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667B1 - 광학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광학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667B1
KR101543667B1 KR1020130092808A KR20130092808A KR101543667B1 KR 101543667 B1 KR101543667 B1 KR 101543667B1 KR 1020130092808 A KR1020130092808 A KR 1020130092808A KR 20130092808 A KR20130092808 A KR 20130092808A KR 101543667 B1 KR101543667 B1 KR 101543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azole
methyl
triazol
copper
amin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6847A (ko
Inventor
이기인
벤카타 수바이아 사두
피차이아 아리갈라
황인택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092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667B1/ko
Publication of KR20150016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6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4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24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hre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49/08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 C07D249/101,2,4-Triazoles; Hydrogenated 1,2,4-triazole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2Coppe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57/00Separation of optically-active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알파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되고, 아릴기가 이중치환된 4차 탄소를 갖는 광학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는 아자이드 화합물과 아세틸렌 화합물을 구리계 촉매하에 고리화 첨가반응을 통하여 높은 수득률로 손쉽게 제조될 수 있고, 비대칭합성에서 비대칭 촉매 또는 비대칭 촉매의 리간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Optically 2-amino triazole derivative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광학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효과적인 질병치료를 위해 복잡한 인체 내의 생물학적 기능들을 이해하고, 질병에 관련된 특이적 바이오마커를 탐색하여 이를 선택적으로 표지하는 물질을 개발함으로써 질병의 초기단계에서 진단 및 치료가 가능하도록 발전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 다양한 기능을 할 수 있는 분자들의 조합의 형태인 화합물의 설계 및 합성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한 분자 내에 여러 기능을 할 수 있는 다기능성 화합물을 이용하여 보다 진보적인 질병 치료제 및 진단의약품 연구에 이바지 할 수 있다.
상기 목적에 이용할 수 있는 화합물을 기능별로 분류하면, 1) 특정 단백질과 강한 결합력 및 선택성을 갖는 질병-표적 화합물 2) 독성이 없으며 인체내 면역반응이나 효소에 의한 분해가 일어나지 않도록 안정성을 주는 화합물 3) 광학/형광색소, 방사성 동위원소, 양자점 및 자성 화합물과 같이 분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리포터 화합물 4) 극성을 조절하여 인체 내 흡수, 분포, 대사,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화합물 5) 질병이 발생한 곳으로 약물을 효과적으로 싣고 갈 수 있는 운반체 화합물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열거된 화합물을 연구 분야의 목적에 맞게 설계 및 제조할 수 있는 연결고리화합물의 개발 및 응용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2001년 K. Barry Sharpless에 의해 처음으로 소개된 클릭화학(click chemistry)은 복잡하고 긴 시간에 걸쳐 복잡한 경합을 형성하는 대신에 “똑딱”하는 사이 내지는 컴퓨터 마우스를 “클릭”하는 것처럼 2가지 성분을 효율적으로 연결시키는 반응으로서, 물질의 작은 분자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동시에 예측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유기합성에 대한 모듈적 접근이다. 특히, 다양한 작용기와 반응조건에 대한 높은 내성, 높은 수득률, 넓은 적용범위, 입체성 및 높은 원자 경제를 갖는 반응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금속 촉매에 의한 대표적인 클릭 반응 중 아자이드-알카인 사이클로첨가반응이 Mendal 및 Sharpless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견된 후, 이는 다양한 합성으로 트리아졸 화학의 발전을 이끌었다. 1,2,3-트리아졸의 뛰어난 안정성 및 용이한 접근성은 의약 화학, 화학, 생물학, 재료 과학 분야에 있어서, 상기 헤테로사이클 화합물의 다양하고 독특한 적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최근 키랄 트리아졸은 아미노산이 변형된 트리아졸, 글루코오즈 유도체와 같이 유용한 생물학적 동배체(isostere) 및 다이아민 리간드로 활용되고 있다. 한편,피롤리딘 유도체를 기반으로 시작된 비대칭 유기촉매는 다양한 비대칭 합성에 성공적으로 이용되었고, 이러한 유기촉매는 전통적인 전이금속-촉매, 생물학적 효소와 함께 비대칭 촉매의 한 분야가 되었다.(비특허문헌 1-3). 또한, 피롤리딘-피리딘(비특허문헌 4), 피롤리딘-이미다졸(비특허문헌 5) 및 피롤리딘-트리아졸 복합체(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6-10)와 같은 피롤리딘 유도체들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마이클 첨가 반응 및 알돌 반응에 유용한 비대칭 촉매로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기 화합물은 이러한 피롤리딘 유도체들의 예이다.
Figure 112013070939871-pat00001
이중치환된 다이아릴기를 포함하는 4차 탄소는 특히, 비대칭 합성에 중요한 구조적인 모티브로 인식된다. 특히, 1,1-다이아릴-2-아미노에탄올은 비대칭 촉매반응에서 독점적인 구조로서 굉장히 중요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천연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입체장애를 갖는 키랄 다이아민 및 2-아미노 트리아졸(β-아미노트리아졸)의 합성에 있어서 눈에 띌만한 보고는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비대칭합성에서 비대칭 촉매 또는 비대칭 촉매의 리간드로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알파-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된 아릴기가 이중치환된 4차 탄소 중심을 갖는 광학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공개특허 2011-0033309
B. List, R. A. Lerner, C. F. Barbas III, J. Am. Chem. Soc. 2000, 122, 2395 K. A. Ahrendt, C. J. Borths, D. W. C. MacMillan, J. Am. Chem. Soc. 2000, 122, 4243 K. R. Knudsen, C. E. T. Mitchell, S. V. Ley, Chem. Commun., 2006, 66 T. Ishii, S. Fujioka, Y. Sekiguchi, H. Kotsuki, J. Am. Chem. Soc. 126, 9558 S. Luo, X. Mi, L. Zhang, S. Liu, H. Xu, J.-P. Cheng, Angew. Chem. Int. Ed. 45, 3093 (2006) S. Luo, H. Xu, X. Mi, J. Li, X. Zheng, J.-P. Cheng, J. Org. Chem. 71, 9244 (2006) Z.Y. Yan, Y.-N. Niu, H.-L. Wei, L.-Y. Wu, Y.-. Zhao, Y. M. Liang, Tetraheron: Asymmetry 2006, 17, 3288 S. Chandrasekhar, B. Tiwari, B. B. Parida, C. R. Reddy, Tetraheron: Asymmetry 2008, 19, 495 T. Karthikeyan, S. Sankararaman, Tetraheron: Asymmetry 2008, 19, 2741 S. Chandrasekhar, T. P. Kumar, K. Haribabu, C. R. Reddy, Tetraheron: Asymmetry 2010, 21, 2372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광학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학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3070939871-pat00002
(상기 반응식 1에서,
R1은 아미노(-NH2)이고;
R2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킬, C6 - 14아릴 또는 C6 - 14아릴C1 - 6알킬이고;
R3는 비치환 또는 하이드록시(-OH)기가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킬;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킬옥시카보닐; 비치환 또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킬 또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콕시로 1 이상 치환된 C6 - 14아릴; 또는 질소(N), 산소(O) 및 황(S)으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의 헤테로아릴이고;
또는, 상기 R1 R2는 이들이 결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질소(N), 산소(O) 및 황(S)으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자이드 화합물을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세틸렌 화합물과 용매, 구리계 촉매 및 환원제 존재 하에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3070939871-pat00003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및 R3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알파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되고 아릴기가 이중치환된 4차 탄소를 갖는 광학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는 아자이드 화합물과 아세틸렌 화합물을 구리계 촉매하에 고리화 첨가반응을 통하여 높은 수득률로 손쉽게 제조될 수 있고, 비대칭합성에서 비대칭 촉매 또는 비대칭 촉매의 리간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를 제공한다.
Figure 112013070939871-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아미노(-NH2)이고;
R2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킬, C6 - 14아릴 또는 C6 - 14아릴C1 - 6알킬이고;
R3는 비치환 또는 하이드록시(-OH)기가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킬;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킬옥시카보닐; 비치환 또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킬 또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콕시로 1 이상 치환된 C6 - 14아릴; 또는 질소(N), 산소(O) 및 황(S)으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의 헤테로아릴이고;
또는, 상기 R1 R2는 이들이 결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질소(N), 산소(O) 및 황(S)으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아미노(-NH2)이고;
R2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 - 4알킬, C6 - 10아릴 또는 C6 - 10아릴C1 - 4알킬이고;
R3는 비치환 또는 하이드록시(-OH)기가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 4알킬; 직쇄 또는 측쇄의 C1 - 4알킬옥시카보닐; 비치환 또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 - 4알킬 또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 - 4알콕시로 1 이상 치환된 C6 - 10아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질소(N) 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의 헤테로아릴이고;
또는, 상기 R1 R2는 이들이 결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질소(N) 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아미노(-NH2)이고;
R2는 메틸, 아이소프로필, 페닐 또는 벤질이고;
R3는 t-부틸, 하이드록시에틸, 에틸옥시카보닐, 페닐, 2,5-다이메틸페닐, 5-메톡시나프틸 또는 피리딜이고;
또는, 상기 R1 R2는 이들이 결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피롤리딘이다.
또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를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1) (S)-1,1-다이페닐-1-(4-페닐-1H-1,2,3-트리아졸-1-일)프로판-2-아민;
(2) (S)-에틸-1-(2-아미노-1,1-다이페닐프로필)-1H-1,2,3-트리아졸-4-카복실레이트;
(3) (S)-2-(1-(2-아미노-1,1-다이페닐프로필)-1H-1,2,3-트리아졸-4-일)에탄올;
(4) (S)-1,1-다이페닐-1-(4-(피리딘-2-일)-1H-1,2,3-트리아졸-1-일)프로판-2-아민;
(5) (S)-3-메틸-1,1-다이페닐-1-(4-페닐-1H-1,2,3-트리아졸-1-일)부탄-2-아민;
(6) (S)-에틸-1-(2-아미노-3-메틸-1,1-다이페닐부틸)-1H-1,2,3-트리아졸-4-카복실레이트;
(7) (S)-2-(1-(2-아미노-3-메틸-1,1-다이페닐부틸)-1H-1,2,3-트리아졸-4-일)에탄올;
(8) (S)-3-메틸-1,1-다이페닐-1-(4-(피리딘-2-일)-1H-1,2,3-트리아졸-1-일)부탄-2-아민;
(9) (S)-1,2,2-트라이페닐-2-(4-페닐-1H-1,2,3-트리아졸-1-일)에탄아민;
(10) (S)-에틸-1-(2-아미노-1,1,2-트라이페닐에틸)-1H-1,2,3-트리아졸-4-카복실레이트;
(11) (S)-2-(1-(2-아미노-1,1,2-트라이페닐에틸)-1H-1,2,3-트리아졸-4-일)에탄올;
(12) (S)-1,2,2-트라이페닐-2-(4-(피리딘-2-일)-1H-1,2,3-트리아졸-1-일)에탄아민;
(13) (S)-1,1,3-트라이페닐-1-(4-페닐-1H-1,2,3-트리아졸-1-일)프로판-2-아민;
(14) (S)-에틸 1-(2-아미노-1,1,3-트라이페닐프로필)-1H-1,2,3-트리아졸-4-카복실레이트;
(15) (S)-2-(1-(2-아미노-1,1,3-트라이페닐프로필)-1H-1,2,3-트리아졸-4-일)에탄올;
(16) (S)-1,1,3-트라이페닐-1-(4-(피리딘-2-일)-1H-1,2,3-트리아졸-1-일)프로판-2-아민;
(17) (S)-1-(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4-페닐-1H-1,2,3-트리아졸;
(18) (S)-에틸-1-(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1H-1,2,3-트리아졸-4-카복실레이트;
(19) (S)-2-(1-(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1H-1,2,3-트리아졸-4-일)에탄올;
(20) (S)-2-(1-(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1H-1,2,3-트리아졸-4-일)피리딘;
(21) (S)-1-(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4-(6-메톡시나프탈렌-2-일)-1H-1,2,3-트리아졸;
(22) (S)-4-(2,5-다이메틸페닐)-1-(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1H-1,2,3-트리아졸; 및
(23) (S)-4-(tert-부틸)-1-(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1H-1,2,3-트리아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의 바람직한 구조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구조식 실시예 구조식
1
Figure 112013070939871-pat00005
2
Figure 112013070939871-pat00006
3
Figure 112013070939871-pat00007
4
Figure 112013070939871-pat00008
5
Figure 112013070939871-pat00009
6
Figure 112013070939871-pat00010
7
Figure 112013070939871-pat00011
8
Figure 112013070939871-pat00012
9
Figure 112013070939871-pat00013
10
Figure 112013070939871-pat00014
11
Figure 112013070939871-pat00015
12
Figure 112013070939871-pat00016
13
Figure 112013070939871-pat00017
14
Figure 112013070939871-pat00018
15
Figure 112013070939871-pat00019
16
Figure 112013070939871-pat00020
17
Figure 112013070939871-pat00021
18
Figure 112013070939871-pat00022
19
Figure 112013070939871-pat00023
20
Figure 112013070939871-pat00024
21
Figure 112013070939871-pat00025
22
Figure 112013070939871-pat00026
23
Figure 112013070939871-pat00027
- -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는 알파 아미노산으로부터 유도되고, 아릴기가 이중치환된 4차 탄소를 갖고 있어 비대칭합성에서 비대칭 촉매 또는 비대칭 촉매의 리간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자이드 화합물을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세틸렌 화합물과 용매 및 구리계 촉매 존재 하에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3070939871-pat00028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및 R3는 상기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자이드 화합물을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세틸렌 화합물과 용매 및 구리계 촉매 존재 하에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용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물, 아세토나이트릴, 테트라히드로퓨란, 1,4-디옥산,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벤젠, 톨루엔, 아세토나이트릴, 다이메틸포름아미드,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t-부탄올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아세토나이트릴 및 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리계 촉매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요오드화구리(CuI), 브롬화구리(CuBr) 및 염화구리(CuCl) 등의 산화수 1가의 구리화합물, 또는 황산구리(CuSO4), 초산구리(Cu(OAc)2), 질산구리(Cu(NO3)2, 트리플루오르메타설포네이트화구리(Cu(OTf)2) 등의 산화수 2가의 구리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산화수 2가의 구리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황산구리(CuSO4)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구리계 촉매의 사용량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자이드 화합물에 대하여 몰비로 0.01 내지 0.2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 내지 0.1로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리계 촉매로서 산화수 1가의 구리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구리계 촉매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세틸렌 화합물과 활발히 중간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돕기 위하여, 중탄산 이온, 탄산 이온의 알칼리 금속염,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피리딘, 루티딘, 콜리딘 등의 염기를 추가적으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구리계 촉매로서 산화수 2가의 구리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구리계 촉매가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세틸렌 화합물과 활발히 중간체를 형성하는 과정을 돕기 위하여, 소듐-아스코베이트, 황화나트륨,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DTT) 등의 환원제를 추가적으로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S)-1,1- 다이페닐 -1-(4- 페닐 -1H-1,2,3- 트리아졸 -1-일)프로판-2-아민
Figure 112013070939871-pat00029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S)-1-아자이도-1,1-다이페닐프로판-2-아민(1 mmol), 에티닐벤젠(1.2 mmol), 황산구리 수화물(CuSO4ㆍ5H2O, 10 mol%) 및 소듐아스코르베이트(20 mol%)를 아세토나이트릴 및 물을 1:1로 혼합한 용매에 현탁시켜 넣었다. 다음으로, 상기 반응 플라스크를 진공처리하고,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아르곤 풍선으로 유지하였다. 다음으로, 실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가끔 반응을 체크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상기 혼합물을 간단히 물로 묽히고, 에틸아세테이트(15 mL X 2)로 추출하여, 감압 증류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옅은 노란색 오일의 목적 화합물을 83%로 얻었다.
[α]D 25=75.2 (c 1.0, 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 7.77-7.74 (m, 2H, Ar-H), 7.49 (s, 1H, triazole-H), 7.40-7.18 (m, 13H, Ar-H), 4.94 (q, 1H, J=6.5, CHNH),1.76 (brs, 1H, NH 2), 1.13 (d, 3H, J=6.6, CH 3CH) ppm; 13C NMR (75 MHz, CDCl3):δC 146.6, 141.0, 138.8, 130.4, 129.0, 128.7, 128.6, 128.3, 128.2, 128.2, 128.1, 125.6, 121.9, 78.8, 52.5, 19.7 ppm; HRMS (ESI) m/z[M+H]+ C23H23N4의 계산값, 355.1923, 측정값 355.1925.
< 실시예 2> (S)-에틸-1-(2-아미노-1,1- 다이페닐프로필 )-1H-1,2,3- 트리아졸 -4-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3070939871-pat00030
상기 실시예 1에서, 에티닐벤젠 대신에 에틸프로피오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옅은 노란색 오일의 목적 화합물을 75%로 얻었다.
[α]D 25=19.3(c 1.2, 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 7.88 (s, 1H, triazole-H), 7.40-7.28 (m, 8H, Ar-H), 7.17-7.14 (m, 2H,Ar-H), 4.92-4.90 (m, 1H, CHNH), 4.38 (q, 2H, J=7.1, CO2CH 2CH3), 1.73 (brs, 2H, NH 2), 1.37 (t, 3H, J=7.1 CO2CH2CH 3), 1.12 (d, 3H, J=6.5, CH 3CH) ppm; 13C NMR (75 MHz, CDCl3):δC 160.8, 140.6, 139.1, 138.5, 129.8, 128.9, 128.7, 128.5, 128.4, 128.3, 128.1, 79.3, 61.2, 52.1, 19.7, 14.2 ppm; HRMS (ESI) m/z[M+H]+ C20H23N4O2의 계산값 351.1794, 측정값 351.1816.
< 실시예 3> (S)-2-(1-(2-아미노-1,1- 다이페닐프로필 )-1H-1,2,3- 트리아졸 -4-일)에탄올
Figure 112013070939871-pat00031
상기 실시예 1에서, 에티닐벤젠 대신에 3-부틴-1-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옅은 갈색 오일의 목적 화합물을 87%로 얻었다.
[α]D 25=9.3(c 1.5, 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 7.38-7.29 (m, 8H, Ar-H), 7.14-7.11 (m, 3H, Ar-H), 4.87-4.85(m, 1H, CHNH), 3.86 (t, 2H, J=6.18, CH2CH 2OH), 2.86 (t, 2H, J=6.12, CH 2CH2OH), 2.31 (brs, 3H, NH 2 & OH), 1.07(d, 3H, J=6.5,CH 3CH) ppm;13C NMR (75 MHz, CDCl3):δC 144.4, 141.1, 138.8, 128.9, 128.5, 128.2, 128.19, 128.16, 128.08, 127.8, 123.8, 77.8, 61.3, 52.3, 28.7, 19.6 ppm ; HRMS (ESI) m/z[M+H]+ C19H23N4O의 계산값 323.1872, 측정값 323.1872.
< 실시예 4> (S)-1,1- 다이페닐 -1-(4-(피리딘-2-일)-1H-1,2,3- 트리아졸 -1-일)프로판-2-아민
Figure 112013070939871-pat00032
상기 실시예 1에서, 에티닐벤젠 대신에 2-에티닐피리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옅은 갈색 오일의 목적 화합물을 83%로 얻었다.
[α]D 25=79.4(c 1.0, 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 8.50-8.49 (m, 1H, Py-H), 8.21 (d, 1H, J=7.9, Py-H), 7.94 (s, 1H, triazole-H), 7.79-7.73 (m, 1H, Py-H), 7.41-7.29 (m, 8H, Ar-H), 7.23-7.16 (m, 3H, Ar-H), 4.96-4.94(m, 1H, CHNH), 1.67 (brs, 2H, NH 2), 1.14 (d, 3H, J=6,CH 3CH) ppm; 13C NMR (75 MHz, CDCl3):δC 150.2, 149.3, 147.1, 140.9, 138.7, 136.9, 129.0, 128.5, 128.3, 128.2, 128.1, 124.3, 122.8, 120.2, 78.9, 52.3, 19.7 ppm ; HRMS (ESI) m/z[M+H]+ C22H22N5의 계산값 356.1875, 측정값 356.1869.
< 실시예 5> (S)-3- 메틸 -1,1- 다이페닐 -1-(4- 페닐 -1H-1,2,3- 트리아졸 -1-일)부탄-2-아민
Figure 112013070939871-pat00033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S)-1-아자이도-3-메틸-1,1-다이페닐부탄-2-아민(1 mmol), 에티닐벤젠(1.2 mmol), 황산구리 수화물(CuSO4ㆍ5H2O, 10 mol%) 및 소듐아스코르베이트(20 mol%)를 아세토나이트릴 및 물을 1:1로 혼합한 용매에 현탁시켜 넣었다. 다음으로, 상기 반응 플라스크를 진공처리하고,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아르곤 풍선으로 유지하였다. 다음으로, 실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가끔 반응을 체크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상기 혼합물을 간단히 물로 묽히고, 에틸아세테이트(15 mL X 2)로 추출하여, 감압 증류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투명한 오일의 목적 화합물을 82%로 얻었다.
[α]D 25=77.8 (c 1.0, 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 7.77 (d, 2H, J=7.3, Ar-H), 7.62 (s, 1H, triazole-H), 7.39-7.31 (m, 13H, Ar-H), 4.76 (s, 1H, CHNH), 2.15-2.11 (m, 1H, CHCH3), 1.4 (brs, 2H, NH 2), 1.24 (d, 3H, J=6.8, CH3CH), -0.04 (d, 3H, J=6.6, CH 3CH) ppm; 13C NMR (75 MHz, CDCl3):δC 146.7, 140.6, 140.0, 130.5, 129.0, 128.7, 128.5, 128.4, 128.3, 128.2, 128.1, 127.9, 125.6, 121.5, 78.8, 59.3, 28.4, 23.7, 15.2 ppm ; ESI-LC/MS: m/z 405 [M+Na]+.
< 실시예 6> (S)-에틸-1-(2-아미노-3- 메틸 -1,1- 다이페닐부틸 )-1H-1,2,3- 트리아졸 -4- 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3070939871-pat00034
상기 실시예 5에서, 에티닐벤젠 대신에 에틸프로피오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옅은 갈색 오일의 목적 화합물을 89%로 얻었다.
[α]D 25=-24.6 (c 1.0, 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 8.09 (s, 1H, triazole-H), 7.44-7.34 (m, 10H, Ar-H), 4.82 (s, 1H, CHNH), 4.45 (q, 2H, J=7.1, CO2CH 2CH3), 2.16-2.11 (m, 1H, CHCH3), 1.55 (brs, 2H, NH 2), 1.50 (t, 3H, J=7.1, CO2CH2CH 3), 1.30 (d, 3H, J=6.7, CHCH 3), -0.02(d, 3H, J=6.7, CHCH 3) ppm; 13C NMR (75 MHz, CDCl3):δC 166.9, 140.2, 139.4, 129.5, 129.0, 128.6, 128.5, 128.5, 128.1, 128.0, 79.4, 61.3, 59.0, 28.4, 23.6, 15.1, 14.3 ppm ; ESI-LC/MS: m/z 401 [M+Na]+.
< 실시예 7> (S)-2-(1-(2-아미노-3- 메틸 -1,1- 다이페닐부틸 )-1H-1,2,3- 트리아졸 -4-일)에탄올
Figure 112013070939871-pat00035
상기 실시예 5에서, 에티닐벤젠 대신에 3-부틴-1-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투명한 액체의 목적 화합물을 74%로 얻었다.
[α]D 25=23.4(c 1.1, 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 7.42-7.34 (m, 11H, Ar-H & triazole-H), 4.67 (s, 1H, CHNH), 3.97 (t, 2H, J=5.7, CH2CH 2OH), 2.95 (t, 2H, J=5.7, CH 2CH2OH), 2.18-2.11 (m, 1H, CHCH3), 1.30 (d, 3H, J=6.7, CHCH 3), -0.02 (d, 3H, J=6.7, CHCH 3) ppm; 13C NMR (75 MHz, CDCl3):δC 144.6, 140.8, 139.9, 129.0, 128.4, 128.2, 128.0, 127.8, 123.5,78.6, 61.5, 59.3, 28.7, 28.3, 23.7, 15.0 ppm; HRMS (ESI) m/z[M+H]+ C21H27N4O의 계산값 351.2185, 측정값 351.2180.
< 실시예 8> (S)-3- 메틸 -1,1- 다이페닐 -1-(4-(피리딘-2-일)-1H-1,2,3- 트리아졸 -1-일)부탄-2-아민
Figure 112013070939871-pat00036
상기 실시예 5에서, 에티닐벤젠 대신에 2-에티닐피리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옅은 노란색 오일의 목적 화합물을 87%로 얻었다.
[α]D 25=153.2(c 1.0, 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 8.59-8.57 (m, 1H, Py-H), 8.27 (d, 1H, J=7.92, Py-H), 8.16 (s, 1H, triazole-H), 7.85-7.80 (m, 1H, Py-H), 7.45-7.37 (m, 10H, Ar-H), 7.28-7.24 (m, 1H, Py-H), 4.84 (s, 1H, CHNH), 2.22-2.16 (m, 1H, CHCH3), 1.53 (brs, 2H, NH 2), 1.33 (d, 3H, J=6.8, CHCH 3), -0.01 (d, 3H, J=6.5, CH3) ppm; 13C NMR (75 MHz, CDCl3):δC 150.3, 149.3, 147.3, 140.7, 139.8, 136.9, 129.0, 128.5, 128.4, 128.2, 128.1, 127.8, 123.9, 122.8, 120.2, 78.9, 59.2, 28.4, 23.7, 15.1 ppm; HRMS (ESI) m/z[M+H]+C24H26N5의 계산값 384.2188, 측정값 384.2178.
< 실시예 9> (S)-1,2,2- 트라이페닐 -2-(4- 페닐 -1H-1,2,3- 트리아졸 -1-일) 에탄아민
Figure 112013070939871-pat00037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S)-2-아자이도-1,2,2-트라이페닐에탄아민(1 mmol), 에티닐벤젠(1.2 mmol), 황산구리 수화물(CuSO4ㆍ5H2O, 10 mol%) 및 소듐아스코르베이트(20 mol%)를 아세토나이트릴 및 물을 1:1로 혼합한 용매에 현탁시켜 넣었다. 다음으로, 상기 반응 플라스크를 진공처리하고,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아르곤 풍선으로 유지하였다. 다음으로, 실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가끔 반응을 체크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상기 혼합물을 간단히 물로 묽히고, 에틸아세테이트(15 mL X 2)로 추출하여, 감압 증류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투명한 액체의 목적 화합물을 70%로 얻었다.
[α]D 25=0.6(c1.0,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 7.78-7.70 (m, 2H, Ar-H), 7.58 (s, 1H, triazole-H), 7.40-7.08 (m, 14H, Ar-H), 7.18-7.00 (m, 3H, Ar-H), 6.92-6.90 (m, 2H, Ar-H), 5.79 (s, 1H, CHNH), 2.17 (brs, 2H, NH2) ppm; 13C NMR(75 MHz, CDCl3):δC 146.6, 140.1, 138.9, 130.5, 130.2, 128.9, 128.9, 128.6, 128.3, 128.1, 127.8, 127.7, 125.7, 122.8, 79.4, 62.9 ppm; HRMS (ESI) m/z[M+H]+C28H25N4의 계산값 417.2079, 측정값 417.2076.
< 실시예 10> (S)-에틸-1-(2-아미노-1,1,2- 트라이페닐에틸 )-1H-1,2,3- 트리아졸 -4- 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3070939871-pat00038
상기 실시예 9에서, 에티닐벤젠 대신에 에틸프로피오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옅은 노란색 오일의 목적 화합물을 71%로 얻었다.
옅은 노란색 오일, (71%); [α]D 25=7.8 (c 1.5,CHCl3 .); 1H NMR (300 MHz, CDCl3): 7.96 (s, 1H, triazole-H), 7.37-7.20 (m, 9H, Ar-H), 7.15 (m, 2H, Ar-H), 6.90-6.85 (m, 4H, Ar-H), 5.83 (bs, 1H, CHNH), 4.38 (q, 2H, J=7.1, CO2CH 2CH3), 1.92 (bs, 2H, NH2), 1.38 (t, 3H, J=7.1, CO2CH2CH 3)ppm; 13C NMR (75 MHz, CDCl3):δC 160.8, 139.5, 139.0, 138.5, 130.5, 129.9, 129.8, 129.7, 128.7, 128.6, 128.4, 128.2, 128.1, 128.0, 127.9, 127.8, 127.6, 79.7, 62.25, 61.3, 14.2ppm ESI-LCMS: m/ z413[M+H]+, 412,411,409.
< 실시예 11> (S)-2-(1-(2-아미노-1,1,2- 트라이페닐에틸 )-1H-1,2,3- 트리아졸 -4-일)에탄올
Figure 112013070939871-pat00039
상기 실시예 9에서, 에티닐벤젠 대신에 3-부틴-1-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투명한 오일의 목적 화합물을 73%로 얻었다.
[α]D 25=-9.6(c 1.0,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 7.36-7.21 (m, 7H, Ar-H & triazole-H), 7.19-7.13 (m, 4H, Ar-H), 6.99-6.93 (m, 2H, Ar-H), 6.86-6.84 (m, 2H, ArH), 5.73 (s, 1H, CHNH), 3.89 (t, 2H, J=6.0, CH2CH 2OH), 2.88 (t, 2H, J=6.0, CH 2CH2OH), 2.4 (brs, 2H, NH2) ppm; 13C NMR (75 MHz, CDCl3):δC 144.4, 140.1, 139.0, 138.8, 130.1, 130.0, 128.7, 128.4, 128.1, 127.9, 127.6, 127.6, 124.6, 78.9, 62.7, 61.6, 28.6 ppm; HRMS (ESI) m/z[M+H]+C24H25N4O의 계산값 385.2028, 측정값 385.2018.
< 실시예 12> (S)-1,2,2- 트라이페닐 -2-(4-(피리딘-2-일)-1H-1,2,3- 트리아졸 -1-일) 에탄아민
Figure 112013070939871-pat00040
상기 실시예 9에서, 에티닐벤젠 대신에 2-에티닐피리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9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옅은 노란색 오일의 목적 화합물을 85%로 얻었다.
[α]D 25=-7.8(c1.0,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 8.49-8.49 (m, 1H, Py-H), 8.23-8.20 (m, 1H, Py-H), 8.01(s, 1H, triazole-H), 7.79-7.74 (m, 1H, py-H), 7.33-7.00 (m, 14H, Ar-H & Py-H), 6.92-6.89 (m, 2H, Ar-H), 5.82 (brs, 1H, CHNH), 2.12(brs, 2H, NH 2) ppm; 13C NMR (75 MHz, CDCl3):δC 150.3, 149.3, 147.0, 140.0, 139.7, 138.8, 136.9, 130.0, 128.9, 128.4, 128.2, 127.8, 127.7, 127.6, 127.6, 125.1, 122.8, 120.3, 79.4, 62.6 ppm; HRMS (ESI) m/z[M+H]+ C27H24N5의 계산값, 418.2032, 측정값 418.2035.
< 실시예 13> (S)-1,1,3- 트라이페닐 -1-(4- 페닐 -1H-1,2,3- 트리아졸 -1-일)프로판-2-아민
Figure 112013070939871-pat00041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S)-1-아자이도-1,1,3-트라이페닐프로판-2-아민(1 mmol), 에티닐벤젠(1.2 mmol), 황산구리 수화물(CuSO4ㆍ5H2O, 10 mol%) 및 소듐아스코르베이트(20 mol%)를 아세토나이트릴 및 물을 1:1로 혼합한 용매에 현탁시켜 넣었다. 다음으로, 상기 반응 플라스크를 진공처리하고,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아르곤 풍선으로 유지하였다. 다음으로, 실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가끔 반응을 체크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상기 혼합물을 간단히 물로 묽히고, 에틸아세테이트(15 mL X 2)로 추출하여, 감압 증류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투명한 오일의 목적 화합물을 84%로 얻었다.
[α]D 25=53.2(c1.0,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 7.80-7.75 (m, 2H, Ar-H), 7.50 (s, 1H, triazole-H), 7.42-7.19 (m, 18H, Ar-H), 5.0 (d, 1H, J=10.2, CH 2CH), 3.36 (d, 1H, J=13.2, CH 2CH), 2.32 (brs, 2H, NH2), 2.16-2.07 (m, 1H, CH2CH) ppm; 13C NMR (75 MHz, CDCl3):δC 146.7, 139.8, 130.5, 129.3, 128.8, 128.7, 128.6, 128.5, 128.4, 128.3, 128.2, 126.5, 125.7, 122.0, 78.1, 59.1, 40.4 ppm; HRMS (ESI) m/z[M+H]+ C29H27N4의 계산값 431.2236, 측정값 431.2232.
< 실시예 14> (S)-에틸 1-(2-아미노-1,1,3- 트라이페닐프로필 )-1H-1,2,3- 트리아졸 -4- 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3070939871-pat00042
상기 실시예 13에서, 에티닐벤젠 대신에 에틸프로피오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투명한 오일의 목적 화합물을 89%로 얻었다.
[α]D 25=44(c1.1,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7.93(s, 1H, 트리아졸- H), 7.43-7.33 (m, 8H, Ar-H), 7.28-7.27 (m, 6H, Ar-H), 7.22-7.18 (m, 1H, Ar-H), 4.94 (d, 1H, J=10.1, CH 2CH), 4.38 (q, 2H, J=7.1, CO2CH 2CH3), 3.29 (d, 1H, J=13.5, CH 2CH), 1.94 (t, 1H, J=11.5, CH2CH), 1.40 (t, 3H, J=7.1, CO2CH2CH 3) ppm; 13C NMR (75 MHz, CDCl3):δC 160.9, 139.5, 139.3, 130.0, 129.2, 128.6, 128.6, 128.5, 128.4, 126.6, 78.6, 61.3, 58.8, 40.3, 14.3 ppm ; HRMS (ESI) m/z[M+H]+ C26H27N4O2의 계산값 427.2134, 측정값 427.2133.
< 실시예 15> (S)-2-(1-(2-아미노-1,1,3- 트라이페닐프로필 )-1H-1,2,3- 트리아졸 -4-일)에탄올
Figure 112013070939871-pat00043
상기 실시예 13에서, 에티닐벤젠 대신에 3-부틴-1-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투명한 액체의 목적 화합물을 81%로 얻었다.
[α]D 25=19.3(c1.1,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 7.37-7.25 (m, 15 H, Ar-H), 7.15 (s, 1H, triazole-H), 4.92 (d, 1H, J=10.2, CH 2CH), 3.90 (t, 2H, J=6,CH2CH 2OH), 3.29 (d, 1H, J=13.5, CH 2CH), 2.88 (t, 2H, J=6, CH 2CH2OH), 1.96-1.88 (m, 3H, CH2CH&NH 2) ppm; 13C NMR (75 MHz, CDCl3):δC 144.5, 139.7, 129.2, 129.0, 128.7, 128.5, 128.4, 128.3, 128.2, 126.5, 123.9, 77.8, 61.5, 59.0, 40.2, 28.6 ppm; HRMS (ESI) m/z[M+H]+ C25H27N4O의 계산값 399.2185, 측정값 399.2176.
< 실시예 16> (S)-1,1,3- 트라이페닐 -1-(4-(피리딘-2-일)-1H-1,2,3- 트리아졸 -1-일)프로판-2-아민
Figure 112013070939871-pat00044
상기 실시예 13에서, 에티닐벤젠 대신에 2-에티닐피리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3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오일 액체의 목적 화합물을 81%로 얻었다.
[α]D 25=45.8(c1.1,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8.51-8.49 (m, 1H, Py-H), 8.22-8.19 (m, 1H, Py-H), 7.98 (s, 1H, triazole-H), 7.95-7.73 (m, 1H, Py-H), 7.44-7.28 (m, 14H, Ar-H), 7.22-7.17 (m, 2H, Ar-H & Py-H), 5.03 (d, 1H, J=10.1, CH 2CH), 3.34 (d, 1H, J=13.5, CH 2CH), 2.07-1.99 (m, 3H, CH2CH & NH 2), ppm; 13C NMR (75 MHz, CDCl3):δC 150.3, 149.4, 147.2, 139.8, 136.9, 129.3, 128.8, 128.5, 128.5, 128.4, 128.3, 128.3, 126.5, 124.5, 122.8, 120.3, 78.3, 58.9, 40.3 ppm; HRMS (ESI) m/z[M+H]+ C28H26N5의 계산값, 432.2188, 측정값 432.2189.
< 실시예 17> (S)-1-( 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 )-4- 페닐 -1H-1,2,3- 트리아졸
Figure 112013070939871-pat00045
2구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S)-2-아자이도-2,2-다이페닐-1-(피롤리딘-2-일)에탄아민(1 mmol), 에티닐벤젠(1.2 mmol), 황산구리 수화물(CuSO4ㆍ5H2O, 10 mol%) 및 소듐아스코르베이트(20 mol%)를 아세토나이트릴 및 물을 1:1로 혼합한 용매에 현탁시켜 넣었다. 다음으로, 상기 반응 플라스크를 진공처리하고,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아르곤 풍선으로 유지하였다. 다음으로, 실온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얇은막 크로마토그래피(TLC)로 가끔 반응을 체크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상기 혼합물을 간단히 물로 묽히고, 에틸아세테이트(15 mL X 2)로 추출하여, 감압 증류한 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옅은 노란색 오일의 목적 화합물을 80%로 얻었다.
[α]D 25=39(c 1.0, 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 7.79-7.76 (m, 2H, Ar-H), 7.55 (s, 1H, triazole-H), 7.30-7.29 (m, 11H, Ar-H), 7.21-7.18 (m, 2H, Ar-H), 5.00 (q, 1H, J=6.8, CHNH), 2.98-2.88 (m, 2H, CH 2CH2), 2.30-2.21 (m, 1H, CH 2CH), 1.75-1.57 (m, 2H, CH2CH 2), 1.35-1.32 (m, 1H, CH 2CH);13C NMR (75 MHz, CDCl3):δC 146.1, 130.6, 129.3, 128.9, 128.7, 128.5, 128.2, 128.1, 127.9, 127.8, 125.7, 125.5, 125.3, 122.1, 64.83, 46.4, 31.54, 29.1, 25.7, 22.6, 14.1 ppm; HRMS (ESI) m/z[M+H]+ C25H25N4의 계산값 381.2079, 측정값 381.2076.
< 실시예 18> (S)-에틸-1-( 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 )-1H-1,2,3- 트리아졸 -4-카 복실레이
Figure 112013070939871-pat00046
상기 실시예 17에서, 에티닐벤젠 대신에 에틸프로피오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투명한 오일의 목적 화합물을 90%로 얻었다.
[α]D 25=20.7(c 1.0, 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 7.91 (s, 1H, triazole-H), 7.34-7.31 (m, 8H, Ar-H), 7.14-7.13 (m, 2H, Ar-H), 5.0 (t, 1H, J=7.1, CHNH), 4.41 (q, 2H, J=7.1, CO2CH 2CH3), 2.86-2.79 (m, 2H, CH 2CH2), 2.22-2.12(m, 1H, CH 2CH), 2.0 (brs, 2H, NH2), 1.65-1.63 (m, 2H, CH2CH 2), 1.36 (t, 3H, J=7.1, CO2CH2CH 3), 1.21-1.17 (m, 2H, CH 2CH) ppm; 13C NMR(75MHz,CDCl3):δC 161.0, 140.1, 140.1, 138.6, 130.0, 129.4, 128.8, 128.7, 128.4, 128.2, 128.1, 128.0, 127.9, 77.7, 64.4, 61.24, 46.45, 29.0, 25.71, 14.3 ppm; ESI-LC/MS: m/z 377 [M+H]+,237,236,275.
< 실시예 19> (S)-2-(1-( 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 )-1H-1,2,3- 트리아졸 -4-일)에탄올
Figure 112013070939871-pat00047
상기 실시예 17에서, 에티닐벤젠 대신에 3-부틴-1-올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투명한 액체의 목적 화합물을 90%로 얻었다.
[α]D 25=7.6(c1.0,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 7.32-7.30 (m, 9H, Ar-H), 7.14-7.10 (m, 2H, Ar-H & triazole-H), 4.95-4.90 (q, 1H, J=6.5, CHNH), 3.91 (t, 2H, J=5.8, CH2CH 2OH), 2.88 (t, 2H, J=5.8, CH 2CH2OH), 2.84-2.80 (m, 2H, CH 2CH2), 2.41 (brs, 2H, -NH&-OH), 2.2-2.14 (m, 1H, CH 2CH), 1.72-1.57(m, 2H, CH2CH 2), 1.29-1.18 (m, 1H, CH 2CH) ppm; 13C NMR (75 MHz, CDCl3):δC 144.0, 141.6, 141.0, 129.4, 128.2, 128.1, 128.0, 127.8, 123.9, 64.9, 61.6, 46.4, 29.1, 28.6, 25.7 ppm; HRMS (ESI) m/z[M+H]+ C21H25N4O의 계산값 349.2028, 측정값 349.2026.
< 실시예 20> (S)-2-(1-( 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 )-1H-1,2,3- 트리아졸 -4-일)피리딘
Figure 112013070939871-pat00048
상기 실시예 17에서, 에티닐벤젠 대신에 2-에티닐피리딘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옅은 갈색 오일의 목적 화합물을 93%로 얻었다.
[α]D 25=121.4(c1.0,CHCl3 .); 1H NMR(300 MHz, CDCl3):δH 8.19 (s, 1H, triazole-H), 7.86-7.83 (d, 1H, J=8.5, ArH), 7.75-7.72 (d, 2H, J=9.81, ArH), 7.62 (s, 1H, ArH), 7.42-7.33 (m, 8H, ArH), 7.24-7.20 (m, 2H, ArH), 7.15-7.12 (m, 2H, ArH), 5.04 (t, 1H, J=7.17, CHNH), 3.92 (s, 1H, -OCH 3 ), 2.99-2.87 (m, 2H, CH 2CH2), 2.32-2.19 (m, 1H, CH 2CH), 1.79-1.67 (m, 2H, CH2CH 2 ), 1.40-1.31 (m, 1H, CH 2CH) ppm; 13C NMR (75 MHz, CDCl3):δC 157.9, 146.5, 140.8, 134.4, 129.7-127.2, 124.5, 124.2-124.1, 55.5, 55.2, 46.6, 29.0, 25.7 ppm; HRMS(ESI)m/z[M+H]+ C30H29N4O의 계산값 461.2341,측정값 461.2339.
< 실시예 21> (S)-1-( 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 )-4-(6- 메톡시나프탈렌 -2-일)-1H-1,2,3- 트리아졸
Figure 112013070939871-pat00049
상기 실시예 17에서, 에티닐벤젠 대신에 2-에티닐-6-메톡시나프탈렌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오일 액체의 목적 화합물을 81%로 얻었다.
[α]D 25=55.6(c 1.0, 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 8.51-8.51-8.49 (m, 1H, Py-H), 8.22-8.19 (m, 1H, Py-H), 7.96 (s, 1H, 트리아졸 -H), 7.78-7.73 (m, 1H,Py-H), 7.40-7.29 (m, 9H, Ar-H),7.23-7.16 (m, 2H, Ar-H) 5.0 (t, J = 6.5, 1H, CHNH), 2.86-2.81 (m, 2H, CH 2CH2), 2.25-2.15 (m, 2H, CH 2CH), 2.12 (bs, 1H, NH), 1.75-1.59 (m, 2H, CH2CH 2); 1.28-1.20 (m, 1H, CH 2CH) 13C NMR (75 MHz, CDCl3):δC 150.5, 149.3, 146.8, 141.4, 140.9, 136.9, 129.5, 128.3, 128.2, 128.1, 128.0, 127.9, 124.5, 122.7, 120.3, 77.2, 64.8, 46.5, 29.2, 25.7 ppm; HRMS (ESI) m/z[M+H]+ C24H24N5의 계산값 382.2032, 측정값 382.2032.
< 실시예 22> (S)-4-(2,5- 다이메틸페닐 )-1-( 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 )-1H-1,2,3-트리아졸
Figure 112013070939871-pat00050
상기 실시예 17에서, 에티닐벤젠 대신에 2-에티닐-1,4-다이메틸벤젠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옅은 갈색 오일의 목적 화합물을 76%로 얻었다.
[α]D 25=54(c 1.4, CHCl3 .); 1H NMR(300 MHz, CDCl3):δH 7.57 (s, 1H, triazole-H), 7.44 (s, 1H, ArH), 7.40-7.31 (m, 8H, ArH), 7.23-7.18 (m, 2H, ArH), 7.12 (d, 1H, J=7.7, ArH), 7.05 (d, 1H, J=7.7, ArH), 5.06 (q, 1H, J=6.45, CHNH), 2.95-2.83 (m, 2H, CH 2 CH2), 2.33 (s, 3H, Ar-CH 3 ), 2.31 (s, 3H, Ar-CH 3 ), 2.28-2.21 (m, 1H, CH 2CH), 1.77-1.64 (m, 2H, CH2CH 2), 1.34-1.28 (m, 1H, CH 2 CH), 1.26(bs, 1H, NH) ppm; 13C NMR(75 MHz, CDCl3):δC 145.7, 135.5, 132.3, 130.8, 129.5, 129.3, 129.2, 128.8, 128.4, 128.3, 128.2, 128.1, 128.0, 124.5, 65.0, 46.5, 28.9, 25.6, 20.8 ppm; HRMS(ESI)m/z[M+H]+ C27H29N4,409.2392의 계산값, 측정값 409.2392.
< 실시예 23> (S)-4-( tert -부틸)-1-( 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 )-1H-1,2,3-트리아졸
Figure 112013070939871-pat00051
상기 실시예 17에서, 에티닐벤젠 대신에 3,3-다이메틸-1-부틴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과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옅은 갈색 오일의 목적 화합물을 75%로 얻었다.
[α]D 25=7.8(c1.5,CHCl3 .); 1H NMR (300 MHz, CDCl3):δH 7.37-7.28 (m, 8H, Ar-H), 7.13-7.09 (m, 2H, Ar-H), 7.0 (s, 1H, triazole-H), 5.04-4.98 (t, 1H, J=7.7, CHNH), 3.06-2.90 (m, 2H, CH 2CH2), 2.28-2.19 (m, 1H, CH 2CH), 1.83-1.62 (m, 2H, CH2CH 2), 1.49-1.37 (m, 1H, CH 2CH), 1.31 (s, 9H, t-Bu-H) ppm; 13C NMR(75MHz,CDCl3):δC 156.4, 129.0, 128.5, 128.2, 127.8, 121.6, 75.8, 65.8, 46.48, 30.8, 30.3, 28.7, 25.5ppm; HRMS(ESI)m/z[M+H]+ C23H29N4의 계산값 361.2392, 측정값 361.2388.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
    [화학식 1]
    Figure 112013070939871-pat00052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아미노(-NH2)이고;
    R2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킬, C6 - 14아릴 또는 C6 - 14아릴C1 - 6알킬이고;
    R3는 비치환 또는 하이드록시(-OH)기가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킬;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킬옥시카보닐; 비치환 또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킬 또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 - 6알콕시로 1 이상 치환된 C6 - 14아릴; 또는 질소(N), 산소(O) 및 황(S)으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의 헤테로아릴이고;
    또는, 상기 R1 R2는 이들이 결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질소(N), 산소(O) 및 황(S)으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일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아미노(-NH2)이고;
    R2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 - 4알킬, C6 - 10아릴 또는 C6 - 10아릴C1 - 4알킬이고;
    R3는 비치환 또는 하이드록시(-OH)기가 치환된 직쇄 또는 측쇄의 C1 - 4알킬; 직쇄 또는 측쇄의 C1 - 4알킬옥시카보닐; 비치환 또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 - 4알킬 또는 직쇄 또는 측쇄의 C1 - 4알콕시로 1 이상 치환된 C6 - 10아릴; 또는 적어도 하나의 질소(N) 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의 헤테로아릴이고;
    또는, 상기 R1 R2는 이들이 결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질소(N) 원자를 포함하는 5 내지 8 원자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은 아미노(-NH2)이고;
    R2는 메틸, 아이소프로필, 페닐 또는 벤질이고;
    R3는 t-부틸, 하이드록시에틸, 에틸옥시카보닐, 페닐, 2,5-다이메틸페닐, 5-메톡시나프틸 또는 피리딜이고;
    또는, 상기 R1 R2는 이들이 결합되는 탄소 원자와 함께 피롤리딘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는:
    (1) (S)-1,1-다이페닐-1-(4-페닐-1H-1,2,3-트리아졸-1-일)프로판-2-아민;
    (2) (S)-에틸-1-(2-아미노-1,1-다이페닐프로필)-1H-1,2,3-트리아졸-4-카복실레이트;
    (3) (S)-2-(1-(2-아미노-1,1-다이페닐프로필)-1H-1,2,3-트리아졸-4-일)에탄올;
    (4) (S)-1,1-다이페닐-1-(4-(피리딘-2-일)-1H-1,2,3-트리아졸-1-일)프로판-2-아민;
    (5) (S)-3-메틸-1,1-다이페닐-1-(4-페닐-1H-1,2,3-트리아졸-1-일)부탄-2-아민;
    (6) (S)-에틸-1-(2-아미노-3-메틸-1,1-다이페닐부틸)-1H-1,2,3-트리아졸-4-카복실레이트;
    (7) (S)-2-(1-(2-아미노-3-메틸-1,1-다이페닐부틸)-1H-1,2,3-트리아졸-4-일)에탄올;
    (8) (S)-3-메틸-1,1-다이페닐-1-(4-(피리딘-2-일)-1H-1,2,3-트리아졸-1-일)부탄-2-아민;
    (9) (S)-1,2,2-트라이페닐-2-(4-페닐-1H-1,2,3-트리아졸-1-일)에탄아민;
    (10) (S)-에틸-1-(2-아미노-1,1,2-트라이페닐에틸)-1H-1,2,3-트리아졸-4-카복실레이트;
    (11) (S)-2-(1-(2-아미노-1,1,2-트라이페닐에틸)-1H-1,2,3-트리아졸-4-일)에탄올;
    (12) (S)-1,2,2-트라이페닐-2-(4-(피리딘-2-일)-1H-1,2,3-트리아졸-1-일)에탄아민;
    (13) (S)-1,1,3-트라이페닐-1-(4-페닐-1H-1,2,3-트리아졸-1-일)프로판-2-아민;
    (14) (S)-에틸 1-(2-아미노-1,1,3-트라이페닐프로필)-1H-1,2,3-트리아졸-4-카복실레이트;
    (15) (S)-2-(1-(2-아미노-1,1,3-트라이페닐프로필)-1H-1,2,3-트리아졸-4-일)에탄올;
    (16) (S)-1,1,3-트라이페닐-1-(4-(피리딘-2-일)-1H-1,2,3-트리아졸-1-일)프로판-2-아민;
    (17) (S)-1-(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4-페닐-1H-1,2,3-트리아졸;
    (18) (S)-에틸-1-(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1H-1,2,3-트리아졸-4-카복실레이트;
    (19) (S)-2-(1-(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1H-1,2,3-트리아졸-4-일)에탄올;
    (20) (S)-2-(1-(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1H-1,2,3-트리아졸-4-일)피리딘;
    (21) (S)-1-(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4-(6-메톡시나프탈렌-2-일)-1H-1,2,3-트리아졸;
    (22) (S)-4-(2,5-다이메틸페닐)-1-(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1H-1,2,3-트리아졸; 및
    (23) (S)-4-(tert-부틸)-1-(다이페닐(피롤리딘-2-일)메틸)-1H-1,2,3-트리아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
  5. 하기 반응식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자이드 화합물을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아세틸렌 화합물과 용매 및 구리계 촉매 존재 하에 반응시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13070939871-pat00053

    (상기 반응식 1에서, R1, R2 및 R3는 제1항의 화학식 1에서 정의한 바와 같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아세토나이트릴, 테트라히드로퓨란, 1,4-디옥산,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사염화탄소, 1,2-디클로로에탄, 벤젠, 톨루엔, 아세토나이트릴, 다이메틸포름아미드,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판올 및 t-부탄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1종 이상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물 및 아세토나이트릴을 1:1의 용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계 촉매는 요오드화구리(CuI), 브롬화구리(CuBr) 및 염화구리(CuC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1종의 산화수 1가의 구리화합물, 또는 황산구리(CuSO4), 초산구리(Cu(OAc)2), 질산구리(Cu(NO3)2 및 트리플루오르메타설포네이트화구리(Cu(OTf)2)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산화수 2가의 구리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계 촉매로서 산화수 1가의 구리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중탄산 이온, 탄산 이온의 알칼리 금속염,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피리딘, 루티딘 및 콜리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염기를 추가적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계 촉매로서 산화수 2가의 구리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소듐-아스코베이트, 황화나트륨 및 디티오트레이톨(Dithiothreitol, DT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환원제를 추가적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리계 촉매의 사용량은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아자이드 화합물에 대하여 몰비로 0.01 내지 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 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의 제조방법.
  12. 삭제
KR1020130092808A 2013-08-05 2013-08-05 광학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43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808A KR101543667B1 (ko) 2013-08-05 2013-08-05 광학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808A KR101543667B1 (ko) 2013-08-05 2013-08-05 광학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847A KR20150016847A (ko) 2015-02-13
KR101543667B1 true KR101543667B1 (ko) 2015-08-12

Family

ID=52573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808A KR101543667B1 (ko) 2013-08-05 2013-08-05 광학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6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361A (ko) 2020-08-21 2022-03-02 청원생명농협쌀조합공동사업법인 쌀눈 발효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JOURNAL OF ORGANIC CHEMISTRY,2011)
논문(TETRAHEDRON LETTERS, 200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3361A (ko) 2020-08-21 2022-03-02 청원생명농협쌀조합공동사업법인 쌀눈 발효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847A (ko) 2015-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o et al. Carboxylic Acid-Promoted Copper (I)-Catalyzed Azide− Alkyne Cycloaddition
Urankar et al. Click-triazole N2 coordination to transition-metal ions is assisted by a pendant pyridine substituent
US9045387B2 (en) Oxidative homo-coupling reactions of aryl boronic acids using a porous copper metal-organic framework as a highly efficient heterogeneous catalyst
Bolje et al. Exploring the scope of pyridyl-and picolyl-functionalized 1, 2, 3-triazol-5-ylidenes in bidentate coordination to ruthenium (II) cymene chloride complexes
ES2556638T3 (es) Cicloadición catalizada por cobre de azidas orgánicas y 1-haloalquinos
CN113811300A (zh) Tead转录因子的新型小分子抑制剂
Whitehorne et al. Group 11 amidinates and guanidinates: potential precursors for vapour deposition
Seus et al. Selenium compounds in Click Chemistry: copper catalyzed 1, 3-dipolar cycloaddition of azidomethyl arylselenides and alkynes
US20090069569A1 (en) Cycloaddition of azides and alkynes
JPS5843956A (ja) N−(1,1,1−三置換)−メチルアゾ−ルの製造方法
EP3426654B1 (en) Direct palladium-catalyzed aromatic fluorination
Hohloch et al. Exploring potential cooperative effects in dicopper (I)-di-mesoionic carbene complexes: applications in click catalysis
Ye et al. Synthesis of mono-and binuclear Cu (II) complexes bearing unsymmetrical bipyridine–pyrazole–amine ligand and their applications in azide–alkyne cycloaddition
Rodionov et al. Synthesis and properties of 5-ferrocenyl-1H-pyrazole-3-carbaldehydes
US6376664B1 (en) Cyclic bis-benzimidazole ligands and metal complexes thereof
Raghavendra et al. Regiospecific solid-phase synthesis of substituted 1, 2, 3-triazoles
Aimene et al. Novel Re (I) tricarbonyl coordination compounds based on 2-pyridyl-1, 2, 3-triazole derivatives bearing a 4-amino-substituted benzenesulfonamide arm: synthesis, crystal structure, computational studies and inhibitory activity against carbonic anhydrase I, II, and IX isoforms
KR101543667B1 (ko) 광학활성 2-아미노 트리아졸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Patroniak et al. Preparation of new heterotopic ligands
Cerecetto et al. Synthesis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1, 2, 5‐Oxadiazole N‐Oxide Derivatives as Potential Hypoxic Cytotoxins and DNA‐Binders
Simmons et al. 2, 3, 5-Metallotriazoles: Amphoteric Mesoionic Chelates from Nitrosoguanidines
Wuckelt et al. Regioselective Synthesis of 5-Ylidenepyrrol-2 (5 H)-ones by Reaction of Transition Metal-Coordinated Bis (imidoyl) Chlorides with Carbon Nucleophiles
Drabina et al. Synthesis, copper (II) complexes and catalytic activity of substituted 6-(1, 3-oxazolin-2-yl) pyridine-2-carboxylates
Navarro et al. Synthesis of Diethoxy Arylphosphoryl Functionalized, Fully Substituted 5-Triazenyl-1, 2, 3-triazoles via Chelation-Assisted Interrupted Domino Reaction of ortho-Azidophosphonates with Copper (I) Alkynes
Hübner et al. N, N, O Ligands Based on Triazoles and Transition Metal Complex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