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2020B1 - 터치 디스플레이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디스플레이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2020B1
KR101542020B1 KR1020140166870A KR20140166870A KR101542020B1 KR 101542020 B1 KR101542020 B1 KR 101542020B1 KR 1020140166870 A KR1020140166870 A KR 1020140166870A KR 20140166870 A KR20140166870 A KR 20140166870A KR 101542020 B1 KR101542020 B1 KR 101542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onductive material
zoom
touch display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준동
박민재
유준우
유지환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66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20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2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2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링 형상의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확대 배율을 조절하거나 출력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링 형상의 본체와, 본체 내부에 삽입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및 입력 장치에 삽입된 전도성 물질의 위치 또는 이동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과, 센싱 모듈에 의해 감지된 위치값 또는 이동값을 이용하여 출력 화면 중에서 출력 영역을 생성하는 출력제어 모듈과, 출력제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출력 영역이 표시되도록 출력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디스플레이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방법{INPUT APPARATUS FOR TOUCH DISPLAY, TOUCH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UTPUT OF TOUCH DISPLAY}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 태블릿 등의 터치 디스플레이를 채용한 모바일 기기 사용이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모바일 기기들은 대부분 멀티 터치 입력을 이용한 줌-인(확대) 및 줌-아웃(축소) 기능을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판되고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줌-인 및 줌-아웃을 실행하는 경우, 화면상의 모든 면적에 작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부분만 줌-인하거나 줌-아웃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부분적으로 원하는 영역만 줌-인 및 줌-아웃하는 것과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몇몇 특허가 공지되어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4-0031254호에는, 가상 돋보기를 이용하여 가상 돋보기의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텍스트를 확대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3-0117212호에는, 휴대폰 케이스에 장착된 돋보기 및 돋보기 장착 부재를 이용하여 휴대폰의 화면을 이동하면서 돋보기가 위치한 화면에 포함된 문자 및 그림을 확대하여 제공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9-0036494호에는, 핸드폰의 연결부에 장착되어 상하 좌우로 자유롭게 이동이 가능하며 돋보기를 통해 휴대폰에 작은 글씨를 확대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특허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공되는 가상 돋보기 기능을 사용하거나, 물리적인 돋보기를 사용한 것으로, 부분적으로 확대된 화면만을 제공할 뿐, 확대 배율을 조절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4-0031254호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13-0117212호 한국특허공개공보 제2009-0036494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만을 확대할 수 있으며, 확대 배율을 조절할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간단한 방법으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로 출력할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휴대성이나 사용적인 면에서 미관상 수려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용 입력 장치는,
링 형상의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된 전도성 물질; 및, 상기 본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전도성 접촉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본체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본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링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에 삽입된 전도성 물질의 위치 또는 이동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과, 상기 센싱 모듈에 의해 감지된 위치값 또는 이동값을 이용하여 출력 화면 중에서 출력 영역을 생성하는 출력제어 모듈과, 상기 출력제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출력 영역이 표시되도록 출력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본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본체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출력제어 모듈은, 상기 센싱 모듈에 의해 감지된 위치값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가 가지는 링 형상의 내부에 상응하도록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출력제어 모듈은, 상기 감지된 전도성 물질의 이동값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영역 내부에서 이미지의 줌-인 또는 줌-아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전도성 물질의 이동값은, 상기 본체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전도성 물질의 회전각으로, 상기 회전각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이면 줌-인을 실행하고, 상기 줌-인을 실행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회전각인 경우, 줌-아웃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회전각의 크기에 따라 상기 줌-인 또는 줌-아웃의 배율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출력제어 모듈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미지를 상기 출력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출력제어 모듈은, 상기 감지된 전도성 물질의 이동값을 이용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제어 방법은,
전도성 물질이 삽입된 링 형상의 본체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출력 장치에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출력 장치가 상기 전도성 물질의 위치값 또는 이동값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장치가 상기 감지된 위치값 또는 이동값을 이용하여 출력 화면 중에서 출력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출력 장치가, 상기 감지된 위치값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가 가지는 링 형상의 내부에 상응하도록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출력 장치가, 상기 감지된 이동값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영역 내부에서 이미지의 줌-인 또는 줌-아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출력 장치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미지를 상기 출력 영역에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의하면, 상기 출력 장치가, 상기 감지된 전도성 물질의 이동값을 이용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만을 확대할 수 있으며, 확대 배율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방법으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로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성이나 사용적인 면에서 미관상 수려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용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용 입력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줌-인을 실행하는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어플리케이션 전환을 실행하는 것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제어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용 입력 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용 입력 장치(100)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된 전도성 물질(120)과, 본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접촉면(130)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1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외관상 수려함, 보관의 용이함 등을 고려하면, 상기 본체(110)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 내부에는 전도성 물질(120)이 삽입된다. 후술하는 출력 장치의 출력제어 모듈에서 전도성 물질(120)의 초기 위치값으로부터 출력될 화면 영역을 추출하기 위해서, 상기 전도성 물질(120)은 상기 본체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링 형상의 본체(110)의 지름 방향 양 끝에 전도성 물질(120)을 각각 삽입하면, 전도성 물질(120)의 위치값으로부터 링 형상 본체(110)의 지름값을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출력제어 모듈을 출력될 화면의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 걸쳐, 전도성 물질(120)의 초기 위치값으로부터 결정되는 특정한 화면 영역은 출력 영역이라고 부를 수 있다.
상기 본체의 표면에 형성된 접촉면(130)은 출력 장치의 터치 패널에 손상을 주지 않게 하기 위해, 섬유 재질과 같은 마찰이 적고 매끄러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용 입력 장치는, 본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인디케이터(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디케이터(140)는 소정의 물질, 예를 들어 구리선을 본체(110)의 소정 위치에 부착함으로써, 사용자가 링 형상의 본체(110)가 회전하는 방향 및 회전의 정도를 알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터치 디스플레이용 입력 장치는, 후술하는 출력 장치와 함께 연동하여 사용자의 입력 장치 조작 태양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만 줌-인 및 줌-아웃하거나, 간단한 방법으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터치 디스플레이용 입력 장치는, 간단한 방법으로, 포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로 돌리지 않고도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미지를 출력 영역 내에 포그라운드로 출력함으로써,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의 이미지를 잠시 확인하는 용도로 쓸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포츠 중계를 보면서 화면을 전환하지 않고 잠시 문자 메시지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 백그라운드에서 동작하는 문자 메시지 어플리케이션의 이미지를 선택된 출력 영역 내에서 출력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각에 따라 각자 다른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이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술한 입력 장치(100)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출력 장치(200)를 포함한다. 입력 장치(100)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출력 장치(200)는, 센싱 모듈(210)과, 출력제어 모듈(220)과, 디스플레이 모듈(230)을 포함한다.
상기 센싱 모듈(210)은 상기 입력 장치(100)에 삽입된 전도성 물질(120)의 위치 또는 이동을 감지하고, 감지한 위치값 또는 이동값을 출력제어 모듈(220)로 전송한다. 여기서, 위치값은 입력 장치(100)가 출력 장치(200)에 접촉한 부분에 대한 정보이고, 이동값은 입력 장치가 출력 장치에 접촉한 상태에서 입력 장치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거리 또는 각도에 대한 정보이다.
상기 출력제어 모듈(220)은 상기 센싱 모듈(210)에 의해 감지된 위치값 또는 이동값을 이용하여 출력 화면 내에서 출력 영역을 생성하거나 출력 영역에 이미지를 출력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출력제어 모듈(220)은 센싱 모듈에 의해 감지된 위치값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가 가지는 링 형상의 내부에 상응하도록 출력 영역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링 형상의 본체(110)의 지름 방향 양 끝에 전도성 물질(120)을 각각 삽입되면, 전도성 물질(120)의 위치값으로부터 링 형상 본체(110)의 중심점과 지름을 알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출력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출력제어 모듈(220)은 원래의 화면에서 결정된 출력 영역 내에 있는 이미지를 원래의 화면 위에 오버레이(overlay)하여, 출력 영역을 생성한다.
상기 출력제어 모듈(220)은 감지된 전도성 물질의 이동값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영역 내부의 콘텐츠의 줌-인 또는 줌-아웃을 제어한다. 상기 전도성 물질의 이동값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본체가 회전함에 따라 본체에 삽입된 전도성 물질이 회전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다. 여기서, 줌-아웃은, 화면 전체를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출력 영역에서 줌-인이 실행된 후, 확대된 출력 영역의 이미지의 배율을 다시 줄이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회전각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이면 줌-인을 실행하고, 상기 줌-인을 실행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회전각인 경우, 줌-아웃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회전각의 크기에 따라 줌-인 또는 줌-아웃의 배율이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 장치의 링 형상 본체(1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줌-인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회전시킨 정도에 따라, 줌-인 배율이 변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입력 장치의 링 형상 본체(11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아웃-인 기능이 실행될 수 있고, 회전시킨 정도에 따라, 줌-아웃 배율이 변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출력제어 모듈(220)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이미지를 포그라운드 화면 중에 출력 영역 내에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줌-인/줌-아웃 동작을 위한 조작과 구별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입력 장치(100)를 출력 장치(200)에 접촉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뒤에 접촉을 해제한 후, 다시 재접촉하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이미지가 출력 영역 내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력 장치(100)를 출력 장치(200)에 접촉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뒤에 접촉을 해제한 후, 원래 접촉면의 반대면을 출력 장치(200)에 접촉하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부 이미지가 출력 영역 내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출력 장치에 접촉시킨다. (S100) 상기 입력 장치는 전술한 터치 디스플레이용 입력 장치로, 바람직하게는 링 형상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된 전도성 물질(120)과, 상기 본체 표면에 형성된 전도성 섬유 재질의 접촉면(130)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이다.
상기 출력 장치는 전술한 출력 장치로, 상기 입력 장치(100)에 삽입된 전도성 물질의 위치 또는 이동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210)과, 상기 센싱 모듈에 의해 감지된 위치값 또는 이동값을 이용하여 출력 화면 중에서 출력 영역을 생성하거나 출력 영역 내에 출력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출력제어 모듈(220)과, 상기 출력제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출력 영역을 포함하는 출력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30)을 포함하는 출력 장치(200)이다.
다음으로, 상기 출력 장치가 상기 전도성 물질의 위치값 또는 이동값을 감지한다. (S200) 상기 출력 장치에 포함된 센싱 모듈(210)이 이를 감지한다.
다음으로, 상기 출력 장치가 상기 감지된 위치값 또는 이동값을 이용하여 출력 화면 중에서 출력 영역을 생성하거나 출력 영역 내에 표시할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한다.(S300)
상기 감지된 전도성 물질의 위치값을 이용하여 출력 영역을 결정하고, 출력 영역 내에서 감지된 전도성 물질의 이동값, 예를 들어 회전각을 이용하여 줌-인 또는 줌-아웃을 실행한다.
또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100)를 출력 장치(200)에 접촉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뒤에 접촉을 해제한 후, 다시 재접촉하면, 출력 영역 내에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입력 장치(100)를 출력 장치(200)에 접촉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뒤에 접촉을 해제한 후, 원래 접촉면의 반대면을 출력 장치(200)에 접촉하면,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미지가 출력 영역 내에서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영역만을 확대할 수 있으며, 확대 배율을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간단한 방법으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그라운드로 출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성이나 사용적인 면에서 미관상 수려한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용 입력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입력 장치 110 : 본체
120 : 전도성 물질 130 : 접촉면
140 : 인디케이터
200 : 디스플레이 출력 장치 210 : 센싱 모듈
220 : 출력제어 모듈 230 : 디스플레이 모듈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링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입력 장치; 및,
    상기 입력 장치에 삽입된 전도성 물질의 위치 또는 이동을 감지하는 센싱 모듈과,
    상기 센싱 모듈에 의해 감지된 위치값 또는 이동값을 이용하여 출력 화면 중에서 출력 영역을 생성하는 출력제어 모듈과,
    상기 출력제어 모듈에 의해 생성된 출력 영역이 표시되도록 출력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출력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제어 모듈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미지를 상기 출력 영역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5. 청구항 4에서, 상기 입력 장치는,
    상기 본체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도성 물질은 상기 본체 내부에 적어도 2개 이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6. 청구항 4에서, 상기 출력제어 모듈은,
    상기 센싱 모듈에 의해 감지된 위치값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가 가지는 링 형상의 내부에 상응하도록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7. 청구항 6에서, 상기 출력제어 모듈은,
    상기 감지된 전도성 물질의 이동값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영역 내부에서 이미지의 줌-인 또는 줌-아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8. 청구항 7에서,
    상기 전도성 물질의 이동값은, 상기 본체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전도성 물질의 회전각으로, 상기 회전각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하나이면 줌-인을 실행하고, 상기 줌-인을 실행하는 방향과 반대 방향의 회전각인 경우, 줌-아웃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9. 청구항 8에서,
    상기 회전각의 크기에 따라 상기 줌-인 또는 줌-아웃의 배율이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10. 삭제
  11. 청구항 4에서,
    상기 출력제어 모듈은, 상기 감지된 전도성 물질의 이동값을 이용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12. 전도성 물질이 삽입된 링 형상의 본체를 포함하는 입력 장치를 출력 장치에 접촉시키는 단계;
    상기 출력 장치가 상기 전도성 물질의 위치값 또는 이동값을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 장치가 상기 감지된 위치값 또는 이동값을 이용하여 출력 화면 중에서 출력 영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출력 장치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이미지를 상기 출력 영역에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제어 방법.
  13. 청구항 12에서,
    상기 출력 장치가, 상기 감지된 위치값을 이용하여 상기 본체가 가지는 링 형상의 내부에 상응하도록 출력 영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제어 방법.
  14. 청구항 13에서,
    상기 출력 장치가, 상기 감지된 이동값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영역 내부에서 이미지의 줌-인 또는 줌-아웃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제어 방법.
  15. 삭제
  16. 청구항 12에서,
    상기 출력 장치가, 상기 감지된 전도성 물질의 이동값을 이용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들 중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제어 방법.
  17. 터치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컴퓨터 장치에서 청구항 12 내지 14 및 청구항 16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제어 방법의 각 단계들을 구현하도록 컴퓨터 장치에서 독출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소프트웨어.
KR1020140166870A 2014-11-26 2014-11-26 터치 디스플레이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방법 KR101542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870A KR101542020B1 (ko) 2014-11-26 2014-11-26 터치 디스플레이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870A KR101542020B1 (ko) 2014-11-26 2014-11-26 터치 디스플레이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2020B1 true KR101542020B1 (ko) 2015-08-05

Family

ID=53886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870A KR101542020B1 (ko) 2014-11-26 2014-11-26 터치 디스플레이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202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8678A (ja) 2012-02-28 2013-09-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操作情報入力システム及び操作情報入力システムによって実行されるコンテンツ検索方法
JP2013178679A (ja) * 2012-02-28 2013-09-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操作情報入力システム及び操作情報入力システムによって実行されるコンテンツ検索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78678A (ja) 2012-02-28 2013-09-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操作情報入力システム及び操作情報入力システムによって実行されるコンテンツ検索方法
JP2013178679A (ja) * 2012-02-28 2013-09-0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操作情報入力システム及び操作情報入力システムによって実行されるコンテンツ検索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PSJ VOL.2011-CHI-144 NO.6, 201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111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images in a plurality of areas of a display
EP3011425B1 (en) Portable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4605214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146042B1 (ko) 회전형 메뉴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메뉴제어 방법
JP5703873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90070491A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화면 제어 장치 및 방법
JP2013131027A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136187A (ja) 携帯端末
JP2009266220A (ja) グラフィックメニューバーを操作する方法及び装置、並びにこれらを用いる記録媒体
JP2018022516A (ja) モバイルデバイス上でのデータ可視化の閲覧および対話のための拡大ツール
JP2011165023A (ja) 入力装置
KR20130035857A (ko) 이동 화면 탐색 장치 및 방법
JP2011180964A (ja) 携帯端末機、携帯端末電話機の画面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JP5739278B2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97164A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プログラム
JP2014134867A (ja) 情報処理端末
JP5762885B2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1107738A (ja) ポインティング装置、入力処理装置、入力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542020B1 (ko) 터치 디스플레이용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터치 디스플레이 화면 제어 방법
KR101344088B1 (ko) 터치스크린 장치의 화면 이동 및 전환 방법
JP2013065290A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80353A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251021B1 (ko) 터치스크린 출력화면 조정방법
JP5959372B2 (ja) 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474409B2 (en) Respons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