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609B1 - Water purifier having cup cleaner - Google Patents

Water purifier having cup clean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609B1
KR101544609B1 KR1020150028880A KR20150028880A KR101544609B1 KR 101544609 B1 KR101544609 B1 KR 101544609B1 KR 1020150028880 A KR1020150028880 A KR 1020150028880A KR 20150028880 A KR20150028880 A KR 20150028880A KR 101544609 B1 KR101544609 B1 KR 101544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unit
cleaning
brush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8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민수
Original Assignee
강민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민수 filed Critical 강민수
Priority to KR10201500288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46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609B1/en
Priority to PCT/KR2016/001825 priority patent/WO201614046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A47L15/006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with brushes or similar scraping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7Cleaning beverage-dispen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6Sterilisers

Landscapes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A water purifier having a cup washer is disclos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purifier having a cup washer includes: a water purifier main body having a cup inlet and a cup outlet; a cup washing part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to wash and sterilize cups inputted through the cup inlet; and a cup lifting part to move cups washed in the cup washing part to the cup outlet. The cup inlet and the cup outlet are different in height. The cup lifting part lowers the washed cups to the cup outlet.

Description

컵 세척부가 구비된 정수기{WATER PURIFIER HAVING CUP CLEANER}WATER PURIFIER HAVING CUP CLEANER "

본 발명은, 컵 세척부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컵을 세척하는 컵 세척부가 구비된 정수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provided with a cup washing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ter purifier equipped with a cup washing unit for washing a cup.

정수기라 함은 내부에 정수를 위한 필터층을 설치하거나 전기 분해 방식, 자외선 방사 챔버 방식, 이온 교환 방식, 삼투와 역삼투방식, 응고제 투입 방식 등 여러 방식에 의한 장치나 기기를 내장하여 직수나 지하수를 정화시켜 식수로 이용하는 장치이다.The term water purifier refers to a water purifier that can be installed in the inside of a filter layer for water purification, or an internal device such as an electrolytic method, ultraviolet radiation chamber method, ion exchange method, osmosis and reverse osmosis method, It is a device that purifies and uses as drinking water.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이 이용하는 식당이나 휴게실에는 식수를 먹을 수 있도록 정수기가 배치된다. 정수기를 이용하기 위해 일회용 컵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재활용 가능한 컵을 사용할 경우 통상 많은 컵을 보관할 수 있고 살균도 할 수 있는 컵 수납장치가 비치된다.In general, many restaurants and cafeterias are equipped with water purifiers for drinking water. Although disposable cups are used for the use of a water purifier, the use of recyclable cups usually provides a cup storage device which can store many cups and sterilize them.

이러한 종래의 컵 수납장치는 출입문이 형성된 통형상의 케이싱과, 케이싱의 내부에 다단으로 형성된 컵선반과, 케이싱에 내장되는 살균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Such a conventional cup storage device is composed of a tubular casing having a door formed therein, a cup shelf formed in a multi-stage inside the casing, and a sterilizing part embedded in the casing.

종래와 같이 컵 수납장치를 이용하여 컵을 살균하는 것은 불편한 점이 있다. 즉 사용하려고 하거나 사용한 컵을 살균하기 위해서 컵 수납장치의 출입문을 열고 닫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It is inconvenient to sterilize the cup by using the cup accommodating device as in the prior art. That is,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door of the cup storage device must be opened and closed in order to sterilize the cup to be used or used.

또한 종래의 컵 수납장치는 단순히 컵을 살균하는 기능만 있을 뿐 컵을 세척하는 기능이 없어 컵에 이물질이 두껍게 묻어 있는 경우 살균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up storage device has a merely function of sterilizing the cup and does not have a function of cleaning the cup, so that when the cup is thickly adhered to the cup, sterilization is not properly performed.

나아가 종래의 컵 수납장치는 정수기와 별도로 마련되어 공간을 차지하므로 협소한 공간에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Furthermore, since the conventional cup storage device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water purifier and occupies a space, it can not be installed in a narrow space.

전술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The above-described technical structure is a background technique for assisting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e prior art widely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7-0074069호(전장봉) 2007. 07. 12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07-0074069 (electric rods) 2007. 07. 12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컵을 세척 및 살균함과 아울러 컵을 연속적으로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는 컵 세척부가 구비된 정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purifier provided with a cup washing unit capable of washing and sterilizing a cup and continuously washing and sterilizing the cup.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컵 투입구와 컵 배출구가 마련된 정수기 본체; 상기 정수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컵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컵을 세척하는 컵 세척부; 및 상기 컵 세척부에서 세척된 컵을 상기 컵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컵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컵 투입구와 상기 컵 배출구는 서로 다른 높이로 마련되고, 상기 컵 승강부는 세척된 컵을 상기 컵 배출구로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ter purifier body including a water purifier body having a cup inlet and a cup outlet; A cup washing unit provided in the purifier body and washing the cup introduced through the cup inlet; And a cup elevating part for moving the cup cleaned by the cup washing part to the cup discharging part, wherein the cup feeding port and the cup discharging port are provided at different heights, and the cup elevating and lowering part lowers the cleaned cup to the cup discharging port The water purifier can be provided.

상기 컵 세척부는, 상기 정수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컵 투입구로 유입된 컵을 홀딩하여 상기 컵 세척부로 이동시키는 컵 홀딩 및 이동부; 상기 정수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컵 홀딩 및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컵을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후 이동되는 컵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되어 이동되는 컵을 살균시키는 살균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up washing unit may include a cup holding and moving unit provided in the purifier body and holding the cup introduced into the cup inlet and moving the cup to the cup washing unit. A washing unit provided in the purifier body and washing the cup moved by the cup holding and moving unit; A drying unit for drying the cup moved after being washed in the washing unit; And a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the cup, which is dried and moved in the drying unit.

상기 세척부는, 컵의 외부를 세척하며, 상기 정수기 본체의 천장부에 마련되는 하우징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 구동부에 연결되어 컵 방향으로 승강 및 회전되는 브러쉬 하우징과,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컵의 외부를 마찰 세척하는 내부 브러쉬가 구비된 외부 세척부; 및 컵의 내부를 세척하며, 상기 정수기 본체의 바닥부에 마련되는 브러쉬 로드 구동부와, 상기 브러쉬 로드 구동부에 연결되어 컵 방향으로 승강 및 회전되는 브러쉬 로드와, 상기 브러쉬 로드의 외벽에 마련되어 상기 컵의 내부를 마찰 세척하는 외부 브러쉬가 구비된 내부 세척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cleaning unit may include a housing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ceiling of the purifier body for cleaning the outside of the cup, a brush housing connected to the housing driving unit and lifted and rotated in the cup direction, An outer cleaning unit having an inner brush for frictionally cleaning the outer surface; And a brush rod connected to the brush rod driving part and lifted and rotated in the cup direction, and a brush holder provided on an outer wall of the brush rod, And an inner cleaning unit having an outer brush for friction-rinsing the interior.

상기 브러쉬 하우징에는 상기 컵 홀딩 및 이동부의 하강 시 상기 컵 홀딩 및 이동부의 핑거 연결 로드와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간섭을 방지하는 안내하는 제1 절개슬릿과,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회전시 상기 브러쉬 하우징과 상기 핑거 연결 로드의 간섭을 방지하는 제2 절개슬릿이 마련될 수 있다.The brush housing is provided with a first incision slit for guiding the cup holding and guiding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finger connecting rod of the cup holder and the moving part and the brush housing when the cup holder and the moving part are lowered, A second incision slit may be provided to prevent interference of the connection rod.

상기 컵 승강부는, 상기 살균부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정수기 본체에 마련되는 승강 가이드 레일;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살균 된 컵을 지지하는 컵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정수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컵 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컵 지지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Wherein the cup elevating portion includes an elevating guide rail provided on the purifier body in a region where the sterilizing portion is provided; A cup supporting plate which is movable up and down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elevating guide rail and supports the sterilized cup; And a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that is provided in the purifier body and is connected to the cup supporting plate to raise and lower the cup supporting plat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정수기 본체에 컵을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는 컵 세척부를 마련하여 컵의 살균뿐만 아니라 세척도 할 수 있어 컵의 청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leanliness of the cup by providing a cup washing unit capable of washing and sterilizing the cup in the water purifier body as well as sterilizing the cup.

또한 정수기 본체에 컵을 살균 및 세척하는 컵 세척부가 일체로 마련되어 공간의 효율성과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cup cleaner for sterilizing and cleaning the cup in the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is integrally provided, thereby improving the space efficiency and convenience in use.

나아가 컵이 투입되는 컵 투입구와 컵이 배출되는 컵 배출구의 높이를 다르게 하고, 컵 승강부에 의해 컵 투입구로 투입된 후 세척 및 살균된 컵을 하강시키므로 컵을 연속적이고 다량으로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height of cup discharging port into which the cup is inserted and the height of the discharging port of the cup from which the cup is discharged are made different, the cup is put into the cup inlet by the cup elevating portion, and then the cleaned and sterilized cup is lowered so that the cup can be continuously and massively cleaned and sterilized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세척부가 구비된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세척, 건조, 살균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컵의 외부를 세척하는 외부 세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컵의 내부를 세척하는 내부 세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컵을 건조하는 건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컵을 살균하는 살균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컵 배출구로 컵을 이동시키는 컵 승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ater purifier provided with a cup was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of a cleaning, drying, and sterilization process of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schematic view of an external washing section for washing the outside of the cup shown in FIG. 2. FIG.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ner cleaning part for cleaning the inside of the cup shown in FIG. 2. FIG.
FIG. 5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drying unit for drying the cup shown in FIG. 2. FIG.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erilizing part for sterilizing the cup shown in Fig. 2. Fig.
FIG. 7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p elevating portion for moving the cup to the cup discharging port shown in FIG. 1;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컵 세척부가 구비된 정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수기의 세척, 건조, 살균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컵의 외부를 세척하는 외부 세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컵의 내부를 세척하는 내부 세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컵을 건조하는 건조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컵을 살균하는 살균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컵 배출구로 컵을 이동시키는 컵 승강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ater purifier provided with a cup was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leaning, drying and sterilizing process of the water purifier shown in 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external washing section for washing the outside of the cup shown in FIG. 2, FIG. 4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ternal washing section for washing the inside of the cup shown in FIG. 2, Fig.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rilizing part for sterilizing the cup shown in Fig. 2, and Fig. 7 is a view for schematically showing a sterilizing part for drying the cup shown in Fig. Fig.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up elevating portion for moving the cup;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컵 세척부가 구비된 정수기(1)는, 컵 투입구(130)와 컵 배출구(140)가 마련된 정수기 본체(100)와, 정수기 본체(100)에 마련되어 컵 투입구(130)를 통해 유입되는 컵(C)을 세척 및 살균하는 컵 세척부(200)와, 컵 세척부(200)에서 세척된 컵(C)을 컵 배출구(140)로 이동시키는 컵 승강부(300)를 구비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water purifier 1 equipped with the cup wash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provided with a cup inlet 130 and a cup outlet 140, A cup washing unit 200 for washing and sterilizing the cup C introduced through the cup inlet 130 and a cup for moving the cup C cleaned by the cup washing unit 200 to the cup outlet 140, And a lifting unit 300.

정수기 본체(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정수기 본체(100)에는 냉온수가 배출되는 냉온수 배출부(110)와, 얼음이 배출되는 얼음 배출부(120)와, 컵(C)의 투입 장소로 제공되는 컵 투입구(130)와, 컵(C)의 배출 장소로 제공되는 컵 배출구(140)가 마련된다.1,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includes a cold / hot water discharge unit 110 through which cold / hot water is discharged, an ice discharge unit 120 through which ice is discharged, A cup insertion port 130 provided at the insertion position of the cup C and a cup discharge port 140 provided at the discharge position of the cup C.

본 실시 예에서 컵 투입구(130)와 컵 배출구(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높이를 다르게 하여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컵(C)을 세척하는 경우 투입되는 각각의 컵(C)의 간섭을 피할 수 있으므로, 즉 하나의 컵(C)을 투입한 후 나머지 컵(C)을 바로 순차적으로 투입할 수 있으므로 컵(C)의 세척 및 살균을 빠르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cup inlet 130 and the cup outlet 140 may be provided at different heights,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when the plurality of cups C are cleaned, interference between the respective cups C to be introduced can be avoided, that is, after one cup C is inserted,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washing and disinfection of the cup (C) can be speeded up.

본 실시 예에서 정수기 본체(100)에는 도 3에 도시된 상부 수용홈(150)과, 도 4에 도시된 하부 수용홈(160)이 마련될 수 있다. 상부 수용홈(150)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세척부(221)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 수용될 수 있고, 하부 수용홈(160)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세척부(222)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 수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urifier body 100 may be provided with the upper receiving groove 150 shown in FIG. 3 and the lower receiving groove 160 shown in FIG. The upper receiving groove 150 may be received in the case where the external washing portion 221 is not operated as shown in FIG. The inner cleaning portion 222 can be accommodated when it is not used.

만약 외부 세척부(221)와 내부 세척부(222)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세척 공간으로 돌출되는 경우 컵(C)의 유입 경로를 방해할 수 있다. 본 실시 예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외부 세척부(221)와 내부 세척부(222)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 전술한 수용홈에 수용시켜 컵(C)의 유입 경로의 방해를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컵(C)의 유입 경로가 방해를 받지 않으므로 세척 공간을 크게 할 필요가 없어 정수기 본체(100)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Even if the external cleaning section 221 and the internal cleaning section 222 are not operated, the flow path of the cup C can be disturbed if it protrudes into the cleaning space.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external cleaning section 221 and the internal cleaning section 222 are not operated in consideration of this poi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flow path of the cup C from being disturbed by being accommodated in the above-described receiving recess. In this case, since the inflow path of the cup C is not disturbed, there is no need to increase the washing space,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size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can be reduced.

그리고 정수기 본체(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버튼(170)과 진행 사항 예를 들어 세척 상태, 건조 온도, 살균 상태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부(180)가 마련될 수 있다.1, the purifier body 100 may include an operation button 170 and a display unit 180 indicating progress, eg, a cleaning state, a drying temperature, and a sterilization state.

컵 세척부(200)는, 정수기 본체(100)에 마련되어 컵 투입구(130)로 투입되는 컵(C)을 세척, 건조, 살균하는 역할을 한다.The cup washing unit 200 serves to wash, dry and sterilize the cup C which is provided in the purifier body 100 and is introduced into the cup inlet 130.

본 실시 예는 컵 세척부(200)를 정수기 본체(100)에 일체로 마련하여 컵(C)을 별도로 세척하거나 살균하기 위한 불편을 줄일 수 있고, 컵(C)을 살균하는 것 외에 컵(C)의 내부와 외부를 세척하여 건조시키므로 컵(C)의 청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embodiment can reduce the inconvenience for separately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cup C by integrally providing the cup cleaner 200 in the purifier body 100 and it is possible to sterilize the cup C,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cup C are cleaned and dried, so that the cleanliness of the cup C can be improved.

또한 정수기 본체(100)에 컵(C)을 살균 및 세척하는 컵 세척부(200)가 일체로 마련되어 별도의 컵 세척장치나 건조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공간 상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up cleaner 200 for sterilizing and cleaning the cup C is integrally provided on the purifier body 100, there is no need to provide a separate cup cleaner or a drying device, thereby improving space efficiency.

이제 컵 세척부(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컵 세척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되는 컵(C)을 홀딩한 후 외부 세척 영역, 내부 세척 영역, 건조 영역, 살균 영역으로 순차적으로 이동시킨 후 원 위치시키는 컵 홀딩 및 이동부(210)와, 홀딩되어 이동된 컵(C)의 외부와 내부를 세척하는 세척부(221,222)와, 세척부(221,222)에서 세척된 컵(C)을 건조하는 건조부(230)와, 건조부(230)에서 건조된 컵(C)을 살균하는 살균부(240)를 포함한다.2, the cup clean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hold the cup C to be filled and thereafter hold the outer cleaning area, the inner cleaning area, the drying area, A cleaning unit 221 and 222 for cleaning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up C held and moved by the washing unit 221 and 222, A drying unit 230 for drying the cup C and a sterilizing unit 240 for sterilizing the cup C dried in the drying unit 230.

컵 세척부(200)의 컵 홀딩 및 이동부(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축(211)과, 회전축(2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핑거 연결 로드(212)와, 핑거 연결 로드(212)에 연결되어 컵(C)을 홀딩하는 핑거(213)를 포함한다.7, the cup holding and moving unit 210 of the cup washing unit 200 includes a rotating shaft 211 rotatably provided in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and a rotating shaft 211 rotatably mounted on the rotating shaft 211 And a finger 213 which is connected to the finger connecting rod 212 and holds the cup C, as shown in FIG.

본 실시 예에서 회전축(211)은 미도시 되었지만 그 하단부에 연결되는 모터의 기어이와 기어 맞물려 정방향 또는 역방향 회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lthough the rotary shaft 211 is not shown, the gear of the motor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ry shaft 211 may be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본 실시 예에서 핑거 연결 로드(212)는 회전축(211)에 내장된 소형 모터의 기어이와 기어 맞물려 컵(C)을 정 위치와 반대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컵(C)이 도 3의 (b)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경우 컵(C)의 윗면이 정수기 본체(100)의 바닥 방향으로 향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반대로 컵(C)을 건조하거나 살균하는 경우,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C)의 윗면이 정수기 본체(100)의 천장 방향으로 향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nger connecting rod 212 can rotate the gear and gear engaging cup C of the small motor built in the rotating shaft 211 to a position opposite to the normal position. For example, when the cup C is in the position shown in FIG. 3 (b),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C may be rotated so as to face the bottom of the purifier body 100. Conversely, when the cup C is dried or sterilized, the upper surface of the cup C may be rotated so as to face the ceiling of the purifier body 100, as shown in Figs. 5 and 7.

또한 본 실시 예에서 핑거 연결 로드(212)는 회전축(211)에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finger connecting rods 212 may be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211.

본 실시 예에서 컵(C)을 홀딩하는 핑거(213)는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컵(C)을 직접적으로 홀딩하는 한 쌍의 홀딩 핑거가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핑거 로드(미도시)와, 핑거 로드에 마련되며 공급되는 유체(공기 또는 유압)에 의해 작동되어 한 쌍의 홀딩 핑거를 회동시키는 실린더(미도시)로 구비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finger 213 holding the cup C can be operated in various known ways. For example, a pair of holding fingers for directly holding the cup C, a finger rod (not shown) rotatably hinged to the finger rod, and a finger rod (Not shown) that rotates the pair of holding fingers.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살균 과정이 완료된 후 다시 컵 투입구(130)로 이동되는 핑거(213)와 새롭게 투입된 컵(C) 간에 간섭이 발생될 수 있으나, 이는 컵(C)에 핑거(213)가 접촉되는 위치에서 회전축(211)의 회전과 동시에 핑거(213)를 회전시켜 해결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after the sterilization process is completed, inter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finger 213, which is moved to the cup inlet 130, and the newly inserted cup C. This is because the finger 213 contacts the cup C The finger 213 can be rotated simultaneously with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211. [

컵 세척부(200)의 세척부(221,222)는, 컵(C)의 외부를 세척하는 외부 세척부(221)와, 컵(C)의 내부를 세척하는 내부 세척부(222)를 포함한다.The washing units 221 and 222 of the cup washing unit 200 include an external washing unit 221 for washing the outside of the cup C and an internal washing unit 222 for washing the inside of the cup C.

외부 세척부(2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세척 공간으로 유입되어 뒤집어진 컵(C)의 외부를 세척하는 것으로, 정수기 본체(100)의 상부 수용홈(150)에 마련되는 하우징 구동부(221a)와, 하우징 구동부(221a)에 연결되어 승강(상승 또는 하강) 및 회전되는 브러쉬 하우징(221b)과, 브러쉬 하우징(221b)의 내벽에 마련되는 복수의 내부 브러쉬(221c)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3, the outer cleaning part 221 is provided in the upper receiving groove 150 of the purifier body 100 by washing the outside of the inverted cup C, A brush housing 221b connected to the housing driving part 221a and lifted (raised or lowered) and rotated, and a plurality of internal brushes 221c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brush housing 221b do.

외부 세척부(221)의 하우징 구동부(221a)는, 브러쉬 하우징(221b)을 승강 및 회전시키는 것으로, 브러쉬 하우징(221b)의 승강은 실린더(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고, 그 회전은 하우징 구동부(221a)의 몸체 내부에 실린더의 단부와 기어 맞물림 되는 모터(미도시)를 마련하여 실린더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브러쉬 하우징(221b)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수단은 공지된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The housing driving part 221a of the external washing part 221 lifts and rotates the brush housing 221b so that the brush housing 221b can be lifted and lowered using a cylinder (not shown) (Not shown) that meshes with an end portion of the cylinder in the body of the brush housing 221a so as to rotate the cylinder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 rotate the brush housing 221b. In addition, the means for rotating the cylinder may be replaced by known means.

외부 세척부(221)의 브러쉬 하우징(221b)에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개슬릿(221ba)과 제2 절개슬릿(221bb)이 마련될 수 있다.The brush housing 221b of the external cleaning section 221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utting slit 221ba and a second cutting slit 221bb as shown in FIG.

본 실시 예에서 제1 절개슬릿(221ba)은 브러쉬 하우징(221b)의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어 브러쉬 하우징(221b)의 승강 시 핑거 연결 로드(212)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first incision slit 221ba is provid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rush housing 221b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finger connecting rod 212 when the brush housing 221b is lifted or lowered.

본 실시 예에서 제2 절개슬릿(221bb)은,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절개슬릿(221ba)과 직각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브러쉬 하우징(221b)의 좌우 회전 시 핑거 연결 로드(212)와의 간섭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3 (a), the second incision slit 221bb may be provided so as to be perpendicular to the first incision slit 221ba, and the second incision slit 221bb may be provided at the right side of the brush housing 221b, And serves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connection rod 212.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브러쉬 하우징(221b)은 원통형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rush housing 221b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덧붙여 본 실시 예에서 외부 세척부(221)는, 미 작동 상태에서는,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수용홈(150)에 마련될 수 있고, 컵(C)이 세척 영역으로 유입되는 경우 컵(C) 방향으로 하강 및 회전되어,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C)의 외벽을 세척할 수 있다.3 (a), the outer cleaning part 221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receiving groove 150, and the cup C may be provided in the cleaning area It can be lowered and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cup C to clean the outer wall of the cup C, as shown in Fig. 3 (b).

내부 세척부(2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세척 공간으로 유입된 컵(C)의 내부를 세척하는 것으로, 정수기 본체(100)의 하부 수용홈(160)에 마련되는 브러쉬 로드 구동부(222a)와, 브러쉬 로드 구동부(222a)에 연결되어 승강(상승 또는 하강) 및 회전되는 브러쉬 로드(222b)와, 브러쉬 로드(222b)의 외벽에 마련되는 복수의 외부 브러쉬(222c)를 포함한다.4, the inner cleaning part 222 may clean the inside of the cup C that has flowed into the inner cleaning space, and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receiving groove 160 of the purifier body 100, A brush rod 222b connected to the brush rod driving portion 222a and raised (raised or lowered) and rotated, and a plurality of external brushes 222c provided on the outer wall of the brush rod 222b do.

내부 세척부(222)의 브러쉬 로드 구동부(222a)는, 브러쉬 로드(222b)를 승강 및 회전시키는 것으로, 브러쉬 로드(222b)의 승강은 실린더(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고, 그 회전은 브러쉬 로드 구동부(222a)의 몸체 내부에 실린더의 단부와 기어 맞물림 되는 모터(미도시)를 마련하여 실린더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브러쉬 로드(222b)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외에도 실린더를 회전시키는 수단은 공지된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The brush rod driving part 222a of the inner cleaning part 222 lifts and rotates the brush rod 222b so that the brush rod 222b can be lifted and lowered by using a cylinder (not shown) A motor (not shown) may be provided inside the body of the driving unit 222a to engage with the end of the cylinder so that the cylinder may be rotated in the forward or reverse direction to rotate the brush rod 222b. In addition, the means for rotating the cylinder may be replaced by known means.

본 실시 예에서 내부 세척부(222)는, 미 작동 상태에서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본체(100)의 하부 수용홈(160)에 마련될 수 있고, 컵(C)이 세척 영역으로 유입되는 경우 컵(C) 방향으로 상승 및 회전되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컵(C)의 내벽을 세척할 수 있다.4A, the inner cleaning part 222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receiving groove 160 of the water purifier body 100, and the cup C Is raised and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cup C, the inner wall of the cup C can be cleaned, as shown in Fig. 4 (b).

컵 세척부(200)의 건조부(230)는, 세척부(221,222)에서 세척되어 이동 된 컵(C)을 건조시키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본체(100)의 천장부에 마련되는 가열 히터(231)와, 그 바닥부에 마련되는 송풍팬(232)을 포함한다.The drying unit 230 of the cup wash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dry the cup C that has been cleaned by the cleaning units 221 and 222 and is disposed on the ceiling of the purifier body 100 And a blowing fan 232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heater 231.

본 실시 예에서 송풍팬(232)은 정수기 본체(100)의 천장부에도 마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blowing fan 232 may be provided on the ceiling portion of the purifier body 100.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컵(C)이 건조 되는 영역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벽(233)이 마련되고, 이 밀폐벽(233)에는 핑거 연결 로드(212)와 컵(C)의 인입 또는 배출 통로로 핑거연결로드 통과홀(233a)과 컵 통과홀(233b)이 마련된다.6, a sealing wall 233 is provided in the region where the cup C is to be dried in this embodiment, and the finger connecting rod 212 and the cup C are provided in the sealing wall 233, A finger connecting rod passing hole 233a and a cup passing hole 233b are provided.

컵 세척부(200)의 살균부(240)는, 건조부(230)에서 건조된 컵(C)을 살균하는 것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본체(100)에 마련되는 살균 램프(241)를 포함한다.7, the sterilizing unit 240 of the cup washing unit 200 sterilizes the cup C dried in the drying unit 230, and the sterilizing unit 240 241).

본 실시 예에서 살균 램프(241)는 자외선 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terilizing lamp 241 may include an ultraviolet lamp.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 살균부(240)에서 발생되는 살균 공기는 내부 브러쉬(221c)나 외부 브러쉬(222c)로 공급되어 이들을 살균할 수도 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살균 공기가 컵 투입구(130)나 컵 배출구(140)를 통해 정수기 본체(100)의 외부로 누출될 수 있으므로 내부 브러쉬(221c)나 외부 브러쉬(222c)의 살균 중에는 컵 투입구(130)나 컵 배출구(140)를 도어(미도시)로 밀폐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terilizing air generated in the sterilizing unit 240 may be supplied to the inner brush 221c or the outer brush 222c to sterilize the sterilizing air. The sterilizing air may leak to the outside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100 through the cup inlet 130 or the cup outlet 140 during the sterilization of the internal brush 221c or the external brush 222c, ) Or the cup discharging port 140 with a door (not shown).

컵 승강부(300)는, 살균부(240)에서 살균 처리된 컵(C)을 도 1에 도시된 정수기 본체(100)의 컵 배출구(140)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cup lifting unit 300 serves to move the cup C sterilized by the sterilizing unit 240 to the cup outlet 140 of the purifier body 100 shown in FIG.

본 실시 예에서 컵 승강부(3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수기 본체(100)에 마련되는 승강 가이드 레일(310)과, 승강 가이드 레일(310)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살균 된 컵(C)을 지지하는 컵 지지플레이트(320)와, 승강 가이드 레일(310) 또는 정수기 본체(100)에 마련되며 컵 지지플레이트(320)에 연결되어 컵 지지플레이트(320)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7, the cup elevating portion 300 includes an elevating guide rail 310 provided on the purifier body 100, a lift guide rail 310 provided on the elevating guide rail 310, A cup supporting plate 320 for supporting the cup C and a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320 connected to the lifting guide rail 310 or the water purifier body 100 and connected to the cup supporting plate 320, (Not shown).

컵 승강부(300)의 컵 지지플레이트(320)는에는 컵(C)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돌기(321)와, 미 도시되었지만 절개홀이 마련될 수 있고, 이 절개홀을 통해 지지된 컵(C)을 컵 배출구(140)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는 컵 배출구(140)의 공간이 넓어 컵 배출구(140)에 복수의 컵(C)이 수용되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즉 컵 배출구(140)에 컨베이어와 같은 별도의 컵 이동수단(미도시)을 마련하여 컵 배출구(140) 상에서 컵(C)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The cup supporting plate 320 of the cup lifting unit 30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rotrusion 321 for preventing the cup C from coming off and a cup 321 which is not shown but may be provided with a cutting hole, (C) can be moved in the cup outlet (140). This may be useful when the space of the cup outlet 140 is wide and a plurality of cups C are accommodated in the cup outlet 140. (Not shown), such as a conveyor, may be provided on the cup outlet 140 to move the cup C on the cup outlet 140.

컵 승강부(300)의 승강 구동부는, 컵 지지플레이트(320)의 일단부에 연결되며 공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일 수 있다.The elevation driving part of the cup elevating part 300 may be a cylinder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up supporting plate 320 and operated by pneumatic pressure.

한편 본 실시 예에서 전술한 컵(C)의 세척, 건조, 살균은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washing, drying, and sterilizing of the above-described cup (C) can b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a control unit (not shown).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정수기 본체에 컵을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는 컵 세척부를 마련하여 컵의 살균뿐만 아니라 세척도 할 수 있어 컵의 청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cup washing unit capable of washing and sterilizing the cup is provided in the purifier body, so that the cup can be cleaned as well as sterilized, thereby improving the cleanliness of the cup.

또한 정수기 본체에 컵을 살균 및 세척하는 컵 세척부가 일체로 마련되어 공간의 효율성과 사용상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cup cleaner for sterilizing and cleaning the cup in the main body of the water purifier is integrally provided, thereby improving the space efficiency and convenience in use.

나아가 컵이 투입되는 컵 투입구와 컵이 배출되는 컵 배출구의 높이를 다르게 하고, 컵 승강부에 의해 컵 투입구로 투입된 후 세척 및 살균된 컵을 하강시키므로 컵을 연속적이고 다량으로 세척 및 살균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height of cup discharging port into which the cup is inserted and the height of the discharging port of the cup from which the cup is discharged are made different, the cup is put into the cup inlet by the cup elevating portion, and then the cleaned and sterilized cup is lowered so that the cup can be continuously and massively cleaned and sterilized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컵 세척부가 구비된 정수기
100 : 정수기 본체 110 : 냉온수 배출부
120 : 얼음 배출부 130 : 컵 투입구
140 : 컵 배출구 150 : 상부 수용홈
160 : 하부 수용홈 170 : 작동 버튼
180 : 디스플레이부 200 : 컵 세척부
210 : 컵 홀딩 및 이동부 211 : 회전축
212 : 핑거 연결 로드 213 : 핑거
221, 222 : 세척부 221 : 외부 세척부
221a : 하우징 구동부 221b : 브러쉬 하우징
221ba : 제1 절개슬릿 221bb : 제2 절개슬릿
221c : 내부 브러쉬 222 : 내부 세척부
222a : 브러쉬 로드 구동부 222b : 브러쉬 로드
222c : 외부 브러쉬 230 : 건조부
231 : 가열 히터 232 : 송풍팬
233 : 밀폐벽 233a : 핑거연결로드 통과홀
233b : 컵 통과홀 240 : 살균부
241 : 살균 램프 300 : 컵 승강부
310 : 승강 가이드 레일 320 : 컵 지지플레이트
321 : 지지돌기 C : 컵
1: Water purifier with cup washing unit
100: purifier body 110: cold /
120: Ice discharging part 130: Cup inlet
140: cup outlet 150: upper receiving groove
160: Lower receiving groove 170: Operation button
180: display unit 200: cup cleaning unit
210: cup holding and moving part 211: rotating shaft
212: finger connecting rod 213: finger
221, 222: Cleaning part 221: External cleaning part
221a: Housing driving part 221b: Brush housing
221ba: first incision slit 221bb: second incision slit
221c: inner brush 222: inner cleaning part
222a: Brush load driving part 222b: Brush load
222c: outer brush 230: drying section
231: Heating heater 232: Ventilation fan
233: sealing wall 233a: finger connecting rod passing hole
233b: Cup through hole 240: Sterilization part
241: Sterilizing lamp 300: Cup elevating part
310: lift guide rail 320: cup support plate
321: Supporting projection C: Cup

Claims (5)

컵 투입구와 컵 배출구가 마련된 정수기 본체;
상기 정수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컵 투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컵을 세척 및 살균하는 컵 세척부; 및
상기 컵 세척부에서 세척된 컵을 상기 컵 배출구로 이동시키는 컵 승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컵 세척부는,
상기 정수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컵 투입구로 유입된 컵을 홀딩하여 상기 컵 세척부로 이동시키는 컵 홀딩 및 이동부;
상기 정수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컵 홀딩 및 이동부에 의해 이동되는 컵을 세척하는 세척부;
상기 세척부에서 세척된 후 이동되는 컵을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상기 건조부에서 건조되어 이동되는 컵을 살균시키는 살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세척부는,
컵의 외부를 세척하며, 상기 정수기 본체의 천장부에 마련되는 하우징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 구동부에 연결되어 컵 방향으로 승강 및 회전되는 브러쉬 하우징과,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내벽에 마련되어 상기 컵의 외부를 마찰 세척하는 내부 브러쉬가 구비된 외부 세척부; 및
컵의 내부를 세척하며, 상기 정수기 본체의 바닥부에 마련되는 브러쉬 로드 구동부와, 상기 브러쉬 로드 구동부에 연결되어 컵 방향으로 승강 및 회전되는 브러쉬 로드와, 상기 브러쉬 로드의 외벽에 마련되어 상기 컵의 내부를 마찰 세척하는 외부 브러쉬가 구비된 내부 세척부를 포함하며,
상기 컵 투입구와 상기 컵 배출구는 서로 다른 높이로 마련되고, 상기 컵 승강부는 세척된 컵을 상기 컵 배출구로 하강시키며,
상기 브러쉬 하우징에는 상기 컵 홀딩 및 이동부의 하강 시 상기 컵 홀딩 및 이동부의 핑거 연결 로드와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간섭을 방지하는 안내하는 제1 절개슬릿과, 상기 브러쉬 하우징의 회전시 상기 브러쉬 하우징과 상기 핑거 연결 로드의 간섭을 방지하는 제2 절개슬릿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
A water purifier body having a cup inlet and a cup outlet;
A cup washing unit provided in the purifier body for washing and sterilizing the cup introduced through the cup inlet; And
And a cup elevating part for moving the cup cleaned by the cup cleaning part to the cup discharging port,
The cup-
A cup holding and moving unit provided in the purifier body for holding a cup introduced into the cup inlet and moving the cup to the cup cleaner;
A washing unit provided in the purifier body and washing the cup moved by the cup holding and moving unit;
A drying unit for drying the cup moved after being washed in the washing unit; And
And a sterilizing unit for sterilizing the cup, which is dried and moved in the drying unit,
The cleaning unit includes:
A brush housing connected to the housing driving part and lifted and rotated in the cup direction; and a cleaning brush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brush housing to clean the outside of the cup by friction cleaning An external cleaning unit having an internal brush for cleaning the inside of the washing unit; And
A brush rod driving part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purifier main body for washing the inside of the cup; a brush rod connected to the brush rod driving part and lifted and rotated in the cup direction; And an inner cleaning part provided with an outer brush for frictionally cleaning the inner cleaning part,
Wherein the cup inlet and the cup outlet are provided at different heights, the cup elevator descends the cleaned cup to the cup outlet,
The brush housing is provided with a first incision slit for guiding the cup holding and guiding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finger connecting rod of the cup holder and the moving part and the brush housing when the cup holder and the moving part are lowered, And a second incision slit is provided to prevent interference of the connection ro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 승강부는,
상기 살균부가 마련된 영역의 상기 정수기 본체에 마련되는 승강 가이드 레일;
상기 승강 가이드 레일의 높이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마련되며 살균 된 컵을 지지하는 컵 지지플레이트; 및
상기 정수기 본체에 마련되며 상기 컵 지지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컵 지지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는 정수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up-
An elevating guide rail provided on the purifier body in a region where the sterilizing section is provided;
A cup supporting plate which is movable up and down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elevating guide rail and supports the sterilized cup; And
And a lifting and lowering driving unit provided on the purifier body and connected to the cup supporting plate to raise and lower the cup supporting plate.
KR1020150028880A 2015-03-02 2015-03-02 Water purifier having cup cleaner KR1015446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880A KR101544609B1 (en) 2015-03-02 2015-03-02 Water purifier having cup cleaner
PCT/KR2016/001825 WO2016140460A1 (en) 2015-03-02 2016-02-25 Water purifier having cup washing par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8880A KR101544609B1 (en) 2015-03-02 2015-03-02 Water purifier having cup clean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609B1 true KR101544609B1 (en) 2015-08-13

Family

ID=54061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880A KR101544609B1 (en) 2015-03-02 2015-03-02 Water purifier having cup clean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44609B1 (en)
WO (1) WO2016140460A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32B1 (en) 2016-09-01 2017-02-23 박종주 Water purifier with device automatically washing cup
CN108742412A (en) * 2018-05-14 2018-11-06 张兴宇 A kind of marmite automatic rinser
KR102463828B1 (en) * 2022-07-18 2022-11-03 박문호 Smart tumbler cleaner
KR20230131397A (en) 2022-03-04 2023-09-13 (주)빅드림 Dispenser for Cup washing
KR20240060127A (en) 2022-10-28 2024-05-08 (주)빅드림 Dispenser for Cup wash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3753B (en) * 2020-05-23 2022-10-11 桂东县野万洋山泉水有限公司 Water purifier installation fixing device with safeguard func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4237U (en) * 1998-12-21 1999-04-26 김도균 Automatic cup washing water purifier
KR19990068295A (en) * 1999-03-10 1999-09-06 최기창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washing supply of re-usable cup
KR20050078068A (en) * 2004-01-30 2005-08-04 핫크린주식회사 Automatic cup washing device serving as hot and cold water purifier
KR100700539B1 (en) * 2005-02-03 2007-03-28 강진구 Cup storage being able to clean and to sterilize a cup
KR100836781B1 (en) * 2006-10-19 2008-06-10 김종국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cup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232B1 (en) 2016-09-01 2017-02-23 박종주 Water purifier with device automatically washing cup
CN108742412A (en) * 2018-05-14 2018-11-06 张兴宇 A kind of marmite automatic rinser
KR20230131397A (en) 2022-03-04 2023-09-13 (주)빅드림 Dispenser for Cup washing
KR102463828B1 (en) * 2022-07-18 2022-11-03 박문호 Smart tumbler cleaner
KR20240060127A (en) 2022-10-28 2024-05-08 (주)빅드림 Dispenser for Cup was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40460A1 (en) 2016-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609B1 (en) Water purifier having cup cleaner
JP2020179385A (en) Subdivision bottle disinfection device
CN108746038A (en) A kind of equipment of medical automatic cleaning, drying and disinfection
CN202285839U (en) Egg product cleaning sterilizer
CN107115078B (en) A kind of cleaning and sterilizing cabinet for dining room
KR101939793B1 (en)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apparatus for baby products
KR20110108509A (en) The ultrasonic humidifier type h2o2 sterilising apparatus for the medical instrument
KR20170119375A (en) Multi-functional automatic bottle cleaning apparatus
KR102659836B1 (en) Apparatus for sterilization and clean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2485200B1 (en) Hand type vacuum cleaner with ionizer
CN107049109A (en) A kind of towel lifter and its application method for being built in bathroom cabinet
KR20180104265A (en) Multi-functional automatic bottle cleaning apparatus
KR20200092043A (en) Apparatus for sterilization
KR101317336B1 (en) Dish washer
KR20160053226A (en) A Sterilizer for clothes
CN211386194U (en) Glass bottle cleaning device
KR101554349B1 (en) A sterilizer for spoon and chopsticks
TWM530118U (en) Toothbrush disinfection device
CN211723046U (en) Waterless dish washer
CN111588873A (en) Disinfection cup warming device
JP2007195846A (en) Disinfecting storage device
KR101317337B1 (en) Dish washer
CN213371825U (en) Lifting type dish washing machine
CN216827603U (en) Cleaning and maintaining device for medical instrument
CN218655851U (en) Food detection utensil cleaning and sterilizing all-in-one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