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1471B1 -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 - Google Patents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1471B1
KR101541471B1 KR1020140000775A KR20140000775A KR101541471B1 KR 101541471 B1 KR101541471 B1 KR 101541471B1 KR 1020140000775 A KR1020140000775 A KR 1020140000775A KR 20140000775 A KR20140000775 A KR 20140000775A KR 101541471 B1 KR101541471 B1 KR 1015414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oor
emergency
presen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0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3039A (ko
Inventor
김형숙
Original Assignee
김형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숙 filed Critical 김형숙
Publication of KR201500730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30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14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14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66B13/301Details of door sills

Landscapes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비상벨이 설치된 본체 및 비상벨과 연동하여 상기 도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평상시에는 사용자가 본체에 자유롭게 출입 가능하며, 비상벨이 작동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자동 신고 접수와 함께 상기 도어를 작동시켜 내부공간의 출입구를 폐쇄하여 안전지대로 기능하도록 하는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비상벨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비상벨이 작동될 경우 자동 신고 접수와 함께 상기 도어가 상기 내부공간의 출입구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평상시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사용자가 자유롭게 출입 가능하며, 비상시에는 상기 내부공간이 안전지대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SAFE ZONE}
본 발명은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비상벨이 설치된 본체 및 비상벨과 연동하여 상기 도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평상시에는 사용자가 본체에 자유롭게 출입 가능하며, 비상벨이 작동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자동 신고 접수와 함께 상기 도어를 작동시켜 내부공간의 출입구를 폐쇄하여 안전지대로 기능하도록 하는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금융 자동화기기 등의 부가서비스 시설이 설치되는 부스는 금융기관의 영업시간 또는 부스 이용시간을 제외한 나머지 시간에는 출입구가 폐쇄되어 시민이 출입할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24시간 운영되는 부스는 시민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으나, 일반 시민이 출입구의 도어를 필요에 따라 잠글 수 없는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비상 상황 발생 시 시민이 대피할 수 있는 안전지대로써의 기능이 미비하였다.
이러한 부스에 관한 종래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32219호(2010.12.17.) "다기능 부스"가 있는데,
상기 발명은 복수의 편의시설이 수용되도록 복수의 수용공간으로 구획되는 부스본체와, 상기 부스본체의 상기 부스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편의시설의 사용에 사용되는 전원을 생성 및 공급하는 태양에너지공급부와, 상기 부스본체의 테두리영역을 따라 적어도 일영역에 구비된 조명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부스본체의 복수의 공간 중 적어도 일영역에는 의자가 고정 결합되어 있는 다기능 부스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발명은 부스 본체의 수용공간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도어는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내부를 차폐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야간시간 또는 편의시설의 사용이 불가한 시간에는 수용공간에 출입이 제한되도록 잠금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비상 상황 발생 시 시민들이 수용공간 내로 대피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안전지대로 활용될 수 없는 한계점이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성범죄가 증가하는 추세인데, 좁은 도로는 물론 큰 도로변에서도 인적이 드문 시간에 범죄가 발생하기 쉽고, 범죄자에게 위협을 느낀 시민들이 대피할 공간이나 경찰 등에게 급하게 도움을 청할 방법이 적은 실정을 감안할 때,
시민들이 쉽게 접근하여 대피할 수 있으면서 빠른 시간에 도움을 청할 수 있는 시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나, 상기 발명은 이러한 요구를 해결해주는데 구조적인 한계가 존재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범죄가 발생하기 쉬운 우범지역에 설치되어 비상 상황 발생 시 시민들이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인 안전지대를 제공하는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특히 범죄 예방 및 여성, 노약자를 위한 안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도록 경보장치와 안전지대를 제공하면서 노약자나 위급환자를 위한 112, 119 등의 자동 신고 시스템을 구축한 공중전화 부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스마트 미디어를 통한 기업의 정보 제공 및 도시 미관을 향상시키는 광고를 활용함으로써, 공공성을 강조하는 기업에게 후원 제공의 장을 마련하고, 광고매체로서의 기능을 제공하여 안전지대 장치의 제작, 유지비용을 충당할 수 있는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비상벨 작동 시 제어부가 자동 신고 접수와 도어가 내부공간을 폐쇄시켜 시민들의 안전을 확보하고, 빠른 경찰 출동 등의 후속 조치가 가능한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은 보안 카메라를 통해 상시적인 감시 및 비상 상황 발생 시 범죄자 검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비상벨이 작동될 경우, 제어부가 경광등을 작동시키면서 경고 발령을 발하도록 함으로써, 범죄자에게 경각심을 들게 하여 후속 범죄 발생 예방 및 피해자 보호에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제어부가 내장되는 함체에 방수수단을 도입하여, 함체를 자유롭게 설치 가능함으로써, 공간 확보가 용이하며, 침수에 따른 제어부의 고장 등으로 인하여 안전지대로써의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는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비상벨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비상벨이 작동될 경우 자동 신고 접수와 함께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프레임의 출입구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평상시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사용자가 자유롭게 출입 가능하며, 비상시에는 상기 내부공간이 안전지대로 기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에서 상기 본체는 상기 내부공간 및 출입구를 감시하는 보안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에서 상기 본체는 경광등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비상벨이 작동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광등을 작동시키면서 경고 발령을 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에서 상기 제어부를 구성하는 피씨비가 내장되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결합틈새를 밀폐하는 방수수단을 구비한 함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수수단은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단턱의 외측으로 연결된 하부접촉면에서 하부로 돌출된 복수의 상부끼움돌기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단턱의 외측으로 연결된 상부접촉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상부끼움돌기에 엇갈려 끼움 결합되는 복수의 하부끼움돌기와,
상기 상부끼움돌기와 하부끼움돌기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도록 중간부는 지그재그구조를 갖고, 내부에는 에어가 채워져서, 상부끼움돌기와 하부끼움돌기가 끼움결합될 때 내부의 에어가 양측 가장자리도 몰리면서 양측이 각각 팽창하여 상부끼움돌기와 하부끼움돌기에 밀착되는 밀폐패드와,
에어가 몰려 팽창되는 상기 밀폐패드의 가장자리가 케이스에 밀착되도록 밀폐패드의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는 도로 변, 특히 우범지역에 설치되어 시민들이 대피할 수 있는 안전지대를 제공함으로써, 시민들에게 범죄 등의 비상 상황 발생 시 대피할 수 있는 안전지대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와 안전을 모두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는 112, 119 등의 자동 신고 시스템을 도입하여 여성, 노약자, 어린이 등 사회적 약자의 성폭력 및 유괴, 절취 등의 범죄로부터 긴급 피난처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온, 냉방 시스템을 제공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는 거리 환경을 쾌적하고 스마트한 공간으로 탈바꿈시킬 수 있고, 시정홍보, 주변 위치 안내, 관광ㅇ 문화정보 제공, 광고 제공 등 인터넷 기반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는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시설 제공 및 유지비용을 충당할 수 있도록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는 기업에게 광고판을 제공하는 새로운 광고매체로 활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는 비상벨이 작동될 경우 자동 신고 접수와 함께 도어가 안전지대인 내부공간을 폐쇄하도록 함으로써, 시민의 안전 및 경찰 등의 빠른 출동이 가능해져 범인 검거 및 범죄 예방 효과가 탁월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다른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는 보안 카메라를 설치함으로써 보안이 강화되어 범죄 발생 파악이 용이하며, 추후 범인 검거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다른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는 경광등을 더 설치하여, 비상벨 작동 시 제어부가 경광등을 작동시키면서 경고를 발령하도록 함으로써, 범죄자에가 경각심을 갖도록 하여 후속 범죄 발생 예방 및 피해자 보호 효과가 탁월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다른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는 비상 상황 발생 시 각종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내장된 함체에 방수수단을 도입함으로써, 함체 설치에 따른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함과 동시에, 우천 등의 이유로 침수가 발생하여 제어부의 고장 및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지대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지대 장치의 외관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지대 장치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지대 장치에 설치되는 광고형 스마트 기기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지대 장치의 함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한다.
특히 도 4에서 시민들이 사용할 수 있는 구역을 내측으로 하여 그 반대 방향을 외측으로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지대 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가 서비스 설비(13; 도 4 참고)가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10A)을 갖는 본체(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본체(10)는 상하부 프레임(11a)(11b)과, 좌우 측면 프레임(11c) 및 후방 프레임(11d)이 결합되어 있는 본체 프레임(11)으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 프레임(11)은 전방이 개구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프레임들은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내구성을 갖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경우에 따라 철재 류의 골조에 강화 유리가 결합되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11a) 일측에는 LED 잔넬 등으로 이루어진 전면 광고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들의 외면 또는 내면 또는 이들 모두에는 별도의 광고판(19)을 부착할 수 있는 부착부가 구비되며, 경우에 따라 프레임이 광고판(19)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광고판은 인터넷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가변 광고판으로 활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무기 발광시트(무기 EL; Electro Luminance) 광고판을 활용하여 소비 전력을 줄이고, 열 발생을 방지하여 사용 수명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강조하고 싶은 형태의 광고를 각기 다른 발광장치를 삽입하여 순차적으로 발광시켜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인적이 드믄 도로변, 상업지구, 공원 및 체육시설과 같이 잠재적으로 범죄 위험 발생 요소가 많은 우범지역에 설치된다.
이어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10A)은 부가서비스 설비(13)가 설치되는 공간으로 활용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안전지대 장치의 내부 단면도들이다.
우선 시민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는 부가서비스로써 다양한 서비스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금융 자동화기기(14; 도 4 및 도 5 참고)가 있다. 금융 자동화기기(14)는 시중 은행에서 제공하는 모든 종류의 입출금기 또는 금융 관련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기기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10A)에는 광고형 스마트 기기(15)가 설치된다. 상기 광고형 스마트 기기(15)는 온라인으로 연결되는 터치식 패널로 활용 가능하며 지역 공지 및 홍보, 지역의 문화, 공연, 영화, 관광 등의 광고 정보를 제공하고, 지역 내 편의시설의 입장권 통합 발권시스템, 지역 특산물 예약 구매안내, 스마트폰 충전 서비스 등을 더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광고형 스마트 기기는 실시간 뉴스, 안전지대의 사용법 안내, 지도 검색 서비스 등 인터넷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세계화시대에 발맞춰 외국의 관광객에게도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외국어 번역 시스템이 탑재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고형 스마트 기기는 포토 메일, 게임 서비스 등을 제공함으로써, 안전지대 장치를 시민들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며, 무료 와이파이존을 제공하여 시민들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광고형 스마트 기기(15)는 상기 본체 프레임(11)의 프레임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설치되거나,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형 스마트 기기(15) 자체가 후면 프레임(11d)을 대신하여 어느 일면에 장착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고형 스마트 기기(15)는 특히 양면 디스프레이를 도입하여 내부 디스플레이(15a)를 통해서는 상시적으로 다양한 정보가 제공되면서 사용자가 조작하였을 때 원하는 정보 또는 서비스만을 제공받을 수 있는 양방향 서비스를 제공하고, 외부 디스플레이(15b)를 통해서는 상시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일방향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광고형 스마트 기기(15)는 공중전화 기능을 포함하는 개량형 스마트 공중전화기가 활용될 수 있다. 상기 공중전화기는 IC 카드용 공중전화, 동전용 공중전화, 교통카드용 공중전화 등 공공의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모든 전화 설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이때 상기 개량형 스마트 공중전화기는 터치스크린 등과 결합되어 상술한 광고형 스마트 기기의 기능을 동시에 제공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광고형 스마트 기기(개량형 스마트 공중전화기 포함)와 상기 금융 자동화기기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수정 가능하며, 특히 각 기기의 사용 시 비밀 보장성을 위하여 별도의 칸막이 프레임이 본체 내부에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밖에 상기 내부공간(10A)에는 지폐의 위조 여부를 판단하는 지폐인식기, 신용카드 리더기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 설비가 별도로 더 구비되거나, 또는 상기 광고형 스마트 기기(15)와 상술한 부가서비스 설비가 일체로 구비되어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의 [A]에는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광고형 스마트 기기(15)의 대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의 [B]에는 광고형 스마트 기기와 일체화된 공중전화기(개량형 스마트 공중전화기)의 대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내부공간(10A)은 평상시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편의 시설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위험 상황 발생 시 근처의 시민들이 대피할 수 있는 안전지대로 활용된다.
이를 위하여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10A)에는 비상벨(미도시) 및 내부공간(10A)의 출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도어(16)가 설치된다.
상기 비상벨은 제어부를 통해 상기 도어(16)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유아나 어린이 등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방지수단이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비상벨은 후술하는 시민의 대피 상황 시 경찰서 등과 자동으로 통화할 수 있는 인터폰 등과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비상벨은 도어의 잠금 기능이 구동되도록 하는 작동 버튼과, 비상 상황이 종료되었을 때 도어의 잠금 상태를 안전지대 내부에서 해제할 수 있는 잠금 해제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자동 잠금 및 자동 신고 시스템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보안 카메라, 경광등 등 제2구역의 모든 시스템을 통합하여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도어(16)의 설치를 위하여 상기 본체 프레임(11)은 측면 프레임(11c)과 연결된 전면 프레임(11e)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16)가 상기 전면 프레임(11e)을 따라 슬라이딩 방식으로 설치되어 내부공간(10A)의 출입구를 개폐한다.
상기 도어(16)는 강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면 프레임(11e) 외면에 별도의 광고판(19)이 설치되어 상기 도어(16)가 개방된 상태 즉, 도어(16)가 전면 프레임(11e)의 전면에 위치할 때에도 시민들에게 광고 정보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부 프레임(11a)(11b) 상에는 상기 도어(16)가 상기 출입구를 미닫이 방식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레일(미도시)이 구비되며,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측면프레임(11c)에는 도어(16)가 자동으로 슬라이딩 개폐되도록 하는 터치식 스위치(16a)가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모션 감지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16)의 개폐가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방식도 고려될 수 있다.
또 상기 도어(16)는 후술하는 안전지대 기능을 위하여 제어부와 연동된 자동 잠금 장치(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 잠금 장치는 범죄 발생 시 외부에서 강제로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강제 개방 방지 수단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은 제어부를 통해 내부공간(10A)의 비상벨이 작동될 경우, 상기 도어(16)를 작동시켜 내부공간(10A)의 출입구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내부공간(10A) 내의 시민이 비상 상황 시 대피할 수 있는 안전지대로 활용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비상벨이 작동될 경우 인근 파출소나 경찰서 등과 연계하여 자동으로 비상 신고 접수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해당 부스에서 최근(最 近)거리의 지구대 등에서 경찰이 출동하여 후속 범죄 발생 방지 및 범죄자 검거를 빠른 시간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2구역(10B)에는 별도의 긴급 전화기를 구비하여, 112 자동 신고뿐만 아니라, 위급환자 발생 시 자동으로 119 및 인근 병원으로 신고할 수 있는 서비스를 더 제공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공간(10A)으로 활용되는 본체 프레임(11)에는 내부공간(10A) 및 출입구 주변을 감시하고 녹화할 수 있는 보안 카메라(17)가 더 설치된다. 상기 보안 카메라(17)는 상기 상부 프레임(11a)에 설치 브라켓을 통해 설치되거나, 또는 상부 프레임(11a)과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또 상기 보안 카메라(17)는 인근 경찰서 등과 연계되어 상시적인 방범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안 카메라는 200만 화소 이상의 고화질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IP 카메라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촬영된 영상이 NVR/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한 3중 저장 방식, 장애 발생 시 내장된 SD 메모리 카드를 통한 백업 저장방식을 도입함으로써, 종래 아날로그 DVR 방식의 보안 카메라의 잦은 고장, 외부 침입자로 인한 도난 및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도면에서는 상기 보안 카메라가 본체 외부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체 내부에서 출입구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본체에 두 개소 이상 설치되어 안전지대 장치의 내, 외부를 모두 감시하며 촬영하고, 이를 녹화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10)의 상부 프레임(11a) 상에는 경광등(18)이 더 설치된다. 상기 경광등(18)은 위험 경고를 발령하는 통상의 것으로써, 상기 제어부는 비상벨이 작동될 경우 상기 경광등(18)을 작동시켜 발광과 함께 사이렌 등의 경보 신호를 발령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밖에 상기 내부공간에는 사용자들의 쾌적한 사용을 위한 환풍기 또는 에어컨, 난방기 등의 부가 설비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10A)은 시민들이 대피할 수 있는 공간에서 더 나아가 여러 긴급 상황 발생 시 시민들의 안전을 위한 안전지대로써의 기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다양한 부가 설비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노약자의 심장마비 등 긴급 상황 발생 시 활용될 수 있는 자동 심장제세동기 등의 의료 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설비(13)들이 설치된 내부공간(10A)을 시민의 안전을 위한 최첨단 안전지대로 활용함으로써, 사용자들에게 다양한 부가서비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여성 성범죄, 노약자 및 아동 대상 범죄 등 각종 범죄 상황 시 대피 공간 및 긴급 의료 설비 등을 제공하여 안전지대 장치가 사회적 공공시설로써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에는 정전을 대비하여 상기 제어부, 보안 카메라, 경광등, 부가 서비스 설비 등에 상시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보조 배터리가 더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보조 배터리는 평상시 자동 충전 기능이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에는 별도의 충격 감지기(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외부 충격에 의한 안정지대 장치의 파손을 자체적으로 감지,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안전지대로 기능할 때 충격 감지기에 외부 충격이 감지될 경우 상기 제어부가 자체 보안 시스템(예를 들어 위급 신고 추가 접수 및 추가 경보 발령, 도어 잠금 장치 강화 등)을 가동하여 안전지대에 들어온 보다 빠르고 안전하게 시민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제어부를 구성하는 피씨비가 내장되는 함체(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함체(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내부공간 확보를 위하여 상부 프레임(11a)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안전지대 장치는 우범지역 등의 외부에 설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우천 등의 이유로 함체(20) 내부로 수분이 침투하여 상기 제어부의 고장을 유발할 경우 상기한 안전지대로의 기능이 제대로 구현될 수 없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방수수단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발명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함체(20)에 방수수단(30)을 도입하였다.
우선, 상기 함체(20)는 서로 맞물려 조립 결합되는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6)로 구성된다.
서로 맞물려 조립,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21)에는 내측으로 단차진 내단턱(22)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26)에는 외측으로 단차진 외단턱(27)에 형성되어, 내단턱(22)과 외단턱(27)이 맞물린다.
그리고 맞물린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6)가 분리되지 않고 조립 결합되도록 상기 내단턱(22)에는 후크홀(23)이 형성되고 상기 외단턱(27)에는 후크돌기(28)가 형성되어서, 상기 후크돌기(28)가 상기 후크홀(23)에 후크식으로 조립 결합된다.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6)는 맞물려 조립 결합됨으로써 내부에 각종 구성품(예를 들어, 제어부로 구성되는 피씨비를 비롯한 각종 단자, 통신 장비 등)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이처럼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함체(20)의 상부케이스(21)와 하부케이스(26)의 결합틈새를 밀폐하는 상기 방수수단(30)은
상기 상부케이스(21)의 내단턱(22)의 외측으로 연결된 하부접촉면에서 하부로 돌출된 복수의 상부끼움돌기(31)와,
상기 하부케이스(26)의 외단턱(27)의 내측으로 연결된 상부접촉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상부끼움돌기(31)에 엇갈려 끼움결합되는 복수의 하부끼움돌기(32)와,
상기 상부끼움돌기(31)와 하부끼움돌기(32)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도록 중간부는 지그재그구조를 갖고, 내부에는 에어가 채워져서, 상부끼움돌기(31)와 하부끼움돌기(32)가 끼움 결합될 때 내부의 에어가 양측 가장자리로 몰리면서 양측이 각각 팽창하여 상부끼움돌기(31)와 하부끼움돌기(32)에 밀착되는 밀폐패드(33)와,
에어가 몰려 팽창되는 상기 밀폐패드(33)의 가장자리가 케이스에 밀착되도록 밀폐패드(33)의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밀폐패드(33)의 내측은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와 하부로 모두 연결되어서 상기 상부끼움돌기(31)와 하부끼움돌기(32)의 결함틈새를 덮어 밀폐하고, 외측은 수용된 좁은 공간 내에서 팽창하여 결합틈새를 밀폐시킨다.
상기 밀폐패드(33)는 그 형상을 최대한 유지하며 탄성을 갖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져서, 상부끼움돌기(31)와 하부끼움돌기(32)가 끼움결합되어 접촉 가압하면, 내부의 에어가 접촉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양측으로 이동을 하여서 양측이 팽창을 하게 되고,
팽창된 양측은 각각 상부끼움돌기(31)와 하부끼움돌기(32)의 결합 틈새를 덮으면서 케이스에 밀착되어서, 케이스(20)의 수용공간으로 외부의 물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0A: 내부공간
11 : 본체 프레임 13 : 부가서비스 설비
14 : 금융 자동화기기 15 : 광고형 스마트 기기
16 : 도어 17 : 보안카메라
18 : 경광등 19 : 광고판
20 : 함체 21 : 상부케이스
22 : 내단턱 23 : 후크홀
26 : 하부케이스 27 : 외단턱
28 : 후크돌기
30 : 방수수단 31 : 상부끼움돌기
32 : 하부끼움돌기 33 : 밀폐패드
34 : 지지부

Claims (4)

  1. 본체프레임과, 상기 본체프레임의 출입구를 개폐하는 도어와, 비상벨을 포함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비상벨이 작동될 경우 자동 신고 접수와 함께 상기 도어가 상기 본체프레임의 출입구를 폐쇄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평상시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에 사용자가 자유롭게 출입 가능하며, 비상시에는 상기 내부공간이 안전지대로 기능하고,
    상기 제어부를 구성하는 피씨비가 내장되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의 결합틈새를 밀폐하는 방수수단을 구비한 함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방수수단은 상기 상부케이스의 내단턱의 외측으로 연결된 하부접촉면에서 하부로 돌출된 복수의 상부끼움돌기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외단턱의 외측으로 연결된 상부접촉면에서 상부로 돌출되며, 상기 복수의 상부끼움돌기에 엇갈려 끼움 결합되는 복수의 하부끼움돌기와,
    상기 상부끼움돌기와 하부끼움돌기의 사이사이에 배치되도록 중간부는 지그재그구조를 갖고, 내부에는 에어가 채워져서, 상부끼움돌기와 하부끼움돌기가 끼움결합될 때 내부의 에어가 양측 가장자리도 몰리면서 양측이 각각 팽창하여 상부끼움돌기와 하부끼움돌기에 밀착되는 밀폐패드와,
    에어가 몰려 팽창되는 상기 밀폐패드의 가장자리가 케이스에 밀착되도록 밀폐패드의 외측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하는 안전지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내부공간 및 출입구를 감시하는 보안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지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경광등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비상벨이 작동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경광등을 작동시키면서 경고 발령을 발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지대 장치.
  4. 삭제
KR1020140000775A 2013-12-20 2014-01-03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 KR1015414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0194 2013-12-20
KR20130160194 2013-12-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039A KR20150073039A (ko) 2015-06-30
KR101541471B1 true KR101541471B1 (ko) 2015-08-05

Family

ID=53518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0775A KR101541471B1 (ko) 2013-12-20 2014-01-03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14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25378A (zh) * 2018-07-04 2018-12-18 安徽和久馨物业服务有限公司 一种双层物业保安亭
CN109138509A (zh) * 2018-08-10 2019-01-04 人人家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可自预警治安岗亭及系统
JP7470918B2 (ja) * 2020-04-24 2024-04-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安全スイッチ及びスイッチシステム
CN113685065B (zh) * 2021-08-23 2023-04-21 浙江杰翎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组合安装的模块化拼接式心理服务亭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0402A (ja) 2004-02-26 2005-09-08 Renias:Kk 屋外避難装置および防犯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40402A (ja) 2004-02-26 2005-09-08 Renias:Kk 屋外避難装置および防犯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3039A (ko) 2015-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35123A1 (en) Drone-augmented emergency response services
US7280042B2 (en) Standoff security and real-time vendor verification system and apparatus
KR101541471B1 (ko) 우범지역 안전지대 장치
Green The appropriate and effective use of security technologies in US schools: a guide for schools and law enforcement agencies.
KR101491834B1 (ko) 긴급상황 발생 시 대피를 위한 세이프티존 부스
US20150146002A1 (en) Door with security features and integrated system
KR101535149B1 (ko) 안전지대를 구비한 공중전화 부스
JP5268012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0471680Y1 (ko) 신변 안전부스
CN202731339U (zh) 智能atm防护舱
CN210864845U (zh) 一种基于公共安全应急保障管理方舱的舱门监测系统
JP4856822B2 (ja)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101440477B1 (ko) 스마트 시큐리티 시스템 및 방법
US20170069051A1 (en) ATMS Bank Emergency Response System
CN206788888U (zh) 一种新型atm人脸识别防护系统
CN202467247U (zh) 警务便民信息亭
CN205722073U (zh) 楼宇用的对讲系统
Newman A design guide for improving residential security
Minnaar Private security companies, neighbourhood watches and the use of CCTV surveillance in residential neighbourhoods: the case of Pretoria-East
CN203334717U (zh) 多功能警银亭
CN109403384A (zh) 井盖装置
CN202939744U (zh) 移动基站防盗装置
Doss et al. Physical Security Concepts and Applications
CN207728041U (zh) 一种防偷窥atm自助取款机防护舱
KR101646997B1 (ko) 방범 저출력심장충격기(aed) 폐쇄회로텔레비젼(cctv) 감시카메라 에스에스(ss)-타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4