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511B1 -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 - Google Patents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511B1
KR101546511B1 KR1020140107561A KR20140107561A KR101546511B1 KR 101546511 B1 KR101546511 B1 KR 101546511B1 KR 1020140107561 A KR1020140107561 A KR 1020140107561A KR 20140107561 A KR20140107561 A KR 20140107561A KR 101546511 B1 KR101546511 B1 KR 1015465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ole
air
height
air pump
air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규
Original Assignee
김인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규 filed Critical 김인규
Priority to KR1020140107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5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5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5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2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 A43B17/03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 A43B17/035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edge-like or resilient filled with a gas, e.g. air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7/00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 A43B17/06Insoles for insertion, e.g. footbeds or inlays, for attachment to the shoe after the upper has been joined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4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 A43B7/16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foot-supporting parts with elevated heel parts insid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착용 여부의 감지나 간단한 리모콘 조작만으로도 깔창의 높이를 빠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은 하부 깔창과 상부 깔창으로 이루어지되, 신발의 뒷굽 상부의 하부 깔창에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신발의 뒷굽 상부의 하부 깔창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공기의 흡입 및 배출작용을 하는 에어 펌프와, 상기 하부 깔창에 배치되어 에어 펌프의 흡입 및 배출작용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에어 펌프 상부의 상부 깔창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 펌프의 흡입 및 배출작용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여 깔창 상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에어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 {HEIGHT ADJUSTABLE SHOES INSOLE}
본 발명은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신발 착용 여부의 감지나 간단한 리모콘 조작만으로도 깔창의 높이를 빠르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기능상 발 보호를 제1의 목적으로 하고 부수적으로 미적 감각 및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만들어진다.
미적 감각 및 기능성 위주의 신발들은 겉창의 굽이 일정한 높이를 가지므로 비교적 키가 작은 사람들은 굽이 높은 신발을 구입하여 사용하게 된다.
특히 단신인 여성들은 하이힐을 신음으로써 키가 작은 열등감을 해소하려고 한다.
그런데, 굽이 높은 신발은 보행시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발목을 삐거나 발목에 상처를 입는 경우도 있고, 잘못하면 신발굽이 빠지는 경우도 종종 있었다.
또한, 남자인 경우에 굽이 너무 높은 신발을 신는 경우 외관상 보기가 좋지 않고, 또 그렇게 보는 게 현실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신발 내부에 깔창을 삽입하여 단신의 착용자들이 느낄 수 있는 열등감을 해소하려 하였다.
즉, 신발의 내부에 착용하는 깔창의 두께를 높여 사용자가 자신의 키를 커보이도록 하였다.
하지만, 깔창을 이용한 키높이 신발은 사용자가 신고 있는 동안에는 별로 눈에 띄지 않으나, 벗어놓은 경우에는 깔창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다른 사람이 키높이 깔창임을 쉽게 눈치챌 수 있어 이를 감추고 싶은 키높이 깔창의 사용자로서 신발을 벗는 장소에서의 모임을 꺼리게 된다.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6257호,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1121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351472호 등에는 깔창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선행기술들이 개시되어 있다.
먼저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6257호의 '키높이조절용 깔창'은, 상부 표면에 직물재질의 발접촉면이 형성되고 후방부는 상방으로 절곡된 상부절곡부가 형성된 깔창본체와, 상기 깔창본체의 뒤꿈치부에 접착되고 상부 표면상에는 혈의 위치에 자석고정부가 형성되고 중간에는 복수의 조립공이 형성된 상부 키높이쿠션과, 상기 상부키높이쿠션의 하부에 배치되며 키높이쿠션의 조립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조립공이 형성된 중간 키높이쿠션과, 상기 중간 키높이쿠션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립공에 대응되는 위치에 조립돌출부가 형성된 하부 키높이쿠션을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여, 중간 키높이쿠션이나 하부 키높이쿠션을 제외시켜 미세하게 키높이를 조절하는 것이다.
또한,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20-2007-0001121호의 '키높이 신발의 높이조절 깔창'은, 각각 포개서 중첩시킬 수 있는 하부깔창과 상부깔창을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키에 맞게 임의로 선택하여 상기 하부깔창 또는 상부깔창을 신발 몸체의 저면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키에 맞추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국내 등록특허 제10-1351472호의 '신발용 키높이 조절 깔창'은, 상부 표면에 직물재질의 발접촉면이 형성되고 후방부는 상방으로 절곡된 상부절곡부가 형성된 깔창본체와, 상기 깔창본체의 저면에 부착되어 깔창본체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인출끈과, 상기 깔창본체의 뒤꿈치부에 접착되고 상부 표면상에는 혈의 위치에 자석고정부가 형성되고 저면에는 복수의 조립공이 형성된 제1 키높이쿠션과, 상기 제1 키높이쿠션의 하부에 배치되며 제1 키높이쿠션의 조립공에 대응되는 상부 표면에 조립봉이 형성되고 저면에는 조립공이 형성된 제2 키높이쿠션과, 상기 제2 키높이쿠션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조립공에 대응되는 상부면에 조립돌출부가 형성된 제3 키높이쿠션을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여, 제2 키높이쿠션이나 제3 키높이쿠션을 제외시켜 키높이를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들은 깔창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하부깔창이나 키높이쿠션을 깔창에 추가하거나 제외해야 하는 작업을 해야하는 것으로, 일단 높이가 조절되면 상·하부깔창이나 키높이쿠션을 깔창에 추가하거나 제외하는 작업을 하지 않은 한 높이 조절이 불가능하고, 따라서 다른 사람들이 키높이 깔창을 사용했음을 눈치챌 우려가 있었다.
공개번호 제20-2013-0006257호(2013년10월30일) 공개번호 제20-2007-0001121호(2007년10월23일) 등록번호 제10-1351472호(2014년01월08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발의 착용 여부 감지나 리모콘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깔창의 높이를 빠르게 조절할 수 있고, 키높이 깔창의 사용을 눈치챌 염려가 없는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깔창 자체만으로 키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서 신발의 구조를 바꾸지 않고 깔창의 채택 만에 의해 쉽게 사용자의 키를 조절할 수 있는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은, 하부 깔창과 상부 깔창으로 이루어지되,
신발의 뒷굽 상부의 하부 깔창에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신발의 뒷굽 상부의 하부 깔창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공기의 흡입 및 배출작용을 하는 에어 펌프;
상기 하부 깔창에 배치되어 외부의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신발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에어 펌프의 흡입 및 배출작용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에어 펌프 상부의 상부 깔창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 펌프의 흡입 및 배출작용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여 깔창 상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에어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센서는 사용자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또는 사용자의 체온을 감지하는 온도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발의 뒷굽 상부의 하부 깔창과 상부깔창의 연결부에는 주름이 제공되고 상기 상부깔창의 아치부 또는 뒷굽에는 절곡부를 두어 상부깔창만이 상하로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 펌프는 PWM 제어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의 일단에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서가 삽입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모터는 철심으로 이루어진 로터의 외측에 코일을 수회 감아서 이루어진 것으로, 모터의 회전시 더 큰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그네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컴프레서는 공기를 흡입하는 통로에 피스톤이 측방에서 왕복하고 그 상부의 통로 상에 확관부가 형성되어 체크밸브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크밸브는 확관부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볼과, 상기 볼을 탄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볼과 접촉하는 확관부의 접촉면은 아래로 오목한 형상을 하고 고무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착용 감지나 간단한 조작만으로 에어 펌프를 작동시켜 키높이 조절을 위한 에어백에 공기를 넣거나 에어백의 공기를 배출시킴으로써 신속하게 키높이 기능을 수행하고 키높이 기능을 해제할 수 있어 키높이 깔창임을 밝히기 꺼리는 사용자의 자존심을 지켜줄 수 있다.
또한, 깔창 만에 의해 키높이 기능을 달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비가 현저히 줄어들 뿐만 아니라, 기존의 신발에도 깔창의 교체에 의해 쉽게 적용할 있게 된다.
또한, PWM 제어에 의해 에어 펌프의 동작을 제어하여 길의 경사도에 따라 깔창의 높이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어 착용자에게 보행시 편안함을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a와 도 2b는 도 1에 나타낸 내부 구성이 깔창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보여주는 신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에어백이 수축된 상태를 보여주는 신발 단면도이다.
도 5a와 도 5b는 도 1에 나타낸 에어 펌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a 및 도 5b의 에어 펌프에 인가하는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a와 도 2b는 도 1에 나타낸 내부 구성이 깔창에 설치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깔창(40)은 연질의 상부 깔창(44)과 경질의 하부 깔창(42)으로 이루어지되, 공기압을 이용하여 키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배터리(11), 에어 펌프(13), 제어부(12)는 하부 깔창(42)에 설치되고, 에어백(20)은 상부 깔창(44)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 깔창(42)의 재질은 사용자가 신발을 신고 몸의 균형을 잡기에 적합한 딱딱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부 깔창(44)은 발에 충격을 주지 않고 에어백(20)과 함께 팽창하거나 수축할 수 있는 별도의 신축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깔창(40) 전체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것보다는 상부깔창(44)과 하부깔창(42)의 뒷굽 부분의 연결부에 주름(46)을 형성하고, 뒷굽 부분 혹은 뒷굽과 아치부의 상부에 위치한 상부깔창만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부깔창의 아치부 또는 뒷굽부분에 절곡부를 둘 수 있다.
배터리(11)는 에어 펌프(13)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으로서 통상의 건전지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건전지의 방전시간이 짧아 수시로 교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해 충전 가능한 배터리(2차 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11)는 충전을 위해 외부전원과의 접속을 위한 충전단자(26)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깔창(40)에 구성되는 배터리(11)를 포함하는 충전을 위한 구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배터리(11)에는 충전단자(26)만을 구성하고, 나머지 충전을 위한 구성은 별도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배터리(11)는 하부 깔창(42)의 에어펌프(13) 앞면(뒷굽 반대면)에 설치할 수 있다(도 2a의 제어부(12) 부분에 배터리도 같이 위치함).
이는 깔창(40)을 신발에 결합하는 경우 신발(50)의 내부공간을 최대로 활용하면서 에어 펌프(13)나 에어백(20) 등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도 3 및 도 4참조).
상기 에어 펌프(13)(예를 들어, 하코 펌프에서 제조판매하는 흡입 토출이 가능한 소형 에어 펌프인 CMS2430AP-C2)는 배터리(11)와 함께 신발(50) 뒷굽(52) 상부의 하부 깔창(42)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배터리(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공기의 흡입 및 배출작용을 한다.
이 에어 펌프(13)는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에어백(20)에 공급하기 위한 흡입 포트(15)와 에어백(20)에 충전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포트(14)를 구비한다.
상기 에어 펌프(13)의 흡입 포트(15)가 연결 파이프(17)에 의해 에어백(20)의 흡입구(19)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 펌프(13)의 배출 포트(14)가 연결 파이프(17)에 의해 에어백(20)의 배출구(18)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에어 펌프(13)는 흡입 작용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에어백(20)에 공급하며, 배출 작용시 에어백(20)에 충전되었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 흡입구(19)와 배출구(18)는 신발(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신발(50)의 내부 또는 외부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에어 펌프(13)는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해 에어백(20)에 공기가 가득 충전되거나 에어백(20)에 충전되었던 공기가 모두 배출될 때까지 작동된다.
이때 제어부(12)는 외부로부터 리모콘 수신부(31)에서 리모콘(32)의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나, 착용감지센서(33)에서 사용자가 신발을 신거나 벗는 것(신발의 착용 여부)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할 때 이 감지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 제어 신호를 에어펌프(13)에 출력하므로 한 번의 리모콘(32) 조작이나 신발의 착용 여부 감지만으로도 깔창(40), 즉 신발 뒷굽(52) 상부의 깔창(40) 높이를 빠르게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상기 착용감지센서(33)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신발을 신거나 벗는 경우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센서, 사용자가 신발을 신거나 벗은 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등일 수 있다.
상기 리모콘(32)을 사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혹은 신발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위치에서도 타인의 시선을 피해 리모콘(32)을 조작하여 에어펌프(13), 즉 깔창(4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착용감지센서(33)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는 별도의 동작을 취하지 않고 신발을 신거나 벗는 실질적인 동작만으로도 타인의 시선을 피해 에어펌프(13), 즉 깔창(40)의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에어 펌프(13)의 흡입 및 배출작용을 제어하는 제어부(12) 대신에 하나 혹은 두 개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조작버튼을 구비하여 그 조작버튼의 조작에 따라 에어 펌프(13)가 배터리(1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흡입작용이나 배출작용을 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조작버튼은 사용자가 신발을 신고 벗으면서 다른 사람 모르게 조작하기 편리한 위치의 깔창(40)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백(20)과 함께 팽창 및 수축하여 사용자의 키높이를 조절하는 보조 에어백(23)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에어백(20)은 배터리(11)와 에어 펌프(13)의 상부에 배치되어 에어 펌프(13)의 흡입 및 배출작용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여 신발(50)의 뒷굽(52) 상부에 위치한 깔창(4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고, 보조 에어백(23)은 에어백(20)에 연장되어 에어 펌프(13)의 작동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여 신발(50)의 아치부(54) 상부에 위치한 깔창(4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어백(20)은 팽창 및 수축을 위한 공기를 충전할 수 있는 다수의 충전공간(21a)(21b)(21c)으로 분할될 수도 있다.
이때 각 충전공간(21a)(21b)(21c)이 순환통로(22a)(22b)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공기의 이동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서 에어백(20)은 1겹, 즉 한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를 구현하기 위해 2겹 이상이 상하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특히, 다수개의 에어 펌프(13)를 수평지게 설치하는 경우, 에어백(20)의 팽창 및 수축시간이 대폭 줄어든다.
상기 보조 에어백(23)도 팽창 및 수축을 위한 공기를 충전할 수 있는 다수의 충전공간(25a)(25b)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때 각 충전공간(25a)(25b)은 순환통로(24b)에 의해 서로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으며, 충전공간(25a)은 순환통로(24a)에 의해 충전공간(21b)과 연통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팽창 및 수축시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에어백(20)과 보조 에어백(23)은 공기가 가득 충전되었을 때 에어백(20)이 보조 에어백(23)보다 높아야 함은 당연하다.
즉, 신발의 뒷굽(52)이 아치부(54)보다 높아야 신발의 착용감이 향상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보여주는 신발 단면도이다.
도 3에 의하면, 깔창(40)을 신발(50)의 내부 바닥에 깐 상태에서 사용자가 신발(50)을 신기 전이나 신는 과정에서 키높이를 높이기 위해 리모콘(32)을 조작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신발(50)을 신는 과정에서 착용감지센서(33)가 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어부(12)에서 이를 확인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배터리(11) 전원이 에어 펌프(13)에 공급되면서 흡입 포트(15)를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공기가 에어백(20)과 보조 에어백(23)에 주입되어 팽창하게 된다.
따라서 에어백(20)과 보조 에어백(23)의 팽창으로 깔창 중 에어백(20)과 보조 에어백(23)이 내부에 구비된 상부 깔창(44)이 상승하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에어백이 수축된 상태를 보여주는 신발 단면도이다.
도 4에 의하면, 사용자가 신발(50)을 벗기 전이나 벗는 과정에서 키높이를 낮추기 위해 리모콘(32)을 다시 한번 조작하는 경우 또는 사용자가 신발(50)을 벗는 과정에서 착용감지센서(33)가 이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 제어부(12)에서 이를 확인하여 제어 신호를 출력하면, 배터리(11) 전원이 에어 펌프(13)에 공급되면서 배출 포트(15)를 통해 에어백(20)과 보조 에어백(23)에 충전되었던 공기가 빠지면서 수축하게 된다.
특히, 에어백(20)과 보조 에어백(23)에 충전되었던 공기가 자연적으로 빠지기를 기다리지 않고 강제로 배출함으로써 에어백(20)과 보조 에어백(23)의 공기를 단시간 내에 배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에어백(20)과 보조 에어백(23)의 수축으로 에어백(20)과 보조 에어백(23)이 내부에 구비된 상부 깔창(44)이 하강하게 된다.
도 5a와 도 5b는 도 1에 나타낸 에어 펌프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펌프(13)는 회전하는 모터(130)의 일단에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서(compressor)(140)가 삽입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130)는 예를 들어 원통 모양의 철심으로 이루어진 로터(132)의 외측에 코일(134)을 수회 감아서 이루어진 것으로, 제어부(12)의 제어에 의해 모터(130)에 전류를 인가하면 로터(132)와 코일(134)과의 상호 자기 작용으로 인력과 척력에 의해 로터(132)가 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컴프레서(140)의 피스톤(142)은 로터(132)의 전단부 중앙에 구비되어 로터(132)의 회전시 로터(132)의 중심축 방향으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왕복 운동을 한다.
이때 코일(134)은 1mm도 안되는 에나멜선을 최대한 많이 감아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고, 피스톤(134)에는 내부에 미도시된 스프링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130)는 마그네트(136)를 더 구비하는 바, 상기 모터(130)의 회전에 의해 자기장을 형성할 때 더 큰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로터(132)의 후단부에 마그네트(136)가 구비되고 이에 의해 작은 모터(130)로도 공기의 압력을 배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컴프레서(140)는 공기흡입구와 연통된 통로(141)와 공기배출구와 연통된 통로(141)에 구비되어 상기 피스톤(142)의 왕복 운동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백(20)에 공기를 주입하고, 전환시에는 주입된 에어백(20)의 공기를 배출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공기흡입부는 하부 깔창(42)의 밑부분에 형성되고, 공기배출구는 하부 깔창(44)의 앞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하부 깔창(42)의 밑부분에 형성된 하부의 공기흡입구와 그 상부의 통로(141)가 연통되어 수직으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형성된 통로(141) 상에는 컴프레서(140)의 피스톤(142) 선단부가 측방에서 왕복하며, 그 상부에는 통로(141) 상에 체크밸브(144)가 설치될 수 있도록 통로보다 직경이 큰 확관부(143)가 수직으로 형성된다
이 체크밸브(144)는 피스톤(142)이 왕복 운동을 하여 압력이 증가하면 개방되어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고, 공기가 모두 주입되면 폐쇄되어 공기의 흡입을 차단한다.
상기 체크밸브(144)는 예를 들어 확관부(143)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볼(145)과 상기 볼(145)의 상부에 위치해서 볼(145)을 탄지하는 스프링(146)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볼(145)은 스프링(146)에 의해 확관부(143)의 입구를 막고 있다가 모터(140)의 회전으로 피스톤(142)이 왕복 운동을 하여 공기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통로(141) 내의 압력이 증가하면 증가된 압력이 스프링(146)의 탄성력을 극복해서 볼(145)이 상승하여 확관부(143)의 입구가 개방된다.
이에 의해 에어백(20)에 공기가 공급되어 에어백(20)이 팽창 상승하게 된다.
반대로 모터(130)가 회전을 정지하고 피스톤(142)이 왕복 운동을 하지 않아 통로(141) 내의 압력이 떨어지면 상부에 있는 스프링(146)의 탄성력에 의해 볼(145)이 하강하여 확관부(145)의 입구를 막아 밀폐하게 된다.
이에 의해 에어백(20)이 팽창된 상태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때 확관부(143)의 하면은 볼(145)과의 사이에 공기가 새지 않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라운드진 형상이고, 볼(145)과의 밀착도를 높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얇은 고무(147)를 그 상부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표시하지는 않았지만 공기가 흡입되고 배출되는 곳에 전환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도 6은 도 5a 및 도 5b의 에어 펌프에 인가하는 파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파형에서와 같이 펄스폭변조(PWM: Pulse Wide Modulation) 제어에 의해 리모콘(32)을 누르는 시간만큼 에어 펌프(13)가 작동하여 깔창(40)의 높낮이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등산을 하는 경우에 높낮이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어 오르막길을 오를 때에는 깔창(40)의 높이를 높혀 평지를 걷는 것처럼 느낄 수 있고, 반대로 내리막 길을 내려갈 때에는 깔창(40)의 높이를 낮추어 관절의 무리를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 : 배터리 12 : 제어부
13 : 에어 펌프 20 : 에어백
26 : 충전단자 31 : 리모콘 수신부
32 : 리모콘 33 : 착용감지센서
40 : 깔창 42 : 하부 깔창
44 : 상부 깔창 46 : 주름
50 : 신발 52 : 뒷굽
130: 모터 140: 컴프레서

Claims (4)

  1. 딱딱한 재질의 하부 깔창과 신축성 있는 재질의 상부 깔창으로 이루어지되, 신발의 뒷굽 상부의 하부 깔창에 배치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높낮이를 다단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리모콘의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의 일단에, 공기를 압축하는 컴프레서가 삽입되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모터는 철심으로 이루어진 로터의 외측에 코일을 수회 감아서 이루어진 것으로, 모터의 회전시 더 큰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그네트가 외부에 더 구비되고,
    상기 컴프레서는 공기를 흡입하는 통로에 피스톤이 측방에서 왕복하고 그 상부의 통로 상에 확관부가 형성되어 체크밸브가 설치되며,
    상기 신발의 뒷굽 상부의 하부 깔창에 배치되어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공기의 흡입 및 배출작용을 하는 에어 펌프;
    상기 하부 깔창에 배치되어 외부의 리모콘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거나 신발의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에어 펌프의 흡입 및 배출작용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에어 펌프 상부의 상부 깔창에 배치되어 상기 에어 펌프의 흡입 및 배출작용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여 깔창 상부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에어백; 을 포함하되,
    상기 체크밸브는 확관부의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볼과, 상기 볼의 상부에 위치해서 볼을 탄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볼과 접촉하는 확관부의 접촉면은 아래로 오목한 형상으로 고무가 부착되며, 상기 하부 깔창의 밑부분에 형성된 공기흡입구와 그 상부의 통로가 연통되어 수직으로 형성되고 수직으로 형성된 통로 상에는 상기 컴프레서의 피스톤 선단부가 측방에서 왕복하며, 그 상부에는 통로 상에 체크밸브가 설치될 수 있도록 통로보다 직경이 큰 확관부가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은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확관부의 입구를 막고 있다가 모터의 회전으로 피스톤이 왕복 운동을 하여 공기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해서 통로 내의 압력이 증가하면, 증가된 압력이 스프링의 탄성력을 극복해서 볼이 상승하여 확관부의 입구가 개방됨으로써 에어백이 팽창하고, 상기 모터가 회전을 정지하고 피스톤이 왕복 운동을 하지 않아 통로 내의 압력이 떨어지면, 상부에 있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볼이 하강하여 확관부의 입구를 막아 밀폐함으로써 에어백이 팽창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40107561A 2014-08-19 2014-08-19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 KR1015465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561A KR101546511B1 (ko) 2014-08-19 2014-08-19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7561A KR101546511B1 (ko) 2014-08-19 2014-08-19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6511B1 true KR101546511B1 (ko) 2015-08-24

Family

ID=5406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7561A KR101546511B1 (ko) 2014-08-19 2014-08-19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5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9845A (zh) * 2016-03-10 2016-06-08 中山市吉尔科研技术服务有限公司 智能增高鞋垫
CN105876977A (zh) * 2016-03-30 2016-08-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智能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39845A (zh) * 2016-03-10 2016-06-08 中山市吉尔科研技术服务有限公司 智能增高鞋垫
CN105876977A (zh) * 2016-03-30 2016-08-24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智能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63263A1 (en) Automatic inflation pump bladder system
US10098413B2 (en) Electronically controlled bladder assembly
US617017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flow transfer in shoes
EP2693905B1 (en) Article of footwear with an adaptive fluid system
KR100870929B1 (ko) 발바닥 지압겸용 통기성 신발
EP3547865B1 (en) Sports shoe with inflatable tightening system
US10786036B2 (en) Mechanical ventilation system and device for footwear
CN110292229A (zh) 应用于鞋底的通风按摩装置
KR101546511B1 (ko) 키높이조절 신발 깔창
KR101847159B1 (ko) 통풍 팬이 구비된 통풍 신발
CN112617344A (zh) 一种电力工作用绝缘鞋
KR101400655B1 (ko) 당뇨발 보호기능이 구비된 아치 교정용 신발안창
CN201798118U (zh) 可平衡足底压力的鞋垫
KR100986676B1 (ko) 에어펌프식 족궁지지체를 구비한 신발
US20200352274A1 (en) Massaging Footwear Device
KR20180095218A (ko) 스마트폰과 연동된 자동 키높이 조절 깔창
CN107048576A (zh) 舒适自调鞋
KR101401671B1 (ko) 높이가 조절되는 키높이 신발
KR100927427B1 (ko) 통풍기능을 갖는 기능성 신발창
WO1998056272A1 (en) Pronation control footwear device
JP3108843U (ja) 靴底構造
KR102362410B1 (ko) 보행용 진동신발
CN216315899U (zh) 一种隐藏式增高的尼龙复合材质运动鞋
CN107752219A (zh) 一种智能高跟鞋
KR20110012180A (ko) 신발용 에어 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