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4342B1 -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4342B1
KR101544342B1 KR1020150028084A KR20150028084A KR101544342B1 KR 101544342 B1 KR101544342 B1 KR 101544342B1 KR 1020150028084 A KR1020150028084 A KR 1020150028084A KR 20150028084 A KR20150028084 A KR 20150028084A KR 101544342 B1 KR101544342 B1 KR 101544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igital
video signal
digital video
digit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8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균
김일권
송진근
Original Assignee
(주) 넥스트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넥스트칩 filed Critical (주) 넥스트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4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4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2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by changing the field or frame frequency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e.g. frame rate converter
    • H04N7/013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by changing the field or frame frequency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e.g. frame rate converter the incoming video signal comprising different parts having originally different frame rate, e.g. video and graph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08Remultiplexing multiplex streams, e.g. involving modifying time stamps or remapping the packet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07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 H04N21/4263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 H04N21/42638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for processing the incoming bitstream involving specific tuning arrangements, e.g. two tuners involving a hybrid front-end, e.g. analog and digital tu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01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 H04N7/0117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 H04N7/0122Conversion of standards, e.g. involving analogue television standards or digital television standards processed at pixel level involving conversion of the spatial resolution of the incoming video signal the input and the output signals having different aspect rati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5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the recorded brightness signal occupying a frequency band totally overlapping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chrominance signal, e.g. frequency interle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으로 제2 디지털 영상을 생성하고, 복수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함으로써 하나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DIGITAL VIDEO SIGNAL}
기술 분야는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영상 채널들을 다중화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쇄회로 감시 시스템(Closed Circuit Security System)에서 고화질(High Definition; HD)의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는 HD-SDI(Serial Digital Interface) 방법 및 고화질의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HD-SDI 방식은 디지털 영상 신호를 직접 전송하는 방법으로 화질의 손실이 비교적 적으나, 전송 거리에 따른 제약이 있다.
아날로그 방식으로 전송하는 방법은 전송 거리에 있어서 HD-DI 방식에 비해 강점이 있다. 그리고, 아날로그 방식으로 전송하는 방법은 기존의 CVBS 망으로 시스템 구축 환경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전송 설비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아날로그 방식으로 전송하는 방법은 시스템 구축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0111호(공개일 2014년 05년 19일)에는 데이터 전송 방법이 공개되어 있다. 공개 발명의 HD-SDI(High Definition-Serial Data Interface) 카메라로부터 녹화기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 장치는 HD-SDI 카메라에 의해 획득된 데이터를 다채널(multi-channel)로 분배하는 데이터 분배부, 다채널로 분배된 데이터를 각 채널 별로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 및 전송받은 각 채널별 데이터를 합성하여 녹화기에 저장하는 데이터 합성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는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는 복수 개의 채널들의 영상들의 신호를 하나의 영상 신호로 다중화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은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으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함으로써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색차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상기 휘도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색차 신호의 주파수 대역 및 상기 휘도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콤포지트 영상 신호(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 CVBS), 고화질 영상 신호, 풀 고화질 영상 신호 및 초 고화질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에 대응하도록 필터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피킹 필터(peaking filter)를 상기 휘도 신호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휘도 신호를 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킹 필터는 상기 색차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휘도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강화시킬 수 있다.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씨비(Cb) 신호 및 씨알(Cr)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포맷의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밍에 대응하도록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에 SAV(Start active video) 코드 및 EAV(End Active Video) 코드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각각 서브-샘플링(sub-sampling)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샘플링된 휘도 신호 및 상기 서브-샘플링된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샘플링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수평적(horizontal)으로 서브-샘플링할 수 있다.
상기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제3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에 대응하여 상기 제3 디지털 영상 신호의 프레임들 중 일부의 프레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디지털 영상 신호의 프레임들 중 일부의 프레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의 프레임의 데이터를 블랭크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일부의 프레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은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디지털 포맷들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의 각 픽셀을 인터리빙(interleaving)함으로써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서브-샘플링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의 각 픽셀을 인터리빙함으로써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각각 수평적으로 서브-샘플링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샘플링된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의 각 픽셀을 인터리빙함으로써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의 각 프레임들을 인터리빙함으로써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각각 수평적으로 서브-샘플링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샘플링된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의 각 프레임들을 인터리빙함으로써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의 전송 비트 형식은 8 비트, 10비트 및 16 비트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으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형식화부 및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함으로써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다중화부를 포함한다.
상기 색차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상기 휘도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색차 신호의 주파수 대역 및 상기 휘도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분리부는 상기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검출하며, 상기 주파수에 대응하도록 필터를 조정하고, 상기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출력 형식화부는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각각 서브-샘플링(sub-sampling)하며, 상기 서브-샘플링된 휘도 신호 및 상기 서브-샘플링된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은 동일한 디지털 포맷으로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은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디지털 포맷들로 생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는 복수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을 각각 복수의 제1 디지털 영상들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디지털 영상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다중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12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7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8 비트인 경우, 70MHz 이상이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는 복수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을 각각 복수의 제1 디지털 영상들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디지털 영상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다중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12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7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16 비트인 경우, 30MHz 이상이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는 복수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을 각각 복수의 제1 디지털 영상들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디지털 영상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다중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19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10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8 비트인 경우, 100MHz 이상이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는 복수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을 각각 복수의 제1 디지털 영상들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디지털 영상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다중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19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10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16 비트인 경우, 70MHz 이상이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는 복수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을 각각 복수의 제1 디지털 영상들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디지털 영상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다중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38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21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8 비트인 경우, 250MHz 이상이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는 복수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을 각각 복수의 제1 디지털 영상들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디지털 영상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다중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38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21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16 비트인 경우, 100MHz 이상이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는 복수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을 각각 복수의 제1 디지털 영상들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디지털 영상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다중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12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7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10 비트인 경우, 70MHz 이상이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는 복수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을 각각 복수의 제1 디지털 영상들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디지털 영상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다중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19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10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10 비트인 경우, 100MHz 이상이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는 복수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을 각각 복수의 제1 디지털 영상들로 변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복수의 제1 디지털 영상들을 이용하여 하나의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다중화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38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21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10 비트인 경우, 250MHz 이상이다.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생성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복수 개의 채널들의 영상들의 신호를 하나의 영상 신호로 다중화하는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영상 신호가 처리되는 흐름을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응답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피킹 필터의 주파수 응답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을 도시한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도시한다.
도 12는 다른 일 예에 따른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도시한다.
도 13은 다른 일 예에 따른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 예에 따른 서브-샘플링된 신호를 도시한다.
도 15는 또 다른 일 예에 따른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6은 또 다른 일 예에 따른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도시한다.
도 17은 일 예에 따른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8은 일 예에 따른 서브-샘플링 및 픽셀 인터리빙을 이용하여 생성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도시한다.
도 19는 다른 일 예에 따른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0은 다른 일 예에 따른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도시한다.
도 21은 또 다른 일 예에 따른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도시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시스템을 도시한다.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시스템(100)은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영상 전송 장치들(101 내지 103), 수신 장치(110) 및 저장 장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시스템(100)은 폐쇄회로 시스템(closed circuit system)일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아날로그 영상 전송 장치 1(101)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아날로그 영상 전송 장치 1(101)은 생성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아날로그 영상 전송 장치 1(101)은 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수신 장치(11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영상 전송 장치 1(101)은 동축 케이블(coaxial cable)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전송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콤포지트 영상 신호(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 CVBS) 및 표준 화질(Standard Definition; SD)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변환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 일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송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고화질(High Definition; HD) 영상 신호, 풀 고화질(Full HD; FHD) 및 초 고화질(Ultra Definition; UHD)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변환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생성된 디지털 영상 신호가 아날로그 영상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됨으로써 신호 전송에 대한 전송 거리의 제약이 감소될 수 있다.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콤포지트 영상 신호로 전송되는 경우 디지털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별도의 시스템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수신 장치(110)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영상 전송 장치들(101 내지 103)로부터 동시에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110)는 각 아날로그 영상 전송 장치에 대응하는 개별적인 수신부를 이용하여 동시에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 장치(110)는 수신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 또는 복원할 수 있다.
수신 장치(110)는 생성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저장 장치(120)에 저장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수신 장치(110)는 저장 장치(120)의 저장 용량을 고려하여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110)는 복수의 디지털 영상 신호들 하나의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병합 또는 다중화할 수 있다.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는 복수의 디지털 영상 신호들에 비해 그 데이터의 크기가 작을 수 있다.
하기에서 도 2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일 예에 따른 영상 신호가 처리되는 흐름을 도시한다.
전술된 수신 장치(110)는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영상 전송 장치들로부터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110)는 동시에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 장치(110)는 수신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영상 디코더(video decoder) 및 복수의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하나의 디지털 영상 신호로 다중화하는 영상 멀티플렉서(video multiplexer)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장치(110)는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110)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 1 및 2를 다중화함으로써 디지털 영상 신호 1을 생성하고, 아날로그 영상 신호 3 및 4를 다중화함으로써 디지털 영상 신호 2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의 구성도이다.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300)는 통신부(310), 변환부(320), 분리부(330), 출력 형식화부(output formatter)(340), 영상 다중화부(350) 및 저장부(360)를 포함한다.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300)는 전술된 수신 장치(110) 및 저장 장치(120)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장치(110)에 대한 설명은 통신부(310), 변환부(320), 분리부(330), 출력 형식화부(output formatter)(340) 및 영상 다중화부(350)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될 수 있다. 저장 장치(120)에 대한 설명은 저장부(360)에 적용될 수 있다.
통신부(310), 변환부(320), 분리부(330), 출력 형식화부(output formatter)(340), 영상 다중화부(350) 및 저장부(360)에 대해, 하기에서 도 3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앞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계(410)에서, 통신부(310)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CVBS, SD 영상 신호, HD 영상 신호, FHD 영상 신호 및 UHD 영상 신호 중 하나일 수 있다.
통신부(310)는 하나의 채널(channel; CH)을 통해 하나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부(310)는 복수의 채널들을 통해 복수의 아날로그 영상 신호들을 동시에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사양(specification)은 하기의 [표 1]과 같을 수 있다.
영상 형식 수평 샘플 x 수직 라인 프레임 레이트
(Hz)
부반송파 주파수(MHz)
CVBS NTSC-M, J 720x240
960x240
59.94 3.579545
NTSC-4.43 720x240
960x240
59.94 4.43361875
PAL-B,D,G,H,I 720x288
960x288
50 4.43361875
PAL-M 720x240
960-240
59.94 3.57561149
PAL-Nc 720x288
960x288
50 3.58205625
PAL-60 720x240
960x240
60 4.433619
UHD P2160 3840x2160 30 플렉서블
(flexible)
P2160 3840x2160 25 플렉서블
FHD P1080 1920x1080 30 플렉서블
P1080 1920x1080 25 플렉서블
HD P720 1280x720 30/60 플렉서블
P720 1280x720 25/50 플렉서블
[표 1]에서 수평 샘플 x 수직 라인은 해상도(resolution)를 의미한다.
부반송파의 주파수는 색차 신호를 싣는(carry)는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나타낸다. 부반송파는 색 복원 주파수일 수 있다. UHD, FHD 및 HD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는 가변될 수 있다.
단계(420)에서, 변환부(320)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변환부(320)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크기를 양자화함으로써 제1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변환부(320)는 제1 디지털 영상 신호가 8 비트(bit), 10 bit 또는 16 bit로 전송될 수 있도록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변환부(320)는 앤티-에일리어징 필터, 아날로그 디지털 컨버터(Analog to Digital converter; ADC), 프로그램 가능한 이득 증폭기(Programmable Gain Amplifier; PGA) 및 클램프(clamp)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앤티-에일리어징 필터, ADC, PGA 및 클램프 회로의 동작 방법 및 효과에 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추가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단계(430)에서, 분리부(330)는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분리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분리부(330)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방법에 대해, 하기에서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440)에서, 출력 형식화부(340)는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으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디지털 포맷은 ITU-R BT.656, ITU-R BT.1120 및 SMPTE 296M에서 정의된 포맷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디지털 포맷은 시스템(100)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포맷일 수 있다.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하기에서 도 9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450)에서, 영상 다중화부(350)는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함으로써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단계(410)에서 수신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CVBS인 경우, 영상 다중화부(350)는 4개의 CVBS 채널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단계(410)에서 수신한 아날로그 영상 신호가 HD 영상에 대응하는 경우, 영상 다중화부(350)는 2개의 HD 영상의 채널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할 수 있다.
영상 다중화부(350)는 다중화된 하나의 신호의 채널을 8 (bit, 10bit 또는 16 bit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은 모두 동일한 디지털 포맷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다중화부(350)는 4개의 HD 채널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영상 다중화부(350)는 2개의 FHD 채널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은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포맷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포맷들은 SD, HD, FHD 및 UHD 중 적어도 두 개일 수 있다.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데이터 크기는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의 데이터 크기에 비해 더 작을 수 있다.
영상 다중화부(350)는 생성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의 클록(또는 전송 주파수)을 300MHz까지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생성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의 사양은 하기의 [표 2]에서 설명된다.
영상 형식 수평 샘플 x 수직 라인 전송 비트 형식
(bit)
전송 주파수
(MHz)
UHD-X P2160 (1920x2)x2160 8, 10 288
P2160 (1920x2)x2160 16 144
FHD-X P1080 (960x2)x1080 8, 10 144
P1080 (960x2)x1080 16 72
HD-X P720 (640x2)x720 8, 10 72
P720 (640x2)x720 16 36
[표 2]의 전송 주파수는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전송하는 주파수일 수 있다. 또한, 전송 주파수는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주파수로 이해될 수 있다.
[표 2]에 나타난 영상의 형식인, UHD-X, FHD-X 및 HD-X에 대해서는 하기의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표 2]에 나타난 영상의 형식은 아날로그 영상 신호에 대응하여 생성된 복수의 디지털 영상 신호들이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또는 병합)된 신호일 수 있다. 즉,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는 하기에서 설명될 서브-샘플링이 적용된 복수의 디지털 영상 신호들이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HD-X에서 수평 샘플 x 수직 라인이 (640x2)x720인 것은, 2 채널의 HD 영상들의 신호가 수평적으로 각각 서브-샘플링된 후, 병합된 것을 나타낸다.
[표 2]에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4 채널의 영상들의 신호가 수평적으로 각각 서브-샘플된 영상이 (640x4)x720로 생성될 수 있고, 8bit 형식을 이용하여 (72x2)MHz로 전송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가 생성될 때, 이러한 다양한 조합이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12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7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8 비트인 경우, 70MHz 이상일 수 있다. 상기의 예는 HD급 영상에 관한 사양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12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7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10 비트인 경우, 70MHz 이상일 수 있다. 상기의 예는 HD급 영상에 관한 사양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12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7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16 비트인 경우, 30MHz 이상일 수 있다. 상기의 예는 HD급 영상에 관한 사양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19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10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8 비트인 경우, 100MHz 이상일 수 있다. 상기의 예는 FHD급 영상에 관한 사양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19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10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10 비트인 경우, 100MHz 이상일 수 있다. 상기의 예는 FHD급 영상에 관한 사양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19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10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16 비트인 경우, 70MHz 이상일 수 있다. 상기의 예는 FHD급 영상에 관한 사양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38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21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8 비트인 경우, 250MHz 이상일 수 있다. 상기의 예는 UHD급 영상에 관한 사양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38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21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10 비트인 경우, 250MHz 이상일 수 있다. 상기의 예는 UHD급 영상에 관한 사양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38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21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16 비트인 경우, 100MHz 이상일 수 있다. 상기의 예는 UHD급 영상에 관한 사양일 수 있다.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가 생성됨으로써 복수의 채널들의 영상 신호들이 하나의 포트로 출력될 수 있다.
단계(450)가 수행된 후,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출력될 수 있다.
단계(460)에서, 저장부(360)는 생성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저장하는 대신에, 디지털 영상 신호를 저장함으로써 데이터 저장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일 예에 따른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전술된 단계(430)는 하기의 단계들(510 내지 55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510)에서, 분리부(330)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다.
부반송파의 주파수에 대해, 하기에서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520)에서, 분리부(330)는 부반송파의 주파수에 대응하도록 필터를 적응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터는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일 수 있다. 대역 통과 필터에 대해, 하기에서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530)에서, 분리부(330)는 필터를 이용하여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단계(540)에서, 분리부(330)는 피킹 필터(peaking filter)를 분리된 휘도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피킹 필터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강화할 수 있다. 휘도 신호에 피킹 필터가 적용됨으로써 휘도 신호가 강화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피킹 필터는 색차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휘도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강화시킬 수 있다.
피킹 필터에 대해, 하기에서 도 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계(550)에서, 분리부(330)는 분리된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씨비(Cb) 신호 및 씨알(Cr)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부(330)는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Cb 신호 및 Cr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일 예에 따른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를 도시한다.
도 6은 아날로그 영상 신호(600)의 주파수 응답을 도시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아날로그 영상 신호(600)는 휘도 신호(610) 및 색차 신호(612, 614, 616, 또는 618)를 포함한다.
색차 신호(612, 614, 616, 또는 618)의 주파수 대역은 휘도 신호(610)의 주파수 대역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차 신호의 가장 높은 주파수도 제1 주파수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색차 신호(612)는 a 주파수를 갖는 부반송파에 의해 실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색차 신호(612)는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e) 방식을 준수할 수 있다.
제2 색차 신호(614)는 b 주파수를 갖는 부반송파에 의해 실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색차 신호(614)는 PAL(Phase Alternating Line) 방식을 준수할 수 있다.
제3 색차 신호(616)는 c 주파수를 갖는 부반송파에 의해 실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색차 신호(614)는 아날로그 고화질 방식에 의해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제4 색차 신호(618)는 d 주파수를 갖는 부반송파에 의해 실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제4 색차 신호(618)는 아날로그 풀 고화질 방식에 의해 생성된 신호일 수 있다.
분리부(330)는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검출할 수 있다.
분리부(330)는 부반송파의 주파수에 대응하도록 필터를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리부(330)는 색차 신호의 주파수 대역만이 통과할 수 있도록 대역 통과 필터를 조정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아날로그 영상 신호(600)의 휘도 신호(610)의 주파수 대역 및 색차 신호(612, 614, 616, 또는 618)의 주파수 대역은 서로 겹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색차 신호(612, 614, 616, 또는 618)의 주파수 대역은 휘도 신호(610)의 주파수 대역 보다 더 높은 대역일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일 예에 따른 대역 통과 필터의 주파수 응답을 도시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대역 통과 필터는 일반적인(universal) 대역 통과 필터일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일 예에 따른 피킹 필터의 주파수 응답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피킹 필터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이득을 증폭시킬 수 있다. 특정 주파수 대역은 색차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할 수 있다.
피킹 필터의 이득은 조정될 수 있다.
도 8에는 다양한 이득을 가지는 피킹 필터들이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9는 일 예에 따른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된 단계(440)는 하기의 단계들(910 및 92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910)에서, 출력 형식화부(340)는 디지털 포맷의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포맷의 타이밍은 해당 디지털 포맷의 클록 또는 주파수일 수 있다.
단계(920)에서, 출력 형식화부(340)는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에 SAV(Start active video) 코드 및 EAV(End Active Video) 코드를 삽입함으로써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SAV 코드 및 EAV 코드가 삽입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해, 하기에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앞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일 예에 따른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을 도시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디지털 포맷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디지털 포맷은 영상 클록(video clock; VCLK)에 대응하는 데이터의 영역에 관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포맷은 각 데이터의 영역의 샘플들의 개수를 지정할 수 있다.
도 10의 디지털 포맷은 EAV 코드 영역, 블랭크 영역, SAV 코드 영역 및 액티브 구간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EAV 코드 영역 및 SAV 코드 영역은 각각 4개의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다. EAV 코드의 샘플들은 FF, 00, 00 및 XY일 수 있다. SAV 코드의 샘플들은 EAV 코드의 샘플들과 동일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들의 개수를 맞추기 위해 블랭크(blank) 영역의 샘플들의 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액티브 구간은 휘도 신호의 샘플 및 색차 신호의 샘플이 교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색차 신호의 샘플은 Cb 신호의 샘플 및 Cr 신호의 샘플이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Cb 신호의 샘플, 휘도 신호의 샘플, Cr 신호의 샘플 및 휘도 신호의 샘플의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일 예에 따른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도시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은 프레임 레이트(frame rate)가 25/50Hz일 수 있다. 영상의 해상도는 1280x720일 수 있다.
상기의 일 예에 따르면, 해상도가 1280x720인 경우, 액티브 구간의 샘플들은 휘도 신호의 샘플들 1280개 및 색차 신호의 샘플들 1280개로 총 2560개 일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가 30/60Hz인 경우, 하나의 수평라인의 총 샘플들의 개수는 3300개일 수 있다. 3300개를 만족시키기 위해, 블랭크 영역의 샘플의 개수는 732개로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732개의 샘플들이 블랭크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은 프레임 레이트가 50/60Hz일 수 있다. 영상의 해상도는 1280x720일 수 있다.
상기의 일 예에 따르면, 해상도가 1280x720인 경우, 액티브 구간의 샘플들은 휘도 신호의 샘플들 1280개 및 색차 신호의 샘플들 1280개로 총 2560개 일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가 50/60Hz인 경우, 하나의 수평라인의 총 샘플들의 개수는 3960개일 수 있다. 3960개를 만족시키기 위해, 블랭크 영역의 샘플의 개수는 1392개로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1392개의 샘플들이 블랭크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생성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는 4:2:2의 비율일 수 있다. 즉, 4개의 휘도 신호의 샘플들은 2개의 Cb 신호의 샘플들 및 2 개의 Cr 신호의 샘플들에 대응할 수 있다.
해상도가 1280x720인 경우, 생성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는 HD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는 다른 일 예에 따른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도시한다.
일 측면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은 프레임 레이트가 25Hz일 수 있다. 영상의 해상도는 1920x1080일 수 있다.
상기의 일 예에 따르면, 해상도가 1920x1080인 경우, 액티브 구간의 샘플들은 휘도 신호의 샘플들 1920개 및 색차 신호의 샘플들 1920개로 총 3840개 일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가 25Hz인 경우, 하나의 수평라인의 총 샘플들의 개수는 4400개일 수 있다. 4400개를 만족시키기 위해, 블랭크 영역의 샘플의 개수는 552개로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552개의 샘플들이 블랭크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은 프레임 레이트가 30Hz일 수 있다. 영상의 해상도는 1920x1080일 수 있다.
상기의 일 예에 따르면, 해상도가 1920x1080인 경우, 액티브 구간의 샘플들은 휘도 신호의 샘플들 1920개 및 색차 신호의 샘플들 1920개로 총 3840개 일 수 있다.
프레임 레이트가 30Hz인 경우, 하나의 수평라인의 총 샘플들의 개수는 5280개일 수 있다. 5280개를 만족시키기 위해, 블랭크 영역의 샘플의 개수는 1432개로 결정될 수 있다.
결정된 1432개의 샘플들이 블랭크 영역에 삽입될 수 있다.
생성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는 4:2:2의 비율일 수 있다. 즉, 4개의 휘도 신호의 샘플들은 2개의 Cb 신호의 샘플들 및 2 개의 Cr 신호의 샘플들에 대응할 수 있다.
해상도가 1920x1080인 경우, 생성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는 FHD 영상 신호일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다른 일 예에 따른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된 단계(440)는 하기의 단계들(1310 및 132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310)에서, 출력 형식화부(340)는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를 서브-샘플링(sub-sampling)할 수 있다.
서브-샘플링의 인자(factor)는 조정될 수 있다. 서브-샘플링의 인자는 2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서브-샘플링의 인자가 2인 경우, 수평적으로 두 개의 샘플들 중 하나의 샘플이 선택될 수 있다. 서브-샘플링의 인자가 3인 경우, 수평적으로 세 개의 샘플들 중 하나의 샘플이 선택될 수 있다.
출력 형식화부(340)는 서브-샘플링의 인자를 제2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해상도, 저장부(360)의 저장 용량, 수신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채널의 개수 및 영상 다중화부(350)의 처리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서브-샘플링에 대해, 하기에서 도 1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단계(1320)에서, 출력 형식화부(340)는 서브-샘플링된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4는 일 예에 따른 서브-샘플링된 신호를 도시한다.
출력 형식화부(340)는 휘도 신호의 샘플들(1410)을 서브-샘플링함으로써 서브-샘플링된 휘도 신호의 샘플들(1420)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 형식화부(340)는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를 수평적(horizontal)으로 서브-샘플링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출력 형식화부(340)는 연속된 두 개의 샘플들 중 하나의 샘플을 선택함으로써 휘도 신호의 샘플들(1410)을 서브-샘플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샘플링 전의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해상도가 1280x720(HD)인 경우, 서브-샘플링 후의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해상도는 640x720(서브 샘플링의 인자 는 2임)일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출력 형식화부(340)는 연속된 샘플들 중 미리 설정된 개수만을 선택함으로써 휘도 신호의 샘플들(1410)을 서브-샘플링할 수 있다.
서브-샘플링의 인자가 2인 경우, HD 영상이 서브-샘플링된 후의 영상은 HD-X 영상으로 명명될 수 있다.
서브-샘플링의 인자가 4인 경우, HD 영상이 서브-샘플링된 후의 영상은 HD-X2 영상으로 명명될 수 있다.
서브-샘플링의 인자가 2인 경우, FHD 영상이 서브-샘플링된 후의 영상은 FHD-X 영상으로 명명될 수 있다.
서브-샘플링의 인자가 2인 경우, UHD 영상이 서브-샘플링된 후의 영상은 UHD-X 영상으로 명명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는 또 다른 일 예에 따른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된 단계(440)는 하기의 단계들(1510 및 152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510)에서, 출력 형식화부(340)는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제3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성되는 제3 디지털 영상 신호는 전술된 도 9 내지 도 14를 통해 설명되었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단계들(1510 및 1520)은 전술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추가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일 수 있다.
단계(1520)에서, 출력 형식화부(340)는 제3 디지털 영상 신호의 프레임들 중 일부의 프레임을 제거함으로써 제4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4 디지털 영상 신호가 단계(440) 내에서 생성되는 경우 제4 디지털 영상 신호는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로 명명될 수 있다.
제4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하기에서 도 1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앞서 도 1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은 또 다른 일 예에 따른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도시한다.
출력 형식화부(340)는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제3 디지털 영상 신호(1610)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디지털 영상 신호(1610)는 복수의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유효한 프레임에는 특정한 값이 할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값은 데이터의 비트로 표현될 수 있다. 유효한 프레임에는 특정한 값이 하이(HIGH)로 설정될 수 있다. 유효하지 않은 프레임에는 특정한 값이 로우(LOW)로 설정될 수 있다.
제3 디지털 영상 신호(1610)의 복수의 프레임들은 모두 유효한 프레임들일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프레임들에 설정된 특정한 값이 모두 HIGH일 수 있다.
출력 형식화부(340)는 제3 디지털 영상 신호(1610)의 프레임들 중 일부의 프레임을 제거함으로써 제4 디지털 영상 신호(1620)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출력 형식화부(340)는 제3 디지털 영상 신호(1610)의 프레임들 중 일부의 프레임의 데이터를 블랭크로 변환함으로써 일부의 프레임을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블랭크는 데이터가 없는 것 또는 모든 비트의 값이 0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출력 형식화부(340)는 유효한 프레임의 데이터의 시작 및 마지막에 특정 코드를 삽입함으로써 유효한 프레임들만을 선택할 수 있다.
도 16에 따르면, 제3 디지털 영상 신호(1610)의 프레임들 중 프레임 2 및 4가 제거됨으로써 제4 디지털 영상 신호(1620)가 생성되었다.
앞서 도 1 내지 도 15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7은 일 예에 따른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된 단계(450)는 하기의 단계들(1710 및 172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710)에서, 영상 다중화부(350)는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각각 수평적으로 서브-샘플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지털 영상 신호가 전술된 단계(440)에서 서브-샘플링되지 않은 경우 다중화부(350)는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각각 수평적으로 서브-샘플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지털 영상 신호가 HD 영상 신호 또는 FHD 영상 신호인 경우, HD 영상 신호 또는 FHD 영상 신호는 -HD-X 영상 신호 및 FHD-X 영상 신호로 서브-샘플링될 수 있다.
단계(450) 내에서, 단계(1710)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1720)에서, 영상 다중화부(350)는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의 각 픽셀을 인터리빙함으로써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픽셀을 인터리빙하는 방법에 대해, 하기에서 도 1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앞서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은 일 예에 따른 서브-샘플링 및 픽셀 인터리빙을 이용하여 생성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도시한다.
영상 다중화부(350)는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1810 및 1820)을 각각 수평적으로 서브-샘플링할 수 있다.
서브-샘플링의 인자는 조정될 수 있다. 서브-샘플링의 인자는 2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서브-샘플링의 인자가 2인 경우, 수평적으로 두 개의 샘플들 중 하나의 샘플이 선택될 수 있다. 서브-샘플링의 인자가 3인 경우, 수평적으로 세 개의 샘플들 중 하나의 샘플이 선택될 수 있다.
영상 다중화부(350)는 서브-샘플링의 인자를 제2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해상도, 저장부(360)의 저장 용량, 수신되는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채널의 개수 및 영상 다중화부(350)의 처리 능력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르면, 서브-샘플링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1812 및 1822)은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1810 및 1820)에 비해 수평적으로 해상도가 1/2(서브-샘플링의 인자는 2)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1810 및 1820)의 해상도가 1920x1080인 경우, 서브-샘플링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1812 및 1822)은 해상도가 960x1080일 수 있다.
서브-샘플링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1812 및 1822)의 클록은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1810 및 1820)의 클록과 동일할 수 있다. 서브-샘플링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1812 및 1822)의 클록은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1810 및 1820)의 클록과 동일하지만 수평적으로 해상도가 1/2이므로 서브-샘플링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1812 및 1822)의 데이터 용량은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1810 및 1820)의 데이터 용량이 1/2일 수 있다. 상기의 계산법은 액티브 구간만을 기준으로 계산한 것이므로, 액티브 구간 이외의 영역들을 포함하는 경우 달라질 수 있다.
영상 다중화부(350)는 서브-샘플링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1812 및 1822)의 각 픽셀을 인터리빙할 수 있다.
영상 다중화부(350)는 픽셀들을 인터리빙함으로써 적어도 두 개의 서브-샘플링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1812 및 1822)을 하나의 신호로 병합 또는 다중화할 수 있다.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1830)의 클록은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1810 및 1820)의 클록과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중화된 채널들의 개수가 n개이고, 서브-샘플링의 인자가 n인 경우, 생성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데이터의 크기는 하나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의 데이터의 크기와 동일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19는 다른 일 예에 따른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전술된 단계(450)는 하기의 단계들(1910 및 192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1910)는 전술된 단계(1710)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단계(1910)에 대한 설명은 단계(1710)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될 수 있다.
단계(450) 내에서, 단계(1910)는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단계(1920)에서, 영상 다중화부(350)는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의 프레임들을 인터리빙함으로써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은 서브-샘플링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은 일부의 프레임이 제거된 신호일 수 있다.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해, 하기에서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앞서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은 다른 일 예에 따른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도시한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전술된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은 픽셀을 인터리빙함으로써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도 20에 도시된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는 프레임 단위로 두 개의 제2 영상 신호들이 다중화된 결과이다.
출력 수직 블랭크의 하이(high) 값이 발생할 때마다 다른 제2 영상 신호의 프레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제2 영상 신호들이 다중화되는 경우 출력 수직 블랭크를 기준으로 교대로 다른 채널의 프레임이 디지털 영상 신호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출력 수직 블랭크의 제1 구간 내에는 제1 채널의 첫 번째 프레임(2000)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채널의 첫 번째 프레임(2000)은 복수의 수평 라인들(2001 내지 2004)로 구성된다.
출력 수직 블랭크의 제2 구간 내에는 제2 채널의 첫 번째 프레임(2010)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채널의 첫 번째 프레임(2010)은 복수의 수평 라인들(2011 내지 2014)로 구성된다.
앞서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21은 또 다른 일 예에 따른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도시한다.
영상 다중화부(350)는 적어도 두 개의 서브-샘플링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이용하여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1의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프레임은 동시에 두 개의 채널들의 프레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서브-샘플링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의 샘플들이 수평 라인 별로 병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병합 라인(2101)은 제1 채널의 첫 번째 수평 라인 및 제2 채널의 두 번째 수평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병합 라인들(2101 내지 2014)이 제1 출력 수직 블랭크 구간 내에 위치함으로써 디지털 영상 신호의 첫 번째 프레임(2100)을 구성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병합 라인들(2111 내지 2114)이 제2 출력 수직 블랭크 구간 내에 위치함으로써 디지털 영상 신호의 두 번째 프레임(2110)을 구성할 수 있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픽셀을 인터리빙하는 방법이 설명되었고,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프레임을 인터리빙하는 방법이 각각 설명되었으나, 영상 다중화부(350)는 상기의 두 가지 방법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픽셀 인터리빙 방법을 이용하여 다중화하고, 다른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프레임 인터리빙 방법을 이용하여 다중화한 뒤, 상기의 두 개의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시 병합할 수 있다.
앞서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설명된 기술적 내용들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300: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
310: 통신부
320: 변환부
330: 분리부
340: 출력 형식화부
350: 영상 다중화부
360: 저장부

Claims (36)

  1.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으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함으로써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각각 수평적으로 서브-샘플링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샘플링된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의 각 픽셀을 인터리빙함으로써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상기 휘도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 신호의 주파수 대역 및 상기 휘도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서로 겹치지 않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는 콤포지트 영상 신호(Composite Video Baseband Signal; CVBS), 고화질 영상 신호, 풀 고화질 영상 신호 및 초 고화질 영상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에 대응하도록 필터를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6.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으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함으로써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에 대응하도록 필터를 조정하는 단계;
    상기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및
    피킹 필터(peaking filter)를 상기 휘도 신호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휘도 신호를 강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피킹 필터는 상기 색차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하는 상기 휘도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강화시키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하는 단계는,
    상기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씨비(Cb) 신호 및 씨알(Cr)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9.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으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함으로써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디지털 포맷의 타이밍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이밍에 대응하도록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에 SAV(Start active video) 코드 및 EAV(End Active Video) 코드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10.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으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함으로써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각각 서브-샘플링(sub-sampling)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샘플링된 휘도 신호 및 상기 서브-샘플링된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샘플링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수평적(horizontal)으로 서브-샘플링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12.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으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함으로써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제3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에 대응하여 상기 제3 디지털 영상 신호의 프레임들 중 일부의 프레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디지털 영상 신호의 프레임들 중 일부의 프레임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일부의 프레임의 데이터를 블랭크로 변환함으로써 상기 일부의 프레임을 제거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은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디지털 포맷들로 생성된,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15.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으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함으로써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의 각 픽셀을 인터리빙(interleaving)함으로써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16.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으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함으로써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서브-샘플링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의 각 픽셀을 인터리빙함으로써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17. 삭제
  18.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으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함으로써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의 각 프레임들을 인터리빙함으로써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19.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단계;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으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함으로써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각각 수평적으로 서브-샘플링하는 단계; 및
    상기 서브-샘플링된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의 각 프레임들을 인터리빙함으로써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의 전송 비트 형식은 8 비트, 10비트 및 16 비트 중 어느 하나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21.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상기 아날로그 영상 신호의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휘도 신호 및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분리부;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미리 설정된 디지털 포맷으로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 형식화부; 및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하나의 신호로 다중화함으로써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영상 다중화부
    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 다중화부는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각각 수평적으로 서브-샘플링하고, 상기 서브-샘플링된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의 각 픽셀을 인터리빙함으로써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상기 휘도 신호의 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색차 신호의 주파수 대역 및 상기 휘도 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서로 겹치지 않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부는 상기 부반송파의 주파수를 검출하며, 상기 주파수에 대응하도록 필터를 조정하고, 상기 필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로 분리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형식화부는 상기 휘도 신호 및 상기 색차 신호를 각각 서브-샘플링(sub-sampling)하며, 상기 서브-샘플링된 휘도 신호 및 상기 서브-샘플링된 색차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하는,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은 동일한 디지털 포맷으로 생성된,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
  27.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제2 디지털 영상 신호들은 적어도 두 개의 상이한 디지털 포맷들로 생성된,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
  28.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12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7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8 비트인 경우, 70MHz 이상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
  29.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12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7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16 비트인 경우, 30MHz 이상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
  30.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19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10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8 비트인 경우, 100MHz 이상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
  31.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19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10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16 비트인 경우, 70MHz 이상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
  3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38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21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8 비트인 경우, 250MHz 이상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
  3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38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21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16 비트인 경우, 100MHz 이상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
  3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12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7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10 비트인 경우, 70MHz 이상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
  3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19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10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10 비트인 경우, 100MHz 이상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
  3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출력 주파수는 상기 다중화된 디지털 영상 신호의 하나의 수평 라인의 샘플 개수가 3800개 이상이고, 수직 라인의 개수가 2100개 이상이고, 전송 비트의 형식이 10 비트인 경우, 250MHz 이상인,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장치.

KR1020150028084A 2015-02-16 2015-02-27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KR1015443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23606 2015-02-16
KR1020150023606 2015-02-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4342B1 true KR101544342B1 (ko) 2015-08-12

Family

ID=54061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8084A KR101544342B1 (ko) 2015-02-16 2015-02-27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43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774B1 (ko) * 2016-01-06 2017-03-14 (주)넥스트칩 영상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및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964B1 (ko) 1999-06-18 2001-11-03 오희범 다중카메라 영상 합성시스템 및 영상 합성 방법
KR100452524B1 (ko) 2003-10-14 2004-10-12 (주)피카소정보통신 화면 분할 스위칭 방식을 지원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및 디지털 비디오 레코딩 방법
KR100538182B1 (ko) * 2003-03-03 2005-12-22 (주) 넥스트칩 다채널 비디오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KR101440260B1 (ko) * 2014-03-31 2014-09-17 (주) 넥스트칩 영상 신호 전송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2964B1 (ko) 1999-06-18 2001-11-03 오희범 다중카메라 영상 합성시스템 및 영상 합성 방법
KR100538182B1 (ko) * 2003-03-03 2005-12-22 (주) 넥스트칩 다채널 비디오 디코더 및 디코딩 방법
KR100452524B1 (ko) 2003-10-14 2004-10-12 (주)피카소정보통신 화면 분할 스위칭 방식을 지원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및 디지털 비디오 레코딩 방법
KR101440260B1 (ko) * 2014-03-31 2014-09-17 (주) 넥스트칩 영상 신호 전송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5774B1 (ko) * 2016-01-06 2017-03-14 (주)넥스트칩 영상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및 영상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61255B2 (en) Television functionality on a chip
CN1306796C (zh) 解码器装置和利用它的接收机
US8238332B2 (en) Signal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s, systems, and method for multiplexing parallel data in a horizontal auxiliary data space
US9456232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ignal transmission system
JP2013021408A (ja) 信号送信装置、信号送信方法、信号受信装置、信号受信方法及び信号伝送システム
US9071375B2 (en)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signal transmitting method, signal receiving apparatus, signal receiving method, and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8878989B2 (en) Divided image circuit,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divided image
US20120300124A1 (e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signal transmission method, signal reception apparatus, signal reception method, and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8982959B2 (e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signal transmission method, signal reception apparatus, signal reception method, and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9479789B2 (en) Signal processing apparatus, signal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signal transmission system
US20110205428A1 (en) Transmission apparatus, transmission method, reception apparatus, reception method and signal transmission system
KR20110096484A (ko) 신호 전송 장치, 신호 전송 방법, 신호 수신 장치, 신호 수신 방법 및 신호 전송 시스템
CN105379300A (zh) 信号处理设备、信号处理方法、程序和信号传输系统
KR101440260B1 (ko) 영상 신호 전송 및 수신 방법 및 장치
US20180376181A1 (en) Networked video communication applicable to gigabit ethernet
US5235421A (en) Encoding device in a super high definition televis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552070B1 (ko) 영상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KR101427552B1 (ko) 영상 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3945159A (zh) 一种视频信号传输方法
Hur et al. An HDTV‐Compatible 3DTV Broadcasting System
KR101544342B1 (ko) 디지털 영상 신호 생성 방법 및 장치
JP5012493B2 (ja) 映像出力装置、映像出力方法及び映像出力プログラム、映像処理システム、並びに映像処理装置、映像処理方法及び映像処理プログラム
JP3223915B2 (ja) 映像切替合成装置
JP2012253689A (ja) 信号送信装置、信号送信方法、信号受信装置、信号受信方法及び信号伝送システム
US7477168B2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