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033B1 -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033B1
KR101710033B1 KR1020150137134A KR20150137134A KR101710033B1 KR 101710033 B1 KR101710033 B1 KR 101710033B1 KR 1020150137134 A KR1020150137134 A KR 1020150137134A KR 20150137134 A KR20150137134 A KR 20150137134A KR 101710033 B1 KR101710033 B1 KR 1017100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ynamic
address
devices
server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7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년
Original Assignee
(주)인터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터기술 filed Critical (주)인터기술
Priority to KR1020150137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0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0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8Migration or transfer of ses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09Mapping addresses
    • H04L61/25Mapping addresses of the same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04L67/1048Departure or maintenance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04L67/141Setup of application sessions

Abstract

본 발명은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동 IP를 사용하는 통신환경에서 연결되는 디바이스 간의 간단한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상호 변경되거나 갱신되는 상대방의 유동 IP를 실시간으로 추적 및 획득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디바이스 간의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MAINTAINING CONNECTIVITY AMONG DYNAMIC IP DEVICES AND THE APPARATUS THEREFOR}
본 발명은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동 IP를 사용하는 통신환경에서 P2P로 연결되는 디바이스 간의 간단한 메시지 송수신을 통해, 수시로 변경되거나 갱신되는 상대방의 유동 IP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상기 디바이스 간의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초기에 군사적인 목적으로 개발되었던 인터넷은, 유무선 통신기술의 급속한 성장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사용하는 통신망으로 발전하였으며, 컴퓨터, 웹서버, 스마트폰 또는 전자기기 등과 같은 수많은 디바이스들이 연결되어 상호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정보나 데이터들을 교환하는 수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인터넷에 연결되어 하나의 디바이스에서 다른 디바이스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인터넷 통신 규약인 TCP/IP 프로그램이 이용되고 있으며, 상기 인터넷상의 각 디바이스들은 다른 디바이스와 구별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유한 주소를 가지며, 상기 주소를 통하여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주소는, 복수의 숫자로 구성된 IP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와 복수의 문자로 구성된 도메인 네임(Domain Name)을 사용하며, 이를 기반으로 인터넷에 연결된 특정 디바이스를 인식하게 된다.
한편 실제 인터넷을 사용하는 주체는 사람이므로, 상기 디바이스마다 주어지는 숫자 형태의 IP주소를 모두 기억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이를 위해 고안 된 것이 도메인 네임이다.
상기 도메인 네임은, 사용자가 기억하기 좋은 영문으로 이루어진 복수의 문자로 구성되며, 실제 웹브라우저를 통해 특정 디바이스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되는 주소인 URL(Uniform Resource Locator, URL)도 상기 도메인 네임을 기초로 한다.
그러나 실제 인터넷상에서 어떤 디바이스에 접근하기 위해 필요한 주소는 IP주소이며, 상기 IP주소는 기계적으로 해석하기 쉽고 빠른 장점이 있지만 사용자가 인터넷상에 연결된 모든 디바이스의 IP주소를 기억하기가 어려우며, 상기 IP주소만으로는 가독성이 떨어져 상기 디바이스에서 서비스하는 서비스 유형을 예측하기 힘들다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기술이 DNS(Domain Name Service, DNS)이다.
상기 DNS는, 특정 컴퓨터(또는 인터넷에 연결된 임의의 디바이스)의 주소를 찾기 위해 사람이 이해하기 쉬운 도메인 네임을 숫자로 구성된 IP주소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또한 상기 DNS는, 상기 도메인 네임과 IP주소를 등록하기 위한 네임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네임서버는 상기 등록한 도메인 네임과 IP주소를 매핑한 정보를 파일 형식으로 저장하고, 일반 사용자가 웹브라우저에서 상기 도메인 네임을 통해 특정 디바이스에 접근하고자 할 때 상기 도메인 네임에 매핑된 IP주소로 변환하여 상기 특정 디바이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파일의 내용은, 정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용에 대한 변경은 사용자가 직접 변경해야하며, 이러한 방식은 고정 IP주소를 사용하는 전용선에서만 가능하다.
이러한 DNS는, 인터넷 망에 연결된 컴퓨터들에 대해 동일하게 고정 IP주소가 할당됨으로써, 이를 스위칭할 때 스위칭 효율이 높은 반면에 상기 도메인 네임에 매핑된 IP주소를 변경하거나 새로운 값을 적용하려 하는 경우, 상당히 오랜 시간이(1~48시간)이 지나야만 그 적용이 가능하며, 상기 고정 IP의 발급에 대한 비용이 상당히 비싸 일반 사용자가 웹서버를 독자적으로 구축하여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큰 불편함이 있다.
특히 하드웨어 기술의 발달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개인용 컴퓨터 및 스마트폰의 보급이 크게 증가하고, 상기 개인용 컴퓨터 및 스마트폰의 이동률이 매우 높아 고정 IP주소를 할당하는 영역을 확보하는데 큰 어려움이 있다.
최근에 들어서는 상기 고정 IP주소를 이용함에 따라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인터넷에 접속하는 컴퓨터들에게 유동 IP주소를 할당하며, 상기 유동 IP주소를 전용선에 부여되는 고정 IP주소처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DDNS(Dynamic Domain Name Service)가 개발 되었다.
상기 DDNS는, 상기 DNS와 동일한 메커니즘으로 상기 등록한 도메인 네임에 매핑된 IP주소로 변환해주지만, 기존의 DNS에 동적 기능을 가미한 서비스 또는 시스템으로써, 유동 IP주소가 변경되거나 갱신되는 경우, 이를 자동으로 적용하여, 상기 등록한 도메인 네임을 상기 변경되거나 갱신한 유동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준다.
그러나 상기 DDNS서버는 유료로 제공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DDNS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별도의 비용을 소비하여야하며, 상기 도메인 네임의 IP주소를 사용자가 직접 변경하여 새로운 값을 적용하거나, 상기 도메인 네임을 변경하거나, 새로운 도메인 네임을 등록하는 경우, 상기 DDBS서버의 업데이트 속도가 상당히 느려 그 적용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이는 또한 유동 IP 기반에서는 연결대상이 되는 디바이스가 IP주소를 반납하거나 갱신한 때에, 상기 변경된 IP주소가 수정되지 않거나, 업데이트 속도가 상당히 느려 그 적용이 오래 걸리는 경우, 연결을 원하는 디바이스는 상대방의 IP주소를 실시간으로 제공받기 어려워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가 다수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DDNS는, 특정 도메인 네임을 하나 제공하므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도메인 네임으로 해당 컴퓨터 또는 디바이스의 주소로 설정할 수 없으며, 여러 개의 웹 페이지를 설정할 수 없다.
일반적으로 DNS를 통해 도메인을 구입하여 등록하였다면, 서브도메인 형태로 여러 개의 웹사이트를 구축할 수 있는데, 상기 DDNS서비스가 3차 도메인 구조여서, 포트 번호를 달리하여 여러 개의 웹을 만들어야 되므로 매번 주소창에 포트번호를 입력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에 연결된 디바이스와 통신을 하거나 통신하는 도중에 상호 변경되거나 갱신되는 상대방의 유동 IP주소를 메시지를 통해 실시간으로 통보하고 이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 간의 연결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존재하는 선행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고, 이어서 본 발명이 상기 선행기술에 비해서 차별적으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사항에 대해서 기술하고자 한다.
먼저 한국공개특허 제2012-0097599호(2012.09.05.)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댁내에서 복수의 가전기기, 홈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게이트웨이 및 댁외 장치 중 유동 IP주소를 사용자는 장치의 URL정보와 그에 해당하는 IP주소정보를 관리하는 DDNS서버를 통해 댁내외간 유동 IP주소를 이용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유동 IP주소를 기반으로 댁내 서비스에 접근하여 이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유동 IP주소를 기반으로 하여 댁외에 위치하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댁내에 위치하는 IoT기기 간의 통신을 연결하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점에서 본 발명과 일부분 유사하나, 기존의 DDNS서버를 그대로 이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DDNS서버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별도의 비용이 소비되며, 상기 IoT기기를 추가하거나 IoT기기의 이름(도메인 네임)을 변경하는 경우, 상기 DDNS서버의 업데이트 속도에 따라 그 연결이 불가능하거나 오래 걸리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은, 상기 DDNS서버를 이용하지 않고 유동 IP주소를 기반으로 하는 IoT기기와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 사이에 메시지를 전달해줄 수 있는 메시지 브로커를 이용하여, 한 번 전달된 메시지로 인해 해당 IoT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가 상대방의 유동 IP주소를 인식하여 상호 통신이 연속적으로 가능하고, 상기 통신 중에 IoT기기 또는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의 IP주소가 변경된 경우에도, 상기 변경된 IP주소를 메시지 형식으로 직접 전달함으로써, 변경된 상대방의 IP주소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상기 IoT기기와 사용자 단말기 간의 통신을 지속적으로 끊임없이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10-0026496호(2010.03.10.)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DDNS서버에 가장 많은 로드를 부여하는 헬스 체크를 처리하는 부분과 장비의 등록 및 클라이언트 쿼리를 처리하는 부분을 분리하여, DDNS서버에 복수의 장비를 등록하여 주기적으로 각각의 장비의 유동 IP주소를 갱신하고 각각의 장비의 상태를 체크하는 동적 도메인 네임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특정 서버를 이용하여 복수의 장비를 등록하고, 등록한 복수의 장비간의 통신을 연결해주는 점에서 본 발명과 일부분 유사하나, 기존의 DDNS서버를 확장시켜 그 부하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명시되고 있으나, 단순히 복수의 기능에 따라 수행하는 부분을 따로 두고 그에 해당하는 데이터베이스만을 추가한 것에 불과하고, 기존의 DDNS서버를 이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의 개선에 대한 기술적 특징은 기재하거나 시사하고 있지 않다.
반면에 본 발명은, 특정 서버를 확장, 변경 또는 수정하지 않으며, 상기 특정 서버는 디바이스간의 통신연결을 위한 단순한 매개체일 뿐이며, 상기 특정 서버의 매개로 인해 상기 디바이스 간에 통신이 연결된 경우에는 상기 특정 서버의 도움 없이 상기 디바이스 간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디바이스 간에 간단한 메시지를 상호 전달함으로써, 상호 변경되는 유동 IP주소를 실시간으로 추적 및 획득하여 상기 통신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 된 것으로서, 유동 IP주소를 기반으로 하는 디바이스간의 통신에 있어서, 변경되거나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상대방의 유동 IP주소를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디바이스 간의 연결을 끊어짐 없이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해당 디바이스로부터 서비스, 정보 및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를 위한 방법은, 복수의 디바이스가 메시지 중계서버를 통해서 유동 IP의 변경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가 상기 변경된 IP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가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서 제공한 IP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호 직접적으로 P2P 세션 연결을 수행하여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로 타 디바이스의 현재 IP를 질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와 메시지 중계서버는 메시지의 송수신을 통해서 유동 IP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디바이스의 ID, 유동 IP 또는 변경된 유동 I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는, 스턴서버, 메시지 브로커, 자가 운영서버, SNS 서버 또는 피드(feed) 서비스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와 메시지를 송수신하면서 해당 메시지로부터 IP주소를 추적하여 획득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를 위한 장치는,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유동 IP의 변경을 등록받는 수단 및 상기 변경된 IP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에게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와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는 메시지의 송수신을 통해서 유동 IP에 대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제공한 IP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호 직접적으로 P2P 세션 연결을 수행하여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로 타 디바이스의 현재 IP를 질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인터넷을 통해 특정 디바이스와 통신함에 있어, 사용자 단말기 또는 특정 디바이스가 상대방의 유동 IP주소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지속적으로 상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특정 디바이스로부터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고 상기 서비스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메인 네임을 유동 IP주소로 변환하는 DDNS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IP기기에 구비되는 유동 IP주소를 실시간으로 추적 및 획득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중계서버를 통한 IoT기기 간 유동 IP주소를 추적 및 획득하여 P2P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기기 간에 변경된 유동 IP주소를 직접적으로 상대방에게 통보하는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기기와 협업이 가능한 공유기의 내부 네트워크에 IoT기기가 있는 경우, 외부의 IoT기기와 P2P 연결을 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IoT기기와 협업이 가능한 공유기의 내부 네트워크에 IoT기기가 있는 경우에 외부의 IoT기기와 P2P 연결을 위한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기기와 협업이 가능한 공유기의 내부 네트워크에 IoT기기가 있는 경우, 내부의 IoT기기가 외부의 IoT에 P2P 연결을 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기기가 트랜스페어런트 공유기 내부 네트워크에 있는 경우, 내부의 IoT기기와 외부의 IoT기기 간의 P2P 연결을 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트랜스페어런트 공유기의 내부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IoT기기 간의 P2P 연결을 하기위한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한 트랜스페어런트 공유기의 내부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IoT기기 간의 P2P 연결을 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또한 각 도면에서 제시되고 있는 유동 IP기기, IoT기기 또는 스마트폰은 본 발명의 디바이스와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메인 네임을 유동 IP주소로 변환하는 DDNS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우선 도메인 네임에 대한 유동 IP주소를 변환하여 인터넷에 연결되는 디바이스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기존의 DDNS는, 사용자가 사용하기 원하는 도메인 네임을 상기 DDNS에 등록하고, 상기 등록한 도메인 네임에 변경되거나 주기적으로 갱신되는 유동 IP주소를 매핑시켜, 상기 매핑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도메인 네임을 유동 IP주소로 변환한다.
이러한 DDNS은, 해당 도메인 네임에 대한 유동 IP주소가 갱신되거나 변경되는 경우, 상기 갱신되거나 변경된 유동 IP주소를 해당 도메인 네임에 적용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해야 하며 상기 업데이트 속도가 너무 느려 사용자가 연결하길 원하는 디바이스의 유동 IP주소를 실시간으로 얻기 어렵다. 이는 상기 디바이스로의 연결이 끊어지거나 연결이 불가능한 경우가 대량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상호 연결되는 디바이스 간에 갱신되거나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상대방의 유동 IP주소를 실시간으로 추적 및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연결을 끊어짐 없이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도메인 네임을 유동 IP주소로 변환하는 DDNS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기존의 DDNS는, 상기 유동 IP기기에 대한 도메인 네임을 유동 IP주소로 변환하기 위해 DDNS서버를 구비하여 상기 도메인 네임과 유동 IP주소를 매핑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유동 IP기기는 상기 DDNS로부터 유동 IP주소 변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해당 유동 IP기기의 주소를 DDNS 서버에 등록한다.
한편 상기 주소는 해당 유동 IP기기의 URL과 유동 IP주소이다. 한편 상기 URL은 상기 도메인 네임을 기초로 하는 인터넷 주소이다.
이때 상기 DDNS서버는, 상기 등록한 유동 IP기기에서 유동 IP주소가 새롭게 갱신되거나 변경되는 경우, 상기 유동 IP기기에 설치되거나 공유기에 설치되어 실행되는 특정 프로그램으로부터 상기 갱신되거나 변경되는 유동 IP주소를 수신 받아 상기 매핑 정보를 갱신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유동 IP기기로 P2P 연결을 원하는 제1 유동 IP기기는, 상기 DDNS서버에 연결 대상의 제2 유동 IP기기의 URL을 제공하여 해당 URL에 대한 유동 IP주소를 질의 한다.
다음으로 상기 DDNS서버는, 상기 제공받은 제2 유동 IP기기의 URL을 상기 매핑 정보에 따라 매핑된 최신의 유동 IP주소로 변환하여 상기 제1 유동 IP기기에 제공하면, 상기 제1 유동 IP기기는 상기 제공받은 유동 IP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제2 유동 IP기기로 P2P 접속을 시도하여, P2P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메커니즘의 DDNS는, 유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별도의 서비스 요금을 지불하여야하며, 상기 유동 IP주소가 변경된 경우 그 업데이트 속도가 느려, 상기 P2P 통신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지 못하고, 연결이 해제될 위험성이 있다.
특히 상기 특정 프로그램이 오류 또는 에러와 같은 결함이 발생하여 그 동작을 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유동 IP기기와 제2 유동 IP기기간의 접속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항상 내포하고 있다.
한편 상기 유동 IP기기는, 스마트폰, 웹서버, IoT기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다양한 디바이스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는, 유동 IP 장치간의 메시지를 상호 전달함으로써, 그 연결성을 유지한다.
우선 상기 복수의 유동 IP기기는, 자신을 네트워크에서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는 ID를 메시지 중계서버(100)에 등록한다.
상기 ID는 상기 유동 IP기기를 다른 유동 IP기기들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상기 DDNS와 같이 도메인 네임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는, 스턴서버, 메시지 브로커, 피드 서비스 서버, 자가 운영서버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는 사용자 단말기기 간에 메시지, 사진,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전달해주는 서버로써, 무료로 운영된다.
또한 상기 유동 IP기기는, 상기 등록한 ID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에 로그인 한다.
한편 상기 로그인 상태가 되면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는 상기 로그인 한 유동 IP기기와 연결되고 상기 유동 IP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전달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해당 유동 IP기기의 유동 IP주소를 포함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제1 유동 IP기기는, 1)연결을 원하는 제2 유동 IP기기의 ID와 자신의 유동 IP주소를 메시지 형식으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로 전달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는, 2)상기 ID와 유동 IP주소를 전달 받은 경우 상기 ID에 해당하는 제2 유동 IP기기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는, 상기 ID를 가지는 제2 유동 IP기기가 로그인되어 있어야 해당 ID를 가지는 제2 유동 IP기기로 상기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데, 상기 제2 유동 IP기기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에 한 번 로그인한 후 백그라운드로 상기 로그인을 계속 유지하고 있거나,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에 자신의 ID로 전송될 메시지가 있는지 지속적으로 폴링(Polling)하여 상기 메시지를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3)제2 유동 IP기기는 상기 메시지를 전송한 제1 유동 IP기기와 연결하기 위해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에 상기 제1 유동 IP기기의 ID와 자신의 ID와 자신의 유동 IP주소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달하면, 4)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는 해당 메시지를 상기 제1 유동 IP기기로 전달한다.
한편 상기 제2 유동 IP기기는, 상기 수신 받은 메시지를 통해 상기 제1 유동 IP기기의 유동 IP주소를 이미 알고 있으므로, 상기 메시지를 메시지 중계서버(100)로 전달하지 아니하고, 직접적으로 상기 제1 유동 IP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유동 IP기기의 둘 중 어느 하나가 상대방의 유동 IP주소를 알고 있으면, 곧 바로 자신의 유동 IP주소를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게 제1 유동 IP기기는, 5)상기 제2 유동 IP기기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 받은 경우에는, P2P 세션 연결을 시도하여 P2P 기반 메시지 폴 트랜잭션을 수행함으로써, 상호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절차를 통해 연결된 상기 제1 유동 IP기기와 제2 유동 IP기기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의 도움 없이, 상기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 중에 상기 장치간의 유동 IP주소가 갱신되거나 변경된 경우에 상기 메시지를 통해 상호 갱신되거나 변경된 유동 IP주소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통신을 끊어짐 없이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모든 절차는, 상기 유동 IP기기에 구비되는 유동 IP주소를 실시간으로 추적 및 획득하기 위한 장치(200)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장치는 상기 유동 IP기기에 설치되는 특정 프로그램 또는 앱(Application, APP)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별도의 유료로 서비스되는 IP변환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에 무료로 제공되는 메시지 중계서버를 통해 상기 장치간의 유동 IP주소를 실시간으로 추적 및 획득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는 상기 유료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별도의 비용을 소비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동 IP기기에 구비되는 유동 IP주소를 실시간으로 추적 및 획득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동 IP기기에 구비되는 유동 IP주소를 실시간으로 추적 및 획득하기 위한 장치(200)는, 상기 유동 IP기기에 구비되거나, IP 공유기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동 IP주소를 실시간으로 추적 및 획득하기 위한 장치(200)는, 상기 유동 IP기기 또는 상기 IP 공유기에 설치되는 프로그램 또는 앱일 수 있으며, 상기 유동 IP기기간의 메시지 송수신은 상기 유동 IP주소를 실시간으로 추적 및 획득하기 위한 장치(200)에 의해 수행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상기 유동 IP주소를 실시간으로 추적 및 획득하기 위한 장치(200)는, 메시지 중계서버(100) 또는 유동 IP기기에 메시지를 제공하기 위한 메시지 송신부(210),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 또는 유동 IP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하는 메시지 수신부(220), 유동 IP주소를 추적하거나 획득하는 IP주소 추적/획득부(230), 유동 IP기기간의 P2P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P2P연결 수행부(250), 메모리(240) 및 통신 인터페이스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메시지 송신부(210)는, 상기 유동 IP기기의 유동 IP주소가 변경되거나 갱신된 경우, 해당 유동 IP기기와 연결되어 통신하고 있는 다른 유동 IP기기로 유동 IP주소의 변경이나 갱신을 메시지를 통해 통보하거나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로 상기 메시지를 전달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해당 유동 IP기기의 ID, 해당 메시지의 목적지를 의미하는 다른 유동 IP기기의 ID 및 해당 유동 IP기기의 유동 IP주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메시지 수신부(220)는, 상기 메시지를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로부터 수신하거나 해당 유동 IP기기와 연결된 다른 유동 IP기기로부터 수신한다.
또한 상기 IP주소 추적/획득부(230)는, 해당 유동 IP기기에 유동 IP주소 변경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유동 IP기기의 유동 IP주소를 획득하며,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 또는 상기 다른 유동 IP기기로부터 메시지를 수신 받은 경우,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유동 IP주소를 인식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는 DHCP서버 또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ISP)로부터 유동 IP주소를 새로이 할당받거나 상기 유동 IP기기가 인터넷 연결을 해제하고 다시 접속하여 기존의 유동 IP주소가 변경되는 것을 포함하여, 유동 IP주소가 갱신되거나 변경되는 모든 경우를 지칭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240), 상기 변경된 유동 IP주소, 기존의 유동 IP주소 및 해당 유동 IP기기에 연결되어 P2P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다른 유동 IP기기의 유동 IP주소를 포함하여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중계서버를 통한 IoT기기 간 유동 IP주소를 추적 및 획득하여 P2P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우선 도4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 인터넷에 연결되어, 상호 P2P 통신을 하기 위한 유동 IP기기를 IoT기기와 스마트폰을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물론 상기 유동 IP기기는, IoT기기와 스마트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유동 IP주소 및 고정 IP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인터넷에 연결되는 다양한 디바이스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IoT기기(300)와 스마트폰(400)은 유동 IP주소를 기반으로 인터넷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IoT기기(300)와 스마트폰(400)은, 서로의 유동 IP주소를 모르는 최초 상황이며, 도 4는 상기 최초 상황으로부터 상대방의 유동 IP주소를 추적 및 획득하여 상호 P2P 연결을 수행하는 절차를 나타낸다.
우선 상기 IoT기기(300)와 상기 스마트폰(400)은, 자신을 네트워크에서 유일하게 구별할 수 있는 ID를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에 등록한 후, 상기 등록한 ID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에 서비스 로그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는, 메시지 브로커, 피드 서비스 서버, 스턴서버, 자가 운영서버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상기 로그인의 절차는 주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로그인 후, 상기 IoT기기(300)에서 유동 IP주소가 변경되는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IoT기기(300)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에 해당 IoT기기(300)의 ID, 기존의 유동 IP주소 및 변경된 유동 IP주소를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에 메시지 형식으로 전달하여 변경된 유동 IP주소를 변경 등록을 한다.
또한 상기 메시지는, 텍스트, 사진, 동영상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로 구성된 실시간 메시지가 아니라, 많은 리소스를 소비하지 않으면서 디바이스의 ID, 유동 IP주소 정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간단한 형식의 테스트 메시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는 상기 IoT기기(300)로부터 상기 메시지를 수신 받은 경우, 상기 메시지의 목적지가 명시되어 있지 않으므로 ID별로 상기 메시지에 포함된 유동 IP주소를 등록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마트폰(400)은, 상기 IoT기기(300)로부터 서비스를 제공받거나 제공하기 위해서는 상기 IoT기기(300)의 유동 IP주소를 참조하여 상기 IoT기기(300)에 접속하여야 하는데 해당 IoT기기(300)의 유동 IP주소를 알지 못하므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에 해당 IoT기기(300)의 유동 IP주소를 메시지를 통해 질의한다.
한편 상기 질의 메시지는, 상기 스마트폰(400)이 연결하길 원하는 IoT기기(300)의 ID, 해당 스마트폰(400)의 ID 및 상기 스마트폰(400)의 유동 IP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는, 상기 질의 메시지를 받은 경우, 상기 ID에 해당하는 IoT기기(300)의 최근 등록한 유동 IP주소를 상기 스마트폰(400)로 통보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마트폰(400)은, 연결하기 원하는 IoT기기(300)의 유동 IP주소를 획득한 경우, 상기 획득한 유동 IP주소로 메시지 폴 P2P 세션 연결을 시도하여, 상기 IoT기기(300)와 P2P 기반 메시지 폴 트랜잭션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400)과 IoT기기(300)기기 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400)은 연결된 상기 IoT기기(300)로부터 정보나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상기 스마트폰(400)은 상기 IoT기기(300)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기기 간에 변경된 유동 IP주소를 직접적으로 상대방에게 통보하는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IoT기기(300)와 상기 스마트폰(400)이 도 4에 설명한 절차에 의해 상대방의 유동 IP를 서로 알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를 경유하지 않고, 상기 IoT기기(300)와 스마트폰(400)사이에서 직접적으로 메시지를 상호 교환할 수 있다.
즉, 상기 질의 메시지를 통해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로부터 해당 IoT기기(300)의 유동 IP주소를 통보 받아 IoT기기(300)의 유동 IP주소를 알고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400)에서 유동 IP주소 변경 이벤트가 발생하여, 상기 스마트폰(400)의 유동 IP주소가 변경된 때에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에 변경된 유동 IP주소를 변경 등록하지 아니하고, 상기 IoT기기(300)에 직접 변경된 정보를 메시지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IoT기기(300)는, 상기 메시지로부터 상기 변경된 유동 IP주소를 인식하여 상기 IoT기기(300)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한 후, 상기 저장한 유동 IP주소를 기반으로 메시지 포스트 P2P 세션 연결을 시도하여, P2P기반 메시지 포스트 트랜잭션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400)과 IoT기기(300)기기 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즉, 상기 IoT기기(300)와 스마트폰(400)이 상대방의 유동 IP주소를 이미 알고 있는 경우에는, 자신의 유동 IP주소가 변경되거나 갱신되더라도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를 통해 이를 통보하지 않고 직접 상대방에게 메시지를 전송하여 변경된 유동 IP주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는 인터넷에 연결된 디바이스의 유동 IP가 변경 될 때마다 새로이 업데이트하고 그 적용이 느린 기존의 DDNS와는 달리, 유동 IP주소가 변경될 때 마다 연결된 유동 IP기기 간에 직접 메시지를 통해 통보함으로써, 새로운 유동 IP주소로의 적용이 현저하게 빠르며, 상기 연결을 끊어짐 없이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기기와 협업이 가능한 공유기의 내부 네트워크에 IoT기기가 있는 경우, 외부의 IoT기기와 P2P 연결을 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우선 도 6에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함에 앞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를 구성할 수 있는 복수의 서버 중에서 스턴서버를 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디바이스가 공유기 또는 라우터에 의해 구성되는 내부 네트워크 즉, NAT 네트워크에 존재하면, 상기 디바이스에 할당되는 내부 IP주소는 외부에서 사용될 수 없으며 공인 IP주소가 없이는 외부의 디바이스들과는 통신을 할 수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턴서버를 이용하게 되는데, 상기 스턴서버는 상기 디바이스의 공인 IP주소를 찾고 P2P로 직접적인 연결을 막는 요소가 라우터 또는 공유기 내에 있는지 알아내는 프로그램이다.
또한 상기 스턴서버는, 공인 IP주소와 내부 IP주소 또는 사설 IP주소를 모두 인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인터넷 라인과 연결된 IP 공유기(500)는 복수의 IoT기기(300)가 인터넷 망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IP 공유기(500)는, 상기 인터넷 라인으로부터 공인 IP주소인 유동 IP주소를 할당 받아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내부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각각의 IoT(300)기기에게 유동 사설 IP주소를 자체적으로 할당한다.
상기 유동 IP주소는 상기 인터넷 망에서 다른 기기와 식별해주는 유일한 주소이며, 상기 유동 사설 IP주소는 내부 네트워크에서 다른 IoT기기와 식별해주는 유일한 주소이다. 즉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IoT기기(300)는 상기 IP 공유기(500)를 통해 상기 인터넷 망에 연결될 수 있으며, 외부에 위치하는 IoT기기는 상기 IP 공유기(500)를 통해서 내부에 위치하는 IoT기기에 접근할 수 있다.
우선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IoT기기(300)는, 상기 유동 사설 IP주소와 IoT기기의 ID를 기반으로 상기 IP 공유기(500)를 통해 상기 스턴서버(110)에 서비스 로그인을 한다.
한편 상기 스턴서버(110)는 상기 IoT기기(300)의 유동 사설 IP주소와 상기 공유기에 할당되는 공인된 유동 IP주소를 모두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400)은 상기 IoT기기(300)의 유동 IP주소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상기 IoT기기(300)와 P2P 연결을 하기 위해서 스턴서버(110)에 서비스 로그인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IP 공유기(500)에서 유동 IP주소 변경의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IP 공유기(500)는 IoT기기(300)에게 유동 IP주소의 변경을 통보하고, 상기 IoT기기(300)는 상기 IP 공유기(500)를 통해 상기 변경된 유동 IP주소를 상기 스턴서버(110)에 변경 등록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마트폰(400)은 자신이 연결을 원하는 연결 대상의 IoT기기(300)의 현재 유동 IP주소를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에 질의하면, 상기 스턴서버(110)는 상기 IoT기기(300)의 최근 등록된 유동 IP주소를 상기 스마트폰(400)에게 통보한다.
이때 통보되는 정보는, 상기 스마트폰(400)이 연결을 원하는 연결 대상의 IoT기기(300)의 ID, 기존의 유동 IP주소 및 최근의 유동 IP주소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스턴서버(110)가 통보한 유동 IP주소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가 인식한 유동 사설 IP주소와 유동 IP주소이며, 상기 스마트폰(400)은 상기 유동 사설 IP주소와 유동 IP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IP 공유기(500)에게 메시지 폴 P2P 세션 연결 설정을 시도하고, 상기 IP 공유기(500)는 상기 유동 사설 IP주소에 해당하는 상기 IoT기기(300)로 포트 포워딩함으로써, P2P 기반 메시지 폴 트랜잭션을 수행하여 상기 스마트폰(400)과 IoT기기(300)기기 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IoT기기와 협업이 가능한 공유기의 내부 네트워크에 IoT기기가 있는 경우에 외부의 IoT기기와 P2P 연결을 위한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IP 공유기(500)에서 유동 IP주소 변경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IP 공유기(600)가 상기 IoT기기(300)에게 상기 유동 IP주소 변경을 통보하여, 상기 IoT기기(300)가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로 상기 변경된 유동 IP주소에 대한 변경 등록을 수행하지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IP 공유기(500)에서 유동 IP 변경에 대한 등록을 직접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400)은 상기 스턴서버(110)에 등록되어 있는 IoT기기(300)에 연결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스턴서버(110)에 해당 IoT기기(300)의 유동 IP주소를 질의하면 상기 스턴서버(110)는 해당 IoT기기(300)에 대해 최근 등록된 유동 IP주소와 사설 유동 IP주소를 통보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마트폰(400)은, 상기 통보 받은 유동 사설 IP주소와 유동 IP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IP 공유기(500)에게 메시지 폴 P2P 세션 연결 설정을 시도하고, 상기 IP 공유기(500)는 상기 유동 사설 IP주소에 해당하는 상기 IoT기기(300)로 포트 포워딩함으로써, P2P 기반 메시지 폴 트랜잭션을 수행하여 상기 스마트폰(400)과 IoT기기(300)기기 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기기와 협업이 가능한 공유기의 내부 네트워크에 IoT기기가 있는 경우, 내부의 IoT기기가 외부의 IoT에 P2P 연결을 시도하는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우선 상기 IoT기기(300)와 상기 스마트폰(400)이 상기 스턴서버(110)에 로그인 되어 있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400)에서 유동 IP주소의 변경 이벤트가 발생한 때에는 상기 스마트폰(400)은, 상기 스턴서버(110)로 상기 변경된 유동 IP주소를 등록한다.
다음으로 상기 IoT(300)기기가 상기 스마트폰(400)에 접속하기 위해 상기 스마트폰(400)의 유동 IP주소를 알 수 없으므로, 상기 IoT기기(300)는 상기 IP 공유기(500)를 통해 상기 스턴서버(110)에 해당 스마트폰(400)의 유동 IP주소를 질의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턴서버(110)는, 상기 IoT기기(300)로부터 상기 질의 메시지를 수신 받은 경우에는, 해당 스마트폰(400)의 최근 등록한 유동 IP주소를 통보한다.
다음으로 상기 IoT기기(300)는, 스마트폰(400)의 유동 IP주소를 기반으로 메시지 포스트 P2P 세션 연결을 시도하여 P2P 기반 메시지 포스트 트랜잭션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IoT기기(300)와 상기 스마트폰(400) 간의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내부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상기 IoT기기(300)가 상기 스마트폰(400)의 유동 IP주소를 획득하여, 상기 스마트폰(400)으로 메시지를 포스트(POST)하는 경우에는 포트 포워딩이 필요 없어 상기 IP 공유기(500)와 전혀 무관하게 상기 메시지 포스트에 대한 수행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기기가 트랜스페어런트 공유기 내부 네트워크에 있는 경우, 내부의 IoT기기와 외부의 IoT기기 간의 P2P 연결을 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IoT기기(300)가 상기 트랜스페어런트 공유기(510) 내부 네트워크에 있는 경우, 상기 트랜스페어런트 공유기(510)에 유동 IP주소 변경의 이벤트가 발생한 때에는, 상기 트랜스페어런트 공유기(510)는 상기 스턴서버(110) 또는 상기 IoT기기(300)로 유동 IP주소 변경을 통보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IoT기기(300)가 상기 스마트폰(400)으로 메시지를 포스트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400)의 유동 IP주소만 알면 문제가 없으나, 상기 스마트폰(400)에서 IoT기기(300)로 직접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트랜스페어런트 공유기(510)의 유동 IP주소가 변경된 것을 모르고 있으므로 P2P 연결 설정을 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IoT기기(300)는, 상기 스턴서버(110)로 자신의 내부 IP주소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며, 상기 스턴서버(혹은 메시지 브로커)(110)는 해당 IoT기기(300)의 ID에 해당하는 내부 IP주소와 상기 트랜스페어런트 공유기(510)에서 변경된 유동 IP주소를 인식하고 업데이트한다.
한편 상기 업데이트하는 주기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업데이트하는 주기는 각 단말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200)이 IP의 변경을 감지한 경우 즉시 메시지 중계서버로 IP의 변동 사실을 알려줌으로써, 상기 주기가 충분히 짧지 않더라도 원하는 서비스의 품질을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마트폰(400)이 상기 스턴서버(110)에 자신이 연결하기 원하는 IoT기기(300)의 유동 IP주소를 질의하면 상기 스턴서버(110)는 최근에 등록된 유동 IP주소를 포함하여 상기 IoT기기(300)의 내부 IP를 상기 스마트폰(400)으로 통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스마트폰(400)은 상기 통보받은 유동 IP주소와 상기 내부 IP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트랜스페어런트 공유기(510)로 메시지 폴 P2P 세션 연결을 시도하면, 상기 트렌스페어런트 공유기(510)는 해당 IoT(300)와 연결되어 있는 포트로 포트 포워딩함으로써, P2P 기반 메시지 폴 트랜잭션을 수행하여 상기 스마트폰(400)과 IoT기기(300) 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로 다른 트랜스페어런트 공유기의 내부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IoT기기 간의 P2P 연결을 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에 설명한 것과 같이, 상기 트랜스페어런트 공유기(510)는, 유동 IP주소의 변경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변경된 유동 IP주소를 상기 스턴서버(110), 상기 IoT기기(300) 또는 상기 스마트폰(400)에게 통보를 하지 아니한다.
이에 따라 상기 IoT(300)기기와 상기 스마트폰(400)은 서로 다른 트랜스페어런트 공유기(510)의 내부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스마트폰(400)과 상기 IoT(300)기기는 주기적으로 상기 스턴서버(110)로 자신의 내부 IP주소를 주기적으로 업데이트하며, 상기 스턴서버(110)는 해당 IoT기기(300) 또는 상기 스마트폰(400)의 ID에 해당하는 내부 IP주소와 유동 IP주소를 인식하고 업데이트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마트폰(400)에서 상기 IoT기기(300)로 P2P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상기 스턴서버(110)에 해당 IoT기기(300)의 IP주소를 질의하여 유동 IP주소와 내부 IP주소를 통보 받은 경우, 상기 스마트폰(400)은 상기 통보받은 IP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트랜스페어런트 공유기(510)로 메시지 폴 P2P 세션 연결을 시도하면, 상기 트렌스페어런트 공유기(510)는 해당 IoT(300)와 연결되어 있는 포트로 포트 포워딩함으로써, P2P 기반 메시지 폴 트랜잭션을 수행하여 상기 스마트폰(400)과 IoT기기(300) 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한 트랜스페어런트 공유기의 내부 네트워크에 위치하는 IoT기기 간의 P2P 연결을 하기 위한 절차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우선 상기 트랜스페어런트 공유기(510)의 내부 네트워크에 상기 IoT기기(300)와 상기 스마트폰(400)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스턴서버(110)는, 상기 로그인 된 IoT기기(300)와 상기 스마트폰(400)의 사설 유동 IP주소와 공인된 유동 IP주소의 짝을 인식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마트폰(400)은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로 P2P 연결하길 원하는 IoT기기(300)의 유동 IP주소를 질의하면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100)는 해당 IoT기기(300)와 상기 스마트폰(400)은 동일한 유동 IP주소를 사용하고 있는 것과 해당 IoT기기(300)의 사설 IP주소를 통보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마트폰(400)은 상기 IoT기기(300)가 동일한 유동 IP주소를 사용하고 있음을 인지한 후, 상기 유동 IP주소를 기반으로 상기 트랜스페어런트 공유기(510)를 통해 상기 IoT기기(300)로 P2P 연결을 시도하지 않고, 상기 IoT기기(300)의 사설 IP주소로 직접 메시지 폴 P2P 세션 연결을 시도하여, P2P 기반 메시지 폴 트랜잭션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400)과 IoT기기(300) 간의 통신을 수행한다.
이상에서 설명하였듯이, 메시지 중계서버로부터 특정 디바이스에 대해 유동 IP주소를 제공받아 디바이스 간의 P2P 연결을 수행한 이후,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의 별다른 도움 없이, 상기 디바이스 간의 메시지 전달을 통해 상대방의 유동 IP주소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획득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끊어짐 없이 상기 P2P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주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는 동일한 목적 및 효과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0 : 메시지 중계서버 110 : 스턴서버
200 : 유동 IP주소를 실시간으로 추적 및 획득하기 위한 장치
210 : 메시지 송신부 220 : 메시지 수신부
230 : IP주소 추적/획득부 240 : 메모리
250 : P2P 연결 수행부 300 : IoT기기
400 : 스마트폰 500 : IP 공유기
510 : 트랜스페어런트 공유기

Claims (11)

  1. 복수의 디바이스가 메시지 중계서버를 통해서 유동 IP의 변경을 등록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가 상기 변경된 IP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에게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가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서 제공한 IP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호 직접적으로 P2P 세션 연결을 수행하여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계들을 통해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가 연결되면,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의 도움 없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 중에 디바이스간의 유동 IP 주소가 갱신되거나 변경된 경우, 상기 메시지를 통해 상호 갱신되거나 변경된 유동 IP 주소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통신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를 위한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로 타 디바이스의 현재 IP를 질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를 위한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디바이스의 ID, 유동 IP 또는 변경된 유동 I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를 위한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는,
    스턴서버, 메시지 브로커, 자가 운영서버, SNS 서버 또는 피드(feed) 서비스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를 위한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와 협업이 가능한 IP공유기의 내부 네트워크에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가 존재하고, 외부 네트워크의 디바이스와 P2P 연결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상기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상기 IP공유기에서 유동 IP주소 변경의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상기 IP공유기가 해당 디바이스에게 유동 IP주소의 변경을 통보하여, 상기 해당 디바이스가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로 상기 변경된 IP주소에 대한 변경등록을 수행하거나,
    상기 IP공유기에서 유동IP 변경에 대한 등록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통해서 상기 외부 네트워크의 디바이스와 P2P 연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를 위한 방법.
  7. 복수의 디바이스로부터 유동 IP의 변경을 등록받는 수단; 및
    상기 변경된 IP에 대한 정보를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에게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메시지 중계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가 상호 연결되면,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의 도움 없이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통신 중에 디바이스간의 유동 IP 주소가 갱신되거나 변경된 경우, 상기 메시지를 통해 상호 갱신되거나 변경된 유동 IP 주소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통신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를 위한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디바이스의 ID, 유동 IP 또는 변경된 유동 IP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를 위한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는,
    스턴서버, 메시지 브로커, 자가 운영서버, SNS 서버 또는 피드(feed) 서비스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를 위한 장치.
  1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에 제공한 IP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호 직접적으로 P2P 세션 연결을 수행하여 트랜잭션을 수행하는 복수의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디바이스는, 상기 메시지 중계서버로 타 디바이스의 현재 IP를 질의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를 위한 장치.
  11. 삭제
KR1020150137134A 2015-09-25 2015-09-25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7100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134A KR101710033B1 (ko) 2015-09-25 2015-09-25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7134A KR101710033B1 (ko) 2015-09-25 2015-09-25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033B1 true KR101710033B1 (ko) 2017-02-24

Family

ID=5831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7134A KR101710033B1 (ko) 2015-09-25 2015-09-25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03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695B1 (ko) * 2017-09-07 2017-12-12 주식회사 에이씨앤티시스템 이동통신 라우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ip 공유 시스템
KR102433641B1 (ko) * 2021-07-15 2022-08-18 주식회사 피에스티텍 안정적인 P2P IoT 통신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KR102488252B1 (ko) * 2022-07-08 2023-01-18 주식회사 바이럴픽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프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184A (ko) * 2000-11-20 2002-05-25 윤종용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040011086A (ko) * 2002-07-27 200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냉장고의 원격접속시스템 및 원격접속방법
KR20040033966A (ko) * 2002-10-16 2004-04-28 주식회사 올앳 유동 ip 어드레스를 갖는 컴퓨터의 원격 부팅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50082497A (ko) * 2004-02-19 2005-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스트리밍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9184A (ko) * 2000-11-20 2002-05-25 윤종용 네트워크 시스템과 그 네트워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20040011086A (ko) * 2002-07-27 2004-02-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인터넷냉장고의 원격접속시스템 및 원격접속방법
KR20040033966A (ko) * 2002-10-16 2004-04-28 주식회사 올앳 유동 ip 어드레스를 갖는 컴퓨터의 원격 부팅 시스템 및그 방법
KR20050082497A (ko) * 2004-02-19 2005-08-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스트리밍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695B1 (ko) * 2017-09-07 2017-12-12 주식회사 에이씨앤티시스템 이동통신 라우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ip 공유 시스템
KR102433641B1 (ko) * 2021-07-15 2022-08-18 주식회사 피에스티텍 안정적인 P2P IoT 통신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KR102488252B1 (ko) * 2022-07-08 2023-01-18 주식회사 바이럴픽 모바일 디바이스를 활용한 프록시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2592B2 (en) Dynamic DNS-based service discovery
KR102047197B1 (ko) 사물 인터넷을 위한 광역 서비스 발견
JP5739023B2 (ja) 割り当てられたネットワークアドレスを有するデバイスにアクセスするウェブプロキシサーバを使用した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799470B2 (en) System and method using a client-local proxy-server to access a device having an assigned network address
CN101501665B (zh) 使用针对设备的web服务进行的跨网络漫游及解析
EP2684337B1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sing a device having an assigned network address
CN103973830A (zh) 基于混合单播/多播dns的服务发现
US20070233844A1 (en) Relay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CN101946493A (zh) 用于提供连接到因特网的客户端之间的连接性的方法和系统
CN104427010A (zh) 应用于动态虚拟专用网络的网络地址转换方法和装置
CN109076082A (zh) 面向身份的网络和协议中的匿名身份
JP2012099900A (ja) モバイルルータ情報管理サーバ、モバイルルータ、モバイルルータネットワーク、及びこれらの通信方法
KR101710033B1 (ko) 유동 ip기기 간 상시 연결성 유지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80375818A1 (en) Dns-base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KR20190049873A (ko) 다중 인터페이스 노드에 대한 서비스 계층 지원
US10735316B2 (en) Receiver directed anonymization of identifier flows in identity enabled networks
Kaiser et al. User-friendly, versatile, and efficient multi-link DNS service discovery
JP2016154278A (ja) 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通信制御方法並びに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2017220730A (ja) デバイスid管理サーバ、デバイスid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206081A (ja) マルチホーミング通信システムに用いられるデータ中継装置およびデータ中継方法
Kaiser et al. Versatile and Efficient Multi-Link DNS Service Discovery
CN104754732A (zh) 定位方法、服务器和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