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829B1 -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한 고해상 탄성파 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 - Google Patents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한 고해상 탄성파 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829B1
KR101544829B1 KR1020150048933A KR20150048933A KR101544829B1 KR 101544829 B1 KR101544829 B1 KR 101544829B1 KR 1020150048933 A KR1020150048933 A KR 1020150048933A KR 20150048933 A KR20150048933 A KR 20150048933A KR 101544829 B1 KR101544829 B1 KR 101544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ismic
correction
influence
inter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8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준
구남형
김원식
천종화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48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829B1/ko
Priority to EP15196968.0A priority patent/EP3078991B1/en
Priority to US14/963,929 priority patent/US981080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36Effecting static or dynamic corrections on records, e.g. correcting spread; Correlating seismic signals; Eliminating effects of unwanted energy
    • G01V1/364Seismic fil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30Analysis
    • G01V1/301Analysis for determining seismic cross-sections or geostruc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30Analysis
    • G01V1/306Analysis for determining physical properties of the subsurface, e.g. impedance, porosity or attenuation profi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28Processing seismic data, e.g. for interpretation or for event detection
    • G01V1/36Effecting static or dynamic corrections on records, e.g. correcting spread; Correlating seismic signals; Eliminating effects of unwanted energy
    • G01V1/362Effecting static or dynamic corrections; Stack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38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ater-covered area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1/00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 G01V1/38Seismology; Seismic or acoustic prospecting or detecting specially adapted for water-covered areas
    • G01V1/3808Seismic data acquisition, e.g. survey desig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50Corrections or adjustments related to wave propagation
    • G01V2210/53Statics correction, e.g. weathering layer or transformation to a datum
    • G01V2210/532Dynamic changes in statics, e.g. sea waves or tidal influe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50Corrections or adjustments related to wave propagation
    • G01V2210/59Other correc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physics (AREA)
  • Oceanography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한 고해상 탄성파 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밀도가 높은 해저면의 수심자료를 포함한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활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이 보정된 고해상 탄성파 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한 고해상 탄성파 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한 고해상 탄성파 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Method for correction of swell effect and intersection point in high-resolution seismic survey data using multi-beam echo sounder data}
본 발명은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한 고해상 탄성파 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밀도가 높은 해저면의 수심자료를 포함한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활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이 보정된 고해상 탄성파 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한 고해상 탄성파 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석유, 천연가스, 가스하이드레이트 등 해저 부존 자원을 찾아내거나 해저 파이프라인 및 케이블 매설, 해저터널, 해저 저장시설, 교량 등과 같은 해양 건설공사를 위한 기반암 조사 등을 위한 목적으로 해양 탄성파 탐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해저 파이프라인 및 케이블 매설, 해저터널, 해저 저장시설, 교량 등과 같은 해양 토목 및 건설 공사와 같은 엔지니어링을 목적으로 하는 고해상 탄성파 탐사의 경우에는 수심이 얕은 천부 지질구조 파악을 목적으로 한다.
고해상 탄성파 탐사는 탐사자료의 해상도가 1m 이내가 되도록 정밀한 탐사가 요구된다. 하지만, 해상은 항상 해류, 조류 그리고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너울(swell) 또는 파도가 탐사자료에 영향을 미쳐 탄성파 단면에서 지층구조의 정밀한 파악이 용이하지 않다. 탄성파 단면에서의 너울 영향은 톱니바퀴 형태의 해저면 떨림으로 표현되며, 이러한 현상은 탄성파 단면 전체에 영향을 주게 되어 지층의 연속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일반적인 고해상 탄성파 탐사의 자료취득시스템은 소형 에어건(air-gun), 스파커(sparker), 부머(boomer) 등의 음원(seismic source) 발생장치와 단일채널(single channel) 또는 8채널 및 24채널 이하의 다중채널 스트리머(streamer)의 수진기(receiver) 등이 주로 활용된다. 또는 Chirp Sub-Bottom Profiler(이하, ‘Chirp SBP’라 함.)를 이용하여 탐사를 수행하기도 한다. 이러한 탐사들은 천부 지질구조 파악이 목적이기 때문에 비교적 높은 주파수를 활용함으로써 투과심도는 낮지만, 해상도가 높은 고해상 탄성파 탐사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 음원이 소형 에어건일 경우 주파수 대역(frequency bands)은 100 - 350 Hz, 스파커는 600 - 900 Hz, 부머는 1000 - 2000 Hz, Chirp SBP는 2000 - 7000 Hz 에 해당한다.
한편, 수직해상도(vertical resolution)는 아래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15033869267-pat00001
여기에서 λ는 파장(wavelength), v는 매질의 속도, f는 주파수를 각각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해양 천부퇴적층의 속도가 1,500 m/s 일 경우, 음원에 따른 수직해상도는 각각 에어건은 약 1.07 - 3.75 m, 스파커는 약 0.42 - 0.63 m, 부머는 약 0.19 - 0.38, Chirp SBP는 약 0.054 - 0.188 m이다.
일반적으로 고해상 탄성파탐사의 경우 등거리 발파가 아닌 등시간 발파로 탐사가 이루어지며, 탐사지역의 수심 및 음원의 파워에 따라 시간 간격을 결정한다. 스파커, 부머 그리고 Chirp SBP 탐사는 수심 100 m 이하에서 1 초 간격으로 발파가 이루어진다. 이를 거리로 환산하게 되면, 탐사선 속도가 약 5 노트(knots)일 때, 약 2.57 m 마다 한 번씩 발파가 된다. 탄성파 단면의 세로축은 왕복 주시(two-way travel time), 가로축은 발파 개수(the number of shot)로 나타내어진다. 1 - 2 m 크기의 너울이 존재하는 해양 환경에서 탐사가 이루어질 경우, 가로축으로 2.57 m 마다 한 번씩 너울 영향을 받는 동시에 세로축으로 주시 0.676 - 1.351 ms(해수속도=1,480 m/s) 씩 위 또는 아래로 이동된다.
탄성파 음원이 고주파일수록 수직해상도가 높아지지만 너울 및 파도의 영향에 민감해진다. 그리고 수심이 천해이면 발파간격을 더욱 좁게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 역시 너울 및 파도의 영향이 탐사자료에 기록되어진다. 따라서 고해상 탄성파 탐사자료일수록 너울 및 파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측선 4개의 남북측선과 보조 측선 2개의 동서측선에 대해서 탄성파 탐사를 수행하게 되면 총 8개의 교점이 발생하게 된다. 각 교점은 동일 지점을 지나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왕복 주시가 동일하여야 한다. 하지만, 해상에서는 동일한 측선에 대해서 남-북 방향 또는 북-남 방향에 따라 바람, 조류 및 해류 방향이 달라지기 때문에 왕복 주시의 차이가 발생된다. 따라서 각 교점마다 왕복 주시의 차이가 발생되며, 이러한 현상은 교점이 많아지게 되면 등층후도(isopach map)이나 시간 구조도(time structure map) 등을 제작할 때 오류가 발생된다. 또한, 탄성파 음원이 고주파일수록 파장이 짧기 때문에 이러한 교점 오차는 고해상 탄성파 탐사자료에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따라서, 고해상의 탄성파 자료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도가 향상된 보정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 2012-0138702호(공개일 : 2012.12.2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해상 탄성파 탐사자료의 너울 영향과 측선 간의 교점 보정 시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함으로써, 보정 후 탐사자료의 정확성 및 신뢰성이 매우 우수한 고해상 탄성파 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보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 방법은 다중빔음향측심기에서 측정된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하여 해양 탄성파 탐사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을 보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수신하는 a단계; 상기 다중빔음향측심자료에서 상기 탄성파 탐사자료에서의 발파점과 동일한 위경도 좌표점에 해당하는 수심값을 추출하는 b단계; 상기 수심값을 반영하여 상기 탄성파 탐사자료의 상기 좌표점에서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의 교점을 보정하는 c단계; 및 상기 탄성파 탐사자료에서의 모든 좌표점에 대해 상기 b단계 및 상기 c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이 보정된 해양 탄성파 탐사자료를 도출하는 d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c단계는 상기 다중빔음향측심자료 취득 시 측정된 수층의 수직 음파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심값을 왕복 주시로 환산함으로써, 수심값이 반영된 제 1해저면 왕복 주시가 산출되는 c-1단계; 및 상기 탄성파 탐사자료에서 상기 좌표점에 해당하는 제 2해저면 왕복 주시를 발췌하는 c-2단계; 상기 제 1해저면 왕복 주시와 상기 제 2해저면 왕복 주시를 비교하여 상기 탄성파 탐사자료의 상기 좌표점에서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의 교점을 보정하는 c-3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c-3단계는 상기 수심값이 반영된 상기 제 1해저면 왕복 주시와 상기 제 2해저면 왕복 주시와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c-3-1단계; 상기 차이값을 상기 탄성파 탐사자료의 상기 좌표점에서의 전체 왕복 주시에 적용하여 너울 영향 및 측선 간의 교점을 보정하는 c-3-2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록매체는 상기 보정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일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일 수 있다.
종래에는 해저지층구조 파악을 위해 정밀한 해상도를 요하는 탄성파 탐사자료에 대해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을 보정하는데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 방법과 같이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하면 정확한 수심값이 적용되므로, 보정 후 탄성파 탐사자료의 품질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 방법은 보정 과정이 비교적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너울 영향 보정뿐만 아니라 측선 간 교점 오차도 동시에 보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보정 전 Chirp SBP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 방법을 적용한 보정 후의 Chirp SBP 단면도.
본 발명은 고해상 탄성파 탐사를 통해 기록된 탐사자료에서 바람, 해류, 조류 등에 의해 발생된 파도 및 너울(swell) 영향과 수직 및 수평 측선 간의 교점을 보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에 이용되고 있는 보정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종래의 너울 영향 보정 방법은 크게 해저면 주시 추출 단계와 너울영향 제거하는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해저면 주시 추출 단계는 음원 신호와 해저면 반사 신호와의 상호 상관을 실시하여 상관성이 최대가 되는 곳이 해저면이라는 원리를 이용한 상호상관법과 해저면 반사 신호의 에너지를 이용한 최대 진폭법, 그리고 지층 단면도의 색상을 이용한 이미지 색상 추출법 등을 이용하여 해저면 주시를 추출하는 단계이다. 너울영향을 제거하는 방법은 해저면 주시를 추출한 다음 인접 트레이스(trace)들의 주시를 평균하는 인접심도 평균법과 주시 추출 자료부터 스펙트럼을 구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너울의 영향으로 보이는 일정 파수(wavenumber) 이상의 고주파대역을 제거하는 고주파 제거 필터링(filtering)법 등을 이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너울영향제거 방법은 실제 지형을 왜곡시키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해저면이 바람이나 물의 움직임에 의해 퇴적물의 표면에 형성되는 파상의 흔적으로 물결자국이라고도 불리는 연흔(ripplemark) 형태와 같이 굴곡이 심한 지역에서 취득된 탄성파 탐사자료의 경우에는 너울영향제거에 의해 실제 해저 지형이 변형되어 연흔 형태가 없는 편평한 해저면을 지닌 탄성파 단면이 도출되기도 한다.
또한, 종래의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은 만약 측선 간 교점이 한 개만 존재할 경우 하나의 측선을 기준으로 해당 좌표점에서의 전체 왕복 주시를 가감하여 보정한다. 그러나, 한 측선에 두 개 이상의 교점이 발생할 경우, 교점들을 기준으로 차이나는 만큼의 왕복 주시를 부분적으로 가감하게 되면 탄성파 단면은 왜곡될 것이다. 주요 측선에 대한 교점을 기준으로 보정하게 되면, 추후 제작되는 등층후도 및 시간구조도 등에서 측선 영향이 존재하기도 하는 문제점도 발생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 방법은 보정 시 다중빔음향측심기에서 측정된 자료인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종래의 방법에 따른 상기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도 1을 참고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 방법은 크게 a단계 ~ d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a단계는 전산처리된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수신하는 단계(S100)이며, b단계는 다중빔음향측심자료에서 탄성파 탐사자료에서의 발파점과 동일한 위경도 좌표점에 해당하는 수심값을 추출하는 단계(S200)이다. 또, c단계는 수심값을 반영하여 상기 탄성파 탐사자료의 상기 좌표점에서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의 교점을 보정하는 단계(S300)이며, d단계는 탄성파 탐사자료에서의 모든 좌표점에 대해 b단계 및 c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이 보정된 해양 탄성파 탐사자료를 도출하는 단계(S400)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수신하는 a단계에서 다중빔음향측심자료는 다중빔음향측심기에서 측정된 자료를 전산처리한 자료이다. 다중빔음향측심기(multi-beam echo sounder)란 배가 이동하면서 대략 30kHz 이상의 주파수대역의 200개 이상의 음향 빔(beam)을 발사하고, 이를 다시 수신함으로써 수심의 약 5배 이상에 해당하는 해저면의 횡단면(horizontal swath) 전체를 동시에 측심하는 측심기를 말한다. 주로 해저 지형도를 작성하는 데에 사용되며, 탐사선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등거리 또는 등각(equal angle) 간격으로 측심형태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조사목적에 따른 광폭 또는 정밀탐사를 수행할 수 있다. 현장에서 다중빔음향측심자료가 취득될 때, 동작 센서(motion sensor)에서 수신되는 탐사선의 'pitch' , 'raw', 'heave' 등이 측정되어 보정된다. 그리고 지역에 따른 수직적인 음속변화를 보정하기 위하여 탐사지역의 전체 수층에 대한 수직 음파속도를 측정하며, 표층에서 형성되는 빔의 굴절을 보정하기 위하여 표층음속측정기(surface sound velocity sensor)를 이용하여 표층해수의 음속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또한, 시간에 따른 조석 보정(tidal correction)을 수행한다. HIPS and SIPS 등과 같은 다중음향측심 전산처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오측 자료를 제거하게 되면 해저 지형도에 활용되는 최종 수심자료인 다중빔음향측심자료가 산출된다.
한편, 보정하고자 하는 해양 탄성파 탐사자료는 고해상 탄성파 탐사기를 이용하여 취득된 자료이며, 고해상 탄성파 탐사기는 천부 해저지층구조를 파악하기 위한 목적이므로 통상의 탄성파 탐사기에 비해 비교적 높은 주파수를 활용함으로써 투과심도는 낮지만 해상도가 높은 고해상 탄성파 탐사자료를 획득할 수 있다. 즉, 다중빔음향측심기는 비교적 높은 주파수를 이용하며 다중빔을 한 번에 발사하여 일정 범위의 해저면 전체를 동시에 측정하는 장치이고, 고해상 탄성파 탐사기는 비교적 낮은 주파수를 이용하여 천부 해저지층구조를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때, 고해상 탄성파 탐사자료는 1m보다 정밀한 해상도가 요구되지만, 바다의 파도나 바람에 의한 너울 및 측선 간 교점 오차는 자료의 해상도를 큰 폭으로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a단계에서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수신하고, 이후 b단계에서 보정 전 탄성파 탐사자료에서의 발파점과 동일한 좌표점에 해당하는 수심값을 a단계에서 수신된 다중빔음향측심자료로부터 추출한다.
이후, 해당 좌표점에 대해 b단계에서 추출된 수심값을 반영하여 탄성파 탐사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간의 교점을 보정하는 c단계가 이어진다.
이때, 도시된 것처럼 c단계는 c-1 ~ c-3단계로 나뉠 수 있다. 먼저, c-1단계는 다중빔음향측심자료 취득 시 측정된 수층의 수직 음파속도를 이용하여 수심값(단위: 거리, m)을 왕복 주시(단위: 시간, ms)로 환산하는 단계(S310)로, 수심값이 반영된 제 1해저면 왕복 주시가 산출된다. 즉, 제 1해저면 왕복 주시는 다중빔음향측심자료로부터 환산된 것으로, 보다 정확한 수심값이 반영된 왕복 주시이다.
이후, c-2단계에서 탄성파 탐사자료에서 동일한 좌표점에 해당하는 제 2해저면 왕복 주시를 발췌하며(S320), 마지막 c-3단계에서 제 1해저면 왕복 주시와 제 2해저면 왕복 주시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좌표점에 대한 탄성파 탐사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의 교점이 보정(S330)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c-3단계는 수심값이 반영된 제 1해저면 왕복 주시와 제 2해저면 왕복 주시와의 차이값을 산출하고(S331), 산출된 차이값을 탄성파 탐사자료의 상기 좌표점에서의 전체 왕복 주시에 가감(S332)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어느 한 좌표점에서 제 1해저면 왕복 주시가 70ms이고, 제 2해저면 왕복 주시가 80ms라면, 두 왕복 주시의 차이값은 +10ms이므로, 이를 보정 전 탄성파 탐사자료의 해당 좌표점에서의 모든 왕복 주시에 더해주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d단계에서 탄성파 탐사자료에서의 모든 좌표점에 대해 상기한 b단계 및 c단계를 반복 수행하면, 최종적으로 수심값이 반영된 너울 영향 보정 후의 탄성파 탐사자료가 도출된다. 이때, 탐사 측선이 많아 측선 간 교점 오차가 있더라도, 다중빔음향측심자료로부터 추출한 동일 좌표점의 수심값들을 적용했기 때문에 탐사 측선 간 교점들도 보정되게 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 방법을 적용하기 전, 후의 단면도를 비교한다.
도 2는 동해 남동부 해역 울산 정자항 부근 이토대(mud-belt) 지역에서 Chirp SBP 원시 자료취득시스템으로 취득된 보정 전 Chirp SBP 단면도이며, 도 3은 다중빔음향측심기 RESON사의 Seabat 8124로 취득된 수심값이 이용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 방법을 적용한 보정 후의 Chirp SBP 단면도를 나타낸다. 이때, 탄성파 단면의 세로축은 왕복 주시(two-way travel time), 가로축은 발파 개수(the number of shot)로 나타내어진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보정 전 단면도는 너울 영향으로 인해 해저면이 톱니바퀴처럼 표현되는 이벤트들이 발생된 것을 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단면도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단면도가 도출되었다. 도 3에 도시된 단면도는 수층의 수직음파속도가 적용된 다중빔음향측심자료의 수심값을 이용했기 때문에 왕복 주시의 차이가 발생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도 2의 톱니바퀴처럼 나타난 이벤트들이 완벽하게 제거된 것을 볼 수 있다. 즉, 너울 영향이 완벽히 보정되었으며, 실제 수심값이 반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에는 해저지층구조 파악을 위해 정밀한 해상도를 요하는 탄성파 탐사자료에 대해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을 보정하는데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 방법과 같이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하면 정확한 수심값이 적용되므로, 보정 후 탄성파 탐사자료의 품질이 매우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 방법은 보정 과정이 비교적 간단함에도 불구하고, 너울 영향 보정 뿐만 아니라 측선 간 교점 오차도 동시에 보정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1을 통해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한 해양 탄성파 탐사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또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정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다중빔음향측심기에서 측정된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하여 해양 탄성파 탐사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을 보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수신하는 단계(S100);
    b) 상기 다중빔음향측심자료에서 상기 탄성파 탐사자료에서의 발파점과 동일한 위경도 좌표점에 해당하는 수심값을 추출하는 단계(S200);
    c) 상기 수심값을 반영하여 상기 탄성파 탐사자료의 상기 좌표점에서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의 교점을 보정하는 단계(S300); 및
    d) 상기 탄성파 탐사자료에서의 모든 좌표점에 대해 상기 b단계 및 상기 c단계를 반복 수행하여,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이 보정된 해양 탄성파 탐사자료를도출하는 단계(S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양 탄성파 탐사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c-1) 상기 다중빔음향측심자료 취득 시 측정된 수층의 수직 음파속도를 이용하여 상기 수심값을 왕복 주시로 환산함으로써, 수심값이 반영된 제 1해저면 왕복 주시가 산출되는 단계(S310);
    c-2) 상기 탄성파 탐사자료에서 상기 좌표점에 해당하는 제 2해저면 왕복 주시를 발췌하는 단계(S320); 및
    c-3) 상기 제 1해저면 왕복 주시와 상기 제 2해저면 왕복 주시를 비교하여 상기 탄성파 탐사자료의 상기 좌표점에서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의 교점을 보정하는 단계(S33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양 탄성파 탐사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3단계는,
    c-3-1) 상기 수심값이 반영된 상기 제 1해저면 왕복 주시와 상기 제 2해저면 왕복 주시와의 차이값을 산출하는 단계(S331); 및
    c-3-2) 상기 차이값을 상기 탄성파 탐사자료의 상기 좌표점에서의 전체 왕복 주시에 적용하여 너울 영향 및 측선 간의 교점을 보정하는 단계(S33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해양 탄성파 탐사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5. 삭제
KR1020150048933A 2015-04-07 2015-04-07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한 고해상 탄성파 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 KR101544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933A KR101544829B1 (ko) 2015-04-07 2015-04-07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한 고해상 탄성파 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
EP15196968.0A EP3078991B1 (en) 2015-04-07 2015-11-30 Method for swell effect and mis-tie correction in high-resolution seismic data using multi-beam echo sounder data
US14/963,929 US9810801B2 (en) 2015-04-07 2015-12-09 Method for swell effect and mis-tie correction in high-resolution seismic data using multi-beam echo sounder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8933A KR101544829B1 (ko) 2015-04-07 2015-04-07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한 고해상 탄성파 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829B1 true KR101544829B1 (ko) 2015-08-17

Family

ID=54061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8933A KR101544829B1 (ko) 2015-04-07 2015-04-07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한 고해상 탄성파 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810801B2 (ko)
EP (1) EP3078991B1 (ko)
KR (1) KR1015448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307B1 (ko) * 2017-08-10 2018-06-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그래디언트 분석을 통한 탄성파 너울보정 및 지하지층구조 탐사 자료 처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864314B1 (ko) * 2017-11-07 2018-06-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첩 해저지층 탐사장치를 이용하여 취득한 원시자료의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저장 매체
KR102003466B1 (ko) * 2019-02-08 2019-07-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다중채널 3차원 지층탐사자료의 너울 영향 보정방법, 이를 이용한 해양 3d 탄성파 탐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0587B (en) * 2016-11-18 2021-12-15 Landmark Graphics Corp Automated mistie analysis and correction across two-dimensional ("2D") seismic surveys
CN111679317B (zh) * 2019-03-11 2023-02-28 中国石油天然气集团有限公司 地震信号中频成分提取方法、高频成分重构方法、系统
CN111983672B (zh) * 2020-09-04 2021-06-25 广州海洋地质调查局 一种多扇区多波束回波强度处理方法及处理终端
CN113591011B (zh) * 2021-05-25 2024-04-19 自然资源部第一海洋研究所 一种快速的多波束声速改正方法及实时处理终端
CN113625337B (zh) * 2021-07-30 2022-10-28 青岛海洋地质研究所 一种极浅水高精度地震资料快速成像方法
CN114966818B (zh) * 2022-04-11 2023-09-01 同济大学 隧道壁后注浆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5930916B (zh) * 2022-12-06 2023-06-06 长江水利委员会水文局 一种船体涌动频谱相关性的多波束条纹测深影响消除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278B1 (ko) 2014-03-13 2014-07-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첩 방식 천부지층 탐사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천부지층 탐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2938A (en) * 1991-07-31 1992-07-21 Shell Oil Company Adjusting seismic data to tie to other data
KR101352621B1 (ko) 2011-06-14 2014-01-17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해저면 지형을 반영한 지하구조 영상화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6278B1 (ko) 2014-03-13 2014-07-0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첩 방식 천부지층 탐사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천부지층 탐사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4307B1 (ko) * 2017-08-10 2018-06-0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그래디언트 분석을 통한 탄성파 너울보정 및 지하지층구조 탐사 자료 처리방법 및 그 기록매체
KR101864314B1 (ko) * 2017-11-07 2018-06-29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첩 해저지층 탐사장치를 이용하여 취득한 원시자료의 신호 처리 방법 및 이를 기록한 저장 매체
US10488514B2 (en) 2017-11-07 2019-11-26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Signal processing method of raw data obtained by using chirp sub-bottom profiler and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the method
KR102003466B1 (ko) * 2019-02-08 2019-07-24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다중채널 3차원 지층탐사자료의 너울 영향 보정방법, 이를 이용한 해양 3d 탄성파 탐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8991B1 (en) 2019-04-10
US9810801B2 (en) 2017-11-07
EP3078991A1 (en) 2016-10-12
US20160299244A1 (en)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829B1 (ko) 다중빔음향측심자료를 이용한 고해상 탄성파 자료의 너울 영향 및 측선 간 교점 보정 방법
US8531912B2 (en) Method and device to acquire marine seismic data
Jakobsson et al. Mapping submarine glacial landforms using acoustic methods
NO178987B (no) Fremgangsmåte ved seismiske undersökelser
Guan et al. An effective method for submarine buried pipeline detection via multi-sensor data fusion
KR102003466B1 (ko) 다중채널 3차원 지층탐사자료의 너울 영향 보정방법, 이를 이용한 해양 3d 탄성파 탐사방법
CN104268848A (zh) 一种海洋内波波速监测的方法
CN113534260A (zh) 一种宽频带近海底深海地质结构声学探测系统与方法
KR101339678B1 (ko) 갯녹음 실태조사를 위한 암반,비암반 면적 산출방법
US20130046472A1 (en) Method of determin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wo detectors at the bottom of the sea
KR101416278B1 (ko) 첩 방식 천부지층 탐사 장비 및 이를 이용한 천부지층 탐사 방법
US9423521B2 (en) Method of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detector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sea
CN113777653B (zh) 一种合成孔径式浅层地震剖面勘探方法和系统
Violante Acoustic remote sensing for seabed archaeology
Orange et al. SS: Multibeam Backscatter-Insights into Marine Geological Processes and Hydrocarbon Seepage
Kim et al. A case study on swell correction of Chirp sub-bottom profiler (SBP) data using multi-beam echo sounder (MBES) data
KR101845965B1 (ko) 탄성파탐사 자료의 너울 보정 방법
CN116609834B (zh) 一种基于海洋垂直缆地震勘探的数据处理方法
CN116931088B (zh) 海洋高分辨率地震数据涌浪相关静校正量快速估算方法
Holt Acoustic Investigations of Geologic Hazards and Seismic Processing Off the Coast of Otago, New Zealand
Guidi Simulation of the Performance of the Acoustic Positioning System of the Underwater KM3NeT Neutrino Telescope
Spiess et al. Student Cruise–Marine Geology of the Baltic Sea-Cruise No. AL546
Jones et al. 3 Acoustic Seabed Survey Methods, Analysis and Applications
CN116430391A (zh) 水下掩埋目标位置和埋深测量系统与方法
Berndt et al. Sector collapse kinematics and tsunami implications-SEKT, Cruise No. M154/1, April 3-April 25, 2019, Mindelo (Cape Verde)-Point-á-Pitre (Guadelou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