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392B1 -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핸드오버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핸드오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392B1
KR101542392B1 KR1020090012489A KR20090012489A KR101542392B1 KR 101542392 B1 KR101542392 B1 KR 101542392B1 KR 1020090012489 A KR1020090012489 A KR 1020090012489A KR 20090012489 A KR20090012489 A KR 20090012489A KR 101542392 B1 KR101542392 B1 KR 1015423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mobile terminal
handover
registration
registration proced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3344A (ko
Inventor
이종훈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2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392B1/ko
Priority to US12/698,910 priority patent/US8340049B2/en
Priority to CN2010101143470A priority patent/CN101808375B/zh
Publication of KR20100093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3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3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4Reselecting a network or an air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선 접속된 제 1 네트워크와의 등록 절차가 완료되면 제 2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고, 상기 핸드오버의 수행 결과 상기 제 2 네트워크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등록 절차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저장된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핸드오버 방법{MOBILE TERMINAL AND HANDOVER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종망간 핸드오버 기능을 수행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핸드오버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핸드오버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는, 제 1 네트워크에서 데이터 통신 중 데이터 통신 감도가 일정 기준 이하로 불량해지는 경우, 제 2 네트 워크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네트워크가 IP를 공유하지 않는 경우 핸드오버된 제 2 네트워크에서 다시 IP를 할당받아야 하므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제 1 네트워크에서 제 2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제 2 네트워크에서 등록 절차를 수행하여야 하므로 데이터 통신이 중단되거나 지연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종망간 핸드오버 시 신속하게 핸드오버를 수행하면서 아울러 송수신 데이터의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핸드오버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제 1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등록 절차가 완료되면 제 2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핸드오버의 수행 결과 상기 제 2 네트워크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등록 절차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저장된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은, 제 1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등록 절차가 완료되면, 제 2 네트워크로의 접속 가능 여부를 판단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2 네트워크로의 접속이 가능한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는 단계; 및 상기 핸드오버 단계의 수행 결과 상기 제 2 네트워크와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등록 절차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저장된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핸드오버 방법에 의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 1 네트워크에서 등록 절차를 우선 수행한 후 제 2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므로, 제 2 네트워크에서 제 1 네트워크로 핸드오버시 등록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둘째, 제 2 네트워크에서 등록 절차가 기 수행된 제 1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등록 절차를 수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행중이던 데이터 통신을 끊김 없이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 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내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 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 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 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 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버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네트워크 구조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네트워크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기 위하여,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 형식을 가진 복수의 네트워크들{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네트워크(210, 220)}이 존재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네트워크(210)는 3GPP2(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2)의 eHRPD(evolved High Rate Packet Data) 망이고, 제 2 네트워크(220)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LTE(Long Term Evolution) 망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네트워크(210, 220)는, 제 2 네트워크(220)의 접속 가능 영역을 공유할 수 있다. 즉, 제 2 네트워크(220)는, 제 1 네트워크(210)가 접속 가능한 영역 중 일부 영역에서 접속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네트워크(220)는, 제 1 네트워크(210)가 접속 가능한 영역 내에서 핫 스팟(hot spot) 형식으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네트워크(210, 220)는, 아이피(Internet Protocol; 'IP') 기반의 데이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에는, 보이스 오버 인터넷 프로토콜(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을 이용한 음성 통신, 음성/정지영상/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통신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네트워크(210, 220)는, 이동 단말기(100)에 대하여 동일한 아이피를 공유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가 제 1 및 제 2 네트워크 (210, 220)가 속한 서브네트워크(subnetwork) 내에서 이동하는 경우라면 항상 동일한 아이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네트워크(210)는, 제 2 네트워크(220)에 비교하여, 등록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크고, 데이터 통신 속도가 상대적으로 느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 1 네트워크(210)에 우선 접속하여 등록 절차를 먼저 수행한 후, 제 2 네트워크(220)로 핸드오버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추후 제 1 네트워크(210)로의 핸드오버 요구시 등록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동 단말기(100)가, 제 1 네트워크(210)에서 등록 절차를 수행한 후 제 2 네트워크(220)로 핸드오버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 통신 감도에 따라 제 2 네트워크(220)에서 제 1 네트워크(210)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언급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데이터 통신 모드 진입 명령에 해당하는 사용자 동작을 입력받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입력된 사용자 동작에 해당하는 데이터 통신 모드에 진입할 수 있다(S310).
예를 들어, 데이터 통신 모드에는, VoIP를 이용한 음성 호 송신/수신 모드, 데이터(예를 들어, 멀티미디어 데이터) 업로드/다운로드 모드, 동영상 실시간 재생 모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데이터 통신 모드에 진입하는 경우, 네트워크와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써 무선 통신부(110)를 활성화할 수 있다.
특히, 이동통신 모듈(112) 또는 무선 인터넷 모듈(113)에서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더욱이, 무선 통신부(110) 내에 제 1 및 제 2 네트워크(210, 22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제 1 및 제 2 통신 모듈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네트워크(210)에 접속하는 경우 제 1 통신 모듈이, 제 2 네트워크(220)에 접속하는 경우 제 2 통신 모듈이 각각 활성화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데이터 통신 모드에 진입한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부(110)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210)에 접속한다(S320).
이는, 이동 단말기(100)가 접속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중 제 1 네트워크(210)에 우선적으로 접속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는, 데이터 통신 모드 진입이 감지되면 자동으로 제 1 네트워크(210)에 우선 접속하거나, 사용자 입력부(130)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제 1 네트워크(210)로의 우선 접속이 선택된 경우(데이터 통신 모드 진입 감지 전/후 포함)에 제 1 네트워크(210)에 우선 접속할 수 있다.
이는, 등록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이 제 2 네트워크(220)에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제 1 네트워크(210)에 우선 접속하여 등록 절차를 수행함으로써, 추후 제 2 네트워크(220)에서 제 1 네트워크(210)로의 핸드오버시 소요되는 시간을 절약하고자 함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 1 네트워크(210)와 등록 절차를 수행한다(S330).
등록 절차 수행 과정에 대하여,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서는, 제 1 네트워크(210)에 속한 기지국, 망 제어 서버,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의 일례로서, 3GPP의 eHRPD 망의 eBTS(evolved Base Transceiver Station)(211), eRNC(evolved Radio Network Controller)(212) 및 HSGW(HRPD Serving GateWay)(213)를 각각 포함하고, 제 2 네트워크(220)에 속한 네트워크 게 이트웨이의 일례로서, 3GPP2의 LTE 망의 PDN GW(Packet Data Network GateWay)(41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네트워크(210)에 접속함에 따라, 자신의 식별 번호(예를 들어, 전화번호)가 포함된 메시지를 eBTS(211)에 송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 번호가 포함된 메시지는, eBTS(211), eRNC(212) 및 HSGW(213)를 거쳐, 제 2 네트워크의 PDN GW(411)로 송신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 2 네트워크(220)가 코어 네트워크로서 동작하므로, 제 1 네트워크와 이동 단말기(100) 간에 송수신 되는 데이터 및 메시지는, 제 2 네트워크(220)의 PDN GW(411)를 통하게 된다.
PDN GW(411)는, 상기 식별 번호가 포함된 메시지를 수신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의 식별 번호에 매칭되는 인증 정보를 인증 서버로부터 받아와서 이동 단말기(100)를 인증 및 등록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 단말기의 등록 정보는, eBTS(211), eRNC(212), HSGW(213) 및 PDN GW(411) 중 적어도 하나, 특히 HSGW(213)에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등록 정보에는, 이동 단말기(100)의 식별 번호(예를 들어, 전화번호), 이동 단말기(100)의 인증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인증 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에서 eBTS(211), eRNC(212) 및 HSGW(213)를 거쳐 제 2 네트워크의 PDN GW(411)까지를 연결하는 제어 통로(control path)가 연결될 수 있다.
PDN GW(411)는, 이동 단말기(100)가 인증됨에 따라 아이피를 할당하고, 상 기 연결된 제어 통로를 통하여 아이피 할당을 알리는 메시지를 이동 단말기(100)에 송신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제 1 네트워크가 3GPP의 eHRPD 망인 경우 등록 절차 수행을 위한 이동 단말기(100)와 제 1 네트워크(210) 간의 접속 및 세션 설정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eHRPD를 획득함에 따라(S610), eHRPD 망과 eHRPD 세션을 설정한다(S620).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eHRPD 세션이 설정됨에 따라, eHRPD 망과 접속할 수 있다(S630).
이동 단말기(100)는, eHRPD 망과 사이에서 PPP(Point-to-Point Protocol) 세션을 설정하고(S640), 데이터 스트림 송수신을 위한 플로우(Flow)를 설정할 수 있다(S650).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네트워크(210)와의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등록 절차 중 아이피를 할당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할당받은 아이피는, 프록시 모바일 아이피(Proxy Mobile IP: 'PMIP')일 수 있다.
도 3으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수행 단계(S310)에서 수행되는 제 1 네트워크(210)와의 등록 절차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S340).
확인 단계(S340)의 수행 결과 등록 절차가 완료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현재 위치에서 제 2 네트워크(220)가 접속 가능한 지를 판단할 수 있다(S350).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현재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네트워크(210, 220)의 데이터 통신 감도를 모두 측정하고, 제 2 네트워크(220)의 데이터 통신 감도가 일정 기준 이상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네트워크(220)의 데이터 통신 감도가 일정 기준 이상인 경우에 제 2 네트워크(220)로 접속 가능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판단 단계(S350)에서 제 2 네트워크(220)로 접속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제 1 네트워크(210)에서 제 2 네트워크(220)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S360).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네트워크(220)로 핸드오버하기로 결정한 경우, 제 1 네트워크(210)와 연결된 제어 통로 중 이동 단말기(100)와 기지국{예를 들어, eBTS(211)} 사이에 연결된 부분만을 해제하고, 제 2 네트워크(220)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상태를 '휴면 상태(dormant state)'라고 할 수 있다.
한편, 기지국{예를 들어, eBTS(211)}에서 제 2 네트워크(220)의 네트워크 게이트웨이{Packet Data Network GateWay(411)}까지 연결된 제어 통로는 해제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될 수 있고, 상술한 등록 절차에서 제 1 네트워크(210)상에 저장된 등록 정보는 일정 시간 동안 네트워크 게이트웨이{HRPD Serving GateWay(213)}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네트워크(210, 220)는 제 1 네트워크(210)와의 등록 절차 중 할당받은 아이피를 공유하므로,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네트워크(220)로 핸드오버한 경우 아이피를 별도로 할당받을 필요가 없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네트워크(220)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제 2 네트워크(2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S370).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0)와 제 2 네트워크(220) 사이의 데이터 통신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네트워크(220)에 접속하여, 기지국{예를 들어, eNodeB(414)}, 서빙 게이트웨이{예를 들어, Serving GateWay(413)} 및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예를 들어, PDN GW(411)}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제 2 네트워크(220)와 사용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고, 기지국{예를 들어, eNodeB(414)}, 이동 제어 서버{예를 들어, Mobility Management Entity(413)}, 서빙 게이트웨이{예를 들어, Serving GateWay(413)} 및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예를 들어, PDN GW(411)}를 순차적으로 통하여 제 2 네트워크(220)와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8b를 참조하여, 데이터 통신 모드 진입 후 사용자 선택에 따라 제 1 네트워크(210)로의 우선 접속시 데이터 통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도록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데이터 통신은, VoIP에 의한 호 송신에 한정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로부터 VoIP에 의한 호 송신이 선택되는 경우{예를 들어 'VoIP'(701) 영역이 사용자에 의해 활성화된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로 하여금 제 1 네트워크(210)로의 우선 접속을 선택하게 하는 문구를 출력할 수 있다(도 7).
도 7에서 제 1 네트워크(210)로의 우선 접속(702-1)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네트워크(210)와의 등록 절차 완료 후, 제 2 네트워크(220)와 접속하여 상대방 단말로 VoIP 호를 송신할 수 있다(도 8a).
또는, 도 7에서 제 2 네트워크(220)로의 접속이 선택되면,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네트워크(210)로의 등록 절차를 거치지 않고, 곧바로 제 2 네트워크(220)에 접속하여 상대방 단말로 VoIP 호를 송신할 수 있다(도 8b).
도 3으로 복귀하여, 이동 단말기(10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제 1 네트워크(210)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한지를 판단한다(S380).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네트워크(210, 220)의 데이터 통신 감도(이하 '제 1 및 제 2 감도')를 주기적으로 또는 임의로 측정하고, 제 2 감도가 일정 기준 이하로 불량해진 상황에서 제 1 감도가 데이터 통신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세기라고 인정되는 경우에 제 1 네트워크(210)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자신이 경계 셀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 1 네트워크(210)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경계 셀은, 제 2 네트워크(220) 중 제 1 네트워크(210)와 경계에 위치한 셀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100)가 경계 셀에 위치한 경우 제 1 네트워크(210)의 영역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동 단말기(100)가 경계 셀에 위치하는지의 여부는, 제 2 네트워크(220)의 네트워크 게이트웨이(예를 들어, PDN GW(411)}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의 위치 정보 모듈(115)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네트워크(210)에 기 저장된 등록 정보(상술함)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제 1 네트워크(210)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네트워크(210)에 기 저장된 등록 정보가 지정 기간 경과 후 삭제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100)는, 타이머(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지정 기간 경과 이전의 임의 시점에 제 1 네트워크(210)로 핸드오버하여 등록 정보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네트워크(210)에 기 저장된 등록 정보(상술함)를 유지하고자 제 1 네트워크(210)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일정 시간 이내에 다시 제 2 네트워크(220)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동 단말기(100) 및 제 2 네트워크(220)는, 활성 상태(또는, 데이터 통신 가능 상태) 및 비활성 상태(또는, 데이터 통신 불가능 상태 또는 유휴 상태)를 주기적으로 반복할 수 있고, 상기 일정 시간은, 이동 단말기(100) 및 제 2 네트워크(220) 간에 실질적 데이터 통신이 불가능한 비활성 상태 중 임의 기간일 수 있다.
이는, 제 1 네트워크(210)에 기 저장된 등록 정보를 유지하고자 제 1 네트워크(210)로 잠시 핸드오버하는 것이지 제 1 네트워크(210)를 통하여 실질적 데이터 통신을 하고자 함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판단 단계(S380)에서 제 1 네트워크(210)로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상술한 등록 절차에서 제 1 네트워크(210)에 기 저장된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210)로 핸드오버할 수 있다(S390).
핸드오버 단계(S390)에서 등록 절차를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에 따른 시간 소요가 절감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100)는, 제 2 네트워크(220)와 통신중이던 데이터를 제 1 네트워크(210)와도 끊김 없이 통신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핸드오버 단계(S39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네트워크(210)로 핸드오버하기로 결정한 경우(S910), 제 1 네트워크(210)로 연결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S920).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는, 제 1 네트워크(210)로부터 트래픽 채널 할당 메시지를 수신하고(S930), 그에 따라 제 1 네트워크(210)와의 사이에 트래픽 채널을 연결할 수 있다(S940).
따라서,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연결된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제 1 네트워크(2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핸드오버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네트워크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핸드오버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가 제 1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등록 절차 또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가 제 2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시스템 구조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가 제 1 네트워크와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과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가 제 2 네트워크에서 제 1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제 1 네트워크와 접속하는 과정의 흐름도.

Claims (17)

  1.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중 제 1 네트워크에 접속하고, 이동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상기 제 1 네트워크 내에 저장함에 의해 등록 절차를 수행하고, 상기 제 1 네트워크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중 제 2 네트워크로 제 1 핸드오버를 수행하고,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로의 제 2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1 네트워크 내에 저장된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로의 제 2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네트워크는,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인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네트워크는,
    상기 제 1 네트워크가 접속 가능한 영역 중 일부 영역에서 접속 가능한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등록 절차 중 아이피(Internet Protocol; 'IP')를 할당받는 이동 단말 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네트워크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에 관계없이, 상기 등록 절차 중 할당받은 아이피를 공유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네트워크로의 우선 접속 여부를 선택받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제 1 네트워크로의 우선 접속이 선택된 경우,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등록 절차를 수행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통신 감도가 일정 기준 이하로 불량해진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가 경계 셀(cell)에 위치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및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저장된 등록 정보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상기 제 1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저장된 등록 정보를 유지하고자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일정 시간 이내에 상기 제 2 네트워크로 재 핸드오버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시간은,
    상기 제 1 네트워크로의 핸드오버 이전에, 상기 제 2 네트워크와의 데이터 통신의 유휴 시간 이내인 이동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 2 네트워크와 데이터 통신 중 상기 제 1 네트워크로 핸드오버하는 경우, 상기 제 2 네트워크와 송수신 중이던 데이터를 상기 제 1 네트워크와 계속하여 송수신하는 이동 단말기.
  11.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중 제 1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단계;
    이동 단말기의 등록 정보를 상기 제 1 네트워크에 저장함에 의해 등록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등록 절차가 완료되면, 상기 제 1 네트워크에서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중 제 2 네트워크로 제 1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로의 제 2 핸드오버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1 네트워크 내에 저장된 등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네트워크에서 상기 제 1 네트워크로의 제 2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등록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전화번호 및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핸드 오버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90012489A 2009-02-16 2009-02-16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핸드오버 방법 KR1015423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489A KR101542392B1 (ko) 2009-02-16 2009-02-16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핸드오버 방법
US12/698,910 US8340049B2 (en) 2009-02-16 2010-02-02 Mobile terminal and handover method thereof
CN2010101143470A CN101808375B (zh) 2009-02-16 2010-02-20 移动终端及其切换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489A KR101542392B1 (ko) 2009-02-16 2009-02-16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핸드오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344A KR20100093344A (ko) 2010-08-25
KR101542392B1 true KR101542392B1 (ko) 2015-08-12

Family

ID=42559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489A KR101542392B1 (ko) 2009-02-16 2009-02-16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핸드오버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340049B2 (ko)
KR (1) KR101542392B1 (ko)
CN (1) CN1018083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4674B2 (en) * 2011-02-07 2018-02-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ystem level solution for different service co-existence
KR101832760B1 (ko) 2011-04-25 2018-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효율적인 이종망간 핸드오버 수행방법
WO2012175121A1 (en) * 2011-06-22 2012-12-27 Nokia Siemens Networks Oy Method of achieving information, access node and communication device
CN102307375B (zh) * 2011-09-06 2020-05-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异网络间的切换方法及系统、eHRPD网络
US9407466B2 (en) * 2011-09-19 2016-08-02 Arris Enterprises, Inc. Adaptively delivering services to client devices over a plurality of networking technologies in a home network
US20130107859A1 (en) * 2011-10-27 2013-05-02 Qualcomm Incorporated AVOIDIN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PACKET LOSS DUE TO INTER-RADIO ACCESS TECHNOLOGY (RAT) HANDOVER
US10264025B2 (en) 2016-06-24 2019-04-16 Varmour Networks, Inc. Security policy generation for virtualization, bare-metal server, and cloud computing environments
US10091238B2 (en) * 2014-02-11 2018-10-02 Varmour Networks, Inc. Deception using distributed threat detection
US9973472B2 (en) 2015-04-02 2018-05-15 Varmour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orchestrating physical and virtual switches to enforce security boundaries
US9681412B2 (en) 2014-04-23 2017-06-13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a mobile device with service continuity over multiple access networks
EP3135057B1 (en) * 2014-04-23 2021-09-01 Koninklijke KPN N.V. Improved vertical handover
US10193929B2 (en) 2015-03-13 2019-01-29 Varmour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proving analytics in distributed networks
US9380027B1 (en) 2015-03-30 2016-06-28 Varmour Networks, Inc. Conditional declarative policies
US10009381B2 (en) 2015-03-30 2018-06-26 Varmour Networks, Inc. System and method for threat-driven security policy controls
US10191758B2 (en) 2015-12-09 2019-01-29 Varmour Networks, Inc. Directing data traffic between intra-server virtual machines
US9680852B1 (en) 2016-01-29 2017-06-13 Varmour Networks, Inc. Recursive multi-layer examination for computer network security remediation
US9521115B1 (en) 2016-03-24 2016-12-13 Varmour Networks, Inc. Security policy generation using container metadata
US10755334B2 (en) 2016-06-30 2020-08-25 Varmour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inually scoring and segmenting open opportunities using client data and product predictors
CN108900441B (zh) * 2018-07-04 2021-01-15 联想(北京)有限公司 网络切换方法、第一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9529332B (zh) * 2018-11-28 2021-09-17 珠海金山网络游戏科技有限公司 一种游戏场景运动状态切换方法、装置、服务器及终端
US11711374B2 (en) 2019-05-31 2023-07-25 Varmour Network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understanding identity and organizational access to applications within an enterprise environment
US11310284B2 (en) 2019-05-31 2022-04-19 Varmour Networks, Inc. Validation of cloud security policies
US11863580B2 (en) 2019-05-31 2024-01-02 Varmour Networks, Inc. Modeling application dependencies to identify operational risk
US11290493B2 (en) 2019-05-31 2022-03-29 Varmour Networks, Inc. Template-driven intent-based security
US11290494B2 (en) 2019-05-31 2022-03-29 Varmour Networks, Inc. Reliability prediction for cloud security policies
US11575563B2 (en) 2019-05-31 2023-02-07 Varmour Networks, Inc. Cloud security management
US11876817B2 (en) 2020-12-23 2024-01-16 Varmour Networks, Inc. Modeling queue-based message-oriented middleware relationships in a security system
US11818152B2 (en) 2020-12-23 2023-11-14 Varmour Networks, Inc. Modeling topic-based message-oriented middleware within a security system
US11777978B2 (en) 2021-01-29 2023-10-03 Varmour Network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accurately assessing application access risk
US11734316B2 (en) 2021-07-08 2023-08-22 Varmour Networks, Inc. Relationship-based search in a computing environment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27691A1 (en) * 2004-03-19 2005-10-13 Pecen Mark E Apparatus and method for handover between two networks during an ongoing communication
CN101080089A (zh) * 2006-05-26 2007-11-28 株式会社日立制作所 移动终端的切换网络的控制方法、移动终端和系统
US7808951B2 (en) * 2006-07-05 2010-10-05 Infineon Technologies Ag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over of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networks
EP1881720A1 (en) * 2006-07-19 2008-01-23 Alcatel Lucent Method of controlling handover,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for use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N101212461B (zh) * 2006-12-26 2011-12-07 华为技术有限公司 异构ip网络切换时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和核心网网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40049B2 (en) 2012-12-25
US20100208699A1 (en) 2010-08-19
KR20100093344A (ko) 2010-08-25
CN101808375A (zh) 2010-08-18
CN101808375B (zh)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2392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핸드오버 방법
KR101698094B1 (ko) 서비스 존에 해당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878730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oving network thereof
CN107820331A (zh) 通话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06412875B (zh) 虚拟sim卡迁移装置、方法和系统
CN110933704A (zh) 网络通信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8601004B (zh) Nfc使用引导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RU2752646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индикации типа соты
KR20110124508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20130077192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101556151B1 (ko) 통신 시스템의 부하 분산 방법 및 이것을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
KR20100102834A (ko) 무선 인터넷 접속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기
KR101509258B1 (ko) 방송 프로그램 표시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98746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1652444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09151829B (zh) 伪基站识别方法及装置
KR102019130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16303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KR101542974B1 (ko) 차량용 단말 및 이를 이용한 서버와의 연결 유지 방법
US20240073861A1 (en) Capability sending method and apparatus, and capability deter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22027312A1 (zh) 问题上报方法和装置、问题接收方法和装置
KR101909534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N110291815B (zh) 一种提高业务连续性的方法、装置及介质
US20230389118A1 (en) Method for connection indication, method for connection adjustment and electronic device
EP4333517A1 (en) Indication transceiving method, indication method, and response determin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