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7030B1 -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7030B1
KR101547030B1 KR1020130167112A KR20130167112A KR101547030B1 KR 101547030 B1 KR101547030 B1 KR 101547030B1 KR 1020130167112 A KR1020130167112 A KR 1020130167112A KR 20130167112 A KR20130167112 A KR 20130167112A KR 101547030 B1 KR101547030 B1 KR 101547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s
latent
variable
construction
desig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80110A (ko
Inventor
한승헌
이용욱
장우식
유현우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7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7030B1/ko
Publication of KR20150080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80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7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7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06Q10/06375Prediction of business process outcome or impact based on a proposed chang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장치는 구조 방정식 모델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잠재 변수들의 산출을 위해 필요한 측정 변수들에 관하여 고안된 설문조사 항목들에 대한 설문응답 데이터를 저장하는 설문응답 데이터베이스, 각각의 측정 변수들에 상응하는 설문조사 항목들의 설문응답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측정 변수들의 입력값들을 산출하는 측정 변수 산출부, 구조 방정식 모델에 대해, 측정 변수들의 입력값들에 따라 잠재 변수들 사이 및 잠재 변수들과 종속 변수 사이의 경로 분석을 수행하여 시공성에 대한 각각의 잠재 변수들의 영향 효과를 산출하는 구조 방정식 모델 처리부 및 시공성에 대한 영향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적어도 하나의 잠재 변수 내지 측정 변수들로서 시공성 개선을 위한 우선 영향 요인들을 선정하는 시공성 분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구조 방정식 모델은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 주체 중 설계, 시공 및 본사 지원 부문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씩 선정된 잠재 변수들 및 측정 변수들을 포함하고 종속 변수로서 시공성을 포함하여 구축될 수 있다.

Description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SSESSING CONSTRUCTABILITY OF INTERNATIONAL CONSTRUCTION PROJECTS}
본 발명은 건설 프로젝트의 사업 타당성 평가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에 관한 것이다.
건설 프로젝트의 생애 주기(life cycle)는 기획, 설계, 시공, 운영 및 유지 보수의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기획 단계에서 사업 아이템이 선정되고, 사업의 타당성이 평가되며, 설계 단계에서 대지에 적합한 시설물 및 공법 세부를 설계하고, 시공 단계에서 시방서 및 규정에 맞게 시설물을 시공하며, 운영 및 유지 보수 단계에서 완공된 시설물의 운영과 하자 보수를 실시한다.
초기의 기획 단계에서 사업의 성격이 기획되고 타당성을 판정하며 최적 대안이 선정되어 사업 시행 여부가 판단되어야 하므로, 정확한 정보를 토대로 적절히 결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사업의 극초기에 비가시적인 위험을 예측하고 산정하며 최대한 많은 영향 요소들을 고려하여 사업성을 판단하는 기획 단계는 매우 중요하다.
건설 프로젝트의 생애에 대비하여, 기획 단계가 차지하는 비용의 비율은 매우 적지만, 기획 단계에서 결정된 사항들이 이후의 단계들에서 소요되는 비용에 미치는 영향력은 절대적이다.
한편, 해외 건설 프로젝트들은 해마다 규모가 커지고 있지만 시공에 요구되는 기술 수준이 급격히 증가하고 시공 절차가 더욱 복잡해지는 데다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어서, 수익성은 감소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획 단계에서 수익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시공성 평가(constructability assessment)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시공성의 중요성은 역으로 시공 단계의 비효율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역사적으로 시공 단계는 설계 단계와 별개로 여겨져 왔다. 설계와 시공은 서로 독자적으로 개념이 정립되고 발전되어 왔고 설계자와 시공자도 별도로 존재한다. 이에 따라 각 단계에서 설계자와 시공자 사이에 커뮤니케이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서로의 정보를 통합적으로 공유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시공 시에 문제가 발생하면 서로 상대방을 비난하고 자신의 책임을 인정하지 않는다.
이렇듯 건설 프로젝트에서 각 단계의 분리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공성(constructability)이라는 개념이 등장하였다.
초기에 시공성의 개념은 프로젝트의 계획, 자원 조달, 합리적 설계, 품질 관리를 중점으로 착안되었지만 최근에는 프로젝트의 전체 생애 주기로 확대되어, 기획, 설계, 구매 조달, 시공, 유지 관리의 각 단계들이 효과적으로 통합됨으로써 시공 단계에서 설계의 변경, 시공법의 변경, 재작업을 최소화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품질을 향상할 수 있도록 지식과 경험을 공유하는 것으로 정립되고 있다. 시공성 자체는 아직까지 개념이 통일되지 않았고 정의에 따라 달라지지만, 시공성은 여러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다원적인 개념이라는 점은 견해가 일치한다. 따라서, 시공성을 구체적으로 하나의 변수로서 수치화하여 표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어떤 프로젝트 내에서 어떤 요인을 어떻게 취급하느냐에 다라 상대적으로 시공성을 향상시키거나 악화시킬 수 있고, 시공성의 상대적인 비교가 제한적으로나마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시공성은 건설 프로젝트의 전체 단계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범위와 그러한 요인들이 영향을 주고 받는 양태를 의미하고, 시공성의 평가(assessment)는 이러한 의미에서 시공성의 상대적인 우열을 판단하는 과정이며 이러한 시공성을 평가하고 개선하는 작업이 궁극적으로는 건설 프로젝트의 최적화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에 시공성을 평가하는 기법들 중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에 기반하는 기법들은, 정보가 부족한 프로젝트 초기의 기획 단계에, 극도로 복잡해진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업무 영역별 시공성 영향 요인들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또한 기존의 시공성 평가 기법들은, 시공성 개념을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 특정한 공종에 대한 체크리스트 개발에 치중하여 왔기 때문에, 시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선택과 집중 전략을 취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프로젝트 초기의 기획 단계에서 여러 변수들 간에 복잡하게 연결된 인과 관계를 분석할 수 있고 측정 오차를 고려할 수 있는 새로운 시공성 평가 기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프로젝트의 초기 기획 단계에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을 평가하고 프로젝트를 최적화할 수 있는 시공성 평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시공성 영향 요인들 사이의 인과 관계와 영향 정도를 분석하여 영향력이 크고 인과 관계가 밀접한 우선적인 영향 요인들을 도출할 수 있는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장치는,
구조 방정식 모델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잠재 변수들의 산출을 위해 필요한 측정 변수들에 관하여 고안된 설문조사 항목들에 대한 설문응답 데이터를 저장하는 설문응답 데이터베이스;
각각의 측정 변수들에 상응하는 설문조사 항목들의 설문응답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측정 변수들의 입력값들을 산출하는 측정 변수 산출부;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에 대해, 측정 변수들의 입력값들에 따라 잠재 변수들 사이 및 잠재 변수들과 종속 변수 사이의 경로 분석을 수행하여 시공성에 대한 각각의 잠재 변수들의 영향 효과를 산출하는 구조 방정식 모델 처리부; 및
시공성에 대한 영향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적어도 하나의 잠재 변수 내지 측정 변수들로서 시공성 개선을 위한 우선 영향 요인들을 선정하는 시공성 분석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 주체 중 설계, 시공 및 본사 지원 부문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씩 선정된 잠재 변수들 및 측정 변수들을 포함하고 종속 변수로서 시공성을 포함하여 구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 주체 중 설계 부문에서 설계의 복잡성 잠재 변수,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 및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설계 부문에서, 설계의 복잡성 잠재 변수에 대해, 재료의 표준화, 규격화 반영 미흡, 발주처의 무리한 설계 기준 및 기술 요구 및 시공작업의 반복/단순화 고려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고,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에 대해, 불합리한 배치 계획, 실행공사비 반영 미흡, 부적절한 장비/자재설계 적용 및 설계 오류로 인한 재설계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며,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에 대해, 진출국의 현장 조건의 고려, 시공자의 실무지식 설계 반영 미흡, 시공자의 상세 도면, 시방서 파악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 주체 중 시공 부문에서 생산관리 잠재 변수, 현장관리 잠재 변수 및 협업관리 잠재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시공 부문에서, 생산관리 잠재 변수에 대해, 적절한 시공공법 적용 및 파악 미흡, 작업 순서 및 인터페이스 파악 미흡, 자재 및 장비 조달방식 파악 및 관리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고,
현장관리 잠재 변수에 대해, 불합리한 현장 배치 계획, 진출국의 열악한 인프라 시설, 안전관리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며,
협업관리 잠재 변수에 대해, 협력 업체의 시공 및 기술능력 부족, 현지노무의 생산성 및 의사소통 능력 부족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 주체 중 본사 지원 부문에서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 및 진출국/발주처 여건 잠재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본사 지원 부문에서, 본사연계 및 기타업무 잠재 변수에 대해, 부적절한 관리조직 편성, 물가/환율 조사 및 대응 미흡, 민원발생 및 클레임 처리 미흡, 서류, 문서화 작업의 지연 및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고,
진출국/발주처 여견 잠재 변수에 대해, 진출국의 제도 특성 고려 미흡, 진출국의 문화 특성에 따른 시공의 변동성 미흡, 진출국의 정국 불안과 사회적 혼란으로 인한 지연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 주체 중 설계 부문에서 설계의 복잡성 잠재 변수,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 및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를 포함하고,
시공 부문에서 생산관리 잠재 변수, 현장관리 잠재 변수 및 협업관리 잠재 변수를 포함하며,
본사 지원 부문에서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 및 진출국/발주처 여건 잠재 변수를 포함하고,
종속 변수와 잠재 변수들 사이에서는, 시공성 종속 변수에 관하여, 시공 부문의 생산관리 잠재 변수, 현장관리 잠재 변수, 협업관리 잠재 변수의 각각 및 설계 부문 중 설계-시공 간의 상호 관계 잠재 변수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는 경로들이 각각 설정되며,
잠재 변수들 사이에서는, 설계의 복잡성 잠재 변수에 관하여,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 생산관리 잠재 변수 및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되고,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에 관하여,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 생산관리 잠재 변수, 현장관리 잠재 변수 및 협업관리 잠재 변수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되며,
설계-시공 상호관계 잠재 변수에 관하여, 생산관리 잠재 변수 및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되고,
생산관리 잠재 변수에 관하여, 생산관리 잠재 변수가 영향을 주는 다른 잠재 변수가 없으며,
현장관리 잠재 변수, 협업관리 잠재 변수 및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의 각각에 관하여, 생산관리 잠재 변수에 영향을 주는 경로가 각각 설정되고,
진출국/발주처 여견 잠재 변수에 관하여, 나머지 다른 모든 잠재 변수들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은,
구조 방정식 모델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잠재 변수들의 산출을 위해 필요한 측정 변수들에 관하여 고안된 설문조사 항목들에 대한 설문응답 데이터를 설문응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각각의 측정 변수들에 상응하는 설문조사 항목들의 설문응답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측정 변수들의 입력값들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에 대해, 측정 변수들의 입력값들에 따라 잠재 변수들 사이 및 잠재 변수들과 종속 변수 사이의 경로 분석을 수행하여 시공성에 대한 각각의 잠재 변수들의 영향 효과를 산출하는 단계; 및
시공성에 대한 영향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적어도 하나의 잠재 변수 내지 측정 변수들로서 시공성 개선을 위한 우선 영향 요인들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 주체 중 설계, 시공 및 본사 지원 부문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씩 선정된 잠재 변수들 및 측정 변수들을 포함하고 종속 변수로서 시공성을 포함하여 구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 주체 중 설계 부문에서 설계의 복잡성 잠재 변수,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 및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설계 부문에서, 설계의 복잡성 잠재 변수에 대해, 재료의 표준화, 규격화 반영 미흡, 발주처의 무리한 설계 기준 및 기술 요구 및 시공작업의 반복/단순화 고려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고,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에 대해, 불합리한 배치 계획, 실행공사비 반영 미흡, 부적절한 장비/자재설계 적용 및 설계 오류로 인한 재설계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며,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에 대해, 진출국의 현장 조건의 고려, 시공자의 실무지식 설계 반영 미흡, 시공자의 상세 도면, 시방서 파악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 주체 중 시공 부문에서 생산관리 잠재 변수, 현장관리 잠재 변수 및 협업관리 잠재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시공 부문에서, 생산관리 잠재 변수에 대해, 적절한 시공공법 적용 및 파악 미흡, 작업 순서 및 인터페이스 파악 미흡, 자재 및 장비 조달방식 파악 및 관리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고,
현장관리 잠재 변수에 대해, 불합리한 현장 배치 계획, 진출국의 열악한 인프라 시설, 안전관리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며,
협업관리 잠재 변수에 대해, 협력 업체의 시공 및 기술능력 부족, 현지노무의 생산성 및 의사소통 능력 부족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 주체 중 본사 지원 부문에서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 및 진출국/발주처 여건 잠재 변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본사 지원 부문에서, 본사연계 및 기타업무 잠재 변수에 대해, 부적절한 관리조직 편성, 물가/환율 조사 및 대응 미흡, 민원발생 및 클레임 처리 미흡, 서류, 문서화 작업의 지연 및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고,
진출국/발주처 여견 잠재 변수에 대해, 진출국의 제도 특성 고려 미흡, 진출국의 문화 특성에 따른 시공의 변동성 미흡, 진출국의 정국 불안과 사회적 혼란으로 인한 지연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 주체 중 설계 부문에서 설계의 복잡성 잠재 변수,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 및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를 포함하고,
시공 부문에서 생산관리 잠재 변수, 현장관리 잠재 변수 및 협업관리 잠재 변수를 포함하며,
본사 지원 부문에서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 및 진출국/발주처 여건 잠재 변수를 포함하고,
종속 변수와 잠재 변수들 사이에서는, 시공성 종속 변수에 관하여, 시공 부문의 생산관리 잠재 변수, 현장관리 잠재 변수, 협업관리 잠재 변수의 각각 및 설계 부문 중 설계-시공 간의 상호 관계 잠재 변수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는 경로들이 각각 설정되며,
잠재 변수들 사이에서는, 설계의 복잡성 잠재 변수에 관하여,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 생산관리 잠재 변수 및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되고,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에 관하여,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 생산관리 잠재 변수, 현장관리 잠재 변수 및 협업관리 잠재 변수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되며,
설계-시공 상호관계 잠재 변수에 관하여, 생산관리 잠재 변수 및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되고,
생산관리 잠재 변수에 관하여, 생산관리 잠재 변수가 영향을 주는 다른 잠재 변수가 없으며,
현장관리 잠재 변수, 협업관리 잠재 변수 및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의 각각에 관하여, 생산관리 잠재 변수에 영향을 주는 경로가 각각 설정되고,
진출국/발주처 여견 잠재 변수에 관하여, 나머지 다른 모든 잠재 변수들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초기 기획 단계에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을 평가하고 프로젝트를 최적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시공성 영향 요인들 사이의 인과 관계와 영향 정도를 분석하여 영향력이 크고 인과 관계가 밀접한 우선적인 영향 요인들을 도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우선적인 영향 요인들을 중심으로 시공성 향상을 위한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를 위한 구조 방정식 모델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를 위한 구조 방정식 모델의 잠재 변수들와 측정 변수들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장치를 예시한 블록도이다.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장치(10)는 설문 조사 데이터베이스(11), 측정 변수 산출부(12), 구조 방정식 모델 처리부(13) 및 시공성 분석부(14)를 포함할 수 있다.
설문 조사 데이터베이스(11)는 구조 방정식 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잠재 변수들(latent variables)의 산출을 위해 필요한 측정 변수들(observed variables)에 관하여 고안된 설문조사 항목들에 대한 전문가들의 설문응답 데이터를 저장한다.
설문조사는 건설 프로젝트의 설계, 시공, 본사 지원, 감리 등의 실무자들을 대상으로, 시공성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시공성 영향 요인들에 대하여 실무자들이 경험이나 의견을 반영하여 리커트(Likert) 5점 또는 7점 등간척도로 응답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여기서 리커트 5점(7점) 등간척도는 최저 1점부터 최대 5점(7점) 사이의 값으로 응답하라는 설문조사 방식이다.
설문조사로 획득하는 설문응답 데이터는, 구조 방정식 모델에 기초한 시공성 평가 모델에 대해, 외부에서, 즉 객관적으로 비교적 정확하게 관찰할 수 있는 측정 변수들에 대한 원 자료들이다.
다만, 구조 방정식 모델에 입력될 측정 변수의 입력값은, 설문조사의 5점 또는 7점 등간척도 설문 응답들을 그대로 이용하기보다는, 0 ~ 1 범위, 또는 0% ~ 100% 범위의 정규화된 형태로 입력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리커트 7점 등간척도에서 1점과 7점은 각각 측정 변수 입력값 0과 1에 상응한다.
이를 위해, 측정 변수 산출부(12)는 각각의 측정 변수들에 상응하는 설문조사 항목들의 설문응답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측정 변수들의 입력값들을 산출한다.
예를 들어 "설계의 복잡성" 이라는 잠재 변수를 위한 측정 변수 "재료의 표준화 및 규격화 반영 미흡"을 입력하기 위해 "재료의 표준화 및 규격화 반영 미흡이 시공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칩니까?"라는 7점 등간척도 설문조사 항목이 있고, 그 설문조사 항목에 대한 전문가들의 설문응답 데이터를 분석하니 평균 4.6 점이었다고 가정하면, 측정 변수 "재료의 표준화 및 규격화 반영 미흡"의 입력값은 (4.6-1)/(7-1) = 0.6이다.
이러한 측정 변수들은 구조 방정식 모델 내부의 잠재 변수들을 산출하는 데에 이용된다. 나아가, 잠재 변수들은 구조 방정식 모델 내에서 다른 잠재 변수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구조 방정식 모델 내에서 잠재 변수들 사이의 영향 관계에 의해 최종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종속 변수에 대한 총영향이 결정된다. 따라서, 각각의 측정 변수들을 위한 설문조사 결과로부터 측정 변수들의 정규화된 값들을 도출하고, 이러한 측정 변수들로부터 잠재 변수들의 값이 결정되며, 잠재 변수들의 값들에 의해 구조 방정식 모델의 최종적인 종속 변수로서 시공성이 받는 효과가 구조 방정식 모델에 의해 수치적으로 산출될 수 있다.
구조 방정식 모델 처리부(13)는 측정 변수들 및 잠재 변수들 사이의 인과 관계와, 잠재 변수들 및 시공성 사이의 영향 관계를 포함하는 구조 방정식 모델에 대해, 측정 변수들의 입력값들에 따라 잠재 변수들 사이 및 잠재 변수들과 시공성 사이의 경로 분석을 수행하여 시공성에 대한 잠재 변수들의 영향 효과를 산출한다.
시공성 평가를 위한 구조 방정식 모델과 그 잠재 변수들 및 측정 변수들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시공성 분석부(14)는 시공성에 대한 영향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적어도 하나의 잠재 변수 내지 측정 변수들로서 시공성 개선을 위한 우선 영향 요인들을 선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를 위한 구조 방정식 모델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를 위한 구조 방정식 모델은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 주체 중 설계, 시공 및 본사 지원 부문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씩 선정된 잠재 변수들 및 측정 변수들과, 종속 변수로서 시공성을 포함하고, 측정 변수들, 잠재 변수들 및 종속 변수 사이에 각각 직접 인과 관계 경로 및 경로 계수들(path coefficients)을 가지도록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를 위한 구조 방정식 모델은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 주체 중 설계, 시공 및 본사 지원 부문에서 선정된 8 개의 잠재 변수, 25 개의 측정 변수들과, 종속 변수로서 시공성을 포함하고, 측정 변수들과 잠재 변수 사이의 인과 관계와, 잠재 변수들 사이의 인과 관계 및 잠재 변수들과 종속 변수 사이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효과를 나타내는 유의성 경로 및 경로 계수들을 가지도록 설정된다.
이때 경로 계수들은 회귀 가중치(regression weights)와 같은 비표준화 경로 계수로서 산출되거나 또는 표준화 회귀 가중치(standardized regression weights)와 같은 표준화 경로 계수(standardized path coefficient)로서 산출될 수 있다. 전자의 경우 방향성과 유의성을 확인할 수 있지만 경로들 사이의 크기를 비교할 수 없고, 후자의 경우에는 방향성, 유의성 뿐 아니라 경로들 사이의 크기도 비교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 구조 방정식 모델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오차 변수들이 생략된 상태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오차 변수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구조 방정식 모델 기법은 연구자가 사전에 작성한 연구 모델, 즉 구조 방정식 모델이 수집된 데이터에 대해 어느 정도 적합한지 분석하고 잠재 변수들 사이의 영향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통계 기반 분석 기법이다.
구조 방정식 모델 기법은 소정의 확인 요인 분석을 통해 측정 변수들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절차와 측정 변수들의 공분산행렬을 이용하여 모델을 분석하는 절차로 이루어진다. 전자의 절차에서 부적절한 측정 변수들은 제거되고, 후자의 절차에서 잠재 변수들 사이의 인과 관계 및 잠재 변수와 측정 변수들 사이의 인과 관계를 나타내는 경로 계수들이 산출된다.
기존의 시공성에 관한 연구들은 시공성 개념의 정립과 적용 시의 효과를 보여주는 연구나 시공성 개념을 실무에 적용하기 위한 방안이 대부분이었고, 체크리스트 개발이 중요하게 다뤄졌다.
본 발명은 시공성 개념을 구체화하는 연구 방향 대신에, 시공성이라는 추상적이고 모호한 목표에 영향을 주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요인들이 무엇이며, 그러한 요인들의 상관 관계는 어떠할 것인지에 관심을 두고 도출된 발명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현실적으로 설계, 시공, 본사 지원과 같은 프로젝트 참여 주체들이 관여하는 요인들로서, 시공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도출하고, 나아가 그러한 요인들 사이의 상관 관계를 도출하여 구조 방정식 모델로 구현하였다. 그럼으로써, 본 발명은 그러한 요인들이 실제로 시공성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구조 방정식 모델의 다양한 검증 기법들에 의해 입증하였고 요인들이 영향을 주는 정도를 수치적으로 제시할 수 있고, 나아가 시공성을 개선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집중하여야 할 요인들을 프로젝트 참여 주체들에게 제안할 수 있다.
시공성에 대한 추상적인 영향 요인들에 관하여 도출된 수치적으로 측정 가능한 지표들은 다음 표 1 내지 표 3과 같다.
표 1은 설계 단계의 3 개의 시공성 영향 요인들 및 측정 지표들이다.
구분 영향 요인 세부 측정 지표
설계 설계의 복잡성 - 재료의 표준화, 규격화 반영 미흡
- 발주처의 무리한 설계기준 및 기술 요구
- 시공 작업의 반복/단순화 고려 미흡
설계의 정확성 - 불합리한 배치 계획
- 실행 공사비 반영 미흡
- 부적절한 장비/자재 설계 적용
- 설계 오류로 인한 재설계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 진출국의 현장 조건의 고려 미흡
- 시공자의 실무 지식 설계 반영 미흡
- 시공자의 상세 도면, 시방서 파악 미흡
표 2는 시공 단계의 3 개의 시공성 영향 요인들 및 측정 지표들이다.
구분 영향 요인 세부 측정 지표
시공 생산관리 - 적절한 시공공법 적용 및 파악 미흡
- 작업순서 및 인터페이스 파악 미흡
- 자재 및 장비 조달방식 파악 및 관리 미흡
현장관리 - 불합리한 현장 배치계획
- 진출국의 열악한 인프라시설
- 안전관리 미흡
협업관리 - 협력 업체의 시공 및 기술능력 부족
- 현장 노무 능력 및 의사소통 미흡
표 3은 본사 지원 부문의 2 개의 시공성 영향 요인들 및 측정 지표들이다.
구분 영향 요인 세부 측정 지표
본사
지원
본사연계 및 기타업무 - 부적절한 관리조직 편성
- 물가/환율조사 미흡
- 민원발생 및 처리 미흡
- 서류, 문서화 작업 지연
진출국/발주처 여건 - 제도(인허가) 특성 고려 미흡
- 진출국의 문화적 특성에 따른 시공의 변동성 고려 미흡
- 진출국의 정국 불안과 사회적 혼란으로 인한 지연
이러한 8 개의 영향 요인들 및 25 개의 측정 지표들은 KMO(Kaiser-Meyer-Olkin)의 MSA(Measures of sampling adequacy)가 0.5~0.8 사이의 값들을 나타내었고, 공통성(communality)은 모두 0.4 이상을 나타내는 등 모두 타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영향 요인들과 측정 지표들은 확인 요인 분석 절차를 통해 측정 지표들에 상응하는 25 개의 측정 변수들이 영향 요인들에 상응하는 8 개의 잠재 변수들 중 각각에 소속되는 것이 타당한지 여부가 검증될 수 있다.
확인 요인 분석 절차에 따라 검증된 본 발명의 구조 방정식 모델의 잠재 변수들 및 측정 변수들은 다음의 도 3에서 예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를 위한 구조 방정식 모델의 잠재 변수들와 측정 변수들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를 위한 구조 방정식 모델은 8 개의 잠재 변수들과 24 개의 측정 변수들을 가진다.
8 개의 잠재 변수들은 설계 부문에서 설계의 복잡성(D1), 설계의 정확성(D2) 및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D3)와, 시공 부문에서 생산관리(C1), 현장관리(C2) 및 협업관리(C3)와, 본사 지원 부문에서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A1) 및 진출국/발주처 여건(A2)이다.
이어서, 각각의 잠재 변수들마다 복수 개의 측정 변수들이 각각 할당된다.
구체적으로, 설계 부문에서, 설계의 복잡성 잠재 변수(D1)에 대해, 재료의 표준화, 규격화 반영 미흡(D11), 발주처의 무리한 설계 기준 및 기술 요구(D12) 및 시공작업의 반복/단순화 고려 미흡(D13)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된다.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D2)에 대해, 불합리한 배치계획(D21), 실행공사비 반영 미흡(D22), 부적절한 장비/자재설계 적용(D23), 설계 오류로 인한 재설계(D24)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된다.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D3)에 대해, 진출국의 현장 조건의 고려(D31), 시공자의 실무지식 설계 반영 미흡(D32), 시공자의 상세 도면, 시방서 파악 미흡(D33)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된다.
이어서, 시공 부문에서, 생산관리 잠재 변수(C1)에 대해, 적절한 시공공법 적용 및 파악 미흡(C11), 작업 순서 및 인터페이스 파악 미흡(C12), 자재 및 장비 조달방식 파악 및 관리 미흡(C13)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된다.
현장관리 잠재 변수(C2)에 대해, 불합리한 현장 배치 계획(C21), 진출국의 열악한 인프라 시설(C22), 안전관리 미흡(C23)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된다.
협업관리 잠재 변수(C3)에 대해, 협력 업체의 시공 및 기술능력 부족(C31), 현지노무의 생산성 및 의사소통 능력 부족(C32)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된다.
마지막으로, 본사 지원 부문에서, 본사연계 및 기타업무 잠재 변수(A1)에 대해, 부적절한 관리조직 편성(A11), 물가/환율 조사 및 대응 미흡(A12), 민원발생 및 클레임 처리 미흡(A13), 서류, 문서화 작업의 지연 및 미흡(A14)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된다.
진출국/발주처 여견 잠재 변수(A2)에 대해, 진출국의 제도 특성 고려 미흡(A21), 진출국의 문화 특성에 따른 시공의 변동성 미흡(A22), 진출국의 정국 불안과 사회적 혼란으로 인한 지연(A23)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된다.
다시 도 2로 돌아가서,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를 위한 구조 방정식 모델은 잠재 변수들 사이의 인과 관계와 잠재 변수들 및 시공성 사이의 인과 관계를 의미하는 경로들을 가진다.
기본적으로, 잠재 변수들과 시공성 사이의 경로는 시공의 용이성, 품질 확보의 측면에서 시공성은 시공 부문에 의해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이지만, 설계 부문과 본사 지원 부문에 의해서는 직접 영향을 받지 않고 다만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임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시공성 종속 변수(Y)에 관하여, 시공 부문의 생산관리 잠재 변수(C1), 현장관리 잠재 변수(C2), 협업관리 잠재 변수(C3)의 각각 및 설계 부문 중 설계-시공 간의 상호 관계 잠재 변수(D3)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는 경로들이 각각 설정된다.
또한, 잠재 변수들 사이의 경로는, 기본적으로, 설계 부문과 본사 지원 부문에 관련된 각각의 잠재 변수들은 시공과 관련된 잠재 변수들 각자에 서로 다르게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고려하고, 추가적으로 공분산에 기초한 수정 지수에 의해 보정된 후에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설계의 복잡성 잠재 변수(D1)에 관하여,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D2),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D3), 생산관리 잠재 변수(C1) 및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A1)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된다.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D2)에 관하여,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D3), 생산관리 잠재 변수(C1), 현장관리 잠재 변수(C2) 및 협업관리 잠재 변수(C3)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된다.
설계-시공 상호관계 잠재 변수(D3)에 관하여, 생산관리 잠재 변수(C1) 및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A1)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된다.
생산관리 잠재 변수(C1)에 관하여는 생산관리 잠재 변수(C1)가 영향을 주는 다른 잠재 변수가 없고, 다만 다른 잠재 변수들로부터 영향을 받기만 한다.
현장관리 잠재 변수(C2)에 관하여, 생산관리 잠재 변수(C1)에 영향을 주는 경로가 설정된다.
협업관리 잠재 변수(C3)에 관하여, 생산관리 잠재 변수(C1)에 영향을 주는 경로가 설정된다.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A1)에 관하여, 생산관리 잠재 변수(C1)에 영향을 주는 경로가 설정된다.
진출국/발주처 여견 잠재 변수(A2)에 관하여, 다른 잠재 변수들로부터 받는 영향이 없는 반면에, 다른 모든 잠재 변수들(C1, C2, C3, D1, D2 및 A1)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된다.
각각의 경로들에 있어서, 경로 계수들은 도 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산출되는데, 회귀 가중치와 같은 비표준화 경로 계수로서 산출되거나 또는 표준화 회귀 가중치와 같은 표준화 경로 계수로서 산출될 수 있다.
도 2의 구조 방정식 모델에서 시공성 종속 변수(Y)는 다음 표 4와 같이 직접 효과(direct effect), 간접 효과(indirect effect) 및 전체 효과(total effect)를 가질 수 있다.
잠재 변수 전체 효과 직접 효과 간접 효과
설계의 복잡성(D1) 0.260 0 0.260
설계의 정확성(D2) 0.262 0 0.262
설계-시공 간
상호 관계(D3)
0.282 0.223 0.059
생산관리(C1) 0.113 0.113 0
현장관리(C2) 0.355 0.328 0.027
협업관리(C3) 0.202 0.148 0.054
본사연계 및
기타업무(A1)
0.033 0 0.033
진출국/발주처
여건(A2)
0.500 0 0.500
직접 효과는 시공 부문의 생산관리 잠재 변수(C1), 현장관리 잠재 변수(C2), 협업관리 잠재 변수(C3)의 각각 및 설계 부문 중 설계-시공 간의 상호 관계 잠재 변수(D3)로부터 시공성 종속 변수(Y)로 직접 영향을 미치는 각 경로들의 경로 계수에 의해 각각 산출된다.
간접 효과는, 다른 잠재 변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생산관리 잠재 변수(C1)을 제외하고, 나머지 잠재 변수들(C2, C3, D1, D2, A1 및 A2)로부터 다른 잠재 변수들(C1, C2, C3, D1, D2, A1 및 A2) 중 적어도 하나의 잠재 변수를 거쳐 시공성 종속 변수(Y)에 도달하는 경로들에 따른 경로 계수들의 곱의 합에 의해 산출된다.
전체 효과(total effect)는 직접 효과와 간접 효과의 합으로 표시될 수 있다.
표 4를 살펴보면, 시공성은 시공 부문의 잠재 변수들(C1, C2, C3) 및 설계 부문 중 설계-시공 간 상호 관계 잠재 변수(D3)에 의해 직접 영향을 받는데, 현장 관리 잠재 변수(C2)의 직접 효과가 가장 크고, 설계-시공 간 상호 관계 잠재 변수(D3)가 그 다음으로 직접 효과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시공성은 간접 효과로서 진출국/발주처 여건 잠재 변수(A2)로부터 가장 큰 간접 효과를 받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는 진출국/발주처 여건 잠재 변수(A2)가 다른 잠재 변수들에 골고루 인과 관계를 가지기 때문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공성은 전체 효과를 살펴볼 때에, 진출국/발주처 여건 잠재 변수(A2)에 의해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현장관리 잠재 변수(C2), 설계-시공 간 상호 관계 잠재 변수(D3)에 의해 차례로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도 1로 돌아가서, 도 2의 구조 방정식 모델의 구축 결과에 따라, 시공성 분석부(14)는 시공성에 대한 영향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적어도 하나의 잠재 변수 내지 측정 변수들로서 시공성 개선을 위한 우선 영향 요인들을 선정한다.
예를 들어, 시공성 분석부(14)는 표 4와 같이 시공성에 대한 영향 효과를 직접 효과, 간접 효과 및 전체 효과로서 도출하고, 도출된 영향 효과 중에서 상대적으로 큰 적어도 하나의 잠재 변수, 예를 들어 진출국/발주처 여건 잠재 변수(A2)를 우선 영향 요인으로 선정할 수 있다.
나아가, 시공성 분석부(14)는 선정된 우선 요인에 해당하는 잠재 변수의 산출할 측정 변수들을 세부적인 우선 영향 요인으로서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공성 분석부(14)는 진출국의 문화 특성에 따른 시공의 변동성 고려 미흡(A22)이라는 측정 변수에 따른 우선 영향 요인이 중요하다고 제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장치(10)는 어느 영향 요인들을 개선하면 시공성이 가장 효과적으로 개선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41)에서, 구조 방정식 모델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잠재 변수들의 산출을 위해 필요한 측정 변수들에 관하여 고안된 설문조사 항목들에 대한 전문가들의 설문응답 데이터를 설문응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다음으로, 단계(S42)에서, 각각의 측정 변수들에 상응하는 설문조사 항목들의 설문응답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측정 변수들의 입력값들을 산출한다.
단계(S43)에서,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 주체 중 설계, 시공 및 본사 지원 부문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씩 선정된 잠재 변수들 및 측정 변수들을 포함하고 종속 변수로서 시공성을 포함하는 구조 방정식 모델에 대해, 측정 변수들의 입력값들에 따라 잠재 변수들 사이 및 잠재 변수들과 종속 변수로서의 시공성 사이의 경로 분석을 수행하여 시공성에 대한 잠재 변수들의 영향 효과를 산출한다.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를 위한 구조 방정식 모델은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 주체 중 설계, 시공 및 본사 지원 부문에서 각각 적어도 하나씩 선정된 잠재 변수들 및 측정 변수들과, 종속 변수로서 시공성을 포함하고, 측정 변수들, 잠재 변수들 및 종속 변수 사이에 각각 유의성 경로 및 경로 계수들을 가지도록 설정된다.
이때 경로 계수들은 회귀 가중치와 같은 비표준화 경로 계수로서 산출되거나 또는 표준화 회귀 가중치와 같은 표준화 경로 계수로서 산출될 수 있다.
구체적인 잠재 변수들 및 측정 변수들의 선정과, 잠재 변수들 사이 또는 잠재 변수들 및 종속 변수 사이의 유의성 경로 및 경로 계수들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다.
단계(S44)에서, 시공성에 대한 영향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적어도 하나의 잠재 변수 내지 측정 변수들로서 시공성 개선을 위한 우선 영향 요인들을 선정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은 어느 영향 요인들을 개선하면 시공성이 가장 효과적으로 개선될 것인지를 사용자에게 제안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광학 디스크,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10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장치
11 설문 조사 데이터베이스
12 측정 변수 산출부
13 구조 방정식 모델 처리부
14 시공성 분석부

Claims (19)

  1. 구조 방정식 모델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잠재 변수들의 산출을 위해 필요한 측정 변수들에 관하여 고안된 설문조사 항목들에 대한 설문응답 데이터를 저장하는 설문응답 데이터베이스;
    각각의 측정 변수들에 상응하는 설문조사 항목들의 설문응답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측정 변수들의 입력값들을 산출하는 측정 변수 산출부;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에 대해, 측정 변수들의 입력값들에 따라 잠재 변수들 사이 및 잠재 변수들과 종속 변수 사이의 경로 분석을 수행하여 시공성에 대한 각각의 잠재 변수들의 영향 효과를 산출하는 구조 방정식 모델 처리부; 및
    시공성에 대한 영향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적어도 하나의 잠재 변수 내지 측정 변수들로서 시공성 개선을 위한 우선 영향 요인들을 선정하는 시공성 분석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 주체 중 설계 부문에서 설계의 복잡성 잠재 변수,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 및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를 포함하고, 시공 부문에서 생산관리 잠재 변수, 현장관리 잠재 변수 및 협업관리 잠재 변수를 포함하며, 본사 지원 부문에서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 및 진출국/발주처 여건 잠재 변수를 포함하고, 종속 변수로서 시공성을 포함하며,
    종속 변수와 잠재 변수들 사이에서는, 시공성 종속 변수가, 시공 부문의 생산관리 잠재 변수, 현장관리 잠재 변수, 협업관리 잠재 변수의 각각 및 설계 부문 중 설계-시공 간의 상호 관계 잠재 변수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는 경로들이 각각 설정되며,
    잠재 변수들 사이에서는, 설계의 복잡성 잠재 변수가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 생산관리 잠재 변수 및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에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되고,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가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 생산관리 잠재 변수, 현장관리 잠재 변수 및 협업관리 잠재 변수에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되며, 설계-시공 상호관계 잠재 변수가, 생산관리 잠재 변수 및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에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되고,
    잠재 변수들 중 외생 잠재 변수는 진출국/발주처 여건 잠재 변수이고, 나머지 잠재 변수들은 모두 내생 잠재 변수로서, 생산관리 잠재 변수가 영향을 주는 다른 잠재 변수가 없으며, 현장관리 잠재 변수, 협업관리 잠재 변수 및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의 각각이 생산관리 잠재 변수에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각각 설정되고, 진출국/발주처 여건 잠재 변수가 나머지 다른 모든 잠재 변수들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되도록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설계 부문에서, 설계의 복잡성 잠재 변수에 대해, 재료의 표준화, 규격화 반영 미흡, 발주처의 무리한 설계 기준 및 기술 요구 및 시공작업의 반복/단순화 고려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고,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에 대해, 불합리한 배치 계획, 실행공사비 반영 미흡, 부적절한 장비/자재설계 적용 및 설계 오류로 인한 재설계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며,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에 대해, 진출국의 현장 조건의 고려, 시공자의 실무지식 설계 반영 미흡, 시공자의 상세 도면, 시방서 파악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시공 부문에서, 생산관리 잠재 변수에 대해, 적절한 시공공법 적용 및 파악 미흡, 작업 순서 및 인터페이스 파악 미흡, 자재 및 장비 조달방식 파악 및 관리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고,
    현장관리 잠재 변수에 대해, 불합리한 현장 배치 계획, 진출국의 열악한 인프라 시설, 안전관리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며,
    협업관리 잠재 변수에 대해, 협력 업체의 시공 및 기술능력 부족, 현지노무의 생산성 및 의사소통 능력 부족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본사 지원 부문에서, 본사연계 및 기타업무 잠재 변수에 대해, 부적절한 관리조직 편성, 물가/환율 조사 및 대응 미흡, 민원발생 및 클레임 처리 미흡, 서류, 문서화 작업의 지연 및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고,
    진출국/발주처 여건 잠재 변수에 대해, 진출국의 제도 특성 고려 미흡, 진출국의 문화 특성에 따른 시공의 변동성 미흡, 진출국의 정국 불안과 사회적 혼란으로 인한 지연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장치.
  8. 삭제
  9. 컴퓨터를 청구항 1, 청구항 3, 청구항 5 및 청구항 7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장치로 동작시키도록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
  10. 컴퓨터를 이용한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으로서,
    상기 컴퓨터가,
    구조 방정식 모델에서 사용되는 각각의 잠재 변수들의 산출을 위해 필요한 측정 변수들에 관하여 고안된 설문조사 항목들에 대한 설문응답 데이터를 설문응답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
    각각의 측정 변수들에 상응하는 설문조사 항목들의 설문응답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측정 변수들의 입력값들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에 대해, 측정 변수들의 입력값들에 따라 잠재 변수들 사이 및 잠재 변수들과 종속 변수 사이의 경로 분석을 수행하여 시공성에 대한 각각의 잠재 변수들의 영향 효과를 산출하는 단계; 및
    시공성에 대한 영향 효과가 상대적으로 큰 적어도 하나의 잠재 변수 내지 측정 변수들로서 시공성 개선을 위한 우선 영향 요인들을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건설 프로젝트의 참여 주체 중 설계 부문에서 설계의 복잡성 잠재 변수,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 및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를 포함하고, 시공 부문에서 생산관리 잠재 변수, 현장관리 잠재 변수 및 협업관리 잠재 변수를 포함하며, 본사 지원 부문에서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 및 진출국/발주처 여건 잠재 변수를 포함하고, 종속 변수로서 시공성을 포함하며,
    종속 변수와 잠재 변수들 사이에서는, 시공성 종속 변수가, 시공 부문의 생산관리 잠재 변수, 현장관리 잠재 변수, 협업관리 잠재 변수의 각각 및 설계 부문 중 설계-시공 간의 상호 관계 잠재 변수로부터 직접 영향을 받는 경로들이 각각 설정되며,
    잠재 변수들 사이에서는, 설계의 복잡성 잠재 변수가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 생산관리 잠재 변수 및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에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되고,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가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 생산관리 잠재 변수, 현장관리 잠재 변수 및 협업관리 잠재 변수에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되며, 설계-시공 상호관계 잠재 변수가, 생산관리 잠재 변수 및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에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되고,
    잠재 변수들 중 외생 잠재 변수는 진출국/발주처 여건 잠재 변수이고, 나머지 잠재 변수들은 모두 내생 잠재 변수로서, 생산관리 잠재 변수가 영향을 주는 다른 잠재 변수가 없으며, 현장관리 잠재 변수, 협업관리 잠재 변수 및 본사 연계 및 기타 업무 잠재 변수의 각각이 생산관리 잠재 변수에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각각 설정되고, 진출국/발주처 여건 잠재 변수가 나머지 다른 모든 잠재 변수들에 대해 영향을 주는 경로들이 설정되도록 구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설계 부문에서, 설계의 복잡성 잠재 변수에 대해, 재료의 표준화, 규격화 반영 미흡, 발주처의 무리한 설계 기준 및 기술 요구 및 시공작업의 반복/단순화 고려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고,
    설계의 정확성 잠재 변수에 대해, 불합리한 배치 계획, 실행공사비 반영 미흡, 부적절한 장비/자재설계 적용 및 설계 오류로 인한 재설계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며,
    설계-시공 간의 상호관계 잠재 변수에 대해, 진출국의 현장 조건의 고려, 시공자의 실무지식 설계 반영 미흡, 시공자의 상세 도면, 시방서 파악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
  14. 삭제
  15.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시공 부문에서, 생산관리 잠재 변수에 대해, 적절한 시공공법 적용 및 파악 미흡, 작업 순서 및 인터페이스 파악 미흡, 자재 및 장비 조달방식 파악 및 관리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고,
    현장관리 잠재 변수에 대해, 불합리한 현장 배치 계획, 진출국의 열악한 인프라 시설, 안전관리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며,
    협업관리 잠재 변수에 대해, 협력 업체의 시공 및 기술능력 부족, 현지노무의 생산성 및 의사소통 능력 부족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
  16. 삭제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구조 방정식 모델은
    본사 지원 부문에서, 본사연계 및 기타업무 잠재 변수에 대해, 부적절한 관리조직 편성, 물가/환율 조사 및 대응 미흡, 민원발생 및 클레임 처리 미흡, 서류, 문서화 작업의 지연 및 미흡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고,
    진출국/발주처 여건 잠재 변수에 대해, 진출국의 제도 특성 고려 미흡, 진출국의 문화 특성에 따른 시공의 변동성 미흡, 진출국의 정국 불안과 사회적 혼란으로 인한 지연의 측정 변수들이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
  18. 삭제
  19. 삭제
KR1020130167112A 2013-12-30 2013-12-30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 및 장치 KR101547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112A KR101547030B1 (ko) 2013-12-30 2013-12-30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7112A KR101547030B1 (ko) 2013-12-30 2013-12-30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110A KR20150080110A (ko) 2015-07-09
KR101547030B1 true KR101547030B1 (ko) 2015-08-28

Family

ID=5379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7112A KR101547030B1 (ko) 2013-12-30 2013-12-30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70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0062B1 (ko) * 2017-07-10 2019-08-20 이보형 해외공급자의 fta원산지 관리능력 평가방법 및 평가시스템
KR20210007335A (ko) 2019-07-11 2021-01-20 이영광 해외건설 입찰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두연 외 3인,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해외건설공사 성과예측에 관한 기초연구', 2006 대한토목학회 정기학술대회, 2006, pp.3605-361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80110A (ko) 2015-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m et al. Economic analysis of design errors in BIM-based high-rise construction projects: Case study of Haeundae L project
Poirier et al. Assessing the performance of the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implementation process within a small specialty contracting enterprise
Li et al. Architectural technical debt identification based on architecture decisions and change scenarios
Jafari et al. Quality costs in construction: case of qom monorail project in Iran
Wu et al. The contribution of ISO 14067 to the evolution of global greenhouse gas standards—A review
Chang et al. Organisational sustainability modelling for return on investment (ROI): case studies presented by a national health service (NHS) trust UK
KR100811307B1 (ko) 건설공사용 수익성 예측방법
Wong et al. The relationship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capability in quantity surveying practice and project performance
Love Plugging the gaps’ between optimum bias and strategic misrepresentation and infrastructure cost overruns
US9600784B2 (en) Estimating value of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management based on process complexity analysis
EP4381439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onstruction projects with automatic generation of smart contract
Haller et al. An indicator for superfluous iteration in offsite building design processes
Lenhard et al. Measuring the portability of executable service-oriented processes
Alvarez et al. Corporate and product carbon footprint under compound hybrid analysis: application to a Spanish timber company
Assaad et al. Key factors affecting labor productivity in offsite construction projects
KR101547030B1 (ko) 해외 건설 프로젝트의 시공성 평가 방법 및 장치
Al Sehrawy et al. A review of the challenges to integrating BIM and building sustainability assessment
Lambers et al. Key residential construction defects: a framework for their identification and correlated causes
Buchmann et al. Towards an estimation model for software maintenance costs
Alshathry et al. Optimizing software quality assurance
Ardimento et al. Multiview framework for goal oriented measurement plan design
KR101689207B1 (ko) It 서비스 성과지표 관리시스템 및 방법
Menicou et al. Quality evaluation of residential houses: the development of a real-time quality assessment tool
Chitongo et al. Unintended negative effects of client project cost controls: A system dynamics approach
Alaghbandrad et al. Development of a model to select BIM implementation strategy with respect to the BIM maturity level of an organiz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