의 형성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성형품의 외관 불량을 최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엘라스토머 스킨에 의해 1차 사출 케이스 외표면의 싱크마크(sink mark)나 웰드라인(weld line)을 효과적으로 은폐할 수가 있음과 더불어, 하도, 중도, 상도 코팅으로 이루어지는 도장 공정이나 텍스쳐링(texturing) 공정과 같은 후공정의 생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 따른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가상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가상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다른 I-I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또 다른 I-I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베이스 본체의 표면 결함에 대한 엘라스토머 스킨의 결함 커버 기능을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 공정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제조 공정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평면 사진이다.
도 11은 도 10의 절개 단면 사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죽 패턴이 형성된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다른 평면 사진이다.
도 13은 가죽 패턴 적용 엘라스토머 스킨의 확대 사진이다.
도 14a는 도 5에서의 방습용 엘라스토머성 림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4b는 도 14a의 일부 확대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을 통하여 사용되는 “모바일 기기(mobile device)”란 용어는 휴대폰(Cellular Phone), MP3(MPEG(Moving Pictures Experts Group)-1 Audio Layer-3), PMP(Portable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laptop) 노트북, 미니 노트북, UMPC(Ultra-mobile Personal Computer), 태블릿 PC, 스마트폰(smart phone), 차량 거치용 네비게이션(Navigation), 휴대용 게임기기(Play Station Portable), 전자사전 등 휴대 가능하고 정보의 업로드 및/또는 다운로드가 가능한 모든 전자기기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엘라스토머 스킨(elastomeric skin)”이라는 용어는 1액형, 2액형 또는 3액형의 액상 제형으로서 금형 내에서 중합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탄성 중합체로 된 박막 스킨으로서, 1차 사출 성형되거나, 또는 RTM(수지이송성형: resin transfer molding)법 또는 금형을 이용한 가압 열 포밍(forming)에 의해 형성되는 섬유 원단편을 포함하는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본체의 적어도 일부 영역 또는 노출 외표면 전체 영역에 이중 사출에 의해 형성되는 두께 0.03~0.35mm, 바람직하게는 0.05~0.1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1mm의 탄성 박막 스킨으로 정의되며, 모바일 기기에 소프트 필링(soft feeling)과 우수한 논슬립성(non-slip property) 및 그립성(grip property)과 내충격성을 부여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구체예에 따른 엘라스토머 스킨(3)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1)의 가상 분해도로서, 도시된 모바일 기기 케이스(1)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베이스 본체(2)와 상기한 베이스 본체(2)의 외표면에 이중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박막 형태의 엘라스토머 스킨(3)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베이스 본체(2)는 두께 0.4~0.7mm, 바람직하게는 0.5~0.6mm의 범위이며,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3)은 두께 0.03~0.35mm, 바람직하게는 0.05~0.1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1mm의 범위이다.
여기서, 상기한 베이스 본체(2)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레이트(P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A/ABS 알로이(alloy), 10~30중량%의 유리섬유 충진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10~60중량%의 유리섬유 충진 폴리아크릴레이트(PA)의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수지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하다면 상기한 수지 외의 수지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베이스 본체(2)의 저면 테두리의 소정 개소에는 복수의 체결부(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구체예에 따른 엘라스토머 스킨(3)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1a)의 가상 분해도로서, 도시된 모바일 기기 케이스(1a)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으로 형성되는 베이스 본체(2)와, 상기한 베이스 본체의 저면 가장자리에 인서트 이중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조립 프레임(4)과, 상기한 베이스 본체(2)의 외표면에 이중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엘라스토머 스킨(3)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베이스 본체(2)는 두께가 0.1~0.5mm, 바람직하게는 0.3~0.4mm의 범위이고,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3)은 두께가 0.03~0.35mm, 바람직하게는 0.05~0.1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1mm의 범위이며, 상기한 조립 프레임(4)의 두께는 0.15~0.3mm, 바람직하게는 0.15~0.25mm의 범위이다.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조립 프레임(4)은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나의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의 조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여기서 상기한 조립 프레임(4)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레이트(P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A/ABS 알로이(alloy), 유리섬유 충진 폴리카보네이트(PC), 또는 유리섬유 충진 폴리아크릴레이트(PA)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한 조립 프레임(4)의 저면 소정 개소에는 복수의 체결부(4a)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상기한 베이스 본체(2)가 적어도 한 겹의 섬유 원단편(미도시)이 라미네이션(lamination)되고, 여기에 폴리우레탄(PU),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레이트(P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PA/ABS 알로이(alloy)가 침투되어 경화된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으로 형성된 경우를 타나내고 있다.
또한 도 1 및 도 2의 모든 경우에 있어서,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4)은 2액형 또는 3액형의 폴리우레탄,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또는 실리콘으로 금형 내 중합 및/또는 경화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4)은 안료를 포함하는 착색된 형태일 수 있으며, 또한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4)의 외표면에는 음각 또는 양각의 미세 패턴(도 12 참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한 미세 패턴의 예로써는 가죽 질감의 미세 패턴을 들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엘라스토머 스킨(4)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1 또는 1a)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도 1의 모바일 기기 케이스(1)인 경우)의 I-I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다른 I-I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도 2의 모바일 기기 케이스(1a)인 경우)의 또 다른 I-I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케이스(1 또는 1a)가 박형화 내지 초박형화된 형태임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먼저, 도 4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케이스(1)는 사출 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1차 사출물로서의 베이스 본체(2)가 두께 0.4~0.7mm, 바람직하게는 0.5~0.6mm의 박형(薄形)이며, 상기한 베이스 본체(2)의 외표면에 이중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박막 형태의 엘라스토머 스킨(3)은 두께 0.03~0.35mm, 바람직하게는 0.05~0.1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1mm의 범위, 특정하게는 0.1mm의 초박형으로서, 상기한 베이스 본체(2)의 적어도 일부 영역 또는 노출된 외표면 전 영역을 덮는 커버 스킨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케이스(1)의 전체적인 두께는 0.43~0.75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5~0.7mm의 범위, 일반적으로는 0.6~0.7mm의 범위이다.
한편,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케이스(1)는 베이스 본체(2)의 저면에 엘라스토머성 림(2)이 이중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선택적인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상기한 엘라스토머성 림(5)은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장착부(미도시)나 카메라부(미도시) 또는 안테나부(미도시) 등과 같은 기능부, 또는 고정 나사 구멍과 같은 고정부(미도시) 영역을 에워싸는 형태로 체결되어 방습 또는 방수용 패킹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한 기능부 또는 고정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적절한 형상, 예컨대, 사각형, 타원형, 원형 등과 같은 적절한 형태의 폐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엘라스토머성 림(5)의 소재로서는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3)의 소재로 거론된 것 중 임의의 것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3)과 엘라스토머성 림(5)의 소재는 상호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고, 상기한 엘라스토머성 림(5)의 소재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우수한 방수성을 나타내는 실리콘이다.
이어서, 도 6에 나타낸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케이스(1a)는 FRP 성형물로서의 베이스 본체(2)가 두께 0.1~0.5mm, 바람직하게는 0.3~0.4mm의 박형(薄形)이며, 상기한 베이스 본체(2)의 저면 테두리 부분에 인서트 이중 사출에 의하여 형성되는 조립 프레임(4)의 두께는 0.15~0.3mm, 바람직하게는 0.15~0.25mm의 박형이고, 상기한 베이스 본체(2)에 상기한 조립 프레임(4)이 인서트 이중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한 베이스 본체(2)의 외표면에 이중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박막 형태의 엘라스토머 스킨(3)은 두께 0.03~0.35mm, 바람직하게는 0.05~0.15mm,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1mm의 범위, 특정하게는 0.1mm의 초박형으로 형성되어, 상기한 베이스 본체(2)의 적어도 일부 영역 또는 노출된 외표면 전 영역을 덮는 커버 스킨을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바일 기기 케이스(1a)의 전체적인 두께는 0.4~0.75m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45~0.7mm의 범위, 일반적으로는 0.6~0.7mm의 범위이다.
도 7은 베이스 본체(2) 표면 결함에 대한 엘라스토머 스킨(3)의 결함 커버 기능을 설명하는 모식 단면도로서, 베이스 본체(2)의 외표면에 싱크 마크 및/또는 웰딩 라인과 같은 결함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엘라스토머 스킨(3)을 그 외표면에 피복하는 것에 의해 상기한 결함이 은폐 내지 커버됨을 모식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도 8 및 도 9의 제조 공정도를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8은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모바일 기기 케이스(1)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시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 케이스(1)의 제조방법은, (A) 두께 0.4~0.7mm, 바람직하게는 0.5~0.6mm 범위의 베이스 본체(2)를 1차 사출 성형하는 단계와, (B) 그에 후속하여 상기한 베이스 본체(2)의 외표면에 두께 0.03~0.35mm, 바람직하게는 0.05~0.15mm의 범위, 특정하게는 0.1mm의 엘라스토머 스킨(3)을 액상 제형으로 도징(dosing)하여 이중 사출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4)은 폴리우레탄,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실리콘 등과 같이 1액형, 2액형, 또는 3액형의 액상 제형으로 도징(dosing)되어 금형 내에서 중합되어 경화하거나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나, 펠릿 또는 그레인 형태로 제공되어 포트 내에서 고온 하 용융시켜 고압으로 런너 게이트를 따라 주입되는 제형은 본 발명에서 의도하는 바와 같은 박형화 내지 초박형화가 곤란하므로 이는 배제된다.
이러한 액상 제형은 1액형인 경우에는 폴리올 단독 형태이고, 2액형인 경우에는 주제로서의 폴리올과 예컨대 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경화제로 구성됨이 통상적이며, 3액형인 경우에는 주제로서의 1액 폴리올과, 2액 경화제와, 충진제, 가소제, 안정화제, 안료, 방염제, 대전 방지제등과 같은 3액으로 구성됨이 통상적이다.
여기서 2액형 또는 3액형인 경우 각 제제의 배합비는 설비의 종류와 성형 제품의 형상에 따라 큰 범위에 걸쳐 변화되며 최종 성형물의 경화시 경도 조정을 위하여 그 비율을 조정함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3)이 2액형 액상 폴리우레탄의 도징(dosing)에 의하여 형성되는 경우에는, 금형 온도 80~130℃, 바람직하게는 90~115℃, 도징 압력 100~360 bar, 바람직하게는 155~165 bar, 주입 시간 1~10초, 바람직하게는 2~5초에 걸쳐 주입한다.
상기한 폴리우레탄의 경우, 통상적인 이중 사출에 사용되는 펠릿 또는 그레인 형태로 된 것을 용융시킬 경우 유동성은 13kgcm3/10 min(용융 체적률 200℃)으로 상대적으로 대단히 작으므로 박막 형태로 이중 사출할 수 없지만, 2액형의 액상 제형인 경우에는 1액으로서의 주제가 2000~300cps(25℃)이고 제2액으로서의 경화제는 1000~1500cps(25℃)에 불과하여 유동성이 상대적으로 매우 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 스킨(3)을 박형화 내지 초박형화할 수가 있다.
상기한 베이스 본체(2)와 엘라스토머 스킨(3)의 재질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이상의 부연은 생략하기로 한다.
엘라스토머 스킨(3)이 이중 사출에 의하여 일체화된 베이스 본체(2)는 외관을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가공한다.
이어서, 필요하다면 스피커 그릴이나 다른 결착 고정부 등과 같은 부자재를 접착 또는 인서트 이중 사출 등에 의해 조립(부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있어서는 종래에 있어서와 같이 하도(下塗: primer), 중도(中塗: liner), 상도(上塗: top coating)를 순차적으로 도포하는 도장 공정이나 또는 텍스쳐링(texturing) 공정은 불필요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은 모바일 기기 케이스(1a)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시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모바일 기기 케이스(1a)의 제조방법은, (A) 적어도 한 겹의 섬유 원단편(미도시)에 열가소성 수지를 침투시켜 경화함으로써 두께 0.1~0.5mm, 바람직하게는 0.3~0.4mm의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으로 된 베이스 본체(2)를 포밍(forming)하는 단계와, (B) 상기한 베이스 본체(2)의 저면 가장자리에 두께 0.15~0.3mm, 바람직하게는 0.15~0.25mm의 조립 프레임(4)을 인서트 이중 사출하여 성형하는 단계와, (C) 상기한 베이스 본체(2)의 외표면에 두께 0.03~0.35mm, 바람직하게는 0.05~0.15mm, 특정하게는 0.1mm의 엘라스토머 스킨(3)을 액상 제형으로 도징(dosing)하여 이중 사출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단계 (A)에서의 베이스 본체(2)의 포밍 단계는 선택적으로 수지 이송 성형(RTM: resin transfer molding)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단계 (A)에서의 베이스 본체(2)의 포밍 단계가 (A1) 적어도 한 겹(ply)의 섬유 원단(미도시)을 열가소성 수지로 함침(impregnation) 시키는 단계와, (A2) 열가소성 수지 함침 섬유 원단(미도시)을 예컨대 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는 바와 같은 수단 등에 의하여 박형화(薄形化)하는 단계와, (A3) 섬유 원단을 예열하는 단계와, (A4) 예열된 섬유 원단을 가열된 금형 중에 위치시켜 형폐(型閉)하고 가압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는, 상기한 단계 (A)에서의 베이스 본체(2)의 포밍 단계가 (A1) 적어도 한 겹(ply)의 섬유 원단(미도시) 각각의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일면에 열가소성 수지 시트(미도시)를 적층하는 단계와, (A2) 적층된 열가소성 수지 시트 섬유 원단(미도시)을 예컨대 롤러 사이로 통과시키는 바와 같은 수단 등에 의하여 박형화(薄形化)하는 단계와, (A3) 박형화된 섬유 원단을 예열하는 단계와, (A4) 예열된 섬유 원단을 가열된 금형 중에 위치시켜 형폐(型閉)하고 가압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상기한 적어도 한 겹의 섬유 원단은 직조(fabric) 또는 부직(non-fabric)의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상품명 ‘케블라’의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 또는 아라미드(aramid) 섬유일 수 있다.
전술한 예열 단계 (A3)는 예열 온도 160~220℃, 예열 시간 30~60초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가압 단계(A4)에서는 금형을 120~160℃로 가열한 상태에서 예열된 섬유 원단을 위치시키고, 금형을 1~3 ton/cm2의 압력으로 형폐하여 40~120초간 프레싱하는 것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3)의 이중 사출 단계에서 안료를 포함시켜 착색 엘라스토머 스킨(3)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필요하다면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4)의 이중 사출 단계에서 내측 표면에 패턴이 형성된 금형을 이용함으로써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3)의 외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의 미세 패턴, 예컨대 가죽 질감의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시 도 9로 환원하여 설명하면, 섬유 원단(미도시)을 RTM법 또는 금형 내 가열 가압에 의한 라미네이트 섬유 원단 시트의 포밍 후, 가장 자리를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가공한 다음, 조립 프레임(4)을 인서트 이중 사출에 의하여 베이스 본체(2)의 저면 가장자리에 일체화 시키고, 이중 사출에 의하여 엘라스토머 스킨(3)을 베이스 본체(2)의 외표면(상면)에 형성시키고, 외관을 CNC(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가공하게 된다.
이어서, 필요하다면 스피커 그릴이나 다른 결착 고정부 등과 같은 부자재를 접착 또는 인서트 이중 사출 등에 의해 조립(부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도시된 방법에 있어서도, 종래에 있어서와 같이 하도(下塗: primer), 중도(中塗: liner), 상도(上塗: top coating)를 순차적으로 도포하는 도장 공정이나 또는 텍스쳐링(texturing) 공정은 불필요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본체(2)의 저면에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 장착부나 카메라부 또는 안테나부와 같은 기능부(미도시) 또는 고정 나사공과 같은 고정부(미도시)에 체결되어 방수 또는 방습 패킹으로 기능하는 엘라스토머성 림(5)을 형성하는 본 발명의 선택적인 경우에 있어서, 상기한 엘라스토머성 림(5)의 형성 단계는 하기의 순서로 수행할 수 있다.
베이스 본체(2)를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베이스 본체(2)의 1차 사출 성형 단계에 후속하여 엘라스토머성 림(5)의 형성 단계를 수행한 다음, 엘라스토머 스킨(3)을 이중 사출하고 CNC 가공하거나, 또는 CNC 가공 후 엘라스토머 스킨(3)을 이중 사출하거나; 또는 베이스 본체(2)의 1차 사출 성형 단계에 후속하여 바로 후속하여 엘라스토머 스킨(3)을 이중 사출한 다음, 상기한 엘라스토머성 림(5)을 다시 이중 사출하고 CNC 가공하거나, 또는 CNC 가공 후에 엘라스토머 스킨(3)을 이중 사출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본체(2)를 RTM 또는 포밍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RTM 또는 포밍 단계에 후속하여 CNC 가공한 다음, 조립 프레임(4)의 인서트 이중 사출 전 또는 후에 엘라스토머성 림(5)을 이중 사출하고, 엘라스토머 스킨(3)을 이중 사출한 후, 외관 CNC 가공을 수행하거나; 또는 RTM 또는 포밍 단계에 후속하여 CNC 가공한 다음, 조립 프레임(4)의 인서트 이중 사출을 수행하고, 엘라스토머 스킨(3)의 이중 사출 전 또는 후에 엘라스토머성 림(5)을 이중 사출한 후, 외관 CNC 가공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어서, 필요하다면 스피커 그릴이나 다른 결착 고정부 등과 같은 부자재를 접착 또는 인서트 이중 사출 등에 의해 조립(부착)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후공정으로서의 도장 단계는 본 발명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디자인 사양이나 특정한 품질 요구 조건에 따라 필요하다면 UV 보호 코팅이나 소프트 필 보강용 폴리우레탄 코팅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이들 도장 공정을 더욱 적용할 경우 유광 또는 무광 표면의 어느 것에도 적용가능하며, 또한 필요하다면 색상 부여를 후공정 도장 단계에서 수행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평면 사진이고, 도 11은 도 10의 절개 단면 사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죽 패턴이 형성된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평면 사진이며, 도 13은 가죽 패턴 적용 엘라스토머 스킨의 확대 사진이고, 도 14a는 베이스 본체(도 5의 도면부호 2 참조)의 저면에 배터리 장착부를 패킹하기 위한 엘라스토머성 림(도 5의 도면부호 5 참조)을 일체로 형성시킨 경우를 나타내는 저면 사진이며, 도 14b는 도 14a의 일부 확대 사진이다.
이상, 본 발명에 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1,1a: 본 발명에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
2: 베이스 본체
2a: 체결부 2b: 싱크마크(sink mark)
2c: 웰딩 라인(welding line)
3: 엘라스토머 스킨(elastomeric skin)
4: 조립 프레임
4a: 체결부 4b: 개구부
5: 엘라스토머성 림(rim)

Claims (3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하기의 단계로 구성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A) 적어도 한 겹의 섬유 원단편에 열가소성 수지를 침투시켜 경화함으로써 두께 0.1~0.5mm의 섬유강화 플라스틱(FRP: fiber reinforced plastic)으로 된 베이스 본체(base body)를 포밍(forming)하는 단계와;
    (B) 상기한 베이스 본체의 저면 가장자리에 조립 프레임을 인서트 이중 사출하여 성형하는 단계와;
    (C) 상기한 베이스 본체의 외표면에 두께 0.03~0.35mm의 엘라스토머 스킨(elastomeric skin)을 액상 제형(formulation)으로 도징(dosing)하여 이중 사출하는 단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베이스 본체의 두께가 0.3~0.4mm이고,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의 두께가 0.05~0.15mm이며, 상기한 조립 프레임의 두께가 0.15~0.3mm인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계 (A)의 베이스 본체 포밍 단계가 수지 이송 성형(RTM: resin transfer molding)에 의하여 수행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계 (A)의 베이스 본체 포밍 단계가 (A1) 적어도 한 겹(ply)의 섬유 원단을 열가소성 수지로 함침(impregnation) 시키는 단계; (A2) 열가소성 수지 함침 섬유 원단을 박형화(薄形化)하는 단계; (A3) 예열하는 단계; 및 (A4) 가열된 금형 중에 위치시켜 형폐(型閉)하고 가압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21.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단계 (A)의 베이스 본체 포밍 단계가 (A1) 적어도 한 겹(ply)의 섬유 원단 각각의 상면과 저면 중 적어도 일면에 열가소성 수지 시트를 적층하는 단계; (A2) 열가소성 수지 시트 섬유 원단을 박형화(薄形化)하는 단계; (A3) 예열하는 단계; 및 (A4) 가열된 금형 중에 위치시켜 형폐(型閉)하고 가압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베이스 본체의 포밍에 적용되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우레탄(PU),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레이트(P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또는 PA/ABS 알로이(alloy)이고; 상기한 조립 프레임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크릴레이트(PA),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PA/ABS 알로이(alloy), 유리섬유 충진 폴리카보네이트(PC) 및, 유리섬유 충진 폴리아크릴레이트(PA)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수지로 사출 성형되며;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이 폴리우레탄, 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엘라스토머,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및,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엘라스토머인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제22항에 있어서,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이 2액형 액상 폴리우레탄의 도징(dosing)에 의하여 형성되며, 상기한 도징이 금형 온도 80~130℃, 도징 압력 100~360 bar로 수행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27. 삭제
  2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적어도 한 겹의 섬유 원단은 직조(fabric) 또는 부직(non-fabric)의 유리 섬유, 탄소 섬유, 방향족 폴리아마이드 섬유, 또는 아라미드(aramid) 섬유인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29.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한 예열 단계 (A3)가 예열 온도 160~220℃, 예열 시간 30~60초로 수행되고; 상기한 가압 단계(A4)는 금형을 120~160℃로 가열한 상태에서 예열된 섬유 원단을 위치시키고 금형을 1~3 ton/cm2의 압력으로 형폐하여 40~120초간 프레싱하는 것으로 수행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30. 삭제
  31. 삭제
  3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의 이중 사출 단계에서 안료를 포함시켜 착색 엘라스토머 스킨을 형성하는 모비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3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의 이중 사출 단계에서 내측 표면에 패턴이 형성된 금형을 이용하여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의 외표면에 음각 또는 양각의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모비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34. 삭제
  35. 제17항에 있어서, 상기한 베이스 본체의 포밍 단계 (A)와 상기한 조립 프레임의 인서트 이중 사출 단계 (B) 사이, 또는 상기한 조립 프레임의 인서트 이중 사출 단계 (B)와 엘라스토머 스킨의 이중 사출 단계 (C) 사이, 또는 상기한 엘라스토머 스킨의 이중 사출 단계 (C)에 후속하여 엘라스토머성 림의 이중 사출 단계를 더욱 수행하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20130080566A 2013-07-09 2013-07-09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5471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566A KR101547178B1 (ko) 2013-07-09 2013-07-09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0566A KR101547178B1 (ko) 2013-07-09 2013-07-09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034A KR20150009034A (ko) 2015-01-26
KR101547178B1 true KR101547178B1 (ko) 2015-09-07

Family

ID=52572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0566A KR101547178B1 (ko) 2013-07-09 2013-07-09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1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0927A (zh) * 2019-03-12 2019-06-28 南通通州湾新材料科技有限公司 复合塑料外壳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451229B1 (ko) * 2021-02-15 2022-10-06 (주)커버뷰 극세사 원단, 직물, 합성피혁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또는 태블릿, 백색가전의 커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8343A1 (en) 2008-09-30 2010-04-01 Hoellwarth Quin C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20024560A1 (en) 2010-07-27 2012-02-02 Ryan Hill Mongan Case for enclosing and remaining attached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pplied fabric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8343A1 (en) 2008-09-30 2010-04-01 Hoellwarth Quin C Cov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120024560A1 (en) 2010-07-27 2012-02-02 Ryan Hill Mongan Case for enclosing and remaining attached to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pplied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9034A (ko) 2015-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8829B2 (ja) アンテナ付射出成形同時加飾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アンテナ付筐体の給電構造
KR101993805B1 (ko) 휴대단말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US7428427B2 (en) IMF cover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70170621A1 (en) Cov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456370B2 (en) Housing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90136708A1 (en) Composite Structure Of Composite Substrate And Plastic Material
US20110318591A1 (e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90301748A1 (en) Hous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hous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1547178B1 (ko)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제조방법
KR101420614B1 (ko) 모바일 기기용 외장 케이스
US9529389B1 (en) Variable plated device enclosure
US9788431B2 (en) Housing, electronic device using same,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090163101A1 (en) Multi-layered molded article with improved bonding between layers
US9451714B2 (en) Housing components of handheld electronic devices
KR20140141875A (ko) 모바일 기기 케이스의 포밍 방법
KR20170117720A (ko) 박막 배터리 커버의 제조 방법
KR101362720B1 (ko) 모바일 기기용 외장 케이스의 제조방법
EP3663067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real material product having composite layer and using liquid-phase reactive curing method
WO2015191076A1 (en) Composite bonded leather cases
KR101501034B1 (ko) 일체형 방수부재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및 그 방수부재 어셈블리
US20110318592A1 (en) Molded articl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12006394A (ja) 射出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164471U (ja) 有機材料を接合した工業製品の構造
TWI376185B (en) Housing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10254413A1 (en) Casing of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