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553B1 - 하이브리드형 캐리어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형 캐리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553B1
KR101542553B1 KR1020090100669A KR20090100669A KR101542553B1 KR 101542553 B1 KR101542553 B1 KR 101542553B1 KR 1020090100669 A KR1020090100669 A KR 1020090100669A KR 20090100669 A KR20090100669 A KR 20090100669A KR 101542553 B1 KR101542553 B1 KR 101542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member
reinforcing
connecting portion
carrier
upp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0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3922A (ko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0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553B1/ko
Publication of KR20110043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3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60K11/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with liquid cooling
    • B60K11/04Arrangement or mounting of radiators, radiator shutters, or radiator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하이브리드형 캐리어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하이브리드형 캐리어는: 상부멤버와, 상부멤버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측면멤버와, 측면멤버와 일체로 성형되며 측면멤버의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연결부와 측면멤버의 하측을 감싸며 사출 성형되는 보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측면멤버와 측면멤버의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일체로 성형하고, 연결부에 플라스틱 재질의 보강부를 사출성형하여 하이브리드형 캐리어의 구조 강성을 보강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부멤버, 측면멤버, 연결부, 보강부, 하이브리드

Description

하이브리드형 캐리어{HYBRID CARRIER}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형 캐리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중량은 저감되면서도 강성은 보강되는 하이브리드형 캐리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앞 부분에 설치되는 프론트 엔드 모듈(FEM:Front End Module)은, 뼈대를 형성하는 캐리어와, 캐리어에 장착되는 쿨링모듈, 헤드램프, 혼, 오일쿨러, 파워스티어링쿨러 및 백빔 등을 포함한다.
캐리어는 차체의 구조물 역할을 하며, 캐리어에 각종 부품들이 조립되어 모듈화되므로 프론트 엔드 모듈을 형성한다.
캐리어는 상부멤버와 상부멤버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면멤버 및 측면멤버를 연결하는 하부멤버로 구성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 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차량의 설계변경으로 하부멤버의 단면 높이가 낮아지는 경우, 측면멤버에 하부멤버를 일체로 성형하지 못하고, 측면멤버와 하부멤버를 별도로 성형한 후에, 플라스틱 재질로 사출성형하여 측면멤버와 하부멤버를 연결하므로 캐리어의 구조강성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캐리어의 구조강성을 높일 수 있는 하이브리드형 캐리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캐리어는: 상부멤버와, 상부멤버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측면멤버와, 측면멤버와 일체로 성형되며 측면멤버의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연결부와 측면멤버의 하측을 감싸며 사출 성형되는 보강부를 포함한다.
또한 측면멤버는 상부멤버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부는 "ㄱ"자로 절곡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부는 연결부를 감싸며 일측이 개구된 사출물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부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사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캐리어는: 상부멤버와 상부멤버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측면멤버 및 측면멤버의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성형되는 몸체부 및 연결부와 측면멤버를 감싸며 사출 성형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이브리드형 캐리어의 제조방법은: 상부멤버와 상부멤버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측면멤버 및 측면멤버의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일체로 하는 몸체부를 성형하는 제1성형단계 및 연결부와 측면멤버의 하측을 감싸며 플라스틱 재질이 사출 성형되어 보강부를 형성하는 제2성형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제1성형단계에서, 몸체부는 프레스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캐리어는, 측면멤버와 측면멤버의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일체로 성형하고, 연결부에 플라스틱 재질의 보강부를 사출성형하여 하이브리드형 캐리어의 구조 강성을 보강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캐리어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에 사용되는 하이브리드형 캐리어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캐리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 방향으로 절개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캐리어(1)는, 상부멤버(12)와, 상부멤버(12)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측면멤버(14)와, 측면멤버(14)와 일체로 성형되며 측면멤버(14)의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부(20) 및 연결부(20)와 측면멤버(14)의 하측을 감싸며 사출 성형되는 보강부(30)를 포함한다.
상부멤버(12)와, 측면멤버(14) 및 연결부(20)는 일체로 성형되어 몸체부(10)를 형성하므로 구조 강성을 증대시킨다.
몸체부(10)는, 프레스 성형이나 사출 성형 등 다양한 제조방법으로 형상을 성형하며, 몸체부(10)의 재질은 금속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캐리어(1)는, 연결부(20)와 측면멤버(14)가 일체로 성형된 상태에서 상부멤버(12)를 별도로 성형하여 결합할 수 있으며, 연결부(20)와 측면멤버(14)와 상부멤버(12)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부멤버(12)의 강성을 보강하는 상부보강재(16)가 상부멤버(12)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상부보강재(16)는 상부멤버(12)의 측면에 격자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며 설치되며, 이러한 상부보강재(16)는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된다.
측면멤버(14)의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부(20)는, 작은 단면높이를 가지면서도 구조 강성은 보강되도록 "ㄱ"자로 절곡된 단면 형상으로 성형된다.
연결부(20)는 종방향(이하 도 1기준)으로 설치되는 측면멤버(14)와 연결되며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지지부재(22)와, 지지부재(22)의 상측에서 횡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재(24) 및 절곡부재(24)의 일단에서 상측으로 절곡되는 걸림부재(26)를 포함한다.
연결부(20)는 작은 단면높이를 가지면서도 보강부(30)와 결합되는 단면적의 넓이가 증가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ㄱ"자로 절곡된 단면 형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형 캐리어(1)의 하부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부(30)는, 연결부(20) 및 연결부(20)와 측면멤버(14)의 연결 부위를 감싸며 사출 성형되어, 설치된 부위의 강성을 보강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보강부(30)는, 연결부(20)의 걸림부재(26)를 감싸며 설치되는 보강몸체(32)와, 보강몸체(32)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격자 형상의 중앙 립부재(36) 및 측면멤버(14)와 보강몸체(32)를 연결하는 격자 형상의 측면립부재(38)를 포함한다.
보강부(30)는 연결부(20)와 측면멤버(14)의 하측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며, 구조 강성을 확보하면서 재료비를 절감하도록 보강부(30)의 하측은 개구부(34)가 형성되며, 중앙립부재(36)는 격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강부(30)는 연결부(20)를 감싸며 일측이 개구된 사출물 형상인 "ㄷ"자 형상으로 성형된다.
보강부(30)의 양측에는 측면립부재(38)가 구비되어, 측면멤버(14)의 하측과 연결부(20)가 연결된 부분의 구조 강성을 보강한다.
측면립부재(38)는 측면멤버(14)의 하측 측면에 격자 형상의 립부재를 형성하며, 측면멤버(14)의 하측에 구비된 통공을 통해 측면멤버(14)의 양측 측면에 구비된 사출물이 연결되어 보강고정부(39)를 형성한다.
보강고정부(39)는 보강부(30)와 측면멤버(14)를 상호 고정시키므로, 보강부(30)와 몸체부(10)의 이격을 방지한다.
보강부(30)는 재료비 대비 강성이 우수하고 성형성이 좋은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사출 성형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캐리어(1)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캐리어(1)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브리드형 캐리어(1)의 제조방법은, 상부멤버(12)와 상부멤버(12)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측면멤버(14) 및 측면멤버(14)의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부(20)를 일체로 하는 몸체부(10)를 성형하는 제1성형단계를 갖는다.(S10)
몸체부(10)는 금형을 녹여서 금형에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프레스 성형으로 성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생산방법으로 성형될 수 있다.
연결부(20)와 측면멤버(14)의 하측을 감싸며 플라스틱 재질이 사출 성형되어 보강부(30)를 형성하는 제2성형단계를 갖는다.(S20)
보강부(30)는 상부멤버(12)의 강성을 보강하는 상부보강재(16)와 같이 성형될 수 있으며, 보강부(30)와 같이 성형되는 사출 성형물의 일부는 몸체부(10)의 테두리를 따라 설치될 수도 있다.
상부보강재(16)를 성형하는 금형은 상부멤버(12)를 중심으로 횡방향으로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지며, 보강부(30)를 성형하는 금형은 연결부(20)를 중심으로 종방향으로 분리 및 결합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캐리어(1)와 그 제조방법은, 측면멤버(14)와 측면멤버(14)의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부(20)를 일체로 성형하고, 연결부(20)에 플라스틱 재질의 보강부(30)를 사출성형하여 하이브리드형 캐리어(1)의 구조 강성을 보강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 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에 사용되는 하이브리드형 캐리어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다른 이동장치에 설치되는 캐리어에도 본 발명의 하이브리드형 캐리어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캐리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 방향으로 절개된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몸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형 캐리어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하이브리드형 캐리어
10: 몸체부 12: 상부멤버
14: 측면멤버 20: 연결부
22: 지지부재 24: 절곡부재
26: 걸림부재 30: 보강부
32: 보강몸체 34: 개구부
36: 중앙립부재 38: 측면립부재
39: 보강고정부

Claims (8)

  1. 상부멤버;
    상기 상부멤버의 양측에서 하측으로 절곡되는 측면멤버;
    상기 측면멤버와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측면멤버의 하측을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와 상기 측면멤버의 하측을 감싸며 사출 성형되는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멤버의 측면에 격자 형상의 홈부를 형성하며 플라스틱 재질로 성형되는 상부보강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연결부의 걸림부재를 감싸며 설치되는 보강몸체;
    상기 보강몸체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격자 형상의 중앙립부재; 및
    상기 측면멤버와 상기 보강몸체를 연결하는 격자 형상의 측면립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캐리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멤버는 상기 상부멤버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캐리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ㄱ"자로 절곡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캐리어.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플라스틱을 재질로 하여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브리드형 캐리어.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90100669A 2009-10-22 2009-10-22 하이브리드형 캐리어 KR101542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669A KR101542553B1 (ko) 2009-10-22 2009-10-22 하이브리드형 캐리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0669A KR101542553B1 (ko) 2009-10-22 2009-10-22 하이브리드형 캐리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922A KR20110043922A (ko) 2011-04-28
KR101542553B1 true KR101542553B1 (ko) 2015-08-06

Family

ID=44048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0669A KR101542553B1 (ko) 2009-10-22 2009-10-22 하이브리드형 캐리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5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3922A (ko) 201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20355B1 (en) Spoiler for vehicle
JP4009153B2 (ja) フロントエンドパネル
EP2848461B1 (en) Seat cushion frame for vehicle
KR101537862B1 (ko) 자동차용 하이브리드 시트프레임
CN103906675B (zh) 车辆的树脂地板结构
JP2015003562A (ja) 樹脂製の車両用外板部材及び車両用バックドア
JP2010126050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2015097170A (ja) バッテリ支持部材
CN102452365B (zh) 车颈通风件密封结构
US20150108819A1 (en) Seat cushion frame for vehicl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07015609A (ja) カウルトップカバー
KR101542553B1 (ko) 하이브리드형 캐리어
KR20160105593A (ko) 스티프너 일체형 프론트 범퍼
CN112721592B (zh) 一种车辆用后挡板的内侧板结构
CN212889806U (zh) 一种汽车背门总成及车辆
CN211416919U (zh) 纤维编织增强复合热塑材料增强的汽车塑料尾门
KR101855754B1 (ko) 차량용 센터필러 조립체
JP4370574B2 (ja) 自動車用ガラスラン
KR101550416B1 (ko) 하이브리드 범퍼
CN211844053U (zh) 与汽车epp顶棚一体成型的天窗加强框
KR100773387B1 (ko) 사이드바
KR101501905B1 (ko) 프런트 엔드 모듈 캐리어
CN212073883U (zh) 一种车门地图袋总成
JP7380286B2 (ja) 車両用ピラーガーニッシュ
CN220947481U (zh) 后背门和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