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057B1 - 다기능 네트워크 시스템, 다기능 ip공유기 및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다기능 네트워크 시스템, 다기능 ip공유기 및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057B1
KR101545057B1 KR1020130135807A KR20130135807A KR101545057B1 KR 101545057 B1 KR101545057 B1 KR 101545057B1 KR 1020130135807 A KR1020130135807 A KR 1020130135807A KR 20130135807 A KR20130135807 A KR 20130135807A KR 101545057 B1 KR101545057 B1 KR 101545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information
area network
support server
information
search st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5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3614A (ko
Inventor
이희열
Original Assignee
(주) 이비즈네트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이비즈네트웍스 filed Critical (주) 이비즈네트웍스
Priority to KR1020130135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05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3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54Wide area networks, e.g. public data networks
    • H04L12/2856Access arrangements, e.g. Internet ac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4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for recovering from a failure of a protocol instance or entity, e.g. service redundancy protocols, protocol state redundancy or protocol service re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근거리 통신망(LAN)과 광역 통신망(WAN) 사이에 형성되는 IP공유기와 광역 통신망에 연결되는 지원 서버가 개시된다. IP공유기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된 접속 정보를 분석하여 지원 서버로 전송하고, 지원 서버는 접속 정보에 기초하여 여러 가지 지원 서비스를 IP공유기로 제공한다. IP공유기는 제공된 지원 서비스를 토대로 클라이언트에게 검색 기능, 주소 교정 기능 등을 지원한다.

Description

다기능 네트워크 시스템, 다기능 IP공유기 및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Network system, IP share device, and Method for processing contact information thereof}
IP공유기를 활용한 네트워크 시스템 및 접속 정보 처리 방법과 관련된다.
IP공유기란 사설 IP주소를 공인 IP주소처럼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하드웨어 장치를 말한다. IP공유기는 하드웨어적으로 허브처럼 보이지만 소프트웨어적으로 NAT가 작동을 함으로써 사설 IP주소를 공인 IP주소로 변환시켜 여러 컴퓨터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준다. 참고로, 기존에는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하나의 ADSL/케이블 회선을 이용하여 한 대의 컴퓨터에서 인터넷을 사용하였는데, IP공유기가 나오면서부터 하나의 회선(공인IP)를 가지고 여러 대의 컴퓨터들이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통상적으로, ISP업체에서 제공하는 외장형/내장형 모뎀이 한 대의 컴퓨터에 직접 연결되어 공인 IP를 연결된 컴퓨터에 부여하여 인터넷을 사용하였는데, 최근에는 IP공유기가 사용됨에 따라, 이런 모뎀이 IP공유기에 연결되고 여러 대의 컴퓨터가 IP공유기에 연결되어 각각의 컴퓨터가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한편 인터넷 사용자가 급증함에 따라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게 되었다. 예컨대, 최근에는 웹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직접 검색어를 입력하거나 한글로 된 도메인 네임을 입력하면, 여기에 대응되는 정보를 검색해주는 기능도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가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자와 별도의 계약을 맺고 서비스에 가입을 해야 하므로 불편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18708호(2010.02.18.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62412호(2013.06.13.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98338호(2012.09.05. 공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별도의 서비스 가입을 하지 않아도 각 가정 또는 사무실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IP공유기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다양한 검색 기능과 주소 교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와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다기능 네트워크 시스템은, 근거리 통신망(LAN)과 광역 통신망(WAN) 사이에 형성되는 IP공유기 및 상기 광역 통신망에 연결되는 지원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IP공유기는,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에 검색 문자열이 포함되었는지 여부 또는 수신된 접속 정보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검색 문자열 또는 상기 오류가 있는 접속 정보를 상기 지원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지원 서버는, 상기 검색 문자열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상기 IP공유기로 제공하거나 상기 오류가 있는 접속 정보를 교정하여 올바른 접속 정보를 상기 IP공유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다기능 IP공유기는, 근거리 통신망(LAN)과 광역 통신망(WAN)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에 검색 문자열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접속 정보에 검색 문자열이 포함된 경우, 상기 검색 문자열을 상기 광역 통신망에 연결된 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다기능 IP공유기는, 근거리 통신망(LAN)과 광역 통신망(WAN)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와, 상기 접속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경우,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광역 통신망에 연결된 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은, 근거리 통신망(LAN)과 광역 통신망(WAN) 사이에 형성되는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에 검색 문자열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정보에 검색 문자열이 포함된 경우, 상기 검색 문자열을 상기 광역 통신망에 연결된 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은, 근거리 통신망(LAN)과 광역 통신망(WAN) 사이에 형성되는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경우,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광역 통신망에 연결된 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IP공유기를 통해 검색 기능과 주소 교정 기능이 지원되므로 IP공유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보다 안정적으로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공유기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매니저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을 도시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네트워크 시스템, 다기능 IP공유기,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기능 네트워크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IP공유기(101)와 지원 서버(102)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다수의 클라이언트(103), 모뎀(104), 검색 서버(10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IP공유기(101)는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110)과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120) 사이에 형성된다. 근거리 통신망(LAN)(110)은 개인용 컴퓨터 또는 각종 스마트 기기 등을 포함하는 클라이언트(103) 간의 통신망이 될 수 있다. 광역 통신망(WAN)(120)은 인터넷(Internet)에 기초한 통신망이 될 수 있다.
IP공유기(101)는 여러 클라이언트(103)가 인터넷을 통해 서버(102)(105)로 접속할 수 있도록 사설 IP주소를 공인 IP주소로 변환할 수 있다. 따라서 IP공유기(101)를 통해 하나의 공인 IP주소를 가지고 여러 대의 클라이언트(103)가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IP공유기(101)는 LAN포트를 통해 클라이언트(103)와 연결되고, WAN포트를 통해 모뎀(104)과 연결될 수 있다.
지원 서버(102)는 광역 통신망(WAN)(120)에 연결된다. 예컨대, 지원 서버(102)는 본 시스템 운영자가 운영하며 인터넷에 접속된 별도의 서버 장치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IP공유기(101)에 기초하여 다양한 지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서, IP공유기(101)는 근거리 통신망(110)에 연결된 클라이언트(103)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에 검색 문자열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속 정보란 클라이언트(103)의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되는 각종 정보를 의미한다. 접속 정보로는 URL정보, 도메인주소, IP주소, 검색 문자열 등이 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클라이언트(103)가 외부의 서버(105)를 이용하기 위해 입력하는 모든 정보를 통칭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검색 문자열이란 인터넷 상에서 클라이언트(103) 사용자가 찾고자 하는 정보가 될 수 있다.
접속 정보에 검색 문자열이 포함된 경우, IP공유기(101)는 접속 정보에 포함된 검색 문자열을 추출하여 추출된 검색 문자열을 지원 서버(102)로 전송한다. 예컨대, IP공유기(101)는 추출된 검색 문자열과 미리 저장된 지원 서버(102)의 URL정보(또는 IP주소)를 병합하여 WAN포트를 통해 모뎀(104)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병합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지원 서버(102)로 제공된다. 선택적으로, 검색 문자열은 접속 정보에 포함될 수도 있고, 검색 문자열 자체가 접속 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병합 정보를 수신한 지원 서버(102)는 수신된 검색 문자열을 토대로 검색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검색 문자열에서 유효한 검색어를 추출 또는 생성하고, 추출 또는 생성된 검색어를 토대로 검색 서버(105)를 이용하여 검색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검색 결과는 다시 IP공유기(101)로 제공되며, IP공유기(101)는 해당 검색 결과를 요청한 클라이언트(103)에게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IP공유기(101)는 근거리 통신망(110)에 연결된 클라이언트(103)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오류란 잘못된 URL정보, 잘못된 도메인주소, 잘못된 IP주소 등 통신 규약 상 유효하지 아니한 호스트 이름 등이 될 수 있다.
접속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경우, IP공유기(101)는 오류가 있는 접속 정보를 상기 지원 서버로 전송한다. 예컨대, IP공유기(101)는 오류가 있는 접속 정보와 지원 서버(102)의 URL정보(또는 IP주소)를 병합하여 WAN포트를 통해 모뎀(104)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병합 정보는 인터넷을 통해 지원 서버(102)로 제공된다.
오류가 있는 접속 정보를 수신한 지원 서버(102)는 오류를 분석하여 올바른 접속 정보를 생성한 후 IP공유기(101)로 제공할 수 있다. 올바른 접속 정보를 수신한 IP공유기(101)는 이를 해당 클라이언트(103)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시스템(100)은 클라이언트(103)가 IP공유기(101)를 통해 외부의 서버(105)로 접속하고자 하는 경우, 필요에 따라 접속 정보를 지원 서버(102)로 전송하고 지원 서버(102)의 서비스에 따라 검색 기능을 지원하거나 주소 오류를 교정하여 공유기 및 네트워크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공유기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IP공유기(200)는 WAN 제어부(201), LAN/HUB 제어부(202), DHCP서버 제어부(203), 라우터/NAT 제어부(204), 및 액세스 매니저(205)를 포함할 수 있다.
WAN 제어부(201)는 광역 통신망(120, 도 1 참조)을 통해 서버(102)(105)로 나가는 데이터 또는 서버(102)(105)로부터 들어오는 데이터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LAN/HUB 제어부(202)는 근거리 통신망(110, 도 1 참조)을 통해 클라이언트(103, 도 1 참조)로부터 들어오는 데이터 또는 클라이언트(103)로 나가는 데이터를 제어 및 관리할 수 있다.
DHCP서버 제어부(203)는 TCP/IP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설정 정보를 할당 및 관리할 수 있다.
라우터/NAT 제어부(204)는 사설 IP주소와 공인 IP주소를 상호 변환할 수 있다.
액세스 매니저(205)는 클라이언트(103)가 IP공유기(101)를 통해 외부의 서버(105)로 접속하고자 할 때 각종 지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액세스 매니저(205)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도 3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매니저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매니저(300)는 IP공유기의 물리적, 기능적 또는 논리적 구성이 될 수 있다. 다시말해, 도 3에서 도시된 각 블록은 단지 그 기능적인 또는 논리적인 구분에 불과하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블록이 여러 개의 기능을 수행하거나, 또는 하나의 기능이 여러 개의 기능블록에 나누어져서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응용예에 따라 일부 블록이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액세스 매니저(300)는 판단부(301), 전송부(302), 제공부(303)를 포함한다.
먼저 제1실시예에 따라, 제1판단부(311), 제1전송부(312), 제1제공부(313)에 대해 살펴본다.
제1판단부(311)는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103)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에 검색 문자열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된 접속 정보에 검색 문자열이 포함된 경우, 제1전송부(312)는 검색 문자열을 광역 통신망에 연결된 지원 서버(102)로 전송한다. 지원 서버(102)는 검색 문자열을 토대로 검색을 수행하며, 제1제공부(313)는 지원 서버(102)로부터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103)로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제1판단부(311)는 프로토콜(HTTP, HTTPS, FTP 등) 및 국내외 도메인(.com, .org, .net, .biz, .info, .co.kr, .kr, .pe.kr, .or.kr)에 오타 및 누락된 정보, 한글 정보 등이 있는지 선별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전송부(312)는 지원 서버(102)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이 주소 정보와 검색 문자열을 병합하여 병합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2실시예에 따라, 제2판단부(321), 제2전송부(322), 제2제공부(323)에 대해 살펴본다.
제2판단부(321)는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103)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수신된 접속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경우, 제2전송부(322)는 오류가 있는 접속 정보를 광역 통신망에 연결된 지원 서버(102)로 전송한다. 지원 서버(102)는 오류가 있는 접속 정보를 분석하여 이를 올바르게 교정하며, 제2제공부(323)는 교정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클라이언트(103)로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제2판단부(321)는 제2판단부(321)로 넘어오는 HTTP 응답 상태 코드로 분석하여 요청 오류 등이 발생 시 이를 판별 한다. 예컨대, 응답 상태 코드는 400(잘못된 요청), 401(권한 없음), 403(금지됨), 405(허용되지 않는 방법), 406(허용되지 않음), 407(프록시 인증 필요), 408(요청 시간초과), 409(충돌), 410(사라짐), 411(길이 필요), 412(사전조건 실표), 413(요청 속성이 너무 큼), 414(요청 URL 정보가 너무 김), 415(지원되지 않는 미디어 유형), 416(처리할 수 없는 요청범위), 417(예상 실패), 418, 420, 422(처리할 수 없는 엔티티), 423, 424, 425, 426, 428, 429, 431, 444, 449, 450, 451, 494, 495, 496, 497, 499 등이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전송부(322)는 지원 서버(102)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를 미리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이 주소 정보와 오류가 있는 접속 정보를 병합하여 병합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지원 서버(102)는 추척 된 유사 도메인 정보와 매칭 하여 유추 할 수 있는 모든 도메인 정보를 나열하여 표기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IP공유기(101)는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301)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S401), 수신된 접속 정보에 검색 문자열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402). 판단 결과 검색 문자열이 존재하면, 검색 문자열을 광역 통신망에 연결된 지원 서버(102)로 전송한다(S403).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지원 서버(102)로부터 검색 문자열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클라이언트(301)로 제공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을 도시한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IP공유기(101)는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301)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S501), 수신된 접속 정보에 오류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02). 판단 결과 오류가 존재하면, 오류가 있는 접속 정보를 광역 통신망에 연결된 지원 서버(102)로 전송한다(S503). 또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지원 서버(102)로부터 교정된 접속 정보가 수신되면 이를 클라이언트(301)로 제공하는 과정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개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IP공유기를 통해 검색 기능과 주소 교정 기능이 지원되므로 IP공유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보다 안정적으로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101 : IP공유기
102 : 지원 서버
103 : 클라이언트
104 : 모뎀
105 : 검색 서버
110 : LAN
120 : WAN
201 : WAN 제어부
202 : LAN/HUB 제어부
203 : DHCP서버 제어부
204 : 라우터/NAT 제어부
205 : 액세스 매니저
301 : 판단부
302 : 전송부
303 : 제공부

Claims (15)

  1. 근거리 통신망(LAN)과 광역 통신망(WAN) 사이에 형성되는 IP공유기 및 상기 광역 통신망에 연결되는 지원 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IP공유기는,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에 검색 문자열이 포함되었는지 여부 또는 수신된 접속 정보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검색 문자열 또는 상기 오류가 있는 접속 정보를 상기 지원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지원 서버는,
    상기 검색 문자열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상기 IP공유기로 제공하거나 상기 오류가 있는 접속 정보를 교정하여 올바른 접속 정보를 상기 IP공유기로 제공하며,
    상기 IP 공유기는 프로토콜 및 도메인의 표기 오류를 판별하거나 또는 HTTP 상태 코드의 오류코드를 판별하여 이를 상기 지원 서버에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네트워크 시스템.
  2. 근거리 통신망(LAN)과 광역 통신망(WAN) 사이에 형성되는 IP공유기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에 검색 문자열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접속 정보에 검색 문자열이 포함된 경우, 상기 검색 문자열을 상기 광역 통신망에 연결된 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프로토콜 및 도메인의 표기 오류를 판별하여 상기 지원 서버에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IP공유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 서버로부터 상기 검색 문자열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IP공유기.
  4. 삭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지원 서버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와 상기 검색 문자열을 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IP공유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 서버는
    상기 검색 문자열을 토대로 검색어를 추출하여 정보 검색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IP공유기.
  7. 근거리 통신망(LAN)과 광역 통신망(WAN) 사이에 형성되는 IP공유기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접속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경우,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광역 통신망에 연결된 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부는 HTTP 상태 코드의 오류코드를 판별하여 이를 상기 지원 서버에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IP공유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 서버로부터 상기 오류가 있는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교정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제공부; 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IP공유기.
  9. 삭제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상기 지원 서버에 대응되는 주소 정보와 상기 오류가 있는 접속 정보를 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IP공유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 서버는
    추적된 데이터를 토대로 유사 도메인 정보 또는 유추 가능한 모든 도메인 정보를 표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IP공유기.
  12. 근거리 통신망(LAN)과 광역 통신망(WAN) 사이에 형성되는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에 검색 문자열이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정보에 검색 문자열이 포함된 경우, 상기 검색 문자열을 상기 광역 통신망에 연결된 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 단계는 프로토콜 및 도메인의 표기 오류를 판별하여 상기 지원 서버에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 서버로부터 상기 검색 문자열에 대응되는 검색 결과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
  14. 근거리 통신망(LAN)과 광역 통신망(WAN) 사이에 형성되는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망에 연결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접속 정보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접속 정보에 오류가 있는 경우, 상기 접속 정보를 상기 광역 통신망에 연결된 지원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단 단계는 HTTP 상태 코드의 오류코드를 판별하여 이를 상기 지원 서버에 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원 서버로부터 상기 오류가 있는 접속 정보에 대응되는 교정된 접속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제공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
KR1020130135807A 2013-11-08 2013-11-08 다기능 네트워크 시스템, 다기능 ip공유기 및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 KR101545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807A KR101545057B1 (ko) 2013-11-08 2013-11-08 다기능 네트워크 시스템, 다기능 ip공유기 및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807A KR101545057B1 (ko) 2013-11-08 2013-11-08 다기능 네트워크 시스템, 다기능 ip공유기 및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614A KR20150053614A (ko) 2015-05-18
KR101545057B1 true KR101545057B1 (ko) 2015-08-17

Family

ID=53390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5807A KR101545057B1 (ko) 2013-11-08 2013-11-08 다기능 네트워크 시스템, 다기능 ip공유기 및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05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614A (ko) 201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06510B (zh) 用于设备认证的方法、装置及认证服务系统
CN106576118B (zh) 基于dns的动态服务发现
CN108496380B (zh) 服务器和存储介质
US20170012976A1 (en) Authenticatio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CN105430011A (zh) 一种检测分布式拒绝服务攻击的方法和装置
JP2007104624A (ja) ネットワーク装置及びその管理方法
US10999307B2 (en) Network assessment systems and methods thereof
CN103916490A (zh) 一种域名系统dns防篡改方法及装置
CN103327008A (zh) 一种http重定向方法及装置
US10257254B2 (en) Method and associated server for providing user-friendly operation
US8819794B2 (en) Integrating server applications with multiple authentication providers
KR101710033B1 (ko)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545057B1 (ko) 다기능 네트워크 시스템, 다기능 ip공유기 및 ip공유기의 접속 정보 처리 방법
WO2016095751A1 (zh) 一种域名解析方法及装置
KR101603692B1 (ko) 공유 단말 식별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603694B1 (ko) 공유 단말 식별 방법 및 그 시스템
US8590009B2 (en) Computer system for port forwarding
JP2010183214A (ja) パケット解析装置、パケット解析方法およびパケット解析プログラム
KR101404161B1 (ko) 원타임 패스워드를 이용한 망분리 장치, 망분리 시스템 및 그 방법
US10291612B2 (en) Bi-directional authentication between a media repository and a hosting provider
CN107070722B (zh) 智能终端配置平台及配置方法
KR100717287B1 (ko) 외부에서 네트워크내의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로컬 아이피를 검출하여 구분하는 시스템
KR20150061350A (ko) 공유 단말 식별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190075150A1 (en) Hosting provider hosting routes from a media repository
KR100995834B1 (ko) 사설망 또는 방화벽 내부에 위치한 컴퓨터의 접속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