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227B1 - 더미바 헤드 - Google Patents

더미바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227B1
KR101543227B1 KR1020130155607A KR20130155607A KR101543227B1 KR 101543227 B1 KR101543227 B1 KR 101543227B1 KR 1020130155607 A KR1020130155607 A KR 1020130155607A KR 20130155607 A KR20130155607 A KR 20130155607A KR 101543227 B1 KR101543227 B1 KR 101543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mmy bar
head
top piece
fork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9326A (ko
Inventor
이종일
유태영
우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30155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227B1/ko
Publication of KR20150069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9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2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4Plants for continuous ca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더미바 헤드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 헤드는 일측에 주편과 결합되는 주편결합면을 구비하고 타측에 톱피스연결면을 갖는 헤드부와, 헤드부의 톱피스연결면과 더미바 본체를 양단에서 연결하는 톱피스부를 포함하며, 톱피스부는 고리 형상의 걸림홈을 구비하여 더미바 본체와 체결된다. 또한, 더미바 본체는 복수의 레그와 홈으로 이루어지며 레그를 관통하는 본체핀을 포함하는 제2포크를 구비하고, 톱피스연결면은 복수의 레그와 홈으로 이루어지며 레그를 관통하는 헤드핀을 포함하는 제1포크를 구비하며, 톱피스부는 복수의 링크로 마련되며 제1포크 및 제2포크의 홈에 삽입되어 본체핀 및 헤드핀에 양단이 체결된다.

Description

더미바 헤드{Dummy bar head}
본 발명은 더미바 헤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사이즈의 주편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는 더미바 헤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설비는 제강로에서 생산되어 래들로 이송된 용강을 턴디쉬에 받았다가 주형에 공급하여 일정한 크기의 주편을 연속 생산하는 장치이다.
좀 더 자세히 살펴 보면, 연속주조설비에서는 래들 터렛드에 설치된 래들에 용강을 채우고, 래들에 있는 용강을 노즐을 통하여 턴디쉬에 붓는다.
턴디쉬에 저장된 용강은 침지 노즐을 통하여 몰드(주형)에 주입되어 주편으로 주조된다.
몰드 내에는 주편을 인출 안내하는 더미바(dummy bar)가 몰드의 개방된 하부에 인입되어 있고, 몰드에 인입된 최초의 용강은 더미바 헤드를 경계로 응고된다.
이후, 이동경로 상에 설치된 이송롤러가 구동됨에 따라 더미바가 응고된 주편을 이끌고 냉각수가 분사되는 상하 롤러 사이를 이동하여 연속적으로 주편이 제조된다.
한편, 주편은 다양한 규격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주편 두께가 정해지면 그에 맞는 더미바 헤드가 공정 전에 준비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주편의 규격이 변경될 때마다 더미바 전체를 교환해야 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시간이 상당히 소요되어 생산성이 저하되었으며, 또한 각각의 규격에 맞는 더미바를 보관 및 관리하는데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 헤드는 다양한 주편 사이즈에 대응해서 용이하게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일측에 주편과 결합되는 주편결합면을 구비하고 타측에 톱피스연결면을 갖는 헤드부와, 헤드부의 톱피스연결면과 더미바 본체를 양단에서 연결하는 톱피스부를 포함하며, 톱피스부는 고리 형상의 걸림홈을 구비하여 더미바 본체와 체결되는 더미바 헤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더미바 본체는 복수의 레그와 홈으로 이루어지며 레그를 관통하는 본체핀을 포함하는 제2포크를 구비하고, 상기 톱피스연결면은 복수의 레그와 홈으로 이루어지며 레그를 관통하는 헤드핀을 포함하는 제1포크를 구비하며, 상기 톱피스부는 복수의 링크로 마련되어 상기 제1포크 및 제2포크의 홈에 삽입되어 본체핀 및 헤드핀에 양단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은 상기 본체핀에 유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톱피스부는 상기 헤드핀에 유격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공은 삼각형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 헤드는 헤드부와 톱피스부로 이루어지는 더미바 헤드와 더미바 본체가 고리 형상으로 간단히 해체 및 결합되기 때문에 다양한 사이즈의 더미바 헤드를 용이하게 교환할 수 있으며, 특히 고리 형상의 더미바 헤드에 마련되는 걸림홈은 더미바 본체의 본체핀에 유격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더미바 헤드부에 따라 달리지는 톱피스부의 폭방향 간격에 효과적으로 대응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 헤드는 헤드부의 헤드핀과 체결되는 톱피스부의 장공이 삼각형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헤드부의 두께가 달라지거나 폭이 변경되더라도 항상 이송롤러에 밀착되도록 하여 주편의 인발을 안정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 헤드가 설치된 연속 주조 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 헤드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 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 헤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 헤드와 다른 규격의 더미바 헤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 헤드와 다른 규격의 더미바 헤드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속주조장치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전체 공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연속주조장치는 래들 터렛트(Ladle Turret)(10)에 설치된 래들(Ladle)(20)에 불순물 제거와 화학성분이 조정된 용강을 채우고, 래들(20)에 있는 용강을 원통형 내화벽돌로 된 노즐을 통하여 턴디쉬(Tundish)(30)에 붓는다.
턴디쉬(30)에 저장된 용강은 원통형 내화벽돌로 된 침지 노즐(32)을 통하여 몰드(40)로 주입되어 판상의 주편(Slab)으로 주조된다. 몰드(40)는 내부에 냉각기구(미도시)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주입된 용강은 냉각되어 몰드(40)의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주편(50)으로 주조된다.
또한, 몰드(40) 내에는 주편(50)을 인출 안내하는 더미바(Dummy Bar)(60)가 몰드(40)의 개방된 하부에 유입되어 있다. 몰드(40)에 유입된 최초의 용강은 더미바 헤드(70)에 폭방향으로 마련되는 요철면을 경계로 응고되며, 이동경로 상에 설치된 다수의 이송롤러(80)가 구동됨에 따라 더미바(60)가 응고된 주편(50)을 이끌고 냉각수가 분사되는 상하 롤러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주편이 제조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더미바 헤드를 포함하는 더미바를 도시한 도면이다.
더비마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몰드의 하단부를 밀폐하여 용강이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주편이 응고된 상태에서 더미바 헤드와 연결되어 인발을 가능하게 한다. 응고된 주편은 인발되는 더미바 헤드에 연결된 상태에서 냉각장치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연계된 이송 테이블을 따라 인출된다. 주편은 다양한 규격으로 제조될 수 있으므로, 연속주조 작업 전에 몰드(40)의 폭을 주조할 주편의 폭에 맞추고, 또한 몰드의 폭에 대응하여 더미바 헤드를 교환 또는 조정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몰드의 폭에 대응하여 다양한 규격의 더미바 헤드를 더미바 본체에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더미바 헤드를 제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더미바(60)는 주편과 연결되는 더미바 헤드(70)가 선단에 구비되고, 이어서 여러 개의 더미바 본체(62)가 연결링크(미도시)를 통하여 연결된다.
더미바 헤드(70)의 선단 상부면에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칩과 같은 철편을 뿌려두고 몰드에서 응고되는 주편과 결합되도록 하여, 주편 인발 작업 완료 후에 분리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더미바 헤드(70)는 주편과 연결되는 헤드부(72)와, 헤드부(72)와 더미바 본체(62) 사이를 연결하는 톱피스부(80)를 포함한다.
헤드부(72)는 폭방향 일면에 주편결합면(71)을 구비하고, 반대편에 톱피스연결면(73)을 구비한다. 헤드부(72)는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로 마련되어 주편결합면(71)은 사다리꼴의 장변에 마련되며, 톱피스연결면(73)은 단변에 마련된다.
톱피스연결면(73)은 복수의 레그(74a)와 홈(74b)이 폭방향으로 교차 배치되는 제1포크(74)를 포함하며, 제1포크(74)는 레그(74a)를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헤드핀(75)을 포함한다.
톱피스부(80)는 바 형태로 마련되는 복수의 링크(81)로 마련된다. 각 링크(81)의 일단은 톱피스연결면(73)의 홈(74b)에 각각 대응 삽입되며, 헤드핀(75)이 관통할 수 있도록 장공(82)을 구비한다. 헤드부(72)와 톱피스부(80)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제1포크(74)의 홈(74b)에 링크(81)의 일단을 먼저 끼운 후 헤드핀(75)이 레그(74a)와 장공(82)을 관통하도록 한다.
톱피스부(80)의 장공(82)은 삼각형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는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헤드부(72)와 톱피스부(80)의 체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자세한 것은 후술한다.
톱피스부(80)의 타단은 더미바 본체(62)에 마련되는 제2포크(64)에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미바 본체(62)의 제2포크(64)는 제1포크(74)와 마찬가지로 레그(64a)와 홈(64b)이 교차 배치되어 있으며, 레그(64a)를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본체핀(65)을 포함한다.
톱피스부(80)의 타단은 제2포크(64)의 본체핀(65)에 걸릴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의 걸림홈(84)을 구비한다. 걸림홈(84)은 하측으로 개구되어 있어서, 톱피스부(80)를 더미바 본체(62)에 상측에서 끼움으로써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임의의 폭(W1)과 두께(H1)를 갖는 제1규격의 더미바 헤드를 예시한 것이다. 제1규격의 더미바 헤드(70)는 폭과 두께가 더미바 본체(62)와 동일하기 때문에, 헤드부(72)와 톱피스부(80)의 일단을 선조립한 더미바 헤드(70)를 준비하고, 톱피스부(80)의 타단에 마련되어 있는 걸림홈(84)을 더미바 본체(62)의 본체핀(65)에 끼움으로써 간단하게 더미바 헤드(70)와 더미바 본체(62)를 조립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은 임의의 폭(W2)과 두께(H2)를 갖는 제2규격의 더미바 헤드를 도시한 것이다.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더미바 헤드(70’)는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부(72)의 두께 및 폭은 다르지만 더미바 본체(62)와 결합하기 위한 톱피스부(80)의 개수는 동일하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미바 헤드의 폭(W2)이 달라지면, 톱피스부(80)의 일단은 θ 만큼 틀어지며 이를 보정하지 않으면, 더미바 헤드(70)와 더미바 본체(62)의 결합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핀의 결합 및 헤드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피스부(80)의 타단에 마련되는 걸림홈(84)의 깊이를 더미바 본체(62)의 본체핀(65) 직경보다 크게 마련함으로써 발생하는 유격(D1)을 통해 톱피스부(80)의 폭방향 비틀림을 1차적으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톱피스부(80)의 일단에 마련되는 장공(82)이 헤드부(72)의 헤드핀(75) 직경보다 크게 마련함으로써 발생하는 유격(D2)을 통해 톱피스부(80)의 폭방향 비틀림을 2차적으로 교정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더미바 헤드부(72)의 높이가 H1 -> H2로 달라지더라도, 삼각형으로 마련되는 장공(82)의 밑변을 통해 톱피스부(80)의 높이(H3)가 교정되도록 함으로써, 헤드부(72) 및 톱피스부(80)가 항상 이송롤러에 밀착되도록 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주편의 안정적인 인발을 유도할 수 있다.
10..래들 터렛트 20..래들
30..턴디쉬 40..몰드
50..주편 60..더미바
62..더미바 본체 64..제2포크
70..헤드부 74..제1포크
80..톱피스 82..장공
84..걸림홈

Claims (5)

  1. 일측에 주편과 결합되는 주편결합면을 구비하고 타측에 톱피스연결면을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톱피스연결면과 더미바 본체를 양단에서 연결하는 톱피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더미바 본체는 복수의 레그와 홈으로 이루어지며 레그를 관통하는 본체핀을 포함하는 제2포크를 구비하고,
    상기 톱피스연결면은 복수의 레그와 홈으로 이루어지며 레그를 관통하는 헤드핀을 포함하는 제1포크를 구비하며,
    상기 톱피스부는 복수의 링크로 마련되며 상기 제1포크 및 제2포크의 홈에 삽입되어 본체핀 및 헤드핀에 양단이 체결되되,
    상기 링크의 일단은 고리 형상의 걸림홈을 구비하여 상기 더미바 본체의 본체핀에 체결되고, 타단은 삼각형 형태의 장공을 구비하여 상기 더미바 헤드의 헤드핀에 유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더미바 헤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은 상기 본체핀에 유격 가능하게 결합되는 더미바 헤드.
  4. 삭제
  5. 삭제
KR1020130155607A 2013-12-13 2013-12-13 더미바 헤드 KR1015432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607A KR101543227B1 (ko) 2013-12-13 2013-12-13 더미바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607A KR101543227B1 (ko) 2013-12-13 2013-12-13 더미바 헤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326A KR20150069326A (ko) 2015-06-23
KR101543227B1 true KR101543227B1 (ko) 2015-08-10

Family

ID=53516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607A KR101543227B1 (ko) 2013-12-13 2013-12-13 더미바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22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843B1 (ko) * 2007-04-12 2008-10-09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주조용 더미 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843B1 (ko) * 2007-04-12 2008-10-09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 주조용 더미 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9326A (ko) 2015-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199B1 (ko) 혼합 저감 장치
KR101543227B1 (ko) 더미바 헤드
KR101028564B1 (ko) 실린더블록 헤드볼트부 수축 방지를 위한 금형 구조
KR101389860B1 (ko) 몰드 실링재 및 연속 주조 방법
KR100685474B1 (ko) 연속주조용 몰드
KR101491748B1 (ko) 용탕 유동 강화용 노즐장치
KR20140119322A (ko) 용강 주입 장치
JP2010137233A (ja) 成型用金型および成型用金型の組立方法
US3608619A (en) Continuous casting starter bar
KR101518585B1 (ko) 서트 실린더의 록킹장치
KR100490985B1 (ko) 연속주조용 깔대기형 주형동판
KR101660773B1 (ko) 주조용 몰드
JP6989948B2 (ja) 鋳造用金型の絞り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鋳造装置
KR101380409B1 (ko) 용강 분사용 노즐 조립 장치
KR101277174B1 (ko) 이강종 강랭장치
CN209393987U (zh) 一种中间包套管用对中装置
JP2008229708A (ja) インゴット製造用鋳型及び伸線用インゴット製造装置
CN206794701U (zh) 一种连铸机引锭杆用导向板
KR102092748B1 (ko) 냉각재 투입장치 및 냉각재 투입방법
KR101323297B1 (ko) 더미바 헤드 분리 장치
KR200291561Y1 (ko) 빌레트 제조용 몰드 냉각재
KR101149154B1 (ko) 형강재의 코너부 절삭장치
KR20090103601A (ko) 턴디쉬 침지노즐의 조립용 지그
JPS63132751A (ja) 連続鋳造装置用鋳型
KR20090117504A (ko) 편심 조정 가능한 더미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