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6094B1 - 냉장고의 제빙장치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6094B1
KR101546094B1 KR1020090002797A KR20090002797A KR101546094B1 KR 101546094 B1 KR101546094 B1 KR 101546094B1 KR 1020090002797 A KR1020090002797 A KR 1020090002797A KR 20090002797 A KR20090002797 A KR 20090002797A KR 101546094 B1 KR101546094 B1 KR 1015460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ice
water
water tank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3433A (ko
Inventor
정용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27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6094B1/ko
Publication of KR20100083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60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60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장치에 의하면, 물탱크의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상기 물탱크의 전면에 제공되는 누름부가 냉동실 도어에 가하는 힘의 크기가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의 개폐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므로, 상기 냉동실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냉장고, 제빙장치, 물탱크

Description

냉장고의 제빙장치{A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의 저온 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로써, 보관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종류에 따라서 음식물을 냉동 또는 냉장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냉장고의 내부는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서 냉각되며, 상기 냉기는 압축-응축-팽창-증발의 과정을 거치는 냉동 사이클(Cycle)에 의한 냉매의 열 교환 작용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생성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의 내부로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냉장고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냉장고 내부의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냉장고 본체는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는 냉장실과 냉동실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전면에는 상기 개구부를 선택적으로 차폐하기 위한 냉장실 도어와 냉동실 도어가 구비된다.
그리고, 냉장고 내부의 저장 공간에는 다양한 음식물들을 최적의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서랍과 선반 및 수납박스 등이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냉장실 도어 또는 상기 냉동실 도어의 배면에는 바스켓이 다수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선반, 수납박스 및 바스켓 등에 의해 상기 냉장고 내부의 저장 공간이 구획되어 적합한 음식물들의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에는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빙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는데, 상기 냉동실에 장착되는 제빙장치는 일반적으로, 물이 저장되는 물 탱크와,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어 실질적으로 얼음이 제조되는 아이스 트레이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저장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뱅크로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빙장치는 대략 직사각형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냉동실의 일측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냉동실 내부 공간의 앞쪽에 위치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제빙장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냉동실 도어와 간섭되도록 형성된다.
더 상세히, 상기 물 탱크의 전면부에는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누름부가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는 상기 물 탱크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부는 상기 냉동실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냉동실 도어의 배면에 의해 눌려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물 탱크의 바닥면에는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공급되기 위한 물 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물 공급구는 밸브 등의 소정의 차단부재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누름부가 눌려지는 동작에 연동되어, 상기 물 탱크에 저장되어 있던 물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공급되도록 동작된다. 즉, 상기 냉동실 도어가 닫히면서 상기 누름부를 누르게 되면,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물 공급구를 개방하도록 동작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가 열리면, 상기 누름부는 다시 돌출 상태로 복귀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물 공급부를 차단하도록 동작된다.
여기서, 상기 냉동실 도어가 열릴 때, 상기 누름부가 돌출 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힘은, 상기 차단부재와 상기 물 탱크의 결합 부위에 제공되는 소정의 탄성부재에 의해 제공된다. 예를 들면, 상기 차단부재의 결합부에 상기 탄성부재로서 압축 스프링이 제공되는 경우, 상기 누름부가 눌림으로서 상기 차단부재가 상기 압축 스프링을 가압하면, 상기 압축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누름부가 원 상태로 돌출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압축 스프링은 상기 누름부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힘을 가한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는 닫히는 과정에서 상기 누름부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에는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이 가해진다. 이때, 상기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누름부가 돌출되도록 하는 방향, 즉 상기 냉동실 도어가 닫히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냉동실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누름부에 의한 저항을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를 약한 힘으로 닫거나, 자연스럽게 닫히도록 방치한 경우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 냉동실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압축 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은 지속적으로 상기 누름부를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작용되므로, 상기 냉동실 도어에도 그 힘이 지속적으로 작용된다. 즉, 상기 냉동실 도어가 개방되도록 힘이 작용된다. 이러한 현상은 상기 냉동실 도어의 기밀도에 영향을 미치며, 심한 경우에는 상기 냉동실 도어가 사용자가 열지 않았는데도 개방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물탱크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냉동실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냉장고의 제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동실의 기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장치에는, 냉동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제공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하측에 제공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유닛; 및 상기 제빙유닛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가 포함되고, 상기 물탱크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빙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 상기 급수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단부; 일측은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측은 냉동실 도어의 닫히는 동작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레버; 및 일측은 상기 레버의 일측과 타측 사이의 어느 지점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차단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장치에는, 냉동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제공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하측에 제공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유닛; 및 상기 제빙유닛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가 포함되고, 상기 물탱크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빙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 상기 급수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단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냉동실 도어의 닫히는 동작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부; 상기 누름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차단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누름부의 이동 변위보다 상기 구동부의 이동 변위가 더 작아지도록 상기 누름부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레버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장치에 의하면, 물탱크의 구조가 개선됨으로써, 상기 물탱크의 전면에 제공되는 누름부가 냉동실 도어에 가하는 힘의 크기가 작아진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의 개폐에 미치는 영향이 줄어들므로, 상기 냉동실 도어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냉동실 도어가 닫혀있을 때, 상기 냉동실 도어를 미는 힘이 작으므로, 상기 냉동실의 기밀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장치(1)는 냉동실에 제공되어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기구로서, 외관을 형성하는 제빙장치 케이스(11)와, 상기 제빙장치 케이스(11) 내부의 상측에 제공되며 얼음을 만들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20)와, 상기 물탱크(20)의 하측에 제공되며 얼음을 소정의 형상으로 생성하는 제빙유닛(30)과, 상기 제빙유닛(30)의 하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빙유닛(30)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40)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제빙장치 케이스(1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20) 등의 구성요소들을 전방으로 인출입할 수 있도록 전면에 개구부(1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장치 케이스(11)는 상기 냉동실의 선반 등에 상기 제빙장치(1)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빙장치 케이스(11)의 상부면에는 상기 제빙장치 케이스(11) 내부로 냉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냉기홀(13)이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장치 케이스(11)의 후면도 냉기의 원활한 유입을 위해 개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탱크(20)는 상기 제빙장치 케이스(11) 내부의 상측 공간에 제공되며, 상기 제빙장치 케이스(11)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빙장치 케이스(11)의 양측면의 내측에는 물탱크 가이드 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물탱크(20)를 상기 제빙장치 케이스(11)로부터 인출하여 후술할 물 공급구(도 2, 233)를 통해 물을 공급한 후, 상기 물탱크(20)를 상기 제빙장 치 케이스(11)에 인입한다.
이때, 상기 물탱크(20)의 전면에는 냉동실 도어(도 3, 5)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부(21)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제빙장치(1)는 상기 누름부(21)가 상기 냉동실 도어(5)에 눌려질 수 있도록 상기 냉동실의 전방에 위치된다. 즉, 상기 냉동실 도어(5)가 완전히 닫힐 때 상기 냉동실 도어(5)의 배면에 상기 누름부(21)가 눌려지게 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겠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20)의 하방에는 상기 제빙유닛(30)이 제공되어, 상기 물탱크(2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얼음을 생성한다. 상기 제빙유닛(30)의 내부에는 소정의 형상으로 얼음이 생성되도록 아이스 트레이(미도시)가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20)로부터 공급되는 물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저장되었다가 냉기에 의해 얼음으로 변화된다. 이때,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생성된 얼음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비틀어짐으로 인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분리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빙유닛(30)의 전면에는 회전 손잡이(31)가 제공된다. 즉, 상기 회전 손잡이(31)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회전 손잡이(31)를 잡고 일정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아이스 트레이도 함께 회전된다. 이때, 상기 제빙유닛(30)의 일측에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회전을 제한하는 간섭부재(미도시)가 제공됨으로써,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비틀려지고, 얼음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가 좌우에 각각 하나씩 제공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한편, 상기 아이스 트레이는 회전 반경을 확보하고, 냉기를 원활하게 공급받 기 위해 상기 물탱크(20) 및 상기 아이스 뱅크(4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40)는 상기 제빙장치 케이스(11)의 최하측에 제공되며, 상방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분리되어 떨어지는 얼음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 형태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아이스 뱅크(40)는 사용자가 얼음을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제빙장치 케이스(11)로부터 슬라이딩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며, 상기 아이스 뱅크(40)의 전면에는 아이스 뱅크 손잡이(41)가 형성된다. 상기 아이스 뱅크(40)의 슬라이딩 인출입을 위해, 상기 제빙장치 케이스(11)의 양측면에는 아이스 뱅크 가이드 홀(15)이 형성되고, 상기 아이스 뱅크(40)의 측면에는 상기 아이스 뱅크 가이드 홀(15)에 대응되도록 가이드 돌기(409)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물탱크(20)와 상기 제빙유닛(30)와 상기 아이스 뱅크(40)는 상기 제빙장치 케이스(11) 내부에서 냉기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빙장치 케이스(11)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제빙유닛(30)에서 얼음이 생성되면 상기 아이스 뱅크(40)를 전방으로 인출하여 얼음을 꺼낼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편리하게 얼음을 얻을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물탱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물탱크의 동작 원리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누름부가 눌리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누름부가 눌린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물탱크(20)는 물이 저장되는 탱크 본체(22)와 상기 탱크 본체(22)의 상측 개구부를 차폐하는 탱크 커버(23)로 구성된다.
상기 탱크 본체(22)는 대략 상부면이 개구되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물 저장공간(224)이 제공되어 물을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물 저장공간(224)은 상기 탱크 커버(23)에 의해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탱크 본체(22)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누름부(21)가 제공된다.
상세히, 상기 탱크 본체(22)에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부(221)와, 상기 전면부(221)의 후방에 제공되며 상기 물 저장공간(224)을 형성하는 본체 케이스(222)가 포함된다.
상기 전면부(221)는 상기 제빙장치 케이스(11)의 전면 개구부의 너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물탱크(20)를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물탱크 손잡이(226)가 전방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부(221)의 하측 중앙부에는 상기 누름부(21)가 삽입되는 누름부 관통홀(229)이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 관통홀(229)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전면부(221)의 전후 방향으로 천공 형성된다. 상기 누름부(21)는 상기 누름부 관통홀(229)을 통과하여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다.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겠다.
상기 본체 케이스(222)는 상부면이 개구되어 있으며, 중앙부가 소정 깊이 함몰되어 상기 물 저장공간(22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물 저장공간(224)의 중앙 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물 저장공간(224)을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리브(228)가 상기 본체 케이스(222)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상기 구획리브(228)는 상기 물 저장공간(224)을 상기 제빙유닛(30)에 제공되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갯수와 위치에 대응되도록 구획한다.
그리고, 상기 구획리브(228)에 의해 구획된 각 공간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227)와, 상기 급수구(227)를 차폐하는 차단캡(255)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차단캡(255)은 서로 연결되어 차단부(25)를 형성하며,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겠다.
또한, 상기 구획리브(228)의 중앙부에는 상기 차단부(25)의 일부가 삽입되는 차단부 가이드(225)가 형성된다. 상기 차단부 가이드(225)는 원통 형상으로 상기 본체 케이스(22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내부에는 상기 차단부(25)의 일부가 상기 본체 케이스(222)의 하방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 케이스(222)의 하단부에는, 테두리를 따라 안착부(223)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23)는 상기 제빙장치 케이스(11)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물탱크 가이드 홈(미도시)에 안착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본체 케이스(222)의 하단부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소정 길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223)가 상기 물탱크(20)가 상기 물탱크 가이드 홈에 안착됨으로써, 상기 물탱크(20)는 정확한 위치에서 지지될 수 있으며,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인출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탱크 커버(23)는 상기 본체 케이스(22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커버 플레이트(231)와, 상기 탱크 커버(23)를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물탱 크(2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231)에 천공 형성되는 물 공급구(233)와, 상기 물 공급구(233)를 차폐하는 공급구 뚜껑(235)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231)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물 저장공간(224)으로 냉기가 유입되어 물이 바로 얼지 않도록 상기 물 저장공간(224)을 차폐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 플레이트(231)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본체 케이스(222)의 테두리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홈(232)이 형성된다. 상기 끼움홈(232)은 상기 본체 케이스(222)의 테두리에 형합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탱크 커버(23)를 상기 탱크 본체(22)에 결합하면 상기 물 저장공간(224) 내부로 냉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상기 누름부(21)에는 상기 전면부(221)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냉동실 도어(5)에 의해 직접 힘을 받는 헤드(211)와, 상기 헤드(211)의 배면에 연결되며 상기 누름부 관통홀(229)을 통과하여 상기 전면부(221)의 후방까지 연장되는 연결리브(212)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헤드(211)는 작동 중 요동되지 않도록 상기 누름부 관통홀(229)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211)는 상기 전면부(221)의 전방으로 소정 길이 돌출된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헤드(211)는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의 홈에 상기 연결리브(212)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리브(212)는 상기 헤드(211)와 후술할 레버(270)를 연결하는 구성요소로서, 일측은 상기 헤드(211)의 배면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레버(270)와 연 결된다. 이때, 상기 레버(270)는 상기 연결리브(212)의 후단부에 가까운 어느 지점에 연결되며, 볼트 등의 제 1 체결부재(272)에 의해 상기 레버(270)가 상기 연결리브(21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 1 체결부재(272)는 상기 레버(270) 및 상기 연결리브(212)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는 너트(274)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체결부재(272)는 상기 레버(272)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리브(212)와 상기 레버(270)를 연결한다.
한편, 상기 레버(270)는 상기 누름부(21)의 움직임을 후술할 구동부(28)에 전달하는 구성 요소로서, 일측은 상기 연결리브(212)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 케이스(222)의 바닥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레버 고정부(241)에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레버 고정부(241)는 상기 레버(270)가 결합되었을 때, 상기 레버(270)의 바닥면이 상기 연결리브(212)의 상부면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270)는 볼트 등의 제 2 체결부재(242)가 하방에서 상기 레버(270)를 관통하여 상기 레버 고정부(241)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된다.
이때, 상기 레버(270)에는 상기 제 2 체결부재(242)가 관통하며, 상기 레버(27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천공 형성되는 레버 가이드홀(277)이 형성된다. 즉, 상기 레버(270)는 상기 레버 가이드홀(277)에 상기 제 2 체결부재(242)가 끼워져 있으므로, 상기 제 2 체결부재(24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직선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버(270)는 상기 연결리브(212)의 전후 방향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 체결부재(27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상기 레버(270)의 중앙부의 바닥면에는 제 3 체결부재(273)에 의해 후술할 구동부(28)가 연결된다. 상세히, 상기 구동부(28)는 상기 연결리브(212)와 상기 레버 고정부(241)의 사이에 연결되며, 상기 레버 가이드홀(277)보다 앞쪽에서 연결된다. 상기 제 3 체결부재(273)는 상기 제 1 체결부재(272)와 마찬가지로 상기 레버(270)의 상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레버(270)와 상기 구동부(28)를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단부에는 너트(275)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체결부재(273)는 상기 레버(270)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부(28)와 상기 레버(270)를 연결한다.
상기 구동부(28)는 상기 누름부(21)의 전후 방향 이동을 상기 차단부(25)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히, 상기 구동부(28)는 상기 본체 케이스(222)의 대략 가운데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전단부에 소정의 각도로 하방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동부 경사면(282)이 형성되는 구동부 바디(281)와, 상기 구동부 바디(281)로부터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레버(270)에 연결되는 연동부(283)와, 상기 구동부 바디(281)의 후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구동부 가이드바(288)와, 상기 구동부(28)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는 구동부 스토퍼(287)를 포함한다.
더 상세히, 상기 구동부 바디(281)은 상면이 하방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부 경사면(282)을 형성한다. 상기 경사면(282)은 후술할 차단부 경사면(252)과 연동하여 상기 차단부(25)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연동부(283)는 일측이 상기 구동부 바디(281)의 전단에 연결되 고, 타측이 상기 레버(270)에 연결된다. 즉, 상기 제 3 체결부재(273)는 상기 연동부(283)를 관통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28)는 상기 본체 케이스(222)의 대략 가운데에 제공되므로, 상기 레버(270)에 연결되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부 바디(281)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후 상기 레버(270)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부(283)에는 상기 제 3 체결부재(273)가 삽입되는 연동 가이드홀(284)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연동 가이드홀(284)은 상기 연동부(283)의 단부에 천공 형성되며, 상기 물탱크(20)의 좌우 방향(도 4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270)가 회전되면, 상기 제 3 체결부재(273)는 상기 레버(270)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연동 가이드홀(284) 내에서 움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 가이드바(288)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후술할 동작 가이드부(291)의 후방까지 연장될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 가이드바(288)에는 후술할 제 2 탄성부재(262)가 끼워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 스토퍼(287)는 상기 구동부 바디(81)의 후단부로부터 상기 구동부 가이드바(288)를 따라 연장된다. 상기 구동부 스토퍼(287)의 후단부에는 상기 제 2 탄성부재(262)가 접촉되며, 상기 구동부(28)가 후방 이동될 경우 상기 제 2 탄성부재(262)에 힘을 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차단부(25)는, 하부에 상기 구동부 경사면(282)에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단부 경사면(252)이 형성되는 차단부 바디(251)와, 상기 차단부 바디(251)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차단부 가이드(225) 내부로 삽입되는 탄성부재 가이드(254)와, 상기 차단부 바디(251)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차단부(25)의 상방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돌기(253)와, 상기 급수구(227)를 차단하는 차단캡(255)과, 상기 차단부 바디(251)의 양측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차단캡(225)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암(256)을 포함한다.
더 상세히, 상기 차단부 경사면(252)은 상기 구동부 경사면(282)의 기울기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구동부 경사면(282)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28)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차단부(25)는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 가이드(254)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차단부 가이드(225)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탄성부재 가이드(254)의 상단부는 상기 차단부(25)가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차단부 가이드(225)의 함몰부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차단부(25)는 상기 탄성부재 가이드(254)에 제 1 탄성부재(261)가 끼워진채로 상기 차단부 가이드(225)에 삽입된다. 상기 제 1 탄성부재(261)는 상기 차단부 가이드(225)의 함몰된 깊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제공되며, 압축되었을 때 반발력을 낼 수 있는 압축 스프링으로 제공된다. 즉, 상기 차단부(25)가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탄성부재(261)의 반발력이 상기 차단부(25)를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작용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253)는 상기 차단부(25)의 상방 이동 시, 상기 차단부 가이드(225)의 하단부에 간섭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25)는 소정의 길이만큼만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차단캡(255)은 상기 차단부 바디(251)에 상기 지지암(256)을 통해 연결되므로, 상기 차단부 바디(251)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차단캡(255)이 상기 급수구(227)를 차폐하고 있는 상태가 상기 차단부(25)에 아무런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이며, 상기 구동부(28)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차단부(25)가 상방 이동되므로, 상기 차단캡(255)도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급수구(227)가 개방된다.
한편, 상기 본체 케이스(222)의 후방에는 상기 구동부(28)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동작 가이드부(291)가 제공된다. 상기 동작 가이드부(291)는 상기 본체 케이스(222)의 바닥면으로부터 직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구동부 가이드바(288)가 끼워진다. 상기 동작 가이드부(291)에는 상기 구동부 가이드바(288)가 관통할 수 있도록, 가이드바 관통홀(292)이 천공 형성된다. 즉, 상기 구동부 가이드바(288)가 상기 가이드바 관통홀(292)에 끼워져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 가이드바(288)에는 제 2 탄성부재(262)가 끼워진다. 상기 제 2 탄성부재(262)는 상기 구동부 스토퍼(287)와 상기 동작 가이드부(291)의 사이에 제공되며, 상기 제 2 탄성부재(262)로는 압축 스프링이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28)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탄성부재(262)는 일측이 상기 동작 가이드부(291)에 지지되므로 압축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탄성부재(262)의 복원력은 상기 구동부(28)를 전방으로 미는 방향으로 작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물탱크(20)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겠다.
상기 제빙장치(1)는, 상기 냉동실 도어(5)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물탱크(20) 의 상기 누름부(21)가 상기 냉동실 도어(5)에 의해 눌려져 있을 수 있도록 상기 냉동실의 앞쪽에 제공된다.
즉, 상기 냉동실 도어(5)가 닫히게 되면, 상기 헤드(211)는 상기 냉동실 도어(5)의 배면에 밀려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헤드(211)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연결리브(212)도 함께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레버(270)는 일측이 상기 연결리브(212)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레버 고정부(241)에 연결되며, 상기 레버 고정부(241)와의 연결부에는 상기 레버 가이드홀(277)이 형성되므로, 상기 연결리브(212)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레버(270)는 후방으로 밀려나면서 회전된다(도 4에서 반시계방향). 이때, 상기 레버(270)에는 상기 레버 가이드홀(27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버(270)는 자연스럽게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270)는 상기 구동부(28)에도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버(270)가 회전하면서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구동부(28)도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세히, 상기 연동부(283)에는 상기 연동 가이드홀(28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버(270)는 상기 연동부(283)와의 간섭없이 자연스럽게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 가이드홀(283)은 상기 물통(20)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므로, 상기 레버(270)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힘을 그대로 상기 연동부(283)에 전달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 바디(281)는 상기 구동부 가이드바(288)가 상기 동작 가이드부(291)에 끼워져 있으므로 후방으로 직선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28)가 후방으로 밀려남에 따라, 상기 제 2 탄성부재(262)는 압축되어, 탄성 에너지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구동부(28)가 후방으로 밀려나면, 상기 차단부 경사면(252)은 상기 구동부 경사면(282)에 의해 밀리면서 상기 차단부(25)는 상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급수구(227)를 막고 있던 상기 차단캡(255)도 상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급수구(227)가 개방된다. 따라서, 상기 물 저장공간(224)에 저장되어 있던 물은 상기 급수구(227)를 통해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얼음으로 변화된다.
이때, 상기 제 1 탄성부재(261)도 압축되어, 탄성 에너지가 저장된다.
여기서, 상기 냉동실 도어(5)가 상기 헤드(211)를 미는 힘은,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기 구동부(28)에 더 크게 작용하게 된다. 즉, 상기 구동부(28)의 이동 변위는 상기 레버(270)에 의해 상기 헤드(211)의 이동 변위보다 더 작다. 따라서, 상기 구동부(28)에 더 큰 힘이 작용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헤드(211)에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상기 제 1 탄성부재(261) 및 상기 제 2 탄성부재(262)에 큰 힘을 가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 도어(5)를 닫을 때, 상기 제 1 탄성부재(261) 및 상기 제 2 탄성부재(262)에 의한 저항력을 적게 받는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상기 냉동실 도어(5)가 닫혀있는 동안 유지된다. 즉, 상기 차단부(25)에는 상기 제 1 탄성부재(261)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되고, 상기 구동부(28)에는 상기 제 2 탄성부재(262)에 의한 복원력이 작용된다. 상기 제 1 탄성부 재(261)와 상기 제 2 탄성부재(262)의 복원력은 모두 상기 구동부(28)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작용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28)에 작용되는 힘은 상기 레버(270)를 통해 상기 연결리브(212)에 전달된다. 즉, 상기 헤드(211)가 상기 냉동실 도어(5)를 미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된다. 여기서, 상기 헤드(211)가 상기 냉동실 도어(5)를 미는 힘은 지렛대의 원리에 의해 상기 구동부(28)에 작용하는 힘보다 작다.
즉, 상기 냉동실 도어(5)를 미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힘이 종래에 비해 작다.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5)가 닫혀 있는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므로, 상기 냉동실의 기밀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냉동실 도어(5)가 개방되면, 상기 제 1 탄성부재(261) 및 상기 제 2 탄성부재(262)의 복원력이 상기 구동부(28)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헤드(211)가 상기 전면부(221)의 전방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실시예의 변경, 추가, 삭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장치의 외관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물탱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물탱크의 동작 원리를 보여주는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누름부가 눌리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
도 5는 도 2의 누름부가 눌린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도.

Claims (8)

  1. 냉동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제공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하측에 제공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유닛; 및
    상기 제빙유닛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가 포함되고,
    상기 물탱크에는,
    물이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빙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
    상기 급수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단부;
    상기 본체의 일면에 구비되는 레버 고정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냉동실 도어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부;
    상기 누름부의 후면에 형성되는 연결리브;
    일측은 상기 연결리브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레버고정부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
    상기 레버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서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연동 가이드홀; 및
    상기 연동 가이드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차단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가 포함되며,
    상기 누름부가 눌려지면, 상기 레버가 상기 레버 고정부를 기준으로 회전하고, 상기 연동 가이드홀에 결합된 구동부가 후퇴하여, 상기 구동부에 결합된 상기 차단부가 상기 급수구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레버 고정부에 결합되는 레버 가이드홀을 포함하며,
    상기 레버 가이드홀은 설정된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레버 고정부는 상기 레버 가이드홀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 또는 상기 구동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차단부가 상기 급수구를 닫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힘을 가하는 탄성 부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에는,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냉동실 도어의 배면에 의해 직접 눌려지고, 상기 레버는 상기 누름부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직선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차단부에 밀착되며,
    상기 구동부와 상기 차단부의 접촉면은 상기 레버의 움직임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방향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 장치.
  8. 냉동실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제공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의 하측에 제공되어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유닛; 및
    상기 제빙유닛에서 생성된 얼음을 저장하는 아이스 뱅크가 포함되고,
    상기 물탱크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제빙유닛으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구;
    상기 급수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단부;
    상기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냉동실 도어의 닫히는 동작에 의해 눌려지는 누름부;
    상기 누름부의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차단부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누름부의 이동 변위보다 상기 구동부의 이동 변위가 더 작아지도록 상기 누름부와 상기 구동부를 연결하는 레버가 포함되고
    상기 누름부가 눌려지면, 상기 레버가 회전하고, 구동부가 후퇴하여, 상기 차단부가 상기 급수구를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20090002797A 2009-01-13 2009-01-13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15460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797A KR101546094B1 (ko) 2009-01-13 2009-01-13 냉장고의 제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797A KR101546094B1 (ko) 2009-01-13 2009-01-13 냉장고의 제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433A KR20100083433A (ko) 2010-07-22
KR101546094B1 true KR101546094B1 (ko) 2015-08-20

Family

ID=42643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797A KR101546094B1 (ko) 2009-01-13 2009-01-13 냉장고의 제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60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19869A (ko) 2010-08-27 2012-03-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회전형 헤드램프
CN102374715B (zh) * 2011-09-23 2017-02-08 海尔集团公司 制冰机注水系统、具有该注水系统的冰箱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6631A1 (en) 2003-09-16 2005-03-24 Multibrás S.A. Eletrodomésticos Ice mold supply system for refrigeration applian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6631A1 (en) 2003-09-16 2005-03-24 Multibrás S.A. Eletrodomésticos Ice mold supply system for refrigeration applian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433A (ko)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04304B2 (en) Ice 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1622228B1 (ko) 냉장고
KR101621578B1 (ko) 냉장고
US8302423B2 (en) Ice-making device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3690362B1 (en) Refrigerator
KR101968563B1 (ko) 아이스 메이커
KR100895139B1 (ko) 냉장고
KR101669421B1 (ko) 냉장고
US8925342B2 (en) Refrigerator
US20150115790A1 (en) Refrigerator
US20130014536A1 (en) Ice maker
KR20080100553A (ko) 냉장고의 도어개방구조
CN107850365B (zh) 冰箱
KR101713227B1 (ko) 냉장고
US8899064B2 (en) Refrigerator
US8162422B2 (en) Refrigerator
KR101546094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US20100175417A1 (en) Refrigerator
KR20090005753U (ko) 냉장고
KR20130045437A (ko) 냉장고
KR20200038350A (ko) 냉장고
KR101621558B1 (ko) 냉장고
KR101637351B1 (ko) 얼음보관함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10055860A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KR102671716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