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399B1 - A prop for tree - Google Patents

A prop for tre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399B1
KR101546399B1 KR1020130061459A KR20130061459A KR101546399B1 KR 101546399 B1 KR101546399 B1 KR 101546399B1 KR 1020130061459 A KR1020130061459 A KR 1020130061459A KR 20130061459 A KR20130061459 A KR 20130061459A KR 101546399 B1 KR101546399 B1 KR 101546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tree
inner space
partition wall
pill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145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141740A (en
Inventor
김재욱
Original Assignee
(주)비에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비에스피 filed Critical (주)비에스피
Priority to KR1020130061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399B1/en
Publication of KR20140141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17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39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4Props; St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은 수목의 몸통 일측과 접하며 타측은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 각각의 상부가 수목의 몸통 일측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결속하는 홀더로 이루어지는 수목 지주로서, 내부공간이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격벽과,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격벽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격벽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소재의 제1지주와; 내부공간이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격벽과,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격벽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격벽을 포함하여 상기 제1지주와 결합되는 합성수지 소재의 제2지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수목 지주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ee support comprising a plurality of struts, one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one side of a tre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ground, and a holder which binds the upper part of each of the struts closely to one side of the tree, And a plurality of second partition walls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partition walls, wherein the first partition walls are form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first strut of said first strut; A plurality of second partition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partitions, the first partitions being provi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 second strut of synthetic resin material coupled with the first strut; Thereby providing a tree support.

Description

수목 지주{A prop for tree}{A prop for tree}

본 발명은 수목 지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측은 수목의 몸통 일측과 접하며 타측은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 각각의 상부가 수목의 몸통 일측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결속하는 홀더로 이루어지는 수목 지주로서, 내부공간이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격벽과,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격벽과 교차하며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격벽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소재의 제1지주와; 내부공간이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격벽과,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격벽과 교차하며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격벽을 포함하여 상기 제1지주와 결합되는 합성수지 소재의 제2지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주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e pilla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ree pillar having a plurality of pillars, one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a side of a body of a tree, the other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ground, A first partition wall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partition wall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body, the first partition wall intersecting with the first partition wall, A first strut of synthetic resin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partitions; A plurality of first partition wall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nd intersecting with the first partition walls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partition walls, the first partition walls having an inner space and open at one side, A second strut of synthetic resin material coupled with the first stru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ree support.

수목 지주는 가로수로 사용되는 수목을 식재한 다음 수목이 바람 등과 같이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의해 옆으로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수목의 흉고 지름이 3cm 이상이 되면 바람에 의해 수목의 뿌리가 흔들리면서 활착이 잘되지 않아 고사될 수 있기 때문에 수목의 뿌리가 완전히 활착되기까지 적어도 1년 이상의 설치가 필요하다.Tree-planting is to prevent trees from being tilted or collapsed side-by-side due to external physical impacts such as wind after planting trees used as roadside trees. Especially when the tree's diameter is more than 3cm, It is necessary to install it for at least one year before the root of the tree is fully mobilized.

수목 지주는 일반적으로 수목의 버팀대로서 작용하며 지상에 고정되는 지주와, 수목의 몸통 부위에 이들 지주를 결속하는 홀더(또는 밴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현재 수목 지주로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나무소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나무소재로 이루어지는 지주는 그 자체가 천연소재라는 점에서 수목과 친환경적으로 조화를 이루는 장점이 있다.The tree pillar generally comprises a pillar fixed to the ground and a holder (or band) for binding the pillar to the body of the tree, acting as a brace of the tree. Currently, the most commonly used tree stands are made of wood. The pillar made of wood material has the merit of being harmonious with the tree because it is natural material itself.

하지만, 수목의 생장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기 위해 다른 수목을 벌목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율배반적인 문제가 있다. 더욱이, 나무소재의 지주는 그 특성상 일정기간이 지나면 병충해, 습기 등에 의해 자연스럽게 훼손되어 퇴락되기 때문에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한데 이는 또 다른 벌목을 유발시킨다는 점에서 심각한 환경파괴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게다가, 나무소재의 지주는 벌목되는 수목의 폭, 길이와 같이 수목의 외부 형상에 따라 사용 가능한 지주의 규격이 결정된다는 점에서 지주의 규격을 통일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other trees should be cut to use as a means to supplement the growth of the tree, there is a problem in the opposite direction. Furthermore, since the pillar of a wooden material is naturally damaged and damaged due to insect pests and moistur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due to its characteristics, periodical replacement is necessary, which causes another deforestation, which is a serious environmental destruction factor.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andard of the support can not be used uniformly because the support of the wooden material determines the standard of the support which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tree, such as the width and length of the tree to be cut.

이를 위하여 관련업계에서는 봉 또는 사각형상의 금속소재나 합성수지소재로 이루어지는 지주를 나무소재 지주에 대한 대안으로 제안하여 그 적용여부를 다양한 방법으로 타진하고 있다. 관련업계에서 나무소재의 지주 대안으로 금속소재 지주나 합성수지소재 지주를 제안하고 있는 이유는 이들 각각이 나무소재에 비해 높은 강도를 가지고 있어 교체없이 상당기간 사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For this purpose, the related industry has proposed various alternative methods for the use of wooden or pillar shaped metal or synthetic resin pillar as an alternative to wooden pillar. In the related industry, metal material or synthetic resin is proposed as a holding alternative for wooden material because each of them has higher strength than wood material and can be used for a long time without replacement.

하지만 전자의 경우에는 소재의 특성상 그 단가가 매우 높다는 점에서 경제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후자의 경우에는 그 강도가 전자에 비해 다소 떨어지더라도 낮은 단가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매우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소재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되 외부 충격에 대한 강도 보완수단이 구비된 지주의 일례가 도 5에 개시되어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st is remarkably low because the cost of the material is very high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However, in the latter case, the strength of the former is somewhat lower than that of the former, Research is underway. An example of a support having a reinforcing means for reinforcing the external impact is shown in Fig. 5, which is made of synthetic resin.

이 기술은 지주봉(1, 2)의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보강돌기(11, 21)를 방사형으로 복수 개 형성시켜 지주봉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적절하게 흡수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이 기술은 지주봉(1, 2)에 수직(길이방향에 수직)으로 가해지는 충격이나, 일정각도 경사져 가해지는 충격을 보강돌기(11, 21)가 모두 흡수해야 한다는 점에서 보강돌기의 형성 높이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이는 보강돌기가 지주의 길이방향으로 단순히 연장 형성됨에 따라 흡수된 외부 충격을 적절하게 분산시키기 곤란하기 때문이다.In this technique, a plurality of reinforcing protrusions 11, 21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rods 1, 2 are formed radially so as to absorb the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support rods appropriately. However, this technique requires that the reinforcing protrusions 11 and 21 absorb both the impact applied perpendicularly (perpendicularly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support rods 1 and 2,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formation height. This is because it is difficult to appropriately disperse the absorbed external impact as the reinforcing projection simply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25219호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5-00252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더라도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이를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는 고강도의 수목 지주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igh strength wooden pillar which is made of a lightweight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can absorb an external impact,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간의 도심 경관으로 작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명이 없더라도 야간에 보행자가 지주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목 지주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tree support that can act as a night view cityscape and can prevent a pedestrian from colliding with a support at night even without illumin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측은 수목의 몸통 일측과 접하며 타측은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 각각의 상부가 수목의 몸통 일측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결속하는 홀더로 이루어지는 수목 지주로서, 내부공간이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격벽과,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격벽과 교차하며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격벽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소재의 제1지주와; 내부공간이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격벽과,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격벽과 교차하며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격벽을 포함하여 상기 제1지주와 결합되는 합성수지 소재의 제2지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지주 및 제2지주에 구비되는 상기 제2격벽 각각은 상기 제1격벽 각각에 직교하되 상기 제1격벽의 중앙부위에서 직교하는 제2격벽들 상호간의 간격은 제1격벽의 양측부위에서 직교하는 제2격벽들 상호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주 및 제2지주의 중앙부위에 구비되는 제1격벽 및 제2격벽 각각은 제1지주 및 제2지주의 양측부위에 구비되는 제1격벽 및 제2격벽보다 그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mentioned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olf club head comprising: a plurality of struts, one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a side of a body of a tree, the other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ground; A first partition wall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second partition wall provided in an inner space of the body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partition wall, A first strut of synthetic resin material including a plurality of second partitions; A plurality of first partition wall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nd intersecting with the first partition walls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partition walls, the first partition walls having an inner space and open at one side, A second strut of synthetic resin material coupled with the first strut; Wherei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truts includes a first barrier rib and a second barrier rib, wherein the second barrier ribs are perpendicular to the first barrier ribs, and the second barrier ribs ar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barrier rib, And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provided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between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And the second barrier rib is formed thicker than the first barrier rib and the second barrier rib.

상기 제1지주 및 제2지주 각각은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Each of the first and second struts may have a semi-cylindrical sh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제1지주 및 제2지주 각 상부에는 상기 홀더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through-hole through which the holder is inserted can be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pillars.

상기 제1지주의 일측에는 삽입단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지주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단에 대응하는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An insertion end is protruded at one side of the first support and an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en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또한, 상기 제1지주 및 제2지주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형광스트립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fluorescent strip may be provided on any one surface selected from the first strut and the second strut.

본 발명은 지주의 소재로서 합성수지를 사용하되 그 내부공간에 상호 교차하는 격벽들을 배치함으로써 강한 외부 충격이 작용하더라도 이를 적절하게 흡수, 분산시킬 수 있도록 하여 지주가 일정한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ynthetic resin is used as the material of the strut, and by interposing the partition walls crossing each other in the inner space, even if a strong external impact acts, it can absorb and disperse it appropriately so that the strut can maintain a constant strength.

또한, 본 발명은 지주 내부에 격벽을 배치함에 있어 지주의 중앙부위에 구비되는 격벽의 두께를 지주의 양측부위에 구비되는 격벽보다 두껍게 형성하거나,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격벽이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지주의 취약 지점으로 외력이 집중되더라도 지주가 수목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in arranging the partition walls in the inside of the column, the thickness of the partition walls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column may be thicker than the partition walls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column, or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the partition walls may be formed,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concentrated on a weak point, the landlord can firmly support the tree.

또한, 본 발명은 지주의 외부에 형광스트립을 장착하는 구성을 제안함으로써 야간의 도심 경관을 다채롭게 해줄 수 있음은 물론, 보행자에게 지주의 존재여부를 사전에 알려 충돌에 의한 보행자의 안전사고 및 지주의 훼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fluorescent strips are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pillar,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diversify the cityscape at night, as well as to inform the pedestrian of the presence of the pillar in advanc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from orig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주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주에 있어 지주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주에 있어 지주의 다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주에 있어 지주의 또 다른 구성도.
도 5는 종래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는 지주의 개략적인 단면구성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use state of a tre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schematic structural view of a support in a tre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nother structural view of a strut in a tre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4 is another structural view of a strut in a tre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trut made of a conventional synthetic resin material; Fig.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함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주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지주에 있어 지주의 개략적인 일 구성도를 보여준다.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일측은 수목의 몸통과 접하며 타측은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주(10)와, 상기 각 지주(10) 상부를 수목의 몸통 일측에 긴밀하게 결속시키는 홀더(20)로 이루어진다.Fig. 1 is a schematic use state diagram of a tre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chematic structural view of a support in a tree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comprises a plurality of struts 10, one side of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trunk of a tre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fixed to the ground, and a holder 10 which tightly binds the upper part of each strut 10 to one side of the trunk of the tree. (20).

상기 지주(10)는 수목이 바람 등과 같이 외부의 물리적 충격에 의해 옆으로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지주(10)가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구성되되 상호 결합되어 일체화되는 제1지주(120) 및 제2지주(160)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제안한다. The struts 10 prevent the trees from being tilted sideways or collapsed due to external physical impacts such as wind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ts 10 are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a first support 120 and a second support 160 which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상기 제1지주(120) 및 제2지주(160) 각각은 공통적으로 몸체(121, 161)와, 상기 몸체(121, 161)에 구비되는 제1격벽(122, 162) 및 제2격벽(128, 16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Each of the first struts 120 and the second struts 160 commonly includes bodies 121 and 161 and first and second diaphragms 122 and 162 and a second diaphragm 128 , 168).

상기 몸체(121, 161)에는 내부공간(123, 163)이 구비되고, 그 일측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몸체의 전체 단면 구조가 원(몸체를 상호 결합한 경우)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상정되어 있는데, 이는 원이 구조적으로 가장 안정적일 뿐 아니라 외부에서 물리적 충격이 가해졌을 때 이를 가장 적절하게 흡수하여 분산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는 일례일 뿐, 본 발명은 몸체(몸체가 결합한 경우)가 삼각, 사각, 육각, 팔각 등과 같이 다각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음은 물론이다.The bodies 121 and 161 are provided with internal spaces 123 and 163, and one side thereof may be opened. In the figure, it is assumed that the entir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body is made up of circles (when the bodies are mutually coupled). This is because the circle is structurally the most stable, and when a physical impact is externally applied, I can do it.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case where the body (when the body is coupled) has a polygonal structure such as a triangular shape, a square shape, a hexagonal shape, an octagonal shape or the like.

상기 제1격벽(122, 162)은 몸체의 내부공간(123, 163)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2격벽(128, 168)은 상호간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 개로 이루어져 몸체의 내부공간(123, 163)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격벽(122, 162)과 교차하며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들의 상호 결합을 감안하면, 제1격벽 및 제2격벽 각각은 몸체의 개방된 일측면 외부로 돌출되지 않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The first partition walls 122 and 162 are longitudinally provided in the inner spaces 123 and 163 of the body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s 128 and 168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123, and 163 and intersect with the first barrier ribs 122 and 162, respectively. In view of mutual coupling of the bodies,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first bank and the second bank is formed so as not to protrude outward from one side of the opened side of the body.

상기 제1격벽(122, 162)과 제2격벽(128, 168) 각각은 지주(10)에 물리적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적절하게 흡수하여 분산시키는 부분이다. 충격의 흡수 및 적절한 분산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제1격벽 및 제2격벽이 상호 교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제안하며, 그 중 하나가 바로 도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격벽(122, 162) 각각에 직교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 walls 122 and 162 and the second partition walls 128 and 168 is a portion that appropriately absorbs and disperses a physical impact on the support 10. In order to absorb shock and properly disperse the shock,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bank and the second bank are mutually crossed. One of them is the first bank 122 As shown in FIG.

즉, 지주(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지면, 충격은 상호 교차 상태로 일체화된 제1격벽(122, 162) 및 제2격벽(128, 168)을 통해 신속하게 분산됨으로써 지주(10) 자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만, 이는 흡수된 외부 충격의 분산 구조에 대한 일례일 뿐, 본 발명은 이와 달리 제2격벽이 제1격벽에 대하여 경사져 교차하는 등 여러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That is,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column 10, the impacts are quickly dispersed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artitions 122, 162 and the second partitions 128, 168 integrated in mutually intersecting states,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of the dispersion structure of the absorbed external impact, bu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case where the second partition wall has a variety of structures and shapes such as an inclina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partition wall.

한편, 지주(10)의 일측단부는 수목의 몸통에 밀착되고 그 타측단부는 지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외부에서 가해지는 물리적 충격은 지주(10)의 중앙부위에 집중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지주(10)의 중앙부위에 강도 보완수단을 구비되는 방안을 제시하는바 도 3 및 도 4 각각에 그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를 각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본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one end of the strut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runk of the tree and the other end thereof is fixed to the ground, the physical impact normally externally applied is concentrat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rut 10.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method of providing strength reinforcement means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upport 10, and an example thereof is disclosed in each of Figs. 3 and 4.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respective drawings.

먼저, 도 3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지주(120)의 중앙부위에 구비되는 제1격벽(126) 및 제2격벽(129) 각각을 제1지주(120)의 양측부위에 구비되는 제1격벽(124)보다 그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는 것이다. 어느 정도로 두껍게 형성할지, 그리고 어느 정도의 수직 높이를 그 대상으로 할 것인지는, 지주의 전체 길이와 대상 수목 등을 종합적으로 감안하여 결정할 일이다. 도면에는 제1지주의 경우만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제2지주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3, the first bank 126 and the second bank 129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trut 120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strut 120 and the first strut 126, The barrier ribs 124 are thicker than the barrier ribs 124. How much thicker it is to be formed, and how much vertical height it should be subject to is determined by taking into account the total length of the landlord and the target trees. It is obvious that only the first strut is shown in the figure, but it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strut.

다음으로, 도 4에 개시된 것과 같이, 제1지주(120)의 중앙부위에 구비되는 제1격벽(126)에서 직교하는 제2격벽(129)들 상호간의 간격을 제1지주(120)의 양측부위 제1격벽(124)에서 직교하는 제2격벽(128)들 상호간의 간격보다 그 폭을 좁게 형성하는 것이다. 도면에는 제1지주의 경우만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제2지주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4,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bank walls 129 orthogonal to the first bank 126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trut 120 is set to be short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both sides of the first strut 120 And narrow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banks 128 perpendicular to the first barrier ribs 124. Although only the first strut is shown in the drawing,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second strut can be applied as it is.

한편, 도 4에 개시된 실시예는, 도 3에 개시된 실시예 구성(제1지주(120)의 중앙부위에 구비되는 제1격벽(126) 및 제2격벽(129) 각각을 제1지주(120)의 양측부위에 구비되는 제1격벽(128)보다 그 두께를 두껍게 형성)을 기본으로 제1격벽(126)의 중앙부위에서 직교하는 제2격벽(129)들 상호간의 간격을 제1격벽(126)의 양측부위에서 직교하는 제2격벽(128)들 상호간의 간격보다 더 좁게 형성하여 부가한 경우이나, 본 발명은 이와 달리 전자와 후자가 개별적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경우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embodiment shown in FIG. 4 is different from the embodiment shown in FIG. 3 in that the first partition 126 and the second partition 129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strut 120 are divided into the first strut 120 The second barrier ribs 129 perpendicular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barrier rib 126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barrier ribs 126 Bu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case where the former and the latter are individually constitut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ase where the former and the latter are separately constituted.

상기 제1지주(120) 및 제2지주(160) 각 상부에는 도 2와 같이 관통홀(125, 16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125, 165)은 홀더(20)가 관통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제1지주 및 제2지주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지주(10)는 도 1에 개시된 것과 같이 이에 의해 일체화되어 수목의 몸통에 밀착되게 된다. 관통홀은 원, 타원 등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홀더(20)는 합성수지소재의 스트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rough holes 125 and 165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s of the first struts 120 and the second struts 160, respectively. The through holes 125 and 165 are portions through which the holder 20 is inserted and in which a plurality of struts 10 composed of the first strut and the second strut ar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FIG. And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body. The through hole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le and an ellipse. The holder 20 may be formed of a strip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제1지주(120)와 제2지주(160) 상호간의 긴밀한 결합을 위하여 본 발명은, 제1지주(120)의 일측에 삽입단을 형성하고, 제2지주(160)의 일측에는 삽입홈을 형성하는 경우를 제안한다. 도 2에는 제1지주(120)의 상하부 각각에 돌출 형성되는 삽입단(127)과, 이에 대응하여 제2지주(160)의 상하부 각각에 형성되는 삽입홈(167)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삽입단 및 삽입홈 각각은 다양한 형상을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며, 그 위치 역시 몸체(121, 161)의 다양한 부위에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The first strut 120 and the second strut 160 may have an insertion end formed at one side of the first strut 120 and an insertion groove at one side of the second strut 160 And the like. 2 shows a structure of an insertion end 127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first strut 120 and an insertion groove 167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econd strut 160, respectively. Each of the insertion end and the insertion groove may have various shapes, and the position of the insertion end and the insertion groove may also be formed at various portions of the body 121, 161.

한편, 본 발명은 수목 지주가 보행자의 왕래가 빈번한 도로변에 설치되며, 설치 위치의 특성상 통상적으로 야간에 가로등에 의해 조명되지 못함을 감안하여, 도 1과 같이 제1지주(120) 및 제2지주(160)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표면에 형광스트립(30)이 구비되는 경우를 제안한다. 형광스트립(30)은 형광물질이 도포된 테이프 또는 막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지주(10)에 형광스트립(30)이 부가되는 경우, 야간의 도심 경관을 다채롭게 해줄 수 있음은 물론, 보행자에게 지주의 존재여부를 사전에 알려 충돌에 의한 보행자의 안전사고 및 지주의 훼손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1, the first strut 120 and the second strut 120 ar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oad where pedestrians frequently travel, and in view of the nature of the installation site, The fluorescent strips 30 may be provided on any one surface selected from among the plurality of fluorescent strips 160. The fluorescent strip 30 may be made of a tape or a rod to which a fluorescent substance is applied. When the fluorescent strip 30 is added to the support 10, the nighttime cityscape can be diversifi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form the pedestrian of the presence of the support in advance and to prevent the safety accident of the pedestrian and the damage of the support It can be prevented at the sourc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다양한 방법으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나아가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기초하여 별도의 기술적 특징이 부가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apparent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acticed with added features.

10 : 지주 20 : 홀더
30 : 형광스트립 120 : 제1지주
122, 162 : 제1격벽 128, 168 : 제2격벽
10: support 20: holder
30: fluorescent strip 120: first strand
122, 162: first partition 128, 168: second partition

Claims (8)

일측은 수목의 몸통 일측과 접하며 타측은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 개의 지주와, 상기 지주 각각의 상부가 수목의 몸통 일측에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결속하는 홀더로 이루어지는 수목 지주로서,
내부공간이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격벽과,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격벽과 교차하며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격벽을 포함하는 합성수지 소재의 제1지주와;
내부공간이 구비되며 일측이 개방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격벽과, 상기 몸체의 내부공간에 구비되되 상기 제1격벽과 교차하며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제2격벽을 포함하여 상기 제1지주와 결합되는 합성수지 소재의 제2지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지주 및 제2지주에 구비되는 상기 제2격벽 각각은 상기 제1격벽 각각에 직교하되 상기 제1격벽의 중앙부위에서 직교하는 제2격벽들 상호간의 간격은 제1격벽의 양측부위에서 직교하는 제2격벽들 상호간의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고, 상기 제1지주 및 제2지주의 중앙부위에 구비되는 제1격벽 및 제2격벽 각각은 제1지주 및 제2지주의 양측부위에 구비되는 제1격벽 및 제2격벽보다 그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주.
A plurality of strut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body of the tree and fixed to the ground at the other side and a holder which binds the upper portions of the struts closely to one side of the body of the tree,
A first partition wall having an inner space and open at one side thereof, a first partition wall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nd a plurality of second partition wall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partition wall, A first strut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including a partition wall;
A first partition wall having an inner space and open at one side thereof, a first partition wall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nd a plurality of second partition walls provided in the inner space of the body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rst partition wall, A second strut made of a synthetic resin, which is coupled with the first strut, including a partition wall; , ≪ / RTI >
The first and second struts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ribs, each of the second ribs being orthogonal to each of the first ribs, wherein a gap between the second ribs orthogonal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ribs is orthogonal to both sides of the first rib,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are formed to be narrower than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and the first and second pillars provid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pillars and the second pillars are provid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pillars and the second pillars, 1 < / RTI > thicker than the first and second barrier rib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주 및 제2지주 각각은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strut and the second strut each have a semi-cylindrical shap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주 및 제2지주 각 상부에는 상기 홀더가 관통 삽입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holder is inserted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upport colum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주의 일측에는 삽입단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2지주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단에 대응하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insertion end is protruded at one side of the first strut and an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insertion en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econd stru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주 및 제2지주 중에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표면에는 형광스트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지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luorescent strip is provided on any one surface selected from among the first strut and the second strut.
KR1020130061459A 2013-05-30 2013-05-30 A prop for tree KR1015463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459A KR101546399B1 (en) 2013-05-30 2013-05-30 A prop for tre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1459A KR101546399B1 (en) 2013-05-30 2013-05-30 A prop for tre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740A KR20140141740A (en) 2014-12-11
KR101546399B1 true KR101546399B1 (en) 2015-08-25

Family

ID=52459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1459A KR101546399B1 (en) 2013-05-30 2013-05-30 A prop for tre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399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1740A (en) 2014-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59339A (en) Collapsible plant stake assembly
US20110297197A1 (en) Umbrella anchoring device
CN203420234U (en) Net-type sand barrier for blocking and fixing sand
KR101546399B1 (en) A prop for tree
KR101088719B1 (en) Separation Tool for Road of Evergreen Plantation
KR100800604B1 (en) Street light having a hidden reinforcement
CN207469454U (en) A kind of support construction of growing for mobile housing
KR102278053B1 (en) Assembly fence with light
CN205617407U (en) Strenghthened type pile foundation
US8572872B1 (en) Road sign and the method for production of the same
KR101057721B1 (en) Separation type street light
KR20190119277A (en) tree holding water manage method with smartphone apllication
CN104746400A (en) Pavement greening material and greened pavement
KR102334008B1 (en) A grid for fixing tent frame
CN103329755A (en) Typhoon resistant greenhouse base
KR102469215B1 (en) Boundary fence
ES2673006T3 (en) Wind turbine tower foundation and wind turbine tower preassembly method
EP3886569B1 (en) Arbor stake stabilization member
KR101476269B1 (en) Tree-planting Apparatus of Vertical Column
CN205387852U (en) Enclosure fence
CN202788174U (en) Detachable partition railing for construction site
JP3184017U (en) Unit fence
KR102187671B1 (en) Planar landscaping trees using pin oakwood`s adult tre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CN203230227U (en) Partition fence for green belts
CN210598390U (en) Environment-friendly construction encloses fen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