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724B1 - 중량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중량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724B1
KR101544724B1 KR1020150015968A KR20150015968A KR101544724B1 KR 101544724 B1 KR101544724 B1 KR 101544724B1 KR 1020150015968 A KR1020150015968 A KR 1020150015968A KR 20150015968 A KR20150015968 A KR 20150015968A KR 101544724 B1 KR101544724 B1 KR 101544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stopper
flange
weigh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5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준
최성욱
Original Assignee
최광준
최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광준, 최성욱 filed Critical 최광준
Priority to KR1020150015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7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6User-manipulated weights
    • A63B21/072Dumb-bells, bar-bells or the like, e.g. weight discs having an integral peripheral handle
    • A63B21/0724Bar-bells; H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손잡이 축과 중량체 간의 고정 또는 고정 해제를 임의로 선택하여 운동할 수 있고, 또한 고정 및 해제 작동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일정 길이를 가진 중심축(10); 상기 중심축의 양쪽 단부에 고정되는 중량체(20); 원통관 형태로서 상기 중심축이 내삽되어 중심축의 외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고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플랜지(42)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에 결속홈(43)이 형성된 손잡이 축(40); 상기 중량체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중심축의 외면에 고정되는 고정링(50); 상기 결속홈에 선택적으로 결속 또는 결속 해제되도록 상기 고정링에 힌지핀(61)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스토퍼(62)를 포함하는 결속수단(6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중량 운동기구에 관한다.

Description

중량 운동기구{WEIGHT TRAINING DEVICE}
본 고안은 아령이나 역기와 같이 중량을 이용하여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중량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령이나 역기와 같은 중량 운동기구는 일정 길이의 손잡이 축의 양쪽 단부에 중량체가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손잡이 축이 중량체와 고정되지 않고 회전 가능하게 함으로써 손잡이 축을 잡고 올렸다 내렸다 하는 운동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손잡이 축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손목이나 팔의 관절에 무리가 되지 않도록 하는 중량 운동기구로 개량된 바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62624호(특허문헌 1)에서는 외부면으로 다수개의 지압돌기가 형성된 원통형 손잡이부의 내측으로 양측단부에 각각 나사부가 형성된 중심축을 삽입하되, 상기 중심축의 양측으로 각각 와셔를 삽입하며, 상기 중심축의 나사부에 내측으로 나선공이 형성된 사각중량체를 각각 나삽하여서 결합되게 함으로써 원통형 손잡이부의 회전이 가능하여 손목근력 강화운동 등의 효과가 있도록 된 아령이 제안된 바 있고,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176021호(특허문헌 2)에서는 손잡이축(1)에 축공(3)(5)을 구성한 중량체(2)와 보조중량체(4)를 회전토록 끼워서 된 아령에 있어서, 중량체(2)와 보조중량체(4)의 축공(3)(5)에 손잡이축(1)을 끼우고, 양단의 보울트공(1')에 보울트(9)를 조여서 결합하는데, 맞물려서 접속하는 베아링 케이스홈(6)과(7)사이에 베아링(10)과 축공(12)을 형성한 베아링케이스(11)를 삽지하여 중량체(2)와 보조중량체(4)가 손잡이축(1)에서 별도로 소음과 잡음없이 부드럽게 회전하게 된 아령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근력 운동 방식에 따라 손잡이 축과 중량체가 상호 고정될 필요가 있는데, 특허문헌 1 및 2의 경우 중량체와 손잡이 축 간의 고정이 해제되어 있을 뿐 서로 고정시킬 수 있는 수단이 부재하여 다양한 형태의 근력 운동을 할 수 없게 되어 운동 방식에 제한이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362624호 등록공보(2004.9.22 공고) 2.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 20-0176021호 등록공보(2000.3.15 공고)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손잡이 축과 중량체 간의 고정 또는 고정 해제를 임의로 선택하여 운동할 수 있고, 또한 고정 및 해제 작동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중량 운동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중량 운동기구는 일정 길이를 가진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양쪽 단부에 고정되는 중량체; 원통관 형태로서 상기 중심축이 내삽되어 중심축의 외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고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에 결속홈이 형성된 손잡이 축; 상기 중량체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중심축의 외면에 고정되는 고정링; 상기 결속홈에 선택적으로 결속 또는 결속 해제되도록 상기 고정링에 힌지핀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결속수단;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손잡이 축과 중량체 간의 고정 또는 고정 해제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게 되므로, 중량체와 손잡이 축이 고정된 상태에 적합한 근력 운동 또는 중량체와 손잡이 축이 회전되는 상태에 적합한 근력 운동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중량 운동기구를 통해 다양한 방식의 근력 운동을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고, 또한 스토퍼를 회전시키는 간편한 동작에 의해서 고정 및 해제 작동이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운동기구의 조립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운동기구의 조립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인 고정수단의 작동 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도.
도 5는 도 4의 'B-B'선을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 운동기구의 조립 사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운동기구의 조립 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량 운동기구의 조립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중량 운동기구는 중심축(10), 중량체(20), 고정부재(30), 손잡이 축(40), 고정링(50) 및 고정수단(60)으로 대별된다.
상기 중심축(10)은 일정 길이를 가진 봉체로서 양측 단부에는 상기 중량체(20)를 고정하기 위한 연장축(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장축(12)과 중심축(10)의 경계 부분에는 턱(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량체(20)는 중심 부분에 상기 연장축(12)이 관통하는 축공(2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중량체(20)는 볼트 등의 고정부재(30)가 상기 중심축(10)의 내부에 형성된 관통공(11)에 내입되는 형태로 하여 중심축(10)에 고정될 수 있다.
예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30)를 매개로 하는 중량체(20)와 중심축(10)의 고정 구조는 특허문헌 2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중량체(20)는 특허문헌 1의 구조와 같이 고정부재(30)를 배제한 상태에서 직접 중심축(10)의 단부에 고정될 수 있고 이때 상기 고정부재(30)는 생략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중심축(10)과 중량체(20)의 고정 구조는 예시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핵심은 상기 중심축(10)의 외측에 형성된 손잡이 축(40)을 상기 중심축(10)에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고정 해제하는데 있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 축(40)은 내부에 관통공(41)이 형성된 원통관 형태로서 상기 관통공(41)에 상기 중심축(10)이 내삽됨으로써 상기 손잡이 축(40)이 상기 중심축(10)의 외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이때 손잡이 축(40)의 일측에는 플랜지(42)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42)의 가장자리에는 결속홈(43)이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플랜지(42)는 일정 두께를 가진 것으로, 상기 손잡이 축(40)의 단부에서 상기 중심축(10)이 위치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형태는 통상의 관이음시 사용되는 플랜지와 동일한 구조이다.
상기 결속홈(43)은 상기 플랜지(42)의 자장자리 면에서 중심축(10) 방향으로 절개되되, 상기 결속홈(43)은 예시한 것과 같이 플랜지(42)에 대해 하나일 수 있고 또는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속홈(43)이 복수 개인 경우 각각의 결속홈(43)은 90° 간격으로 4개일 수 있고, 120° 간격으로 3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180° 간격으로 2개가 설치될 수도 있는 바, 이는 다수 위치에서 스토퍼(62)가 내입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42)는 손잡이 축(4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될 수 있고, 또한 양측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플랜지(42)가 양측 단부에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고정링(50) 역시 중심축(10)의 양쪽 단부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링(50)은 상기 중량체(20)와 상기 플랜지(42) 사이에 개재되는 것으로 그 중심에 상기 중심축(10)이 관통하는 축공(51)이 형성됨으로써 중심축(1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데, 이때 중요한 점은 상기 고정링(50)이 상기 중심축(10)에 고정된다는 점이다.
예시한 것과 같이 상기 중심축(10)의 연장부(12)에 고정링(50)을 끼워넣은 후 고정부재(30)를 중심축(10)의 관통공(11)에 끼어서 조이면 고정링(50)과 중량체(20)가 각각 턱(13)과 고정부재(30) 사이에 압착되어 고정링(50)의 회전이 억제되므로 고정링(50)과 중심축(10)이 상호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결속수단(60)은 상기 결속홈(43)에 선택적으로 결속 또는 결속 해제되도록 마련된 스토퍼(62)를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62)는 상기 고정링(50)에 힌지핀(61)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스토퍼(62)의 일부분은 상기 고정링(50)의 가장자리에서 중심축(10) 방향으로 절개된 작동홈(52)에 내에 내입될 수 있고, 상기 힌지핀(61)은 상기 작동홈(52)을 가로질러 상기 스토퍼(62)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스토퍼(62)가 작동홈(52) 내에서 힌지핀(61)을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상기 고정수단(60)의 요소들과 연결관계 및 작동 상태를 도 4 및 도 5를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A'부인 고정수단(60)의 작동 상태를 보인 부분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62)는 일정 길이를 가진 바 형태이며 그 중 일부분은 상기 작동홈(52)에 내입되어 있는 반면 나머지 부분은 작동홈(52)에서 외부로 돌출(노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62)가 도 4의 (a)와 상기 수직 상태인 경우에 상기 플랜지(42)를 포함하는 손잡이 축(40)은 중심축(10)의 외면에서 회전 가능한 상태이다.
반대로 도 4의 (b)와 같이 스토퍼(62)를 수평으로 눕혔을 경우, 즉 상기 손잡이 축(40)의 플랜지(42)를 고정하는 위치로 회동시킨 경우에 스토퍼(62)의 돌출(노출)된 부분이 상기 고정링(50)의 작동홈(52)에서 벗어나 플랜지(42) 방향으로 돌출되며 이렇게 돌출(노출)된 부분이 상기 결속홈(43)에 내입되면 스토퍼(62)에 의해 손잡이 축(40)의 회전이 억제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62)가 결속홈(43)에 내입된 상태에서 의도하지 않게 결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62)의 일측 면에 고정홈(63)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52)의 일측 벽에는 상기 스토퍼(62)가 플랜지(42)를 고정하는 위치[도 4의 (b) 상태)에서 상기 고정홈(63)에 내입되게 하는 핀부재(6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핀부재(64)는 상기 작동홈(52)의 일측 벽면에서 고정링(50)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천공된 핀홀(54)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핀홀(54) 내에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66)가 내재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66)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핀부재(64)에 접촉되고 탄성부재(66)의 타측 단부는 상기 핀홀(54) 입구에 고정된 지지구(67)와 접촉됨으로써 탄성부재(66)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핀부재(64)가 상기 작동홈(52)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렇게 작동홈(52)으로 돌출된 핀부재(64)가 상기 스토퍼(62)의 고정홈(63) 내에 내입될 수 있으므로 스토퍼(62)가 의도하지 않게 결속홈(43)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스토퍼(62)가 상기 결속홈(43)에 용이하게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핀부재(64) 중에서 상기 작동홈(52)으로 돌출된 부분은 구형 또는 호형으로 가공된 라운드부(65)가 형성되고, 그것에 대응하여 상기 고정홈(63) 역시 호형으로 함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힌지핀(61)과 핀부재(64)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링(50)의 가장자리에는 대략 'ㄴ'자 형태의 절개부(53)가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절개부(53)의 어느 한 면은 상기 작동홈(52)의 일측 벽면과 평행한 면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핀홀(54)은 상기 절개부(53)의 평행한 면에서 작동홈(52) 방향으로 천공됨으로써 핀홀(54)의 입구를 통해 핀부재(64), 탄성부재(66) 및 지지구(67)를 차례로 삽입할 수 있고, 또한 상기 힌지핀(61) 역시 상기 절개부(53)의 평행한 면에서 작동홈(52) 방향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중량 운동기구의 조립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손잡이 축(40)의 고정수단(60)은 예시된 아령에 적용될 수도 있으나, 필요한 경우 도 6에 도시한 역기용 중량 운동기구에도 적용될 수 있는 바,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의 중량 운동기구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나 수치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중심축 11... 관통공
12... 연장축 13... 턱
20... 중량체 21... 축공
30... 고정부재
40... 손잡이 축 41... 관통공
42... 플랜지 43... 결속홈
50... 고정링 51... 축공
52... 작동홈 53... 절개부
54... 핀홀
60... 고정수단 61... 힌지핀
62... 스토퍼 63... 고정홈
64... 핀부재 65... 라운드부
66... 탄성부재 67... 지지구

Claims (7)

  1. 일정 길이를 가진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양쪽 단부에 고정되는 중량체;
    원통관 형태로서 상기 중심축이 내삽되어 상기 중심축의 외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되고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의 가장자리에 결속홈이 형성된 손잡이 축;
    상기 중량체와 상기 플랜지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중심축의 외면에 고정되는 고정링;
    상기 결속홈에 선택적으로 결속 또는 결속 해제되도록 상기 고정링에 힌지핀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결속수단; 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운동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손잡이 축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중심축이 위치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결속홈은 상기 플랜지의 자장자리 면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절개되되, 상기 결속홈은 플랜지에 대해 하나 또는 방사상으로 복수 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운동기구.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일부분은 상기 고정링의 가장자리에서 중심축 방향으로 절개된 작동홈에 내에 내입되고, 상기 힌지핀은 상기 작동홈을 가로질러 상기 스토퍼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스토퍼가 작동홈 내에서 회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스토퍼가 플랜지를 고정하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링으로부터 플랜지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결속홈에 내입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운동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의 일측 면에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작동홈의 일측 벽에는 상기 스토퍼가 플랜지를 고정하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홈에 내입되게 하는 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운동기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는 상기 작동홈의 일측 벽면에서 고정링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천공된 핀홀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핀홀 내에는 탄성부재가 내재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 단부는 상기 핀부재에 접촉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핀홀 입구에 고정된 지지구와 접촉됨으로써 상기 핀부재를 작동홈 방향으로 돌출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운동기구.
  6. 청구항 4 또는 5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 중 작동홈으로 돌출되는 부분은 구형 또는 호형으로 가공된 라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은 호형으로 함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운동기구.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작동홈의 일측 벽면과 평행한 면을 형성하도록 절개된 절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핀홀은 상기 절개부의 평행한 면에서 작동홈 방향으로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량 운동기구.
KR1020150015968A 2015-02-02 2015-02-02 중량 운동기구 KR101544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968A KR101544724B1 (ko) 2015-02-02 2015-02-02 중량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5968A KR101544724B1 (ko) 2015-02-02 2015-02-02 중량 운동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724B1 true KR101544724B1 (ko) 2015-08-21

Family

ID=54061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5968A KR101544724B1 (ko) 2015-02-02 2015-02-02 중량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7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0541A (zh) * 2018-11-16 2019-01-15 林志杰 一种多功能锻炼工具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1974B2 (en) 2002-06-14 2005-12-06 Maryellen Bowman Quick release ratcheting apparatus for a weight lift bar system
KR200419688Y1 (ko) 2006-04-06 2006-06-23 윤호영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중량조절이 가능한 덤벨
US7811213B2 (en) 2009-01-28 2010-10-12 Paul Chen Adjustable dumbbell
KR101095816B1 (ko) 2009-01-23 2011-12-21 주식회사 베스타 충격흡수형 덤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1974B2 (en) 2002-06-14 2005-12-06 Maryellen Bowman Quick release ratcheting apparatus for a weight lift bar system
KR200419688Y1 (ko) 2006-04-06 2006-06-23 윤호영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중량조절이 가능한 덤벨
KR101095816B1 (ko) 2009-01-23 2011-12-21 주식회사 베스타 충격흡수형 덤벨
US7811213B2 (en) 2009-01-28 2010-10-12 Paul Chen Adjustable dumbbel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00541A (zh) * 2018-11-16 2019-01-15 林志杰 一种多功能锻炼工具
CN109200541B (zh) * 2018-11-16 2022-02-18 滨州医学院烟台附属医院 一种多功能锻炼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5407B2 (en) Locking mechanism
US9084913B2 (en) Locking mechanism
US7794373B2 (en) Adjustable dumbbell system
US7014598B2 (en) Balanced stackable dumbbell system
TWI674913B (zh) 可調整式啞鈴系統
US20140024506A1 (en) Dumbbell Retention Device
US7789814B1 (en) Device for hanging weights to an elongated bar member
KR100970820B1 (ko) 사진기용 삼각대
JP4396949B2 (ja) 腕立て伏せエクササイズユニットおよび器具
US7591772B2 (en) Exercise device including collar coupling
US10300331B2 (en) Enhanced stability forearm builder device
KR101544724B1 (ko) 중량 운동기구
US20050075221A1 (en) Barbell weight plate
US20070123398A1 (en) Weight lifting bar
US6814691B1 (en) Secured mount for a body inversion exerciser
US20140243169A1 (en) Embedded Shelf On Exercise Equipment With Individual Gripping Members For Each Hand
CN112839721B (zh) 举重装置
TWM461625U (zh) 棘輪滑輪
DE202006005995U1 (de) Übungs-Tretmühle
JP3219932U (ja) トレーニング補助器
KR200467211Y1 (ko) 아령 운동기구
CN111448791B (zh) 穿戴式固定装置
US10315063B2 (en) Exercise biased weight
JP2019007164A (ja) 鉄筋スペーサ装置
KR20160074308A (ko) 역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