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089B1 -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 Google Patents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089B1
KR101542089B1 KR1020130121731A KR20130121731A KR101542089B1 KR 101542089 B1 KR101542089 B1 KR 101542089B1 KR 1020130121731 A KR1020130121731 A KR 1020130121731A KR 20130121731 A KR20130121731 A KR 20130121731A KR 101542089 B1 KR101542089 B1 KR 101542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combustion gas
air flow
pipe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1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2932A (ko
Inventor
김광수
Original Assignee
김광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수 filed Critical 김광수
Priority to KR1020130121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089B1/ko
Publication of KR20150042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2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0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3/00Fittings for chimneys or flues 
    • F23J13/08Door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smoke-boxes, flues, or chimne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1/00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 F23J11/02Devic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e.g. flues  for conducting smoke or fumes originating from various locations to the outside, e.g. in locomotive sheds, in gar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LSUPPLYING AIR OR NON-COMBUSTIBLE LIQUIDS OR GASES TO COMBUSTION APPARATUS IN GENERAL ; VALVES OR DAMPER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IR SUPPLY OR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INDUCING DRAUGHT IN COMBUSTION APPARATUS; TOPS FOR CHIMNEYS OR VENTILATING SHAFTS; TERMINALS FOR FLUES
    • F23L11/00Arrangements of valves or dampers after the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소장치 (20)에 연결되고 상기 연소장치 (20)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말단에 배기부 (110)가 형성된 연소가스 배기관 (100); 연결축 (230)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제1 조절판 (210) 및 제2 조절판 (220)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부 (110)와 축연결된 공기흐름 조절부 (200); 및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 (100)이 측면에 삽입연결되며 양 말단이 개방된 외부공기 흐름관 (300);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부 (110)의 말단이 상기 외부공기 흐름관 (300)과 이격된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10)를 제공함으로서 외부의 공기흐름에 의한 배기가스의 역류가 방지되며 동시에 외부의 공기흐름을 이용하여 우수한 연소가스 배출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GAS EXHAUSTING DEVICE FOR PREVENTING FLOWING BACKWARD OF COMBUSTION GAS}
본 발명은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일러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기장치는 연소에 필요한 공기를 외부에서 유입시키는 외부공기 유입구 및 내부에서 연소에 의하여 생성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소가스 배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연소가스의 배기구는 일반적으로 건물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특히 보일러가 주로 사용되는 동절기에는 바람의 세기 및 변화가 매우 심하기 때문에 외부의 바람에 의하여 배기가스가 내부로 역류하여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배기가스의 역류에 의하여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배기가스에는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으므로 역류되는 배기가스는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배기가스의 역류는 보일러 등과 같은 연소장치의 효율을 저하시키는 주 원인이 되기도 한다. 즉, 연소시 발생되는 수증기와 질소화합 부유물이 보일러의 열교환기 표면에 흡착하게 되며 이것이 반복되어 보일러 열교환기의 기능이 떨어지고 열에너지 저하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의 풍향 또는 풍속의 변화에 따른 영향이 최소화되는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가 요구된다.
이와 같이 연소가스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배기장치로는 하기 특허문헌 1과 같이 배기연통의 단부에 풍향의 대향방향으로 굽음관의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회전가능한 방향키를 이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러한 기술은 단순히 외부의 풍향에 대하여 배출구의 위치만을 변경함으로써 배기가스의 배출효율이 높지 않은 단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는 배기통로의 내부에 유선형의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배기가스의 역풍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 역시 배기가스의 배출효율이 높지 않은 단점이 존재하였다.
특허문헌 1: 한국 실용신안공개공보 제1998-011683호 특허문헌 2: 한국 특허공개공보 제2009-0108578호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외부에서 발생하는 풍향 및 풍속 변화에도 연소가스가 효율적으로 배출되며, 오히려 외부의 바람을 역으로 이용하여 연소가스의 배출효율이 증가되는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는 연소장치 (20)에 연결되고 상기 연소장치 (20)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말단에 배기부 (110)가 형성된 연소가스 배기관 (100); 연결축 (230)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제1 조절판 (210) 및 제2 조절판 (220)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부 (110)와 축연결된 공기흐름 조절부 (200); 및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 (100)이 측면에 삽입연결되며 양 말단이 개방된 외부공기 흐름관 (300);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부 (110)의 말단이 상기 외부공기 흐름관 (300)과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10)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 (100)은 사각통 또는 원통 형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10)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 (110)는 사각통 또는 원통의 상부 및 하부 말단이 각각 사선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제1 사선 절단부 (111) 및 제2 사선 절단부 (112)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10)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 (110)의 말단에는 돌출부 (11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10)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113)에는 돌출부홈 (114)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판 (210)과 상기 제2 조절판 (220)의 연결에 의하여 제1 조절각도 (β1) 및 상기 제1 조절각도 (β1)보다 크거나 같은 제2 조절각도 (β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사선 절단부 (111)와 상기 제2 사선 절단부 (112)에 의하여 제1 절단 각도 (α1) 및 상기 제1 절단각도 (α1)보다 큰 제2 절단각도 (α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조절각도 (β1) 및 제2 조절각도 (β2)의 합과 상기 제1 절단 각도 (α1) 및 제2 절단각도 (α2)의 합은 각각 360도이며, 상기 제1 조절각도 (β1)는 상기 제1 절단각도 (α1)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10)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판 (210)과 상기 제1 사선 절단부 (111)가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이 서로 일치하며, 상기 제2 조절판 (220)과 상기 제2 사선 절단부 (112)가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이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10)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 (230)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결축 통로 (231)가 형성되며 양 말단이 개방된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10)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 통로 (231)에는 연결핀 (240)이 삽입되며, 상기 연결핀 (240)은 상기 배기부 (110)의 말단에 축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10)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 (100)의 길이방향과 상기 외부공기 흐름관 (300)의 길이방향이 서로 수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 예에 따른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는 연소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연소장치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소가스 배기관 (100);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에 연결되며 말단이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의 중심축상에 위치하는 지지대 (400); 상기 지지대의 말단에 구비된 고깔고정부 (500); 및 고깔고정고리 (610)를 통하여 상기 고깔고정부 (500)에 삽입연결되는 원뿔형상의 고깔덮개부 (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에 따르면, 외부의 공기흐름에 의한 배기가스의 역류가 방지됨과 동시에 외부의 공기흐름을 이용하여 배기가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는 별도의 배기가스 동력원이 없이도 배기가스를 효율적으로 배출 가능한 장점 또한 갖는다.
도 1은 보일러 및 배기장치의 외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배기장치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외부공기 흐름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연소가스 배기부와 공기흐름 조절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작동원리는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보일러 및 연통장치 (배기장치)의 외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을 참고하면, 보일러 등과 같은 연소장치 (20)는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를 이용한 연소반응을 통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소장치는 반드시 연소 부산물인 배기가스를 발생시키며, 이와 같은 배기가스는 건물 등의 외벽을 관통하는 배기장치 (10)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2는 보일러 등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배기장치의 단면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고하면, 배기장치 (10)는 연소에 요구되는 산소를 포함하는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외부공기 유입구 (30) 및 내부에서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배기가스를 건물 등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연소가스 배기관 (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 (100)의 말단은 외부 공간에 직접 개방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에서 강한 기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러한 기류의 영향에 의하여 배기가스가 효율적으로 외부에 배출되지 못하고 오히려 역류하여 건물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도 3은 상기 배기가스의 역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10)는 연소장치 (20)에 연결되고 상기 연소장치 (20)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말단에 배기부 (110)가 형성된 연소가스 배기관 (100); 연결축 (230)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제1 조절판 (210) 및 제2 조절판 (220)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부 (110)와 축연결된 공기흐름 조절부 (200); 및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 (100)이 측면에 삽입연결되며 양 말단이 개방된 외부공기 흐름관 (300);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부 (110)의 말단은 상기 외부공기 흐름관 (300)과 이격되어 위치한다 (후술하는 도 5 참고). 도 3에는 외부공기 유입구 (30)가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 (100)의 원주 둘레 상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외부공기 유입구 (30)의 형성 위치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2에서는 외부공기 유입구 (30)가 다양하게 표시되어 있으며, 외부공기 유입구는 공기가 유입되는 입구 또는 유입되는 통로 등을 의미한다. 상기 외부공기 유입구 (30)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외부공기 유입구 (3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소가스 배기관 (100)의 원주 둘레상에 구비되는 경우는 연소가스 배기관 (100)이 상기 외부공기 유입구 (30)가 형성된 원통 등의 구성 보다 돌출되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돌출되어 구비된 연소가스 배기관 (100)은 상기 외부공기 흐름관 (300)과의 연결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 (100)은 내부에서 발생한 연소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며, 그 말단에는 후술할 배기부 (1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흐름 조절부 (200)는 제1 조절판 (210) 및 제2 조절판 (22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조절판 (210) 및 제2 조절판 (220)은 각각의 말단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연결은 연결축 (230)을 통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공기흐름 조절부 (200)는 상기 제1 조절판 (210) 및 제2 조절판 (220)이 연결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배기부 (1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배기부 (110)와 공기흐름 조절부 (200)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며, 상기 제1 조절판 (210)과 후술한 제1 사선 절단부 (111)가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이 서로 일치하며, 상기 제2 조절판 (220)과 후술할 제2 사선 절단부 (112)가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이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외부공기 흐름관 (300)의 결합위치를 나타낸다. 도 5에는 외부공기 흐름관 (300)의 형상이 원통형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원통형상의 외부공기 흐름관 (300)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외부공기 흐름관 (300)은 원통뿐만 아니라 사각통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외부공기 흐름관 (300)은 양 말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 (100)이 상기 외부공기 흐름관 (300)의 측면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 (100)의 길이방향과 상기 외부공기 흐름관 (300)의 길이방향은 서로 수직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바람직하게 구현 될 수 있는 범위내라면,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 (100)의 길이방향과 상기 외부공기 흐름관 (300)의 길이방향이 이루는 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는 상기 외부공기 흐름관 (300)이 모두 직선형의 원통형상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상기 외부공기 흐름관은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 (100)이 삽입된 부분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로 굽어 있는 형상일 수도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외부공기 흐름관 (300)이 굽은 형상인 경우는 굽은 각도 및 위치에 의하여 외부 공기의 흐름에 대한 영향을 조절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외부공기 흐름관 (300)의 연결관계는 후술하는 도 6을 참고하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배기부 (110)와 공기흐름 조절부 (200)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연소가스 배기관 (100)의 말단에 형성된 배기부는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 (100)을 형성하는 사각통 또는 원통의 상부 및 하부 말단이 각각 사선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제1 사선 절단부 (111) 및 제2 사선 절단부 (112)를 포함한다. 즉, 배기부 (110)는 사각통 또는 원통 형상의 관부재 말단부분의 모서리를 위와 아래에서 각각 대각선 방향으로 잘라내어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연소가스 배기부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사선 절단부 (111) 및 제2 사선 절단부 (112)의 두개의 절단부를 구비하게 된다. 도 5의 A를 참고하면, 상기 제1 사선 절단부 (111)와 제2 사선 절단부 (112)는 내각인 제1 절단각도 (α1)와 외각인 제2 절단각도 (α2)를 형성하며, 상기 제1 절단각도 (α1)와 제2 절단각도 (α2)의 합은 360도이고, 상기 제2 절단각도 (α2)는 상기 제1 절단각도 (α1)보다 크다.
한편, 상기 연소가스 배기부의 말단에는 돌출부 (1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돌출부는 공기흐름 조절부 (200)가 연결되는 위치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돌출부 (113)에는 돌출부홈 (114)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돌출부홈 (114)에는 후술한 연결핀 (240)이 삽입된다.
도 5의 B에는 공기흐름 조절부 (20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참고하면, 상기 공기흐름 조절부 (200)는 내부에 연결축 통로 (231)가 형성된 연결축 (230)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제1 조절판 (210) 및 제2 조절판 (2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조절판 (210) 및 제2 조절판 (220)은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배기부 (110)측으로 형성된 제1 조절각도 (β1) 및 그 반대편에 형성된 제2 조절각도 (β2)를 갖는다. 상기 제2 조절각도 (β2)는 상기 제1 조절각도 (β1)보다 크거나 같다.
본 발명의 여러 구현 예가 실현되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조절각도 (β1)는 상기 제1 절단각도 (α1)보다 커야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낸다.
도 6에는 하기 수학식 1에 근접하는 일 구현예를 도시하였다.
[수학식 1]
β1=α1+(α2-α1)/4
(β1: 제1 조절각도, α1: 제1 절단각도, α2: 제2 절단각도)
상기 수학식 1에 근접하여 상기 제1 조절각도를 형성하는 경우 효율적인 배기가스의 배출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의 A는 외부공기 흐름 (60)이 도 6의 상부방향에서 유입되는 경우를 나타내며, 도 6의 B는 외부공기 흐름 (60)이 도 6의 하부방향에서 유입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한편, 도 6 및 기타 도면에서 도면의 아래 방향은 반드시 지면 방향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의 A를 참고하면, 내부에서 배기가스 흐름 (50)과 외부에서 외부공기 흐름 (60)이 동시에 발생하는 경우, 외부공기 흐름이 가하는 압력에 의하여 도 6의 A의 상부에 위치한 제1 조절판 (210)이 제1 사선 절단부 (도 6의 B에 도시됨)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연결축 (230)을 중심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며, 이에 의하여 연소가스 배기부의 상부가 차단된다. 또한, 외부공기 흐름은 연결축과 외부공기 흐름관 (300)의 내벽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반대방향으로 관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관통되는 외부공기 흐름은 유입시 보다 더욱 압력이 강해지며, 특히 배기가스의 압력보다 훨씬 강한 풍압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외부공기의 흐름에 의한 풍압은 배출되는 배기가스와의 관계에서 음압 (negative pressure)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음압은 연소가스 배기구를 통하여 아래 방향으로 빠져 나오는 배기가스를 더욱 강하게 빨아내는 역할을 하게되며, 이를 통하여 연소가스의 배출효율이 증가한다. 즉,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 따른 상기 작동 원리에 의하여 외부공기 흐름이 내부로 유입되어 배기가스가 역류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오히려 외부공기 흐름이 빠져나가는 부위에 걸리는 음압에 의하여 배기가스를 더욱 효율적으로 배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의 B에 도시된 작동 원리는 상기 도 6의 A의 작동원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7 내지 9는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구성 및 작동원리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배기장치는 외부의 바람이 어느 방향에서 불어오든지 관계없이 간단한 구성으로 배기가스의 역풍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상기 본 발명의 다른 구현 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결합관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배기장치는 연소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연소장치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소가스 배기관 (100);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에 연결되며 말단이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의 중심축상에 위치하는 지지대 (400); 상기 지지대의 말단에 구비된 고깔고정부 (500); 및 고깔고정고리 (610)를 통하여 상기 고깔고정부 (500)에 삽입연결되는 원뿔형상의 고깔덮개부 (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기관 (100)은 원통, 사각통, 또는 삼각통 형상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상기 배기관 (100)의 형상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기관 (100)은 내부에서 연소에 의하여 발생한 연소가스가 건물 등의 외부로 전달되는 이동경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지지대 (400)는 상기 배기관 (100)의 말단에 일 말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 말단은 상기 배기관 (100)의 중심축 상에 위치한다. 한편, 상기 지지대 (400)는 1 개 이상의 막대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2 개 이상의 지지대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이들의 각 타 말단이 상기 배기관 (100)의 중심축 상에서 모두 모이게된다. 이러한 지지대 (400)는 후술할 고깔덮개부 (600)를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고 고깔덮개부 (600)의 이동 폭을 제한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지지대의 타 말단에는 고깔덮개부 (600)가 삽입고정되게 하는 고깔고정부 (500)가 구비된다. 이러한 고깔고정부 (500)는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깔덮개부 (600)는 원뿔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원뿔의 최대 각은 상기 지지대가 형성하는 최대각보다 더 크다. 고깔덮개부 (600)의 꼭지점 부근에는 고깔덮개부(600)의 고정을 위한 고깔고정고리 (610)가 구비된다. 이러한 고깔고정고리 (610)에는 상기 고깔고정부 (50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공이 구비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고깔덮개부 (600)가 상기 고깔고정부 (500)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깔덮개부 (600)의 하부 최대 지름은 상기 배기관 (100)의 지름보다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이와 같이 고깔덮개부 (600)를 구비하는 배기장치의 작동원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의 a를 참고하면, 외부에서 바람이 불지 않을 때에는 상기 고깔덮개부 (600)의 중심축이 상기 배기관 (100)의 길이방향축과 일치한다. 도 9의 b 및 c는 외부에서 발생한 바람의 영향에 따른 배기장치의 작동을 나타낸다.
도 9의 b를 참고하면, 도 9를 기준으로 상부에서 바람이 부는 경우 (바람의 방향은 화살표로 표시됨)에, 상기 고깔덮개부 (600)의 중심축이 상기 배기관의 중심축과 어긋나게되며, 고깔덮개부 (600)의 내부면의 일부가 상기 지지대 (400)와 접촉할때까지 꺽이게된다. 이와 같이 고깔덮개부가 아래방향으로 꺽이게되면, 바람이 불어오는 반대방향에 넓은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으로 연소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위치와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이 반대가 되므로 외부의 바람이 배기관으로 불어들어와 배기가스가 역류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도 9의 c는 상기 도 9의 b와 반대방향에서 외부 바람이 불어오는 경우에 고깔덮개부 (600)의 작동원리를 나타낸다. 즉, 도 9의 아래 방향에서 바람이 불어오는 경우에는 고깔덮개부 (600)가 위 방향으로 꺽이게 되고 역시 바람이 부는 아래방향의 반대방향에 넓은 공간이 형성되므로 배기가스는 이러한 공간으로 배출이 가능하고 외부의 바람이 배기관 (100)으로 불어들어가기 어려워 외부 바람에 의한 배기가스의 역류가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고깔덮개부 (600)는 원뿔 형상을 가지므로, 외부의 바람의 방향이 어디에서 불어오든 상관 없이 상기 작동원리는 동일하게 적용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구현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배기장치 20: 연소장치
30: 외부공기 유입구 40: 건물외벽
50: 배기가스 흐름 60: 외부공기 흐름
100: 연소가스 배기관 110: 배기부
111: 제1 사선 절단부 112: 제2 사선 절단부
113: 돌출부 114: 돌출부홈
200: 공기흐름 조절부 210: 제1 조절판
220: 제2 조절판 230: 연결축
231: 연결축 통로 240: 연결핀
300: 외부공기 흐름관
400: 지지대 500: 고깔고정부
600: 고깔덮개부 610: 고깔고정고리

Claims (11)

  1. 연소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연소장치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며 말단에 배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의 말단 상부 및 하부 각각에는 제1 사선 절단부 및 제2 사선 절단부가 사선방향으로 절단되어 형성된 연소가스 배기관;
    연결축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 제1 조절판 및 제2 조절판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부와 축연결된 공기흐름 조절부; 및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이 측면에 삽입연결되며 양 말단이 개방된 외부공기 흐름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기부의 말단이 상기 외부공기 흐름관과 이격되며,
    상기 제1 조절판과 상기 제1사선 절단부가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이 서로 일치하고, 상기 제2 조절판과 상기 제2 사선 절단부가 접촉하는 부분의 형상이 서로 일치하는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은 사각통 또는 원통 형상인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의 말단에는 돌출부가 형성된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돌출부홈이 형성된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판과 상기 제2 조절판의 연결에 의하여 제1 조절각도 (β1) 및 상기 제1 조절각도 (β1)보다 크거나 같은 제2 조절각도 (β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사선 절단부와 상기 제2 사선 절단부에 의하여 제1 절단 각도 (α1) 및 상기 제1 절단각도 (α1)보다 큰 제2 절단각도 (α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조절각도 (β1) 및 제2 조절각도 (β2)의 합과 상기 제1 절단 각도 (α1) 및 제2 절단각도 (α2)의 합은 각각 360도이며,
    상기 제1 조절각도 (β1)는 상기 제1 절단각도 (α1)보다 큰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7. 삭제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연결축 통로가 형성되며 양 말단이 개방된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축 통로에는 연결핀이 삽입되며,
    상기 연결핀은 상기 배기부의 말단에 축연결된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의 길이방향과 상기 외부공기 흐름관의 길이방향이 서로 수직인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11. 연소장치에 연결되며 상기 연소장치에서 발생하는 연소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연소가스 배기관;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에 연결되며 말단이 상기 연소가스 배기관의 중심축상에 위치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말단에 구비된 고깔고정부; 및
    고깔고정고리를 통하여 상기 고깔고정부에 삽입연결되고, 상부 또는 하부에서 바람이 불면 내부면 상측 또는 내부면 하측이 상기 지지대와 접촉할 때까지 꺽이고, 바람이 부는 반대 방향에 넓은 공간이 형성되어 이 공간으로 연소가스가 배출되는 원뿔형상의 고깔덮개부;를 포함하는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KR1020130121731A 2013-10-14 2013-10-14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KR101542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731A KR101542089B1 (ko) 2013-10-14 2013-10-14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1731A KR101542089B1 (ko) 2013-10-14 2013-10-14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932A KR20150042932A (ko) 2015-04-22
KR101542089B1 true KR101542089B1 (ko) 2015-08-06

Family

ID=53035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1731A KR101542089B1 (ko) 2013-10-14 2013-10-14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08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192B2 (ja) 1998-12-14 2001-04-23 日本電気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59192B2 (ja) 1998-12-14 2001-04-23 日本電気株式会社 搬送装置及び搬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2932A (ko) 2015-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R199800442A2 (xx) Plazma ark lambas�
US9429042B2 (en) Acoustic damping device for chambers with grazing flow
SE0300153D0 (sv) Pneumatic power tool with adjustable exhaust air outlet
JP2007218149A (ja) マフラ、作業機械
KR101542089B1 (ko) 연소가스 역류방지용 배기장치
KR101130115B1 (ko) 도장 건조 및 환기용 배풍기
EP1099829A3 (de) Schalldämpfereinsatz
DE59709350D1 (de) Gasbrenner
JP2005106415A (ja) 給排気管
JP2018025191A (ja) 吸気口消音器
JP2017057850A (ja) 消音要素及びカプラを有するサイレンサダクト
KR101834989B1 (ko) 가스보일러용 소음기
US20050115230A1 (en) Auxiliary airflow booster of engine
JP4237691B2 (ja) 排気トップ
ITMI990430V0 (it) Dispositivo per regolare la portata d'aria comburente in una caldaia m urale a camera stagna
FI20035204A0 (fi) Ääniloukku
KR200184762Y1 (ko) 연소기의 급·배기관용 급·배기통 톱
US2351794A (en) Ventilator
KR200219176Y1 (ko) 보일러 연도용 역풍유입방지 캡
CA2403723A1 (en) Anti-condensation device for a flame sensor of a combustion chamber
EA200600907A1 (ru)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ая труба и конфигурация коллектора к ней
JP2806057B2 (ja) 給排気装置
ATE302704T1 (de) Gasleitung
KR20100078415A (ko) 보일러용 급배기관
RU2231000C2 (ru) Воздухораспределител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